KR101871787B1 -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787B1
KR101871787B1 KR1020170117279A KR20170117279A KR101871787B1 KR 101871787 B1 KR101871787 B1 KR 101871787B1 KR 1020170117279 A KR1020170117279 A KR 1020170117279A KR 20170117279 A KR20170117279 A KR 20170117279A KR 101871787 B1 KR101871787 B1 KR 101871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
pairing
signal
wireless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필드
Priority to KR1020170117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업 시간에 호출벨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야간 등 영업 시간 외에 보안벨로부터 경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호출 모드와 경보 모드를 모두 구비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벨과 페어링을 수행하여, 상기 무선벨로부터 무선벨의 고유 송신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고유 송신코드와 호출번호를 매칭시켜 상기 무선벨에 호출번호를 부여하는 페어링부; 페어링을 수행하는 페어링 모드,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호출번호를 표시하는 호출 모드, 및, 보안 신호를 수신하여 비상상황을 알리는 보안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설정하거나 판단하는 모드판단부; 다수의 무선벨로부터 페어링을 위한 페어링 신호, 호출을 위한 호출 신호, 또는, 감지센서 또는 감지장치로부터 감지된 감지결과를 포함하는 보안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호출 모드에서 호출 신호를 수신하면 표시부에 호출번호를 출력하고, 보안 모드에서 보안 신호를 수신하면 비상상황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표시부 또는 알람부에서 출력하게 하는 동작표시부; 보안 신호로부터 비상상황을 판단하는 비상상황 판단부; 및, 비상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동작표시부를 통해 비상상황을 알리거나 외부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비상상황 알림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하면, 관리자는 호출벨/보안벨을 선택하는 버튼만을 누르면서 수신기와 각 호출벨/보안벨을 페어링을 자동으로 수행시킴으로써, 호출벨/보안벨의 개수가 많더라도 빠른 시간 내에 페어링을 시켜 페어링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 { A call bell receiving system with security calling by using speed pairing }
본 발명은 영업 시간에 호출벨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야간 등 영업 시간 외에 보안벨로부터 경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호출 모드와 경보 모드를 모두 구비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피드 페어링 모드를 설정하면, 페어링 번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브로드캐스팅 하고, 특정 호출벨 또는 보안벨에서 페어링 설정 기능을 누르면 자동으로 페어링 시키는,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출 벨은 식당등의 매장의 테이블에 설치되어 손님이 호출 벨을 누르면 매장에 설치된 표시창에 해당 테이블의 번호가 표시된다. 이때, 점원은 표시창에 표시된 테이블 번호를 보고 해당 테이블의 손님에게 다가갈 수 있다. 그래서 점원은 손님과 대화하면서 특정 주문 메뉴와 각종 부가 서비스 요청을 직접 확인한 후, 해당 요청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호출 벨은 종업원을 부르는 용도만으로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여 보다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일례로서, 호출 벨 외에도 음성 통화 기능을 부가하여, 음성 통화 용도로 겸용하여 활용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1].
또한, 호출 벨을 호출 기능 외에도 보안용으로 활용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2]. 매장을 운영하는 업주의 입장에서는 테이블마다 설치되는 호출벨만큼 꼭 필요한 것이 매장 내 방범용 보안 장치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범용 보안장치는 매장 내 다수의 위치에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매장 면적이 넓거나 칸막이 등의 구조물이 많이 설치된 매장이나 사업장에서는 방범을 위해 다수의 센서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해야 하므로 공간적인 소모가 크며, 보안 기능 향상을 위해 감도가 높은 센서를 다수 개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 비용이 많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은 호출 벨을 방범 벨로도 활용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호출 벨의 호출 신호를 수신기(또는 호출 수신장치)로 전송하기 전에, 해당 호출 벨을 수신기에 등록해야 한다. 즉, 해당 호출 벨의 아이디, 고유번호 등 식별정보를 수신기에 등록해야 하고, 그 외 호출 벨의 설치 위치 등 세부정보가 등록되어야 한다. 즉, 호출 벨과 수신기 사이에 페어링을 작업을 수행하여, 양 기기 간에 동기화를 시켜야 한다.
그런데 호출 벨의 개수가 많은 경우 이와 같은 페어링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일반적으로, 버튼(호출기)를 수신기에 등록할 때, 다음과 같은 복잡한 과정을 거쳐 등록된다.
먼저, 관리자가 수신기에서 일정 스위치를 조작하여 사용하지 않은 번호를 생성하고, 페어링 작업을 시작한다. 이때, 관리자는 페어링을 시킬 호출기의 버튼을 눌러 페어링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 그러면 수신기에서 호출기로부터 송신IC 코드를 수신하고, 수신한 코드와 앞서 생성된 번호를 매칭시킨다. 그리고 관리자가 호출기의 저장 버튼을 누르면, 해당 번호가 호출기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페어링 작업을 각 호출기 마다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호출기가 상당히 많은 경우, 상기 페어링 작업은 매우 많은 시간을 소요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69854호(2008.11.21.공고)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1355호(2016.02.25.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업 시간에 호출벨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야간 등 영업 시간 외에 보안벨로부터 경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호출 모드와 경보 모드를 모두 구비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드 페어링 모드를 설정하면, 페어링 번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브로드캐스팅 하고, 특정 호출벨 또는 보안벨에서 페어링 설정 기능을 누르면 자동으로 페어링 시키는,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벨과 페어링을 수행하여, 상기 무선벨로부터 무선벨의 고유 송신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고유 송신코드와 호출번호를 매칭시켜 상기 무선벨에 호출번호를 부여하는 페어링부; 페어링을 수행하는 페어링 모드,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호출번호를 표시하는 호출 모드, 및, 보안 신호를 수신하여 비상상황을 알리는 보안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설정하거나 판단하는 모드판단부; 다수의 무선벨로부터 페어링을 위한 페어링 신호, 호출을 위한 호출 신호, 또는, 감지센서 또는 감지장치로부터 감지된 감지결과를 포함하는 보안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호출 모드에서 호출 신호를 수신하면 표시부에 호출번호를 출력하고, 보안 모드에서 보안 신호를 수신하면 비상상황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표시부 또는 알람부에서 출력하게 하는 동작표시부; 보안 신호로부터 비상상황을 판단하는 비상상황 판단부; 및, 비상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동작표시부를 통해 비상상황을 알리거나 외부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비상상황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부는 하나의 무선벨과 개별적으로 페어링하는 일대일 페어링 모드와, 다수의 무선벨과 일괄적으로 페어링을 수행하는 일괄 페어링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부는 일괄 페어링 모드인 경우, (a) 매칭할 호출번호를 초기화하는 단계; (b) 사전에 정해진 대기시간 동안 무선벨로부터 무선신호를 대기하는 단계; (c) 무선벨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무선벨에 대한 페어링 작업을 수행하되, 해당 무선벨에 상기 매칭할 호출번호를 매칭하여 부여하는 단계; (d) 해당 무선벨과의 페어링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매칭할 호출번호를 새로 생성하되 매칭되지 않은 호출번호로 생성하고, 상기 (b)단계부터 다시 시작하는 단계; 및, (e)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대기시간 동안 무선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일괄 페어링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페어링부는 매칭할 호출번호를 1씩 증가시켜 새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벨은 매장 또는 사업장의 구조물에 설치되어 스위치를 누르면 자신에게 부여된 호출번호를 상기 신호수신부로 전송하는 호출벨, 내장된 감지센서 또는 연결된 감지장치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수신부로 감지결과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보안벨 또는 상기 호출벨 기능과 상기 보안벨 기능을 모두 구비한 겸용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에 의하면, 호출 모드와 경보 모드를 모두 구비하여 이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호출벨이나 보안벨을 모두 수신할 수 있어 호출벨 수신용과 보안벨 수신용으로 별도로 2개의 수신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경제적이고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에 의하면, 관리자는 호출벨/보안벨을 선택하는 버튼만을 누르면서 수신기와 각 호출벨/보안벨을 페어링을 자동으로 수행시킴으로써, 호출벨/보안벨의 개수가 많더라도 빠른 시간 내에 페어링을 시켜 페어링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벨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겸용 호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괄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범 겸용 호출벨 시스템은 호출벨, 보안벨, 겸용벨 등 무선벨(10), 무선벨(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20), 외부 인터넷(80)과 연결시키는 AP장치(30),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40), 및, 모바일 단말(40)에 설치되어 수신기(20)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50)로 구성된다. 또한, 원격에서 관리하는 관리서버(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무선벨(10)은 매장 또는 사업장의 구조물에 설치되어 해당 위치를 알리는 호출벨(11), 매장 또는 사업장의 보안을 위해 설치되어 감시하고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위험 신호를 전송하는 보안벨(12), 또는, 호출 기능과 보안 기능을 모두 구비한 겸용벨(13)이다.
호출벨(11)은 매장 또는 사업장의 구조물에 설치되어, 고객 등이 벨 스위치를 누르면 자신의 고유 식별정보, 즉, 호출번호를 수신기(2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각 테이블의 일측이나 공간 내 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호출벨(11)은 버튼 등 입력 스위치와,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여, 고객이 입력 스위치를 누르면 무선 통신부를 통해 내부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번호(또는 테이블 번호)를 전송한다.
보안벨(12)은 감지 센서를 구비한 감지장치와 연결되어, 감지장치로부터 감지 신호 또는 위험 신호 등을 수신한다. 위험 신호 등이 수신되거나 수신된 감지 신호가 특정한 임계치에 도달하는 등 위험 상태로 판단되면, 위험 신호를 수신기(20)로 전송한다.
보안벨(12)은 감지센서 또는 감지결과 수신장치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보안벨(12)은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센싱값이 특정 범위를 넘어서거나, 감지결과 수신장치를 통해 감지 장치로부터 이상 신호를 수신하면, 위험 신호를 수신기(2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감지장치는 무단 침입 감지 장치, 화재감지 장치, 가스탐지 장치 등 매장 또는 사업장의 위험상태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감지장치는 위험상태를 감지하여 안전한 범위를 벗어나면, 보안벨(12)은 해당 결과나 위험상태 메시지를 수신기(20)로 전송한다.
겸용벨(13)은 호출벨(11)에 감시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추가한 것이다. 이는 매장 또는 사업장의 구조물에 설치되어, 호출 신호 및 방범 센서의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며, 각 테이블의 일측이나 공간 내 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겸용벨(13)은 입력스위치를 통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호출벨 또는 보안벨의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호출벨의 기능이 선택된 경우, 겸용벨(13)은 호출벨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는, 보안벨의 기능이 선택된 경우, 겸용벨(13)은 보안벨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수신기(20)는 무선벨(10)과 페어링하는 기능,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호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및, 보안 신호를 수신하여 알람 기능(위험상태를 알리는 기능)을 모두 구비한다. 또한, 수신기(20)는 페어링 모드, 호출 모드, 보안 모드 등 적어도 3개의 운전 모드를 가지고,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해당 운전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수행된다.
페어링 모드가 설정되면, 수신기(20)는 무선벨(10)과 페어링을 하여, 각 무선벨(10)를 등록하고 각 무선벨(10)의 식별번호, 종류 등 상세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호출 모드가 설정되면, 수신기(20)는 호출벨(11) 또는 겸용벨(13)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호출 신호의 식별정보(또는 호출번호)를 화면 등 표시부에 표시한다.
또한, 보안 모드가 설정되면, 수신기(20)는 보안벨(12) 또는 겸용벨(13)로부터 보안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보안 신호를 모바일 단말(40) 또는 관리서버(60)에 전송한다. 이때, 보안 신호는 감지장치 또는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결과나 위험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 등이다.
또한, 수신기(20)는 알람용 스피커나 알람용 표시부를 구비하여, 위험상태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메시지를 상기 스피커나 알람용 표시부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AP장치(30)는 매장 또는 사업장에 설치되는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내부망을 형성하고 내부망을 외부 인터넷(80)과 연결시킨다. 즉, AP장치(30)는 내부망과 외부 인터넷(80)을 연결시키는 장치이다.
다음으로, 모바일 단말(40)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로서, 스마트폰, 패블릿, 태블릿PC 등 통상의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이다. 특히, 모바일 단말(40)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 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단말이다. 또한, 모바일 단말(40)은 이동통신망을 통한 메시지 등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이나, 전화 통화 기능을 구비한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50)는 모바일 단말(40)에 설치되어 수행되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으로서, 보안벨 등 무선벨로부터 위험 상태 또는 보안 신호를 수신하고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시스템이다. 또는 클라이언트(50)는 문자 메시지, 음성통화 등 내장된 어플리케이션 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40) 또는 클라이언트(50)는 수신기(20)의 보안 신호 또는 위험상태 메시지(또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음성 등을 통해 출력한다.
클라이언트(50)에서 수행되는 작업도 모두 모바일 단말(40)에서 수행하는 것이므로, 이하에서 모바일 단말(40)과 클라이언트(50)의 구분없이, 모바일 단말(4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구별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각각 용어를 구별하여 모두 사용한다.
다음으로, 관리서버(60)는 원격에 위치하여, 인터넷 등 네트워크(80)를 통해 수신기(2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수신기(20)는 무선벨(10)에 의해 위험상태가 감지되면, 수신되는 위험상태의 메시지를 관리서버(60) 등에 전송한다.
관리서버(60)는 무선벨(10)을 모니터링하는 서비스 서버로서, 위험상태를 수신하면 사전에 설정된 규칙 대로 위험 대비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관리자나 담당자 등의 단말로 위험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응급 센터 등 관련 기관에 해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무선벨(10)의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출벨(11)은 호출 입력하기 위한 입력 스위치(112)와 페어링 설정을 위한 페어링 스위치(113), 및, 무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111)로 구성된다. 특히, 입력 스위치(112)와 페어링 스위치(113)는 하나의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호출을 위한 입력과, 페어링을 위한 입력은 각각 호출 모드와 페어링 모드에서 수행되는 기능이므로, 하나의 운전 모드에서는 동시에 발생할 수 없다. 따라서 하나의 스위치로 입력 스위치(112)와 페어링 스위치(113)를 같이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스위치(112)가 눌러지는 시간에 따라 호출 입력과 페어링 모드 입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입력 스위치가 소정의 시간 보다 짧게 눌려지면 호출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 스위치가 소정의 시간 보다 길게 눌려지면 페어링 모드 전환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입력 스위치만 구성된 예로 설명한다.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안벨(12)은 위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24)와, 페어링 설정을 위한 페어링 스위치(123), 및, 무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121)로 구성된다.
또한, 감지센서(124) 대신 감지장치 수신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위험을 감지하는 감지장치가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고, 보안벨(12)은 수신장치를 통해 감지장치에서 감지된 감지결과를 수신한다. 따라서 무단 침입 감지 장치, 화재감지 장치, 가스탐지 장치 등 보다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페어링 스위치(123)는 페어링 모드 전환을 위한 스위치로서, 이하에서 입력 스위치로도 부르기로 한다.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겸용벨(13)은 호출 입력하기 위한 입력 스위치(132), 위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34)와, 페어링 설정을 위한 페어링 스위치(133), 및, 무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131)로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스위치로 입력 스위치(132)와 페어링 스위치(133)를 같이 구현할 수 있다.
입력스위치(132)는 사용자의 호출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입력스위치(132)는 호출 신호의 발생 지속시간에 따라 동작 모드 전환 신호(예, 보안 모드에서 호출 모드로의 전환 또는 호출 모드에서 보안모드로의 전환)를 발생시킨다. 즉, 호출 모드에서는 입력스위치(132)가 눌러지는 시간이 1초 내지 2초인 경우에는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고, 호출스위치가 눌러지는 시간이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될 경우에는 보안 모드로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로 간주한다.
감지센서(134)는 보안 모드에서 설정된 주변 영역의 물리적 움직임을 감지한다. 방범센서(12)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적외선 센서, 마이크로 센서, 초음파 센서, 진동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션 감지 센서를 들 수 있다.
이처럼 감지센서(134)가 겸용벨(13)에 내장되어 있음으로써, 공간 내에 일정한 영역을 분할하여, 영역 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넓은 공간 내에서 높은 감도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보안 센서가 매장 내에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로 설치되므로, 센서가 높은 감도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여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가 설치되는 겸용벨 등에 탑재되므로 센서가 낮은 감도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송신기(131)는 입력스위치(132)와 감지센서(134)의 동작 신호를 수신기(20)에 송신한다.
또한 겸용벨(13)은 추가적으로 호출 모드 및 보안 모드를 표시하는 모드표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모드표시장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색상으로 발광되는 LED 발광 소자 또는 소형 LCD 장치 등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모드표시장치를 더 포함할 경우, 영업 시간 또는 업무 시간이 종료되고 매장 내 조명이 점등된 경우에도 매장 주인은 쉽게 동작 모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다수의 겸용벨의 동작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기(20)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20)는 무선벨(10)과 페어링을 수행하는 페어링부(21), 운전 모드를 설정하거나 판단하는 모드 판단부(22),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23), 현재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24), 비상상황을 판단하는 비상상황 판단부(25), 비상상황을 알리는 비상상황 알림부(26)로 구성된다. 또한, 무선 통신, 또는, 외부 인터넷(80)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27),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8), 호출번호나 위험상황을 알리기 위한 표시부(29a) 및 알람부(29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페어링부(21)는 무선벨(10)과 페어링을 수행하여, 무선벨(10)에 호출번호를 부여하거나, 고유 식별번호 등 무선벨(1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페어링된 무선벨(10)로서 등록한다.
이때, 페어링부(21)는 페어링시 무선벨(10)에 대한 기기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벨(10)의 종류(호출벨, 보안벨, 겸용벨 등), 기기정보, 맥(MAC) 주소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페어링부(21)는 무선벨(10)을 페어링하여 등록할 때, 호출용 벨로 사용할지, 보안용 벨로 사용할지 등록할 수 있고, 전환 신호를 전환용 벨로도 설정할 수 있다. 전환 신호는 운전 모드를 전환시키는 신호이다. 즉, 전환 신호는 호출 모드에서 보안 모드, 다시 보안 모드에서 호출 모드로 전환시키는 신호이다.
호출벨(11) 또는 겸용벨(13) 모두 전환용 벨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전환용 벨은 운전 모드의 전환을 토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누를 때 마다 다른 모드로 전환시킨다.
페어링부(21)는 각 무선벨(10) 등록시, 해당 무선벨(10)이 어느 용도로 사용되는지를 입력받거나 인식하여, 각 무선벨(10)이 어느 용도로 사용될 것인지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부(27)에 저장한다. 즉, 저장부(27)에는 각 무선벨(10)의 용도에 따른 저장공간을 할당시켜놓는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7)를 보안용 벨 용도의 저장공간, 보안벨 용도의 저장공간, 호출벨 용도의 저장공간 등으로 구분시킨다. 일례로서, 전환용 무선벨 10개, 호출벨 250개, 보안벨 60개 등으로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시킨다.
각 저장공간에는 해당 종류 무선벨(10)의 송신코드(또는 통신 식별정보)가 기록된다. 따라서 호출 모드인 경우에는 호출용도 저장공간에서, 수신된 송신코드와 매칭되는 호출벨의 송신코드를 검색할 수 있다,
페어링부(21)는 페어링 시 각 무선벨(10)을 사용용도에 따라 각각의 모드로 등록한다. 특히, 겸용벨(13)은 보안벨 또는 호출벨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한편, 전환용 벨은 호출벨(11)과 겸용벨(13)에 전환용으로 등록시킴으로써, 전환벨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페어링부(21)는 일대일 페어링 모드와 일괄 페어링 모드(또는 스피드 페어링 모드)를 가진다.
일대일 페어링 모드는 무선벨(10)을 하나씩 개별적으로 페어링하는 모드이다. 즉, 페어링부(21)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번호(호출번호 등)를 입력받고, 페어링할 무선벨(10)로부터 송신 코드(또는 송신IC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호출번호와 송신 코드를 매칭시킨다. 또한, 이때, 페어링부(21)는 사용자로부터 저장 입력을 받아 해당 매칭 내용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수신기(20)에서 호출번호 또는 식별번호를 스위치 조작을 통해 입력하고, 해당 무선벨(10)에서 스위치 조작을 통해 호출을 해야한다. 또한 매칭이 된 후에도 사용자가 직접 저장 명령을 해야만 해당 매칭 내용이 저장된다.
또한, 일대일 페어링 모드에서 무선벨(10)의 종류를 등록하거나, 겸용벨(13)의 경우 어느 용도로 사용할 것인지를 등록할 수 있다. 즉, 겸용벨(13)이 호출벨로 역할을 하다가 보안벨로서 역할을 변경하고자 할 때, 일대일 페어링 모드에서 벨의 종류 또는 벨의 역할을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 사항은 저장부에 기록된다. 또한, 전환용 벨로 등록시킬 수 있다.
특히, 각 무선벨(10)의 송신 코드(또는 식별정보)는 해당 모드의 저장공간에 저장된다.
일괄 페어링 모드 또는 스피드 페어링 모드는 자동으로 호출번호 또는 식별번호를 생성하고, 무선벨(10)로부터 스위치 신호를 받으면 자동으로 페어링 작업을 수행한다. 즉, 페어링부(21)는 일괄 페어링 모드(또는 스피드 페어링 모드)로 선택되면, 자동으로 호출번호 등 식별번호를 생성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생성된 식별번호를 화면 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무선벨(10)에 스위치(버튼 등)를 누르면 페어링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기(20)에 일괄 페어링 모드를 시작하는 명령을 입력한 후, 페어링할 무선벨(10)들을 순차적으로 해당 버튼(또는 스위치)을 누르기만 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일괄 페어링 모드에서 페어링부(21)는 호출번호를 자동으로 증가시켜, 호출번호가 순차적으로 증가(또는 감소)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신기(20)는 자동으로 생성되는 호출번호를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호출번호를 확인하여, 해당 호출번호에 매칭할 무선벨(10)을 선택하여 누를 수 있다.
모드 판단부(22)는 전환 신호에 의해 현재의 운전 모드를 변환한다.
운전 모드는 최초에는 호출 모드로 디폴트로 자동 설정된다. 그리고 모드 판단부(22)는 전환용 벨에 의해 전환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의 운전 모드에서 다른 운전 모드로 변경한다. 즉, 호출 모드에서 보안 모드, 보안 모드에서 호출 모드로 변경된다.
호출 신호 또는 감지센서 신호(보안 신호)에 따라 동작 모드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벨(10)의 신호의 발생 지속시간의 길이에 따라 호출 모드 및 보안 모드를 구분하며, 호출모드에서 보안 모드로의 전환시에는 매장 주인이 매장에서 빠져나갈 시간을 주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보안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환용 벨이 다수 개로 설정되어 어느 하나의 전환용 벨로부터 전환 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운전 모드를 변경한다. 그리고 다른 전환용 벨로부터 전환 신호를 수신하면 다시 현재 운전 모드를 변경한다. 즉, 다수의 전환용 벨에 의해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신호수신부(23)는 무선벨(10)로부터 호출 신호 또는 보안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수신부(23)는 수신된 신호에서 송신 코드 등 무선벨(10)의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식별정보를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등록된 벨인지를 검색하고 확인한다. 특히, 현재 운전 모드에 따라 해당 운전모드의 용도별 저장공간에서 해당 식별정보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호출 모드인 경우에는 호출용 저장공간을 검색하여 매칭되는 송신 코드(또는 송신 식별정보, 벨 식별정보)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고, 매칭된 코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해당 신호에 대하여 응답한다. 즉, 사전에 정해진 절차에 따라 해당 신호를 처리한다.
동작 표시부(24)는 호출 동작 및 보안 동작의 상황을 표시하며, 호출모드일 경우, 호출된 위치를 표시하며, 보안 모드일 경우, 센서 감지 상황 및 현장 상황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동작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동작 표시부(24)는 현재 운전 모드에 따라 동작 모드를 설정한다.
비상상황 판단부(25)는 보안 모드 시, 감지센서의 동작 신호에 따라 비상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특히,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가 기준치 이상이며, 감지 신호가 유지되는 시간이 설정 시간 이상일 경우, 비상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상상황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보안 모드에서 호출 모드로의 전환시에는 매장 주인이 호출 모드로의 전환을 위하여 매장에 진입하게 되므로, 모드 판단부(22)는 보안 모드에서는 센서가 동작을 감지한 이후에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모드 전환 내지 보안 모드 해제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만 비상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비상상황 알림부(26)는 보안 모드 시, 비상상황의 발생을 외부에 알리는 경광등 또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며, 이를 통해 침입자에 대한 경고를 전달하고, 현장 주변에서 비상상황 발생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비상상황 알림부(26)는 AP장치(30)를 통해 외부 인터넷(80)에 연결된 관리 서버(60)나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40)로 비상상황을 전송한다. 특히, 모바일 단말(40)의 클라이언트(50)에 비상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저장부(27)는 메모리 등 저장매체로서, 각 무선벨(10)의 송신코드와 호출번호(또는 식별번호)의 매칭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는, 보안벨 등으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28)는 무선벨(10)에서 호출 신호 또는 감지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동작 모드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공중전화망(PSTN) 또는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비상상황 발생 시,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 보안업체, 경찰서 등 외부 관리 서버(60)에 비상상황 발생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표시부(29a)는 통상의 디스플레이로서, 호출번호를 표시하거나, 비상상황을 표시한다. 또한, 알람부(29b)는 스피커, 경광등, 경보음 발생장치 등으로서, 호출번호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비상상황을 알리기 위한 알람 출력 장치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범 겸용 호출벨 시스템을 이용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수신기(20)는 전원이 온(On) 되면 운전을 시작한다(S10).
그리고 일괄 페어링 모드를 확인하고(S21), 일괄 페어링 모드이면 페어링 모드(S22)를 수행한다. 일괄 페어링 모드는 다수의 무선벨(10)을 일괄적으로 페어링하는 모드이다. 즉, 수신기(20)는 자동으로 호출번호 또는 식별번호를 생성하고, 무선벨(10)로부터 스위치 신호를 받으면 자동으로 페어링 작업을 수행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수신기(20)는 일괄 페어링을 위한 식별번호(또는 호출번호)를 초기화 한다(S23). 예를 들어, 식별번호 M을 1번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대기시간 동안 무선벨(10)로부터 무선 신호를 대기한다(S24).
만약 수신기(20)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면, 무선신호를 발송한 무선벨(10)과 페어링 작업을 수행한다(S25). 앞서와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기(20)는 무선벨(10)로부터 송신코드 등을 수신하고 해당 무선벨(10)에 식별번호 또는 호출번호 M을 전송한다. 무선벨(10)은 전송된 M으로 호출번호를 설정한다. 수신기(20)는 무선벨(10)의 송신코드 또는 무선벨의 고유식별코드(무선통신에서 식별하기 위한 코드)와, 호출번호(또는 식별번호)를 매칭하여 저장부(또는 메모리)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수신기(20)는 식별번호를 1 증가시킨다(S26). 식별번호를 1씩 증가하지 않고, 사용하지 않은 식별번호를 임의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되지 않는 식별번호 풀(Poo)에서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하여, 새로운 식별번호를 선정할 수 있다.
수신기(20)는 다시 대기상태로 돌아가서 무선신호 수신을 대기한다(S24). 이후 모든 무선벨(10)이 자동으로 페어링 작업을 완료할 때까지 상기 단계들을 반복한다. 또한, 모든 무선벨(10)이 페어링 작업을 완료하여 더 이상 추가적인 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종료한다.
다음으로, 수신기(20)는 출력장치, 즉, 표시부(29a)와 알람부(29b)의 출력을 테스트한다(S30). 표시부(29a)에는 호출번호나 비상상황을 표시하는 것이 제대로 작동되는지를 테스트하고, 알람부(29b)에 대해서는 알람이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테스트한다.
다음으로, 일대일 페어링 모드인지를 판단하고(S41), 일대일 페어링 모드이면, 해당 무선벨(10)을 등록시키거나 무선벨(10)의 등록 사항을 삭제, 수정하거나, 또는 보안 등록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무선벨(10)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S51), 보안 모드로 전환하는 것인지를 확인한다(S52). 즉, 무선 신호가 전환용 신호이고 전환 신호로 수신되면, 운전 모드를 변환시킨다.
보안 모드가 아닌 호출모드로 변환되면, 호출 모드로 판단한다. 그리고 무선 신호를 호출 신호로 인식하여, 무선신호로부터 호출번호를 추출하여 호출번호를 출력한다(S60).
또한, 보안 모드인 경우, 보안 모드를 표시한다(S71).
그리고 보안 모드 전환의 완료를 위하여 30초 동안 대기한다(S72).
그리고 보안신호가 수신되는지를 대기한다(S81).
만약 보안 신호가 수신되면, 비상상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82). 즉,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40) 또는 관리서버(60)에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수신기(20)는 비상상황 알림을 출력한다(S83). 즉, 디스플레이 등 표시부(29a)에 비상상황을 알리고, 경광등, 스피커 등을 통해 알람 신호를 출력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무선벨 11 : 호출벨
12 : 보안벨 13 : 겸용벨
20 : 수신기 21 : 페어링부
22 : 모드판단부 23 : 신호수신부
24 : 동작표시부 25 : 비상상황 판단부
26 : 비상상황 알림부 27 : 저장부
28 : 통신부
30 : AP장치 40 : 모바일 단말
50 : 클라이언트 60 : 관리서버

Claims (5)

  1.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벨과 페어링을 수행하여, 상기 무선벨로부터 무선벨의 고유 송신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고유 송신코드와 호출번호를 매칭시켜 상기 무선벨에 호출번호를 부여하는 페어링부;
    페어링을 수행하는 페어링 모드,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호출번호를 표시하는 호출 모드, 및, 보안 신호를 수신하여 비상상황을 알리는 보안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설정하거나 판단하는 모드판단부;
    다수의 무선벨로부터 페어링을 위한 페어링 신호, 호출을 위한 호출 신호, 또는, 감지센서 또는 감지장치로부터 감지된 감지결과를 포함하는 보안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호출 모드에서 호출 신호를 수신하면 표시부에 호출번호를 출력하고, 보안 모드에서 보안 신호를 수신하면 비상상황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표시부 또는 알람부에서 출력하게 하는 동작표시부;
    보안 신호로부터 비상상황을 판단하는 비상상황 판단부; 및,
    비상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동작표시부를 통해 비상상황을 알리거나 외부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비상상황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어링부는 하나의 무선벨과 개별적으로 페어링하는 일대일 페어링 모드와, 다수의 무선벨과 일괄적으로 페어링을 수행하는 일괄 페어링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수행되고,
    상기 페어링부는 일괄 페어링 모드인 경우,
    (a) 매칭할 호출번호를 초기화하는 단계;
    (b) 사전에 정해진 대기시간 동안 무선벨로부터 무선신호를 대기하는 단계;
    (c) 무선벨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무선벨에 대한 페어링 작업을 수행하되, 해당 무선벨에 상기 매칭할 호출번호를 매칭하여 부여하는 단계;
    (d) 해당 무선벨과의 페어링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매칭할 호출번호를 새로 생성하되 매칭되지 않은 호출번호로 생성하고, 상기 (b)단계부터 다시 시작하는 단계; 및,
    (e)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대기시간 동안 무선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일괄 페어링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c)단계에서 수신되는 무선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무선벨의 스위치가 눌려져서 발생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페어링부는 매칭할 호출번호를 1씩 증가시켜 새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벨은 매장 또는 사업장의 구조물에 설치되어 스위치를 누르면 자신에게 부여된 호출번호를 상기 신호수신부로 전송하는 호출벨, 내장된 감지센서 또는 연결된 감지장치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수신부로 감지결과를 포함하는 보안신호를 전송하는 보안벨 또는 상기 호출벨의 기능과 상기 보안벨의 기능을 모두 구비한 겸용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
KR1020170117279A 2017-09-13 2017-09-13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 KR101871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279A KR101871787B1 (ko) 2017-09-13 2017-09-13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279A KR101871787B1 (ko) 2017-09-13 2017-09-13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787B1 true KR101871787B1 (ko) 2018-07-31

Family

ID=63078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279A KR101871787B1 (ko) 2017-09-13 2017-09-13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7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332A (ko) * 2020-07-21 2022-01-28 최지훈 연통 화재 방지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854B1 (ko) 2007-02-09 2008-11-21 이승엽 음성통화 호출벨 시스템
KR20140100650A (ko) * 2013-02-06 2014-08-18 주식회사 미디어인포메이션커뮤니케이션 무선경보장치와 무선경보시스템 및 그 무선경보방법
KR20160021355A (ko) 2014-08-14 2016-02-25 주식회사 선단테크 호출벨을 이용한 방범 시스템
KR20160050243A (ko) * 2014-10-29 2016-05-11 주식회사 선단테크 무선 호출벨을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매장 관리 방법
KR20170058814A (ko) * 2015-11-19 2017-05-29 이용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도난 방지 시스템, 도난 방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076035A (ko) * 2015-12-24 2017-07-04 (주) 헬로팩토리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854B1 (ko) 2007-02-09 2008-11-21 이승엽 음성통화 호출벨 시스템
KR20140100650A (ko) * 2013-02-06 2014-08-18 주식회사 미디어인포메이션커뮤니케이션 무선경보장치와 무선경보시스템 및 그 무선경보방법
KR20160021355A (ko) 2014-08-14 2016-02-25 주식회사 선단테크 호출벨을 이용한 방범 시스템
KR20160050243A (ko) * 2014-10-29 2016-05-11 주식회사 선단테크 무선 호출벨을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매장 관리 방법
KR20170058814A (ko) * 2015-11-19 2017-05-29 이용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도난 방지 시스템, 도난 방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076035A (ko) * 2015-12-24 2017-07-04 (주) 헬로팩토리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332A (ko) * 2020-07-21 2022-01-28 최지훈 연통 화재 방지 장치
KR102467893B1 (ko) * 2020-07-21 2022-11-15 최지훈 연통 화재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6841B2 (ja) 警報器及び警報器システム
US20170330439A1 (en) Alarm method and device, control device and sensing device
KR101871787B1 (ko)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
KR20090041002A (ko) 보안기능을 구비한 가전제품
KR20070015736A (ko) 긴급 상황을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경보 장치
KR200234152Y1 (ko) 원격 경보/인터폰 기능을 갖는 전화기 시스템
EP2902983A1 (en) Wireless system
KR100395692B1 (ko) 홈 매니저를 이용한 비상 호출 시스템
CN201781579U (zh) 影音监控系统
KR101634927B1 (ko) 일반호출 기능을 갖는 비상호출 시스템
JP2968765B2 (ja) 小型基地局捜索システム
JP2000069184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及び警報報知システム
KR20160021355A (ko) 호출벨을 이용한 방범 시스템
KR102565301B1 (ko)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
KR200254825Y1 (ko) 경보용 셋업장치
KR200322239Y1 (ko) 비상 호출 시스템
JP2007025795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KR200234153Y1 (ko) 원격 인터폰/경보 기능을 갖는 전화기 시스템
KR100681755B1 (ko) 전기스탠드
KR100782334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조명기기 제어 시스템 및방법
KR100514938B1 (ko) 침입자 감시가 가능한 보안 겸용전화기
KR20230079972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화재발생 신속 경보 방법
AU2022202171A1 (en) Fire notification system with wireless voice positioning alarm
JP3133007U (ja) 緊急自動通報機能付きボイスガイダンスユニット
JP202106821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