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691B1 -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691B1
KR102605691B1 KR1020220101563A KR20220101563A KR102605691B1 KR 102605691 B1 KR102605691 B1 KR 102605691B1 KR 1020220101563 A KR1020220101563 A KR 1020220101563A KR 20220101563 A KR20220101563 A KR 20220101563A KR 102605691 B1 KR102605691 B1 KR 102605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uardian
text
voic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문
Original Assignee
최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문 filed Critical 최종문
Priority to KR1020220101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691B1/ko
Priority to JP2023128135A priority patent/JP2024025710A/ja
Priority to PCT/KR2023/011998 priority patent/WO2024035231A1/ko
Priority to KR1020230160419A priority patent/KR20240023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18Artificial neural networks; Connectionist approach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관리 유형에 따라 음성 또는 문자가 사전 설정 저장되면, 설정된 시간 또는 주기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변경하여, 피보호자 단말기로 예약 전송하거나 실시간 통화 연결하고, 피보호자 단말기의 회신을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실시간 통화 연결하여, 피보호자에 대한 보호자의 원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장치;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관리 유형을 선택하고, 관리 유형에 따라 음성 또는 문자를 사전에 설정 저장한 후, 전송 시간 또는 주기를 예약 설정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의한 예약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호자 단말기; 및 별도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설치 없이, 서비스 제공장치로부터 중계 전송되는 관리 유형에 따른 음성 또는 문자를 수신 또는 수신 후 회신하는 피보호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The elderly care service system including the elderly and dementia patients}
본 발명은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이용자인 피보호자(노인, 치매환자 등)와 보호자(자녀, 가족 등) 상호간 음성이나 문자 소통을 중계 및 관리하여, 보호자가 원격지에서 주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피보호자의 일상생활 및 질환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022년 발표된 65세 이상의 인구수가 총 인구의 18%에 달하며, 이는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고, 추정 치매환자수도 88.6만명으로 약 10%의 유병율을 보이고 있으며, 2050년에는 300만명에 달할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반면에 가족의 부모에 대한 부양의견은 2012년 33.2%에서 2020년에는 22%로 계속 줄어들고 있기에, 늘어나는 노인과 치매환자에 대한 자동화된 일정 관리 및 인지 능력 개선을 위한 관리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65세 이상의 인구의 경우 치매 유발율은 10%에 달하며 치매 진단을 받지 않았더라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다수가 경도의 인지능력의 저하문제와 그로 인한 일정 관리의 문제를 겪고 있다.
이처럼 최근 사회 전반적으로 핵가족화 및 고령화로 인하여 노인들만 홀로 거주하는 형태인 독거노인 세대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와 같이 혼자 사는 노인들은 예기치 못한 위급상황이 발생하거나 신변 이상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외부에서 현재 상태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노인복지와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 안전망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중앙정부 또는 지자체에서는 별도의 복지기관을 운영함과 아울러, 독거노인 돌보미 서비스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사회복지사 및 자원봉사자 등으로 하여금 정기적인 방문 또는 전화 안부확인 등의 복지정책 등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복지사 및 자원봉사자 등이 담당 지역의 모든 독거노인 세대에 대하여 24시간 계속적으로 상주하여 지속적으로 도움을 주는 것은 한정된 복지예산, 인력부족 등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운영하는데 무리가 있다.
또한, 전화 안부확인 등을 통한 안전 관리 프로세스의 경우에도 시간적, 공간적인 한계가 존재함에 따라, 독거노인의 위급상황 또는 신변이상에 대하여 상시 모니터링이 어렵기 때문에 신변 이상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심지어 사망 후 오래 방치된 상태에서 독거노인이 주검으로 발견되는 등,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 안전망의 취약과 고독사가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독거 노인들 중에는 자녀나 가족이 없이 홀로 생활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정부의 복지정책이 적극 추천되나, 자녀나 가족이 있는 독거 노인들의 경우, 사회복지사나 자원봉사자를 꺼리는 경향이 있어, 자녀들에 의존하는 경우가 상당하다.
그러나, 독거 노인들의 자녀들은 독립적으로 가정을 꾸리며 생활하는 가운데 경제활동과 개인사로 인해, 마음은 항상 홀로 사는 부모에게 향하고 있어도, 매일 같이 바쁜 경제활동을 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실제로는 독거 노인 즉 부모의 보살핌에 소홀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른 심리적 미안함과 불안감을 가지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IT 기술을 활용하여 원격지에서 독거노인의 활동상태나 신변이상에 대한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솔루션이 제안되고 있다.
종래 기술은 독거 노인 등 모니터링이 필요한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과, 그 보호자의 모바일 단말에 각각 권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보호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일정 주기에 따라 소정의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송신하고, 그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사용자에 의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독거노인 즉 부모의 모바일 단말에 서비스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야 하고 이를 실행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주요 피보호자인 65세이상의 노인 혹은 인지능력의 문제를 겪고 있는 분들이 해당 서비스들을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0617호(명칭: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공개일: 2010년05월14일)
본 발명은 서비스 이용자인 피보호자(노인, 치매환자 등)의 단말기에 웹, 앱, 디바이스의 설치를 요구하지 않고, 집전화나 모바일 폰으로 전화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이용에 대한 거부감이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된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이용자인 피보호자(노인, 치매환자 등)와 보호자(자녀, 가족 등) 상호간 음성이나 문자 소통을 중계 및 관리하여, 피보호자와 보호자 간 정서적 유대감과 안정감을 얻도록 하는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자가 사전에 설정 저장된 문진 데이터를 피보호자에게 제공하고 피보호자의 대응에 대해 질환적 내지 일상생활적 상태를 파악 및 분석한 후 보호자에게 관리 정보로 제공하여, 보호자의 피보호자에 대한 원격적 관리가 체계적이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관리 유형에 따라 음성 또는 문자가 사전 설정 저장되면, 설정된 시간 또는 주기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변경하여, 피보호자 단말기로 예약 전송하거나 실시간 통화 연결하고, 피보호자 단말기의 회신을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실시간 통화 연결하여, 피보호자에 대한 보호자의 원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장치;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관리 유형을 선택하고, 관리 유형에 따라 음성 또는 문자를 사전에 설정 저장한 후, 전송 시간 또는 주기를 예약 설정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의한 예약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호자 단말기; 및 별도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설치 없이, 서비스 제공장치로부터 중계 전송되는 관리 유형에 따른 음성 또는 문자를 수신 또는 수신 후 회신하는 피보호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설정된 시간 또는 주기에 따라, 피보호자 단말기로 예약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사전에 설정 저장된 질환 진단 요소를 피보호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피드백 되는 정보로부터 질환 상태를 분석 및 관리하면서, 보호자 단말기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서비스 등록 및 가입을 유도한 후, 보호자 단말기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피보호자에 대한 관리 유형 선택 및 선택 사항의 관리; 상기 선택된 관리 유형별 음성 또는 문자에 대한 송수신의 관리;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변경하여 상기 음성 또는 문자를 예약 전송 또는 실시간 전송에 대한 관리;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와 피보호자 단말기 간 일방 접속 또는 쌍방 접속을 유도 및 관리;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서버일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서비스 등록 및 가입을 유도한 후, 보호자 단말기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피보호자에 대한 관리 유형의 선택 및 선택 사항의 관리; 상기 선택된 유형별 음성의 문자 변환 또는 문자의 음성 변환 및 송수신의 관리; 상기 음성 또는 문자를 예약 전송 또는 실시간 전송에 대한 관리;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와 피보호자 단말기 간 일방 접속 또는 쌍방 접속을 유도 및 관리;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서버일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서비스 등록 및 가입을 유도한 후, 보호자 단말기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피보호자에 대한 관리 유형 선택 및 선택 사항의 관리; 상기 선택된 관리 유형별 음성 또는 문자에 대한 송수신의 관리; 상기 보호자 단말기와 피보호자 단말기 간 일방 접속 또는 쌍방 접속에 대한 유도 및 관리; 및 피보호자에 대한 질환 관리 유형 선택 시, 사전에 설정 저장된 질환 진단 요소를 피보호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피드백 되는 정보 또는 수집되는 정보로부터 질환 상태를 분석하여 축적 관리하면서,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 관리;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서버일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보호자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신상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가입신청 내용을 수집하여 인증 절차 후, 서비스 이용 요금 결제 및 승인 절차를 거쳐 서비스 등록 및 가입을 유도하고, 관리 유형 등록과 음성 또는 문자 전송 예약을 관리하며,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변경하여 예약 전송을 관리하는 관리엔진; 보호자 정보, 피보호자 정보, 관리 유형, 예약 정보,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와 피보호자 단말기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보호자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신상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가입신청 내용을 수집하여 인증 절차 후, 서비스 이용 요금 결제 및 승인 절차를 거쳐 서비스 등록 및 가입을 유도하고, 관리 유형 등록과 음성 또는 문자 전송 예약을 관리하는 관리엔진; 상기 보호자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알림 문자 내용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관리엔진으로 전달하는 TTS엔진; 보호자 정보, 피보호자 정보, 관리 유형, 예약 정보,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와 피보호자 단말기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보호자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신상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가입신청 내용을 수집하여 인증 절차 후, 서비스 이용 요금 결제 및 승인 절차를 거쳐 서비스 등록 및 가입을 유도하고, 관리 유형 등록과 음성 또는 문자 전송 예약을 관리하고, 피보호자의 질환을 진단 분석하고 관리하는 관리엔진; 상기 보호자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알림 문자 내용을 음성으로 변환하는 TTS엔진; 상기 보호자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음성 내용을 문자로 변환하고, 피보호자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질환 진단 요소에 대한 음성 응답 피드백을 인식 및 분석 후 텍스트로 변환하고, 사전에 설정된 질환 진단 요소에 대한 피드백의 정답 여부를 판단하여, 질환을 진단하고 분석하는 STT엔진; 보호자 정보, 피보호자 정보, 관리 유형, 예약 정보,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와 피보호자 단말기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유형은, 안부 인사, 복약 시간 알림, 병원 방문 알림, 질환 관리를 포함한 기본 관리 유형 및 보호자 단말기에서 별도 생성하는 선택 관리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엔진은, 상기 음성 또는 문자의 전송을 전화, 문자, 카카오톡을 포함한 인스턴트 메신저나 그룹 채팅 서비스 중 어느 한 통신경로를 제공하여, 선택된 통신경로를 통해 전송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상기 TTS엔진은, 보호자 단말기에서 입력 전송되는 문자를 보호자의 육성 정보를 사전에 수집 후 분석하여 보호자의 실제 육성과 동일한 재생 음성으로 출력 저장하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Text To Speech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TT엔진은, 보호자 단말기 또는 피보호자 단말기에서 입력 전송되는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자연어 처리 가능한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Speech To Text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자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와 접속하여,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개인 정보를 제공하면서 서비스 등록 및 가입하고,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피보호자에 대한 관리 유형을 선택하고, 선택된 관리 유형별 육성 음성 또는 문자를 입력하고, 음성 또는 문자를 피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할 시간 또는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중계를 통해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와 중계 통신 접속하거나,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와 직접 통신 접속하여 대화 가능한 스마트폰 및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자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와 접속하여,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개인 정보를 제공하면서 서비스 등록 및 가입하고,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피보호자에 대한 관리 유형을 선택하고, 선택된 관리 유형별 육성 음성 또는 문자를 입력하고, 음성 또는 문자를 피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할 시간 또는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로부터 피보호자에 대한 질환 상태 분석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중계를 통해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와 중계 통신 접속하거나,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와 직접 통신 접속하여 대화 가능한 스마트폰 및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관리 유형 선택과, 선택된 유형별 음성 또는 문자 설정 입력하거나, 음성을 문자 변환 또는 문자를 음성 변환하고, 상기 설정 또는 변환된 음성 또는 문자의 예약 전송 또는 실시간 전송의 선택 동작과, 피보호자 관리정보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한 입출력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보호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사용자 UI(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관리 유형 선택과, 선택된 유형별 음성 또는 문자 설정 입력하거나, 음성을 문자 변환 또는 문자를 음성 변환하고, 상기 설정 또는 변환된 음성 또는 문자의 예약 전송 또는 실시간 전송의 선택 동작과, 피보호자의 질환 상태 분석 정보를 포함한 관리정보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한 입출력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보호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사용자 UI(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전송되는 보호자 단말기의 음성 또는 문자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 측에 전송할 음성 또는 문자를 입력 받아 직접 전송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를 통해 중계 전송되도록 하는 스마트폰 및 집전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전송되는 보호자의 음성 또는 문자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전송되는 질환 진단 요소에 대한 응답 피드백 정보를 입력 받아 전송하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 측에 전송할 음성 또는 문자를 입력 받아 직접 전송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를 통해 중계 전송되도록 하는 스마트폰 및 집전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호자 단말기(120)를 통해 육성 녹음된 음성이나 문자로부터 음성 변환된 재생 음성(보호자의 음성)을 서비스 제공장치(110)가 설정된 주기마다 피보호자 단말기(130)로 전송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령인 피보호자는 자식이나 손자들의 음성을 주기적으로 들으면서 정서적인 안정감과 자신감을 얻도록 하고, 보호자인 자녀는 바쁜 일상에서 놓치기 쉬운 부모에 대한 최소한의 마음의 표시와 안부 확인 및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를 통해 보호자는 물론 피보호자를 서비스 제공장치(110)의 관리엔진(111)에 등록 후, 관리가 필요한 유형을 안부인사, 복약 시간 알림, 병원 방문 알림, 치매 관리 질문 등 기본 관리 유형에서 선택하거나, 본인의 상황에 맞는 관리 유형을 신규 생성하여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 서비스의 다양성 및 확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가 피보호자 단말기(130)로 알림 전달 시, 직접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서 음성 녹음 또는 문자 입력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의 관리엔진(111)에 저장시킨 후 사용하거나,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서 텍스트로 내용을 기입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의 TTS엔진(112)이 생성한 음성 멘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각적으로 알림 전달 방식을 제공 내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텍스트를 음성 변환 제공할 경우, 생각을 즉각적으로 말하여 음성 녹음하는 것에 비해, 정리된 내용을 알기 쉽게 음성 안내할 수 있어 알림 전달성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130)가 집전화나 모바일 폰으로 서비스 이용 가능하고, 이때 피보호자 단말기(130) 자체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고 통상의 전화기와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연령대인 피보호자의 서비스 접근과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에서 피보호자 단말기(130)인 집전화나 모바일 폰으로 보호자 단말기(120)의 알림 멘트나 정보 전달 시,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변경 설정하여 발신함으로써, 피보호자가 모르는 전화번호를 기피하지 않고 보호자의 전화임을 인지한 후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피보호자의 수신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좀더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중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서비스 가입과 등록 절차 및 실행 상태에 대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 중 관리 유형에 따른 음성 설정 저장 예를 도시한 음성 테이블.
도 6은 본 발명 중 질환 진단 요소의 예를 도시한 질환 문진 테이블.
도 7은 본 발명의 이용 및 실행에 대한 피드백 상태를 예시한 피드백 화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100)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 단말기(120)로부터 관리 유형에 따라 음성 또는 문자가 사전 설정 저장되면, 설정된 시간 또는 주기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120)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변경하여, 피보호자 단말기(130)로 예약 전송하거나 실시간 통화 연결하고, 피보호자 단말기(130)의 회신을 보호자 단말기(120)로 전송하거나 실시간 통화 연결하여, 피보호자에 대한 보호자의 원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장치(110);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관리 유형을 선택하고, 관리 유형에 따라 음성 또는 문자를 사전에 설정 저장한 후, 전송 시간 또는 주기를 예약 설정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에 의한 예약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호자 단말기(120); 및 별도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설치 없이, 서비스 제공장치(110)로부터 중계 전송되는 관리 유형에 따른 음성 또는 문자를 수신 또는 수신 후 회신하는 피보호자 단말기(130);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에서 제공하는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설정된 시간 또는 주기에 따라, 피보호자 단말기(130)로 예약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사전에 설정 저장된 질환 진단 요소를 피보호자 단말기(130)에 제공하고, 피드백 되는 정보로부터 질환 상태를 분석 및 관리하면서, 보호자 단말기(120)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그에 따른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 단말기(120)로부터 관리 유형에 따라 음성 또는 문자가 사전 설정 저장되면, 설정된 시간 또는 주기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120)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변경하여, 피보호자 단말기(130)로 예약 전송하거나 실시간 통화 연결하고, 피보호자 단말기(130)의 회신을 보호자 단말기(120)로 전송하거나 실시간 통화 연결하여, 피보호자에 대한 보호자의 원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장치(110);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관리 유형을 선택하고, 관리 유형에 따라 음성 또는 문자를 사전에 설정 저장한 후, 전송 시간 또는 주기를 예약 설정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에 의한 예약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호자 단말기(120); 및 별도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설치 없이, 서비스 제공장치(110)로부터 중계 전송되는 관리 유형에 따른 음성 또는 문자를 수신 또는 수신 후 회신하는 피보호자 단말기(130); 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적인 실시예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보호자 단말기(120)를 통해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서비스 등록 및 가입을 유도한 후, 보호자 단말기(120)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피보호자에 대한 관리 유형 선택 및 선택 사항의 관리; 상기 선택된 관리 유형별 음성 또는 문자에 대한 송수신의 관리;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변경하여 상기 음성 또는 문자를 예약 전송 또는 실시간 전송에 대한 관리;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와 피보호자 단말기(130) 간 일방 접속 또는 쌍방 접속을 유도 및 관리;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서버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보호자 단말기(120)에서 제공하는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신상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가입신청 내용을 수집하여 인증 절차 후, 서비스 이용 요금 결제 및 승인 절차를 거쳐 서비스 등록 및 가입을 유도하고, 관리 유형 등록과 음성 또는 문자 전송 예약을 관리하며,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변경하여 예약 전송을 관리하는 관리엔진(111); 보호자 정보, 피보호자 정보, 관리 유형, 예약 정보,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14);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에서 제공되는 녹음된 음성 정보 또는 저장된 문자 정보를 상기 관리엔진(111)의 제어 하에 예약 시간에 맞춰 피보호자 단말기(130)로 전송하거나,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130)에서 전송되는 음성 또는 문자를 수신하여 보호자 단말기(12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115); 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관리 유형은 안부 인사, 복약 시간 알림, 병원 방문 알림, 질환 관리를 포함한 기본 관리 유형 및 보호자 단말기(120)에서 별도 생성하는 선택 관리 유형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관리엔진(111)은 상기 음성 또는 문자의 전송을 전화, 문자, 카카오톡을 포함한 인스턴트 메신저나 그룹 채팅 서비스 중 어느 한 통신경로를 제공하여, 선택된 통신경로를 통해 전송되도록 관리한다.
또한, 상기 관리엔진(111)은 보호자 단말기(120)를 통해 사전에 발신전화 번호로 사용하는 것에 동의 의사를 묻고 이에 대한 동의와 승인이 이루어지면 피보호자 단말기(130)로 음성 또는 문자 전송 시 보호자 단말기(120)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와 접속하여,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개인 정보를 제공하면서 서비스 등록 및 가입하고,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피보호자에 대한 관리 유형을 선택하고, 선택된 관리 유형별 육성 음성 또는 문자를 입력하고, 음성 또는 문자를 피보호자 단말기(130)로 전송할 시간 또는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의 중계를 통해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130)와 중계 통신 접속하거나,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130)와 직접 통신 접속하여 대화 가능한 스마트폰 및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한 통신 단말기인 것을 예로 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관리 유형 선택과, 선택된 유형별 음성 또는 문자 설정 입력하거나, 음성을 문자 변환 또는 문자를 음성 변환하고, 상기 설정 또는 변환된 음성 또는 문자의 예약 전송 또는 실시간 전송의 선택 동작과, 피보호자 관리정보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한 입출력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보호자 단말기(120)로 출력하는 사용자 UI(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130)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서비스 제공장치(110)에서 전송되는 보호자 단말기(120)의 음성 또는 문자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 측에 전송할 음성 또는 문자를 입력 받아 직접 전송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를 통해 중계 전송되도록 하는 스마트폰 및 집전화를 포함한 통신 단말기인 것을 예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 가입 절차를 거친 후 보호대상자인 피보호자를 등록한 후, 서비스를 이용한다.
상기와 같은 사전 절차를 거친 후 이용되는 본 발명은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를 통해 육성 녹음된 음성이나 문자로부터 음성 변환된 재생 음성(보호자의 음성)을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가 설정된 주기마다 피보호자 단말기(130)로 전송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령인 피보호자는 자식이나 손자들의 음성을 주기적으로 들으면서 정서적인 안정감과 자신감을 얻도록 하고, 보호자인 자녀는 바쁜 일상에서 놓이기 쉬운 부모에 대한 최소한의 마음의 표시와 안부 확인 및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자 단말기(120)를 통해 보호자는 물론 피보호자를 서비스 제공장치(110)의 관리엔진(111)에 등록 후, 관리가 필요한 유형을 안부인사, 복약 시간 알림, 병원 방문 알림, 치매 관리 질문 등 기본 관리 유형에서 선택하거나, 본인의 상황에 맞는 관리 유형을 신규 생성하여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130)가 집전화나 모바일 폰으로 서비스 이용 가능하고, 이때 피보호자 단말기(130) 자체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고 통상의 전화기와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연령대인 피보호자의 서비스 접근과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에서 피보호자 단말기(130)인 집전화나 모바일 폰으로 보호자 단말기(120)의 알림 멘트나 정보 전달 시,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변경 설정하여 발신함으로써, 피보호자가 모르는 전화번호를 기피하지 않고 보호자의 전화임을 인지한 후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관리 유형은 안부 인사, 복약 시간 알림, 병원 방문 알림, 질환 관리를 포함한 기본 관리 유형 및 보호자 단말기(120)에서 별도 생성하는 선택 관리 유형을 예로 하는데, 이러한 관리 유형은 하나 또는 다수를 복합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기본 관리 유형에서 안부 인사의 경우, 매일 같이 아침, 점심, 저녁에 "아침 식사하셨어요? 몸 불편하신 곳은 없으세요?"라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저장하고, 복약 시간 알림의 경우, 복약 시간 마다 "아버지 식사하시고 ㅇㅇ약 꼭 챙겨 드세요."라든지 "어머니 ㅇㅇ 약 드실 시간이에요. 미지근한 물로 잘 챙겨 드세요." 라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
이때, 선택 관리 유형의 경우, 피보호자의 과거 기억을 자극하기 위하여 피보호자와 보호자 간 또는 피보호자에 대한 개인적인 질문들을 추가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피보호자로 하여금 복약, 방문 등의 일정 관리를 돕고 실수를 줄이도록 하여, 생활을 편리하게 하고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며, 보호자의 육성을 통한 정서 관리를 받으면서 우울증을 예방하는 등의 정서관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 중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에서 제공하는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설정된 시간 또는 주기에 따라, 피보호자 단말기(130)로 예약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다른 실시예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보호자 단말기(120)를 통해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서비스 등록 및 가입을 유도한 후, 보호자 단말기(120)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피보호자에 대한 관리 유형의 선택 및 선택 사항의 관리; 상기 선택된 유형별 음성의 문자 변환 또는 문자의 음성 변환 및 송수신의 관리; 상기 음성 또는 문자를 예약 전송 또는 실시간 전송에 대한 관리;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와 피보호자 단말기(130) 간 일방 접속 또는 쌍방 접속을 유도 및 관리;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서버이다.
좀 더 세부적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보호자 단말기(120)에서 제공하는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신상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가입신청 내용을 수집하여 인증 절차 후, 서비스 이용 요금 결제 및 승인 절차를 거쳐 서비스 등록 및 가입을 유도하고, 관리 유형 등록과 음성 또는 문자 전송 예약을 관리하는 관리엔진(111);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에서 전송되는 알림 문자 내용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관리엔진(111)으로 전달하는 TTS엔진(112); 보호자 정보, 피보호자 정보, 관리 유형, 예약 정보,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14);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에서 제공되는 녹음된 음성 정보 또는 저장된 문자 정보 또는 음성에서 문자 변환 또는 문자에서 음성 변환된 정보들을 상기 관리엔진(111)의 제어 하에 예약 시간에 맞춰 피보호자 단말기(130)로 전송하거나,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130)에서 전송되는 음성 또는 문자를 수신하여 보호자 단말기(12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115); 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관리엔진(111)은 보호자 단말기(120)에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할 것을 사전에 설정하면, 상기 TTS엔진(112)이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도록 하고, 상기와 같이 변환된 음성 정보를 피보호자 단말기(130)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한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TTS엔진(112)은 보호자 단말기(120)에서 입력 전송되는 문자를 보호자의 육성 정보를 사전에 수집 후 분석하여 보호자의 실제 육성과 동일한 재생 음성으로 출력 저장하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Text To Speech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상기 AI 기반의 문자->음성은 문자가 입력되면, 문자에 해당하는 한국어 텍스트를 소정의 문자변환테이블에서 추출하여, 상기 한국어 텍스트와 일치하는 합성단위를 문자에 대응하는 음편이 기록되어 있는 음성데이터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합성단위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음성데이터는 보호자 단말기(120)를 통해 입력되는 보호자의 육성을 AI가 음성 분석하여, 보호자의 육성과 동일한 재생 음성으로 변환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보호자 단말기(120)가 피보호자 단말기(130)로 알림 전달 시, 직접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서 음성 녹음 또는 문자 입력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의 관리엔진(111)에 저장시킨 후 사용하거나,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서 텍스트로 내용을 기입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의 TTS엔진(112)이 생성한 음성 멘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각적으로 알림 전달 방식을 제공 내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텍스트를 음성 변환 제공할 경우, 생각을 즉각적으로 말하여 음성 녹음하는 것에 비해, 정리된 내용을 알기 쉽게 음성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 중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사전에 설정 저장된 질환 진단 요소를 피보호자 단말기(130)에 제공하고, 피드백 되는 정보로부터 질환 상태를 분석 및 관리하면서, 보호자 단말기(120)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실시예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보호자 단말기(120)를 통해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서비스 등록 및 가입을 유도한 후, 보호자 단말기(120)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피보호자에 대한 관리 유형 선택 및 선택 사항의 관리; 상기 선택된 관리 유형별 음성 또는 문자에 대한 송수신의 관리;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와 피보호자 단말기(130) 간 일방 접속 또는 쌍방 접속에 대한 유도 및 관리; 및 피보호자에 대한 질환 관리 유형 선택 시, 사전에 설정 저장된 질환 진단 요소를 피보호자 단말기(130)에 제공하여, 피드백 되는 정보 또는 수집되는 정보로부터 질환 상태를 분석하여 축적 관리하면서,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로 전송 관리;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서버이다.
좀 더 세부적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보호자 단말기(120)에서 제공하는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신상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가입신청 내용을 수집하여 인증 절차 후, 서비스 이용 요금 결제 및 승인 절차를 거쳐 서비스 등록 및 가입을 유도하고, 관리 유형 등록과 음성 또는 문자 전송 예약을 관리하고, 피보호자의 질환을 진단 분석하고 관리하는 관리엔진(111);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에서 전송되는 알림 문자 내용을 음성으로 변환하는 TTS엔진(112);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에서 전송되는 음성 내용을 문자로 변환하고, 피보호자 단말기(130)에서 전송되는 질환 진단 요소에 대한 음성 응답 피드백을 인식 및 분석 후 텍스트로 변환하고, 사전에 설정된 질환 진단 요소에 대한 피드백의 정답 여부를 판단하여, 질환을 진단하고 분석하는 STT엔진(113); 보호자 정보, 피보호자 정보, 관리 유형, 예약 정보,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14);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에서 제공되는 녹음된 음성 정보 또는 저장된 문자 정보를 상기 관리엔진(111)의 제어 하에 예약 시간에 맞춰 피보호자 단말기(130)로 전송하거나,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130)에서 전송되는 음성 또는 문자를 수신하여 보호자 단말기(120)로 전송하거나,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130)에서 전송되는 질환 진단 피드백 정보를 STT엔진(113)으로 제공하여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모듈(115); 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관리엔진(111)은 STT엔진(113)에서 분석된 피보호자의 질환 진단 분석 정보를 저장 관리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한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TTS엔진(112)은 보호자 단말기(120)에서 입력 전송되는 문자를 보호자의 육성 정보를 사전에 수집 후 분석하여 보호자의 실제 육성과 동일한 재생 음성으로 출력 저장하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Text To Speech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상기와 같은 AI 기반의 문자->음성은 문자가 입력되면, 문자에 해당하는 한국어 텍스트를 소정의 문자변환테이블에서 추출하여, 상기 한국어 텍스트와 일치하는 합성단위를 문자에 대응하는 음편이 기록되어 있는 음성데이터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합성단위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음성데이터는 보호자 단말기(120)를 통해 입력되는 보호자의 육성을 AI가 음성 분석하여, 보호자의 육성과 동일한 재생 음성으로 변환한 것이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STT엔진(113)은 보호자 단말기(120) 또는 피보호자 단말기(130)에서 입력 전송되는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자연어 처리 가능한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Speech To Text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상기와 같은 AI 기반의 음성->문자 방식은 마이크나 센서를 통해 음향학적 신호를 단어나 문장으로 변환하고 해독하는 것으로,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스펙트로그램을 생성하고, 스펙트로그램에서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특징 벡터가 음향 모델과 결합된 음소 단위의 서브 워드를 분류하면, 발음 사전을 대입하여 단어를 생성하고, 언어 모델을 통해서 문장을 생성한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와 접속하여,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개인 정보를 제공하면서 서비스 등록 및 가입하고,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피보호자에 대한 관리 유형을 선택하고, 선택된 관리 유형별 육성 음성 또는 문자를 입력하고, 음성 또는 문자를 피보호자 단말기(130)로 전송할 시간 또는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로부터 피보호자에 대한 질환 상태 분석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의 중계를 통해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130)와 중계 통신 접속하거나,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130)와 직접 통신 접속하여 대화 가능한 스마트폰 및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한 통신 단말기인 것을 예로 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관리 유형 선택과, 선택된 유형별 음성 또는 문자 설정 입력하거나, 음성을 문자 변환 또는 문자를 음성 변환하고, 상기 설정 또는 변환된 음성 또는 문자의 예약 전송 또는 실시간 전송의 선택 동작과, 피보호자의 질환 상태 분석 정보를 포함한 관리정보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한 입출력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보호자 단말기(120)로 출력하는 사용자 UI(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130)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서비스 제공장치(110)에서 전송되는 보호자의 음성 또는 문자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에서 전송되는 질환 진단 요소에 대한 응답 피드백 정보를 입력 받아 전송하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120) 측에 전송할 음성 또는 문자를 입력 받아 직접 전송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를 통해 중계 전송되도록 하는 스마트폰 및 집전화를 포함한 통신 단말기인 것을 예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가 제공하는 질환 진단 요소에 대해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130)가 전화 상으로 응답을 포함하여 대응하여 피드백 하면, 이를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의 STT엔진(113)이 분석하여 질환의 호전 또는 악화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상기 관리엔진(111)이 저장 관리함으로써, 치매나 인지 능력의 문제가 있을 시에 치매 센터를 방문하거나 혹은 웹, 앱, 디바이스 등의 사용 없이 간단하게 전화만 받는 방식으로 인지 능력을 유지, 개선하여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한 다양한 예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질환 진단 요소는 치매, 인지장애를 포함한 노인성 질환들의 각종 증상 데이터와, 진단을 위한 문진 및 시청각 데이터로서, 별도의 데이터 테이블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14)에 저장되는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노인성 질환들의 각종 증상 데이터와, 진단을 위한 문진 및 시청각 데이터를 통해 진단 분석 예컨대, 치매 환자 가족이나 경도 인지 능력 저하의 가족인 경우 인지 능력 개선을 위한 질문지를 제공하여, 인지 능력의 유지와 개선을 돕도록 하며, 정기적으로 정답율 리포트를 수신하여 유지여부나 개선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질환 진단 및 분석을 위한 문진과 관련한 다양한 예는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 전술한 통신모듈(115)은 인터넷망, 이동통신망을 포함한 양방향 통신 접속 가능한 통신망 및 자동으로 전화를 연결해 주는 구내 전화교환시스템(private branch exchange; PBX)를 포함하는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참고로, 상기 구내교환기는 국선으로부터 내선에의 착신접속, 내선으로부터 국선에의 발신접속, 내선간 상호접속 등 모든 접속을 수동으로 하는 공전식 구내교환기에서부터 기계 접점 개폐 방식의 계전기식 구내교환기, 크로스바 구내교환기 등의 변천을 거쳐 마이크로프로세서나 IC메모리 등을 이용한 축적 프로그램 제어방식의 전자식 구내교환기(EPBX)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보호자 단말기(120)가 서비스 제공장치(110)와 상호 송수신하는 피보호자 관리정보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한 입출력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사용자 UI(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받아, 보호자로 하여금 여러가지 복잡한 피보호자의 관리를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알림의 인지 여부를 리포트로 받아볼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예는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정리 요약하자면, 보호자는 본인의 보호자 단말기(120)에만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피보호자는 피보호자 단말기(130) 예컨대, 집전화나 모바일 폰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고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자가 본인의 보호자 단말기(120)에서 회원 가입 및 본인 인증 후 피보호자를 등록하고, 관리가 필요한 유형을 안부인사, 복약 시간 알림, 병원 방문 알림, 질환 관리 질문(예: 치매, 인지장애 등) 등의 기본적으로 등록된 관리 유형에서 고르거나 혹은 본인의 상황에 맞는 관리 유형을 새로 생성하고, 관리 유형에 따라 인사말 등의 전달할 알림 내용을 정한 다음, 전화, 문자, 카톡 등의 알림 전달 수단을 지정하고, 알림이 전달될 일시와 반복 여부를 저장한 후, 전화로 알림을 전달할 시에는 본인이 직접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서 멘트를 녹음하여 시스템에 저장 후 사용하거나, 혹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서 텍스트로 내용을 기입한 것을 TTS엔진(112)이 음성 변환한 재생 음성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보호자 단말기(120)에서 예약한 관리 유형의 내용, 수단, 일시를 DB에 저장하고 관리엔진(111)으로 관리하면서 피보호자 단말기(130)로 녹음된 음성이나 텍스트를 일정에 맞춰 알림을 전달하며, 이때 피보호자 단말기(130)의 전화 수신율을 높이기 위하여, 발신번호를 보호자 단말기(120)의 전화번호로 변경하여 피보호자에게 전화 발신을 한다.
그리고, 전달된 알림이나 질환 진단 및 분석을 질문에 대한 피보호자의 피드백은(음성 혹은 전화기의 다이얼 버튼을 통한) 상기 STT엔진(113)에서 분석한 후, 보호자에게 리포트 되어진다.
특히, 본 발명은 치매 환자들의 인지 능력의 유지와 개선을 위하여 기본 치매 질문지를 제공하고, AI엔진을 통해 피보호자의 정답율을 체크한 후 보호자에게 피보호자의 인지 능력의 개선 여부나 상태를 리포트 및 그래프 형태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110: 서비스 제공장치
111: 관리엔진 112: TTS엔진
113: STT엔진 114: 데이터베이스
115: 통신모듈 120: 보호자 단말기
130: 피보호자 단말기

Claims (19)

  1.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관리 유형에 따라 음성 또는 문자가 사전 설정 저장되면, 설정된 시간 또는 주기에 따라, 피보호자 단말기로 예약 전송하거나 실시간 통화 연결하고, 피보호자 단말기의 회신을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실시간 통화 연결하여, 피보호자에 대한 보호자의 원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되, 보호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변경한 후 피보호자 단말기를 호출하여, 피보호자가 모르는 전화번호를 기피하지 않고 보호자의 전화임을 인지한 후 수신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서비스 제공장치;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관리 유형을 선택하고, 관리 유형에 따라 음성 또는 문자를 사전에 설정 저장한 후, 전송 시간 또는 주기를 예약 설정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의한 예약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호자 단말기; 및
    별도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설치 없이, 서비스 제공장치로부터 중계 전송되는 관리 유형에 따른 음성 또는 문자를 수신 또는 수신 후 회신하는 피보호자 단말기; 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유형은,
    안부 인사, 복약 시간 알림, 병원 방문 알림, 질환 관리를 포함한 기본 관리 유형 및 보호자 단말기에서 별도 생성하는 선택 관리 유형을 포함하는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설정된 시간 또는 주기에 따라, 피보호자 단말기로 예약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사전에 설정 저장된 질환 진단 요소를 피보호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피드백 되는 정보로부터 질환 상태를 분석 및 관리하면서, 보호자 단말기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서비스 등록 및 가입을 유도한 후, 보호자 단말기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피보호자에 대한 관리 유형 선택 및 선택 사항의 관리;
    상기 선택된 관리 유형별 음성 또는 문자에 대한 송수신의 관리;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변경하여 상기 음성 또는 문자를 예약 전송 또는 실시간 전송에 대한 관리;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와 피보호자 단말기 간 일방 접속 또는 쌍방 접속을 유도 및 관리;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서버인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서비스 등록 및 가입을 유도한 후, 보호자 단말기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피보호자에 대한 관리 유형의 선택 및 선택 사항의 관리;
    상기 선택된 유형별 음성의 문자 변환 또는 문자의 음성 변환 및 송수신의 관리;
    상기 음성 또는 문자를 예약 전송 또는 실시간 전송에 대한 관리;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와 피보호자 단말기 간 일방 접속 또는 쌍방 접속을 유도 및 관리;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서버인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서비스 등록 및 가입을 유도한 후, 보호자 단말기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피보호자에 대한 관리 유형 선택 및 선택 사항의 관리;
    상기 선택된 관리 유형별 음성 또는 문자에 대한 송수신의 관리;
    상기 보호자 단말기와 피보호자 단말기 간 일방 접속 또는 쌍방 접속에 대한 유도 및 관리; 및
    피보호자에 대한 질환 관리 유형 선택 시, 사전에 설정 저장된 질환 진단 요소를 피보호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피드백 되는 정보 또는 수집되는 정보로부터 질환 상태를 분석하여 축적 관리하면서,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 관리;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서버인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보호자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신상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가입신청 내용을 수집하여 인증 절차 후, 서비스 이용 요금 결제 및 승인 절차를 거쳐 서비스 등록 및 가입을 유도하고, 관리 유형 등록과 음성 또는 문자 전송 예약을 관리하며,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변경하여 예약 전송을 관리하는 관리엔진;
    보호자 정보, 피보호자 정보, 관리 유형, 예약 정보,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와 피보호자 단말기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는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보호자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신상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가입신청 내용을 수집하여 인증 절차 후, 서비스 이용 요금 결제 및 승인 절차를 거쳐 서비스 등록 및 가입을 유도하고, 관리 유형 등록과 음성 또는 문자 전송 예약을 관리하는 관리엔진;
    상기 보호자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알림 문자 내용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관리엔진으로 전달하는 TTS엔진;
    보호자 정보, 피보호자 정보, 관리 유형, 예약 정보,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와 피보호자 단말기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는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보호자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신상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가입신청 내용을 수집하여 인증 절차 후, 서비스 이용 요금 결제 및 승인 절차를 거쳐 서비스 등록 및 가입을 유도하고, 관리 유형 등록과 음성 또는 문자 전송 예약을 관리하고, 피보호자의 질환을 진단 분석하고 관리하는 관리엔진;
    상기 보호자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알림 문자 내용을 음성으로 변환하는 TTS엔진;
    상기 보호자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음성 내용을 분자로 변환하고, 피보호자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질환 진단 요소에 대한 음성 응답 피드백을 인식 및 분석 후 텍스트로 변환하고, 사전에 설정된 질환 진단 요소에 대한 피드백의 정답 여부를 판단하여, 질환을 진단하고 분석하는 STT엔진;
    보호자 정보, 피보호자 정보, 관리 유형, 예약 정보,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와 피보호자 단말기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는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10. 삭제
  11. 제7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엔진은,
    상기 음성 또는 문자의 전송을 전화, 문자, 카카오톡을 포함한 인스턴트 메신저나 그룹 채팅 서비스 중 어느 한 통신경로를 제공하여, 선택된 통신경로를 통해 전송되도록 관리하는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12. 제8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TTS엔진은,
    보호자 단말기에서 입력 전송되는 문자를 보호자의 육성 정보를 사전에 수집 후 분석하여 보호자의 실제 육성과 동일한 재생 음성으로 출력 저장하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Text To Speech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STT엔진은,
    보호자 단말기 또는 피보호자 단말기에서 입력 전송되는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자연어 처리 가능한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Speech To Text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와 접속하여,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개인 정보를 제공하면서 서비스 등록 및 가입하고,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피보호자에 대한 관리 유형을 선택하고, 선택된 관리 유형별 육성 음성 또는 문자를 입력하고, 음성 또는 문자를 피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할 시간 또는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중계를 통해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와 중계 통신 접속하거나,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와 직접 통신 접속하여 대화 가능한 스마트폰 및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한 통신 단말기인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1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와 접속하여,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개인 정보를 제공하면서 서비스 등록 및 가입하고,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피보호자에 대한 관리 유형을 선택하고, 선택된 관리 유형별 육성 음성 또는 문자를 입력하고, 음성 또는 문자를 피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할 시간 또는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로부터 피보호자에 대한 질환 상태 분석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중계를 통해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와 중계 통신 접속하거나,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와 직접 통신 접속하여 대화 가능한 스마트폰 및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한 통신 단말기인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1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관리 유형 선택과, 선택된 유형별 음성 또는 문자 설정 입력하거나, 음성을 문자 변환 또는 문자를 음성 변환하고, 상기 설정 또는 변환된 음성 또는 문자의 예약 전송 또는 실시간 전송의 선택 동작과, 피보호자 관리정보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한 입출력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보호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사용자 UI(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관리 유형 선택과, 선택된 유형별 음성 또는 문자 설정 입력하거나, 음성을 문자 변환 또는 문자를 음성 변환하고, 상기 설정 또는 변환된 음성 또는 문자의 예약 전송 또는 실시간 전송의 선택 동작과, 피보호자의 질환 상태 분석 정보를 포함한 관리정보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한 입출력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보호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사용자 UI(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전송되는 보호자 단말기의 음성 또는 문자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 측에 전송할 음성 또는 문자를 입력 받아 직접 전송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를 통해 중계 전송되도록 하는 스마트폰 및 집전화를 포함한 통신 단말기인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1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전송되는 보호자의 음성 또는 문자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전송되는 질환 진단 요소에 대한 응답 피드백 정보를 입력 받아 전송하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 측에 전송할 음성 또는 문자를 입력 받아 직접 전송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를 통해 중계 전송되도록 하는 스마트폰 및 집전화를 포함한 통신 단말기인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KR1020220101563A 2022-08-12 2022-08-12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KR102605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563A KR102605691B1 (ko) 2022-08-12 2022-08-12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JP2023128135A JP2024025710A (ja) 2022-08-12 2023-08-04 老人および認知症患者を含む老弱者ケアサービスシステム
PCT/KR2023/011998 WO2024035231A1 (ko) 2022-08-12 2023-08-11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KR1020230160419A KR20240023011A (ko) 2022-08-12 2023-11-20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563A KR102605691B1 (ko) 2022-08-12 2022-08-12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0419A Division KR20240023011A (ko) 2022-08-12 2023-11-20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691B1 true KR102605691B1 (ko) 2023-11-22

Family

ID=889739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563A KR102605691B1 (ko) 2022-08-12 2022-08-12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KR1020230160419A KR20240023011A (ko) 2022-08-12 2023-11-20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0419A KR20240023011A (ko) 2022-08-12 2023-11-20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025710A (ko)
KR (2) KR102605691B1 (ko)
WO (1) WO202403523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617A (ko) 2008-10-24 2010-05-14 (주)브이아이소프트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36411A (ko) * 2014-05-27 2015-12-07 (주)엘투비원 문안 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75644A (ko) * 2015-10-29 2018-07-04 라이 킹 티 디지털 건강 관리 및 원격 환자 모니터링 지원을 위해 설계된 모바일 플랫폼용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39711A (ko) * 2019-10-02 2021-04-12 주식회사 오퍼스원 휴대용 단말기의 시니어 큐레이션 서비스 프로그램
KR102305535B1 (ko) * 2020-10-06 2021-09-27 김민정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이를 이용한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037B1 (ko) * 2020-09-09 2021-07-29 김대성 Ai 복지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617A (ko) 2008-10-24 2010-05-14 (주)브이아이소프트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36411A (ko) * 2014-05-27 2015-12-07 (주)엘투비원 문안 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75644A (ko) * 2015-10-29 2018-07-04 라이 킹 티 디지털 건강 관리 및 원격 환자 모니터링 지원을 위해 설계된 모바일 플랫폼용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39711A (ko) * 2019-10-02 2021-04-12 주식회사 오퍼스원 휴대용 단말기의 시니어 큐레이션 서비스 프로그램
KR102305535B1 (ko) * 2020-10-06 2021-09-27 김민정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이를 이용한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011A (ko) 2024-02-20
JP2024025710A (ja) 2024-02-26
WO2024035231A1 (ko)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48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n emergency response
US20060253281A1 (en) Healthcare communications and documentation system
Arisio et al. Deliverable 1.1 User Study, analysis of requirements and definition of the application task
US20090089100A1 (en) Clinical information system
THEMESSL‐HUBER et al. Frail older people's experiences and use of health and social care services
US20030091158A1 (en)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stationary and mobile persons
US20200143655A1 (en) Smart activities monitoring (sam) processing of data
US201300643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care Related Services
US20110188492A1 (en) Responding to call control events using social network applications
US201701242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and Remote Care Giving
US201502641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Answering and/or Chatting Services in a Time-Sensitive Manner
CN106303123A (zh) 基于sip的医院智能应急无线呼叫系统
JP2020533846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コールバックサービスの提供システム
US7519163B2 (en) Multichannel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and method
KR102605691B1 (ko)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Vlaskamp From alarm systems to smart houses
Nelson Beyond the questions–shared experiences of palliative and end of life care
KR101611262B1 (ko) 문안 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Boddy et al. Telephone support for parenting: an evaluation of Parentline Plus
Toseland et al. Telephone groups for older persons and family caregivers: Key implementation and process issues
JP2002252725A (ja)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JP2021028793A (ja) 見守りシステムおよび見守りプログラム
JP7171521B2 (ja) 見守りサービスシステム
RU2788321C1 (ru)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связи конечного потребителя с поставщиком услуг при помощи виртуального ассистента
Sun et al. Your Privacy Preference Matters: A Qualitative Study Envisioned for Home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