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9103A - 액체 도공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도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9103A
KR20100049103A KR1020107004978A KR20107004978A KR20100049103A KR 20100049103 A KR20100049103 A KR 20100049103A KR 1020107004978 A KR1020107004978 A KR 1020107004978A KR 20107004978 A KR20107004978 A KR 20107004978A KR 20100049103 A KR20100049103 A KR 20100049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urface plate
plate
open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오 모리타
사토시 우에노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2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work being a web or sheets
    • B05C1/083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work being a web or sheets the coating roller co-operating with other rollers, e.g. dosing, transfe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1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only at particular parts of the work
    • B05C1/16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only at particular parts of the work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2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work being a web or sheets
    • B05C1/083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work being a web or sheets being passed between the coating roller and one or more backing rol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소정 패턴으로 토출하는 토출 롤러(3)를 구비하고, 토출 롤러(3)로부터 토출된 액체를 이동하는 피도공물(S)에 도공하는 액체 도공장치이다. 토출 롤러(3)는 표면 플레이트(31)와 롤러 본체(32)를 구비하고, 롤러 본체(32)의 외주부에는, 롤러 본체(32)의 내부를 통해 도입되는 액체를 표면 플레이트(31)의 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소정 형상의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표면 플레이트(31)는, 오목부(33)를 덮는 부분에, 상기 오목부(33)의 개구 형상과는 다른 형상으로 액체를 토출시키는 액체 토출부(3b)와, 액체를 투과시키지 않는 액체 불투과부(3c)를 가지며, 액체 토출부(3b)는 다수의 미세 구멍을 가지는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액체 도공장치{LIQUID APPL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액체 도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접착제의 도공에 사용할 수 있는 장치로서, 외주면이 다공 통체(筒體)로 이루어지는 다공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다공 통체를 투과한 핫멜트 접착제 등의 액체가, 이동하는 웹에 도포되도록 한 유체(流體) 도포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이동하는 피도공물에 접착제를 소정 패턴으로 도공하는 접착제 도공장치로서, 상기 소정 패턴에 대응한 복수의 토출 구멍을 가지는 통상(筒狀)의 패턴 실린더 및 상기 패턴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된 구동 드럼을 구비하고,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핫멜트 접착제를 패턴 실린더의 토출 구멍으로부터 소정 패턴으로 토출시켜, 토출된 핫멜트 접착제를, 전사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피도공물의 표면에 전사하도록 한 접착제 도공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2의 장치에 있어서는,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핫멜트 접착제를, 패턴 실린더의 이면측에 형성된 오목부에 일단 담은 후, 패턴 실린더의 토출 구멍으로부터 토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오목부에서 일단 핫멜트 접착제를 담은 후, 상기 토출 구멍을 통해 미세 구멍으로부터 토출시키고 있으므로, 핫멜트 접착제에 균일하게 압력이 작용하여, 보다 안정된 패턴 도공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는 기재가 있다.
미국특허제4770909호명세서 일본국공개특허공보평9-299849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는, 상기 다공 통체가 소결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소결 금속은, 담금질시 금속입자의 배열에 따라 구멍의 크기가 정해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다공 통체에는 구멍이 세밀한 부분과 구멍이 성긴 부분이 생긴다. 그러한 소결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다공 통체를 사용한 경우, 구멍이 세밀한 부분의 액 투과량은 적고, 구멍이 성긴 부분의 액 투과량은 많아지기 때문에 접착제 등의 액체의 도공량의 불균일이 생긴다. 액체로서 접착제를 도공하는 경우 그 도공량의 불균일은 접착 강도의 불균일 등으로서 나타난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는, 통상의 패턴 실린더에 형성된 복수의 토출 구멍으로부터 접착제를 토출시키는데, 토출량의 불균일이나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두께가 있는 패턴 실린더에 토출 구멍을 뚫기 때문에 미세 구멍이 가공하기 어렵고, 미세하고 복잡한 도공 패턴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제1발명)은,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소정 패턴으로 토출하는 토출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 롤러로부터 토출된 액체를 이동하는 피도공물에 도공하는 액체 도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토출 롤러는, 외주부(外周部)를 형성하는 표면 플레이트와, 상기 토출 롤러에서의 상기 표면 플레이트로부터 내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롤러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롤러 본체의 외주부에는, 상기 롤러 본체의 내부를 통해 도입되는 액체를, 상기 표면 플레이트의 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소정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표면 플레이트는, 상기 오목부를 덮는 부분에, 상기 오목부의 개구 형상과는 다른 형상으로 액체를 토출시키는 액체 토출부와, 액체를 투과시키지 않는 액체 불투과부를 가지고, 상기 액체 토출부는 다수의 미세 구멍을 가지는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제2발명)은,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표면 플레이트를 투과시켜 토출하는 토출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 롤러로부터 토출된 액체를 이동하는 피도공물에 도공하는 액체 도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표면 플레이트는 복수매의 개공 재료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가 도공되어 형성된 점착부를 의류 접촉면에 가지고, 상기 점착부를 통해 의류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액체로서 접착제를 도공하는 상기 액체 도공장치에 의해, 상기 의류 접촉면을 구성시키는 시트재에 접착제를 도공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체로서 접착제를 도공하는 상기 액체 도공장치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구성 재료에 접착제를 도공하는 공정, 및 상기 구성 재료를 상기 접착제를 통해 다른 구성 재료와 접합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소정 패턴으로 토출하는 토출 롤러를 구비하고, 토출 롤러로부터 토출된 액체를 이동하는 피도공물에 도공하는 액체 도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제1발명)의 액체 도공장치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要部)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실시형태에서의 토출 롤러의 외주면 근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액체 도공장치에서의 롤러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동 실시형태에서의 다공성 플레이트를 그 법선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4b는 동 실시형태에서의 패턴 형성 플레이트를 그 법선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도 4c는 동 실시형태에서의 오목부를 상기 오목부 바닥면의 법선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4d는 동 실시형태에서의 액체(접착제)의 도공 패턴을 나타내는 띠형상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제2발명)의 액체 도공장치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제2발명)의 액체 도공장치의 동 실시형태에서의 토출 롤러의 외주면 근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제2발명)의 액체 도공장치의 동 실시형태에서의 표면 플레이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개공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철망의 예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9a~도 9c는 적층시키는 개공 재료의 조합 및 그들의 적층법의 바람직한 몇 가지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적층시키는 개공 재료의 조합 및 그들의 적층법의 바람직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액체 도공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도 2 상당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액체 도공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액체 도공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도 2 상당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액체 도공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액체 토출부 및 오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도 15d는 각각 본 발명(제2발명)의 액체 도공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하는 표면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제2발명)의 액체 도공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표면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6b는 그 실시형태에서의 접착제의 도공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1, 2에서의 접착제의 도공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예 1, 2에서의 오목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예 3~5 및 비교예 1에서의 접착제의 도공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도공 패턴으로 피도공물에 접착제 등의 액체를 도공할 때에, 상기 액체를 도공할 영역의 전역에 골고루 균일하게 도공할 수 있는 액체 도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 등의 액체를 균일하게 도공할 수 있는 액체 도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제1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액체 도공장치(이하, 본 도공장치(1)라 칭함)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도공장치(1)는 핫멜트 접착제의 도공장치로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핫멜트 접착제를 공급하는 공급수단(2)과, 공급수단(2)으로부터 공급되는 핫멜트 접착제를 소정 패턴으로 토출하는 토출 롤러(3)와, 토출 롤러(3)로부터 토출된 소정 패턴의 핫멜트 접착제를,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띠형상 시트(피도공물)(S)의 표면에 전사하는 전사수단(4)을 구비한다.
공급수단(2)은, 핫멜트 접착제를 수용한 탱크(도시하지 않음)와, 이 탱크 및 토출 롤러(3)를 연결하는 공급관(21)과, 이 공급관(21)에 연결된 펌프(도시하지 않음)와, 이 공급관(21)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탱크에 연결된 복귀관(22)과, 공급관(21)으로부터의 핫멜트 접착제의 흐름을 복귀관(22)측 또는 토출 롤러(3)측의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제어변(23)을 구비하고 있다.
토출 롤러(3)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롤러(3)의 외주부를 형성하는 표면 플레이트(31)와, 토출 롤러(3)에서의 표면 플레이트(31)로부터 내측(회전축측) 부분을 구성하는 롤러 본체(3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롤러 본체(32)는 원기둥상의 형태를 가지고, 그 외주부에는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33)는, 오목부(33) 이외의 부분과의 사이에 단차를 마련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저면부에는 상기 오목부(33)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입하는 도입구(34)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표면 플레이트(31)가 오목부(33)를 덮도록 롤러 본체(32)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본 도공장치(1)에서의 롤러 본체(3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회전축에 가까운 부분을 구성하는 본체 부분(35)과, 상기 본체 부분(35)의 외주면상에 고정된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36)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36)는, 상기 플레이트(36)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36a)를 가지고, 본체 부분(35)의 외주면에 겹쳐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36a)의 내주면과 상기 본체 부분(35)의 외주면에 둘러싸인 부분이 오목부(33)가 된다.
오목부(33)는, 그 깊이 방향(플레이트(36)의 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본체 부분(35)의 외주면과는 반대측에 개구부를 가지고, 그 개구부의 개구 형상(평면시 형상)이 오목부(33)의 개구 형상이다. 오목부(33)의 개구부는, 토출 롤러(3)로서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플레이트(31)에 덮여 있다.
본체 부분(35)은 원기둥상의 형태를 가지며 그 외주면에 상기 도입구(34)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36)는 그 구멍부(36a)의 내측에 상기 도입구(34)가 위치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오목부(33)의 3차원 형상(소정 형상)은, 도입구(34)로부터 오목부(33) 내에 도입된 액체를, 상기 오목부(33) 내에 있어서, 표면 플레이트(31)의 면을 따르는 방향(토출 롤러(3)의 둘레 방향 및 축 길이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36)는, 본체 부분(35)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직렬시켜 복수매 고정되어 있고, 이들 복수매의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36)에 의해 롤러 본체(32)의 원통상의 외주부가 형성되어 있다. 표면 플레이트(31)는, 그 롤러 본체(32)의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36)로 이루어지는 외주부의 더욱 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표면 플레이트(31)는,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36)의 구멍부(36a)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33)의 전체를 덮도록 고정되어 있다. 본 도공장치(1)에서의 표면 플레이트(31)는, 한 장의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36)에 대하여 각 한 장 마련되어 있고, 각각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한 장의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36)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36)도 각각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본체 부분(35)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36)를 본체 부분(35)에 고정하는 고정구가, 표면 플레이트(31)를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36)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겸하고 있어도 된다.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36)는 표면 플레이트(31)와 고정하고 나서 본체 부분(35)에 고정해도 된다. 또한 표면 플레이트(31)는, 롤러 본체(32)의 둘레 방향의 전 길이에 걸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어도 되고, 상기 한 장의 표면 플레이트(31)를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36)가 고정된 본체 부분(35)에 대하여 탈착 자유롭게 고정해도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본체(32)의 축 코어부에는, 토출 롤러(3)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공급관(21)으로부터 공급된 핫멜트 접착제가 유입되는 주관로(主管路)(35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롤러 본체(32)의 내부에는 주관로(35b)와 상기 도입구(34)를 연결하는 복수의 분기관로(35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수단(2)의 공급관(21)을 통해 공급된 핫멜트 접착제가, 주관로(35b) 및 분기관로(35c)를 통해 도입구(34)로부터 오목부(33)에 도입되고, 상기 오목부(33) 내에 도입된 핫멜트 접착제가, 오목부(33) 내에 있어서, 표면 플레이트(31)의 면을 따르는 방향(표면 플레이트(31)의 면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확산한 후, 표면 플레이트(31)의 구멍을 통해 토출 롤러(3)의 표면으로부터 토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표면 플레이트(31)의 면을 따르는 방향은 오목부(33)의 깊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기도 하다. 또한 표면 플레이트(31)의 면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확산은, 적어도 상기 방향으로 확산한다는 의미이고, 상기 방향으로의 확산과 동시에 표면 플레이트(31)의 면과 수직인 방향(오목부의 깊이 방향)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본 도공장치(1)에서의 표면 플레이트(3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33)를 덮는 부분(3a)에, 상기 오목부(33)의 개구 형상과는 다른 형상으로 액체를 토출시키는 액체 토출부(3b)와, 액체를 투과시키지 않는 액체 불투과부(3c)를 가지고 있다.
액체 토출부(3b)는, 액체가 표면 플레이트(31)를 두께 방향으로 투과 가능한 부분이며, 표면 플레이트(31)의 오목부(33)를 덮는 부분(3a)에서의 액체 불투과부(3c) 이외의 부분이기도 하다.
액체 토출부(3b)의 형상은 피도공물(S)에 어떠한 형상의 액체 도공부(5)를 형성하는지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도공물(S)에 직사각형상의 액체 도공부(5)를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액체 토출부(3b)의 형상을 액체 도공부(5)와 같은 형상의 직사각형상으로 하고 있다.
오목부(33)의 개구 형상과는 다른 형상으로 액체를 토출시킨다는 것은, 토출 롤러의 표면에 토출되는 액체의 형상, 나아가서는 액체 도공부(5)의 형상이 오목부(33)의 개구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액체 토출부(3b)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오목부(33)의 개구 형상과 액체 토출부(3b)의 평면시 형상이 서로 닮은 형태인 경우도 양자는 다른 형상이다. 즉 오목부(33)의 개구 형상과 액체 토출부(3b)의 평면시 형상은 동일하지 않다.
각각의 액체 토출부(3b)의 크기(면적)는, 피도공물(S)에 어떠한 크기의 액체 도공부(5)를 형성하는지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0.005~10,000㎠로 할 수 있다. 생리용 냅킨이나 팬티라이너 등의 피부 접촉면에 쇼츠 등에 고정하기 위한 어긋남 방지부(점착부)를 형성하는 경우, 각각의 액체 토출부(3b)의 크기(면적)는 0.005~5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 중의 흰 화살표는 토출 롤러(3)의 회전 방향 또는 피도공물(S)의 반송 방향을 나타낸다.
본 도공장치(1)에서의 표면 플레이트(31)는, 오목부(33)를 덮는 부분(3a)에 액체 토출부(3b)를 복수 가지고 있고, 그들의 액체 토출부(3b), 액체 불투과부(3c)를 끼고 서로 떨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액체 토출부(3b)를 가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는, 오목부(33) 내를 액체가 양호하게 확산하므로 복수의 액체 토출부(3b) 각각으로부터 고르고 균일한 양의 액체를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오목부(33)에 대하여 6개의 액체 토출부(3b)가 형성되어 있다.
표면 플레이트(31)의 각각의 액체 토출부(3b)는 다수의 미세 구멍을 가지는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다공성 재료의 미세 구멍은 액체 토출부(3b)의 크기에 대하여 현저하게 작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공성 재료로서는 철망, 에칭 개공재, 펀칭 메탈, 세라믹스, 소결 금속, 이들의 적층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철망이 바람직하다.
액체 토출부(3b)를 구성하는 다공성 재료의 평균 구멍 지름은 0.05~2㎜, 특히 0.07~0.8㎜인 것이 바람직하고, 다공성 재료의 개구 면적율은 1~80%, 특히 10~60%인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구멍의 면적은 0.002~3.2㎟, 특히 0.004~0.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액체 토출부(3b)에 포함되는 다공성 재료의 미세 구멍의 구멍 수는 적어도 3개 이상이다.
다공성 재료의 평균 구멍 지름 및 구멍의 면적은 각각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평균 구멍 지름은 광학 현미경에 의해 표면 플레이트(31)를 바로 위에서 관찰하고, 표면상의 구멍의 면적을 적어도 10점 계측하고, S(구멍의 면적)=PAI/4×d2(PAI=3.14)에서 역산되는 d를 원 상당 지름으로 하고, 이들의 평균값으로 한다. 구멍의 면적은, 예를 들면 키엔스(keyence)사 제품 디지털 HD 마이크로스코프 VH-7000을 사용하여, 관찰되는 화면상의 임의의 점을 둘러쌈으로써 간단히 계측할 수 있다.
본 도공장치(1)에서의 표면 플레이트(3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33)의 개구 형상과는 다른 형상의 구멍부(31a')를 가지는 패턴 형성 플레이트(31a)와, 상기 패턴 형성 플레이트(31a)의 상기 구멍부(31a')에 겹쳐 배치된 다수의 미세 구멍을 가지는 다공성 플레이트(31b)로 이루어진다. 패턴 형성 플레이트(31a)는 액체의 토출 패턴을 결정하는 것이다. 다공성 플레이트(31b)는 상술한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다공성 플레이트(31b)는, 패턴 형성 플레이트(31a)의 구멍부(31a')에 겹쳐진 부분이 상술한 액체 토출부(3b)를 구성하고, 패턴 형성 플레이트(31a)의 구멍부(31a') 이외의 부분(비구멍 부분)에 겹쳐진 부분이 상기 비구멍 부분과 함께 표면 플레이트(31)의 액체 불투과부(3c)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다공성 플레이트(31b)와, 패턴 형성 플레이트(31a)는, 구멍부(31a')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용접, 소결,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패턴 형성 플레이트(31a)의 형성 재료로서는 금속,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소정 형상의 개구를 마련한 박판 스테인리스, 펀칭 메탈이나 에칭 개공재, 폴리에스테르 메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메쉬는 후가공에서 마스킹할 수 있다.
다공성 플레이트로서 상술한 다공성 재료를 복수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표면 플레이트(31)에 있어서, 다공성 플레이트(31b)는 패턴 형성 플레이트(31a)로부터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토출 롤러(3)의 최외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공성 플레이트(31b)가 최외면을 구성함으로써, 표면이 균일화되고, 단차가 생기기 어려워져 연속 도포에서의 도포의 안정성이 향상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오목부(33)는, 그 깊이(오목부(33)의 바닥면(35a)과 표면 플레이트(31) 사이의 거리와 동일)가 그 전역에 있어서 균일하다. 오목부(33)의 깊이는 0.1~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3.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부(33)에 마련하는 도입구(34)는 오목부(33)의 바닥 면적 0.5~10㎠당 한 개가 되는 비율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플레이트(31)의 두께는, 도공할 영역의 전역에 골고루 도공하는 관점에서, 전체적으로 2㎜이하가 바람직하고, 1㎜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0.3~0.9㎜가 한층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표면 플레이트(31)의 두께는 오목부(33)의 깊이에 대하여 0.05~20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0.1~2배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롤러 본체(32)의 본체 부분(35)의 한쪽 단부에는, 공급수단(2)의 공급관(21)의 단부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는 관부(35d)가 마련되어 있고, 다른쪽 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축부(35e)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롤러 본체(32)의 본체 부분(35)의 내부에는, 카트리지 히터 등의 가열수단(도시하지 않음)이 편입되어 있고, 이 카트리지 히터 등에 의해 온도 조정을 행함으로써, 롤러 본체(32) 내를 흐르는 핫멜트 접착제의 점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전사수단(4)은, 토출 롤러(3)의 표면 플레이트(31)로 이루어지는 외주면 및 띠형상 시트(S)의 피도공면을 향해 회전하는 전사 롤러(41)와, 전사 롤러(41)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전사 롤러(41)와 함께 띠형상 시트(S)를 풀어내는 닙 롤러(42)를 구비하고 있다.
전사 롤러(41)의 외주면(41a)에는 실리콘 고무 등의 박리 용이성 소재에 의해 라이닝이 실시되어 있고, 토출된 핫멜트 접착제가 용이하게 박리되어 피도공물 표면에 도공되기 쉽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전사 롤러(41)의 내부에는, 관로(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어 급수관로(41b)를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전사 롤러(41)의 온도를 저온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전사 롤러(41)의 한쪽 단부에는 급수관로(41b)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는 관부(41c)가 마련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의 구동에 연결되는 축부(41d)가 마련되어 있다.
본 도공장치(1)에는, 토출 롤러(3) 및 전사 롤러(41)의 회전 속도, 제어변(23) 및 카트리지 히터의 온 오프, 냉각수의 순환량 등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가 탑재되어 있고, 사용하는 핫멜트 접착제, 도공 패턴 등에 대응한 도공장치(1)의 동작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도공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시하지 않은 탱크 내에 핫멜트 접착제를 투입하여 용융 상태로 한다. 그리고, 토출 롤러(32) 및 전사 롤러(41)를 그 주속도(周速度)가 동일해지도록 회전시킨다. 또한 닙 롤러(42)도 전사 롤러(41)와 그 주속도가 동일해지도록 회전시켜, 띠형상 시트(S)의 반송 속도를 전사 롤러(41)의 주속도와 동일하게 한다.
그리고, 용융 상태의 핫멜트 접착제를 공급수단(2)의 공급관(21)을 통해 토출 롤러(3)의 롤러 본체(32) 내에 도시하지 않은 펌프에 의해 공급한다.
공급수단(2)으로부터 공급된 핫멜트 접착제는, 롤러 본체(32)의 본체 부분(35)에 형성된 주관로(35b) 및 분기관로(35c)를 통해 그 외주면에 형성된 도입구(34)로부터 상기 오목부(33) 내에 공급되고, 오목부(33) 내에 있어서, 표면 플레이트(31)의 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확산한 후, 표면 플레이트(31)의 액체 토출부(3b)의 미세 구멍을 통해 토출 롤러(3)의 표면에 유도되어, 전사 롤러(41)의 외표면에 소정 패턴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이 전사 롤러(41)가 회전하여, 닙 롤러(42)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띠형상 시트(S)의 표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전사한다.
이와 같이 하여, 띠형상 시트(S)의 표면(피도공면(9))에 핫멜트 접착제가 도공되고, 그것에 의해, 띠형상 시트(S)의 표면에 액체 토출부(3b)의 평면시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 형상의 접착제 도공부(5)(액체 도공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도공장치(1)에 의하면, 액체 토출부(3b)가 다수의 미세 구멍을 가지는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것을 투과하는 핫멜트 접착제에 대하여 저항이 가해지기 때문에, 핫멜트 접착제가 표면 플레이트(31)의 표면에 유출되기 어렵고, 오목부(33) 내에 도입된 핫멜트 접착제가 오목부(33) 내에 비교적 균일하게 충전된다. 그리고, 그 핫멜트 접착제가 균일한 압력을 받아 액체 토출부(3b)로부터 토출된다. 그 때문에, 복수의 액체 토출부(3b)로부터 핫멜트 접착제를 토출시키는 경우, 복수의 액체 토출부(3b) 각각으로부터 토출되는 양에 편차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하나의 액체 토출부(3b)로부터 토출되는 액에 대해서도, 위치에 따라 토출량이 다르다고 하는 토출 편차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표면 플레이트(31)로부터 토출되는 핫멜트 접착제는, 그 토출 범위의 전역에 있어서 토출량이 균일하고, 전사 롤러(41)의 외표면에서의 오목부(33)와 겹치는 범위의 전역에 있어서 균일한 양의 핫멜트 접착제가 부착된다. 그리고, 그와 같이 균일하게 부착된 핫멜트 접착제가 띠형상 시트(S)에 전사되기 때문에, 띠형상 시트(S)에서의 핫멜트 접착제가 도공된 접착제 도공부(5)는, 그 전역에 균일한 양의 핫멜트 접착제가 도공된 것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도공장치(1)에 의하면, 소정의 도공 패턴으로 피도공물에 접착제를 도공할 시에, 접착제를 도공할 영역의 전역에 골고루 균일하게 도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도공장치(1)에 의하면, 오목부(33)의 개구 형상이 아니라, 표면 플레이트(31)의 액체 토출부(3b)의 형상에 의해, 토출 롤러의 표면에 토출하는 핫멜트 접착제의 형상, 나아가서는 액체 도공부(5)의 형상이 결정되도록 하였으므로, 도공 형상을 변경할 때에 표면 플레이트(31)의 교환으로 간편하게 대처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도공장치(1)에 있어서는, 표면 플레이트(31)를 롤러 본체(32)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접착제의 도공 패턴을 변경할 때에, 표면 플레이트(31)만을 교환하고,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36)나 롤러 본체(32)는 교환하지 않고 같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2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5, 도 6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2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액체 도공장치(이하, 본 도공장치(101)라고도 칭함)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도공장치(101)는 핫멜트 접착제의 도공장치로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핫멜트 접착제를 공급하는 공급수단(2)과, 공급수단(2)으로부터 공급되는 핫멜트 접착제를 소정 패턴으로 토출하는 토출 롤러(3)와, 토출 롤러(3)로부터 토출된 소정 패턴의 핫멜트 접착제(50)를,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띠형상 시트(피도공물)(S)의 표면에 전사하는 전사수단(4)을 구비한다. 도 5 중의 부호(5)는 띠형상 시트(S)에서의 핫멜트 접착제(50)가 도공된 부분(접착제 도공부)을 나타내고 있다.
공급수단(2)은 핫멜트 접착제를 수용한 탱크(도시하지 않음)와, 이 탱크 및 토출 롤러(3)를 연결하는 공급관(21)과, 이 공급관(21)에 연결된 펌프(도시하지 않음)와, 이 공급관(21)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탱크에 연결된 복귀관(22)과, 공급관(21)으로부터의 핫멜트 접착제의 흐름을 복귀관(22)측 또는 토출 롤러(3)측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제어변(23)을 구비하고 있다.
토출 롤러(3)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롤러(3)의 외주부를 형성하는 표면 플레이트(131)와, 토출 롤러(3)에서의 표면 플레이트(131)로부터 내측(회전축측) 부분을 구성하는 롤러 본체(3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롤러 본체(32)는 원기둥상의 형태를 가지고, 그 외주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33)는 오목부(33) 이외의 부분과의 사이에 단차를 마련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바닥면부에는 상기 오목부(33)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입하는 도입구(34)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표면 플레이트(131)가 오목부(33)를 덮도록 롤러 본체(32)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본 도공장치(101)에서의 롤러 본체(32)는 도 6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회전축에 가까운 부분을 구성하는 본체 부분(35)과, 소정 형상의 개구부(136a)를 가지고 상기 개구부(136a)의 내측 부분이 상기 오목부(33)를 형성하는 패턴 형상 플레이트(136)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본체 부분(35)은 원기둥상의 형태를 가지고 그 외주면에 상기 도입구(34)를 가지고 있다. 패턴 형상 플레이트(136)는 상술한 도공장치(1)에서의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패턴 형상 플레이트(136)는 그 개구부(136a)의 내측에 상기 도입구(34)가 위치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패턴 형상 플레이트(136)는 본체 부분(35)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에 직렬시켜 복수매 고정되어 있고, 이들 복수매의 패턴 형상 플레이트(136)에 의해 롤러 본체(32)의 원통상의 외주부가 형성되어 있다. 표면 플레이트(131)는 그 롤러 본체(32)의 패턴 형상 플레이트(136)로 이루어지는 외주부의 더 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표면 플레이트(131)는 패턴 형상 플레이트(136)의 개구부(136a)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33)의 전체를 덮도록 고정되어 있다. 패턴 형상 플레이트(136)는 표면 플레이트(131)와 고정하고 나서 본체 부분(35)에 고정해도 된다. 표면 플레이트(131)는 패턴 형상 플레이트(136)와 마찬가지로, 본체 부분(35)의 둘레 방향에 복수매 있고, 한 장의 패턴 형상 플레이트(136)에 대하여 각 한 장 마련되어 있다. 또한 표면 플레이트(131)는 롤러 본체(32)의 둘레 방향의 전 길이에 걸친 길이를 가지는 것이어도 되고, 한 장의 표면 플레이트(131)에 의해서만 도공 롤러(3)의 외주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본체(32)의 축 코어부에는, 토출 롤러(3)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공급관(21)으로부터 공급된 핫멜트 접착제가 유입되는 주관로(35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롤러 본체(32)의 내부에는 주관로(35b)와 상기 도입구(34)를 연결하는 복수의 분기관로(35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도공장치(101)에서의 도공 롤러(3)에 있어서도, 공급수단(2)의 공급관(21)을 통해 공급된 핫멜트 접착제가, 주관로(35b) 및 분기관로(35c)를 통해 도입구(34)로부터 오목부(33)에 도입되고, 상기 오목부(33) 내에 도입된 핫멜트 접착제가, 오목부(33) 내에 있어서, 표면 플레이트(131)의 면을 따르는 방향(표면 플레이트(131)의 면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확산한 후, 표면 플레이트(131)의 구멍을 통해 토출 롤러(3)의 표면으로부터 토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표면 플레이트(131)의 면을 따르는 방향은 오목부(33)의 깊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기도 하다. 또한 표면 플레이트(131)의 면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확산은, 적어도 상기 방향으로 확산한다는 의미이고, 상기 방향으로의 확산과 동시에 표면 플레이트(131)의 면과 수직인 방향(오목부의 깊이 방향)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본 도공장치(101)에서의 표면 플레이트(13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매의 개공 재료(131a,131b,131c,131d)가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도 7에는 표면 플레이트(131)의 일부, 예를 들면 도 6의 P로 나타내는 부분이 나타나 있다.
제2발명에서의 개공 재료는, 표리면간을 관통하는 구멍이 평면 방향(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다수 규칙적으로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평면 방향에 다수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어도 되며, 제약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특히 제2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개공 재료로서는 철망, 에칭 개공재, 펀칭 메탈, 소결 금속, 세라믹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개공 재료는 동종인 것을 복수매 적층해도 되고, 이종인 것을 2종 이상 조합하여 적층해도 된다.
표면 플레이트(131)를 구성하는 개공 재료가 펀칭 메탈이나 에칭 개공재인 경우, 각각의 개공 재료의 구멍의 면적(개구 면적율)은 1~76%, 특히 10~60%인 것이 바람직하고, 개공 재료 1㎠당의 구멍의 개수는 1~10,000개, 특히 125~2,500개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각각의 구멍의 구멍 지름은 0.05~2㎜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플레이트(131)를 구성하는 개공 재료가 철망이나 소결 금속, 세라믹스인 경우, 구멍의 면적(개구 면적율)은 1~80%, 특히 10~60%인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구멍의 면적은 0.002~3.2㎟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4~0.5㎟이다.
각각의 개공 재료의 평균 구멍 지름 및 구멍의 면적은 각각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평균 구멍 지름은 광학 현미경에 의해 각 개공 재료를 바로 위에서 관찰하여, 표면상의 구멍의 면적을 적어도 10점 계측하고, S(구멍의 면적)=PAI/4×d2(PAI=3.14)에서 역산되는 d를 원 상당 지름으로 하여, 이들의 평균값으로 한다. 구멍의 면적은, 예를 들면 키엔스사 제품 디지털 HD 마이크로스코프 VH-7000을 사용하여, 관찰되는 화면상의 임의의 점을 둘러쌈으로써 간단히 계측할 수 있다.
도 8에는 개공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철망의 예가 나타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철망(30)은 복수개의 세로 와이어와 복수개의 가로 와이어를 격자상으로 일체화시켜 이루어지는 것으로, 평면시 정사각형상의 구멍이 가로 세로 양 방향에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한쪽의 철망(30a)에 있어서는, 철망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세로 와이어와 복수개의 가로 와이어가 평직(平織)상으로 조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평직상으로 조합하는 경우, 세로 와이어와 가로 와이어의 교점은 융착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접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다른 쪽의 철망(30b)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세로 와이어상에 복수개의 가로 와이어가 겹치고, 그 상태에서 서로의 접점이 융착되어 있다.
도 9a~도 9c 및 도 10에는 적층시키는 개공 재료의 조합 및 그들의 적층법의 바람직한 예가 나타나 있다. 도 9a~도 9c의 각각에 있어서는, 가장 좌측에 기재한 철망(개공 재료)이, 표면 플레이트를 구성시키는 복수매의 철망(개공 재료) 중, 도공 롤러(3)의 반지름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시키는 철망이고, 그로부터 오른쪽으로 갈수록 순서대로 그 아래에 배치하는 철망이다. 그리고, 가장 오른쪽에 기재한 철망(개공 재료)이, 도공 롤러(3)의 반지름 방향에서의 가장 중심측(회전축측)에 위치시키는 철망(개공 재료)이다.
도 9a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구멍의 형상 및 크기가 같은 단일 종류의 철망(개공 재료)(30a)을 각도를 45도씩 어긋나게 하면서 4장 적층하고 있다.
도 9b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구멍의 크기가 서로 다른 2종류의 철망(개공 재료)(30a,30c)을 두께 방향에 교대로 적층하고 있어, 합계 4장 적층하고 있다.
도 9c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구멍의 형상 및 크기가 같은 3장의 철망(개공 재료)(30a)과, 구멍의 형상은 정사각형상으로 다른 3장과 같지만, 구멍의 크기가 다른 3장과는 다른 한 장의 철망(개공 재료)(30c)을 적층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구멍의 형상 및 크기가 같은 단일 종류의 2장의 철망(30a,30a)을 구멍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적층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표면 플레이트는, 예를 들면 도 9a나 도 9c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개공 재료의 적어도 2장이 각도를 어긋나게 하여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를 45도 어긋나게 하면서 적층하는 철망 등의 개공 재료의 매수는, 4장 대신 2장, 3장, 5~10장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철망간에 마련하는 각도의 어긋남은 45도 대신, 30도나 60도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그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개공 재료에 대하여 각도를 어긋나게 하지 않고 적층한 개공 재료와, 그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개공 재료에 대하여 각도를 어긋나게 하여 적층한 개공 재료가 혼재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각도를 어긋나게 한다는 것은, 세로 와이어와 가로 와이어를 가지는 철망의 경우, 어느 철망의 세로 와이어가 연장되는 방향을, 대비되는 철망의 세로 와이어가 연장되는 방향 및 가로 와이어가 연장되는 방향의 어느 것과도 일치시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표면 플레이트는, 예를 들면 도 9b 및 도 9c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개공 재료의 적어도 2장이 구멍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인 것도 바람직하다. 구멍의 크기가 서로 다른 3 또는 그 이상의 종류의 철망을 적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표면 플레이트는,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표면 플레이트(131)와 같이, 개공 재료의 적어도 2장이 구멍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되는 개공 재료의 적어도 2장은, 한쪽의 개공 재료의 구멍(30a')이 상기 구멍을 가로지르는 다른 쪽의 개공 재료의 구멍 이외의 부분(와이어 부분)에 의해 복수의 구획(30a",30a",‥)으로 분할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발명에서 사용하는 표면 플레이트는 철망 등의 개공 재료가 2장 이상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인데, 적층된 개공 재료끼리의 층간은 접합되어 있어도 접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접합하는 경우에는 그 접합수단으로서 소결, 융착(용접 등),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도공장치(101)에서의 표면 플레이트(131)는, 한 장의 패턴 형상 플레이트(136)에 대하여 각 한 장 마련되어 있고, 각각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패턴 형상 플레이트(136)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시에 각 표면 플레이트(131)를 구성하는 복수매의 개공 재료의 적층상태가 고정화되어 있다. 또한 표면 플레이트(131)를 구성하는 복수매의 개공 재료를, 볼트나 끼움구 등의 일체화 수단에 의해 롤러 본체(32)에 고정하기 전에 미리 일체화해 둘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도공장치(101)에 있어서는, 패턴 형상 플레이트(136)도 각각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본체 부분(35)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패턴 형상 플레이트(136)를 본체 부분(35)에 고정하는 고정구가, 표면 플레이트(131)를 패턴 형상 플레이트(136)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겸하고 있어도 된다.
본 도공장치(101)에 있어서 사용한 표면 플레이트(131)는, 그 평면 방향(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말함)의 전체가 복수매의 개공 재료를 적층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표면 플레이트(131)의 오목부(33)를 덮는 부분의 전역으로부터 핫멜트 접착제가 토출되고, 그 토출되는 핫멜트 접착제의 형상은 오목부(33)의 개구 형상과 거의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오목부(33)는, 그 깊이(오목부(33)의 바닥면(35a)과 표면 플레이트(131) 사이의 거리와 동일)가 그 전역에 있어서 균일하다. 오목부(33)의 깊이는 0.1~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3.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부(33)에 마련하는 도입구(34)는 오목부(33)의 바닥 면적 0.5~10㎠당 한 개가 되는 비율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플레이트(131)의 두께는, 도공할 영역의 전역에 골고루 도공하는 관점에서, 전체적으로 2㎜이하가 바람직하고, 1㎜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0.3~0.9㎜가 한층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표면 플레이트(131)의 두께는 오목부(33)의 깊이에 대하여 0.05~20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0.1~2배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본체(32)의 본체 부분(35)의 한쪽 단부에는, 공급수단(2)의 공급관(21)의 단부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는 관부(35d)가 마련되어 있고, 다른쪽 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축부(35e)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롤러 본체(32)의 본체 부분(35)의 내부에는, 카트리지 히터 등의 가열수단(도시하지 않음)이 편입되어 있고, 이 카트리지 히터 등에 의해 온도 조정을 행함으로써, 롤러 본체(32) 내를 흐르는 핫멜트 접착제의 점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전사수단(4)은, 토출 롤러(3)의 표면 플레이트(131)로 이루어지는 외주면 및 띠형상 시트(S)의 피도공면을 향해 회전하는 전사 롤러(41)와, 전사 롤러(41)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전사 롤러(41)와 함께 띠형상 시트(S)를 풀어내는 닙 롤러(42)를 구비하고 있다.
전사 롤러(41)의 외주면(41a)에는 실리콘 고무 등의 박리 용이성 소재에 의해 라이닝이 실시되어 있고, 토출된 핫멜트 접착제가 용이하게 박리되어 피도공물 표면에 도공되기 쉽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전사 롤러(41)의 내부에는, 관로(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어 급수관로(41b)를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전사 롤러(41)의 온도를 저온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전사 롤러(41)의 한쪽 단부에는 급수관로(41b)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는 관부(41c)가 마련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의 구동에 연결되는 축부(41d)가 마련되어 있다.
본 도공장치(101)에는 토출 롤러(3) 및 전사 롤러(41)의 회전 속도, 제어변(23) 및 카트리지 히터의 온 오프, 냉각수의 순환량 등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가 탑재되어 있고, 사용하는 핫멜트 접착제, 도공 패턴 등에 대응한 도공장치(101)의 동작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공장치(101)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시하지 않은 탱크 내에 핫멜트 접착제를 투입하여 용융 상태로 한다. 그리고, 토출 롤러(32) 및 전사 롤러(41)를 그 주속도가 같아지도록 회전시킨다. 또한 닙 롤러(42)도 전사 롤러(41)와 그 주속도가 같아지도록 회전시켜, 띠형상 시트(S)의 반송 속도를 전사 롤러(41)의 주속도와 동일하게 한다.
그리고, 용융 상태의 핫멜트 접착제를 공급수단(2)의 공급관(21)을 통해 토출 롤러(3)의 롤러 본체(32) 내에 도시하지 않은 펌프에 의해 공급한다.
공급수단(2)으로부터 공급된 핫멜트 접착제는, 롤러 본체(32)의 본체 부분(35)에 형성된 주관로(35b) 및 분기관로(35c)를 통해, 그 외주면에 형성된 도입구(34)로부터 상기 오목부(33) 내에 공급되고, 오목부(33) 내에 있어서, 표면 플레이트(131)의 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확산한 후, 개공 재료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표면 플레이트(131)의 구멍을 통해 토출 롤러(3)의 표면에 유도되어, 전사 롤러(41)의 외표면에 소정 패턴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이 전사 롤러(41)가 회전하여, 닙 롤러(42)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띠형상 시트(S)의 표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전사한다.
이와 같이 하여, 띠형상 시트(S)의 표면(피도공면(9))에 핫멜트 접착제가 도공되고, 그것에 의해, 띠형상 시트(S)의 표면에 오목부(33)의 개구 형상과 거의 같은 형상의 접착제 도공부(5)(액체 도공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도공장치(101)에 의하면, 복수매의 개공 재료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표면 플레이트(131)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접착제가 개공 재료의 조합에 의해 생기는 다수의 세밀한 구멍을 통해 토출된다. 또한 접착제가 투과하기 쉬움에도 불균일이 생기기 어렵다. 그 때문에 접착제를 불균일 없이 도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매의 개공 재료를 조합하여 표면 플레이트(131)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공 롤러로부터 토출시키는 접착제의 점도나 양에 따라, 표면 플레이트(131)에 사용하는 개공 재료나 개공 재료의 겹치는 방법을 변화시킬 수 있어, 각각의 경우에 적합한 조건으로 접착제를 도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도공장치(101)에 있어서는, 표면 플레이트(131)의 오목부(33)를 덮는 부분의 전역이 복수매의 개공 재료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표면 플레이트(131)의 오목부(33)를 덮는 부분의 전역으로부터 핫멜트 접착제가 토출되기 때문에, 특허문헌 2의 도시예와 같이, 오목부(33)의 개구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구멍이 분포하는 표면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오목부(33) 내를 확산하는 접착제에 체류나 흐름의 불균일이 생기기 어렵다. 그 때문에 접착제를 한층 불균일 없이 도공할 수 있다.
본 발명(제1, 제2발명)에서 사용하는 접착제는 핫멜트 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한데, 핫멜트 접착제 이외의 접착제,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실리콘수지, 풀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핫멜트 접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등의 스티렌계 고무, 또는 비결정질 폴리α올레핀(APAO),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의 올레핀계 폴리머 등의 핫멜트 접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피도공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부직포, 직포, 수지 필름, 편물(編物)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상물, 혹은 이들 시트상물이 2층 이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 이들의 시트상물이나 적층체에 또 다른 부재를 적층하거나 끼거나 하여 이루어지는 물품 등을 들 수 있다. 피도공물은 연속하는 띠형상체여도 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순서대로 반송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상술한 각 도공장치는, 핫멜트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부를 가지고, 상기 점착부를 통해 의류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으로서는, 생리용 냅킨이나 팬티라이너(분비물 시트), 실금 패드 등의 신체로부터 배출되는 액을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액 유지성의 표면 시트, 액 난투과성(불투과성을 포함하는 개념)의 이면 시트 및 이들 양 시트간에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하고, 의류 접촉면에 핫멜트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부를 가지고 있거나, 종장(縱長)의 본체 부분의 좌우 양측에 윙부를 가지며, 상기 윙부의 편면(의류 접촉면)에 핫멜트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부를 가지고 있다. 본체 부분 및 윙부의 양자에 점착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을 제조할 때에는, 의류 접촉면을 구성하는 시트의 띠형상의 원단, 또는 다른 재료와 적층된 상기 시트의 띠형상 또는 비(非) 띠형상의 원단에, 상술한 각 도공장치를 사용하여 핫멜트 접착제를 도공하여 소정 형상의 점착부를 형성한다. 그 이외에는 종래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제1, 제2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롤러(3)의 본체 부분(35)의 외주면(35a)으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의 외주 부분(35f)이, 그보다 축 코어측의 부분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 별도 부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외주 부분(35f)을 구성하는 부재는 하나의 분기관로(35c)를 더욱 복수로 분기시키는 분기관로(35c',35c',35c')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오목부(33)에 접착제를 유도하는 유로(流路)의 설계가 한층 용이해진다.
또한 공급수단(2)으로부터 공급된 핫멜트 접착제를 오목부(33)로 유도하는 경로는, 오목부(33)에 접착제를 유도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접착제 도공장치(1A)는, 닙 롤러(42)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것 이외에는, 도 1에 나타내는 토출 롤러(3)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토출 롤러(3A)를 구비하고 있다. 접착제 도공장치(1A)는 전사 롤러(41)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 접착제 도공장치(1A)에 있어서는, 토출 롤러(3A)와 닙 롤러(42) 사이를 이동하는 띠형상 시트(S)에 대하여, 토출 롤러(3A)의 외표면으로부터 직접 핫멜트 접착제가 도공된다. 이 접착제 도공장치(1A)에 있어서도, 토출 롤러(3A)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표면 플레이트(31)는, 그 아래에 위치하는 오목부를 덮는 부분에 다수의 미세 구멍을 가지는 다공체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액체 토출부와 액체 불투과부를 가지고, 상기 액체 토출부로부터 멜트 접착제가 토출된다. 그 때문에 상술한 도공장치(1)와 동일한 효과가 발휘된다.
제2발명의 접착제 도공장치도 전사 롤러를 구비하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도공장치(1)에 있어서는, 표면 플레이트(31)로서 패턴 형성 플레이트(31a)와 다공성 플레이트(31b)를 적층 일체화한 것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그러한 표면 플레이트 대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의 미세 구멍을 가지는 한 장의 다공성 플레이트(31c)에, 구멍막음처리(filling treatment)에 의해 액체 불투과부(3c)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표면 플레이트(31)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멍막음처리란, 다공성 재료의 미세 구멍에 수지나 금속 등의 구멍막음 재료를 충전하여 액이 통과할 수 없도록 하는 처리이다. 구멍막음 재료는 용융 상태에서 미세 구멍에 충전한 후 고화(固化)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공성 플레이트(31c)의 오목부(33)를 덮는 부분(3a)에, 구멍막음처리에 의해 형성한 액 불투과부(3c)와, 구멍막음처리되어 있지 않은 액체 토출부(3b)가 형성되어 있어, 상술한 도공장치(1)와 동일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상술한 도공장치(1)에 있어서 사용한 표면 플레이트(31)는, 패턴 형성 플레이트(31a) 위에 다공성 플레이트(31b)를 겹친 것이었는데, 패턴 형성 플레이트(31a) 아래에 다공성 플레이트(31b)를 겹친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장의 다공성 플레이트 사이에 패턴 형성 플레이트를 끼고 일체화한 3층 구조의 표면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공성 플레이트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오목부(33)의 개구 형상은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표주박 모양의 형상 외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으로 할 수도 있고, 또한 정사각형상, 원형상, 긴 원형상, 마름모 형상, 하트 형상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패턴 형성 플레이트의 구멍부(31a')의 형상 및 액체 토출부(3b)의 형상도, 토출 롤러의 축 길이 방향으로 종장인 직사각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출 롤러의 가운데 방향으로 종장인 직사각형상으로 하거나,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상으로 하거나, 또한 정사각형상, 긴 원형상, 마름모 형상, 하트 형상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오목부(33)에 대하여 형상이 다른 복수의 액체 토출부(3b)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오목부(33)에 대하여 형성하는 액체 토출부(3b)의 개수는 한 개여도 되고, 복수개여도 된다. 복수개 형성하는 경우, 예를 들면 2~1000개로 할 수 있고, 2~100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오목부(33)마다 액체 토출부(3b)의 개수를 다르게 해도 된다.
또한 제2발명의 접착제 도공장치도, 도 12에 나타내는 접착제 도공장치(1A)와 같이, 전사수단을 거치지 않고 토출 롤러(3)로부터 직접 피도공물에 접착제를 도공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토출 롤러(3A)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표면 플레이트는, 그 아래에 위치하는 오목부를 덮는 부분의 전역이 다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목부를 덮는 부분의 전역으로부터 핫멜트 접착제가 토출된다. 그 때문에 상술한 도공장치(101)와 동일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상술한 도공장치(101)에 있어서는, 평면 방향(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전역에 구멍을 가지는 표면 플레이트(131)를 사용하였는데, 오목부(33)를 덮는 부분 이외의 부분이 실리콘, 에폭시수지, 금속납 등의 마스킹재에 의해 봉쇄(마스킹)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면 플레이트의 마스킹 형상은, 토출 롤의 중심으로부터 오목부 단부를 통과해 그 연장상에, 표면 플레이트의 마스킹의 단부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치여도 된다.
도 15a는 오목부(33)를 덮는 부분 이외의 부분만이 마스킹되어 있는 예이며, 도 15b~도 15d는 오목부(33)를 덮는 부분 이외의 부분과 더불어 오목부(33)를 덮는 부분의 일부도 마스킹되어 있는 예이다. 도 15b~도 15d에 나타내는 표면 플레이트(131)를 사용한 경우, 마스킹재에 의해 봉쇄되어 있지 않은 부분과 같은 형상으로 핫멜트 접착제를 도공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5a~도 15d 중에 있어서 131e는 마스킹되어 있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마스킹재에 의한 봉쇄는 표면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복수매의 개공 재료 중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개공 재료의 구멍만을 막는 것이어도 되고, 표면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2장 이상의 개공 재료, 혹은 모든 개공 재료의 구멍을 막는 것이어도 된다. 표면이 균일화되어 단차가 생기기 어려운 것에 의한 연속 도포에서의 안정성의 관점에서는, 마스킹재에 의해 봉쇄는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개공 재료에는 실시하지 않고, 그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개공 재료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플레이트(131)에, 마스킹재에 의해 봉쇄된 부분과, 상기 부분에 둘러싸인 마스킹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형성하여, 공급수단(2)으로부터 공급된 접착제를 오목부(33)를 거치지 않고 직접 마스킹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도입할 수도 있다. 이 마스킹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나 상술한 실시형태의 오목부(33)에 접착제를 유도하는 경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표면 플레이트의 구멍의 일부가 봉쇄되어 있음으로써, 개봉부(봉쇄 이외의 부분)의 표면 플레이트 내부를 통과하는 접착제의 투과 속도가 오르고, 봉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비해 도공 패턴의 명료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적은 양으로도 도공하는 것이 가능해져 효율적인 도공을 할 수 있다.
또한 표면 플레이트는 구멍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토출량이 다르도록 한 2개의 영역이 의도적으로 마련된 것이어도 된다. 도 16a에 나타내는 표면 플레이트(131)에는,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공 롤러의 반지름 방향에서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개공 재료의 구멍의 크기가 다른 2종류의 영역(30d,30e)을 마련하고 있고, 영역(30d)과 영역(30e)에서, 토출되는 접착제의 양, 나아가서는 피도공물에 도공되는 접착제의 양이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도 16b 참조]. 이 경우에 있어서도 각각의 영역에 있어서는 균일한 양의 접착제가 토출된다.
또한 오목부(33)의 개구 형상은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윤곽이 직선만으로 이루어지는 형상, 윤곽이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형상, 윤곽이 곡선만으로 이루어지는 형상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공 재료의 구멍의 개공 형상도 정사각형상 이외의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 및 구멍의 개공 형상으로서는 원형상, 긴 원형상, 하트 형상, 표주박 형상, 중앙부가 잘록한 긴 원형상, 직사각형상, 삼각형상, 마름모형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제1, 제2발명)의 액체 도공장치는, 액체로서, 접착제를 대신하여 다른 액체를 도공하는 것이어도 된다. 접착제 이외의 액체로서는 유제, 유액제, 크림, 보습제, 로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도공장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구성 재료에 접착제를 도공하는데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접착제가 도공된 구성 재료는 상기 접착제를 통해 다른 구성 재료와 접합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표면 시트, 흡수체, 이면 시트, 윙부 형성용의 시트, 입체 개더 형성용의 시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의 설명 생략 부분 및 하나의 실시형태만이 가지는 요건은, 각각 다른 실시형태에 적절히 적용할 수 있고,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의 요건은 적절히 실시형태간에서 서로 치환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나타내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하등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내는 액체 도공장치를 사용하여 접착제를 연속하는 평량 38g/㎡의 박리지에 도공하고, 도공된 접착제에 대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토출 롤러의 표면 플레이트는 다음의 다층 스테인리스 철망을 사용하였다. 다공성 재료(개공 재료)는 메쉬 사이즈 #100(개공의 크기 0.16㎜×0.16㎜로 25.4㎜당 100개의 개공), 두께 0.15㎜의 스테인리스 철망으로 사용하고, 이 철망을 각도를 45도씩 어긋나게 하면서 4장 적층하여 4층 적층체를 형성하였다. 이 4층 적층체 위에 두께 0.15㎜의 스테인리스재로 이루어지는 패턴 형성 플레이트를 올리고, 그 위에 상술의 스테인리스 철망을 한 층 더 올려, 이들 합계 6층을 소결로 일체화시켜 표면 플레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표면 플레이트의 총 두께는 0.9㎜였다. 표면 플레이트는, 4층의 스테인리스 철망의 최하층이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의 면에 접하고, 한 층의 스테인리스 철망이 최외층이 되며, 패턴 형성 플레이트는 표면 플레이트의 최외층으로부터 2층째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패턴 형성 플레이트는, 도 17에 나타내는 접착제 부분(액체 도공부(5))이 개공되어 액이 투과하는 구멍부(31a')로 되어 있다.
구멍부(36a)를 가지는 두께 1.0㎜의 스테인리스제의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36)를 표면 플레이트(31)와 함께 볼트로 본체 부분(35)에 고정하였다.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의 구멍부(36a)는 폭(W) 47㎜, 길이(L) 132㎜, 면적 57.3㎠의 긴 타원형상으로,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36)의 구멍부(36a)의 내주면과 본체 부분(35)의 외주면에 의해 깊이 1.0㎜로 도 18의 형상의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액체 도공장치의 토출 롤러의 온도는 165℃로 하고, 속도 100m/min, 접착제의 액압 1MPa로 행하였다. 접착제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의 스티렌계 고무의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하여 점도 1,600mPa·s(160℃)로 도공하였다.
접착제(액체 도공부(5))의 도공 패턴은, 도 17에 나타내는 형상이며, 패턴 형성 플레이트의 구멍부(31a')도 동일한 형상으로 하였다. 접착제의 패턴의 설계값은 면적은 전체로 21.3㎠, 외형의 크기(길이 L1×폭 W1) 130×48㎜, 중앙의 잘록부의 최소폭(폭 W2) 42㎜, 평량 50g/㎡이다.
[실시예 2]
표면 플레이트(31)의 구성 이외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접착제를 박리지에 도공하고, 도공된 접착제에 대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표면 플레이트(31)는 실시예 1과 같은 스테인리스 철망을 사용하여, 4층 적층체를 형성하고, 그 4층 적층체를 실시예 1과 같은 패턴 형성 플레이트(31a)에 겹쳐, 이들 합계 5층을 소결로 일체화시켰다. 얻어진 표면 플레이트의 총 두께는 0.75㎜였다. 표면 플레이트는 최외주면을 4층의 스테인리스 철망으로 하고, 패턴 형성 플레이트(31a)를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36)측을 향해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도 5에 나타내는 액체 도공장치를 사용하여, 접착제를 연속하는 평량 38g/㎡의 박리지에 도공하고, 도공된 접착제에 대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토출 롤러의 표면 플레이트(131)는 다음의 다층의 스테인리스 철망을 사용하였다. 메쉬 사이즈 #100(개공의 크기 0.16㎜×0.16㎜로 25.4㎜당 100개의 개공), 두께 0.15㎜의 스테인리스 철망을 사용하고, 이 철망을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도를 45도씩 어긋나게 하면서 4장 적층하였다. 적층된 4장의 철망을 소결 및 접착제에 의해 일체화시켜 합계 두께 0.6㎜의 표면 플레이트를 얻었다. 또한 표면 플레이트의 최외주면으로부터 2층째의 철망에는, 적층 전에 에폭시수지로 도 19의 접착제 도공부(5)의 도공 패턴이 되는 형상으로 비도공 영역을 마스킹하고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접착제 도공부(5)와 같은 형상의 개구부(136a)를 가지는 두께 1.0㎜의 스테인리스제의 패턴 형상 플레이트(136)를 표면 플레이트(131)와 함께 볼트로 본체 부분(35)에 고정하였다. 패턴 형상 플레이트의 개구부(136a)는, 폭 48㎜, 길이 130㎜, 면적 52.4㎠의 중앙부가 잘록한 긴 원형상으로 하고, 이 패턴 형상 플레이트의 개구부의 내주면과 본체 부분(35)의 외주면에 의해, 깊이 1.0㎜이고, 도 19와 같은 형상의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 롤의 외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아, 오목부의 치수 및 형상은 도 19에 나타내는 접착제 도공부(5)와 같은 치수 및 형상이었다.
액체 도공장치의 토출 롤러의 온도는 165℃로 하고, 속도 100m/min, 접착제의 액압 1MPa로 행하였다. 접착제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의 스티렌계 고무의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하여 점도 1,600mPa·s(160℃)로 도공하였다.
접착제의 도공 패턴은, 도 19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오목부 및 마스킹부도 동일한 형상으로 하였다. 접착제의 패턴의 설계값은, 면적은 전체로 52.4㎠, 외형의 크기(길이 L1×폭 W1) 130×48㎜, 중앙의 잘록부의 최소폭(폭 W2) 37㎜, 평량 30g/㎡이다.
[실시예 4]
표면 플레이트(131)의 구성 이외에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접착제를 박리지에 도공하고, 도공된 접착제에 대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표면 플레이트는 실시예 3과 같은 스테인리스 철망을 사용하고, 4층의 적층체로 하여 동일하게 일체화하였다. 단, 마스킹은 표면 플레이트의 최외주면이 되는 철망에 실시하였다.
[실시예 5]
표면 플레이트(131)의 구성 이외에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접착제를 박리지에 도공하고, 도공된 접착제에 대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표면 플레이트는, 실시예 3과 같은 스테인리스 철망을 사용하고, 4층의 적층체로 하여 동일하게 일체화하였다. 어느 철망에도 마스킹은 실시하고 있지 않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표면 플레이트 및 오목부 형성용 플레이트를 대신하여, 롤러 본체의 외주부에 이하의 구성의 금속판을 배치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접착제를 박리지에 도공하고, 도공된 접착제에 대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비교예 1에서는, 도 19의 접착제 도포부(5)의 패턴으로 도공을 행하였다. 즉, 실시예 3에서의 접착제의 도공 패턴과 동일한 패턴으로 도공하였다.
금속판은, 두께 12㎜이고, 도 19에 나타내는 형상의 깊이 7㎜의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 내에는 지름 350㎛의 소결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재료가 배치되어 있다. 다공성 재료는 액체 통과 지름 40㎛이다. 금속판의 오목부의 바닥면에는 접착제 유입용의 다수의 분기관로가 개구되어 있고, 다공성 재료가 채워진 부분 전역이 액체 토출부가 된다.
접착제의 패턴의 설계값은, 면적은 전체로 52.4㎠, 외형의 크기 130×48㎜, 중앙의 잘록부의 최소폭 37㎜, 평량 30g/㎡이다.
[평가 방법 및 평가 결과]
실시예 1~5 및 비교예 1의 장치에 의해, 박리지에 도공한 접착제에 대하여 다음의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접착제는 n=5로 평가하였다.
<외형 치수>
박리지에 부착된 접착제에 대하여, 길이 방향의 길이(L1) 및 중앙 잘록부의 폭(W2)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길이 방향의 길이 및 중앙 잘록부의 폭(측정값)을, 각각의 설계값으로 나누어 설계값에 대한 비율을 산출하였다. 설계값에 대하여 110%까지를 허용값으로 한다.
<도공량의 배리에이션과 도공량의 균일성>
도공된 접착제(n=5)에 대하여, 패턴 형상의 길이 방향 및 그 직교 방향으로 각각 균등하게 3분할하여 합계 9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의 접착제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각 영역의 중량(평균값)을 각 영역의 설계 면적으로 나누어 각 영역의 평량을 구해 둔다. 구한 각 영역의 평량에 대하여, 설정 평량에 대한 비율을 구하고, 9영역의 최대값으로부터 최소값을 빼서 도공 평량의 배리에이션을 산출하였다. 도공량의 균일성에 대한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 도공 평량의 배리에이션이 10%이내
○: 도공 평량의 배리에이션이 10%초과 15%이내
△: 도공 평량의 배리에이션이 15%초과 20%이내
×: 도공 평량의 배리에이션이 20%을 초과
<패턴 명료성>
박리지에 부착된 접착제에 대하여, 박리지보다 박리성이 높은 필름을 맞붙여 감고, 필름에 부착된 패턴 형상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 도공 패턴 내부에 있어서 접착제의 누락이 없고, 패턴 전역이 균등하게 명료함
○: 도공 패턴 내부에 있어서 접착제가 명확한 누락이 없음. 누락이 있어도 2㎜이하의 크기임
△: 도공 패턴 내부에 있어서 2㎜보다 크고, 5㎜보다 작은 누락이 있음
×: 도공 패턴 내부에 있어서 5mm이상의 크기의 누락이 있음
표 1에 실시예 1 및 2에 대한 평가 결과를 비교예 1의 평가 결과와 함께 나타내었다. 또한 표 2에는 실시예 3~5에 대한 평가 결과를 비교예 1의 평가 결과와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5는 비교예 1에 비해 도공할 영역의 전역에 골고루 균일하게 도공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제1발명)의 액체 도공장치에 의하면, 소정의 도공 패턴으로 피도공물에 접착제 등의 액체를 도공할 시에, 상기 액체를 도공할 영역의 전역에 골고루 균일하게 도공할 수 있다. 또한 미세하고 복잡한 패턴도 도공할 수 있다.
본 발명(제2발명)의 액체 도공장치에 의하면 접착제 등의 액체를 균일하게 도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접착제를 도공할 영역에 골고루 도공할 수 있어, 고품질의 흡수성 물품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9)

  1.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소정 패턴으로 토출하는 토출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 롤러로부터 토출된 액체를 이동하는 피도공물에 도공하는 액체 도공장치로서,
    상기 토출 롤러는, 외주부를 형성하는 표면 플레이트와, 상기 토출 롤러에서의 상기 표면 플레이트로부터 내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롤러 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롤러 본체의 외주부에는, 상기 롤러 본체의 내부를 통해 도입되는 액체를, 상기 표면 플레이트의 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소정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면 플레이트는, 상기 오목부를 덮는 부분에, 상기 오목부의 개구 형상과는 다른 형상으로 액체를 토출시키는 액체 토출부와, 액체를 투과시키지 않는 액체 불투과부를 가지고, 상기 액체 토출부는 다수의 미세 구멍을 가지는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도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토출부는 상기 액체 불투과부를 끼고 서로 떨어진 상태로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도공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플레이트는, 상기 오목부의 개구 형상과는 다른 형상의 구멍부를 가지는 패턴 형성 플레이트와, 상기 패턴 형성 플레이트의 상기 구멍부에 겹쳐 배치된 다수의 미세 구멍을 가지는 다공성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도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플레이트가 상기 토출 롤러의 최외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도공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플레이트는, 다수의 미세 구멍을 가지는 다공성 플레이트에, 구멍막음처리에 의해 상기 액체 불투과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도공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플레이트는 상기 롤러 본체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도공장치.
  7.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표면 플레이트를 투과시켜 토출하는 토출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 롤러로부터 토출된 액체를 이동하는 피도공물에 도공하는 액체 도공장치로서,
    상기 표면 플레이트는 복수매의 개공 재료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도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공 재료는 철망, 에칭 개공재, 펀칭 메탈, 소결 금속, 또는 세라믹스이고, 상기 표면 플레이트에 있어서는, 이들 중의 동종 또는 이종의 것이 복수매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도공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플레이트는 구조가 다른 복수매의 개공 재료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도공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공 재료의 적어도 2장은 각도를 어긋나게 하여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도공장치.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공 재료의 적어도 2장은 구멍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도공장치.
  12.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공 재료의 적어도 2장은 구멍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도공장치.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공 재료의 적어도 2장은 한쪽의 개공 재료의 구멍이 상기 구멍을 가로지르는 다른 쪽의 개공 재료의 구멍 이외의 부분에 의해 복수의 구획으로 분할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도공장치.
  14. 제10항,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장의 개공 재료는 구멍의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도공장치.
  15.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공 재료의 적어도 한 장은 구멍의 일부가 봉쇄되어, 상기 액체가 투과할 수 없는 부분을 포함하여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도공장치.
  16. 제7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플레이트는 상기 토출 롤러의 외주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토출 롤러에서의 상기 표면 플레이트로부터 내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롤러 본체의 외주부에는 소정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면 플레이트는 상기 오목부를 덮고 있고, 상기 롤러 본체의 내부를 통해 상기 오목부 내에 도입되어 상기 오목부 내를 상기 표면 플레이트의 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확산한 액체가 상기 표면 플레이트를 투과하여 토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도공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가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도공장치.
  18. 접착제가 도공되어 형성된 점착부를 의류 접촉면에 가지고, 상기 점착부를 통해 의류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으로서,
    제17항에 기재된 액체 도공장치에 의해, 상기 의류 접촉면을 구성시키는 시트재에 접착제를 도공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
  19. 제17항에 기재된 액체 도공장치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구성 재료에 접착제를 도공하는 공정, 및 상기 구성 재료를 상기 접착제를 통해 다른 구성 재료와 접합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
KR1020107004978A 2007-08-06 2008-07-29 액체 도공장치 KR201000491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04805 2007-08-06
JPJP-P-2007-204805 2007-08-06
JP2007268872 2007-10-16
JPJP-P-2007-268872 2007-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103A true KR20100049103A (ko) 2010-05-11

Family

ID=40341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978A KR20100049103A (ko) 2007-08-06 2008-07-29 액체 도공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35474B2 (ko)
EP (1) EP2177191B1 (ko)
KR (1) KR20100049103A (ko)
CN (1) CN101742980B (ko)
WO (1) WO20090200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721A1 (en) * 2012-06-26 2014-01-03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ethod and system for preparing shaped particles
US9242298B2 (en) 2012-06-26 2016-01-26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ethod and system for preparing shaped particles
US9265672B2 (en) * 2012-11-27 2016-0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ying adhesives in patterns to an advancing substrate
EP3356057A4 (en) * 2015-09-29 2019-05-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DHESIVE APPLICATOR WITH TURNING VALVE
CN108698359A (zh) * 2015-11-02 2018-10-23 特里梅科有限责任公司 防滑保护垫
CN105568586B (zh) * 2015-12-08 2017-07-25 江南大学 网眼织物表面进行涂覆处理的设备及涂覆方法
EP3324426B1 (en) * 2016-11-16 2021-05-05 ATOTECH Deutschland GmbH Transport roller
GB201712726D0 (en) * 2017-08-08 2017-09-20 Landa Labs (2012) Ltd Electric current and heat mitigation in a printing machine writing module
CN108057569B (zh) * 2018-01-03 2019-06-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配向液涂覆设备
CN108189175A (zh) * 2018-03-13 2018-06-22 和县薛氏木制品制造有限公司 一种胶合板上胶辊筒装置
CN108895293B (zh) * 2018-07-19 2020-04-07 安徽天裕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金属零部件自动润滑装置
DE102019105920B4 (de) 2019-03-08 2022-06-09 Canon Production Printing Holding B.V. Verfahren und Auftragswerk zum Auftragen einer Flüssigkeit auf ein Substrat
CN110665740B (zh) * 2019-09-26 2021-03-02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制造光纤带的涂覆轮、涂覆装置、系统及方法
CN110712394B (zh) * 2019-10-21 2020-12-11 东莞市景盛纸品有限公司 一种瓦楞纸成型制作系统
CN115770702A (zh) * 2022-12-16 2023-03-10 江苏创客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锂电池胶带加工的表面涂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6304A (en) * 1946-03-14 1951-03-27 William C Huebner Printing element or cylinder
DE1115120B (de) 1957-02-21 1961-10-12 Willy Hesselmann Vorrichtung zum Antragen von fluessigen Stoffen, vornehmlich Klebstoff
US3002449A (en) * 1958-12-24 1961-10-03 Herbert P Sherman Inking pad structure for a mimeograph duplicating machine
US4770909A (en) * 1986-02-28 1988-09-13 Acumeter Laboratories, Inc. Porous roll fluid coating applicator and method
DE19505978A1 (de) * 1994-02-25 1995-08-31 Jochen Eckardt Vorrichtung zum Auftragen eines Schmiermittels auf Bänder, Platinen oder dergleichen
JP2822008B2 (ja) * 1995-03-22 1998-11-05 有限会社オリエントシステムエンジニアリング 帯状シートへの塗着剤塗着装置
EP0745433B1 (en) * 1995-06-01 2001-06-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dhesive printing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JPH09299849A (ja) 1996-05-17 1997-11-25 Kao Corp ホットメルト接着剤塗工装置
JP2000317383A (ja) * 1999-05-14 2000-11-21 Kao Corp 塗装方法
WO2001017778A1 (de) 1999-09-03 2001-03-15 Woerz Ruediger Farbwalze und verfahren zum auftragen von far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42980A (zh) 2010-06-16
US20100224318A1 (en) 2010-09-09
EP2177191A4 (en) 2012-07-04
CN101742980B (zh) 2014-04-16
US8535474B2 (en) 2013-09-17
EP2177191B1 (en) 2014-01-22
WO2009020012A1 (ja) 2009-02-12
EP2177191A1 (en) 201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9103A (ko) 액체 도공장치
EP2288319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anufacturing a laminated structure
US9072635B2 (en) Absorbent article
US9649229B2 (en) Process for preparing an absorbent article
EP2586410A1 (en) Novel process for preparing an absorbent article
PL177334B1 (pl) Wkładka higieniczna jednorazowego użytku
AU7999998A (en) Air permeable, liquid impermeable barrier structure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SE508040C2 (sv) Yttre skikt för en absorberande artikel samt metodför dess tillverkning
JP5324156B2 (ja) 液体塗工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324154B2 (ja) 液体塗工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324155B2 (ja) 液体塗工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SI20808A (sl) Naprava in postopek za delno nanašanje površinskega premaza in zračne folije z delnim površinskim premazom
CA2546432A1 (en) Dosing device, apparatus for applying adhesives to at least one dosing device, and substrate web
EP2609898A1 (en) Novel process for preparing an absorbent article
JP2019076832A (ja) 液体塗工装置及び液体塗布物の製造方法
JP6764766B2 (ja) 液体塗工装置
EP4057965B1 (en) Fluid distribution material for absorbent articles
RU246221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й структуры
JP2008136642A (ja) 縦長物品の製造方法
JPH10129739A (ja) 複合シート、複合シート製造装置および複合シート製造 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