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9039A - 신규한 의약제 - Google Patents

신규한 의약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9039A
KR20100049039A KR1020107001436A KR20107001436A KR20100049039A KR 20100049039 A KR20100049039 A KR 20100049039A KR 1020107001436 A KR1020107001436 A KR 1020107001436A KR 20107001436 A KR20107001436 A KR 20107001436A KR 20100049039 A KR20100049039 A KR 20100049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und care
wound
care product
polypeptide
hydro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벵트 베스트린
Original Assignee
리포펩타이드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포펩타이드 아베 filed Critical 리포펩타이드 아베
Publication of KR20100049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3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or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collagen, fibrin,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0Liquid-swellable gel-forming materials, e.g. super-absorb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52Polypeptides, proteins, e.g. glycoproteins, lipoproteins, cytok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2Tissue-regenerating or healing or proliferativ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6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 A61L2300/602Type of release, e.g. controlled, sustained, s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상 관리 물질과 창상 치유 특징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창상 관리 제품을 제공한다. 일 예로, 상기 창상 관리 물질은 알기네이트, 비정질 하이드로겔, 시트형의 하이드로겔, 하이드로파이버, 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된다. 다른 예로,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LL-37과 같은 카텔리시딘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품을 이용하여 창상을 치료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Description

신규한 의약제{NEW MEDICAL PRODUCTS}
본 발명은 창상 관리 제품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만성 창상을 치료하기 위한 개선된 제품을 제공한다.
비-치유성 만성 창상은 환자, 건강 관리 전문가 및 건강 관리 시스템에 도전이 되고 있다. 만성 창상은 수백만 명의 삶의 질을 악화시킨다. 여기에는 집중적인 치료가 요구되며, 생산성 저하 및 건강 관리 예산 측면에서 사회에 막대한 부담이 된다. 따라서, 만성 창상에 대한 치유 관련 연구가 매우 중요한 실정이다.
창상의 치유 과정은 조직의 온전성 및 기능의 회복을 최상으로 유도하는 역동적인 과정이다. 정상적인 회복 과정이 중단되었을 때, 만성 창상이 발생한다. 의사는 창상 치유 생물학을 이해함으로써, 창상이 있는 조직의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다.
치유 경로는 창상이 발생된 시점에 개시된다. 창상의 치유는 응고, 염증, 그라운드 물질과 매트릭스의 합성, 혈관신생, 섬유 증식증, 상피화, 창상 수축 및 리모델링 등의 과정들이 누적된 결과이다. 이러한 복잡하고 중복되는 과정들은 3가지 치유 단계로 가장 잘 체계화된다: 염증 단계, 증식 단계 및 성숙 단계.
만성 창상
창상 치유 과정에 대한 전술한 내용은 급성 창상과 만성 창상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만성 창상인 경우, 순차적인 과정들에 차질이 발생한다. 창상이 질서 정연하고 시기 적절한 회복 과정을 통해 진행되어 해부학적 온전성과 기능적 온전성이 지속적으로 회복되는 경우, 이를 급성 창상이라고 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만성 창상은 통상적인 점진적인 양상으로 진행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치유 과정이 길어지고, 불완전하게 되며, 완전히 회복되지 않게 된다.
만성 창상은, 어떤 인자가 정상적인 조절성 염증 단계나 세포 증식 단계를 교란시킬 때 발생된다. 다수의 인자들이 상처 치유에 좋지 않게 작용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는 창상의 감염과 같은 국소 요인, 조직의 저산소증, 반복적인 외상, 잔해와 괴사 조직의 존재, 및 진성 당뇨병, 영양 실조, 면역 결핍 및 특정 약물의 사용과 같은 전신 요인이 있다.
창상의 감염은 불충분한 상처 치유에 가장 일반적인 원인일 것이다. 모든 창상은 박테리아로 오염된다. 창상가 감염되었는지는 숙주의 면역 기능(immune competence)과 박테리아 오염원의 크기로 결정된다. 숙주 방어가 정상이고 괴사 조직의 제거가 충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창상은 조직 1 g 당 미생물 100,000 (105) 개 정도를 견딜 수 있으며 여전히 성공적으로 치유가능하다. 그러나, 이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창상은 감염될 수 있다.
연조직 봉소염(soft tissue cellulitis)에서는, 신생 과립화 조직과 조직 성장 인자를 분해하기 위한 조직 프로테아제의 유도와, 콜라겐의 축적 지연에 의해, 염증 단계가 길어진다. 급성 창상과는 대조적으로, 만성 창상으로부터 배출되는 삼출액은 프로테아제 활성이 높고, 성장 인자 활성은 낮으며,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준은 높다. 따라서, 감염은 창상의 염증 -> 증식 -> 성숙화에 이르는 정상적인 진행과 관련있는 많은 단계들을 방해함으로써 치유를 지연시킨다.
조직 관류는 동맥 폐쇄 또는 혈관 수축, 저혈압, 저체온증 및 말초 정맥 울혈증으로 창상될 수 있다. 창상에서의 산소 분압(oxygen tension)의 감소는 콜라겐의 생성을 완화시킴으로써 창상 치유를 지연시킬 수 있다. 성숙형 콜라겐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프롤린과 라이신의 수산화에 산소가 필요하기 때문에, 조직의 산소 압력이 40 mmHg 미만으로 떨어지게 되면, 콜라겐 피브릴의 가교가 형성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창상가 저산소증이 되면, 백혈구의 산화성 인산화의 살균 활성에 심각한 방해가 되기 때문에, 박테리아에 감염되기 쉬워진다. 이러한 요인들은 가능한 많이 바로잡아야 한다.
예를 들어, 동맥 폐색 질환으로 인한 저산소증은 혈관 성형술이나 바이패스 그래프팅(bypass grafting)으로 개선할 수 있다. 환자는 동맥 혈관 수축을 야기하는 흡연을 그만두도록 강제되어야 한다. 저혈압 또는 저체온증 환자는 적절하게 소생시켜, 심장 기능과 필요에 따라 혈액 체적을 개선시켜야 한다. 정맥 정체는 일반적으로 혈관 환류(vascular return)를 개선시키기 위해 압박복을 이용하여 치료한다. 빈혈은, 헤마토크릿 수치(haematocrit value)가 15% 이상이고 환자가 정상 혈량(euvolemic)인 한, 치유에 해가 되지 않는다. 적절한 조직 산소 분압은 창상 치유의 성공과 직결되기 때문에, 산소 분압의 최적화는 임의 타입의 창상을 가진 모든 환자들에게는 필수적이다.
허약해진 조직은 박테리아의 성장 배지로 제공되어 감염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치유에 해가 된다. 또한, 사조직은 섬유모세포 및 케라티노사이트가 창상로 이동하는 것을 저해하는 엔도톡신을 배출한다. 봉합 물질과 같은 외부 물질 역시 창상가 만성 상태가 되면 잔해물 범주로 분류된다. 실크 봉합사의 존재는 감염 발생에 필요한 박테리아의 수를 10,000배로 줄어들게 한다. 따라서, 모든 괴사 조직과 잔해물을 효소적 물질이나 창상 드레싱을 이용하거나 또는 외과적인 수단으로 제거하는 것이, 창상를 치유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창상이 있는 환자의 전신 기저 질환은 창상이 시기 적절한 양상으로 치유될 가능성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그 고전적인 예는 진성 당뇨병이다. 창상 치유는 종종 염증 단계와 증식 단계의 중단으로 인해 지연된다. 호중구와 대식세포는 이의 당화에 의해 식세포 기능이 저해되기 때문에, 관리하고 있는 창상내 박테리아의 하중을 적절하게 유지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감염은 염증 단계를 연장시킨다. 적혈구가 당화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면(헤모글로빈 A1c 수준으로 측정), 적혈구는 덜 유연하게 되어 미세혈관 슬러징(microvascular sludging)과 허혈증이 발생하게 된다. 조직의 낮은 산소 분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세포 증식과 콜라겐 합성을 저해한다.
영양 실조는 섬유모세포의 증식과 신생 혈관의 생성 속도를 낮추며,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 모두를 악화시킨다. 창상, 특히 신생 과립 조직 내부는 대사 활성 수준이 높다. 이러한 활성에 필요한 영양분들을 제공받지 못하게 되면, 조직의 건강은 나빠진다. 단백질과, 메티오닌, 프롤린, 글리신 및 라이신과 같은 단백질의 아미노산 빌딩 블록들이 정상적인 세포 기능과 피부 창상을 회복시키는데 필수적이다. 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은 음식물로 섭취하여야 하며, 이것이 이들을 필수 지방산이라고 지칭하는 이유이다.
필수 지방산은 세포막의 주요 성분이고 염증을 매개하는 프로스타글라딘의 소스이기 때문에, 필수 지방산의 결핍은 창상의 치유를 악화시킨다. 비타민 C 또는 K의 결핍은 각각 괴혈병과 응고장애(coagulopathy)를 발생시킨다. 칼슘, 철, 구리, 아연 및 망간 등의 미네랄은, 치유 과정에 필요한 단백질을 합성하는 주요 반응에서 공동 인자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창상 환경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영양 실조로 인해 창상 치유가 악화된 것으로 진단되면, 환자는 적절한 단백질과 에너지(칼로리)를 섭취하게 하여야 한다. 필수 영양분의 신속한 회복을 위해, 특수 비타민 및 미네랄 보충제가 필요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일부 약제들도 창상 치유에 유해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염증을 모든 수준에서 억제시켜, 그로 인해 치유 단계는 둔화된다. 비타민 A는 스테로이드의 유해한 작용을 해소시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요법을 중단할 수 없는 만성 창상 질환자들 모두에게 국소 및 전신 용도로 처방되고 있다. 아스피린 및 인도메타신과 같은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는 아라키돈산 케스케이드를 방해하여, 치유 경로의 일부 일차 조정자의 도출을 방해한다. 또한, 이들은 혈소판 및 혈소판 응집 작용을 저해하도록 작용하므로, 상처가 생기는 순간부터 치유 과정을 교란시킨다.
만성 창상의 치료
전통적인 창상 관리 제품은 주로 붕대 및 비부착성 붕대에 해당되는, 직조 및 부직포 스폰지와 같이 저급 기술의 거즈를 이용한 드레싱제들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산업적이고 상업적인 관심은, 특정 창상 처치 환경에 대해 유효하면서도, 새롭고 개선된 매우 다양한 시판 창상 관리 제품 및 치료제에 쏠려 있다.
개선된 창상 관리 영역은 3가지의 주요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매우 다양한 개별 기술 범주를 망라한다(Ovington et al., 2007, Clinics in Dermatology 25:33-38 참조):
(i) 습윤 창상 치유 드레싱제(하이드로겔, 하이드로콜로이드, 알기네이트, 폼(foam) 및 투명 필름)
(ii) 은 등의 물질을 창상에 전달하는 항균 드레싱제;
(iii) 피부 대체제, 조직-가공 제품 및 성장 인자 등의 생물학적 제품들.
또한, 음압 창상 치료(NPWT: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와 같은 창상 치유 기구의 수적 성장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영역에는 산소 치료, 전기 자극; 저출력 레이저 치료(LLLT: low level laser therapy), 치료 초음파 및 구더기 치료와 같은 그외 다양한 치료가 포함된다.
US$41억에 달하는 세계적인 개선된 창상 관리 부문은 해마다 10% 씩 두자리 수의 성장을 보이며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이다. 이러한 성장은 노년층, 전세계적인 당뇨병 발생율 증가 및 종래 보다 임상적으로 더욱 효과적인 비용 효율적인 기술과 제품에 대한 계속적인 향상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래서, 창상의 치료 및 관리를 위한 개선된 의학 제품들에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일측면은, 창상 관리 물질과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창상 관리 제품을 제공한다.
"창상 관리 제품"은, 창상에 적용하였을 때 창상의 치유 과정을 돕거나(예컨대, 촉진) 및/또는 창상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제품과 기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창상 관리 제품은 창상된 상피 및/또는 창상된 기질(stroma)의 상피 재생 및/또는 치유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창상 관리 제품은 비-용혈성 메카니즘을 통해 상피 및/또는 기질 세포의 증식을 강화할 수도 있다.
"창상 관리 물질"은, 아래에서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은 창상 관리 제품 등의, 창상 관리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실질적으로 무독성인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창상 관리 제품의 일 예로서, 상기 창상 관리 물질은 창상의 삼출물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창상 관리 물질은 알기네이트, 비정질 하이드로겔, 시트형의 하이드로겔, 하이드로파이버, 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창상의 삼출물을 흡수할 수 있는 추가적인 창상 관리 물질로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콜라겐을 주성분으로 한 물질, 히알루론산을 주성분으로 한 물질, 덱스트라노머, 덱스트리노머/카덱소머 및 산화된 재생 셀룰로스가 있다.
예로, 창상 관리 물질은 알기네이트를 포함하거나 알기네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창상 관리 물질을 포함하는 창상 관리 제품은 통상적으로 건조된 부직포 시트(또는 '펠트'), 동결건조된 시트, 리본 또는 로프 형태로 제공되며, 특히 삼출물을 다량 분비하는 창상를 치료하는데 적합하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알기네이트의 예로는 Suprasorb ®(Sammons Preston, USA) 및 Kaltostat ®(ConvaTec, UK)가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창상 관리 물질은 비정질 하이드로겔을 포함하거나 하이드로겔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창상 관리 물질을 포함하는 창상 관리 제품은 통상적으로 점성 젤(예, 튜브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터 내에) 형태로 제공되며, 특히 비-삼출성 창상을 치료하는데 적합하다.
적합한 비정질 하이드로겔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록사머 블록 공중합체 등의 합성 폴리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및 에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 에테르와 같은 반합성 폴리머; 아카시아, 카라기난, 키토산, 펙틴, 전분, 잔탄검 등의 천연 검; 및 알기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하이드로겔-형성 폴리머(hydrogel-forming polym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드로겔-형성 폴리머는 수계 또는 비수계 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 수계 용매의 예로는 물, 염수, 완충액, 물/프로필렌 글리콜이 있으며, 비수계 용매의 예로는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있다.
또한, 폴록사머 타입의 블록 공중합체, 즉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블록으로 구성되는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물에 분산된 특정 폴록사머는 열-가역적이며, 실온에서는 점성이 낮지만 승온된 온도에서는 점성이 크게 증가하여, 체온 수준에서는 젤이 된다. 그로 인해, 비교적 따뜻한 창상 공간(cavity)에 투여된 약학 제형의 접촉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폴리펩타이드와 같이 혼입된 물질의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하이드로겔의 예로는, Intrasite ®(Smith & Nephew, UK) 및 Normigel ®(Molnlycke Health Care AB, Sweden)이 있다.
추가적으로, 창상 관리 물질은 시트형의 하이드로겔을 포함하거나 시트형의 하이드로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정질 하이드로겔과 같이, 이러한 창상 관리 물질은 비삼출성 창상을 치료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적합한 시트형의 하이드로겔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록사머 블록 공중합체 등의 합성 폴리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및 에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 에테르와 같은 반합성 폴리머; 아카시아, 카라기난, 키토산, 펙틴, 스타치, 잔탄검 등의 천연 검; 및 알기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하이드로겔-형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드로겔-형성 폴리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계 또는 비수계 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시트형의 하이드로겔의 예로는 Elastogel ®(Southwest Technologies Inc., USA) 및 Suprasorb ® G(Sammons Preston, USA)가 있다.
또다른 예로서, 창상 관리 물질은 하이드로파이버를 포함하거나 하이드로파이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창상 관리 물질을 포함하는 창상 관리 제품은 통상적으로 건조된 부직포 시트, 동결건조된 시트 또는 리본이나 로프의 형태로 제공되며, 건조한 부분과 습윤 부분 모두가 존재하는 창상 또는 삼출 정도가 약한 수준에서부터 심각한 수준인 창상에 사용하는 것이 특히 적합하다.
적합한 하이드로파이버는 카르보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카르보메틸셀룰로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Aquacel ®(ConvaTec, UK)가 있다.
또다른 예로서, 창상 관리 물질은 Allevyn 범주의 제품(Smith&Nephew, United Kingdom) 등의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거나, 상기 폴리우레탄 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상 관리제의 또다른 주성분은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이다.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창상의 감염을 예방하거나 및/또는 창상 치유 과정을 도울(예, 촉진) 수 있는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한다. 예로, 창상 관리제는 창상된 상피 및/또는 창상된 기질의 상피 재생 및/또는 치유를 강화할 수 있다. 일 예로, 폴리펩타이드는 비-세포 용혈성 메카니즘을 통해 상피 및/또는 기질 세포의 이동 및/또는 증식을 강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본 발명의 창상 관리 제품의 기능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거나 부수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폴리펩타이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그것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예로,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반대 이온 아세테이트, 카보네이트, 포스페이트, 설페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및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염을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합한 유도체로는 에스테르 및 아미드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카텔리시딘(cathelicidin) 또는 카텔리시딘 모 화합물의 창상 치유 활성을 일정 부분 이상 가지고 있는, 그것의 단편, 변이체 또는 융합체이다.
예로, 카텔리시딘은 인간의 양이온성 항미생물 단백질(hCAP18; Accession Nos. NP_004336 및 AAH55089 참조) 및 그것의 C-말단 펩타이드 LL-37, PR39, 프로페닌(prophenin) 및 인돌리시딘(indolicid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인간 카텔리시딘 항미생물 단백질인 hCAP18은 인간으로부터 유일하게 공지된 카텔리시딘으로, 보존된 카텔린 도메인과 LL-37이라고 하는 가변성 C-말단으로 구성되어 있다(Gudmundsson et al., 1996, Eur J Biochem 1238:325-32; Zanetti et al., 1995, FEBS Lett 374:1-5). 전단백질(holoprotein)의 세포외 단백질분해 과정을 통해, 광범위한 항균 활성(Gudmundsson et al., 1995, Proc Natl Acad Sci USA 92:7085-9; Agerberth et al., 1995, Proc Natl Acad Sci USA 92:195-99) 뿐만 아니라 일부가 G-단백질-커플링된 수용체, 포르밀 펩타이드 수용체-유사 1(FPRL1)에 의해 매개되는, 숙주 세포에 대한 작용를 가진, LL-37 펩타이드가 분리된다(Yang et al., 2000, J Exp Med 192:1069-74; Koczulla et al., 2003, J Clin Invest 111:1665-72). 인간 CAP18는 백혈구에 존재하며(Cowland et al., 1995, FEBS Lett 368:173-76), 선천적인 장벽 방어와 일관되게, 염증(Cowland et al., 1995, FEBS Lett 368:173-76; Frohm et al., 1997, J Biol Chem 272:15258-63) 및 창상(Dorschner et al., 2001, J Invest Dermatol 117:91-97; Heilborn et al., 2003, J Invest Dermatol 120:379-89)과 관련하여 상향 조절되는, 피부와 그외 상피에서 발현된다.
일 예에서,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인간 LL-37이며, 이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1로 하기에 나타낸다:
LLGDFFRKSKEKIGKEFKRIVQRIKDFLRNLVPRTES [서열번호 1]
따라서,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 서열로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 '아미노산'은 표준적인 20개의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아미노산과 'd' 형태(천연적인 'l' 형태에 대비)의 대응되는 입체 이성질체, 오메가-아미노산 및 그외 천연 아미노산, 비통상적인 아미노산(예, α,α-2번 치환된 아미노산, N-알킬 아미노산 등) 및 화학적으로 유도체화된 아미노산(하기 참조)을 포함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의 단편, 변이체, 융합체 또는 유도체는 L-아미노산을 포함하거나, L-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다.
아미노산을 '알라닌' 또는 'Ala' 또는 'A'와 같이 구체적으로 열거하는 경우, 그 용어는 명백하게 언급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l-알라닌과 d-알라닌 모두를 의미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기능적 특성이 폴리펩타이드에 유지되는 한, 다른 비통상적인 아미노산도 본 발명의 제품에 사용되는 폴리펩타이드에 대한 적합한 구성 성분일 수 있다. 나타낸 펩타이드에서, 적절하게는, 각 코딩된 아미노산 잔기를 통상적인 아미노산의 일반적인 명칭에 대응되는 한문자 명칭으로 표시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에 따른 아미노산 서열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단편, 변이체, 융합체 또는 유도체이다.
"생물학적으로 활성인"은 단편, 변이체, 융합체 또는 유도체가 적어도 일정 부분 이상 서열번호 1에 따른 아미노산 서열의 창상 치유 특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로, 단편, 변이체, 융합체 또는 유도체는 창상된 상피 및/또는 창상된 기질의 상피 재생 및/또는 치유를 강화하는 LL-37의 능력을 일정 부분 이상 보유할 수 있다. 이러한 창상 치유 특성의 보유는 당해 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들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WO 2004/067025, 이는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됨).
일 예로,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10개 이상의 인접 아미노산들, 예컨대 서열번호 1의 적어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또는 36개 이상의 인접 아미노산들을 포함하거나 이들 아미노산들로 구성된, LL-37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단편이다. 따라서, 상기 단편은 서열번호 1의 N-말단(즉, 좌측)으로부터 적어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또는 36개 이상의 인접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LL-36, LL-35, LL-34, LL-33, LL-32, LL-31, LL-30, LL-29, LL-28, LL-27, LL-26, LL-25, LL-24, LL-23, LL-22, LL-21 및 LL-20 (WO 2004/067025, 이는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LL-37의 단편을 포함하거나 상기 단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다른 예로,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에 따른 아미노산 서열의 변이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 변이체로 구성된다.
폴리펩타이드의 '변이체'는 삽입, 결손 및 보존적 또는 비보존적 치환을 포함한다. 예로, 변이체 폴리펩타이드는 비천연 변이체일 수 있다.
상기 변이체는 서열번호 1에 따른 아미노산 서열과 50% 이상의 동일성, 예컨대 적어도 55%, 60%, 65%, 70%, 75%, 80%, 90%, 95%, 96%, 97%, 98% 또는 적어도 99%이상의 동일성을 가진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가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2개의 폴리펩타이드 간의 서열 동일성%는 적합한 컴퓨터 프로그램, 예로 위스콘신 대학의 유전자 컴퓨터 연산 그룹의 GA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동일성%는 서열이 최적으로 정렬된 폴리펩타이드와 비교하여 계산된다는 것을 알 것이다.
정렬은 또한 Clustal 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Thompson et al., 1994, Nuc . Acid Res. 22:4673-4680, 이 문헌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됨).
사용되는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빠른 쌍 정렬 파라미터(fast pairwise alignment parameter): K-tuple(word) 사이즈; 1, 윈도우 사이즈; 5, 갭 패널티; 3, 상단 대각선 수(number of top diagonals); 5. 측정법(Scoring method): x %.
다중 정렬 파라미터(Multiple alignment parameter): 갭 오픈 패널티; 10, 갭 연장 패널티; 0.05.
측정 행렬: BLOSUM.
다른 예로, BESTFI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국소 서열 정렬을 결정하였다.
변이체는 당해 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는 단백질 공학 및 부위 특이적인 돌연변이 유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예, Molecular Cloning : a Laboratory Manual, 3rd edition, Sambrook & Russell, 2001,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를 참조하며, 상기 문헌의 해당 내용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됨).
본 발명의 일측면에 대한 또다른 예에 있어서, 제품은 일부가 LL-37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그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단편이나 변이체에 해당되는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융합 단백질로 구성된다.
단백질 또는 폴리펩타이드의 "융합"은 임의의 다른 폴리펩타이드와 융합된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한다. 예로,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상기 폴리펩타이드의 정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글루타티온-S-트랜스퍼라제(GST) 또는 단백질 A와 같은 폴리펩타이드와 융합할 수 있다. 이러한 융합체의 예는 당해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잘 알려진 Myc 텍(tag) 에피토프와 같은 항체에 의해 인지되는 에피토프나, His6와 같은 올리고-히스티딘 텍에 융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펩타이드의 임의의 단편, 변이체 또는 유도체에 대한 융합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바람직한 특성, 즉 항암 활성을 가진 융합체(또는 그것의 변이체나 유도체)가 바람직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융합체가 본원에 기술된 방법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컨대, 융합체는 본 발명의 상기 폴리펩타이드에 바람직한 특성을 부여하는 다른 부위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 예로, 상기 부위는 폴리펩타이드의 세포내 흡수를 촉진시키거나, 폴리펩타이드를 검출 또는 분리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상기 부위는, 예컨대, 바이오틴 모이어티, 방사능 모이어티, 형광 모이어티, 예로 소형 플루오로포어 또는 그린 플루오로레센트 단백질(GFP) 플루오로포어 뿐만 아니라 당해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모이어티는 당해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면역원성 텍, 예컨대 Myc 텍일 수 있거나, 당해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폴리펩타이드의 세포내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는 친지성 분자 또는 폴리펩타이드 도메인일 수 있다.
당업자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것의 단편, 변이체, 융합체 또는 유도체가 변형되거나 유도체화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화학 유도체는 기능성 측기(side grup)와의 반응에 의해 수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도체화된 분자로는, 예컨대 유리 아미노기가 유도체화되어 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p-톨루엔 설포닐기, 카르복시벤즈옥시기, t-부틸옥시카르보닐기, 클로로아세틸기 또는 포르밀기를 형성한 분자를 포함한다. 유리 카르복실기는 유도체화되어, 염, 메틸 및 에틸 에스테르 또는 다른 타입의 에스테르 및 하이드라지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유리 하이드록실기는 유도체화되어, O-아실 또는 O-알킬 유도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20개의 표준 아미노산의 천연 아미노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펩타이드도 화학 유도체로서 포함된다. 예로, 4-하이드록시프롤린이 프롤린을 대체할 수 있으며, 5-하이드록시라이신이 라이신을 대체할 수 있으며, 3-메틸히스티딘은 히스티딘을 대체할 수 있으며, 호모세린은 세린을 오르니틴은 라이신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유도체는 필수 활성이 유지되는 한에서 하나 이상의 부가 또는 결손이 있는 펩타이드를 포함한다. 그외 포함되는 변형은, 아미드화, 아미노산 말단 아실화(예, 아세틸화 또는 티오글리콜산 아미드화), 말단 카르복실아미드화(예, 암모니아나 메틸아민과의) 및 유사 말단 변형이다.
당해 분야의 당업자는 펩타이드모방체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음을 또한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폴리펩타이드'는 창상 치유 활성을 보이는 펩타이드모방체 화합물을 포함한다. 용어 '펩타이드모방체'는 치료제로서 특정 폴리펩타이드의 구조 및 바람직한 특징을 모방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예컨대, 본원에 언급되는 폴리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잔기들이 펩타이드(-CO-NH-) 연결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분자 뿐만 아니라 펩타이드 결합이 전도된 분자도 포함한다. 이러한 레트로-역위(retro-inverso) 펩타이드모방체는 Meziere et al . (1997) J. Immunol . 159, 3230-3237에 기술된 방법과 같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문헌의 해당 내용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이러한 방법은 벡본은 관여하지만 측기의 배치에는 변화가 없는 변화를 포함하는 슈도펩타이드의 제조 단계를 포함한다. CO-NH 펩타이드 결합 대신 NH-CO 결합을 포함하는 레트로-역위 펩타이드는 단백질 분해에 대해 내성이 훨씬 강하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통상적인 아미드 결합 대신 -ν(CH2NH)-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펩타이드모방체 화합물일 수 있다.
또다른 예로, 펩타이드 결합에는 아미노산 잔기의 탄소 원자들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적절한 링커 모이어티가 전체적으로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며, 링커 모이어티가 펩타이드 결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하 분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성(planarity)을 가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펩타이드는 예컨대 아미드화에 의한 엑소단백질분해성 소화(exoproteolytic digestion)에 대한 감수성 저하를 돕기 위해, 그것의 N- 또는 C-말단을 통상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d-아미노산 및 N-메틸 아미노산과 같이 변형되거나 비코딩된 다양한 아미노산들을 사용하여 포유류 펩타이드를 변형시킨다. 또한, 고리화와 같은 공유 결합의 변형이나 락탐 또는 다른 타입의 브릿지의 투입에 의해, 추정되는 생활성 구조를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그 예로 Veber et al., 1978, Proc . Natl . Acad . Sci . USA 75:2636 and Thursell et al., 1983, Biochem . Biophys . Res . Comm. 111:166을 참조하며, 이 문헌의 해당 내용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다수의 합성 전략들에서 공통된 테마는 어떤 고리형 모이어티를 펩타이드계 구조에 도입하는 것이었다. 고리형 모이어티는 펩타이드 구조의 배좌 공간을 제한하여, 특정 생물학적 수용체에 대한 펩타이드의 친화성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종종 발생시킨다. 이러한 방법의 추가적인 이점은 펩타이드에 고리형 모이어티를 도입함으로써 세포 펩티다제에 대한 민감성이 감소된 펩타이드를 만들 수도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폴리펩타이드는 말단의 시스테인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그러한 폴리펩타이드는, 말단 시스테인 아미노산에서 머캅티드기의 다이설파이드 결합 형성에 의한 이종의 고리형 형태(heterodetic cyclic form)나, 또는 말단 아미노산들 간의 아미드 펩타이드 결합 형성에 의한 동조 형태(homodetic form)로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N-말단과 C-말단의 시스테인들 사이의 다이설파이드 결합이나 아미드 결합을 통해 고리를 이루는 소형 펩타이드는, 좀더 친화성이 높은 화합물을 형성할 수도 있는, 단백질분해의 감소 및 또한 구조의 경직성 증가에 의해, 선형 펩타이드에서 때때로 관찰되는 친화성과 반감기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다이설파이드 결합을 통해 고리를 이룬 폴리펩타이드는 여전히 단백질분해되기 쉬울 수 있는 유리 아미노 말단과 카르복시 말단을 가지고 있지만, N-말단 아민과 C-말단 카르복시 간에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여 고리를 이루고 있는 펩타이드는 더 이상 유리 아미노 말단 또는 카르복시 말단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C-N 연결 또는 다이설파이드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펩타이드의 고리화 방법에 의한 임의의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적합한 합성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고리 구조를 가진 펩타이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종의 연결은 다이설파이드, 알킬렌 또는 설파이드 연결을 통한 형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이설파이드, 설파이드 및 알킬렌 연결을 포함하는, 고리형의 동종(homodetic) 펩타이드 및 고리형의 이종(heterodetic) 펩타이드의 합성 방법들은, US 5,643,872에 기술되어 있다. 고리화 방법의 다른 예들도 논의되어 있으며, US 6,008,058에 기술되어 있으며, 문헌의 해당 내용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고리형의 안정화된 펩타이드모방체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폐환 치환법(RCM: ring-closing metathesis)이다. 이 방법은, 펩타이드 전구체를 합성하는 단계 및 이를 RCM 촉매와 접촉시켜 입체 구조가 한정된 펩타이드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합한 펩타이드 전구체는 하나 이상의 비치환된 C-C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고상 펩타이드 합성 기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예로, 고형 지지체에 고정된 전구체를 RCM 촉매와 접촉시킨 다음 그 산물을 상기 고형 지지체로부터 탈착시켜 입체 구조적으로 정해진 펩타이드를 만든다.
D. H. Rich in Protease Inhibitors, Barrett and Selveson, eds., Elsevier (1986; 문헌의 해당 내용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됨)에 기술된 다른 방법은, 효소 저해제 설계에 전이 상태 유사체 개념(transition state analogue concept)을 적용하여 펩타이드 모방체를 설계하였다. 예로, 스탈린의 2차 알코올은 펩신 기질의 절단되기 쉬운 아미드 결합의 사면체 전이 상태(tetrahedral transition state)를 모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요컨대, 말단 변형은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프로테나제 분해에 대한 감수성을 낮추는데 유용하며, 따라서 용액, 특히 프로테아제가 존재할 수 있는 체액 중의 펩타이드의 반감기를 연장시킨다. 또한, 폴리펩타이드의 고리화는 유용한 변형이며, 고리화에 의해 형성된 안정적인 구조로 인해 고리형 펩타이드에서 관찰되는 생물학적 활성면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 예에서,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것의 단편, 변이체, 융합체 또는 유사체는 고리형이다. 그러나, 바람직한 예에서,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것의 단편, 변이체, 융합체 또는 유사체는 선형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사용하기 위한,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것의 단편, 변이체, 융합체 또는 유사체의 제조 방법은, 당해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편리하게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것의 단편, 변이체, 융합체 또는 유사체는 재조합 폴리펩타이드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따라서,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것의 단편, 변이체, 융합체 또는 유사체를 코딩하는 핵산 분자(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적절한 숙주에서 발현시킬 수 있으며, 그로부터 폴리펩타이드를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재조합 폴리펩타이드를 생산하는 적절한 방법들은 당해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예, Sambrook & Russell, 2000,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Third Edition, Cold Spring Harbor, New York, 상기 문헌의 해당 내용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됨).
간단하게, 적합한 숙주에서 핵산 분자에 의해 코딩되는 폴리펩타이드를 발현시킬 수 있는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폴리펩타이드는 토끼의 레티큘로사이트 융혈물이나 밀 맥아 용혈물(Promega)과 같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시험관내 번역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험관내에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번역 시스템은 토끼의 레티큘로사이트 용혈물이다. 편리하게는, 상기 번역 시스템은 TNT 전사-번역 시스템(Promega)과 같은 전사 시스템과 짝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번역과 동일한 반응으로 코딩하는 DNA 폴리뉴클레오티드로부터 적합한 mRNA 전사체를 만드는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창상 치유성 폴리펩타이드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또는 염기 부가 염을 포함하는 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전술한 염기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 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산은, 무독성의 산 부가 염을 형성하는 산, 즉 그중에서도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드, 니트레이트, 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포스페이트, 산 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락테이트, 시트레이트, 산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바이타르트레이트, 숙시네이트, 말레이트, 퓨마레이트, 글루코네이트, 사카레이트, 벤조에이트, 메탄설포네이트, 에탄설포네이트, 벤젠설포네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및 파모에이트[즉, 1.1'-메틸렌-비스-(2-하이드록시-3 나프토에이트)] 염이다.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 부가 염을 사용하여 폴리펩타이드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형태를 제조할 수 있다. 성질이 산성인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 염을 제조하기 위하여 시약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화학적 염기로는, 이러한 화합물과 무독성의 염기 염을 형성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무독성의 염기 염으로는, 알칼리 금속 양이온(예, 칼슘 및 마그네슘) 및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예, 칼슘 및 마그네슘)과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양이온으로부터 유래된 것, N-메틸글루카민-(메글루민)과 같은 암모늄 또는 수용성 아민 부가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기 아민의 저급 알카놀암모늄과 다른 염기 염들이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물에서, LL-37 또는 이의 단편은 아세테이트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당업자는,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우선 PBS나 에탄올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매질/완충액 중에서 제형화한 다음 창상 관리 물질과 혼합하거나 또는 창상 관리 물질에 적용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본 발명의 창상 관리 제품의 일 예에서, 창상 관리 물질 대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의 중량비는 동일하거나, 또는 10:1 이상, 예컨대, 동일하거나 또는 30:1 이상, 100: 1 이상, 1000:1 이상, 2000:1 이상, 5000:1 이상, 10000:1 이상 또는 50000:1 이상이다. 예로, 창상 관리 물질 대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의 중량비는 동일하거나 10000:1 이상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창상 관리 제품은 하기 성분들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상기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a) 창상 관리 물질은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거나 폴리우레탄 폼으로 구성되며,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LL-37임;
(b) 창상 관리 물질은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을 포함하거나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으로 구성되며,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LL-37임;
(c) 창상 관리 물질은 알기네이트 펠트, 메틸셀룰로스 젤을 포함하거나 알기네이트 펠트, 메틸셀룰로스 젤로 구성되며,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LL-37임;
(d) 창상 관리 물질은 메틸셀룰로스 젤을 포함하거나 메틸셀룰로스 젤로 구성되며,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LL-37임; 및
(e) 창상 관리 물질은 아카시아 하이드로겔(아라비아검)을 포함하거나 하이드로겔(아라비아검)로 구성되며,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LL-37임.
일 특정 예에서, 창상 관리 제품은 LL-37(또는 이의 단편)과 2중 층으로 구성된 지질(예, 갈락토리피드)의 복합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의 다른 예에서, 창상 관리 제품은 항미생물 폴리펩타이드, 예컨대 디펜신(defensin), 그라미시딘 S(gramicidin S), 마가이닌(magainin), 세크로핀(cecropin), 히스타틴(histatin), 히판신(hyphancin), 신나마이신(cinnamycin), 부포린(burforin) 1, 파라신(parasin) 1 및 프로타민(protam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항미생물 폴리펩타이드, 및 모 단백질의 항미생물 활성을 일정 부분 이상 보유하고 있는 그것의 단편, 변이체 및 융합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창상 관리 제품에 대한 다른 예로,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예, LL-37)은 사용하는 중에 서서히 방출된다. 예를 들어, 창상 관리 제품에 포함된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의 50% 미만, 예컨대 40% 미만, 30% 미만, 20% 미만, 10% 미만 또는 5% 미만이 사용한 후 처음 24시간 이내에 방출될 수 있다. 방출율은 하기 실시예에 기술된 방법들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상 관리 제품은 상기 산물의 의도한 목적과 사용되는 구성 물질에 따라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산물은 드레싱 형태로 제공된다. 예로, 산물은 폴리우레탄 폼, 건조한 부직포 시트, 동결건조한 시트, 고형 젤 시트, 리본, 로프 및 점성의 젤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창상 관리 제품은, 사용하기 전에, 무균 상태여야 하며 미생물- 불투과성 용기로 포장되어야 한다. 예로, 창상 관리 제품은 튜브나 그외 적합한 멸균 어플리케이터내에 보관될 수 있다.
무균 상태는 무균 제조 및/또는 최종(즉, 제조 후) 조사에 의한 멸균과 같은 당해 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기법을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당해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창상 관리 제품이 습윤 창상 환경을 유지시키는데 적합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산물은 창상에 수분을 부여하거나 또는 창상로부터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창상 관리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익하게는, 창상 관리 제품은 창상 환경에서 증식하는 미생물을 예방, 제거, 감소 또는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상 관리 제품은 신체의 다양한 부위의 창상에 맞는 크기와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창상 관리 제품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즉, 플랫), 오목하거나 볼록한 형태 등의 창상 드레싱 표면을 제공하도록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창상 관리 제품은 실질적으로 평평(즉, 플랫)하고, 두께(평균 또는 최대)는 20 mm이거나 그 미만, 예컨대, 10 mm, 8 mm, 6 mm, 5 mm, 4 mm, 3 mm, 2 mm 또는 1 m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대한 일 특정 예에서, 창상 관리 제품은 창상에 접하는 면 상에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필름이 부착되는 창상 관리 물질 층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것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창상 관리 물질 층은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 하이드로콜로이드 시트 드레싱, 하이드로겔 시트 또는 비-수계 젤 시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창상 관리 물질 층이 창상의 삼출물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 좋다.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창상 관리 제품의 필름 구성 성분은 창상 관리 물질 층의 표면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필름은 하나 이상의 중간층(intervening layer)이나 필름(하기 참조)을 통해 간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필름은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와 필름 형성 물질을 포함할 것이다. 또한, 필름은 가소제와 염료와 같은 추가적인 성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적합한 필름 형성 물질들은 합성 폴리머, 전분 및 다당류와 같이 당해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예로, 필름은 수계 폴리머 매트릭스, 셀룰로스 유도체,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검, 다당류 및 폴리아세트산 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름은 수용성이다.
필름 조성은 특이적이고 조절가능한 해리 속도를 제공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필름의 해리 시간은 1시간 미만, 예컨대 30분 미만, 20분 미만, 10분 미만 또는 5분 미만(창상 상에서나 수중에서 측정)일 수 있다. 해리 시간은 적합한 필름 형성 물질의 선택을 통해 조절할 수 있으며, 예컨대, 다당류는 분해가 빠르며(10초 미만),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는 중간 수준의 해리 속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약 30초), 옥수수 전분이 가장 느린 해리를 제공한다(> 2분).
통상적으로, 필름의 두께는 1 mm 이하이며, 예컨대 0.8 mm 이하, 0.6 mm 이하, 0.4 mm 이하, 0.2 mm 이하, 0.1 mm 이하 또는 0.05 mm 이하이다.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필름 내부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을 수 있다(예, 폴리펩타이드를 필름 층을 형성하기 전에 수계 폴리머 매트릭스와 같은 필름 형성 물질에 첨가할 수 있음).
예시적인 창상 관리 제품의 필름 구성 성분은 창상 관리 물질 층의 창상와 접하는 면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필름은 창상 관리 물질 층의 한 면의 표면적의 30% 이상, 예컨대,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또는 100%를 덮을 수 있다.
필름은 창상 관리 물질 층의 노출된 가장자리 부분으로 둘러싸인 창상 관리 물질 층의 중간 부분을 덮는 것이 좋다(도 7 참조).
일 예로, 필름은 유공성이다. 필름의 구멍은 창상 관리 물질에서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가 역류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삼출성 창상에 유익하다. 따라서, 구멍은 초기 창상 삼출물이 창상 관리 물질에 흡수되게 하며, 그 후 LL-37은 수용성 필름으로부터 창상로 서서히 방출될 수 있다.
창상 치유력 측면에서 구멍의 면적과 크기를 최적화할 수 있다. 예컨대, 구멍은 필름 표면적에 적어도 10%, 20%, 30%, 40%, 50% 또는 그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각 구멍의 평균 크기는 0.1 mm2 이상, 예컨대 적어도 0.2 mm2, 0.5 mm2, 1 mm2, 2 mm2, 5 mm2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필름은 중간층을 통해 간접적으로 창상 관리 물질 층에 부착된다. 상기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필름 보다 해리 속도가 더 낮다. 예컨대, 중간층의 해리 시간(창상나 수중에서 측정함)은 5분 보다 길 수 있으며, 예컨대 10분, 20분, 30분 또는 60분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중간층 역시 (필름처럼) 유공성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선택적으로, 중간층의 구멍은 필름의 구멍과 일치(즉, 정렬됨)된다. 그러나, 다른 예로, 중간층의 구멍은 필름의 구멍으로 상쇄(offset)될 수 있다.
전술한 창상 관리 제품 디자인에 대한 예시적인 구현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a) 창상과 접촉하게 될 면상에 LL-37을 함유하는 무공성 수용성 필름이 부착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을 포함하는, 창상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는 창상 관리 제품;
(b) 창상과 접촉하게 될 면상에 LL-37을 함유하는 유공성 수용성 필름이 부착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을 포함하는, 창상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는 창상 관리 제품;
(c) 필름이 무공성 수용성 중간층(필름 보다 해리율이 낮음)을 통해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에 간접적으로 부착된, (a) 또는 (b)의 창상 관리 제품; 및
(d) 필름이 유공성 수용성 중간층(필름 보다 해리율이 낮음)을 통해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에 간접적으로 부착된, (a) 또는 (b)의 창상 관리 제품.
이러한 창상 관리 제품 디자인의 예들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창상 치료에 있어서의 전술한 창상 관리 제품의 용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산물은 특히 만성 창상의 치료, 예컨대 정맥 궤양, 당뇨병성 궤양 및 압력 궤양의 치료에 적합하다.
통상적으로, 창상 관리 제품은 창상의 표면에 직접 적용된다. 선택적으로 부수적인 일반 드레싱을 창상 관리 제품의 상단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일부 경우들에서는, 투과성의 항-부착성 드레싱을 창상와 창상 관리 제품 사이에 적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품은 치유 과정을 돕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창상에서 교체되어야 할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전술한 창상 관리 제품을 창상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상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창상 관리 물질과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상 관리 제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창상 관리 물질과 폴리펩타이드를 혼합하여 폴리펩타이드가 창상 관리 물질을 통해 분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창상 관리 물질을 제조하기 전에 또는 제조하는 중에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창상 관리 물질의 노출된 표면에 적용한 후, 상기 창상 관리 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필름을 창상 관리 물질에 부착시키거나 또는 적용한다.
예컨대, 알기네이트 창상 관리 물질을 포함하는 창상 관리 제품의 경우,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창상 관리 물질을 제조하기 전에, 제조하는 중에 또는 제조한 후에 첨가할 수 있다. 따라서, 창상 치유 폴리펩타이드는 부직포 시트의 경우에는 섬유 방적(예, 습식 방적) 공정 전에 첨가할 수 있으며, 동결건조 시트의 경우에는 동결건조 과정 전에 첨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의 수계 또는 비수계 용액은 창상 관리 물질을 제조한 후 적용한 다음 건조 단계(선택적으로 동결건조 또는 진공건조일 수 있음)를 수행할 수 있다.
하이드로파이버 창상 관리 물질을 기본으로 하며 창상 관리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창상 관리 제품의 경우, 창상 관리 물질의 출발 성분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는 알기네이트 창상 관리 물질을 기본으로 한 창상 관리 제품에 대한 전술한 방법과 비슷한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비정질 하이드로겔 창상 관리 물질을 기본으로 하며 창상 관리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창상 관리 제품의 경우, 이는 섬유 방적 또는 건조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다소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폴리펩타이드(선택적으로 이중 층을 형성하는 지질에 복합체화됨)는 젤 형성 폴리머와 용매를 혼합하여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동안이나 제조한 후에 간단하게 첨가할 수 있다.
하이드로겔 시트 창상 관리 물질을 기본으로 하며 창상 관리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포함하는 창상 관리 제품의 경우, 이 역시 좀더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폴리펩타이드(선택적으로 이중 층을 형성하는 지질에 복합체화됨)는, 항상 혼합물이 열경화, 가교 또는 그외 과정에 의해 하이드로겔 시트가 형성되기 전에, 젤 형성 폴리머와 용매(들)를 혼합하는 동안이나 혼합한 후에 첨가할 수 있다.
다중 층의 드레싱을 기본으로 한 창상 관리 제품의 경우(도 7에 나타낸 경우), 창상 관리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필름을 별도로 만든 다음 이를 창상 관리 물질 층에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창상 관리 물질 층 상에, 분무-코팅, 스크린 프린팅/롤러-코트 키싱(roller-coat kissing), 초음파 분무 및 그외 당해 분야에 공지된 다른 기법으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5측면은 전술한 바에 따른 창상 관리 물질과 전술한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창상 관리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측면은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에서 설명된다:
도 1. PU 폼으로부터 LL -37 수용액 또는 에탄올 용액의 방출
PBS 또는 에탄올에 용해된 LL-37을 25 ㎍ LL-37/cm2의 농도로 PU 폼 상에 흡수시켰다. 각 제조물을 1 x 1 cm 크기의 조각으로 자른 다음 3 ml PBS가 담긴 유리 바이알에 넣고, 24시간 동안 교반하에 인큐베이션하였다. 다양한 시간대(10, 20, 45, 120 분 및 24 시간)에, 샘플 100 ㎕을 취하여, ELISA로 용액 중에 방출되는 LL-37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용액 중의 LL-37 방출율%로 나타낸다.
도 2.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창상 치유 드레싱으로부터 LL -37의 방출
PBS(100 ㎍/ml으로 250 ㎕)에 용해한 LL-37을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여러가지 창상 치유 제품의 ~1cm2에 상단에 가하였다. 이 물질을 건조시킨 후, 24시간 인큐베이션한 다음 3 ml PBS - 1% BSA 중에서 LL-37의 방출을 평가하였다.
도 3. 건조 및 재수화한 젤에서의 PBS - 1% BSA 중의 LL -37의 방출
LL-37 수용액(100 ㎍/ml)을 5% K-카라기난, 1% 메틸 셀룰로스, 5% 아라비아검 및 1.6% 하이드록시프로필(HP) 셀룰로스와 혼합하였다. 기지량의 젤을 유리 표면에 코딩하고, 건조시킨 후 1% BSA를 포함하는 PBS 3 ml로 수화하였다. 젤에서 방출되는 LL-37의 양을 ELISA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1% BSA를 포함하는 PBS 3 ml로 재수화하는 용액 중의 LL-37 방출율%로 나타내었다. 젤에서의 LL-37 방출량을 ELISA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용액 중의 LL-37 방출율%로 나타내었다.
도 4. 여러가지 젤: LL -37 비율로 구성된 건조 및 재수화한 메틸 셀룰로스 젤에서의 LL -37의 방출
다양한 중량:중량 비(300:1, 30:1, 및 3:1)를 만들기 위해, LL-37 수용액(100 ㎍/ml)을 다양한 양의 1% 메틸 셀룰로스와 혼합하였다. 대조군으로서, LL-37을 젤을 사용하지 않고 이용하였다(0:1). 기지량의 젤로 유리 표면을 코딩하고, 건조시킨 후 1% BSA를 포함하는 PBS 3 ml로 수화하였다. 젤로부터 방출되는 LL-37의 양을 ELISA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1 % BSA를 포함하는 PBS 3 ml로 재수화하는 용액 중의 LL-37 방출율%로 나타내었다. 젤의 LL-37 방출량을 ELISA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용액 중의 LL-37 방출율%로 나타내었다.
도 5. 인간 PBMC 의 다양한 방출 샘플에 대한 주화성( chemotaxis )
인간 PBMC를 Ficoll을 이용하여 신선한 혈액으로부터 분리하여, RPMI-1% BSA에 재현탁하였다. 세포(5 x 105 cells/ml)가 PBS-1% BSA 중에 150 ㎕ 방출 샘플 쪽으로 15시간 동안 이동하게 두었다. 그런 후, 이동한 세포 모두 수거하여, DNA를 형광 염료로 염색한 다음 형광을 측정하였다. 각 조건은 4세트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상대적인 형광 단위(RFU) 및 표준 편차로 나타낸다. LL-37을 포함하지 않는 대조군 샘플은 백색 막대로 나타낸다. 전체 샘플 표기는 표 1을 참조한다. * 대응되는 음성 대조군을 사용하였을 때, 2-tail, 이분산성 t-테스트에서, p<0.05. 막대의 숫자는 ELISA로 측정한 LL-37의 농도(ng/ml)이다.
도 6. 인간 PBMC 의 다양한 방출 샘플에 대한 주화성
인간 PBMC를 Ficoll을 이용하여 신선한 혈액으로부터 분리하여, RPMI-1% BSA에 재현탁하였다. 주화성 분석을 도 5와 같이 수행하였다. LL-37을 포함하지 않는 대조군 샘플은 백색 막대이다. 전체 샘플 표기는 표 1을 참조한다. * 대응되는 음성 대조군을 사용하였을 때, 2-tail, 이분산성 t-테스트에서, p<0.05. 막대의 숫자는 ELISA로 측정한 LL-37의 농도(ng/ml)이다.
도 7. 본 발명의 창상 관리 제품에 대한 예시적인 구현예들
(A) LL-37을 포함하는 수용성 필름의 한 면에 창상 케어 물질 층(예, PU 폼)이 부착되어 있는 간단한 드레싱제의 평면도 및 측면도. 주: 드레싱제를 일정한 비율로 그린 것이 아님(예, 필름 두께가 과장됨).
(B) 유공성 필름의, (A)의 간단한 드레싱제에 대한 변형 버전의 평면도와 측면도. 필름의 구멍을 통해 창상 관리 물질에 의한 창상 삼출물의 초기 흡수와 이후의 필름에서의 LL-37의 방출을 나타낸 개략적 다이어그램.
(C) 필름 층과 창상 관리 물질 층이 LL-37을 포함하는 필름 보다 해리 속도가 낮은 개재 필름 층을 통해 부착된, (A)의 간단한 드레싱제에 대한 또다른 변형 버전의 평면도와 측면도.
실시예 : LL -37의 제형화 , 다양한 장치로부터 이의 방출 평가 및 이의 생물학적 활성 측정
서론
LL-37은 카텔리시딘이라고 하는 인간 항균 펩타이드에 속하는 유일한 물질이다. LL-37은 다양한 세포 타입과 조직들에서 발현되는 인간 hCAP18 단백질로부터 파생된다(Durr, Sudheendra et al. 2006). LL-37은 광범위한 항균 스펙트럼과는 별개로, 숙주 방어에 있어 폭 넓은 역할을 수행하며 또한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현재 명확하게 입증되었다(예, Kai-Larsen and Agerberth 2008 and WO 2004/067025).
본 발명의 일 예에서, 난치성 또는 개방형 창상을 앓고 있는 환자용 클래스 III의 의료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의료 장치는 합성 제조한 LL-37-함유 제형이 피복/함침/프린트된 드레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재료 및 방법
LL -37의 제형화
폴리우레탄 폼에 LL -37 흡수
LL-37을 에탄올이나 PBS에 용해한 후, 현탁물 1 ml을 폴리우레탄(PU) 폼(Brightwake, Kirkby-in-Ashfield, United Kingdom) 2x2 cm 조각 위에 떨어뜨렸다. 이 샘플은 중량이 더이상 감소되지 않는 것으로 측정될 때까지 실온(RT)에서 건조시켰다. 별도로 언급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LL-37 용액은 100 ㎍/ml을 사용하여 25 ㎍ LL-37/cm2의 농도가 되게 하였다.
또한, LL-37을 2x2 cm PU 폼 상에 적용하기 전에 다양한 부형제와 혼합하였다. PBS에 용해시킨 LL-37을 갈락토리피드 건조물에 첨가하고, 수득되는 분산물을 1시간 동안 활발하게 흔들었다. 갈락토리피드의 농도는 0.2 %(w/w)였다. 물에 용해시킨 LL-37은 수 중에 25% 폴록사머(Lutrol F127)로 이루어진 미리 형성된 젤에 첨가하였다. 수득되는 혼합물 약 1 g을 약 10분간 약 60 ℃로 가열하여, 알코올을 증발시켰다. 그런 후, 이 제형을 PU 2x2 cm 조각에 스파튤러로 적용하였다. 수분 함유 제형의 경우에는, PU 폼을 RT에서 24시간 이상 건조시켰다.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창상 치유 제품에 LL -37 적용/흡수시킴
PBS에 용해시킨 LL-37(250 ㎕, 100 ㎍/ml)을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여러가지 창상 치유 제품 ~1cm2 위에 가하였다: Duoderm (Convatec), Mepilex (Molnlycke Health care), Melolin (Smith&Nephew), 알기네이트 펠트 및 하이드로콜 (AG Hartmann) (LL-37 50 ㎕만 첨가함). 이들 물질들을 RT에서 18시간 건조한 후, 37 ℃에서 2시간 건조시켰다. 각 샘플에서의 LL-37의 방출은 PBS 또는 1% BSA를 포함하는 PBS 3 ml을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테스트하였다.
유리 표면 위에서의 LL -37 용액 및 젤 형성 부형제 혼합물의 증발
LL-37 수용액(100 ㎍/ml)을 1.6% 하이드록시프로필(HP) 셀룰로스(Apoteket, Stockholm, Sweden), 5% K-카라기난(Sigma, Stockholm, Sweden), 1% 메틸 셀룰로스(Apoteket), 5% 아라비아검 GO0020 (Scharlau)과 혼합하였다. 기지량의 젤을 유리표면에 코팅한 후 RT에서 24시간 후 37 ℃에서 3시간 건조시켰다. 이후, 젤을 재수화시킨 다음, 각 바이알에 PBS 또는 1% BSA를 포함하는 PBS 3 ml을 첨가한 후 LL-37 방출을 조사하였다.
다양한 장치로부터 LL -37의 방출
코팅된 PU 폼으로부터 LL-37을 방출시키기 위해, 샘플 1x1 cm을 잘라, 각 샘플에 존재하는 LL-37의 양을 계산하기 위해 무게를 측정하였다. 각 PU 폼 샘플을 3 ml PBS가 든 15 ml의 유리 바이알에 넣고, 6 rpm으로 계속 교반하면서 지정된 시간 동안 RT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다양한 시간 간격(10, 20, 45, 120 분, 및 24 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해 100 ㎕의 방출 샘플을 회수하고, 신선한 PBS 100 ㎕을 대신 넣었다. 방출 샘플은 분석하기 전까지, 통상 24시간 동안 4 ℃에서 보관하였다.
LL-37을 포함하는 젤로 코팅된 유리로부터 LL-37을 방출시키기 위해, 각 바이알에 PBS 3 ml을 넣고, 24시간 후 샘플을 취하여 상기 샘플과 마찬가지로 처리하였다.
LL-37을 포함하는 시판되는 창상 치유 제품으로부터 LL-37을 방출시키기 위해, 각 바이알에 PBS 3 ml을 넣고, 24시간 후 샘플을 취하여 상기 샘플과 마찬가지로 처리하였다.
방출은, 방출 용액내 총 LL-37의 양을 샘플에 적용된 LL-37의 양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의료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인간 LL -37의 검출 및 정량
린드그린과 동료(Lindgreen 2004)들에 의해 개발된 프로토콜을 기초로 한 효소 연계성 면역흡착 분석(ELISA)를 이용하여, LL-37을 검출 및 정량하였다. 결합력이 중등도인 96웰 플레이트(Greiner Bio-one, Frickenhausen Germany)에, 200 ㎕ 코딩 완충액(0.1M 바이카르보네이트 완충액, pH 9.0) 중의 토끼 IgG 항-LL-37 항체(Agrisera, Vannas, Sweden) 5 ㎍/ml를 2-8 ℃에서 18-24시간 동안 코팅하였다. 플레이트를 세정 완충액(0.01 M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7.2, 0.145 M NaCl, 및 0.2% Tween 20) 200 ㎕로 3번 헹구고, 블록킹 용액(0.5 M Tris-HCl, pH 7.5 중1% 소 혈청 알부) 200 ㎕로 블록킹한 다음 상기와 같이 헹구었다. LL-37 표준물질(6.25-2,000 ng/ml)과 샘플(50 ㎕)을 각 웰에 2세트로 첨가한 후, 희석 완충액(0.01 M PBS, 0.145 M NaCl, 0.1% Tween 20 및 0.1% BSA) 150 ㎕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2-8℃에서 18-24시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이를 헹군 다음, 200 ㎕ 호르세라디쉬 페록시다제(POD)-접합된 암닭 IgY 항-LL-37(희석 완충액에 1/200로 희석)(Agrisera)을 첨가하였다. 계속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5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샘플을 헹구고, 100 ㎕ Color Reagent A 및 100 ㎕ Color Reagent B (TMB)(R&D Systems, Abingdon, United Kingdom)를 첨가하여 30분간 발색시켰다. 반응은 50 ㎕의 1 M 황산을 첨가하여 중지시키고, 즉시 분석용 SoftMax 프로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VERSAmax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인간 말초 혈액 단핵구 세포의 분리
말초 혈액 단핵구 세포(PBMC)를 Ficoll-Paque Plus (GE Healthcare, Uppsala, Sweden) 원심분리에 의해 정맥혈(K2 EDTA 상에서 수집)로부터 분리하였다. 간략하게는, 혈액(30-50 ml)을 실온(RT)에서 Ca2 +/Mg2 +-프리 포스페이트 완충화된 염수(PBS, Invitrogen, Merelbeke, Belgium)로 2회 희석하고, 희석한 혈액 30 ml을 15 ml의 Ficoll-Paque Plus 상단에 적층하였다. 340 g로 RT에서 30분 원심분리한 후, 단핵구 세포에 해당되는 밴드를 뽑아내, 세포를 PBS로 2번 헹군 다음 글루타맥스와 100 U/ml의 페니실린(Invitrogen), 100 ㎍/ml 스트렙토마이신(Invitrogen) 및 1% 소 혈청 알부민(BSA, Sigma, Stockholm, Sweden)이 첨가된 RPMI 1640 배지(Invitrogen)에 재현탁하였다.
주화성 분석
주화성은 3 ㎛의 멤브레인 인서트가 장착된 QCM™ 주화성 96-웰 플레이트를 이용하고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간략하게는, 150 ㎕의 화학 유인 물질 테스트 샘플을 각 웰의 하단 챔버에 넣고, 100 ㎕의 세포 현탁액(5x105 또는 1x106 cells/ml)를 상단 챔버에 넣었다. 인터루킨-8(IL-8, R&D Systems)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고(10 및 100 ng/ml), RPMI-1% BSA 또는 PBS-1% BSA를 랜덤 이동을 평가하기 위한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화학 유인 물질 샘플을 1% BSA가 추가로 첨가되는 PBS나 RPMI-1% BSA 중에 준비하였다. 37 ℃ 및 5% CO2에서 1.5 또는 3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이동된 세포를 하단 챔버 인서트로부터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회수하였다. 세포를 용혈시킨 후 그린 형광 염료(CyQuant GR dye, Molecular Probes)로 15분간 실온에서 염색하였다. 세포 용혈물(150 ㎕)을 평평한 바닥의 96웰 불투명 마이크로플레이트(PerkinElmer, Upplands Vasby, Sweden)로 이동시키고, Wallac 1420 플루오레센트 플레이트 리더(Perkin Elmer)로 485/535 nm (1.0 s 측정 시간)에서 형광을 판독하였다. 결과는 상대적인 형광 단위(RFU) 평균으로 나타내거나, 백그라운드 RFU를 뺀 다음 각 샘플의 평균 RFU를 적절한 음성 대조군의 평균 RFU로 나눈 주화성 인덱스로 변환하였다.
시약들
인간 카텔리시딘 항균 펩타이드 LL-37(batches 990/37/A 및 1013) (LLGDFFRKSKEKIGKEFKRIVQRIKDFLRNLVPRTES [서열번호 1])을 Polypeptide Laboratories A/S(Hillerod, Denmark)에서 구입하였다. 별도로 언급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배치 1013을 모든 제형 실험에 사용하였고, 배치 990/37/A는 ELISA에서 표준 곡선 작성에 사용하였다. 펩타이드는 1x PBS 중에 1 mg/ml으로 재구성한 다음, 나누어 사용하기 전까지 -20 ℃에 보관하였다.
결과
LL -37의 제형화
LL-37은 수계 또는 비수계 용액 중에 준비한 다음, 다양한 지지체에 흡수시키거나 또는 젤과 혼합하였다.
LL-37 용액(PBS 또는 에탄올 중)을 PU 폼에 흡수시켰을 때, PU 폼의 변화는 가시적으로 검출되지 않았으며, LL-37을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된 액체 모두 실온에서 2-3일 후 쉽게 제거되었다.
LL-37은 Duoderm 및 hydrocoll을 제외하고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창상 치유 산물들 모두에 흡수되었다. hydrocoll의 경우, LL-37 용액은 보다 적은 량이 사용되었으며, 샘플의 상단에서 성공적으로 건조되었으며, 막 상에 염과 같은 스팟이 생겼다. 알기네이트 샘플은 건조 후 딱딱해졌지만, 다른 2종의 물질들은 형태가 변하지 않았다.
모든 젤들은 어떠한 침전물을 형성하지 않으면서(육안 검사) LL-37 용액과 혼합가능하였다.
LL -37은 폴리우레탄 폼 및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창상 치유 드레싱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우선 PBS, 에탄올 또는 갈락토리피드 중의 LL-37 제형을 제조한 후 PU 폼에서의 LL-37의 방출을 평가하였다. 25 ㎍ LL-37을 포함하는 각 PU 폼 1x1 cm 조각을 교반 조건 하에서 3 ml PBS 중에 인큐베이션한 다음, 다양한 시간대(10분, 20분, 45분, 120분 및 24시간)에 샘플을 취하여 ELISA로 LL-37의 존재를 측정하였다. 도 1에 나타낸 결과들은, 펩타이드를 PBS 또는 에탄올 중에 제형화하였을 때 PU 폼으로부터 LL-37의 빠른 방출이 이루어짐을 입증하였다. 방출은 24시간 후에 30%의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LL-37을 갈락토리피드(에탄올 또는 PBS 용액) 또는 폴록사머(Lutrol) 중에 각각 제형화하였을 때 방출은 검출되지 않거나 매우 낮았(1%)다(데이타 미기재).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창상 치유 드레싱제에 적용하였을 때, PBS에 제형화한 LL-37 역시 방출가능하였다(도 2). 최적의 방출은, 다른 드레싱제의 25 ㎍/cm2인 경우와 비교하여, 5 ㎍ LL-37/cm2이 포함된 Hydrocoll 제품(24시간 후 방출율 25%)에서 관찰되었다. 상기 다른 드레싱제 알기네이트 펠트(Alginate Felt), 메필렉스(Mepilex) 및 멜로딘(Melodin)은 각각 약 10, 5 및 2% LL-37 방출율을 보였다.
LL -37은 건조 및 재수화한 젤- 혈성 부형제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LL-37 수용액(100 ㎍/ml)을 다양한 젤 형성 제품과 혼합하여, 유리 표면에 코팅한 다음, 건조시키고, 다시 3 ml의 PBS에 24시간 재수화하였다. 각 재수화한 젤내의 LL-37의 존재는 ELISA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다양한 함량의 LL-37인 여러가지 젤로부터 방출되었으며, 메틸 셀룰로스가 LL-37 방출율이 가장 높은(32%) 젤이었다.
젤의 양이 LL-37의 방출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평가하기 위해, 젤 : LL-37의 비를 다양하게 하여 유리 바이얼을 코팅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도 4). 각 경우에, 메틸 셀룰로스 젤을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서, LL-37 단독(0:1)을 유리 바이얼 상에서 건조시켰다. 건조시킨 젤을 1 % BSA가 포함된 3 ml의 PBS로 재수화한 후, ELISA로 LL-37의 존재를 측정하였다. 놀랍게도, 젤 양이 많을수록, LL-37의 방출도 많은 것으로 관찰되어(거의 방출율 20%), LL-37 용액에 젤 첨가가 유해하지 않으며 장치/지지체(여기에서는 유리)로부터의 방출에 실제 우호적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메틸 셀룰로스의 첨가는 LL-37을 PBS에 첨가하고 건조한 후 방출 실험을 실시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고형 지지체로부터의 LL-37의 방출을 증가시킨다.
방출되는 LL -37은 그것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하고 있다.
일단 다양한 장치로부터 방출된 LL-37의 기능성을 LL-37의 인간 세포 유인력을 평가하는 주화성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주화성은, 정상적인 창상 치유 과정 중 초기 단계에 염증 세포의 동원이 이루어지므로(Shai and Maibach 2005), 창상 치유를 연구하는데 중요하며 관련있는 기능이다. 또한, LL-37은 주화력 등의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낸다(Kai-Larsen and Agerberth 2008).
몇가지 방출 샘플들(표 1)을 1.5시간 인큐베이션한 후의 PBMC(5x105 cells/ml)를 유인하는 능력에 대해 조사하였다.
주화력을 평가한 샘플 리스트
명칭 설명*
PU 폴리우레탄(PU) 폼
PU+LL-37 (#2) PBS에 용해된 32 ㎍/cm2 LL-37로 코팅된 PU폼, 샘플 #2
PU+LL-37 (#2, 1:4) PBS에 용해된 32 ㎍/cm2 LL-37로 코팅된 PU폼, 샘플 #2, 1/4 희석
PU+LL-37 PBS에 용해된 12 ㎍/cm2 LL-37로 코팅된 PU폼, 샘플 #3
PU-lutrol 폴록사머(lutrol L127)에 용해한 PBS로 코딩된 PU 폼
PU-lutrol + LL-37 폴록사머(lutrol L127)에 용해된 25 ㎍/cm2 LL-37로 코팅된 PU폼
HP 하이드록시프로필(HP) 셀룰로스 젤(4 mg/ml, PBS 중)
메틸 cell. + LL-37 25 ㎍ LL-37을 포함하는 메틸 셀룰로스 젤(메틸 : LL-37 = 300:1)
아라비아검 아라비아검 젤
아라비아검 + LL-37 25 ㎍ LL-37을 포함하는 아라비아검 젤(검:LL-37 = 1500:1)
* 샘플의 전체 설명은 재료 및 방법 섹션의 "Formulation of LL -37" 을 참조함.
도 5의 결과들은, PBS 중의 LL-37로 코팅된 PU 폼 또는 LL-37과 혼합한 아라비아검으로부터 방출되는 시료들이 무처리 PU 또는 비변형 아라비아검 각각으로부터 방출되는 시료에 비해, PBMC을 현저하게 강하게 유인함을 나타낸다. LL-37 함유성 폴록사머(lutrol)가 코팅된 PU 폼은 주화성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지만, 증가는 유의하진 않았다(p=0.054). 이러한 결과는, 폼에 코팅되거나 젤로 제형화된 LL-37이 현탁물 중에 LL-37을 방출시킬 수 있으며, 방출되는 펩타이드는 그것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들을 검증하고 공여체-특이적인 결과를 배제하기 위해, 여러 공여체로부터 수득한 혈액을 이용하여 2번째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 PBS 중의 LL-37이 흡수되어 있는(25 ㎍ LL-37/cm2) 2가지 PU 폼으로부터의 방출을 평가하였다(도 6). 하나의 샘플은 LL-37이 다량 포함(4,500 ng/ml)된 것으로 확인되었기에, 이의 희석물(1/4)로 주화성을 평가하였다.
결론
결과들은, 생물학적 활성인 LL-37이 수분 함유성 용액과 접촉하였을 때 미리 부하하여 건조시킨 드레싱제로부터 방출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드레싱제로부터의 생활성의 LL-37의 방출은 3 ㎛ 크기의 구멍을 통한 활발한 이동에 의해 본원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백혈구의 작용을 증대시킨다.
참고문헌
Carretero, M., M. J. Escamez, et al. (2008). "In vitro and in vivo wound healing-promoting activities of human cathelicidin LL-37." J Invest Dermatol 128(1): 223-36.
De, Y., Q. Chen, et al. (2000). "LL-37, the neutrophil granule- and epithelial cell-derived cathelicidin, utilizes formyl peptide receptor-like 1 (FPRL1) as a receptor to chemoattract human peripheral blood neutrophils, monocytes, and T cells." J Exp Med 192(7): 1069-74.
Durr, U. H., U. S. Sudheendra, et al. (2006). "LL-37, the only human member of the cathelicidin family of antimicrobial peptides." Biochim Biophys Acta 1758(9): 1408-25.
Heilborn, J. D., M. F. Nilsson, et al. (2003). "The cathelicidin anti-microbial peptide LL-37 is involved in re-epithelialization of human skin wounds and is lacking in chronic ulcer epithelium." J Invest Dermatol 120(3): 379-89.
Kai-Larsen, Y. and B. Agerberth (2008). "The role of the multifunctional peptide LL-37 in host defense." Front Biosci 13: 3760-7.
Kaplan, S. S., R. E. Basford, et al. (1990). "Biomaterial associated impairment of local neutrophil function." ASAIO Trans 36(3): M172-5.
Lindgreen, P. (2004). "Development of LL37 ELISA for LL37 Quantificationi n Human and Minipig Serum (R8)." 76.
Nagaoka, I., H. Tamura, et al. (2006). "An antimicrobial cathelicidin peptide, human CAP18/LL-37, suppresses neutrophil apoptosis via the activation of formyl-peptide receptor-like 1 and P2X7." J Immunol 176(5): 3044-52.
Shai, A. and H. I. Maibach (2005). Wound healing and ulcers of the skin, Springer.
Shaykhiev, R., C. Beisswenger, et al. (2005). "Human endogenous antibiotic LL-37 stimulates airway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wound closure."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289(5): L842-8.
Sieber, V. K., W. R. Otto, et al. (1995). "Cytotoxicity of wound dressing materials assessed using cultured skin equivalents." Burns 21(4): 249-54.
Tokumaru, S., K. Sayama, et al. (2005). "Induction of keratinocyte migration via transactivation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by the antimicrobial peptide LL-37." J Immunol 175(7): 4662-8.

Claims (92)

  1. 창상 관리 물질과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창상 관리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가 LL-3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물질이 알기네이트, 비정질 하이드로겔, 시트형의 하이드로겔, 하이드로파이버, 폼, 하이드로콜로이드, 콜라겐계 물질, 히알루론산계 물질, 덱스트라노머, 덱스트리노머/카덱소머, 산화된 재생 셀룰로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물질이 알기네이트를 포함하거나 알기네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5. 제4항에 있어서, 건조된 부직포 시트, 동결건조된 시트, 리본 또는 로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제품이 고삼출성 창상을 치료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물질이 비정질 하이드로겔을 포함하거나 비정질 하이드로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록사머 블록 공중합체 등의 합성 폴리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실-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및 에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 에테르와 같은 반합성 폴리머; 아카시아, 카라기난, 키토산, 펙틴, 전분, 잔탄검 등의 천연 검; 및 알기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하이드로겔-형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하이드로겔-형성 폴리머가 수계 용매에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 용매가 물, 염수, 완충액 및 물/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하이드로겔-형성 폴리머가 비수계 용매에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계 용매가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이 점성 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14.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이 튜브 또는 어플리케이터에 담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15.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제품이 비삼출성 창상의 치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물질이 시트형의 하이드로겔을 포함하거나 시트형의 하이드로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록사머 블록 공중합체 등의 합성 폴리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실-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및 에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 에테르와 같은 반합성 폴리머; 아카시아, 카라기난, 키토산, 펙틴, 전분, 잔탄검 등의 천연 검; 및 알기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하이드로겔-형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이 메틸 셀룰로스를 포함하거나 메틸 셀룰로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이 아카시아(아라비아검)를 포함하거나 아카시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물질이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을 포함하거나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제품이 비삼출성 창상의 치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2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물질이 하이드로파이버를 포함하거나 하이드로파이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파이버가 카르보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하거나 카르보메틸셀룰로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2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물질이 폼(foam)을 포함하거나 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폼이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거나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카텔리시딘이거나 또는 카텔리시딘 모 화합물의 창상 치유 특성을 일정 부분 이상 가지고 있는 카텔리시딘의 단편, 변이체 또는 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카텔리시딘이 인간 양이온성 항균 단백질(hCAP18) 및 이의 C-말단 펩타이드 LL-37, PR39, 프로페닌(prophenin) 및 인돌리시딘(indolicid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LL-37이거나 또는 LL-37의 창상 치유 특성을 일정 부분 이상 가지고 있는 LL-37의 단편, 변이체 또는 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LL-36, LL-35, LL-34, LL-33, LL-32, LL-31, LL-30, LL-29, LL-28, LL-27, LL-26, LL-25, LL-24, LL-23, LL-22, LL-21 및 LL-2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LL-37의 단편이거나 상기 단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아세테이트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PBS 또는 에탄올 중에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치유 물질 : 창상 치유 특징을 가진 폴리펩타이드의 비가 10:1 이상, 예컨대 30:1, 100:1, 1000:1, 2000:1, 5000:1, 10000:1 또는 50000: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치유 물질 : 창상 치유 특징을 가진 폴리펩타이드의 비가 30:1 이상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물질이 메틸셀룰로스 젤을 포함하거나 메틸셀룰로스 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35.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가 LL-3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36.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린 물질이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거나 폴리우레탄 폼으로 구성되며, 상기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LL-3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37.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물질이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을 포함하거나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으로 구성되며, 상기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LL-3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38.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물질이 알기네이트 펠트를 포함하거나 알기네이트 펠트로 구성되며, 상기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LL-3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39.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물질이 메틸셀룰로스 젤을 포함하거나 메틸 셀룰로스 젤로 구성되며, 상기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LL-3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40.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물질이 아카시아 하이드로겔(아라비아검)을 포함하거나 아카시아 하이드로겔로 구성되며, 상기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는 LL-3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41.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항균 폴리펩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폴리펩타이드는 디펜신(defensin), 그라미시딘 S(gramicidin S), 마가이닌(magainin), 세크로핀(cecropin), 히스타틴(histatin), 히판신(hyphancin), 신나마이신(cinnamycin), 부포린(burforin) 1, 파라신(parasin) 1 및 프로타민(protamine), 및 모 단백질의 항균 활성을 일정 부분 이상 보유하고 있는 그것의 단편, 변이체 및 융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43.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가 사용시 서서히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제품에 포함된 상기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의 50% 미만, 예컨대 40%, 30%, 20% 10% 또는 5% 미만이 처음 사용 후 24시간 이내에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45. 제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건조한 부직포 시트, 동결건조한 시트, 고형 젤 시트, 리본, 로프, 폼 및 점성의 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46. 제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제품은 무균이며, 미생물- 불투과성 용기로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불투과성 용기는 튜브나 그외 어플리케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48. 제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제품이 습윤 창상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49. 제48항에 있어서, 창상 환경에 수분을 부가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50. 제48항에 있어서, 창상 환경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51. 제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제품이 창상 환경에서 증식하는 미생물을 예방, 제거, 감소 또는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52. 제1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제품이 창상 상피 및/또는 창상 기질의 상피 재생 및/또는 치유를 강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53. 제1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제품이 상피 및/또는 기질 세포의 증식 및/또는 이동을 비용혈성 메카니즘을 통해 강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54. 제1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제품은 창상에 맞는 크기와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55. 제1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제품이 실질적으로 평평(즉, 플랫)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56. 제55항에 있어서, 20 mm 이하, 예컨대, 10 mm, 8 mm, 6 mm, 5 mm, 4 mm, 3 mm, 2 mm 또는 1 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57. 제1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창상에 접하는 면 상에 부착되는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필름이 부착되는 창상 관리 물질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58. 제 57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물질 층이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 하이드로콜로이드 시트 드레싱, 하이드로겔 시트 또는 비-수계 젤 시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59. 제57항 또는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물질 층이 창상 삼출물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60. 제57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상기 창상 관리 물질 층의 표면에 직접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61. 제57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하나 이상의 중간층(intervening layer)을 통해 간접적으로 창상 관리 물질 층의 창상에 접하는 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62. 제57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수용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63. 제57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두께가 1 mm 이하, 예컨대 0.8 mm 이하, 0.6 mm 이하, 0.4 mm 이하, 0.2 mm 이하, 0.1 mm 이하 또는 0.05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64. 제57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상기 창상 관리 물질 층의 한 면의 (전체가 아닌) 일부만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창상 관리 물질 층의 노출된 가장자리 부분으로 둘러싸인 창상 관리 물질 층의 중간 부분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66. 제57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유공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67.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이 바람직하게는 창상 치유 특징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필름 보다 해리 속도가 느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68. 제6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중간층이 유공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들)의 구멍이 필름의 구멍과 일치(즉, 정렬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70.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들)의 구멍은 필름의 구멍으로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71. 제57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하기 (a) 내지 (d)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관리 제품:
    (a) 창상과 접촉하게 될 면상에 LL-37을 함유하는 무공성 수용성 필름이 부착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을 포함하는, 창상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는 창상 관리 제품;
    (b) 창상과 접촉하게 될 면상에 LL-37을 함유하는 유공성 수용성 필름이 부착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을 포함하는, 창상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는 창상 관리 제품;
    (c) 필름이 무공성 수용성 중간층(필름 보다 해리율이 낮음)을 통해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에 간접적으로 부착된, (a) 또는 (b)의 창상 관리 제품; 및
    (d) 필름이 유공성 수용성 중간층(필름 보다 해리율이 낮음)을 통해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에 간접적으로 부착된, (a) 또는 (b)의 창상 관리 제품.
  72. 창상 치료에 있어 제1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창상 관리 제품의 용도.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이 만성 창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만성 창상은 정맥 궤양, 당뇨병성 궤양 및 압력 궤양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75. 제72항 내지 7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관리 제품이 창상의 표면에 직접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76. 창상에 제1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창상 관리 제품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상의 치료 방법.
  77. 창상 관리 물질과 창상 치유 특징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창상 관리 물질의 제조 방법.
  78. 제77항에 있어서, 폴리펩타이드가 창상 관리 물질을 통해 분산되도록 창상 관리 물질과 창상 치유 특징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79. 제77항에 있어서, 창상 관리 물질의 노출된 표면에 창상 치유 특징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0. 제77항에 있어서, 알기네이트 창상 관리 물질을 포함하는 창상 관리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창상 관리 물질을 제조하기 전에, 제조하는 중에 또는 제조한 후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의 제조 방법.
  81. 제77항에 있어서, 알기네이트 창상 관리 물질을 포함하는 창상 관리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창상 관리 물질의 제조 후에 적용한 후 건조 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2. 제77항에 있어서, 하이드로파이버 창상 관리 물질을 포함하는 창상 관리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창상 관리 물질의 제조 전이나 제조하는 동안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3. 제77항에 있어서, 하이드로파이버 창상 관리 물질을 포함하는 창상 관리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창상 관리 물질의 제조 후에 적용한 후 건조 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4. 제77항에 있어서, 비정질 하이드로겔 창상 관리 물질을 포함하는 창상 관리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젤-형성 폴리머와 용매를 혼합하여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중에 또는 제조한 후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5. 제77항에 있어서, 하이드로겔 시트 창상 관리 물질을 포함하는 창상 관리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창상 치유 특성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하이드로겔 시트 형성 전 젤-형성 폴리머와 용매의 혼합 단계 중에 또는 혼합 단계 후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6. 제77항에 있어서, 창상 치유 특징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필름을 창상 관리 물질 층의 일 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7.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창상 관리 물질과, 제26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창상 치유 특징을 가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창상 관리 키트.
  88. 명세서와 도면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창상 관리 제품.
  89. 명세서와 도면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제1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창상 관리 제품의 용도.
  90. 명세서와 도면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창상의 치료 방법.
  91. 명세서와 도면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제1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창상 관리 제품의 제조 방법.
  92. 명세서와 도면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창상 관리 키트.
KR1020107001436A 2007-06-25 2008-06-25 신규한 의약제 KR201000490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2937207P 2007-06-25 2007-06-25
US60/929,372 2007-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039A true KR20100049039A (ko) 2010-05-11

Family

ID=4018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436A KR20100049039A (ko) 2007-06-25 2008-06-25 신규한 의약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00178320A1 (ko)
EP (1) EP2173389A2 (ko)
JP (1) JP2010531189A (ko)
KR (1) KR20100049039A (ko)
CN (1) CN101720237A (ko)
AU (1) AU2008269575A1 (ko)
CA (1) CA2691645A1 (ko)
WO (1) WO2009001087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3133A (ko) * 2012-03-23 2015-02-04 아미크로베, 인코포레이티드. 조직-적합성 특성을 갖는 항균물질의 조성물 및 용도
KR20160060519A (ko) * 2014-11-20 2016-05-3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상치료용 알긴산 하이드로젤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8914A (ko) * 2013-11-19 2016-07-26 리포펩타이드 아베 새로운 만성 궤양 치료제
KR20190114662A (ko) * 2018-03-30 2019-10-1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프로바이오틱스 함유 이중층 상처치유 드레싱제 및 그 제조방법
US11285189B2 (en) 2017-04-06 2022-03-29 Amicrobe, Inc. Compositions and uses of locally-applied antimicrobial synthetic cationic polypeptide(s) with enhanced performance and safety
KR20220049982A (ko) * 2020-10-15 2022-04-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펩타이드 ll-37을 발현하는 효모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24986D0 (en) * 2002-10-28 2002-12-04 Smith & Nephew Apparatus
GB0821687D0 (en) * 2008-11-28 2008-12-31 Secr Defence Peptides
CN102988274B (zh) * 2010-09-08 2015-01-28 上海市肿瘤研究所 用于治疗肿瘤的药物缓释血管栓塞凝胶剂及其制备方法
WO2012145680A2 (en) * 2011-04-21 2012-10-26 George Mason Intellectual Properties, Inc. Anti-microbial peptides and uses therefore
US20130209592A1 (en) * 2012-02-13 2013-08-15 Steven C. Denstman Plant Extract Bas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hronic Wounds
RU2513838C1 (ru) * 2013-02-21 2014-04-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ДЖИ-Групп" Гистоэквивалент-биопластический материал
JP5579337B1 (ja) * 2013-06-11 2014-08-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及び当該吸収体を含む吸収性物品
DE102013107464A1 (de) 2013-07-15 2015-01-15 Wilhelm Fleischmann Wundauflage
CN103611181B (zh) * 2013-10-25 2015-06-17 无锡灵锡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肽水凝胶及其制备方法
CN103536960B (zh) * 2013-10-30 2015-06-17 无锡灵锡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可缓释抗菌肽的水凝胶及其制备方法
AU2015289491B2 (en) * 2014-07-18 2019-01-17 Ethicon, Inc. Combination cellulos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CN104586899B (zh) * 2015-02-09 2018-07-24 广东海洋大学 一种治疗褥疮的气雾剂及其制备方法
CN104841006A (zh) * 2015-06-14 2015-08-19 傅兴琴 一种止血藻酸盐敷料的制备方法
CN105624920B (zh) * 2016-02-26 2018-11-16 湖北立天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高抗菌、吸附重金属微小颗粒的新型微溶无纺布
RU2705098C2 (ru) * 2016-11-03 2019-11-0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биоорганической химии им. академиков М.М. Шемякина и Ю.А. Овчинникова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ИБХ РАН)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грибковых поражений слизистых оболочек
CN106492268B (zh) * 2016-12-07 2019-04-19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短肽/二氧化硅/透明质酸复合水凝胶的制备方法
RU2678985C2 (ru) * 2017-02-06 2019-02-0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фирма ВЕРТА" Биоцидный пептид и препарат на его основе
CN107693836A (zh) * 2017-09-30 2018-02-16 广东泰宝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菌藻酸盐水胶体敷料及其制备方法
CN107670099A (zh) * 2017-11-28 2018-02-09 苏州汇涵医用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液体敷料及其制备方法
CN110732037B (zh) 2018-07-20 2023-05-26 广州倍绣生物技术有限公司 止血糊剂及其制备方法
US20230097410A1 (en) * 2020-01-07 2023-03-30 Kci Licensing, Inc. Wound dressings with acid-induced growth factor releas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4874B2 (ja) * 1990-04-10 1994-12-21 大同メタル工業株式会社 低剛性ハウジング用アルミニウム合金軸受及びその製造方法
US6008058A (en) * 1993-06-18 1999-12-28 University Of Louisville Cyclic peptide mixtures via side chain or backbone attachment and solid phase synthesis
SE9601853L (sv) * 1996-05-14 1997-06-09 Moelnlycke Ab Sårförband samt tillverkningsförfarande därför
US20030149406A1 (en) * 2002-02-07 2003-08-07 Lucie Martineau Multi-layer dressing as medical drug delivery system
DE10222838A1 (de) * 2002-05-21 2003-12-04 Marconi Comm Gmbh Sektorantenne in Hohlleitertechnik
SE0300207D0 (sv) * 2003-01-29 2003-01-29 Karolinska Innovations Ab New use and composition
US20070154448A1 (en) * 2005-11-22 2007-07-05 Ted Reid Methods and compositions using Substance P to promote wound healing
JP5330230B2 (ja) * 2006-05-16 2013-10-30 ペルガモン アクティエボラーグ 改良型抗菌ペプチド
KR100777908B1 (ko) * 2006-12-19 2007-11-28 주식회사 바이오폴 보수율이 향상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3133A (ko) * 2012-03-23 2015-02-04 아미크로베, 인코포레이티드. 조직-적합성 특성을 갖는 항균물질의 조성물 및 용도
US11298401B2 (en) 2012-03-23 2022-04-12 Amicrobe, Inc. Compositions and uses of antimicrobial materials with tissue-compatible properties
KR20160088914A (ko) * 2013-11-19 2016-07-26 리포펩타이드 아베 새로운 만성 궤양 치료제
KR20160060519A (ko) * 2014-11-20 2016-05-3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상치료용 알긴산 하이드로젤 및 그 제조방법
US11285189B2 (en) 2017-04-06 2022-03-29 Amicrobe, Inc. Compositions and uses of locally-applied antimicrobial synthetic cationic polypeptide(s) with enhanced performance and safety
KR20190114662A (ko) * 2018-03-30 2019-10-1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프로바이오틱스 함유 이중층 상처치유 드레싱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49982A (ko) * 2020-10-15 2022-04-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펩타이드 ll-37을 발현하는 효모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78320A1 (en) 2010-07-15
WO2009001087A3 (en) 2010-01-14
CA2691645A1 (en) 2008-12-31
JP2010531189A (ja) 2010-09-24
US20130108682A1 (en) 2013-05-02
WO2009001087A2 (en) 2008-12-31
CN101720237A (zh) 2010-06-02
AU2008269575A1 (en) 2008-12-31
EP2173389A2 (en) 201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9039A (ko) 신규한 의약제
Shi et al. Cobalt-mediated multi-functional dressings promote bacteria-infected wound healing
Yao et al. Effect of genipin crosslinked chitosan scaffolds containing SDF-1 on wound healing in a rat model
Sugihara et al. Promotive effects of a silk film on epidermal recovery from full-thickness skin wounds (44552)
Dai et al. Chitosan-alginate spong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in curcumin delivery for dermal wound healing in rat
El-Samad et al. Carboxymethyl cellulose/sericin-based hydrogels with intrinsic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promote re-epithelization of diabetic wounds in rats
US20190151495A1 (en) Composite biomaterials with controlled release of active ingredient, preparation process and uses
AU2006318655B2 (en) Compositions for disrupting and inhibiting reconstitution of wound biofilm
Shen et al. Beneficial effects of a novel shark-skin collagen dressing for the promotion of seawater immersion wound healing
Ji et al. Efficiency of multifunctional antibacterial hydrogels for chronic wound healing in diabetes: a comprehensive review
US5155038A (en) Use of thrombospondin to promote wound healing
EP2913061B1 (en) Use of peptides for promoting wound healing
Ataide et al. Bromelain loading and release from a hydrogel formulated using alginate and Arabic gum
EP1666075A1 (en) Wound dressing compositions, especially for delivery of protease inhibitors
EP2580237A1 (en) Novel peptides for wound healing
IL89661A (en) Heparin binding proteins
Shibata et al. Development of new wound dressing composed of spongy collagen sheet containing dibutyryl cyclic AMP
BRPI0720874B1 (pt) composições compreendendo peptídeos bioativos curtos para modulação celular e imunológica
CA316153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rombin derived peptides and use thereof
WO2022081748A1 (en) Formulation for wound healing
JP2023545585A (ja) 新規の生体活性ペプチドの組み合わせ及びその使用
RU2703284C1 (ru) Бактерицидное противоожоговое биодеградируемое средство на основе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й композиции коллагена с лактоферрином, способы получения (варианты) и свойства
EP2244719B1 (en) Wound healing peptid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RU2790927C1 (ru) Способ микрографтинга при закрытии инфицированных ран мягких тканей
Pan et al. Preparation of an antibacterial dressing for simultaneous delivery of polyhexamethylene biguanide and platelet-rich plasma, and evaluation of the dressing's ability to promote infected skin rep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