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9016A -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가변적 각도위치를 갖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가변적 각도위치를 갖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9016A
KR20100049016A KR1020107000853A KR20107000853A KR20100049016A KR 20100049016 A KR20100049016 A KR 20100049016A KR 1020107000853 A KR1020107000853 A KR 1020107000853A KR 20107000853 A KR20107000853 A KR 20107000853A KR 20100049016 A KR20100049016 A KR 20100049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le position
flexible display
mechanical stable
mechanic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0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2852B1 (ko
Inventor
헨드릭 디르크 피서르
마이클 요하네스 안나 마리아 발터스
데이비드 요하네스 엘리자베스 베멜만스
Original Assignee
폴리머 비젼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리머 비젼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폴리머 비젼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49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하우징(81) 및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되는데, 그것은 개별의 부분들(82a, 82b, 82c, 82d)을 가질 수 있다. 그 부분들은 개별의 힌지들(84a, 84b, 84c, 84d) 사이에 수용될 수 있는데, 그 힌지들은 제1 기계적 안정 위치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 간으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메카니즘으로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는 방향(85)으로부터 관찰된다. 힌지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되어서, 하우징(81)에 대한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각도위치들이 가능하게 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가변적 각도위치를 갖는 전자 기기{Electronic device with a variable angulation of a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하우징(housing), 하우징에 대하여 변위되기에 적합하고 제1 기계적 안정 위치(first mechanically stable position) 및 제2 기계적 안정 위치(second mechanically stable position)를 갖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제1 기계적 안정 위치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 사이에서의 전환(transition)을 가능하게 구성된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기기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기술된 기기의 실시예는 WO 2004/114259 A2 로부터 알려져 있다. 그 알려진 기기는 연장가능하고 현저히 유연하며 적합한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그 디스플레이는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적합한 롤러 주위로 감겨질 수 있다. 공지된 기기의 하우징은 그 디스플레이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적합하게 형성된다. 그 디스플레이는 제1 기계적 안정 위치, 즉 저장 위치(storage position)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 즉 관찰 위치(viewing position)에서 수용될 수 있다는 것이 고찰된다. 그 공지된 기기의 특정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이 메카니즘, 즉 X-프레임과 함께 배치되는바, 이것은 제1 기계적 안정 위치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 간으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공지된 기기의 단점은, 공지된 메카니즘이 제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옵션(user interface options)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한 그 구조로 인하여, 공지된 메카니즘은 취약한 부품들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허용불가능한 기계적 충격을 유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입부 문단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옵션이 가능하게 되는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기에서는, 상기 제1 기계적 안정 위치 및 제2 기계적 안정 위치가 유연성 디스플레이, 또는 하우징에 대한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부분들의 상이한 각도위치에 대하여 허용된다.
전자 기기의 하우징과 유연성 디스플레이 간의 상이한 상호 간의 각도위치들이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옵션들을 가능하게 하는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예를 들어, 유연성 디스플레이가 하우징에 대해 상이한 각도위치들에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편리한데, 이로써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관찰하거나, 디스플레이를 부분적으로 관찰하거나, 터치-감응 모드(touch-sensitive mode)에서 데이터를 입력하는 등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기계적 안정 위치가 제1 관찰 위치에 대응되고, 제2 기계적 안정 위치가 제2 관찰 위치에 대응된다. 제1 관찰 위치는 어떤 구성형태에 대응될 수도 있는데, 이 구성형태에서는 하우징에 대한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부분의 각도위치가 제2 관찰 위치와 상이하다. 이와 같은 특징사항으로 인하여, 3차원 공간에서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적합한 기계적 안정 상태의 구성형태가 용이하게 가능하게 도리 수 있고, 이로써 예를 들어 각각의 개별적인 3차원 구성형태에 관하여 하나 이상의 특정한 사용자 옵션(user option)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부분이 하우징에 대하여 적당히 배치되는 때에 사용자는 배터리 충전 상태, 부재중 수신 상태, 메시지 또는 이메일의 수신 상태 등과 같은 전자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더 넓은 영역이 관찰될 수 있는 때에는, 사용자가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터치 감응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관찰되는 부분 상에서 전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아이콘들의 적당한 배치가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관찰되는 부분의 영역에 의존하도록 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는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 어느 부분이 이용되는 지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1 기계적 안정 위치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의 기계사항들과 협동하는 것이 바람직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콘들은 물론, 아이콘들의 선택이, 이용되고 있는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따라서 상기 부분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영역의 대략 20% 정도인 작은 부분들에서는, 상태 아이콘(status icon)들만이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전체 영역의 50% 이상인 큰 영역들에서는, 실질적으로 모든 기능용 아이콘들이 잠재적으로 투사된다. 아이콘의 치수가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관찰 영역에 의존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기계적 안정 위치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 간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메카니즘이 탄성 잠금 유니트와 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술적 수단은, 탄성 재료가 충격 감쇠(shock damping)의 성질을 갖는다는 점에 기초한다. 적어도 상기 제1 기계적 안정 위치와 상기 제2 기계적 안정 위치 간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메카니즘과, 바람직하게는 제1 기계적 안정 위치 또는 제2 기계적 안정 위치에 상기 메카니즘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탄성 잠금 유니트의 적절한 협동을 확실히 함에 의하여, 상기 잠금 시에는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유발되는 기계적 충격이 저지된다. 이것은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내구성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실시예에서, 메카니즘은 이중-안정 또는 다중 안정의 구조(bi-stable or multi-stable arrangement)를 포함한다. 이중-안정 구조는 두 개의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들을 갖는 구조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다중-안정 구조는 둘 이상의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들을 갖는 구조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적절한 재료 또는 구성물이 잠재적으로 선택된다. 적절한 구성물의 실시예로서는 X-프레임(X-frame)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에서는 이중-안정 또는 다중-안정 구조를 포함시키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왜냐하면 그것이 제1 기계적 안정 상태와 제2 기계적 안정 상태 간의 전환 중에 그 기기의 취약한 부품들에 대한 손상의 위험을 저감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다른 실시예에서, 메카니즘은 변위가능한 부분들을 제1 기계적 안정 위치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로부터 제1 기계적 안정 위치 또는 제2 기계적 안정 위치를 향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모듈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특징사항으로 인하여, 안정 위치들 사이에서의 전술된 전환 중에 추가적인 힘이 그 메카니즘에 인가되는데, 상기 힘은 제1 기계적 안정 위치와 제2 기계적 언장 위치 사이의 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인 자동-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자동-전환은, 잠겨진 부분들이 실질적으로 부드러운 방식으로 잠김해제되는 것을 보장하는바, 이것은 그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이 특징사항은 유연성 디스플레이에 대한 기계적 충격을 저감시켜서, 그 기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유연성 디스플레이가 적어도 제1 기계적 안정 위치 또는 제2 기계적 안정 위치에 있는 때에 에너지를 저장하고 또한 유연성 디스플레이가 제1 기계적 안정 위치 또는 제2 기계적 안정 위치를 향하여 움직이는 때에 에너지를 해제시키도록, 그 모듈이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 모듈이 잠재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듈의 적절한 예들로서는, 탄성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변형가능한 요소가 있다. 예를 들어, 그 변형가능한 요소로서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연성 디스플레이가 프레임을 이용하여 서로에 대하여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게 구성된 변위가능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 모듈은 그 메카니즘과 협동하는 텐션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유연성 디스플레이는 접힘해제되도록 구성되는데, 이 때 모듈은 접힘해제의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에너지를 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술적 특징사항에 따르면,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자동-접힘해제가 가능하게 되는데, 이것은 한 손만을 이용해서 기기를 접힘해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부품들에 대해 있을 수 있는 기계적 충격이 그 특징사항으로 인하여 상쇄 작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연성 디스플레이가 하우징에 대하여 피봇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하우징은 요부를 포함하고, 탄성 잠금 유니트는 그 요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도록 압축되게끔 구성된 탄성 재료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제1 기계적 안정 상태 및/또는 제2 기계적 안정 상태에 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하고 신뢰성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1 기계적 안정 위치가 제1 관찰 위치를 지칭하고 제2 기계적 안정 위치가 제2 관찰 위치를 지칭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두 개의 탄성 잠금 유니트들과 협동하는 두 개의 요부들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탄성 잠금 유니트가 상기 두 개의 요부들과 협동하는 개별의 부분들을 포함하거나 그러한 치수를 가져서, 하우징에 대한 유연성 디스플레이 (또는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부분들)의 상이한 각도위치들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유연성 디스플레이는 샤프트 주위로 피봇되도록 구성되고, 모듈은 샤프트와 협동하는 스프링과 구성되며, 상기 전환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샤프트와 협동하는 스프링은 일 기계적 안정 상태로부터 다른 기계적 안정 상태로의 자동-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그 기기는 한 손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어서 그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옵션들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그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으로서 구성된다. 예를 들어, 그 토션 스프링이 제1 기계적 안정 상태, 즉 변위가능한 부분들의 개방 위치를 위하여 압축되는 때에는, 변위가능한 부분들이 제2 기계적 안정 상태를 향하여 전환될 때에 그 스프링이 느슨하게 될 것이어서, 전자 기기의 기계적 부품들을 제2 기계적 안정 상태로 향하여 부드럽게 미는 추가적인 내부 힘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특징 사항은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움직임을 추가적으로 가능하게 하는바, 이로써 유연성 디스플레이에 대한 잠재적으로 유해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기계적 충격의 위험을 저감시킨다.
유연성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축된 상태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 상태 사이에서 움직여질 수 있도록 고안될 수 있는데, 상기 부분적으로 위축된 상태 및 상기 부분적으로 연장된 상태는 제1 기계적 안정 위치 또는 제2 기계적 안정 위치 또는 그 둘 다를 위하여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제1 기계적 안정 위치 및 제2 기계적 안정 위치가 하우징에 대한 유연성 디스플레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의 상이한 각도위치들에 대응될 수 있어서, 상이한 관찰 위치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관찰 위치들은 개별의 전체 관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적합한 예들로서는, 휴대폰, 수첩, 팜탑 컴퓨터 등이 있다. 그러한 기기들은 한 손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에 유의한다. 기기의 작동 부분들의 기계적 안정 위치들을 상이한 각도들 또는 평면들에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그 기기에 제공됨에 의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관찰 옵션들이 실질적으로 향상되는바, 이것은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기기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기기가 유연성의 전자식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충격의 위험이 저감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이 문제에 대한 해결안을 제공함에 의하여, 개선된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사항들 및 다른 사항들은 하기의 도면들을 참조로 하는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도입부 문단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옵션이 가능하게 되는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 는 탄성 잠금 유니트(elastic locking unit)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1b 는 도 1a 의 기기의 추가적 개략도이고;
도 2a 는 탄성 잠금 유니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2b 는 도 2a 의 기기의 추가적 개략도이고;
도 3 은 구동 모듈(driving module)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실시예의 몇몇 개략도를 제공하고;
도 4 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5 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또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6 은 감쌈가능한(wrappable) 디스플레이가 제공된 기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7 은 감음가능한(rollable) 디스플레이가 제공된 기기의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8 은 복수의 힌지들이 제공된 기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9 는 복수의 힌지들이 제공된 기기의 또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또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또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또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 에는 탄성 잠금 유니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실시예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 기기(10)는 제1 기계적 안정 위치(A)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B) 사이에서 움직여지기에 적합한 두 개의 상호 변위가능 부분(mutually displaceable part)들(2, 4)을 포함한다 -- 이 두 개의 위치들 간의 전환은 화살표에 의하여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부분(2)은 유연성 디스플레이에 관련될 수 있고, 부분(4)은 전자 기기(10)의 하우징에 관련될 수 있다. 제1 기계적 안정 위치는 기기(10)의 개방 상태에 대응되고 제2 기계적 안정 위치는 기기(10)의 폐쇄 상태에 대응될 수 있으며, 그 역도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1 기계적 안정 위치는 제1 관찰 위치에 대응되고 제2 기계적 안정 위치는 제2 관찰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관찰 위치 및 제2 관찰 위치는 부분적인 관찰 또는 완전한 관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부분들(2, 4)은 회전축을 한정하는 샤프트(shaft; 6)를 갖는 힌지(3)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기기(10)에는 제1 기계적 안정 위치(A)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B) 사이에서의 매끄러운 전환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탄성 잠금 유니트(5)가 제공된다. 힌지(3)는 제1 기계적 안정 위치(A)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B) 간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메카니즘으로서 기능한다. 탄성 잠금 유니트(5)는 예를 들어 금속 등과 같은 적합한 탄성 재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고, 요부(recess; 5b)와 협동하도록 고안된 돌출부(projection; 5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의 우측 부분에서, 잠금 유니트(5)는 별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그것은 개방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탄성 잠금 유니트(5)의 탄성 성질을 적합하게 선택함에 의하여, 잠금 유니트(5)가 폐쇄된 때에 잠금 유니트에 저장된 탄성 에너지의 해제에 의하여 잠금 유니트(5)의 개방 위치와 잠금 유니트(5)의 폐쇄 위치 간의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잠금 유니트(5)의 재료는, 잠금 유니트가 제1 기계적 안정 위치에 있는 때에 (또는 대안적으로는, 잠금 유니트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에 있는 때에), 최소 잠재 에너지(minimum potential energy)에 대응하는 느슨한 상태(relaxed condition)를 가지는바, 이로써 상기 에너지의 해제에 의하여 잠재 에너지를 저장하는 상태로부터 최소 잠재 에너지를 갖는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제1 기계적 안정 위치 및 제2 기계적 안정 위치가 제1 관찰 위치 및 제2 관찰 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실시예에서, 잠금 수단(locking means; 5)은 5b 형태의 두 개의 요부들과 협동하는 5a 형태의 두 개의 돌출부들을 구비할 수 있다. 힌지(3)에 대하여 잠금 유니트(5)의 방위를 적절히 결정함에 의하여, 그러한 에너지의 해제가 중간 위치로부터 기계적 안정 위치들 중의 하나에 부드럽게 도달하는데에 이용될 수 있는바, 이로써 기기(10)의 부품들에 대한 위험한 기계적 충격의 위험이 저감된다. 이것은, 기기(10)가 변위가능한 취약한 부품 - 부분들(2, 4)에 부착된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때에 특히 유리하다.
도 1a 에 도시된 기기(10)의 개략적인 동등한 기계적 형태가 도 1b 에 도시되어 있다. 부분(4a)이 두 개의 상이한 기계적 안정 위치들(수평(4a) 및 수직(4b)으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됨)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상기 부분은 힌지(3) 주위에서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탄성 잠금 유니트(5)는 탄성 스프링(7)에 대해 동등한 것으로 고려될 수 있는바, 그 탄성 스프링은 잠기거나 개방된 때에 잠재 에너지를 저장하고 또한 다른 상태로 전환되는 때에 상기 에너지를 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2a 에는 탄성 잠금 유니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기(20)는, 제1 기계적 안정 위치(21, 22), 즉 "개방" 위치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21a, 22a), 즉 "폐쇄" 위치 사이에서 움직여질 수 있는 두 개의 상호 변위가능 부분들을 포함한다.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들도 고찰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관찰 위치 및 제2 관찰 위치도 고찰될 수 있다. 변위가능 부분들은 힌지(23, 23a) 주위로 회전한다. 바람직하게는, 힌지(23, 23a)가 탄성 재료(25)와 협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2b 에는 도 2a 의 기기의 다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고무 등과 같은 것인 탄성 재료(25)는 적합한 돌출부(27)들과 협동하도록 구성되는데, 그 돌출부들은 예를 들어 부분(21)이 수평한 때에 제1 기계적 안정 위치에 변위가능 부분들(21, 22)을 잠그도록, 그리고 예를 들어 부분(21a)이 수직인 때에 제2 기계적 안정 위치에 변위가능 부분들(21, 22)을 잠그도록 구성된다. 도 1b 및 도 2b 에서 참조되는 수평/수직의 방위는 예시적인 목적을 위하여만 이용된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의미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부분들(21, 22)을 제1 기계적 안정 위치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 사이에서 전환시키는 메카니즘들(26, 27)과 협동하는 탄성 잠금 수단으로 인하여, 그러한 전환 시에 기기(20)에서 부분들(21, 22)에 유도되는 기계적 충격이 실질적으로 저감된다는 것에도 유의한다. 이와 같은 특징은, 유연성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기기의 취약한 부품이 부분들(21, 22) 둘 다 또는 그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하여 지지되어야 하는 때에 특히 유리하다.
도 3 에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실시예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휴대폰, 수첩, 팜탑 컴퓨터(palmtop computer) 등과 같은 기기(30)는 제1 기계적 안정 위치(31)(폐쇄 위치)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32)(개방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커버를 포함한다. 제1 기계적 안정 위치 및 제2 기계적 안정 위치는 제1 관찰 위치 및 제2 관찰 위치를 지칭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커버(32)는 화살표에 의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잠재적으로 접음가능한 것이다. 그 커버는 상기 기계적 안정 위치들 간에의 적합한 전환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메카니즘(33, 35)(힌지들)을 더 포함한다. 메카니즘(33, 35)은 중간 위치로부터 제1 또는 제2 기계적 안정 위치로 힌지들(33, 35)을 구동하기 위한 모듈(39)과 함께 구성된다. 모듈(39)은 하나의 기계적 안정 위치를 위하여 압축가능하고 또한 제2 기계적 안정 위치를 위하여 느슨해질 수 있는 스프링(37)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는, 그 스프링이 기계적 안정 위치들 둘 다 또는 그 중의 하나를 위하여 압축가능하고 또한 기계적 안정 위치들 간의 전환 중에 느슨해질 수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는, 스프링이 제1 기계적 안정 위치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에서 느슨할 수 있고, 기계적 안정 위치로부터 다른 기계적 안정 위치로 전환 중에 압축가능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37)이 압축성 작용을 더하는 하나 이상의 바아들(36, 38)과 협동한다. 도 3 의 우측 부분에는 선 A-A 을 따라서 취한 기기(30)의 단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힌지(33)는 바아(36)와 스프링과 협동하도록 구성되는데, 그 스프링은 제1 기계적 안정 위치(37a)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37)에 대해 느슨하게 되고 또한 제1 기계적 안정 위치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 사이의 전환 중에 압축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해제된 에너지가 커버(32)의 접음해제(unfolding)의 방향에 대해 평행하다. 스프링은, 예를 들어 커버(32)의 개방 상태에서 압축되는바, 이로써 커버(32)가 실질적으로 일 평면에서의 방위를 가지는 것이 보장되는데, 이것은 기기(30)가 취약한 부품(34), 특히 유연성 디스플레이와 함께 구성되는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도 4 에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기기(40)의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서, 변위가능한 부분들(41, 42)은 힌지(44) 주위에서 피봇가능하다. 부분(42)은 전자 기기(40)의 유연성 디스플레이(미도시)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힌지(44)는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인 탄성 잠금 수단(43)과 협동하도록 구성된다. 부분들(41, 42)은 화살표에 의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하여 변위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43)을 이용하는 때에는, 토션 스프링이 압축된 때에 잠재적인 (탄성) 에너지의 상당량이 힌지(44) 주위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압축은, 예를 들어 기기(40)가 닫혀져서 부분들(41, 42)이 서로 맞닿는 때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저장된 잠재 에너지는 기기(40)가 개방되는 때에 이용되는바 - 토션 스프링(43)은 에너지를 해제시키고, 제1 기계적 안정 위치로부터 제2 기계적 안정 위치로의 매끄러운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특정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매끄러운 번환을 가능하게 하는 용이한 수단을 제공하는바, 이로써 부분들(41, 42) 둘 다 또는 그 중의 하나에 부착된 유연성 디스플레이(미도시)와 같은 취약한 구조물에 대해 있을 수 있는 기계적 충격을 최소화시킨다.
도 5 에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또다른 실시예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특정의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유연성 디스플레이 등인 적당한 취약성 구조물이 명확화를 위한 이유로 도시되지 않았다. 예로서 든 그러한 유연성 디스플레이는, 샤프트(53a) 주위로 회전될 수 있는 적절한 롤러(53) 위로 감긴다. 기기(50)는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제1 기계적 안정 위치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 간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 메카니즘(51a, 52a)을 포함한다. 메카니즘(51a, 52a)은 자체로 공지된 이중-안정 프레임(bi-stable frame; 56)으로서 구현될 수 있는데, 그 이중-안정 프레임의 아암(arm)들은 화살표(51)에 의하여 표시된 방향으로 움직여진다. 그 프레임은 화살표(55)에 의하여 표시된 방향에서 변위가능한 힌지결합된 바아(55a)를 포함한다. 프레임(56)은 두 개의 기계적 안정 위치, 즉 아암들(51a, 52a)이 서로 실질적으로 맞닿는 폐쇄 위치와, 아암들(51a, 52a)이 서로 가장 멀리 배치되고 바아(55a)가 완전히 직선화되는 완전히 개방된 위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기(50)는 탄성 잠금 유니트를 포함한다. 텐션 스프링(tension spring; 54)이 그러한 잠금 유니트로서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텐션 스프링(54)은 이중 기능(dual function)을 가질 수 있는바, 여기에서 스프링은, 프레임(56)이 제1 기계적 안정 위치 또는 제2 기계적 안정 위치에 있는 때에 탄성 에너지의 적절한 양을 저장하고, 프레임이 다른 기계적 안정 위치로 전환되는 때에 상기 에너지를 해제시키도록 고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유연성 디스플레이와 같은 취약한 구조물이, 롤러가 회전하도록 그리고 취약한 구조물을 위축시키도록 구동하는 텐션 스프링의 작용에 의하여 롤러(53) 주위에 감기는데, 이것은 토션 스프링이 소정의 사전-텐션(pre-tension)을 갖도록 구성된 때에 달성될 수 있다. 프레임(56)에서의 텐션 스프링(54)은 롤러(53)의 토션 스프링과 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두 개의 스프링들 간의 상호 작용은, 프레임(56)의 이중-안정 위치선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바, 이로써 예를 들어 유연성 디스플레이와 같은 취약한 구조물이 연장된 위치에 있는 때에 편평하게 유지되도록 보장된다. 이 특징은, 바람직하지 않은 굽힘으로 인한 유연성 디스플레이에 대한 손상 위험을 저감시킨다.
도 6 에는 다른 실시예의 기기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그 기기에는 하우징(61) 주위로 감싸지도록 구성된 유연성 디스플레이(62)가 제공되어 있다. 유연성 디스플레이(62)는 디스플레이(62)에 대해 제1 기계적 안정 위치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를 가능하게 하는 힌지(66)와 협동한다. 예를 들어 힌지인 구조물(66)는 하우징(61) 및/또는 디스플레이(62b)의 다른 부분에 대한 디스플레이(62a)의 부분의 복수의 각도위치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기기(60)가 예를 들어 램프(lamp)인 조명 유니트(64)를 더 포함하는데, 그 조명 유니트는 조명 유니트(64)에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위치된 디스플레이의 부분을 조명하도록 구성된다. 이 특징사항은 예를 들어 방향(65)으로부터 디스플레이(62)를 관찰하기 위한 목적을 위하여 유용하다. 힌지들은 도 2b 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도 7 에는 감음가능한 디스플레이가 제공된 기기의 실시예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기기(70)는 유연성의 전자 디스플레이(75)가 위에 감기도록 고안된 적합한 롤러(72)가 제공된 하우징(71)을 포함한다. 메카니즘(74)은 하우징(71)으로부터 감음가능한 디스플레이(75)를 연장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73)이 디스플레이의 방향(77)으로의 복수의 적합한 기계적 안정 위치들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힌지(73)를 포함한다. 적합한 힌지들의 예들은 도 2b 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디스플레이의 관찰은 방향(76)으로부터 가능하게 된다.
디스플레이(75)의 관찰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적합한 광원이 제공된다. 광원은 예를 들어 하우징(71) 상에, 외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광원은 기울어진 각도에서 디스플레이(75) 상에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디스플레이(75)에 대하여 부드럽게 조명되는 관할 영역이 제공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8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기기에는 복수의 힌지들이 제공된다. 기기(80)는 하우징(81), 및 부분들(82a, 82b, 82c, 82d)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데, 상기 부분들은 개별의 힌지들(84a, 84b, 84c, 84d) 사이에 수용된다. 그 디스플레이는 방향(85)으로부터 관찰될 수 있다. 힌지들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 힌지들은 도 2b 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서 구현될 수 있는바, 따라서 하우징(81)에 대한 유연성 디스플레이(또는 이것의 부분들)의 복수의 각도위치들을 가능하게 한다.
도 9 에는 복수의 힌지들이 제공된 또다른 실시예의 기기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기기(90)는 하우징(91) 및 복수의 적합한 힌지들(93a, 93b, 93c, 93d)을 포함하는데, 그 힌지들은 a), b), 또는 c) 에 의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의 개별 부분들을 변위시키도록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 디스플레이는 방향(95)으로부터 관찰될 수 있다. 그 힌지들은, 예를 들어 도 2b 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서 구현된다. 또한 하우징(91)은 적합한 복수의 기계적 안정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91)은 위치(92)로 기울어질 수 있는데, 이로써 힌지들(93a, 93b) 사이의 영역과 하우징은 적합한 표면(S)와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표면(S)이 수평의 방위를 갖는다. 그러한 하우징의 기울임에 의하여,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용이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전자 기기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기기(100)는 부분(102)에 대해 변위가능한 부분(101)을 포함한다. 영역(103)은, 예를 들어 스프링(104)인 적합한 탄성 수단을 배치시키기 위하여 이용되는데, 그 탄성 수단은 부분(101)의 제1 기계적 안정 위치로부터 부분(101)의 제2 기계적 안정 위치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제1 기계적 안정 위치는 기기(100)의 개방 상태에 대응되고, 제2 기계적 안정 위치는 기기의 폐쇄 위치에 대응된다. 또한 제1 기계적 안정 위치 및 제2 기계적 안정 위치는 제1 관찰 위치 및 제2 관찰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탄성 수단(104)의 기능은, 도 1a, 1b, 또는 3 중의 어느 하나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하다.
도 1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기기의 대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기기(110)는 중앙 부분(113)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제1 변위가능 부분(112) 및 제2 변위가능 부분(114)를 포함한다. 제1 부분(112) 및 제2 부분(114)은 화살표들(D1, D2)에 의하여 표시된 방향에서 중앙 부분(113) 주위로 변위가능하다. 전자 기기(110)의 유연성 디스플레이(116)는 적어도 부분들(112, 114)에 의하여 지지되고, 바람직하게는 중앙 부분(113)에 의하여도 지지된다. 기기(110)의 하우징(미도시)에 관하여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1 기계적 안정 위치 및 제2 기계적 안정 위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중앙 부분와 협동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영역들에 적합한 복수의 요부들(112a, 114a)이 제공된다. 도 11 에서는 단자 영역 당 한 쌍의 요부들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적당한 복수의 요부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후자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관찰 위치들이 가능하게 된다. 요부들(112a, 114a)은 예를 들어 탄성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 몸체(115)와 협동하도록 구성된다. 스프링은 예를 들어 금속인 적합한 재료로 된, 탄성 스트라이프(elastic stripe)로서 제공될 수 있다. 기계적 안정 위치들에서는 A 및 B 에 의하여 표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15a, 115b)의 단부들이 요부(112a, 114a) 안으로 떨어진다.
도 1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기기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기기(120)는 제1 부분(121), 제2 부분(122), 및 제1 부분(121) 및 제2 부분(122)과 협동하는 중앙 부분(123)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24)는 제1 부분(121), 제2 부분(122), 및 중앙 부분(123)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기기(120)의 하우징(미도시)에 대하여 유연성 디스플레이(124)의 상이한 각도위치들을 발생시키는 제1 기계적 안정 위치 및 적어도 제2 기계적 안정 위치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 부분에는 제1 부분(121) 및 제2 부분(122)에서 요부들과 협동하도록 고안된 탄성의 로커 아암(rocker arm)들(123a, 123b)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부분(121) 및 제2 부분(122)은, 화살표들(D1, D2)에 의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123)에 대하여 변위가능하다. 도면의 120a 는 디스플레이(124)가 편평한 구성형태를 도시하는데, 여기에서는 디스플레이(124)의 제1 기계적 안정 위치가 도달되어 있다. 도면의 120b 는 디스플레이(124)가 굽혀져 있는 구성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데, 여기에서는 디스플레이(124)의 제2 기계적 안정 위치가 도달되어 있으며, 기기(120)의 하우징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 위치를 갖는다. 실제적으로는, 도 11 및 도 12 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 중앙 부분이 하우징 내에 수용되거나 그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것은 중앙 부분에 대한 디스플레이의 상이한 각도위치가 하우징에 대한 디스플레이의 상이한 각도위치를 직접 나타냄을 의미한다. 적합하게는, 터치 기능에 관련된 수행 작용, 그리기, 타이핑과 같은 상이한 상호작용 모드들을 위하여 또는 상이한 관찰 모드들을 위하여, 상이한 디스플레이 각도위치들이 이용된다.
명확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특정 실시예들이 개별적으로 설명되었지만, 별도로 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된 호환가능한 특징사항들의 상호교환가능성이 고찰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특정 실시예들이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설명된 바와 달리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며 제한을 위하여 의도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하여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A: 제1 기계적 안정 위치
B: 제2 기계적 안정 위치
10: 전자 기기
2, 4: 상호 변위가능 부분
3: 힌지
5: 탄성 잠금 유니트
5a: 돌출부
5b: 요부
6: 샤프트

Claims (19)

  1. 하우징;
    하우징에 대하여 변위되기에 적합한 유연성 디스플레이로서, 제1 기계적 안정 위치 및 제2 기계적 안정 위치를 갖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제1 기계적 안정 위치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 간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메카니즘으로서, 상기 제1 기계적 안정 위치와 상기 제2 기계적 안정 위치는 하우징에 대한 유연성 디스플레이 또는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부분들의 상이한 각도위치들을 위하여 가능하게 되는,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기계적 안정 위치는 제1 관찰 위치에 대응되고, 제2 기계적 안정 위치는 제2 관찰 위치에 대응되는, 전자 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카니즘은 탄성 잠금 유니트와 협동하도록 구성된, 전자 기기.
  4.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카니즘은 이중-안정(bi-stable) 또는 다중-안정(multi-stable)의 구조(arrangement)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5.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카니즘은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제1 기계적 안정 위치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로부터 제1 기계적 안정 위치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를 향하여 구동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모듈은 유연성 디스플레이가 적어도 제1 기계적 안정 위치와 제2 기계적 안정 위치 사이에 있는 때에 에너지를 저장하고 또한 유연성 디스플레이가 제1 기계적 안정 위치 또는 제2 기계적 안정 위치를 향하여 움직이는 때에 에너지를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전자 기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모듈은 잠재 에너지(potential energy)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전자 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모듈은 탄성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변형가능한 요소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변형가능한 요소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변형가능한 요소는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1. 제 4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연성 디스플레이는 접힘해제되도록 구성되고, 모듈은 접힘해제 방향(unfolding direction)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에너지를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전자 기기.
  12. 제 3 항에 있어서,
    유연성 디스플레이는 하우징에 대해서 피봇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하우징은 요부를 포함하며, 탄성 잠금 유니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요부를 채우기 위해 압축되도록 구성된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3. 제 4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연성 디스플레이는 샤프트 주위로 피봇되도록 구성되고, 메카니즘은 샤프트와 협동하는 스프링과 함께 구성되며 또한 상기 전환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전자 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인, 전자 기기.
  15. 제 4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연성 디스플레이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하우징에 대하여 미끄럼가능하게 구성되고, 모듈은 프레임과 협동하는 텐션 스프링(tension spring)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16.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연성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축된 상태(retracted state)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 상태(extended state) 간으로 움직여지기에 적합하고, 상기 부분적으로 위축된 상태 및 상기 부분적으로 연장된 상태는 제1 기계적 안정 위치 또는 제2 기계적 안정 위치를 위하여 구현되는, 전자 기기.
  17.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안정 위치는 전자 기기 안으로의 데이터 입력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전자 기기.
  18.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기계적 안정 위치 또는 제2 기계적 안정 위치에 배치된 유연성 디스플레이와 협동하도록 구성된 조명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19.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관찰 위치 또는 제2 관찰 위치는 적어도 부분적인 관찰 모드(partial viewing mode)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전자 기기.
KR1020107000853A 2007-06-15 2008-06-16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가변적 각도위치를 갖는 전자 기기 KR101492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434607P 2007-06-15 2007-06-15
US60/944,346 2007-06-15
PCT/NL2008/050389 WO2008153402A2 (en) 2007-06-15 2008-06-16 Electronic device with a variable angulation of a flexible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016A true KR20100049016A (ko) 2010-05-11
KR101492852B1 KR101492852B1 (ko) 2015-02-12

Family

ID=4012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0853A KR101492852B1 (ko) 2007-06-15 2008-06-16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가변적 각도위치를 갖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77464B2 (ko)
EP (1) EP2168361B1 (ko)
JP (1) JP2010530553A (ko)
KR (1) KR101492852B1 (ko)
CN (1) CN101772943B (ko)
AR (1) AR067032A1 (ko)
TW (1) TWI413037B (ko)
WO (1) WO2008153402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0983A3 (ko) * 2010-08-10 2012-05-10 Ryu Sang-Kyu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119316B2 (en) 2012-07-25 2015-08-25 Samsung Display Co., Ltd. Case and display device
US9857844B2 (en) 2013-07-22 2018-01-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3367B2 (en) 2008-01-04 2015-04-21 Nanolumens Acquisition Inc. Flexible display
US9330589B2 (en) 2011-11-16 2016-05-03 Nanolumens Acquisition, Inc. Systems for facilitating virtual presence
US9071809B2 (en) 2008-01-04 2015-06-30 Nanolumens Acquisition, Inc. Mobile, personsize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use
US9655267B2 (en) 2008-01-04 2017-05-16 Nanolumens Acquisition, Inc. Retractable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use
TWI383343B (zh) * 2010-05-21 2013-01-21 Wistron Corp 可提供顯示面板平面支撐之電子裝置
TWI419094B (zh) 2010-09-10 2013-12-11 Au Optronics Corp 可撓性顯示面板
US9307061B2 (en) 2011-05-12 2016-04-05 Nokia Technologies Oy Flexible electronic apparatus
NL2006862C2 (en) * 2011-05-30 2012-12-03 Polymer Vision Bv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US9286812B2 (en) * 2011-06-07 2016-03-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extendable assembly
US20130002114A1 (en) * 2011-06-29 2013-01-03 Polymer Vision B.V. Flexible Display With Cover Positioning Means
EP2546721B1 (en) * 2011-07-11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US9176530B2 (en) * 2011-08-17 2015-11-03 Apple Inc. Bi-stable spring with flexible display
US8605421B2 (en) * 2011-08-17 2013-12-10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NL2007427C2 (en) * 2011-09-15 2013-03-18 Polymer Vision Bv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US8963895B2 (en) 2011-09-22 2015-02-24 Nano Lumens Acquisition Inc. Ubiquitously mountable image display system
US9035742B2 (en) * 2011-12-06 2015-05-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lectronic compensated pivot control
US8971031B2 (en) * 2012-08-07 2015-03-03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system with a flexible display
WO2014087951A1 (ja) * 2012-12-05 2014-06-12 Saito Takashi 表示装置
KR102143746B1 (ko) 2013-05-14 2020-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395070B2 (en) 2013-07-19 2016-07-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upport of flexible component and light-emitting device
CN106233362B (zh) * 2014-04-24 2019-04-05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KR102202228B1 (ko) * 2014-06-11 2021-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684343B2 (en) 2014-06-12 2017-06-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adius hinge
US10975603B2 (en) 2014-06-12 2021-04-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computing device
TWI493517B (zh) 2014-06-18 2015-07-21 Au Optronics Corp 摺疊式顯示裝置
TWI543129B (zh) 2014-07-22 2016-07-21 Lg顯示器股份有限公司 捲軸式顯示裝置
KR102299026B1 (ko) 2014-12-22 2021-09-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279573B1 (en) 2015-02-09 2016-03-08 Nanolumens Acquisition, Inc. Front serviceable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s
US9326620B1 (en) 2015-03-12 2016-05-03 Nanolumens Acquisition, Inc. Modular display system and methods
CN107920642B (zh) * 2015-08-03 2020-08-25 林裕燮 具有柔性显示设备的外折叠影像显示装置的保护壳及保护壳适用方案
KR101714902B1 (ko) * 2015-10-01 2017-03-09 고영상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US10061346B2 (en) * 2015-10-22 2018-08-28 Dell Products L.P. Folded continuous multielement touch display
US9830885B2 (en) 2015-10-26 2017-11-28 Nanolumens Acquisition, Inc. Modular flexible display system and methods
US9924604B2 (en) 2015-11-04 2018-03-20 Nanolumens Acquisition, Inc. Modular flexible convex display system and methods
US10481638B2 (en) 2015-11-18 2019-11-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US10217440B2 (en) 2016-03-17 2019-02-26 Nanolumens Acquisition, Inc. In-situ display monitoring and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s
KR102497211B1 (ko) 2016-04-11 2023-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71116B1 (ko) * 2016-05-12 2022-1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EP3522140A4 (en) * 2016-09-29 2020-05-27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ELECTRONIC DEVICE
US10892256B2 (en) 2018-01-31 2021-01-12 Nanolumens Acquisition, Inc. Light emitting display system having improved fire performance
US11217566B2 (en) 2018-12-19 2022-01-04 Nanolumens Acquisition, Inc. Light emitting display with improved wide angle color viewing
USD950110S1 (en) 2019-05-29 2022-04-26 Nanolumens Acquisition, Inc. Light emitting display module with diffusely reflective facade
WO2021046239A1 (en) * 2019-09-03 2021-03-11 Ure Michael J Spring-loaded, unfolding-display mobile electronic device
WO2021158014A1 (ko) * 2020-02-07 2021-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8478A (en) * 1994-07-25 1996-08-20 Khyber Technologies Corporation Portable computing device having an adjustable hinge
US5768096A (en) * 1996-10-30 1998-06-16 Hewlett-Packard Company Portable computer with movable display panels forming a concatenated display screen in response to opening the computer
FI103238B (fi) * 1997-02-21 1999-05-14 Nokia Mobile Phones Ltd Matkaviestinlaitteet
GB9805198D0 (en) * 1998-03-11 1998-05-06 Maddock Alan Portable visual display device
KR100284342B1 (ko) * 1998-05-30 2001-03-02 김순택 플렉시블한액정표시소자를구비한휴대용액정표시장치
US6542721B2 (en) * 1999-10-11 2003-04-01 Peter V. Boesen Cellular tele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pager unit
JP3576900B2 (ja) * 1999-11-16 2004-10-13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携帯電話機
FI111998B (fi) * 1999-12-08 2003-10-15 Nokia Corp Käyttöliittymä
FI20001295A (fi) * 2000-05-30 2001-12-01 Nokia Mobile Phones Ltd Kääntömekanismi kääntöliikkeen aikaansaamiseksi ja saranoitu elektroniikkalaite
EP1340360A2 (en) * 2000-12-05 2003-09-03 E Ink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additional electro-optical display
US20020069483A1 (en) * 2000-12-08 2002-06-13 Pertti Savolainen Apparatus for opening hand held electronic device
US6772479B2 (en) * 2001-06-21 2004-08-10 The Aerospace Corporation Conductive shape memory metal deployment latch hinge
US20030043095A1 (en) * 2001-08-31 2003-03-06 Kia Silverbrook Scanning electronic book
US20030048256A1 (en) * 2001-09-07 2003-03-13 Salmon Peter C. Computing device with roll up components
JP3656742B2 (ja) * 2001-10-30 2005-06-0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
KR100993954B1 (ko) * 2002-02-06 2010-11-11 쉬어라인 프리시젼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광섬유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US7095387B2 (en) * 2002-02-28 2006-08-22 Palm, Inc. Display expansion method and apparatus
US6762929B2 (en) * 2002-09-12 2004-07-13 Gateway, Inc. Display support apparatus
JP2004118151A (ja) * 2002-09-30 2004-04-15 Brother Ind Ltd 巻込可能なディスプレイと折畳可能なキーボードを備えた入力装置並びにその入力装置を備えた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US7196692B2 (en) * 2002-09-30 2007-03-2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put device provided with windable display and foldable keyboard, and personal computer provided with the input device
JP3816457B2 (ja) * 2003-03-18 2006-08-30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CN100435067C (zh) * 2003-04-01 2008-11-1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显示器的设备
EP1642253B1 (en) * 2003-06-23 2012-10-03 Simon Richard Daniel Display device having an extendible screen
US7463238B2 (en) * 2003-08-11 2008-12-09 Virtualblue, Llc Retractable flexible digital display apparatus
JP4547199B2 (ja) * 2004-07-06 2010-09-22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US20060038745A1 (en) * 2004-08-19 2006-02-23 Alex Naksen Variable stiffness screen
US7667962B2 (en) * 2004-08-20 2010-02-23 Mullen Jeffrey D Wireless devices with flexible monitors and keyboards
JP2006072115A (ja) 2004-09-03 2006-03-16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装置
EP2395497B1 (en) * 2004-10-05 2013-11-13 Creator Technology B.V. Rollable display device
US7714801B2 (en) * 2005-01-05 2010-05-11 Nokia Corporatio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TWI259715B (en) * 2005-01-25 2006-08-01 Wistron Corp Electronic device able to adjust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WO2006085271A2 (en) * 2005-02-11 2006-08-17 Polymer Vision Limited Wrap display system having a flexible display
US7558057B1 (en) * 2005-06-06 2009-07-07 Alex Naksen Personal digital device with adjustable interface
US7522945B2 (en) * 2005-06-28 2009-04-21 Noki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1248239A (zh) * 2005-08-01 2008-08-20 索斯科公司 滑动和转动铰链模块
US20070067954A1 (en) * 2005-09-28 2007-03-29 Finney Benjamin M Hinge apparatus and methods therefor
TWI272009B (en) * 2005-10-12 2007-01-21 Lite On Technology Corp Size-variable screen
US20070097014A1 (en) * 2005-10-31 2007-05-03 Solomon Mark C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screen
KR101232951B1 (ko) * 2005-11-07 201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청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KR20080018162A (ko) * 2006-01-06 2008-02-27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단말 장치 및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7725988B2 (en) * 2006-02-15 2010-06-01 Lg Electronics Inc. Hinge assembly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TWI283377B (en) * 2006-04-18 2007-07-01 Ind Tech Res Inst Flexible display
KR100833241B1 (ko) * 2006-04-28 200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틸트장치 및 이를 채용한 모바일 기기
JP2008052040A (ja) * 2006-08-24 2008-03-06 Fujifilm Corp 表示装置
KR100792899B1 (ko) * 2006-09-14 200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뒷좌석 엔터테인먼트 적용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
US8029309B2 (en) * 2006-10-03 2011-10-04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s with sliding and tilting mechanisms, and associated methods
TWI370419B (en) * 2006-10-31 2012-08-11 Creator Technology Bv Flexible display supported by hinged frame
US7830333B2 (en) * 2006-12-13 2010-11-09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lide-out information display
US7787917B2 (en) * 2006-12-28 2010-08-31 Intel Corporation Folding electronic device with continuous display
DE112008000441T5 (de) * 2007-02-21 2010-03-04 Southco, Inc. Scharniermodul mit Gleit- und Drehbewegung
US8108016B2 (en) * 2008-08-15 2012-01-3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dual sliding flip hinge assembl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0983A3 (ko) * 2010-08-10 2012-05-10 Ryu Sang-Kyu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3069473A (zh) * 2010-08-10 2013-04-24 柳相圭 卷绕式柔性显示装置
US9119316B2 (en) 2012-07-25 2015-08-25 Samsung Display Co., Ltd. Case and display device
US9857844B2 (en) 2013-07-22 2018-01-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72943B (zh) 2013-07-10
WO2008153402A2 (en) 2008-12-18
TW200919398A (en) 2009-05-01
TWI413037B (zh) 2013-10-21
EP2168361A2 (en) 2010-03-31
JP2010530553A (ja) 2010-09-09
AR067032A1 (es) 2009-09-30
WO2008153402A3 (en) 2009-04-23
US20100208417A1 (en) 2010-08-19
EP2168361B1 (en) 2019-10-09
CN101772943A (zh) 2010-07-07
KR101492852B1 (ko) 2015-02-12
US8477464B2 (en)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9016A (ko)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가변적 각도위치를 갖는 전자 기기
JP2010520511A (ja)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EP2595029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US20130120912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US8594753B2 (en) Mobile terminal
KR20050103840A (ko) 휴대용 컴퓨터의 래치장치
CN103024109A (zh) 双轴铰链及便携设备
JP2012138218A (ja) 電子機器
US81495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O2012108325A1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212206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20091723A (ja) 携帯用情報機器
JP2011188472A (ja) ティルティング機構及びこれを用いる携帯式電子装置
JP4366965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80034646A (ko) 컨버터블 컴퓨터
JP5313704B2 (ja) 携帯機器
JP5466930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12093955A (ja) 携帯型電子機器
KR20110054898A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5466931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3952942B2 (ja) 折畳可能なキーボード
JP5730600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3945394B2 (ja) 折畳可能なキーボード
JP3979445B2 (ja) 電子楽器
JP2004110303A (ja) 折畳可能なディスプレイ及びキーボードを備えた入力装置並びにその入力装置を備えた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