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902B1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902B1
KR101714902B1 KR1020150138601A KR20150138601A KR101714902B1 KR 101714902 B1 KR101714902 B1 KR 101714902B1 KR 1020150138601 A KR1020150138601 A KR 1020150138601A KR 20150138601 A KR20150138601 A KR 20150138601A KR 101714902 B1 KR101714902 B1 KR 101714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dy
display panel
flexible display
unit
accommoda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상
Original Assignee
고영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상 filed Critical 고영상
Priority to KR1020150138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902B1/ko
Priority to PCT/KR2016/010293 priority patent/WO2017057859A1/ko
Priority to US15/575,574 priority patent/US10281950B2/en
Priority to CN201680028380.7A priority patent/CN10761520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Abstract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자기기는 제1유니트몸체 및 제2유니트몸체; 상기 제1유니트몸체과 상기 제2유니트몸체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이 서로 적층된 배치상태가 되거나, 양측으로 펼쳐진 배치상태가 되도록 조작하게 하는 링크유닛;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일측단부에 인출구를 구비한 수용챔버; 일단은 상기 제1유니트몸체의 상면 측단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제1유니트몸체 및 제2유니트몸체의 배치상태에 따라 상기 수용챔버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 및, 상기 수용챔버 내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외부로 인출된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자동으로 상기 수용챔버로 인입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는 인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ELECTRONIC HAVING FLEXIBLE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레서블한 디스플레이패널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휴대용 게임기기 등 유니트몸체의 상면에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전자기기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유니트몸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각종 영상 또는 이미지 등의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휴대성을 강조하면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를 확대하는데 한계가 있고, 키보드 등 입력을 동일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한 터치스크린에 크게 의존함으로써 입력작업 속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졌다. 즉, 휴대성을 위해 디스플레이부를 작게 구성할 경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콘텐츠의 양이 작아지고 글자나 이미지의 크기가 작아져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1292974호에는 폴더타입으로 동작되는 단말기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등록특허 10-1292974호는 단말기를 접더라도 단말기의 상면과 하면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모두 노출된 형태가 되므로, 단말기를 접은 상태에서 단면기 상면에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할 때, 하면에 노출된 디스플레이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스크래치가 발생되어 디스플레이부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단말기가 폴더 타입이므로, 조작이 간편하지 못하여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아쉬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9297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적용되되, 사용자가 손쉽게 복수의 유니트몸체를 서로 적층되도록 겹치거나 펼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확장하거나 축소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니트몸체가 상하적층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일부가 유니트몸체에 인입되는 것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비사용시, 복수의 유니트몸체의 각각의 상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겹치지는 것이 가능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 전체가 유니트몸체의 내부로 인입되게 할 수 있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는 제1유니트몸체 및 제2유니트몸체; 상기 제1유니트몸체과 상기 제2유니트몸체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이 서로 적층된 배치상태가 되거나, 양측으로 펼쳐진 배치상태가 되도록 조작하게 하는 링크유닛;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일측단부에 인출구를 구비한 수용챔버; 일단은 상기 제1유니트몸체의 상면 측단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제1유니트몸체 및 제2유니트몸체의 배치상태에 따라 상기 수용챔버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 및, 상기 수용챔버 내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외부로 인출된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자동으로 상기 수용챔버로 인입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는 인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치상태는,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상면 모두가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가 좌우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는 제1배치상태; 및, 상기 제1유니트몸체가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상부에 적층되며,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상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배치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배치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은 상기 수용챔버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1유니트몸체 및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상면에 닿아 확장화면모드되며, 상기 제2배치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은 일부만이 상기 수용챔버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1유니트몸체의 상면에 놓여진 축소화면모드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배치상태는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상면 모두가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가 좌우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는 제1배치상태; 상기 제1유니트몸체가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상부에 적층되며,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상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배치상태; 및,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상면이 상호 마주하도록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가 적층된 제3배치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배치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은 상기 수용챔버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1유니트몸체 및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상면에 닿아 확장사용모드되며, 상기 제2배치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은 일부만이 상기 수용챔버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1유니트몸체의 상면에 놓여진 축소사용모드가 되며, 상기 제3배치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은 전체가 상기 수용챔버에 인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제1유니트몸체에 형성되는 레일부; 및,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를 연결하며, 일단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레일부에 회전가능하며, 타단은 상기 제2유니트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편;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제1유니트몸체에 형성된 제1레일부; 상기 제2유니트몸체에 형성된 제2레일부;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를 연결하며, 일단은 상기 제1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레일부에 회전가능하며, 타단은 상기 제2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레일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편;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편은 신축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를 상호 당기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여,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가 병렬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측부가 서로 밀착되어 병렬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편은, 제1스틱부; 상기 제1스틱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스틱부; 및, 상기 제1스틱부와 상기 제2스틱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편은, 상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여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틱부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틱부에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틱부가 축소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편은 일단에 상기 레일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레일부에서 회전하는 이동회전축을 구비하고, 타단에는 상기 제2유니트의 일측에 위치고정된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고정회전축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인입수단은 코일스프링 또는 탄성패드로 이루어지거나, 코일스프링과 탄성패드가 조합된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인입수단은 상기 코일스프링 또는 상기 탄성패드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거나, 상기 탄성패드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만나는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패드의 일부 또는 전체가 상기 수용챔버에서 빠지지 않게 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인입수단은, 일단이 상기 수용챔버의 내측단에 고정된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의 끝단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연결하는 탄성패드; 및, 상기 코일스프링과 상기 탄성패드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인출구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인출구 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이 상기 수용챔버에서 빠지지 않게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인입수단은 상기 수용챔버에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권취되거나 권출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권출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권취하는 테엽형 보빈;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인입수단은 일단이 상기 수용챔버에 고정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에 연결되는 탄성패드; 및, 상기 수용챔버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패드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지그재그형태로 감기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된 복수의 유니트몸체; 상기 복수의 유니트몸체 중 서로 인접하는 두 유니트몸체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의 유니트몸체의 적층시키거나 병렬로 나란히 펼쳐지게 조작하게 하는 링크유닛; 상기 복수의 유니트몸체 중 하나의 내부에 형성되며 인출구를 구비한 수용챔버; 상기 수용챔버의 내측단에 고정된 탄성부재; 및, 일단은 상기 복수의 유니트몸체 중 상기 수용챔버가 형성되지 않은 두 유니트몸체 중 어느 하나의 상면 일측단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유니트몸체의 배치상태에 따라 상기 수용챔버에 인입되거나 인출되어 확장화면모드 또는 축소화면모드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전자기니는 유니트몸체들이 레일부와 링크편으로 이루어진 링크유닛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서, 사용자가 유니트몸체들을 다양한 형태로 서로 겹치거나 펼칠 수 있어 사용성이 편리할 뿐 아니라, 유니트몸체가 적층된 상태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적어도 일부가 유니트몸체에 인입된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디스플레이패널이 외부에 노출되는 일이 없어 디스플레이패널의 스크래치 등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유니트몸체들의 상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적층된 형태로 조작이 가능하고,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대부분이 유니트몸체에 인입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전자기기의 비사용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 전체를 유니트몸체 내부에 보관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패널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단면도(a) 및 사용상태도(b),(c)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링크편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걸림부 및 제1 및 제2탄성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걸림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부를 나타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 고정덮개가 설치된 제 6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나머지 공지된 구성들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게임기 등의 전자기기에 적용가능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유니트몸체(100)와 제2유니트몸체(200)에는 각종 전자기기에 필요한 공지된 구성들이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크게 제1유니트몸체(100), 제2유니트몸체(200), 링크유닛(30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 인입수단(403)으로 이루어진다.
제1유니트몸체(100) 및 제2유니트몸체(200)는 각각 사각 케이싱형태로 형성된다.
링크유닛(300)은 레일부(307)와 링크편(301)을 포함한다.
레일부(307)는 제1유니트몸체(100) 측면에 형성된다. 링크편(301)은 제1유니트몸체(100)와 제2유니트몸체(200)를 연결하도록 일단은 레일부(307)에 회전가능하고 레일부(307)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타단은 제2유니트몸체(200)에 측면의 길이방향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링크편(301)의 양단에는 각각 제1회전축(304)과 제2회전축(305)이 형성되며, 제1회전축(304)은 제2유니트몸체(200)의 측면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된 회전축공(308)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회전축(305)은 레일부(307)에 삽입되어, 레일부(307)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레일부(307)상에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1회전축(304)은 이동가능한 회전축이므로 이동회전축라 정의하고, 제2회전축(304)은 위치고정된 회전축이므로 고정회전축이라고 정의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도 2의 (b) 및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1배치상태와 제2배치상태로 형태조작할 수 있다. 도 2의 (c)와 같은 제1배치형태는 제1유니트몸체(100)와 제2유니트몸체(200)의 상면 모두가 상부를 향하도록 제1유니트몸체(100)와 제2유니트몸체(200)가 좌우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는 형태이며, 제2배치형태는 도 2의 (b)와 같이, 제1유니트몸체(100)가 제2유니트몸체(200)의 상부에 적층되며, 제2유니트몸체(200)의 상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형태이다.
이때, 제1배치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은 제1유니트몸체(100) 및 제2유니트몸체(200)의 상면에 닿도록 펼쳐진 확장화면모드가 될 수 있으며, 제2배치상태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은 제1유니트몸체(100)의 상면에 놓여진 축소화면모드가 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링크편(301)은 신축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며, 제1유니트몸체(100)와 제2유니트몸체(200)를 상호 당기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편(301)은 관체형태로 형성된 제1스틱부(3011)와, 이 제1스틱부(3011)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스틱부(3013)와, 양단이 제1스틱부(3011)에 형성된 고정돌기(3015)와 제2스틱부(3013)에 형성된 제2고정돌기(3013)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제1스틱부(3011)와 제2스틱부(3013)가 신장된 경우,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019)로 구성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스틱부(3011)와 제2스틱부(3013)의 각각의 끝단부에는 제1회전축(304)과 제2회전축(305)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링크편(301)에 의해, 제1유니트몸체(100)와 제2유니트몸체(200)를 도2의 (c)와 같이 병렬로 펼쳐지게 한 경우, 제1유니트몸체(100)와 제2유니트몸체(200)가 서로 끌어당겨져 제1유니트몸체(100)와 제2유니트몸체(200)의 마주하는 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병렬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링크편(301)은 두개의 스틱부(3011,3013) 및 하나의 탄성부재(3019)로 구성될 수도 있거니와, 도 3의 (b)와 같이, 본 발명의 링크편(301)은 3개의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여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관체형태로 3개의 스틱부(3021,3023)와, 이 3개의 스틱부 중 인접한 스틱부를 상호 연결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3025)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링크편(301)이 신축가능하며, 신장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구성이면 상기 스틱부와 탄성부재의 설치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에서 스틱부들은 안정적인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관체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호 인접한 스틱부들이 서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이면 관체가 아니더라도 플레이트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구조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레일부(307)가 제1유니트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유니트몸체(1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절개슬릿을 형성하고, 이 절개슬릿 측면에 레일부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제1유니트몸체(100)에만 레일부(307)가 형성되고, 제2유니트몸체(200)에는 회전축공(308)이 형성되어, 링크편(301)의 일단은 제1유니트몸체(100)에 대해 회전되고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회전축공(308)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제1유니트몸체(100)와 제2유니트몸체(200) 각각에 레일부를 형성하고, 이 한 쌍의 레일부에 링크편(301)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고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링크편(301)의 길이를 길게 구성하여, 제1유니트몸체(100)와 제2유니트몸체(200)가 병렬로 펼쳐진 상태에서 제1유니트몸체(100)와 제2유니트몸체(200)가 서로 이격된 형태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은 자유자재로 휘어질 수 있는 공지된 플레서블 디스플레이패널로 이루어지며, 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은 터치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은 제2유니트몸체(200) 내에 인입되거나 제2유니트몸체(20)에서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2유니트몸체(200)의 내부에는 수용챔버(404)가 형성되며, 이 수용챔버(404)는 제2유니트몸체(200)의 일측단부에 인출구(201)를 구비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의 일단은 제1유니트몸체(100)의 상면 일측단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은 제1유니트몸체(100) 및 제2유니트몸체(200)의 배치상태에 따라 인출구(201)를 통해 수용챔버(404) 내로 인입되거나 수용챔버(404) 내에서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도 2의 (a) 및 도 4를 참조하면, 인입수단(403)은 수용챔버(205) 내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이 인출된 경우, 신장하여 수축되려는 탄성력이 발생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이 자동으로 수용챔버(205) 내로 입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인입수단(403)의 일단은 수용챔버(205)의 내측단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측단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인입수단(403)은 코일스프링(408)과, 탄성패드(404)와, 스톱퍼(407)를 포함한다.
코일스프링(408)은 일단이 수용챔버(205)의 내측단에 고정설치되고, 탄성패드(404)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패드로 이루어져 코일스프링(408)의 끝단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의 측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스토퍼(407)는 인출구(201)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며, 수용챔버(205) 내에 배치되도록 코일스프링(408)과 탄성패드(407)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사용자에 의해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제1및제2유니트몸체(100,200)가 도 2의 (c)와 같이 병렬형태가 되도록 조작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이 인출된 경우, 스토퍼(407)가 인출구(201)에 걸리게 됨으로써, 탄성패드(407)는 수용챔버(205)에서 인출되나 코일스프링(408)은 수용챔버(205)에서 빠지지 않게 해준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인입수단(403)은 코일스프링(408)과 탄성패드(404) 및 스토퍼(407)로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인입수단(403)은 코일스프링(408)으로만 구성되어, 코일스프링(408)의 일단은 수용챔버(205)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도 있고, 인입수단(403)은 탄성패드(404)로만 구성되어, 탄성패드(404)의 일단은 수용챔버(205)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토퍼(407)는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도 있고 설치가 안될 수도 있으며, 스토퍼(407)는 코일스프링(408) 또는 탄성패드(404)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거나, 코일스프링(408)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이 연결되는 부분 또는 탄성패드(404)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과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인입수단(403)은 코일스프링(408)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고, 탄성패드(404)로만 구성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스토퍼(407)를 설치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입수단(403)을 탄성력이 상호 다른 코일스프링(408)과 탄성패드(404)로 구성하고, 코일스프링(408)과 탄성패드(404) 사이에 스토퍼(407)가 설치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이 인출될 경우, 코일스프링(408)과 탄성패드(404)에 분산되게 힘이 작용하여 코일스프링(408)과 탄성패드(404) 각각에 일정길이의 신장이 발생하며, 스토퍼(407)가 인출구(201)에 걸린 이후에는 탄성패드(404)에만 힘이 작용하여 탄성패드(404)에 추가적인 신장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코일스프링(408)가 탄성패드(404)의 복원력이 빨리 상실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에도 코일스프링(408)과 탄성패드(404)의 성능저하에 의한 고장이 발생하지 않게 해줄 수 있다.
즉, 인입수단(403)이 코일스프링(408)으로만 구성되던지 탄성패드(404)로만 구성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이 인출될 때, 힘이 코일스프링(408) 또는 탄성패드(404)에 집중적으로 작용하여 응력과부하로 인해 쉽게 복원력을 잃기 쉬우나, 인입수단(403)을 서로 다른 탄성력을 갖는 코일스프링(408)과 탄성패드(404)가 조합된 형태로 형성하고, 코일스프링(408)과 탄성패드(404) 사이에 스토퍼(407)를 설치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코일스프링(408)과 탄성패드(404)의 복원력이 오랫동안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줄 수 있는 것이다 .
또한, 본 발명은 스토퍼(407)가 도 3과 같이, 긴 원형봉 형태로 형성되어, 직경이 인출구(201)의 폭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407)는 탄성패드(404)에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거나, 스토퍼(407)의 외주면에 결합홈을 파고, 이 결합홈에 탄성패드(404)를 끼워서 스토퍼(404)와 탄성패드(404)를 끼움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스토퍼(407)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휠(409)이 설치되어, 이 휠(409)이 수용챔버(205)의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스토퍼(407)가 수용챔버(205) 내에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손쉽게 조작하여, 제1유니트몸체(100)와 제2유니트몸체(200)의 상면이 모두 상부를 향하도록 제1유니트몸체(100)과 제2유니트몸체(200)가 좌우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는 제1배치상태로 조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2의 (c)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은 수용챔버(205)에서 전체가 인출되어, 제1유니트몸체(100) 및 제2유니트몸체의 상면에 닿도록 배치되어 확장화면모드가 되어, 사용자가 확장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을 통해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유니트몸체(100)가 제2유니트몸체(200)의 상부에 적측되게 배치되는 제2배치상태로 조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의 (b)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은 일부만이 수용챔버(205)에서 인출된 축소화면모드가 되어, 사용자가 축소된 디스플레이패널(400)을 통해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제1유니트몸체(100) 및 제2유니트몸체(200)를 손쉽게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축소화면모드(제2배치상태)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의 일부만 인출되고, 나머지는 제2유니트몸체(200)의 수용챔버(205)에 인입된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손상되는 일을 확실히 방지해 줄수 있게 해준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인출구(201)의 형성위치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을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 인출구(201)는 도 2와 같이, 제2유니트몸체(200)의 측면상에 형성될 수 도 있거니와, 도 6과 같이 제2유니트몸체(200)의 상면 측단부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설명한다.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인입수단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실시 예에서 수용챔버(205')는 제 1 실시 예의 수용챔버(205)와는 길이가 작은 형태로 구성되며, 인입수단(410)은 코일스프링이나 탄성패드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테엽형 보빈(4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테엽형 보빈은 줄자공구에 적용되는 테엽형 보빈과 같이, 스프링이 내장된 보빈으로 구성되어, 수용챔버(205')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테엽형 보빈(41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이 권취되거나 권출되도록 구성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이 권출되어 수용챔버(205')에서 인출되면, 테엽형 보빈(4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을 자동으로 권취하려는 힘이 발생한다.
즉, 사용자가 도 8의 (a)와 같이 제1유니트몸체(100)와 제2유니트몸체(200)를 제1배치상태로 한 경우, 테엽형 보빈(410)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이 풀려 확장화면모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유니트몸체(100)와 제2유니트몸체(200)를 제2배치상태로 변형시키면, 테엽형 보빈(410)이 자동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의 일부를 권취하여, 제1유니트몸체(100)의 상면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의 일부가 인출되어 축소화면모드가 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도 8의 (b)와 같이, 제1유니트몸체(100)가 제2유니트몸체(200)가 서로 적층되되, 제1유니트몸체(100)와 제2유니트몸체(200)의 각각의 상면에 서로 마주하는 제3배치상태로의 조작이 가능하며,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 전체가 테엽형 보빈(410)에 권취되어, 수용챔버(205') 내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비 사용시 제1유니트몸체(100)와 제2유니트몸체(200)를 제3배치상태로 조작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 전체를 제2유니트몸체(200)의 수용챔버(205') 내부에 보관하여,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게 해줌으로써 안전하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제 3 실시 예에 비해, 테엽형 보빈(410)이 아닌, 인입수단이 탄성패드(404)와 복수의 롤러(420)로 구성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수용챔버(205'') 내에는 복수의 롤러(4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탄성패드(404)의 일단은 수용챔버(205'')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에 고정되며, 이 탄성패드(404)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이 지그재그형태로 감기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경우, 제1 실시 예의 수용챔버(205)에 비해 수용챔버(205')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짧은 수용챔버(205') 내에 탄성패드(404)와 디스플레이패널(400)을 다층으로 수용시킨 상태에서 인출하거나 인입시킬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제1유니트몸체(100)와 제2유니트몸체(200)가 제1배치상태(병렬배치)에 있을 때, 마주하는 각각의 측면이 서로 대응되게 라운딩 처리되어 축소화면모드(도10의 a참조)일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이 제1유니트몸체(100)에서 눌리거나 꺽이는 정도를 완만하게 해주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제2유니트몸체(200)의 측단에 덮개(350)를 힌지되게 설치하여, 도 11의 (a)와 같이, 사용자가 제1및제2유니트몸체(100,200)를 제2배치상태로 조작하여 축소화면모드로 사용할 경우, 덮개(350)로 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의 측단을 감싸 보호해 줌으로써, 축소화면모드로 사용시 노출된 디스플레이패널(400)의 측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제1유니트몸체(100)와 제2유니트몸체(200)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유니트몸체(100)와 제2유니트몸체(200)가 병렬로 펼쳐진 제2배치상태에 제1유니트몸체(100)와 제2유니트몸체(200)의 상면이 동일한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다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유니트몸체(100)가 제2유니트몸체(200)보다 두껍도록 구성된 경우, 제2유니트몸체(200)에 지지다리(미도시)를 설치하여, 제2유니트몸체(200)를 지지면에 대해 상부로 이격시켜 주어, 높이를 보상해 줌으로써, 제1유니트몸체(100)의 상면과 제2유니트몸체(200)의 상면이 일치하여 동일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이제까지 상기에서 설명한 제1내지제6실시 예에서는 유니트몸체(100,200)가 두개로 구성되는 형태의 전자기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와 같이 3개의 유니트몸체(100,200,500)로 구성되고, 3개의 유니트몸체(100,200,500)가 상호 적층되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서로 인접하는 유니트몸체에 각각 링크유닛(301,301',307,307')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전의 실시 예들에 비해서, 좀더 큰 확장화면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3유니트몸체(500)의 내부를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3유니트몸체(500)의 내부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400)이 인입되거나 인출되기 위한 수용챔버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다양한 형태의 인입수단(404)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은 유니트몸체의 수와 링크유닛의 수를 다양하게 실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제1유니트몸체
200...제2유니트몸체
300...링크유닛
301...링크편
304...제1회전축
305...제2회전축
307...레일부
400...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
403,410...인입수단

Claims (15)

  1. 제1유니트몸체 및 제2유니트몸체;
    상기 제1유니트몸체과 상기 제2유니트몸체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가 서로 적층된 배치상태가 되거나, 양측으로 펼쳐진 배치상태가 되도록 조작하게 하는 링크유닛;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일측단부에 인출구를 구비한 수용챔버;
    일단은 상기 제1유니트몸체의 상면 측단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제1유니트몸체 및 제2유니트몸체의 배치상태에 따라 상기 수용챔버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 및,
    상기 수용챔버 내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외부로 인출된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자동으로 상기 수용챔버로 인입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는 인입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배치상태는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상면 모두가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가 좌우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는 제1배치상태; 및,
    상기 제1유니트몸체가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상부에 적층되며,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상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배치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배치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은 상기 수용챔버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1유니트몸체 및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상면에 닿아 확장화면모드가 되며,
    상기 제2배치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은 일부만이 상기 수용챔버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1유니트몸체의 상면에 놓여진 축소화면모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상태는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각각의 상면이 상호 마주하도록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가 적층된 제3배치상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배치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은 전체가 상기 수용챔버에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제1유니트몸체에 형성되는 레일부; 및,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를 연결하며, 일단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레일부에 회전가능하며, 타단은 상기 제2유니트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제1유니트몸체에 형성된 제1레일부;
    상기 제2유니트몸체에 형성된 제2레일부;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를 연결하며, 일단은 상기 제1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레일부에 회전가능하며, 타단은 상기 제2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레일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편은 신축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를 상호 당기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여,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가 병렬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니트몸체와 상기 제2유니트몸체의 측부가 서로 밀착되어 병렬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편은,
    제1스틱부;
    상기 제1스틱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스틱부; 및,
    상기 제1스틱부와 상기 제2스틱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편은,
    상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여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틱부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틱부에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틱부가 축소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편은 일단에 상기 레일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레일부에서 회전하는 이동회전축을 구비하고, 타단에는 상기 제2유니트의 일측에 위치고정된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고정회전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수단은 코일스프링 또는 탄성패드로 이루어지거나, 코일스프링과 탄성패드가 조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수단은 상기 코일스프링 또는 상기 탄성패드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거나, 상기 탄성패드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만나는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패드의 일부 또는 전체가 상기 수용챔버에서 빠지지 않게 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수단은,
    일단이 상기 수용챔버의 내측단에 고정된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의 끝단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연결하는 탄성패드; 및,
    상기 코일스프링과 상기 탄성패드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인출구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인출구 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이 상기 수용챔버에서 빠지지 않게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수단은
    상기 수용챔버에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권취되거나 권출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권출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권취하는 테엽형 보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수단은
    일단이 상기 수용챔버에 고정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에 연결되는 탄성패드; 및,
    상기 수용챔버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패드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지그재그형태로 감기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삭제
KR1020150138601A 2015-10-01 2015-10-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KR101714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601A KR101714902B1 (ko) 2015-10-01 2015-10-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PCT/KR2016/010293 WO2017057859A1 (ko) 2015-10-01 2016-09-1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US15/575,574 US10281950B2 (en) 2015-10-01 2016-09-12 Electron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panel
CN201680028380.7A CN107615208B (zh) 2015-10-01 2016-09-12 具有柔性显示面板的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601A KR101714902B1 (ko) 2015-10-01 2015-10-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902B1 true KR101714902B1 (ko) 2017-03-09

Family

ID=5840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601A KR101714902B1 (ko) 2015-10-01 2015-10-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81950B2 (ko)
KR (1) KR101714902B1 (ko)
CN (1) CN107615208B (ko)
WO (1) WO2017057859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5367B2 (en) 2017-05-29 2019-01-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9788097A (zh) * 2019-03-25 2019-05-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终端设备
WO2019198983A1 (en) * 2018-04-09 2019-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CN111754864A (zh) * 2019-03-26 2020-10-09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CN113015368A (zh) * 2021-02-25 2021-06-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1754864B (zh) * 2019-03-26 2024-04-26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3929B2 (en) * 2017-06-13 2019-02-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tendable display strips
CN107269677B (zh) * 2017-07-06 2023-08-15 王宁光 折叠式显示屏的铰接机构
US10110717B1 (en) * 2018-01-02 2018-10-23 Yongbiao Liu Smartphone with flexible folding screen
CN109104510A (zh) * 2018-08-31 2018-12-28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方法
CN109637375B (zh) 2019-01-30 2020-12-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双面显示装置
CN110049159B (zh) * 2019-04-30 2024-01-19 曹磊 一种扩大柔性屏幕设备的屏幕使用面积的装置
CN110706598A (zh) * 2019-10-23 2020-01-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
JP6734605B1 (ja) * 2019-12-13 2020-08-05 株式会社デジメット 情報端末装置
US20230176622A1 (en) * 2020-06-01 2023-06-08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TWI739619B (zh) * 2020-10-05 2021-09-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KR102274481B1 (ko) * 2020-10-12 2021-07-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2227A (ko) * 2008-11-10 2010-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2084A (ko) * 2010-06-30 2012-01-05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US20130021762A1 (en) * 2011-07-11 2013-01-24 Polymer Vision B.V.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KR20150099676A (ko) * 2014-02-22 201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13037B (zh) * 2007-06-15 2013-10-21 Creator Technology Bv 具有可改變角度的可撓性顯示器的電子裝置
US8508920B2 (en) * 2007-11-23 2013-08-13 Creator Technology B.V. Electronic apparatus with improved functionality
US8863038B2 (en) * 2008-09-08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US8933874B2 (en) * 2008-09-08 2015-01-13 Patrik N. Lundqvist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US8982542B2 (en) * 2010-11-17 2015-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mechanism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8787016B2 (en) * 2011-07-06 2014-07-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KR102171118B1 (ko) * 2013-09-30 2020-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102345270B1 (ko) * 2015-06-15 2022-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2227A (ko) * 2008-11-10 2010-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2084A (ko) * 2010-06-30 2012-01-05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292974B1 (ko) 2010-06-30 2013-08-02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US20130021762A1 (en) * 2011-07-11 2013-01-24 Polymer Vision B.V.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KR20150099676A (ko) * 2014-02-22 201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5367B2 (en) 2017-05-29 2019-01-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19198983A1 (en) * 2018-04-09 2019-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10754386B2 (en) 2018-04-09 2020-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CN109788097A (zh) * 2019-03-25 2019-05-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终端设备
CN109788097B (zh) * 2019-03-25 2024-04-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终端设备
CN111754864A (zh) * 2019-03-26 2020-10-09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CN111754864B (zh) * 2019-03-26 2024-04-26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CN113015368A (zh) * 2021-02-25 2021-06-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81950B2 (en) 2019-05-07
CN107615208A (zh) 2018-01-19
CN107615208B (zh) 2020-10-02
WO2017057859A1 (ko) 2017-04-06
US20180129246A1 (en)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90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KR101875855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JP3211702U (ja) ヒンジ作動時フレキシブルな表示手段の弾性力を用いて終端のスライディングが可能な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EP2469808A2 (en) Mobile device
US9733672B2 (en) Rollable display
US9442530B2 (en) Foldable device
KR101839615B1 (ko) 연성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US9259068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4072884A (ja) 画面伸縮型スマートフォン及び画面伸縮型タブレット
KR20170095957A (ko) 스크린 확장 구조체,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및 단말기
KR20170057500A (ko) 폴더블 표시 장치
JP2008541186A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スクリーン用保護カバー
CN109584727B (zh) 终端设备
US20130284614A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10082941A (ko) 이동 단말기
TWM439327U (en) Supporting bracket for electronic device
CN104750174A (zh) 保护装置及其保护罩
US2014008579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14667490A (zh) 信息终端装置
US20150195931A1 (en) Case for a portable device with a screen
EP3345250A1 (en) Extendable connector port
KR20160141994A (ko) 접철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KR20130025073A (ko) 플렉시블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빔 프로젝터
US20210052053A1 (en) Cover for a mobile device with a screen and a case having such a cover
CN106816099B (zh) 一种柔性显示装置及柔性显示装置的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