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994A - 접철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접철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1994A KR20160141994A KR1020150077750A KR20150077750A KR20160141994A KR 20160141994 A KR20160141994 A KR 20160141994A KR 1020150077750 A KR1020150077750 A KR 1020150077750A KR 20150077750 A KR20150077750 A KR 20150077750A KR 20160141994 A KR20160141994 A KR 201601419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unit panel
- panel
- display
- arrang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접철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자기기는 상면에 제1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제1유니트패널; 상면에 제2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제2유니트패널;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의 상호배치형태를 다양하게 조작하게 하는 링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호배치형태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가 마주하도록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적층된 제1배치형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유니트패널이 상기 제2유니트패널의 상부에 적층된 제2배치형태;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상기 제1유니트패널의 상부에 적층된 제3배치형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좌우로 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는 제4배치형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상기 제4배치형태에 대해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의 좌우위치가 바뀐 제5배치형태; 및,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이 서로 대향되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적층된 제6배치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철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다양한 배치형태로 겹쳐 적층시키거나 병렬로 펼칠 수 있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휴대용 게임기기 등 유니트패널의 상면에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전자기기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유니트패널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각종 영상 또는 이미지 등의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휴대성을 강조하면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를 확대하는데 한계가 있고, 키보드 등 입력을 동일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한 터치스크린에 크게 의존함으로써 입력작업 속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졌다. 즉, 휴대성을 위해 디스플레이부를 작게 구성할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는 콘텐츠의 양이 작아지고 글자나 이미지의 크기가 작아져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상하로 적층시키거나 병렬로 펼쳐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확장시키거나 축소하여 사용하는 구조의 전자기기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0344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28702호에 개시됨).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전자기기는 두개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펼치거나 상하로 적층하는 구조를 갖기는 하나, 두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겹치는 적층형태나 두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서로 대향되게 겹치는 적층형태로는 형태변형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도, 두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은 외부에 노출되어 스크래치 등의 손상을 입을 수 있거니와, 두 디스플레이 화면이 서로 바깥쪽으로 바라보도록 배치한 형태로서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각각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복수의 유니트패널을 서로 적층되도록 겹치거나 펼쳐서 사용하는 구조를 갖되, 기존에 비해 더 다양한 형태로 겹쳐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접철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상면에 제1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제1유니트패널; 상면에 제2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제2유니트패널;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의 상호배치형태를 다양하게 조작하게 하는 링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호배치형태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가 마주하도록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적층된 제1배치형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유니트패널이 상기 제2유니트패널의 상부에 적층된 제2배치형태;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상기 제1유니트패널의 상부에 적층된 제3배치형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좌우로 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는 제4배치형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상기 제4배치형태에 대해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의 좌우위치가 바뀐 제5배치형태; 및,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이 서로 대향되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적층된 제6배치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제1유니트패널에 형성되는 레일부; 및,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연결하며, 일단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레일부에 회전가능하며, 타단은 상기 제2유니트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편;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제1유니트패널에 형성된 제1레일부; 상기 제2유니트패널에 형성된 제2레일부;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연결하며, 일단은 상기 제1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레일부에 회전가능하며, 타단은 상기 제2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레일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편;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편은 신축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상호 당기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여, 상기 제4배치형태 또는 상기 제5배치형태에서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서로 밀착되어 병렬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편은, 제1스틱부; 상기 제1스틱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스틱부; 및, 상기 제1스틱부와 상기 제2스틱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편은, 상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여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틱부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틱부에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틱부가 축소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편은 일단에 상기 레일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고 상기 레일부에서 회전하는 이동회전축을 구비하고, 타단에는 상기 제2유니트의 일측에 위치고정된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고정회전축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니트패널은 상기 고정회전축이 관통삽입되는 회전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회전축의 외주면에는 균등간격으로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공에는 상기 돌기들에 대응되는 홈들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회전축이 상기 회전축공에 대해 회전시킬 경우, 클릭감이 발생되며, 상기 링크편에 대해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경사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1유니트패널에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유니트패널에 부착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1유니트패널의 측면상에 형성되며, 상기 링크편은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의 측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적층된 상태의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탄성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2유니트패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니트패널을 감싸도록 회전하여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고정하는 고정덮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구성되며,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 중 두께가 작은 것에는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좌우로 서로 병렬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의 제1디스프레이부와 제2디스플레이부가 하나의 평편한 면을 이루도록 하는 지지다리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니트패널이 상기 제2유니트패널 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제1유니트패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거나, 상기 제1유니트패널에서 하방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니트패널 또는 상기 제2유니트패널 중 어느 하나의 양측에 설치되는 손목착용밴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면에 제3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제3유니트패널; 및, 상기 제1유니트패널 또는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상기 제3유니트패널을 연결시키는 제2링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내지제3유니트패널은 "ㄱ"형태로 펼쳐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각각의 상면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적어도 둘 이상으로 된 복수의 유니트패널과, 상기 복수의 유니트패널 중 서로 인접하는 두 유니트패널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의 유니트패널의 상호배치형태를 다양하게 조작하게 하는 링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호배치형태는 상기 복수의 유니트패널이 일렬로 인접하게 병렬배치된 제1배치형태; 상기 복수의 유니트패널 중 인접하는 두 유니트패널이 서로 겹쳐지도록 적층되게 배치되되, 각각의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마주하게 되는 제2배치형태; 상기 복수의 유니트패널 중 인접하는 두 유니트패널이 서로 겹쳐지도록 적층되게 배치되되, 상기 두 유니트패널 중 상부에 위치한 유니트패널의 디스플레이부가 상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3배치형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접철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는 유니트패널들이 레일부와 링크편으로 이루어진 링크유닛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서, 유니트패널들이 기존에 비해 더욱더 다양한 형태로 서로 겹치거나 펼칠 수 있어 전자기기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손목시계타입, 차량광고용 모니터 등 다양한 형태의 소형, 중형, 대형 등 다양한 크기 타입의 전자기기에 모두 적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화면을 축소하거나 크게 확장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링크편의 다양한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다양한 변형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서 링크편에 형성된 고정회전축과 회전축공의 경사각도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서 레일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서 링크편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링크편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링크유닛과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전자기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링크편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 고정밴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 고정덮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서 높이보강용 지지다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보강용 지지다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가 손목시계타입으로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적용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링크편의 다양한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다양한 변형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서 링크편에 형성된 고정회전축과 회전축공의 경사각도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서 레일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서 링크편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링크편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링크유닛과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전자기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링크편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 고정밴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 고정덮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서 높이보강용 지지다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보강용 지지다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가 손목시계타입으로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적용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철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제1유니트패널(100), 제2유니트패널(200) 및, 링크유닛(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이 링크유닛(300)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형태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에 특징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나머지 공지된 구성들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게임기 등의 전자기기에 적용가능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에는 각종 전자기기에 필요한 공지된 구성들이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이 링크유닛(300)에 의해 연결되어,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의 다양한 상호배치형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은 각각의 상면에 제1디스플레이부(101)와 제2디스플레이부(201)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및디스플레이부(101,201)는 LED, OLED, LCD 등 공지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될 수 있으며, 터치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링크유닛(300)은 레일부(307)와 링크편(301)을 포함한다.
레일부(307)는 제1유니트패널(100)에 측면에 형성된다. 링크편(301)은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을 연결하도록 일단은 레일부(307)에 회전가능하고 레일부(307)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타단은 제2유니트패널(200)에 측면의 길이방향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링크편(301)의 양단에는 각각 제1회전축(304)과 제2회전축(305)이 형성되며, 제1회전축(304)은 제2유니트패널(20)의 측면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된 회전축공(308)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회전축(305)은 레일부(307)에 삽입되어, 레일부(307)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레일부(307)상에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1회전축(304)은 이동가능한 회전축이므로 이동회전축라 정의하고, 제2회전축(304)은 위치고정된 회전축이므로 고정회전축이라고 정의한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링크유닛(300)은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구조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제1회전축(304)과 제2회전축(305)의 끝단은 레일부(307)와 회전축공(308)에서 빠지지 않도록 확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축(304)과 제2회전축(305) 자체의 직경이 확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거니와, 별도의 확장된 부재가 제1회전축(304)과 제2회전축(305)의 끝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링크유닛(300)은 도 2의 (a)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의 (b)와 같이 링크편(301)이 하나만 구성되고, 제2회전축(305)이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1유니트패널(100) 내에 보조레일부(315)를 구성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c)와 같이, 링크편(301)이 하나만 구성되고, 제2회전축(305)과 제1회전축(304)이 모두 길도록 연장되고, 보조레일부(315)와 보조회전축공(316)을 구성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d)와 같이, 링크편(301)을 한 쌍으로 구성하고, 제2회전축(305)과 제1회전축(304)이 한 쌍의 링크편(301)을 서로 연결한 형태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e)와 같이, 링크유닛(300)이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의 일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의 (f)(g)(h)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링크유닛(300)은 도 2의 (c)에 비해, 보조레일부(315)와 보조회전축공(316)의 그 수와 형성위치는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은 링크유닛(300)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이 취할 수 있는 상호배치형태는 제1내지제6배치형태를 갖는다.
제1배치형태 - 제1디스플레이부(101)와 제2디스플레이(201)가 마주하도록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이 적층된 형태(도3의 c참조, e참조).
제2배치형태 - 제1디스플레이부(101)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제1유니트패널(100)이 제2유니트패널(200)의 상부에 적층된 형태(도3의 a참조).
제3배치형태 - 제2디스플레이부(201)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제2유니트패널(200)이 제1유니트패널(100)의 상부에 적층된 형태(도3의 d참조).
제4배치형태 - 제1디스플레이부(101) 및 제2디스플레이부(201)가 상부로 향하도록 제1유니트패널(100)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200)이 좌우로 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된 형태(도 3의 b참조).
제5배치형태 - 제1디스플레이부(101) 및 제2디스플레이부(201)가 상부로 향하도록 상기 제4배치형태에 대해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의 좌우위치가 바뀐 형태(미도시).
제6배치형태 - 제1디스플레이부(101) 및 제2디스플레이부(201)가 서로 대향되어 외부에 노출되도록 제1유니트패널(100)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200)이 적층된 형태(도 3의 f 참조).
상기에서 제1배치형태는 비사용상태, 제2및제3배치형태는 두 디스플레이부(101,201)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만을 사용하는 축소화면모드, 제4및 제5배치형태는 제1디스플레이부(101) 및 제2디스플레이부(201)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병렬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로서 확장화면모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아울러, 제6배치형태는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잡은 상태에서, 제1디스플레이부(101)는 엄지로 조작하고 제2디스플레이부(201)는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 중 중지나 검지로 조작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기존에 비해 더욱 다양한 배치형태를 취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1회전축(304)의 외주면에 균등간격으로 돌기(304a)들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공(308)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304a)들에 대응되는 미세홈(308a)들이 형성되어, 제1회전축(304)이 회전축공(308)에서 회전될 때 돌기(304a)이 미세홈(308a)을 타고 넘어가 다음 미세홈(308a)에 안착되면서 클릭감이 발생되며, 사용자외력이 제거되면 미세홈(308a)에 돌기(304a)들이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도 1의 (d)와 같이 링크편(301)에 대한 제2유니트패널(200)이 소정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에서는 제1회전축(304)과 회전축공(308)에 각각 미세홈(308a)과 돌기(304a)들을 형성하여 제2유니트패널(200)이 링크편(301)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같은 방식으로 제1회전축(304)과 회전축공(308)에 각각 소정간격을 따라 대응되게 제1자석(304b)들과 제2자석(308b)들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외력으로 제2유니트패널(200)을 링크편(301)에 대해 회전시키기 전에는 제1자석들(304b)과 제2자석(308b)이 자력(인력)으로 결합되어 제1회전축(304)이 회전축공(308)에 대해 위치고정되게 됨으로써 도 1의 (d)와 같이, 제2유니트패널(200)이 링크편(301)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 4의 (a),(b)에서는 사용자가 제2유니트패널(200)을 잡고 링크편(301)에 대해 소정각도로 회동시켜 제2유니트패널(200)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회전축(304)과 회전축공(308)에 각각 미세홈(308a)과 돌기(304a)들이나, 제1및제2자석들(204b,308b)들을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기나 미세홈, 자석들이 아니더라도 여타의 구성에 의해서 제2유니트패널(200)이 링크편(301)에 대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음 물론이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레일부(307)와 회전축공(308)이 각각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에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와 같이, 레일부(307)가 형성된 별도의 제1부재(309)와 회전축공(308)이 형성된 제2부재(310)가 각각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의 측단에 부착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에서 본 발명은 제2회전축(305) 즉 이동회전축(305)이 레일부(307)에 삽입되어 회전도 되면서 이동가능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회전축(305)의 끝단에 롤러(311)가 설치되고, 이 롤러(311)가 레일부(307)에 끼워져 레일부(307)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에서 본 발명은 2개의 유니트패널을 하나의 링크유닛으로 연결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의 (a)와 같이 3개의 유니트패널(100,200,100')로 구성되거나 도 7의 (b)와 같이 4개의 유니트패널(100,200,100',200')로 구성되어, 인접하는 두개의 유니트패널을 상기에서 설명한 링크유닛으로 연결함으로써, 3개 또는 4개의 유니트패널이 서로 여러배치형태로 적층되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5개 이상의 유니트패널이 상기의 링크유닛에 의해 연결되어 다양한 여러배치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링크편(301)은 신축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며,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을 상호 당기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편(301)은 관체형태로 형성된 제1스틱부(3011)와, 이 제1스틱부(3011)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스틱부(3013)와, 양단이 제1스틱부(3011)에 형성된 고정돌기(3015)와 제2스틱부(3013)에 형성된 제2고정돌기(3013)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제1스틱부(3011)와 제2스틱부(3013)가 신장된 경우,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019)로 구성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스틱부(3011)와 제2스틱부(3013)의 각각의 끝단부에는 제1회전축(304)과 제2회전축(305)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링크편(301)에 의해, 본 발명의 전자기기를 제4및제5배치형태로 형태변형한 경우,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이 서로당겨져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의 마주하는 면이 서로 밀착되어 병렬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1디스플레이부(101)와 제2디스플레이부(201)는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더라도 동일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링크편(301)은 두개의 스틱부(3011,3013) 및 하나의 탄성부재(3019)로 구성될 수도 있거니와, 도 8 (b)와 같이, 본 발명의 링크편(301)은 3개의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여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관체형태로 3개의 스틱부(3021,3023)와, 이 3개의 스틱부 중 인접한 스틱부를 상호 연결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3035)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링크편(301)이 신축가능하며, 신장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구성이면 상기 스틱부와 탄성부재의 설치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에서 스틱부들은 안정적인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관체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호 인접한 스틱부들이 서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이면 관체가 아니더라도 플레이트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구조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레일부(307)가 제1유니트패널(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레일부(307)는 도 9와 같이 제1유니트패널(10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절개홈(320) 상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게 링크편(301)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링크편(301)의 타단도 제2유니트패널(200)의 양측단부에 매립된 상태로 힌지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3개의 유니트패널(100,200,400)로 구성되고, 이 3개의 유니트패널(100,200,400)은 제1레일부(307), 제2레일부(307'), 제1링크편(301), 제2링크편(301')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401은 제3유니트패널(400)의 상면에 형성된 제3디스플레이부(401)를 나타낸다.
제1레일부(307)는 제1유니트패널(100)에 형성되고, 제2레일부(307')는 제3유니트패널(400)에 형성된다. 또한, 제1링크편(301)은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을 연결하도록 일단에 구비된 이동회전축(305)은 제1레일부(307)에 회전되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 구비된 고정회전축(304)은 제2유니트패널(200)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링크편(301')은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3유니트패널(400)을 연결하도록 일단에 구비된 이동회전축(305')은 제1레일부(307)에 회전되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 구비된 고정회전축(304')은 제2유니트패널(200)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1레일부(307)와 제2레일부(307')는 서로 직각형태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제1링크편(301)은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의 서로 동일한 측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제2링크편(201')은 제1링크편(301)과는 다른 제1유니트패널(100)의 측면과 제3유니트패널(400)의 서로 동일한 측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도 10의 (b)와 같이, 3개의 유니트패널(100,200,400)이 "ㄱ" 형태로 펼쳐지거나 도 10의 (a)와 같이 3개의 유니트패널(100,200,400)이 적층된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제1유니트패널(100)에만 레일부(307)가 형성되고, 제2유니트패널(200)에는 회전축공(308)이 형성되어, 링크편(301)의 일단은 제1유니트패널(100)에 대해 회전되고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회전축공(308)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에 각각 레일부(307,312)를 형성하고, 링크편(301)의 양단에 각각의 레일부(307,312)에 회전가능하고 레일부(307,312)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11과 같이 링크편(301)의 길이를 다소 길게하여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이 병렬로 펼쳐진 상태일 때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제2유니트패널(200)의 양측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탄성밴드로 구성된 고정수단(3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밴드는 고무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고정밴드(350)는 제1회전축(304)이 설치된 위치와 반대되는 제2유니트패널(200)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유니트패널(100)이 상기 제2유니트패널(200)의 상부에 적층된 상태에서 탄성밴드(350)로 제1유니트패널(100)을 감싸줌으로써, 탄성밴드(350)에 의해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이 서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도 12와 같이, 고무줄과 같은 탄성밴드(350)를 이용해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의 적층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그 외에도 도 13과 같이,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와 같은 강성체로 이루어지며 "ㄷ"형태로 이루어진 고정덮개(150)를 통해 적층된 상태의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을 고정할 수 있다.
고정덮개(150)의 양단 내측에는 힌지돌기(151)가 형성되어, 제2유니트패널(200)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덮개(150)가 제2유니트패널(20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고정덮개(150)의 양단 내측에는 스냅돌기(153)가 형성되고, 제1유니트패널(100)의 측면에는 이 스냅돌기(153)에 스냅결합가능한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니트패널(100)이 제2유니트패널(200)에 적층된 상태에서, 고정덮개(150)를 회동하여, 고정덮개(150)가 제1유니트패널(100)을 감싸게 되면, 상기 스냅돌기(153)가 상기 제1유니트패널(100)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스냅결합됨으로써,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의 적층된 상태가 고정되게 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이 병렬로 펼쳐진 상태에서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의 제1및제2디스플레이(201,201)가 동일평면상에 위치하게 평편하게 되기 위한 지지다리(170)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유니트패널(100)은 제2유니트패널(200) 보다 얇은 두께로 구성되며, 제1유니트패널(10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다리(170)를 구비한다. 이때, 제1유니트패널(100)이 제2유니트패널(200)의 상부에 적층된 상태에서 지지다리(170)는 제1유니트패널(100)에 겹치도록 배치하고,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지지다리(170)를 제1유니트패널(100)에 대해 직각되게 회동시켜, 제1유니트패널(100)를 지지하여 높이를 보강해 줌으로써, 제1디스플레이부(101)와 제2디스플레이부(201)가 평편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준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지지다리(170)가 제1유니트패널(100)에 회동되게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5와 같이, 제1유니트패널(100)의 높이를 보강할 수 있는 구성이며, 지지다리(175)가 제1유니트패널(100)에 대해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유니트패널(100)의 일측에 버튼(미도시)을 설치하여, 이 버튼(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지지다리(175)가 자동으로 제1유니트패널(100)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제1유니트패널(100) 또는 제2유니트패널(200) 중 어느 하나의 양측에 손목착용밴드(500)를 설치하여 손목시계타입으로 제작할 수 있다(도 16참조 및 도 17참조).
이렇게 본 발명의 전자기기가 손목시계타입에 적용된 경우,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을 상기에서 언급한 다양한 형태(제1내지제6배치형태)로 형태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도 9에 도시된 3개의 유니트패널이 적층되거나 "ㄱ"형태로 펼쳐질 수 있는 구조에 손목착용밴드를 설치하여 3개의 유니트패널로 이루어진 손목시계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노트북 등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소형이 아닌 중대형의 전자기기 예를 들어 탁상용 모니터(도 18의 a 참조), 차량광고용 모니터(도18의 b 참조)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제1유니트패널
101...제1디스플레이부
150...고정덮개
170...지지다리
175...지지다리
200...제2유니트패널
201...제2디스플레이부
300...링크유닛
301...링크편
304...제1회전축
305...제2회전축
307...레일부
320...절개홈
350...탄성밴드
400...제3유니트패널
401...제3디스플레이부
500...손목착용밴드
101...제1디스플레이부
150...고정덮개
170...지지다리
175...지지다리
200...제2유니트패널
201...제2디스플레이부
300...링크유닛
301...링크편
304...제1회전축
305...제2회전축
307...레일부
320...절개홈
350...탄성밴드
400...제3유니트패널
401...제3디스플레이부
500...손목착용밴드
Claims (18)
- 상면에 제1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제1유니트패널;
상면에 제2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제2유니트패널;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의 상호배치형태를 다양하게 조작하게 하는 링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호배치형태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가 마주하도록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적층된 제1배치형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유니트패널이 상기 제2유니트패널의 상부에 적층된 제2배치형태;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상기 제1유니트패널의 상부에 적층된 제3배치형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좌우로 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는 제4배치형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상기 제4배치형태에 대해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의 좌우위치가 바뀐 제5배치형태; 및,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이 서로 대향되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적층된 제6배치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제1유니트패널에 형성되는 레일부; 및,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연결하며, 일단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레일부에 회전가능하며, 타단은 상기 제2유니트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제1유니트패널에 형성된 제1레일부;
상기 제2유니트패널에 형성된 제2레일부;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연결하며, 일단은 상기 제1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레일부에 회전가능하며, 타단은 상기 제2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레일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편은 신축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상호 당기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여, 상기 제4배치형태 또는 상기 제5배치형태에서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서로 밀착되어 병렬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편은,
제1스틱부;
상기 제1스틱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스틱부; 및,
상기 제1스틱부와 상기 제2스틱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편은,
상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여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틱부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틱부에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틱부가 축소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편은 일단에 상기 레일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고 상기 레일부에서 회전하는 이동회전축을 구비하고, 타단에는 상기 제2유니트의 일측에 위치고정된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고정회전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니트패널은 상기 고정회전축이 관통삽입되는 회전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회전축의 외주면에는 균등간격으로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공에는 상기 돌기들에 대응되는 홈들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회전축이 상기 회전축공에 대해 회전시킬 경우, 클릭감이 발생되며, 상기 링크편에 대해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경사진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1유니트패널에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유니트패널에 부착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1유니트패널의 측면상에 형성되며,
상기 링크편은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의 측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적층된 상태의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탄성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2유니트패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니트패널을 감싸도록 회전하여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고정하는 고정덮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구성되며,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 중 두께가 작은 것에는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좌우로 서로 병렬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의 제1디스프레이부와 제2디스플레이부가 하나의 평편한 면을 이루도록 하는 지지다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니트패널이 상기 제2유니트패널 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제1유니트패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거나, 상기 제1유니트패널에서 하방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니트패널 또는 상기 제2유니트패널 중 어느 하나의 양측에 설치되는 손목착용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면에 제3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제3유니트패널; 및,
상기 제1유니트패널 또는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상기 제3유니트패널을 연결시키는 제2링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내지제3유니트패널은 "ㄱ"형태로 펼쳐지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각각의 상면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적어도 둘 이상으로 된 복수의 유니트패널과,
상기 복수의 유니트패널 중 서로 인접하는 두 유니트패널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의 유니트패널의 상호배치형태를 다양하게 조작하게 하는 링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호배치형태는
상기 복수의 유니트패널이 일렬로 인접하게 병렬배치된 제1배치형태;
상기 복수의 유니트패널 중 인접하는 두 유니트패널이 서로 겹쳐지도록 적층되게 배치되되, 각각의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마주하게 되는 제2배치형태;
상기 복수의 유니트패널 중 인접하는 두 유니트패널이 서로 겹쳐지도록 적층되게 배치되되, 상기 두 유니트패널 중 상부에 위치한 유니트패널의 디스플레이부가 상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3배치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7750A KR101686740B1 (ko) | 2015-06-02 | 2015-06-02 | 접철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
PCT/KR2016/005330 WO2016195294A1 (ko) | 2015-06-02 | 2016-05-19 | 접철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7750A KR101686740B1 (ko) | 2015-06-02 | 2015-06-02 | 접철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1994A true KR20160141994A (ko) | 2016-12-12 |
KR101686740B1 KR101686740B1 (ko) | 2016-12-16 |
Family
ID=5744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7750A KR101686740B1 (ko) | 2015-06-02 | 2015-06-02 | 접철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6740B1 (ko) |
WO (1) | WO2016195294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5233A (ko) * | 2021-11-16 | 2023-06-14 | 정민우 |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92547A (zh) * | 2018-05-15 | 2019-11-22 | 北京汉能光伏投资有限公司 | 一种托盘组件和便携式太阳能充电装置 |
TWI742896B (zh) * | 2019-10-29 | 2021-10-11 |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 電子裝置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6071A (ko) * | 2002-10-23 | 2004-04-30 | 정석홍 | 휴대용 표시장치 |
KR20100110665A (ko) * | 2009-04-03 | 2010-10-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힌지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KR20100128702A (ko) | 2009-05-29 | 2010-12-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두 개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
KR20120011153A (ko) * | 2010-07-28 | 2012-02-0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KR101303445B1 (ko) | 2008-11-14 | 2013-09-05 | 노키아 코포레이션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핸드헬드 기기 |
KR20140033901A (ko) * | 2012-09-11 | 2014-03-19 | 김영철 | 양방향 힌지 결합체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532147B1 (en) * | 1999-09-24 | 2003-03-1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Flexible monitor/display on mobile device |
-
2015
- 2015-06-02 KR KR1020150077750A patent/KR10168674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5-19 WO PCT/KR2016/005330 patent/WO201619529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6071A (ko) * | 2002-10-23 | 2004-04-30 | 정석홍 | 휴대용 표시장치 |
KR101303445B1 (ko) | 2008-11-14 | 2013-09-05 | 노키아 코포레이션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핸드헬드 기기 |
KR20100110665A (ko) * | 2009-04-03 | 2010-10-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힌지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KR20100128702A (ko) | 2009-05-29 | 2010-12-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두 개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
KR20120011153A (ko) * | 2010-07-28 | 2012-02-0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KR20140033901A (ko) * | 2012-09-11 | 2014-03-19 | 김영철 | 양방향 힌지 결합체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5233A (ko) * | 2021-11-16 | 2023-06-14 | 정민우 |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195294A1 (ko) | 2016-12-08 |
KR101686740B1 (ko) | 2016-1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97666B1 (ko) | 폴더블 표시 장치 | |
US9250733B2 (en) | Hinge device and foldabl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102426694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10403177B2 (en) | Flexible display device of which end portion is perturbable by using elastic force of flexible display device during hinge operation | |
KR102034585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TWI646369B (zh) | 顯示裝置與電子裝置 | |
AU2015374531B2 (en) | Multi-pivot hinge cover | |
KR102421579B1 (ko) | 폴더블 표시 장치 | |
CN108363458B (zh) | 一种柔性显示设备 | |
US9772659B2 (en) | Connecting device and an electronic apparatus | |
US20170142240A1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KR101662451B1 (ko) | 광전지판과 디스플레이부의 접철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 |
US9557772B1 (en) | Electronic device | |
KR20210059445A (ko) | 폴더블 전자 장치 | |
KR101686740B1 (ko) | 접철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 |
KR20170116551A (ko) |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용 슬라이딩 모듈 | |
WO2016161845A1 (zh) | 一种显示设备 | |
KR20150099676A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 |
CN107615208A (zh) | 具有柔性显示面板的电子设备 | |
KR20170000309A (ko) |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이 가변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 |
US20200413555A1 (en) | Rollabl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 |
US9075577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keyboard thereof | |
US9185821B2 (en) | Bracke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CN103792839B (zh) | 显示装置 | |
JP2010086127A (ja) | 携帯型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