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451B1 - 광전지판과 디스플레이부의 접철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광전지판과 디스플레이부의 접철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451B1
KR101662451B1 KR1020150077751A KR20150077751A KR101662451B1 KR 101662451 B1 KR101662451 B1 KR 101662451B1 KR 1020150077751 A KR1020150077751 A KR 1020150077751A KR 20150077751 A KR20150077751 A KR 20150077751A KR 101662451 B1 KR101662451 B1 KR 101662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nel
unit
panel
rotation shaft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상
Original Assignee
고영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상 filed Critical 고영상
Priority to KR1020150077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451B1/ko
Priority to US15/575,560 priority patent/US10261544B2/en
Priority to PCT/KR2016/005332 priority patent/WO201619529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6Electric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special 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two or more PV modules, e.g. electrical module-to-module connection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0/00Arrangements of electric power supplies in time pieces
    • G04C10/02Arrangements of electric power supplies in time pieces the power supply being a radioactive or photovoltaic sourc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9/00Electric power supply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electronic time-pie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20Collapsible or foldable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Abstract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자기기는 상면에 광전지판이 형성된 제1유니트패널; 상면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제2유니트패널;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의 상호배치형태를 다양하게 조작하게 하는 링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호배치형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상기 제1유니트패널의 상부에 적층된 제1배치형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광전지판이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는 제2배치형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광전지판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는 제3배치형태;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상기 제1유니트패널의 상부에 적층되되,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상기 제1유니트패널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4배치상태; 상기 디스플레이부과 상기 광전지판 이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상기 제1유니트패널의 상부에 적층된 제5배치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전지판과 디스플레이부의 접철기능을 갖는 전자기기{ELECTRONIC HAVING FOLDABLE FUNCTION OF LIGHT ELECTRIC CELL PLATE AND DISPLAY}
본 발명은 광전지판과 디스플레이부의 접철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 광전지판의 상부에 디스플레이부를 겹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하다가 자체발전이 필요할 경우, 광전지판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광전지판에 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도록 이동시켜 자체발전하면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태블릿 피씨, 스마트폰 등 다양한 휴대용 스마트 전자기기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전에 따라 착용성(wearability}을 강조하는 스마트 전자기기들의 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착용가능한 스마트기 전자기기 중에는 손목에 착용하는 손목시계형 스마트 전자기기가 있으며, 이 손목시계형 스마트 전자기기는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사용하는 방식도 있고, 그 자체가 하나의 태블릿 pc 기능을 하도록 독립된 스마트 전자기기로 구현된 제품들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손목시계형 전자기기는 신체에 착용하므로 장시간 사용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태양에너지 등의 광에너지를 통해 전원을 자체생산하여 사용하는 광전지판이 구비된 전자기기들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이 광전지판이 구비된 전자기기 특히 손목시계형 전자기기에 대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0671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16007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6713호에 개시된 전자기기는 광전지판이 항상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서 광전지판을 설치로 인해 디스플레이부에 설치면적이 제한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16007호에 개시된 전자기기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폴더형으로 접히는 형태로서, 상부하우징의 외표면에 광전지판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자체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상부하우징을 하부하우징에 겹치도록 접어줘야 하기 때문에, 광발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는 키보드나 스크린 등을 조작 즉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광전지판을 구비한 유니트패널과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유니트패널을 다양한 배치형태로 적층시키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광전지판이 외부에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은 모든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전자기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광전지판과 디스플레이부의 접철기능을 갖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상면에 광전지판이 형성된 제1유니트패널; 상면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제2유니트패널;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의 상호배치형태를 다양하게 조작하게 하는 링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호배치형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상기 제1유니트패널의 상부에 적층된 제1배치형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광전지판이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는 제2배치형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광전지판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는 제3배치형태;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상기 제1유니트패널의 상부에 적층되되,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상기 제1유니트패널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4배치상태; 상기 디스플레이부과 상기 광전지판 이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상기 제1유니트패널의 상부에 적층된 제5배치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제1유니트패널에 형성되는 레일부; 및,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연결하며, 일단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레일부에 회전가능하며, 타단은 상기 제2유니트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편;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편은 신축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상호 당기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여, 상기 제4배치형태 또는 상기 제5배치형태에서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서로 밀착되어 병렬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편은, 제1스틱부; 상기 제1스틱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스틱부; 및, 상기 제1스틱부와 상기 제2스틱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편은, 상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여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틱부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틱부에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틱부가 축소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편은 일단에 상기 레일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고 상기 레일부에서 회전하는 이동회전축을 구비하고, 타단에는 상기 제2유니트의 일측에 위치고정된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고정회전축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니트패널은 상기 고정회전축이 관통삽입되는 회전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회전축의 외주면에는 균등간격으로 제1자석들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공에는 상기 제1자석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제2자석들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회전축이 상기 회전축공에 대해 회전시킬 경우, 링크편에 대해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니트패널은 상기 고정회전축이 관통삽입되는 회전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회전축의 외주면에는 균등간격으로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공에는 상기 돌기들에 대응되는 홈들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회전축이 상기 회전축공에 대해 회전시킬 경우, 클릭감이 발생되며, 상기 링크편에 대해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면에 제3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제3유니트패널; 및, 상기 제1유니트패널 또는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상기 제3유니트패널을 연결시키는 제2링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내지제3유니트패널은 "ㄱ"형태로 펼쳐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니트패널의 양측에 설치되는 손목착용밴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유니트패널과 제2유니트패널이 링크유닛에 의해 다양한 배치형태로 조작하여 형태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광전지판이 외부에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발전하면서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디스플레이부와 광전지판을 서로 마주하도록 접어서 디스플레이부를 스크래치, 충격등의 손상으로부터 보호하여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광전지판과 디스플레이부의 접철기능을 갖는 전자기기가 적용된 손목시계형 스마트 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손목착용밴드를 제거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전자기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서 링크편의 다양한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서 링크편에 형성된 고정회전축과 회전축공의 경사각도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다양한 변형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서 링크편의 다른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시릿 예에 따른 광전지판과 디스플레이부의 접철기능을 갖는 전자기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자기기가 적용된 손목시계형 스마트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광전지판과 디스플레이부의 접철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손목착용밴드(108)가 설치되어, 손목시계형 스마트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도 1과 같은 손목시계형이 아닌 여타의 휴대용 스마트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제1유니트패널(100), 제2유니트패널(200) 및 링크유닛(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이 링크유닛(300)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형태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에 특징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나머지 공지된 구성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cpu), 카메라모듈, 스피커 등의 구성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게임기, 스마트시계 등의 전자기기에 적용가능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 내에는 상기 전자기기의 공지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들이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유니트패널(100)에는 충전지(미도시) 및 발전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되어, 발전제어부(미도시)가 광전지판(101)을 통해 생성된 전기를 적정한 볼트나 전류로 변환하여 충전지(미도시)에 저장하고, 충전지(미도시)에 저장된 전원을 디스플레이부(201)에 공급하거나, 전원이 필요한 전기구성들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유니트패널(200)에는 음성통화, 영상통화, 인터넷접속, 게임 등 통상의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기능을 동작하기 위한 메인프로세서, 통신모듈, 카메라, 스피커모듈 등의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이 링크유닛(300)에 의해 연결되어,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의 다양한 상호배치형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유니트패널(100)은 상면에 광전지판(101)이 설치되어 있고, 제2유니트패널(200)은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201)가 설치되어 있다.
광전지판(101)은 태양전지판과 같이 태양에너지를 통해 전기를 생산해 내는 통상의 광전지판이 구현될 수 있으며, 태양에너지 뿐 아니라 주변의 조명등과 같은 전자기기에서 나오는 광에너지에 의해 전기를 생산해 낼 수 있는 광전지판을 통합적으로 의미한다.
디스플레이부(201)는 LED, OLED, LCD 등 공지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될 수 있으며, 터치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링크유닛(300)은 레일부(307)와 링크편(301)을 포함한다.
레일부(307)는 제1유니트패널(100)에 측면에 형성된다. 링크편(301)은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을 연결하도록 일단은 레일부(307)에 회전가능하고 레일부(307)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타단은 제2유니트패널(200)에 측면의 길이방향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링크편(301)의 양단에는 각각 제1회전축(304)과 제2회전축(305)이 형성되며, 제1회전축(304)은 제2유니트패널(200)의 측면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된 회전축공(308)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회전축(305)은 레일부(307)에 삽입되어, 레일부(307)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레일부(307)상에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1회전축(304)은 이동가능한 회전축이므로 이동회전축라 정의하고, 제2회전축(304)은 위치고정된 회전축이므로 고정회전축이라고 정의한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링크유닛(300)은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구조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제1회전축(304)과 제2회전축(305)의 끝단은 레일부(307)와 회전축공(308)에서 빠지지 않도록 확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축(304)과 제2회전축(305) 자체의 직경이 확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거니와, 별도의 확장된 부재가 제1glh전축304)과 제2회전축(305)의 끝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링크유닛(300)은 도 3의 (a)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의 (b)와 같이 링크편(301)이 하나만 구성되고, 제2회전축(305)이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1유니트패널(100) 내에 보조레일부(315)를 구성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c)와 같이, 링크편(301)이 하나만 구성되고, 제2회전축(305)과 제1회전축(304)이 모두 길도록 연장되고, 보조레일부(315)와 보조회전축공(316)을 구성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d)와 같이, 링크편(301)을 한 쌍으로 구성하고, 제2회전축(305)과 제1회전축(304)이 한 쌍의 링크편(301)을 서로 연결한 형태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e)와 같이, 링크유닛(300)이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의 일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의 (f)(g)(h)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링크유닛(300)은 도 2의 (c)에 비해, 보조레일부(315)와 보조회전축공(316)의 그 수와 형성위치는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1회전축(304)의 외주면에 균등간격으로 돌기(304a)들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공(308)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304a)들에 대응되는 미세홈(308a)들이 형성되어, 제1회전축(304)이 회전축공(308)에서 회전될 때 돌기(304a)이 미세홈(308a)을 타고 넘어가 다음 미세홈(308a)에 안착되면서 클릭감이 발생되며, 사용자외력이 제거되면 미세홈(308a)에 돌기(304a)들이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도 1의 (d)와 같이 링크편(301)에 대한 제2유니트패널(200)이 소정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에서는 제1회전축(304)과 회전축공(308)에 각각 미세홈(308a)과 돌기(304a)들을 형성하여 제2유니트패널(200)이 링크편(301)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r같은 방식으로 제1회전축(304)과 회전축공(308)에 각각 소정간격을 따라 대응되게 제1자석(304b)들과 제2자석(308b)들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외력으로 제2유니트패널(200)을 링크편(301)에 대해 회전시키기 전에는 제1자석들(304b)과 제2자석(308b)이 자력(인력)으로 결합되어 제1회전축(304)이 회전축공(308)에 대해 위치고정되게 됨으로써 도 1의 (d)와 같이, 제2유니트패널(200)이 링크편(301)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레일부(307)와 회전축공(308)이 각각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에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레일부(307)가 형성된 별도의 제1부재(미도시)와 회전축공(308)이 형성된 별도의 제2부재(미도시)가 각각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의 측단에 부착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은 링크유닛(300)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이 취할 수 있는 상호배치형태는 제1 내지 제5배치형태를 갖는다.
제1배치형태 - 디스플레이부(201)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제2유니트패널(200)이 제1유니트패널(100)의 상부에 적층된 상태(도 5의 a 참조).
제2배치형태 - 디스플레이부(201)와 광전지판(101)이 상부를 향하도록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이 좌우로 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는 형태(도 5의 b참조).
제3배치형태 - 디스플레이부(201)가 광전지판(101)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도록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이 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는 형태(도 5의 c 참조).
제4배치상태 - 제2유니트패널(200)이 제1유니트패널(100)의 상부에 적층되되, 제2유니트패널(200)이 제2유니트패널(100)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는 형태(도 5의 d참조)
제5배치상태 - 디스플레이부(201)과 상기 광전지판(101)이 서로 마주하도록 제2유니트패널(200)이 상기 제1유니트패널(100)의 상부에 적층된 형태(도 5의 e참조).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제1배치형태은 형태로 조작하여, 광전지판(101)이 제2유니트패널(200)에 의해 가려진 비발전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1)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2및제3배치형태와 같이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이 서로 병렬로 배치되게 위치하여, 광전지판(101)이 외부에 완전히 노출되게 한 상태에서, 광전지판(101)을 통해 발전을 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201)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4배치형태와 같이 광전지판(101)에 대해 제2유니트패널(200)이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특정 각도로 입사되는 광에 의해서 광전지판(101)에서 전기를 생성하여 발전을 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201)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배치형태는 비발전상태로서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디스플레이부(201)가 광전지판(101)과 마주보도록 제1유니트패널(100)의 상부에 제2유니트패널(200)이 적층되게 함으로써, 광전지판(101)이 디스플레이부(201)에 의해 덮혀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디스플레이부(201)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스크래치 등의 손상으로부터 디스플레이부(201)를 보호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이 링크유닛(300)에 의해 다양한 배치형태로 조작하여 형태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광전지판(101)이 외부에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부(201)를 통한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발전하면서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디스플레이부(201)와 광전지판(101)을 서로 마주하도록 접어서 디스플레이부(201)를 스크래치, 충격등의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링크편(301)은 신축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며,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을 상호 당기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편(301)은 관체형태로 형성된 제1스틱부(3011)와, 이 제1스틱부(3011)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스틱부(3013)와, 양단이 제1스틱부(3011)에 형성된 고정돌기(3015)와 제2스틱부(3013)에 형성된 제2고정돌기(3013)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제1스틱부(3011)와 제2스틱부(3013)가 신장된 경우,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019)로 구성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스틱부(3011)와 제2스틱부(3013)의 각각의 끝단부에는 제1회전축(304)과 제2회전축(305)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링크편(301)에 의해, 본 발명의 전자기기를 제2배치형태로 형태변형한 경우,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이 서로당겨져 제1유니트패널(100)과 제2유니트패널(200)의 마주하는 면이 서로 밀착되어 병렬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광전지판(101)과 디스플레이부(201)는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더라도 동일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링크편(301)은 두개의 스틱부(3011,3013) 및 하나의 탄성부재(3019)로 구성될 수도 있거니와, 도 6 (b)와 같이, 본 발명의 링크편(301)은 3개의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여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관체형태로 3개의 스틱부(3021,3023)와, 이 3개의 스틱부 중 인접한 스틱부를 상호 연결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3025)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링크편(301)이 신축가능하며, 신장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구성이면 상기 스틱부와 탄성부재의 설치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에서 스틱부들은 안정적인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관체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호 인접한 스틱부들이 서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이면 관체가 아니더라도 플레이트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구조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의 전자기기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제3유니트패널(200')과, 제2유니트패널(200)과 제3유니트패널(200')을 연결하는 제2링크유닛(300')의 구성을 추가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즉, 제 1 실시 예에서는 제1유니트패널(100)에 제2유니트패널(200)이 링크유닛(300)에 의해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었으나, 본 발명은 제2유니트패널(200)과 동일하게 디스플레이부(201')를 구비한 제3유니트패널(200')을 추가하여, 이 제3유니트패널(200')을 제2유니트패널(200)에 제2링크유닛(300')으로 연결한 구성이 될 수 있으며, 이때, 제2링크유닛(300')은 링크유닛(300)과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내지제3유니트패널(100,200,200')은 도 7의 (a)와 같이 제1유니트패널이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적층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제1내지제3유니트패널(100,200,200')을 펼칠 경우, 도 7의 (b)와 같이 "ㄱ"자 형으로 펼쳐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링크유닛(300)과 제2링크유닛(300')의 각각의 구성들은 도 7의 (a)와 같이 제1 내지 제3유니트패널(100,200,200')이 상하 적층된 상태에서, 직각으로 서로 이웃하는 측면에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는 제3유니트패널(200')과 제2링크유닛(300')을 추가하여 제1 내지 3유니트패널(100,200,200')을 상하로 적층시키거나, "ㄱ"자형태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링크유닛(300')의 설치형태에 따라 제1 내지 제3유니트패널(100,200,200')이 좌우로 일렬로 펼쳐지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아울러, 제3유니트패널(200')외에도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제4유니트패널(미도시) 및 제3링크유닛(미도시) 등을 추가하여, 펼쳐지는 유니트패널의 갯수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제1유니트패널
101...광전지판
200...제2유니트패널
201...디스플레이부
300...링크유닛
301...링크편
304...제1회전축
304a...돌기들
304b...제1자석들
305...제2회전축
307...레일부
308...회전축공
308a...미세홈들
308b...제2자석들

Claims (10)

  1. 상면에 광전지판이 형성된 제1유니트패널;
    상면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제2유니트패널;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의 상호배치형태를 다양하게 조작하게 하는 링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호배치형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상기 제1유니트패널의 상부에 적층된 제1배치형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광전지판이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는 제2배치형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광전지판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는 제3배치형태;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상기 제1유니트패널의 상부에 적층되되,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상기 제1유니트패널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4배치형태;
    상기 디스플레이부과 상기 광전지판이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상기 제1유니트패널의 상부에 적층된 제5배치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제1유니트패널에 형성되는 레일부; 및,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연결하며, 일단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레일부에 회전가능하며, 타단은 상기 제2유니트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편;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편은 신축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상호 당기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여, 상기 제4배치형태 또는 상기 제5배치형태에서 상기 제1유니트패널과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서로 밀착되어 병렬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링크편은,
    제1스틱부;
    상기 제1스틱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스틱부; 및,
    상기 제1스틱부와 상기 제2스틱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편은,
    상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여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틱부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틱부에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틱부가 축소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편은 일단에 상기 레일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고 상기 레일부에서 회전하는 이동회전축을 구비하고, 타단에는 상기 제2유니트의 일측에 위치고정된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고정회전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니트패널은 상기 고정회전축이 관통삽입되는 회전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회전축의 외주면에는 균등간격으로 제1자석들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공에는 상기 제1자석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제2자석들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회전축이 상기 회전축공에 대해 회전시킬 경우, 링크편에 대해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경사진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니트패널은 상기 고정회전축이 관통삽입되는 회전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회전축의 외주면에는 균등간격으로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공에는 상기 돌기들에 대응되는 홈들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회전축이 상기 회전축공에 대해 회전시킬 경우, 클릭감이 발생되며, 상기 링크편에 대해 상기 제2유니트패널이 경사진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면에 제3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제3유니트패널; 및,
    상기 제1유니트패널 또는 상기 제2유니트패널을 상기 제3유니트패널을 연결시키는 제2링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내지제3유니트패널은 "ㄱ"형태로 펼쳐지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 1 항 및 제 5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니트패널의 양측에 설치되는 손목착용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50077751A 2015-06-02 2015-06-02 광전지판과 디스플레이부의 접철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KR101662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751A KR101662451B1 (ko) 2015-06-02 2015-06-02 광전지판과 디스플레이부의 접철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US15/575,560 US10261544B2 (en) 2015-06-02 2016-05-19 Electronic device with folding function between photovoltaic cell panel and display panel
PCT/KR2016/005332 WO2016195295A1 (ko) 2015-06-02 2016-05-19 광전지판과 디스플레이부의 접철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751A KR101662451B1 (ko) 2015-06-02 2015-06-02 광전지판과 디스플레이부의 접철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451B1 true KR101662451B1 (ko) 2016-10-05

Family

ID=57153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751A KR101662451B1 (ko) 2015-06-02 2015-06-02 광전지판과 디스플레이부의 접철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61544B2 (ko)
KR (1) KR101662451B1 (ko)
WO (1) WO20161952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245A (ko) * 2018-03-22 2019-10-02 알티비피얼라이언스(주) 휴대용 태양광 발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7743B (zh) * 2015-10-15 2018-05-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
CN108806510B (zh) * 2018-06-05 2019-12-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弯折的背板结构及显示装置
CN111045479B (zh) * 2018-10-11 2021-06-01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US10847993B2 (en) * 2019-02-17 2020-11-24 Jovans R. Thelusma Portable charging device built into a watch and watch band
CN112445125A (zh) * 2019-09-03 2021-03-05 RealMe重庆移动通信有限公司 穿戴式电子设备
JP6783003B1 (ja) * 2019-11-01 2020-11-11 将也 実広 電子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CN114267262B (zh) * 2021-12-29 2023-06-0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终端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7602A (ja) * 2000-03-21 2001-09-28 Citizen Watch Co Ltd 太陽電池付き電子機器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060099871A (ko) * 2005-03-15 2006-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유닛을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110029441A (ko) * 2009-09-15 2011-03-23 (주)세화에너지산업 전자기기용 다목적 전원공급장치
KR20140078562A (ko) * 2012-12-17 2014-06-25 더 스와치 그룹 리서치 앤 디벨롭먼트 엘티디 가요성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9076A (ja) 1994-01-26 1995-08-11 Toray Techno Kk 指輪型紫外線計
KR20040006713A (ko) 2002-07-15 2004-01-2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손목시계형 이동통신 단말기
JP2006200909A (ja) * 2005-01-18 2006-08-03 Seiko Epson Corp リスト機器
US8456461B2 (en) * 2010-04-30 2013-06-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 for ambient light detection and power control via photovoltaics
US8982542B2 (en) * 2010-11-17 2015-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mechanism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518347B1 (ko) 2013-08-02 2015-05-11 한국전기연구원 손목 시계 타입의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7602A (ja) * 2000-03-21 2001-09-28 Citizen Watch Co Ltd 太陽電池付き電子機器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060099871A (ko) * 2005-03-15 2006-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유닛을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110029441A (ko) * 2009-09-15 2011-03-23 (주)세화에너지산업 전자기기용 다목적 전원공급장치
KR20140078562A (ko) * 2012-12-17 2014-06-25 더 스와치 그룹 리서치 앤 디벨롭먼트 엘티디 가요성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245A (ko) * 2018-03-22 2019-10-02 알티비피얼라이언스(주) 휴대용 태양광 발전 장치
KR102051739B1 (ko) * 2018-03-22 2019-12-04 알티비피얼라이언스(주) 휴대용 태양광 발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5295A1 (ko) 2016-12-08
US20180129249A1 (en) 2018-05-10
US10261544B2 (en)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451B1 (ko) 광전지판과 디스플레이부의 접철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KR10242669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250733B2 (en) Hinge device and foldabl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EP3345078B1 (en) Flexible keyboard accessory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S2967039T3 (es) Dispositivo electrónico plegable que incluye una estructura de prevención/reducción del hundimiento del bisel
WO2016101123A1 (zh) 柔性屏扩展结构、柔性屏组件及终端
JP4994334B2 (ja) 電子機器
US20160357222A1 (en) Electronic device
CN105900037A (zh) 具有柔性显示器的电子设备
EP3493022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8196718B (zh) 一种电子设备扇形拉伸使用柔性屏幕的结构和使用方法
TW201836453A (zh) 電子裝置
KR101857754B1 (ko)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US11379005B2 (en) Rotating shaft body and electronic device
CN106068485B (zh) 可分离电子装置
JPWO2015170555A1 (ja) 眼鏡型電子機器
US9822561B2 (en) Fixing apparatus and computer apparatus using the same
US928266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1686740B1 (ko) 접철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KR20160134357A (ko) 복합 자가충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130025073A (ko) 플렉시블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빔 프로젝터
US8804357B2 (en) Sliding-type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N103792839B (zh) 显示装置
KR101248864B1 (ko)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
TWI459883B (zh) 手持式電子裝置與應用其之電子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