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118B1 - 접철식 기기 - Google Patents

접철식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118B1
KR102171118B1 KR1020130116912A KR20130116912A KR102171118B1 KR 102171118 B1 KR102171118 B1 KR 102171118B1 KR 1020130116912 A KR1020130116912 A KR 1020130116912A KR 20130116912 A KR20130116912 A KR 20130116912A KR 102171118 B1 KR102171118 B1 KR 102171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bodies
stopper
segment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6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7383A (ko
Inventor
서호성
조필제
허영우
김시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6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118B1/ko
Publication of KR20150037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Abstract

개시된 접철식 기기는, 접철된 때에 만곡부를 형성하는 힌지 유닛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제1, 제2몸체와, 상기 힌지 유닛을 가로질러 상기 제1, 제2몸체에 지지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한다. 힌지유닛은, 각각 연결핀을 구비하며, 최외곽에 위치되는 두 개는 각각 제1, 제2몸체에 결합되는 다수의 분절부재와,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대응되는 기준 분절부재의 연결핀이 삽입되는 중앙홀과, 기준 분절부재와 인접한 두 회동 분절부재의 연결핀이 각각 삽입되고 그 중심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두께의 중립선 상에 위치되는 원호 형상의 제1, 제2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는 다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철식 기기{Foldable device}
제1, 제2몸체를 구부려 접을 수 있는 힌지 유닛을 구비하는 접철식 기기가 개시된다.
통신 단말기, 게임기, 멀티미디어기기, 휴대형 컴퓨터, 촬영장치 등 휴대가 가능한 접철식 기기(이하, 모바일 기기)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와 키패드 등의 입력수단을 구비한다. 모바일 기기는 휴대의 편의성을 위하여 보다 작은 크기로 접을 수 있는 접철 구조를 갖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형태의 모바일 기기에서는 두 개의 몸체가 접철 구조에 의하여 연결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접을 수 없는 구조이므로, 두 개의 몸체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철 구조의 모바일 기기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적용하기가 어렵다.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개발됨에 따라 접철 구조의 모바일 기기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적용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접철 구조를 가로질러 두 개의 몸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므로, 대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라 하더라도 완전히 꺽어지면(즉, 각지게 구부러지면) 소자 자체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모바일 기기가 접힐 때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구부러지는 곡률반경을 제한할 수 있는 접철 구조가 요구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접철식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접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접철식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외관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접철식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 따른 접철식 기기는, 제1몸체와 제2몸체; 상기 제1, 제2몸체에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제2몸체를 접철될 수 있게 연결하며, 접철된 때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지지하는 만곡부를 형성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유닛은, 각각 연결핀을 구비하며, 최외곽에 위치되는 두 개는 각각 제1, 제2몸체에 결합되는 다수의 분절부재;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중 대응되는 기준 분절부재의 연결핀이 삽입되는 중앙홀과, 상기 기준 분절부재와 인접한 두 회동 분절부재의 연결핀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기준 분절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기준 분절부재의 양쪽에 위치되는 회동 분절부재가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서 그 중심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두께의 중립선 상에 위치되는 원호 형상의 제1, 제2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는 다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는 상기 제1, 제2몸체가 펼쳐진 상태에서 그 측부가 서로 접촉되며, 상기 제1, 제2가이드 슬롯의 중심은 각각 상기 기준 분절부재의 양측부의 연장선과 상기 중립선과의 교점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는 상기 제1, 제2몸체가 펼쳐진 상태에서 그 측부가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제2가이드 슬롯의 중심은 각각 상기 기준 분절부재의 양측부와 인접하는 두 회동 분절부재의 대응되는 일측부 사이의 중심선과 상기 중립선과의 교점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와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는 그 형상이 각각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접철식 기기는, 상기 제1, 제2몸체의 접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기는,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일단부와, 상기 힌지 유닛를 가로질러 상기 제2몸체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제2몸체가 접철될 때에 상기 제2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되는 타단부와, 상기 타단부에 마련되는 랙 기어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스트랩; 상기 제2몸체에 마련되고, 상기 랙 기어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피니언을 구비하며, 상기 피니언을 다수의 위치에서 로킹시키는 스토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피니언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며, 제1스토퍼를 구비하는 제1캠; 상기 제1캠과 대향되며, 상기 제1스토퍼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제2스토퍼가 마련된 제2캠; 상기 제1캠에 상기 제2캠을 향하여 슬라이딩 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펼쳐진 위치,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접힌 위치, 및 상기 두 상태 사이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다수의 제2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펼쳐진 위치 및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접힌 위치에서 상기 제1스토퍼와 맞물리며, 상기 제2캠은 상기 제1스토퍼와 마찰되어 상기 두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몸체를 유지시키는 마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기는,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의 내측에 위치되며, 인접하는 지지부재끼리 회동될 수 있게 직렬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부재; 상기 제1, 제2몸체의 접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들에 회동 부하을 부여하는 부하제공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 각각은 제1연결부와, 인접하는 지지부재에 마련된 제1연결부와 대면되는 제2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연결부에는 각각 관통공이 마련되며, 상기 관통홀에 회전축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는 인접하는 지지부재끼리 회동될 수 있게 직렬 연결되며, 상기 부하제공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제2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축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철식 기기는,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어 그 조임량에 따라 상기 회동 부하을 조절하는 체결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연결부에 마련되는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는 원호 형상의 장공일 수 있다.
상기 접철식 기기는,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의 접힘 방향의 외측에 위치되어 힌지 유닛의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의 하우징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하우징 부재 각각은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단부는 인접하는 하우징 부재의 제1단부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2단부에는 상기 인접하는 하우징 부재의 제1단부가 수용되도록 그 내면으로부터 몰입된 몰입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접철식 기기는, 제1몸체와 제2몸체; 상기 제1, 제2몸체에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제2몸체를 접철될 수 있게 연결하며, 접철된 때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지지하는 만곡부를 형성하는 힌지 유닛; 상기 제1, 제2몸체의 접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기;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 조절기는,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일단부와, 상기 힌지 유닛를 가로질러 상기 제2몸체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제2몸체가 접철될 때에 상기 제2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되는 타단부와, 상기 타단부에 마련되는 랙 기어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스트랩; 상기 제2몸체에 마련되고, 상기 랙 기어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피니언을 구비하며, 상기 피니언을 다수의 위치에서 로킹시키는 스토퍼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피니언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며, 제1스토퍼를 구비하는 제1캠; 상기 제1캠과 대향되며, 상기 제1스토퍼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제2스토퍼가 마련된 제2캠; 상기 제1캠에 상기 제2캠을 향하는 슬라이딩 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펼쳐진 위치,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접힌 위치, 및 상기 두 상태 사이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다수의 제2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펼쳐진 위치 및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접힌 위치에서 상기 제1스토퍼와 맞물리며, 상기 제2캠은 상기 제1스토퍼와 마찰되어 상기 두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몸체를 유지시키는 마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각각은 연결핀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중 대응되는 기준 분절부재의 연결핀이 삽입되는 중앙홀과, 상기 기준 분절부재와 인접한 두 회동 분절부재의 연결핀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기준 분절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기준 분절부재의 양쪽에 위치되는 회동 분절부재가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서 그 중심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두께의 중립선 상에 위치되는 원호 형상의 제1, 제2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는 다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접철식 기기는, 제1몸체와 제2몸체; 상기 제1, 제2몸체에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제2몸체를 접철될 수 있게 연결하며, 접철된 때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지지하는 만곡부를 형성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유닛은, 최외곽에 위치되는 두 개는 각각 제1, 제2몸체에 결합되는 다수의 분절부재;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를 인접하는 분절부재와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의 내측에 위치되며, 인접하는 지지부재끼리 회동될 수 있게 직렬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부재; 상기 제1, 제2몸체의 접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들에 회동 부하을 부여하는 부하제공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 각각은 제1연결부와, 인접하는 지지부재에 마련된 제1연결부와 대면되는 제2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연결부에는 각각 관통공이 마련되며, 상기 관통홀에 회전축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는 인접하는 지지부재끼리 회동될 수 있게 직렬 연결되며, 상기 부하제공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제2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축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철식 기기는,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어 그 조임량에 따라 상기 회동 부하을 조절하는 체결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연결부에 마련되는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는 원호 형상의 장공일 수 있다.
상기 힌지유닛은, 각각 연결핀을 구비하며, 최외곽에 위치되는 두 개는 각각 제1, 제2몸체에 결합되는 다수의 분절부재;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중 대응되는 기준 분절부재의 연결핀이 삽입되는 중앙홀과, 상기 기준 분절부재와 인접한 두 회동 분절부재의 연결핀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기준 분절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기준 분절부재의 양쪽에 위치되는 회동 분절부재가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서 그 중심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두께의 중립선 상에 위치되는 원호 형상의 제1, 제2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는 다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 각각의 상면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접철식 기기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접철과정에서 꺽이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각도 조절기를 구비함으로써 제1, 제2몸체의 접힘 각도를 다수의 각도로 유지할 수 있다.
힌지 유닛의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의 하우징 부재가 상호 중첩되게 배치됨으로써 접철식 기기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접힌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힌지 유닛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힌지 유닛의 일 실시예가 펼쳐진 상태에서 분절부재와 연결부재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힌지 유닛의 다른 실시예가 펼쳐진 상태에서 분절부재와 연결부재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d는 힌지 유닛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힌지 유닛의 일 실시예가 접힐 때에 분절부재와 연결부재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b는 힌지 유닛의 일실시예가 접힐 때에 분절부재와 연결부재의 연결관계를 비교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c는 도 4a에 도시된 힌지 유닛의 일 실시예의 접힌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힌지 유닛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펼쳐진 상태의 하우징 부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펼쳐진 상태의 하우징 부재의 일 실시예로서, 도 8의 Y-Y' 단면도이다.
도 10은 접힌 상태의 하우징 부재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접철식 기기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D부의 상세도이다.
도 13은 각도 조절부를 구비하는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X-X' 단면도이다.
도 15는 슬라이딩 스트랩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6a는 스토퍼 유닛의 일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b는 스토퍼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1, 제2스토퍼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1, 제2스토퍼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접철식 기기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접힌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접철식 기기는 제1, 제2몸체(1)(2)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와, 힌지 유닛(3)을 구비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제1몸체(1)와 제2몸체(2)에 지지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접착제,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제1몸체(1)와 제2몸체(2)에 접착될 수 있다. 힌지 유닛(3)은 제1, 제2몸체(1)(2) 사이에 위치되며, 제1, 제2몸체(1)(2)를 접철가능하게 연결한다.
접철식 기기는 통신 단말기, 게임기, 멀티미디어기기, 휴대형 컴퓨터, 촬영장치 등 휴대가 가능한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이외에도, 접철식 기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3)의 일부(4a)가 결합되는 제1몸체(1)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일부(4b)가 결합되고 힌지 유닛(3)에 의하여 제1몸체(1)에 대하여 접힐 수 있게 연결되는 제2몸체(2)를 구비하는 어떠한 기기라도 무방하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을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41)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41)의 외측에 배치되는 투명 보호 패널(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입력 수단으로서의 터치 패널(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42)은 투명 보호 패널(43)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다양한 광학 패널 또는 광학 필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제2몸체(1)(2)에는 접철식 기기의 용도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싱 유닛(미도시) 및 입출력 수단(미도시)들이 마련될 수 있다. 접철식 기기가 영상 및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인 경우, 프로세싱 유닛은 영상/음향정보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철식 기기가 통신 단말기인 경우 프로세싱 유닛은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수단은 영상/음향 입출력부 및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에 통합된 터치 패널(42)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접철식 기기는 반드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를 구비하는 기기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접철식 기기는 제1, 제2몸체(1)(2)에 지지되는 유연한 평판상의 부재를 구비하는 모든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제1몸체(1)에 결합된 제1부분(4a)과 제2몸체(2)에 결합된 제2부분(4b) 및 제1몸체(1)와 제2몸체(2) 사이의 제3부분(4c)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은 힌지 유닛(3)에 고정되지는 않는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이 구부러짐으로써 접철식 기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힐 수 있다. 접철식 기기가 접힌 상태에서 힌지 유닛(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외측에 위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만곡부(3a)를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힌지 유닛(3)은 더 이상 구부러지지 않으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이 각지게 완전히 꺽이지 않도록 보호될 수 있다.
도 4a는 힌지 유닛(3)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힌지 유닛(3)이 펼쳐진 상태에서 분절부재(310)와 연결부재(320)의 연결관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힌지 유닛(3)이 펼쳐진 상태에서 분절부재(310)와 연결부재(320)의 연결관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d는 힌지 유닛(3)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힌지 유닛(3)은 길이 방향(L)으로 배열된 다수의 분절부재(310)와, 다수의 분절부재(310)를 순차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320)를 포함한다. 분절부재(310)는 상단부(301)와 하단부(302)를 구비한다. 상단부(301)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가 지지된다. 상단부(301)와 하단부(302)는 각각 구부러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몸체(1)의 내측과 외측의 단부를 의미한다. 분절부재(310)는 상단부(301)와 하단부(302)를 연결하는 제1측부(304)와 제2측부(305)를 구비한다. 제1측부(304)는 인접하는 다른 분절부재(310)의 제2측부(305)와 대향된다. 다수의 분절부재(310)의 상단부(3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을 지지하는 지지면(319)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힌지 유닛(3)은 7개의 분절부재(310-1 ~ 310-7)와, 7개의 분절부재(310-1 ~ 310-7) 각각에 대응되는 7개의 연결부재(320-1 ~ 320-7)를 포함한다. 분절부재(310-1)는 제1몸체(1)에 연결되고, 분절부재(310-7)은 제2몸체(2)에 연결된다.
연결부재는 대응되는 분절부재(기준 분절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그 양쪽에 위치되는 두 개의 분절부재(회동 분절부재)를 기준 분절부재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게 연결한다. 이를 위하여, 기준 분절부재와 회동 분절부재에는 연결핀(311)이 마련된다. 연결부재(320)에는 기준 분절부재의 연결핀(311)이 삽입되는 중심홀(323)이 마련되며, 중심홀(323)의 양측에는 회동 분절부재의 연결핀(311)들이 삽입되는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이 마련된다.
예를 들면,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20-2)는 대응되는 기준 분절부재(310-2)를 기준으로 하여 그 양쪽에 위치되는 회동 분절부재(310-1)(310-3)를 기준 분절부재(310-2)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게 연결한다. 연결부재(320-2)의 중심홀(323)에는 기준 분절부재(310-2)의 연결핀(311)이 삽입된다. 연결부재(320-2)의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에는 각각 회동 분절부재(310-1)(310-3)의 연결핀(311)이 삽입된다.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은 기준 분절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기준 분절부재의 양쪽에 위치되는 회동 분절부재의 하단부(302)가 기준 분절부재의 하단부(302)에 대하여 접근/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회동 분절부재를 안내한다.
접철식 기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절부재(310-1)(310-3)의 연결핀(311)이 각각 연결부재(320-2)의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의 제1단부(321a)(322a), 즉 중심 홀(323)에 가까운 단부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힌지 유닛(3)에 외측, 즉 접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구부리려는 힘이 작용되더라도 분절부재(310-1)(310-2)(310-3)가 서로 접촉되어 있고 연결핀(311)이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의 제1단부(321a)(322a)에 구속되어 있으므로, 힌지 유닛(3)은 외측으로 구부러지지 않는다. 힌지 유닛(3)이 외측으로 구부러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에 인장력이 가해지고, 이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가 제1, 제2몸체(1)(2)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외측으로 구부러지지 않는 본 실시예의 힌지 유닛(3)에 의하여 방지될 수 있다.
제1, 제2몸체(1)(2)가 펼쳐진 상태와 접힌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은 다수의 분절부재(310)의 상단부(301)에 의하여 형성되는 지지면(319)에 지지된다. 그러므로, 제1, 제2몸체(1)(2)가 펼쳐진 상태와 접힌 상태로 전환될 때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두께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중립선(neutral line)(도 4b: 45)의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은 그 중심이 중립선(45) 상에 위치되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제1, 제2몸체(1)(2)가 접힐 때에 중립선(45)의 길이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중립선(45)의 길이보다 길어지면 지지면(319)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사이가 들뜨게 되며, 반대로 제1, 제2몸체(1)(2)가 접힐 때에 중립선(45)의 길이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중립선(45)의 길이보다 짧아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가 불균일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몸체(1)(2)가 펼쳐진 상태에서, 어느 한 분절부재의 제1, 제2측부(304)(305)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분절부재의 제2측부(305) 및 제1측부(304)는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가이드 슬롯(321)은 분절부재(310-2)의 제1측부(304)의 연장선과 중립선(45)과의 교점(1002-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경로(1001-1)를 따라 연장된 형태이며, 제2가이드 슬롯(322)은 분절부재(310-2)의 제2측부(305)의 연장선과 중립선(45)과의 교점(1002-2)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경로(1001-2)를 따라 연장된 형태이다.
다른 예로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몸체(1)(2)가 펼쳐진 상태에서, 어느 한 분절부재의 제1, 제2측부(304)(305)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두 분절부재의 제2측부(305) 및 제1측부(304)는 서로 이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가이드 슬롯(321)은 분절부재(310-2)의 제1측부(304)와 이에 인접한 분절부재(310-1)의 제2측부(305)의 가운데에 위치되는 선(308)과 중립선(45)과의 교점(1002-1a)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경로(1001-1a)를 따라 연장된 형태이며, 제2가이드 슬롯(322)은 분절부재(310-2)의 제2측부(305)와 이에 인접한 분절부재(310-3)의 제1측부(304)의 가운데에 위치되는 선(309)과 제2측부(305)의 연장선과 중립선(45)과의 교점(1002-2a)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경로(1001-2a)를 따라 연장된 형태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제2몸체(1)(2)가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중립선(45)의 길이가 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320)는 대응되는 분절부재(310)에 대하여 회동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연결핀(3110과 중심홀(323)이 억지끼워맞춤될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서, 연결부재(320)가 대응되는 분절부재(310)에 대하여 회동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회동방지부가 채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20-2)에는 제1회전방지부(325)가 마련되고, 대응되는 분절부재(310-2)에는 제1회전방지부(325)에 맞물릴 수 있도록 제1회전방지부(325)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제2회전방지부(315)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전방지부(325)는 오목한 형상이며, 제2회전방지부(315)는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도 4a에서는 연결부재(320-1 ~ 320-7)가 겹쳐져서 표시되어 있지만,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20-1 ~ 320-7)는 폭방향(W)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가장 외측에 위치되는 분절부재(301-1)(301-7)에는 각각 하나씩의 인접되는 분절부재(310-2)(310-6)만이 존재하므로, 대응되는 연결부재(320-1)(310-7)는 각각 제2가이드 슬롯(322)과 제1가이드 슬롯(321)만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제조에 있어서 부품의 종류를 줄이기 위하여 연결부재(320-1 ~ 320-7)를 모두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320-1)의 제2가이드 슬롯(322)과 분절부재(310-2)의 연결핀(311)만 연결하고, 연결부재(320-7)의 제1가이드 슬롯(321)과 분절부재(310-6)의 연결핀(311)만 연결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다수의 분절부재(310)의 형상을 동일하게, 또 다수의 연결부재(320)의 형상 역시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종류를 줄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5a는 힌지 유닛(3)이 접힐 때에 분절부재(310)와 연결부재(320)의 연결관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힌지 유닛(3)이 접힐 때 분절부재(310)와 연결부재(320)의 연결관계의 비교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힌지 유닛(3)의 일 실시예가 접힌 상태의 단면도이다.
힌지 유닛(3)에 접힘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외력이 작용되면, 분절부재(310-1 ~ 310-7)는 세 개씩 쌍을 이루어 가운데에 위치되는 기준 분절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위치되는 두 개의 회동 분절부재가 기준 분절부재에 대응되는 연결부재의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을 따라 회동된다. 이때, 양측에 위치되는 두 개의 회동 분절부재의 연결핀(311)이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에 의하여 안내된다.
예를 들어, 도 5a를 참조하면, 기준 분절부재(310-2)의 양쪽에 위치되는 회동 분절부재(310-1)(310-3)는 연결부재(320-2)에 마련된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을 따라 회동된다. 회동 분절부재(310-1)(310-3)의 회동은 회동 분절부재(310-1)(310-3)의 연결핀(311)이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의 제2단부(321b)(322b)에 도달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분절부재(310-1)가 기준 분절부재로 기능하는 경우에 인접한 분절부재(310-2)는 연결부재(320-1)의 제2가이드 슬롯(322)에 의하여 원호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안내되며, 분절부재(310-3)이 기준 분절부재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양쪽에 위치되는 분절부재(310-2)(310-4)가 연결부재(320-3)의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에 의하여 원호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안내된다.
만일, 모든 분절부재(310-1 ~ 310-7)가 기준 분절부재로서 기능하지 않는 경우, 즉 다수의 분절부재(310-1 ~ 310-7) 중 하나라도 기준 분절부재로서 기능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위치되는 분절부재(310-2)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 위치되는 분절부재(310-1)(310-3)가 원호(1001)를 따라 회동되지 않고 평행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도 5b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스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을 지지하는 만곡부(3a)의 곡률이 불균일하게 되어 플렉스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이 부분적으로 큰 곡률로 구부러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힌지 유닛(3)에 따르면, 분절부재(310-1 ~ 310-7) 각각이 기준 분절부재로서 기능한다. 그러므로, 분절부재(310-1 ~ 310-7)는 모두 동일한 원호(1001)를 따라 순차로 회동된다. 따라서, 균일한 곡률을 가진 만곡부(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유닛(3)이 구부러지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을 지지하는 균일한 곡률을 가진 만곡부(3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힌지 유닛(3)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제2몸체(1)(2)는 각각 외관을 형성하는 제1, 제2하우징(11)(21)과, 제1, 제2하우징(11)(21)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제2프레임(12)(22)을 구비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1, 제2부분(4a)(4b)은 각각 제1, 제2프레임(12)(2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힌지 유닛(3)은 길이방향(L)으로 배열된 다수의 지지부재(330)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지지부재(330)는 분절부재(310-1 ~ 310-7)에 각각 대응되는 7개의 지지부재(330-1 ~ 330-7)를 포함한다. 7개의 지지부재(330-1 ~ 330-7)는 분절부재(310-1 ~ 310-7)의 의 상단부(301)에 위치되며, 분절부재(310-1 ~ 310-7)에 각각 연결된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330-1 ~ 330-7)는 폭방향(W)으로 연장된 형태로서, 그 상면(도 6 및 도 7의 339)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을 지지하는 지지면(319)을 형성한다. 또한 지지부재(330)의 하면에는 그로부터 돌출된 돌출부(338)이 마련된다. 돌출부(338)는 제1회전방지부(325)와 결합되는 제2회전방지부(315)로서 기능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폭이 큰 경우에 안정적인 힌지 유닛(3)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수의 힌지 블록(30)을 폭방향(W)으로 배치할 수 있다. 힌지 블록(30)은 다수의 분절부재(310-1 ~ 310-7) 및 다수의 연결부재(320-1 ~ 320-7)를 구비하며, 그 구조는 도 4a 내지 도 4c, 도 5a, 및 도 5c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힌지 유닛(3)은 길이방향(L)으로 배열된 다수의 하우징 부재(3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하우징 부재(340)는 분절부재(310-1 ~ 310-7)에 각각 대응되는 7개의 하우징 부재(340-1 ~ 340-7)를 포함한다. 7개의 하우징 부재(340-1 ~ 340-7)는 분절부재(310-1 ~ 310-7)의 외측에 위치되며, 분절부재(310-1 ~ 310-7)에 각각 연결된다. 하우징 부재(340-1 ~ 340-7)는 폭방향(W)으로 연장된 형태로서 힌지 유닛(3)의 외관을 형성한다.
도 8은 펼쳐진 상태에서 하우징 부재(34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9는 펼쳐진 상태에서 하우징 부재(340)의 일 실시예의 Y-Y' 단면도이며, 도 10은 접힌 상태에서 하우징 부재(340)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하우징 부재(340-1 ~ 340-7)는 제1, 제2몸체(1)(2)가 접힐 때에 힌지 유닛(3) 및 접철식 기기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형상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 부재(340-1 ~ 340-7)는 인접하는 하우징 부재의 길이방향(L)의 일부가 그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하우징 부재(340-1 ~ 340-7) 각각은 길이방향(L)으로 제1, 제2단부(341)(342)를 구비한다. 하우징 부재(340-1 ~ 340-7)의 제2단부(342)는 인접하는 다른 하우징 부재(340-1 ~ 340-7)의 제1단부(341)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즉, 하우징 부재(340-1 ~ 340-7)의 제2단부(342)와 인접하는 다른 하우징 부재(340-1 ~ 340-7)의 제1단부(341)는 펼쳐진 상태 및 접힌 상태에서 길이방향(L)으로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하우징 부재(340-1)의 제2단부(342)에는 그 내측면으로부터 몰입되게 단차진 몰입부(343)가 마련된다. 하우징 부재(340-1)의 몰입부(343)에 하우징 부재(340-2)의 제2단부(342)가 위치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하우징 부재(340-2)의 제1단부(341)는 하우징 부재(340-1)의 몰입부(343) 내에 위치되며, 하우징 부재(340-1)의 제2단부(342)는 하우징 부재(340-2)의 제1단부(341)의 외측에 위치된다. 하우징 부재(340-2)의 제1단부(341)와 하우징 부재(340-1)의 제2단부(342)의 겹침 길이는 L1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제2몸체(1)(2)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하우징 부재(340-2)의 제1단부(341)는 하우징 부재(340-1)의 몰입부(343) 내에 위치되고, 하우징 부재(340-2)의 제1단부(341)와 하우징 부재(340-1)의 제2단부(342)의 겹침 길이는 L2로서 L1보다는 작다. 그러므로, 하우징 부재(340-1)의 제2단부(342)는 하우징 부재(340-2)의 제1단부(341)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고, 하우징 부재(340-1)의 제2단부(342)와 하우징 부재(340-2)의 제1단부(341)는 서로 겹쳐져서 틈새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제2몸체(1)(2)가 접힐 때에 접철식 기기 및 힌지 유닛(3)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철식 기기의 외관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물질의 내부 혼입으로 인한 고장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길이방향(L)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되는 지지부재(330-1)(330-7)에는 제1, 제2몸체(1)(2)와 결합되는 결합부(331)가 마련된다. 예를 들어, 나사 등을 결합부(331)를 통하여 제1, 제2하우징(11)(21)에 체결함으로써 힌지 유닛(3)이 제1, 제2몸체(1)(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접철식 기기는 펼쳐진 상태(도 2 참조)와 완전히 접힌 상태(도 3 참조) 사이의 소정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힌지 유닛(3)이 구부러지는 도중에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제1, 제2몸체(1)(2) 사이의 접힘 각도(AG)를 조절할 수 있다. 정지 위치는 하나일 수 있으며, 둘 이상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정지된 각도에 맞춘 화면 구성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적용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 중에서 세워진 제1몸체(1)에 지지된 제1부분(4a)에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로서 구동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 중에서 눕혀진 제2몸체(2)에 지지된 제2부분(4b)에는 키 입력 등이 가능한 입력부로서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제2몸체(1)(2)의 접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는 지지부재(330-1 ~ 330-7)를 인접하는 지지부재끼리 회동가능하게 직렬로 연결하고, 그 회동에 부하를 줌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부재(330-1 ~ 330-7)들은 인접하는 지지부재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2는 도 7의 D부의 상세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지지부재(330-1)는 지지부재(330-2)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지지부재(330-1)에는 제1연결부(332)가 마련되며, 지지부재(330-2)에는 제2연결부(333)가 마련된다. 제1, 제2연결부(332)(333)에는 관통공(334a)(334b)이 각각 마련된다. 관통공(334a)(334b)이 정렬된 상태에서, 회동핀(350)은 관통공(334a)(334b)에 삽입된다. 그런 다음, 회동핀(350)의 단부에 체결부재(360)가 체결된다. 체결부재(360)로서는 예를 들어 너트, 이-링(e-ring) 등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조임량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회동 부하를 조절할 수 있는 너트가 체결부재(360)로서 채용된다. 이에 의하여, 지지부재(330-1)와 지지부재(330-2)는 회동핀(350)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다. 힌지 유닛(3)이 접히거나 펼쳐질 때에 지지부재(330-1)(330-2)가 분절부재(310-1)(310-2)가 회동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회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관통공(334a)는 회동 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절개된 장공일 수 있다. 관통공(334a)은 정공일 수 있으며, 지지부재(330-1)(330-2)의 회동 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절개된장공일 수도 있다.
인접하는 지지부재(330-1 ~ 330-7)들이 서로 회동될 때에 회동 부하를 주기 위하여, 회전축(350)에는 부하제공부재(370)가 삽입된다. 부하제공부재(370)는 예를 들어 체결부재(360)와 제1연결부(332)의 사이 또는 제1연결부(332)와 제2연결부(333)의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축(350)의 축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일 수 있다. 탄성부재는 예를 들어, 압축 코일 스프링, 스프링 와셔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하제공부재(370)는 체결부재(360)와 제1연결부(332) 사이에 개재된다. 체결부재(360)의 조임량을 조절함으로써 회동 부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지지부재(330-1 ~ 330-7)의 회동에 부하가 가해짐으로써, 힌지 유닛(3)을 구부리는 힘을 제거하면 힌지 유닛(3)이 더 이상 구부러지지 않으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는 제2몸체(2)에 대하여 임의의 접힘 각도(AG)를 갖는 위치에서 정지되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몸체(1)(2)는 회동 부하를 이길 정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완전히 펼쳐진 상태(도 2) 또는 완전히 접힌 상태(도 3)에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3은 각도 조절부를 구비하는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접척식 기기의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접철식 기기에서 각도 조절부(5)가 추가된 것이다. 도 14는 도 13의 X-X' 단면도이다. 도 15는 슬라이딩 스트랩(51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6a는 스토퍼 유닛(520)의 일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a를 참조하면, 각도 조절부(5)는 슬라이딩 스트랩(510)과, 스토퍼 유닛(520)을 구비한다. 슬라이딩 스트랩(510)은 일단부가 제1, 제2몸체(1)(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1, 제2몸체(1)(2) 중 다른 하나를 향하여 연장된다. 스토퍼 유닛(520)은 제1, 제2몸체(1)(2)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스트랩(510)의 일단부(511)는 제1몸체(1)에 고정되고, 타단부(512)는 힌지 유닛(3)을 가로질러 제2몸체(2)를 향하여 연장된다. 또한, 스토퍼 유닛(520)은 제2몸체(2)에 마련된다. 일 예로서, 슬라이딩 스트랩(510)의 일단부(511)는 제1프레임(1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제2몸체(1)(2)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슬라이딩 스트랩(510)의 타단부(512)는 제2몸체(2)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는데, 스토퍼 유닛(520)은 슬라이딩 스트랩(510)의 타단부(512)와 연결되어 타단부(512)를 다수의 위치에 로킹시킴으로써 제1, 제2몸체(1)(2)의 접힘 각도(AG)를 조절할 수 있다.
슬라이딩 스트랩(510)의 타단부(512)에는 랙 기어(514)가 마련된다. 슬라이딩 스트랩(510)은 힌지 유닛(3)이 구부러질 때에 휘어질 수 있도록 유연한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랙 기어(514)가 스토퍼 유닛(520)에 마련된 피니언(521)과 치합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스트랩(510)의 타단부(512)에는 강성을 가진 판 형상의 보강부재(513)가 결합되고, 랙 기어(513)는 보강부재(514)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접철식 기기는 두 개의 슬라이딩 스트랩(510)을 구비하나, 이에 한하지 않으며 하나 또는 셋 이상의 슬라이딩 스트랩(510)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 스토퍼 유닛(520)은 제1몸체(1)에 고정되는 브라켓(522)과, 브라켓(522)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는 회전축(523)을 구비한다. 회전축(523)에는 랙 기어(514)와 치합되는 피니언(521)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몸체(1)와 제2몸체(2)가 접힐 때에는 슬라이딩 스트랩(510)이 도 14의 화살표시 A1방향으로 당겨지며, 제1몸체(1)와 제2몸체(2)가 펼쳐질 때에는 슬라이딩 스트랩(510)이 도 14의 화살표시 A2방향으로 밀려난다. 랙 기어(514)와 피니언(521)이 치합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 스트랩(510)이 A1, A2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회전축(523)은 도 14의 화살표시 B1, B2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축(523)이 B1, B2 방향으로 회전되는 도중에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멈추도록 하면, 접힘 각도(AG)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 회전축(523)에는 제1캠(524)이 마련되고, 브라켓(522)에는 제2캠(525)이 마련된다. 제1캠(524)은 회전축(523)과 함께 회전되고 또 회전축(523)을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회전축(523)에 결합된다. 제1캠(524)에는 제1스토퍼(524-1)가 마련된다. 제2캠(525)은 회전축(523)과 함께 회전되지는 않으며, 브라켓(522)에 고정된다. 제2캠(525)에는 회전축(523)이 통과되는 중앙홀(525b)이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2캠(252)은 회전축(523)에 삽입되고, 고정돌기(252-2)가 브라켓(522)에 마련된 고정홈(522-1)에 끼워짐으로써 브라켓(522)에 고정될 수 있다. 제2캠(525)에는 제1스토퍼(524-1)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제2스토퍼(525-1)가 마련된다. 제2스토퍼(252-1)는 예를 들어 각각 제1, 제2몸체(1)(2)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와 제1, 제2몸체(1)(2)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 대응되는 제2스토퍼(252-1a)(252-1c)와 그 사이의 제2스토퍼(25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토퍼(525-1b)는 제1, 제2몸체(1)(2)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와 완전히 접힌 상태 사이의 임의의 접힘 각도(AG)를 가진 상태에 대응될 수 있다. 제2스토퍼(525-1b)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다수의 제2스토퍼(525-1a)(525-1b)(525-1c)는 회전축(523)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각도씩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스토퍼(524-1)는 예를 들어 제1캠(524)의 제2캠(525)과 대향된 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일 수 있으며, 다수의 제2스토퍼(525-1a)(525-1b)(525-1c)는 제2캠(525)의 제1캠(524)과 대향된 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526)는 제1캠(524)에 제2캠(525)을 향하여 슬라이딩되는 방향, 즉 제1스토퍼(524-1)와 제2스토퍼(525-1a)(525-1b)(525-1c)가 서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탄성부재(526)는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23)에 삽입되어 제1캠(524)을 제2캠(525)을 향하여 미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와셔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탄성부재(526)는 회전축(523)에 삽입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회전축(523)의 단부에는 예를 들어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527)이 체결된다.
회전축(523)과 함께 제1캠(524)이 회전될 때에 제1캠(524)이 탄성부재(526)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제1스토퍼(524-1)가 제2스토퍼(525-1a)(525-1b)(525-1c)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토퍼(524-1)의 회전 방향의 측면(524a)과 이에 대응되는 제2스토퍼(525-1a)(525-1b)(525-1c)의 측면(525a)은 제1캠(524)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둔각으로 경사진 경사면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어, 제1, 제2몸체(1)(2)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도 2)에서 제1스토퍼(524-1)는 제2스토퍼(525-1a)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어느 정도 외력이 작용되더라도 외력의 크기가 탄성부재(52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제1스토퍼(524-1)를 제2스토퍼(525-1)로부터 이탈시킬 정도가 아니면, 제1, 제2몸체(1)(2)는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로킹되어 유지된다.
이제, 제1, 제2몸체(1)(2)를 접기 위하여 제1, 제2몸체(1)(2)에 큰 외력을 가하면, 힌지 유닛(3)이 구부러지면서 슬라이딩 스트랩(510)이 A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랙 기어(514)와 피니언(521)의 작용에 의하여 회전축(523)은 B1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1캠(524)이 회전축(523)과 함께 회전되면서 제1스토퍼(524-1)의 면(524a)이 제2스토퍼(525-1a)의 면(525a)을 민다. 그러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캠(524)이 탄성부재(526)의 탄성력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제2캠(525)으로부터 멀어진다. 제1스토퍼(524-1)는 제2스토퍼(525-1a)로부터 이탈되기 시작한다. 제1스토퍼(524-1)가 제2스토퍼(525-1a)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면, 제1, 제2몸체(1)(2)를 접기 위하여 필요한 외력의 크기는 감소되며, 작은 힘으로도 제1, 제2몸체(1)(2)를 접을 수 있다. 계속하여 제1, 제2몸체(1)(2)가 접히면서 제1캠(524)이 계속하여 회전되어 제1스토퍼(524-1)와 제2스토퍼(525-2)가 서로 정렬되면 탄성부재(526)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캠(524)이 제2캠(525)을 향하여 빠른 속도로 전진하면서 제1스토퍼(524-1)가 제2스토퍼(525-1b)에 삽입된다. 이때, 제1, 제2몸체(1)(2)를 잡은 사용자의 손에는 작은 충격이 전달되고 제1, 제2몸체(1)(2)를 접기 위한 외력의 크기가 증가되므로, 사용자는 제1, 제2스토퍼(524-1)(525-1b)가 서로 결합되었다는 것을 감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외력을 멈추면 제1, 제2몸체(1)(2)는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접힘 각도(AG) 상태에서 로킹되어 유지된다. 제2스토퍼(525-1b)를 다수개 마련함으로써, 완전히 펼쳐진 상태와 완전히 접힌 상태 사이의 다수의 접힘 각도(AG) 위치에서 제1, 제2몸체(1)(2)를 유지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제1, 제2몸체(1)(2)에 접힘 방향의 외력을 인가하면 제1스토퍼(524-1)는 제2스토퍼(525-1b)로부터 이탈되며, 다시 제2스토퍼(525-1c)에 삽입되고, 제1, 제2몸체(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 도달되어 로킹된다.
제1, 제2몸체(1)(2)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임의의 접힘 각도(AG)를 가지는 상태, 및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은 슬라이딩 스트랩(510)의 슬라이딩 방향이 A2 방향이고, 회전축(523)의 회전방향이 B2 방향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상술한 접힘 과정과 동일하다.
도 16b는 스토퍼 유닛(520)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스토퍼 유닛(520)은 제1, 제2몸체(1)(2)를 펼쳐진 상태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로킹시킬 수 있으며, 펼쳐진 상태와 완전히 접힌 상태 사이의 임의의 접힘 각도(AG)에서 유지시키는 프리-스톱(free-stop) 기능을 가진다.
도 16b를 참조하면, 제1캠(530)은 회전축(523)과 함께 회전되고 또 회전축(523)을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회전축(523)에 결합된다. 제1캠(530)에는 제1스토퍼가 마련된다. 제2캠(540)은 회전축(523)과 함께 회전되지는 않으며, 브라켓(522)에 고정된다. 제2캠(540)에는 회전축(523)이 통과되는 중앙홀(543)이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2캠(540)은 회전축(523)에 삽입되고, 고정돌기(544)가 브라켓(522)에 마련된 고정홈(522-1)에 끼워짐으로써 브라켓(522)에 고정될 수 있다. 제2캠(540)에는 제1스토퍼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제2스토퍼가 마련된다.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는 서로 맞물릴 수 있는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다. 제1스토퍼는 예를 들어 제1캠(530)의 제2캠(540)과 대향된 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일 수 있으며, 제2스토퍼는 제2캠(540)의 제1캠(530)과 대향된 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스토퍼는 서로 180도 이격된 한 쌍의 볼록부(531)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제2스토퍼는 서로 180도 이격된 한 쌍의 오목부(541)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 쌍의 오목부(541) 사이에는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마찰부(542)가 마련된다. 한 쌍의 오목부(541)는 한 쌍의 마찰부(542)에 대하여 오목하다. 물론, 제1스토퍼가 오목한 형상이고 제2스토퍼가 상보적인 볼록한 형상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부(542)는 제1캠(530)에 마련되고 제1스토퍼는 마찰부(542)에 대하여 오목하다. 탄성부재(526)는 제1캠(530)에 제2캠(540)을 향하여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탄성부재(526)는 예를 들어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23)에 삽입되어 제1캠(530)을 제2캠(540)을 향하여 미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와셔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탄성부재(526)는 회전축(523)에 삽입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회전축(523)의 단부에는 예를 들어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527)이 체결된다. 한 쌍의 마찰부(542)는 한 쌍의 볼록부(541) 사이에서 한 쌍의 오목부(531)와 마찰되어 제1, 제2몸체(1)(2)를 완전히 접힌 상태와 완전히 펼쳐진 상태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유지시킨다.
회전축(523)과 함께 제1캠(530)이 회전될 때에 제1캠(530)이 탄성부재(526)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볼록부(531)가 오목부(541) 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531)의 회전 방향의 측면(531a)과 이에 대응되는 오목부(541)의 측면(541a)은 제1캠(53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둔각으로 경사진 경사면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어, 제1, 제2몸체(1)(2)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도 2)에서 볼록부(531) 는 오목부(541) 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어느 정도 외력이 작용되더라도 외력의 크기가 탄성부재(52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볼룩부(531)를 오목부(541) 로부터 이탈시킬 정도가 아니면, 제1, 제2몸체(1)(2)는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로킹되어 유지된다.
이제, 제1, 제2몸체(1)(2)를 접기 위하여 제1, 제2몸체(1)(2)에 큰 외력을 가하면, 힌지 유닛(3)이 구부러지면서 슬라이딩 스트랩(510)이 A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랙 기어(514)와 피니언(521)의 작용에 의하여 회전축(523)은 B1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1캠(530)이 회전축(523)과 함께 회전되면서 볼록부(531) 의 면(531a)이 오목부(541) 의 면(541a)을 민다. 그러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캠(530)이 탄성부재(526)의 탄성력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제2캠(540)으로부터 멀어진다. 볼록부(531)가 오목부(541)로부터 완전히 이탈되고 제1캠(530)이 더 회전되어, 다시 오목부(531) 볼록부(541)가 정렬되면, 탄성부재(526)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캠(530)이 제2캠(540)을 향하여 빠른 속도로 전진하면서 볼록부(531)가 오목부(541)에 다시 삽입된다. 제1, 제2몸체(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 도달되어 로킹된다. 이때, 제1, 제2몸체(1)(2)를 잡은 사용자의 손에는 작은 충격이 전달되므로 사용자는 오목부(531)와 볼록부(541)가 서로 결합되었다는 것을 감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완전히 펼쳐진 상태와 완전히 접힌 상태 사이에서, 볼록부(531)는 연결부(542)와 미끄럼 접촉된다. 이때의 마찰력에 의하여 제1, 제2몸체(1)(2)는 완전히 접힌 상태와 완전히 펼쳐진 상태 사이의 임의의 접힘 각도(AG)를 가지는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다. 마찰력의 크기는 탄성부재(526)의 탄성력의 크기에 비례한다. 그러므로, 탄성부재(526)의 탄성력의 크기는 제1, 제2몸체(1)(2)가 임의의 접힘 각도(AG)를 가지는 위치에서 멈출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제1몸체 2...제2몸체
11, 21...제1, 제2하우징 12, 22...제1, 제2프레임
3...힌지 유닛 3a...만곡부
30...힌지 블록 310...분절부재
311...연결핀 320...연결부재
321. 322...제1, 제2가이드슬롯 323...중심홀
330...지지부재 332, 333...제1, 제2연결부
334a, 334b...관통공 340...하우징 부재
341, 342...제1, 제2단부 343...몰입부
350...회전축 360...체결부재
370...부하제공부재 510...슬라이딩 스트랩
514...랙 기어 520, 520a...스토퍼 유닛
521...피니언 523...회전축
524, 530...제1캠 524-1...제1스토퍼
525, 540...제2캠 525-1...제2스토퍼
526...탄성부재

Claims (27)

  1. 제1몸체와 제2몸체;
    상기 제1, 제2몸체에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제2몸체를 접철될 수 있게 연결하며, 접철된 때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지지하는 만곡부를 형성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유닛은,
    각각 연결핀을 구비하며, 최외곽에 위치되는 두 개는 각각 제1, 제2몸체에 결합되는 다수의 분절부재;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중 대응되는 기준 분절부재의 연결핀이 삽입되는 중심홀과, 상기 기준 분절부재와 인접한 두 회동 분절부재의 연결핀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기준 분절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기준 분절부재의 양쪽에 위치되는 회동 분절부재가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서 그 중심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두께의 중립선 상에 위치되는 원호 형상의 제1, 제2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는 다수의 연결부재;
    상기 제1, 제2몸체의 접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기;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 조절기는,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일단부와, 상기 힌지 유닛를 가로질러 상기 제2몸체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제2몸체가 접철될 때에 상기 제2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되는 타단부와, 상기 타단부에 마련되는 랙 기어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스트랩;
    상기 제2몸체에 마련되고, 상기 랙 기어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피니언을 구비하며, 상기 피니언을 다수의 위치에서 로킹시키는 스토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피니언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며, 제1스토퍼를 구비하는 제1캠;
    상기 제1캠과 대향되며, 상기 제1스토퍼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제2스토퍼가 마련된 제2캠;
    상기 제1캠에 상기 제2캠을 향하여 슬라이딩 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접철식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는 상기 제1, 제2몸체가 펼쳐진 상태에서 그 측부가 서로 접촉되며,
    상기 제1, 제2가이드 슬롯의 중심은 각각 상기 기준 분절부재의 양측부의 연장선과 상기 중립선과의 교점에 위치되는 접철식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는 상기 제1, 제2몸체가 펼쳐진 상태에서 그 측부가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제2가이드 슬롯의 중심은 각각 상기 기준 분절부재의 양측부와 인접하는 두 회동 분절부재의 대응되는 일측부 사이의 중심선과 상기 중립선과의 교점에 위치되는 접철식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와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는 그 형상이 각각 동일한 접철식 기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펼쳐진 위치,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접힌 위치, 및 상기 두 위치 사이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다수의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접철식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펼쳐진 위치 및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접힌 위치에서 상기 제1스토퍼와 맞물리며,
    상기 제2캠은 상기 제1스토퍼와 마찰되어 상기 두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몸체를 유지시키는 마찰부를 더 구비하는 접철식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기는,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의 내측에 위치되며, 인접하는 지지부재끼리 회동될 수 있게 직렬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부재;
    상기 제1, 제2몸체의 접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들에 회동 부하를 부여하는 부하제공부재;를 구비하는 접철식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 각각은 제1연결부와, 인접하는 지지부재에 마련된 제1연결부와 대면되는 제2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연결부에는 각각 관통공이 마련되며,
    상기 관통공에 회전축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는 인접하는 지지부재끼리 회동될 수 있게 직렬 연결되며,
    상기 부하제공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제2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축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접철식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어 그 조임량에 따라 상기 회동 부하을 조절하는 체결부재;를 더 구비하는 접철식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연결부에 마련되는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는 원호 형상의 장공인 접철식 기기.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의 접힘 방향의 외측에 위치되어 힌지 유닛의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의 하우징 부재;를 더 구비하는 접철식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하우징 부재 각각은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단부는 인접하는 하우징 부재의 제1단부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된 접철식 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부에는 상기 인접하는 하우징 부재의 제1단부가 수용되도록 그 내면으로부터 몰입된 몰입부가 마련된 접철식 기기.
  17. 제1몸체와 제2몸체;
    상기 제1, 제2몸체에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제2몸체를 접철될 수 있게 연결하며, 접철된 때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지지하는 만곡부를 형성하는 힌지 유닛;
    상기 제1, 제2몸체의 접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기;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 조절기는,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일단부와, 상기 힌지 유닛를 가로질러 상기 제2몸체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제2몸체가 접철될 때에 상기 제2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되는 타단부와, 상기 타단부에 마련되는 랙 기어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스트랩;
    상기 제2몸체에 마련되고, 상기 랙 기어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피니언을 구비하며, 상기 피니언을 다수의 위치에서 로킹시키는 스토퍼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피니언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며, 제1스토퍼를 구비하는 제1캠;
    상기 제1캠과 대향되며, 상기 제1스토퍼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제2스토퍼가 마련된 제2캠;
    상기 제1캠에 상기 제2캠을 향하여 슬라이딩 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접철식 기기.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펼쳐진 위치,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접힌 위치, 및 상기 두 위치 사이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다수의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접철식 기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펼쳐진 위치 및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접힌 위치에서 상기 제1스토퍼와 맞물리며,
    상기 제2캠은 상기 제1스토퍼와 마찰되어 상기 두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몸체를 유지시키는 마찰부를 더 구비하는 접철식 기기.
  21. 제17항, 제19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은,
    각각 연결핀을 구비하며, 최외곽에 위치되는 두 개는 각각 제1, 제2몸체에 결합되는 다수의 분절부재;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중 대응되는 기준 분절부재의 연결핀이 삽입되는 중심홀과, 상기 기준 분절부재와 인접한 두 회동 분절부재의 연결핀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기준 분절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기준 분절부재의 양쪽에 위치되는 회동 분절부재가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서 그 중심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두께의 중립선 상에 위치되는 원호 형상의 제1, 제2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는 다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접철식 기기.
  22. 제1몸체와 제2몸체;
    상기 제1, 제2몸체에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제2몸체를 접철될 수 있게 연결하며, 접철된 때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지지하는 만곡부를 형성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유닛은,
    최외곽에 위치되는 두 개는 각각 제1, 제2몸체에 결합되는 다수의 분절부재;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를 인접하는 분절부재와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의 내측에 위치되며, 인접하는 지지부재끼리 회동될 수 있게 직렬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부재;
    상기 제1, 제2몸체의 접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들에 회동 부하을 부여하는 부하제공부재;
    상기 제1, 제2몸체의 접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기;를 구비하며
    상기 각도 조절기는,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일단부와, 상기 힌지 유닛를 가로질러 상기 제2몸체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제2몸체가 접철될 때에 상기 제2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되는 타단부와, 상기 타단부에 마련되는 랙 기어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스트랩;
    상기 제2몸체에 마련되고, 상기 랙 기어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피니언을 구비하며, 상기 피니언을 다수의 위치에서 로킹시키는 스토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피니언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며, 제1스토퍼를 구비하는 제1캠;
    상기 제1캠과 대향되며, 상기 제1스토퍼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제2스토퍼가 마련된 제2캠;
    상기 제1캠에 상기 제2캠을 향하여 슬라이딩 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접철식 기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 각각은 제1연결부와, 인접하는 지지부재에 마련된 제1연결부와 대면되는 제2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연결부에는 각각 관통공이 마련되며,
    상기 관통공에 회전축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는 인접하는 지지부재끼리 회동될 수 있게 직렬 연결되며,
    상기 부하제공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제2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축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접철식 기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어 그 조임량에 따라 상기 회동 부하을 조절하는 체결부재;를 더 구비하는 접철식 기기.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연결부에 마련되는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는 원호 형상의 장공인 접철식 기기.
  26. 제22항 또는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각각은 연결핀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중 대응되는 기준 분절부재의 연결핀이 삽입되는 중심홀과, 상기 기준 분절부재와 인접한 두 회동 분절부재의 연결핀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기준 분절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기준 분절부재의 양쪽에 위치되는 회동 분절부재가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서 그 중심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두께의 중립선 상에 위치되는 원호 형상의 제1, 제2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는 접철식 기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각각의 상면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접철식 기기.
KR1020130116912A 2013-09-30 2013-09-30 접철식 기기 KR102171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912A KR102171118B1 (ko) 2013-09-30 2013-09-30 접철식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912A KR102171118B1 (ko) 2013-09-30 2013-09-30 접철식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383A KR20150037383A (ko) 2015-04-08
KR102171118B1 true KR102171118B1 (ko) 2020-10-28

Family

ID=53033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912A KR102171118B1 (ko) 2013-09-30 2013-09-30 접철식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1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739B1 (ko) * 2015-06-08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US10883534B2 (en) 2015-04-09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US11268565B2 (en) 2015-04-09 2022-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KR102319310B1 (ko) 2015-05-27 2021-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KR102481014B1 (ko) * 2015-06-05 2022-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
KR101765121B1 (ko) * 2015-06-10 2017-08-04 (주) 프렉코 연동구조를 가지는 플렉시블 힌지 장치
KR101665365B1 (ko) * 2015-06-10 2016-10-12 (주) 프렉코 캠구조를 가지는 플렉시블 힌지 장치
EP3271795B1 (en) 2015-06-26 2020-06-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 for a foldable display unit
US10310565B2 (en) 2015-06-27 2019-06-04 Intel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structure
KR102415655B1 (ko) 2015-07-07 2022-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028018A (ko) * 2015-09-03 2017-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714902B1 (ko) 2015-10-01 2017-03-09 고영상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KR102396167B1 (ko) 2016-04-12 2022-05-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전자 장치
KR102524332B1 (ko) * 2016-05-19 2023-04-24 (주)에이유플렉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인폴딩 힌지장치
KR102520575B1 (ko) 2016-07-13 2023-04-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028535A (ko) * 2016-07-19 2019-03-18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630498B1 (ko) * 2016-08-12 202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780363B2 (ja) 2016-08-19 2020-11-04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導電性樹脂組成物、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87504B1 (ko) * 2016-08-30 2023-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636648B1 (ko) 2016-09-13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KR102545778B1 (ko) * 2016-10-11 2023-06-21 (주)에이유플렉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구조
KR102562718B1 (ko) 2016-11-03 2023-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06381B1 (ko) * 2016-12-26 2023-03-07 (주)에이유플렉스 인아웃폴딩용 힌지장치
KR102393344B1 (ko) 2017-07-28 2022-04-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138540A1 (ko) * 2018-12-27 2020-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1478987A (zh) * 2019-01-24 2020-07-3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屏幕支撑机构、柔性屏和终端
CN110035143A (zh) * 2019-02-28 2019-07-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折叠屏连接件和折叠屏
CN110058645A (zh) * 2019-02-28 2019-07-2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折叠屏终端
CN110035146A (zh) * 2019-02-28 2019-07-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折叠屏连接件和折叠屏
CN110035145A (zh) * 2019-02-28 2019-07-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折叠屏连接件和折叠屏
WO2021007750A1 (zh) * 2019-07-15 2021-01-21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KR20200139292A (ko) * 2019-06-03 2020-1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00140126A (ko) 2019-06-05 2020-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JP6807993B1 (ja) * 2019-07-24 2021-01-0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US11449109B2 (en) 2019-09-12 2022-09-20 Google Llc Multi-axis soft hinge mechanism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CN114489241A (zh) * 2020-10-27 2022-05-13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铰链结构、电子设备
WO2023128216A1 (ko) * 2022-01-03 2023-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랙 기어를 포함하는 롤러블 전자 장치
WO2023153629A1 (ko) * 2022-02-14 2023-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틸팅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710A (ja) 1998-12-22 2000-07-04 Sharp Corp ヒンジ装置およびそのヒンジ装置を用いた携帯型の情報処理装置
JP2008228249A (ja) * 2007-03-16 2008-09-25 Sanyo Electric Co Ltd 折り畳み式携帯型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0936A (ko) * 2010-03-05 2011-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170480B1 (ko) * 2010-11-09 2012-08-02 (주) 유원컴텍 접철식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단말기
KR101346146B1 (ko) * 2011-12-23 2013-12-31 주식회사 세네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710A (ja) 1998-12-22 2000-07-04 Sharp Corp ヒンジ装置およびそのヒンジ装置を用いた携帯型の情報処理装置
JP2008228249A (ja) * 2007-03-16 2008-09-25 Sanyo Electric Co Ltd 折り畳み式携帯型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383A (ko)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118B1 (ko) 접철식 기기
KR102014445B1 (ko) 착용형 기기
KR102239278B1 (ko) 접철식 기기
US10876337B2 (en) Sliding hing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2362096B1 (ko) 표시 장치
KR102453243B1 (ko) 힌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40815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2421231B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US9064431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a folding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link members
KR2023001480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346146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모듈
KR20170057500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90110244A (ko)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TW201604672A (zh) 可折疊之電子裝置及其限位結構
KR20180138494A (ko) 교차힌지 및 이를 이용한 폴딩장치
WO2021051124A1 (en) 2-axis soft hinge mechanism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KR20150096946A (ko)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17485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
KR20180098504A (ko) 폴더블 표시 장치용 케이스 조립체 및 폴더블 표시 장치
EP3282341A1 (en) Foldable device
CN111885859A (zh) 可折叠壳体组件和可折叠电子设备
KR20160011140A (ko) 확장화면형 이동 단말기
KR102298726B1 (ko) 휴대단말기용 폴더블 힌지모듈
US11249520B2 (en) Hinge device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CN113938543A (zh) 折叠组件、折叠显示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