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8328A -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배근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배근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8328A
KR20100048328A KR1020080107431A KR20080107431A KR20100048328A KR 20100048328 A KR20100048328 A KR 20100048328A KR 1020080107431 A KR1020080107431 A KR 1020080107431A KR 20080107431 A KR20080107431 A KR 20080107431A KR 20100048328 A KR20100048328 A KR 20100048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track
indicat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9761B1 (ko
Inventor
강남훈
Original Assignee
강남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훈 filed Critical 강남훈
Priority to KR1020080107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76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8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32Installing or removing track component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g. sole-plates, rail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22Tracks for railways with the vehicle suspended from rigid supporting rails
    • E01B25/24Supporting rails; Auxiliary balancing rails; Supports or connections fo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배근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로의 시공을 위해 배근 작업을 할 때 안내궤도의 궤적과 배근 작업시의 철근 궤적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배근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궤도를 주행하면서 주행로의 배근을 안내궤도의 궤적에 맞게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철근 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내궤도(54)를 타고 운행할 수 있도록 측면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로울러(1)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2)와, 상기한 본체(2)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횡방향 배근(56A) 및 종방향 배근(56B)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디케이터(3)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경전철, 주행로 시공방법, 가이드웨이, AGT, 주행로 배근 시공 장치

Description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배근 시공장치{INSTALLING DEVICE OF REINFORCING ROD OF AUTOMATED GUIDEWAY TRANSIT TYPE LIGHT WEIGHT RAILWAY}
본 발명은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배근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로의 시공을 위해 배근 작업을 할 때 안내궤도의 궤적과 배근 작업시의 철근 궤적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배근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량전철(이하 경전철이라 함)은 철제차륜 AGT(Automated Guideway Transit : 안내궤도식 철도),고무차륜 AGT, LIM, 모노레일, 노면전차, 자기부상식 철도등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경전철중 고무차륜 AGT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50)에는 고무 타이어를 채용하여 선로 노반(51)의 주행로(52)를 타고 운행하도록 하고, 노반(51)의 수직벽(53)에서 설치된 안내궤도(Guideway)(54) 및 차량(W)에 설치된 안내 로울러(55)가 차량(W)의 진행을 가이드하면서 운행하도록 한 것으로서, 대부분 도심내부순환 또는 도심과 부도심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건설된다.
물론, 상기한 주행로(52)는 배근(56)의 외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 게 된다.
상기한 경전철의 대부분이 도시의 지하 및 고가에 건설되기 때문에, 노선의 선형은 많은 종곡선과 평면곡선의 변화를 이루면서 복잡하게 구성되는 바, 일반적으로 노선의 선형은 직선과 평탄의 원칙을 가지고 설계되지만, 경전철의 특성상 많은 곡선과 구배를 설정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현실적인 과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고무차륜 AGT는 고무차륜(50)인 타이어가 주행로(52)를 타고 주행하는 것으로서, 경전철 선로의 횡방향 및 종방향 경사에 따라 주행로(52)가 적절한 기울기를 갖도록 정밀하게 시공해야 경전철의 주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고무차륜 AGT의 시공방법은 토목 공사를 진행하여 주행로(52)를 설치한 상태에서 그 측면에 안내궤도(54)를 설치하는 궤도공사를 하게 된다.
즉, 주행로(52)의 설치 위치에 배근(56)을 설치함과 아울러 배수관 및 시스템관을 설치하게 되고, 상기한 배근(56)의 근접 위치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한 배근(56)은 미리 설계도에 따른 선로의 구배에 맞춰 공장에서 가공해 현장에 반입하는 것으로서, 소정 설치 위치에 배근(56)을 위치시켜 선로의 구배에 맞게 설치하게 되는 바, 상기한 설치시에는 선로의 횡방향 및 종방향 구배에 맞게 정밀하게 배근(56)을 설치해야 한다.
거푸집을 설치한 후에는 배근(56)에 에폭시 수지등과 같은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함과 아울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윗면을 편평하게 다지게 된다.
특히, 상기한 콘크리트의 타설공정에서 기계를 사용하지만, 선로의 곡선부분에서는 구배를 맞추기가 어려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구배를 맞추는 인력시공을 하게 된다.
상기한 콘크리트의 다지는 공정에서도 콘크리트를 다진 후 콘크리트 레벨러로 콘크리트의 평탄성(3미터당 1.2mm 이하), 고저(3미터당 3mm 이하), 평면성(3미터당 3mm 이하)등을 측정하게 된다.
콘크리트의 타설 및 다지기가 완료되면 일정 시간동안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콘크리트 커터등으로 줄눈을 형성하게 되며, 줄눈의 형성 후에는 노반에 방수 및 높이조절을 위해 레벨링층을 타설하게 된다.
레벨링층의 타설이 완료되면 주행로(52)의 측부에 위치되는 노반 수직벽(53)에 안내궤도(54)를 설치하게 되는 바, 이는 미리 설계된 설계도에 의해 안내궤도(54)를 노반 수직벽(53)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노반(51)을 기준으로 높이를 측정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매우 정확하게 선로의 회방향 및 종방향 구배를 맞출 수 있게 된다.
안내궤도(54)의 설치가 완료되면 별도의 점검차량이 노반(51)을 기준으로 주행하면서 주행로(52)의 횡방향 및 종방향 구배를 측정하게 되고, 상기한 측정 시 오차가 발생되면 주행로(52)를 연마하거나 주행로에 콘크리트를 덧대어(박층포장) 구배를 맞추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토목공사인 주행로 설치를 먼저 한 후 그 다음에 안내궤도를 설치하게 되면, 주행로의 횡방향 및 종방향 구배(궤적)를 설계도대로 맞추기가 어렵고 특히, 곡률 및 구배가 선형적으로 변하는 곡선로(완화곡선구간)의 구배를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후공정으로 주행로를 연마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시공비용이 대폭 증가함과 아울러 연마 정밀도가 낮기 때문에 안내궤도와 주행로의 선형이 일치하지 않아 경전철 차량의 주행 시 소음 발생, 진동 발생의 원인이 된다.
그래서, 본 출원인이 2008.10.17일자 특허출원 제2008-102080호로 출원한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시공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시공 장치"에서는 궤도공사인 안내궤도를 노반의 수직벽에 먼저 시공한 후 안내궤도를 타고 운행하면서 주행로를 안내궤도와 일치된 궤적을 갖도록 시공하는 시공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안내궤도를 타고 운행하면서 주행로를 시공할 때 먼저 배근의 설치를 설계도의 궤적과 같이 정확하게 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주행로의 시공전에 먼저 배근의 설치를 안내궤도의 궤적에 맞춰 정확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내궤도를 주행하면서 주행로의 배근을 안내궤도의 궤적에 맞게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철근 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내궤도를 타고 운행할 수 있도록 측면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로울러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한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횡방향 배근 및 종방향 배근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디케이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안내궤도를 타고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에 종방향 배근 및 횡방향 배근의 설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를 설치함으로써, 안내궤도의 궤적과 동일한 궤적으로 배근의 설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1과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철근 시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와 안내궤도에 안착된 정면도 및 단면도로서, 안내궤도(54)를 타고 운행할 수 있도록 측면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로울러(1)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2)와, 상기한 본체(2)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횡방향 배근(56A) 및 종방향 배근(56B)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디케이터(3)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인디케이터(3)가 본체(2)에 일정폭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2)가 안내궤도(54)를 타고 운행하면 작업자가 인디케이터(3)를 보고 횡방향 배근(56A) 및 종방향 배근(56B)의 위치를 정하여 배근 설치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인디케이터(3)는 종방향 배근(56B)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우징(4)에 배치된 다수의 제1가이드(5)와, 상기한 하우징(4)의 수직 부분에 설치되어 횡방향 배근(56A)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게 구성된 제2가이드(6)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제1, 2가이드(5, 6)가 종방향 및 횡방향 배근(56B, 56A)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게 되면, 결과적으로 안내궤도(54)의 궤적과 동일하게 종방향 및 횡방향 배근(56B, 56A)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배근의 설치 정밀도를 대폭 향상시키고, 설치 용이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인디케이터(3)는 배근(56)의 폭방향 위치 조절을 위해 슬라이딩 수단으로 설치되어 있는 바, 시공 현장에 따라 배근의 폭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슬라이딩 수단은 본체(2)에 좌우측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레일(7)과, 상기한 레일(7)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로울러(8)가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4)의 상부에 연결된 브라켓(9)과, 상기한 로울러(8)를 회전시키도록 브라켓(9)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경전철 선로 건설 공사에서 먼저 노반(51)의 수직벽(53)에 안내궤도(54)를 설계도대로 설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한 주행로의 배근 설치를 위해 작업자가 배근(56)을 설계도에 맞춰서 배치한 후에는 주행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 바, 상기한 배근(56)의 설치 위치를 정확하게 지정하기 위하여 배근 설치 장치를 안내궤도(54)에 안착시켜서 주행 가능하도록 한다.
배근설치 장치가 안내궤도(54)에 안착되면, 작업자가 먼저 제1가이드(5)에 맞춰서 횡방향 배근(56A)을 설치하게 되는 바, 상기한 횡방향 배근(56A)이 제1, 2가이드(5, 6)에 접촉하도록 하면 정확하게 안내궤도(54)와 동일한 궤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가이드(5)는 횡방향 배근(56A)의 높이를 결정하고 제2가이드(6)는 폭방향 위치를 결정하게 되는 것으로서, 안내궤도(54)의 궤적에 따라 동일하게 횡방향 배근(56A)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횡방향 배근(56A)이 설치되면 여기에 종방향 배근(56B)을 설치하게 되는 바, 작업자가 제1가이드(5)의 지시위치에 따라 종방향 배근(56B)을 위치시키고 횡방향 배근(56A)과 연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하나의 횡방향 배근(56A) 설치 및 여기에 종방향 배근(56B)을 연결하는 작업을 완료하면 다시 본체(2)를 이동시켜 다음 횡방향 배근(56A) 설치 위치로 이동하고,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동일한 공정으로 횡방향 배근(56A) 및 종방향 배근(56B)을 연결 설치하게 된다.
특히, 곡선로에서도 본체(2)가 안내궤도(54)에 맞춰 횡방향 및 종방향 궤적이 형성되기 때문에, 여기에 설치된 인디케이터(3)도 동일한 궤적을 갖게 됨으로써, 작업자는 별다른 조절 작업이 필요없이 인디케이터(3)만으로 쉽게 횡방향 배근(56A) 및 종방향 배근(56B)의 설치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횡방향 배근(56A)과 종방향 배근(56B)의 위치를 인디케이터(3)가 정확하게 지시하게 되면, 이를 보고 작업자가 배근 작업을 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되어 경전철 선로 시공 작업의 효율도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폭이 다른 주행로의 현장에서 배근(56)을 설치하려고 하면, 모터(10)를 동작시켜서 인디케이터(3)가 레일(7)을 타고 이동하도록 하여 배근(56)의 설치 위치에 맞도록 조절한 후 배근 설치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배근 시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본체가 안내궤도에 안착되어 배근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도2에서 A-A 선 단면도,
도4는 일반적인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선로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로울러 2: 본체
3: 인디케이터 4: 하우징
5: 제1가이드 6: 제2가이드
7: 레일 8: 로울러
9: 브라켓 10: 모터
54: 안내궤도 56A: 횡방향 배근
56B: 종방향 배근

Claims (4)

  1. 안내궤도를 타고 운행할 수 있도록 측면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로울러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한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횡방향 배근 및 종방향 배근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디케이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배근 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인디케이터는 종방향 배근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우징에 배치된 다수의 제1가이드와, 상기한 하우징의 수직 부분에 설치되어 횡방향 배근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게 구성된 제2가이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배근 시공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인디케이터는 배근의 폭방향 위치 조절을 위해 슬라이딩 수단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배근 시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슬라이딩 수단은 본체에 좌우측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레일과, 상기한 레일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로울러가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 의 상부에 연결된 브라켓과, 상기한 로울러를 회전시키도록 브라켓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배근 시공장치.
KR1020080107431A 2008-10-31 2008-10-31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배근 시공장치 KR101019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431A KR101019761B1 (ko) 2008-10-31 2008-10-31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배근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431A KR101019761B1 (ko) 2008-10-31 2008-10-31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배근 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328A true KR20100048328A (ko) 2010-05-11
KR101019761B1 KR101019761B1 (ko) 2011-03-04

Family

ID=4227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431A KR101019761B1 (ko) 2008-10-31 2008-10-31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배근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7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445B1 (ko) * 2011-03-25 2012-02-24 강남훈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콘크리트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궤도 부설방법
CN110043292A (zh) * 2019-05-17 2019-07-23 中建八局轨道交通建设有限公司 平行钢筋间距复核装置及平行钢筋间距复核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828B1 (ko) * 2012-10-12 2013-03-20 (주)삼우아이엠씨 철근 유도고정 장비를 이용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4962A (en) * 1987-07-20 1989-01-26 Taisei Corp Reinforcement built-up device
JP3121224B2 (ja) * 1995-01-20 2000-12-25 株式会社間組 カルバート用鉄筋の組立・配筋装置
KR200245797Y1 (ko) 2001-05-30 2001-10-17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슬라브의 두께 검측 및 철근의 간격표시장치
KR200287651Y1 (ko) 2002-06-11 2002-08-30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토목,건축용 철근 배근 간격 측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445B1 (ko) * 2011-03-25 2012-02-24 강남훈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콘크리트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궤도 부설방법
WO2012133968A1 (ko) * 2011-03-25 2012-10-04 Kang Nam-Hun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콘크리트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궤도 부설방법
CN110043292A (zh) * 2019-05-17 2019-07-23 中建八局轨道交通建设有限公司 平行钢筋间距复核装置及平行钢筋间距复核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9761B1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2521B2 (ja) 案内軌条ゴムタイヤ式の軽電車の走行路施工方法及び装置
KR101158466B1 (ko) 교체가 용이한 3차원 입체형상의 궤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이 궤도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궤도 부설방법 및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궤도 부설방법
KR101549082B1 (ko) 3d pst 제조장치
KR20140056834A (ko) 매립형 궤도를 구성하는 레일의 선형설정을 위한 레일 조립대
KR20100048235A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안내궤도 지지장치
KR101393490B1 (ko) 3차원 프리캐스트 슬래브궤도 제조용 단독지주형 궤도선형조정장치
KR101019761B1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배근 시공장치
KR101114443B1 (ko) 보조궤광을 이용한 콘크리트 직결궤도 시공방법
KR101044340B1 (ko) 보조 레일을 이용한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시공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주행로 시공 장치
KR101029204B1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연마 장치
KR100910913B1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시공 방법
KR101025684B1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안내궤도 선형측정 장치
KR20100047668A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바이브레이터
KR101109943B1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단면 측정 장치 및 이에 적합한 측정 방법
KR101034728B1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시공용 슬립폼
KR100910912B1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안내궤도 시공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시공 장치
KR101995202B1 (ko)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KR102202616B1 (ko)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및 그 유지보수 방법
KR20100051239A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줄눈 형성장치
KR100972385B1 (ko) 바이모달 트램의 자기장유도 형식 일반선로용 마그네틱바의 설치 방법
KR101034752B1 (ko) 안내 궤도가 설치되는 지지대용 거푸집
KR101416157B1 (ko) 교체가 용이한 3차원 입체형상의 궤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이 궤도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궤도 부설방법 및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궤도 부설방법
KR20160061550A (ko) 트램궤도 시공방법
KR101060027B1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표면처리장치
KR20100047667A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바이브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