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7866A - 약제학적 폴리펩타이드 건조 분말 에어로졸 제형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약제학적 폴리펩타이드 건조 분말 에어로졸 제형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7866A
KR20100047866A KR1020107003128A KR20107003128A KR20100047866A KR 20100047866 A KR20100047866 A KR 20100047866A KR 1020107003128 A KR1020107003128 A KR 1020107003128A KR 20107003128 A KR20107003128 A KR 20107003128A KR 20100047866 A KR20100047866 A KR 20100047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ispersible powder
powder composition
mutein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실리 비 라로르
제프리 에스 테퍼
웨인 에이 프롤랜드
Original Assignee
애로반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로반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애로반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47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61K9/0073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 A61K9/0075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for inhalation via a dry powder inhaler [DPI], e.g. comprising micronized drug mixed with lactose carrier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0Interleukins [IL]
    • A61K38/2026IL-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1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1623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Derivatives thereof; Homeopathic glob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61M11/003Particle size control by passing the aerosol trough sieves o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41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with movabl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2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C07K14/54Interleukins [IL]
    • C07K14/5406IL-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6/00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parameter; associated device therefor
    • A61M2206/10Flow characteristics
    • A61M2206/16Rotating swirling helical flow, e.g. by tangential infl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에 적합한 분산성 분말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상기 조성물은 인간 인터류킨 뮤테인 (mhIL-4)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약제학적 폴리펩타이드 건조 분말 에어로졸 제형 및 이의 제조 방법 {PHARMACEUTICAL POLYPEPTIDE DRY POWDER AEROSOL FORMULA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본 발명은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을 포함하는 폐동맥 (호흡기) 장애를 치료하는데 유용한 방법 및 조성물, 더욱 상세하게는 인간 IL-4 의 뮤테인(mutein)을 포함하는 건조 분말 에어로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터류킨-4 (IL-4) 및 인터류킨-13 (IL-13) 은 몇 개의 폐 질환의 발병에서 중요한 몇 개의 표적 세포에 대한 유사한 생물학적 효과의 넓은 스펙트럼을 갖는 다면발현 사이토카인이다. 이들 2개의 사이토카인의 결합 및 신호와 관련된 영향의 불필요한 반복은 일반적인 수용체 성분의 공유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최근, 어떤 길항적 및 부분 길항적 특성은 인간 변종 IL-4 (mIL-4) 단백질에서 관찰되었는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위치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또는 128 에서 야생형으로 천연으로 생기는 아미노산(들)은 하나 이상의 천연 아미노산으로 대체되었다. 따라서, 이들 mIL-4 단백질은 지나친 또는 잘못 조절된 면역 반응 및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시 의약으로서 사용되는 소중한 치료제로서 기재되었다.
그와 같은 변종 단백질의 목적하는 생리학적 효과를 적당히 달성하기 위해, 활성 형태의 단백질의 투여 방법 및 제형을 필요로 한다. 구강이 아닌 전신 전달이 실현가능하지만, mIL-4 단백질은 빈번한 주사를 필요로 하는 짧은 반감기를 갖는다. 이들 변종 단백질을 사용하는 전신 전달은 이상적이지 않기 때문에, 폐 약물 전단계가 시도되어야한다. 더욱이, 약물을 질환의 부위로 전달하는 것에 대한 선택적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필요한 환자에의 장기 흡입 투여에 적합한 mIL-4 변종 단백질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어떤 구현예에서, 환자가 흡입하기에 적합한 분산성 분말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상기 조성물은 인간 인터류킨 뮤테인 (mIL-4)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의 유리전이 온도는 조성물이 보관되는 보관온도보다 적어도 50℃ 더 높다. 조성물의 총 보관기간은 적어도 2년이고, 조성물은 3개월에 걸쳐 상기 보관온도에서 보관된 후에도 본래 특정 활성의 적어도 80 % 를 유지한다.
다른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mIL-4 에 추가하여, 조성물은 또한 완충제, 예컨대 시트레이트, 아세테이트, 락테이트, 또는 숙시네이트, 말레에이트, 또는 타르타레이트, 및 안정화제, 예컨대 탄수화물, 예를 들어, 수크로스, 만니톨, 또는 트레할로스를 포함한다. 조성물은 부형제, 예컨대 아미노산 (예를 들어, 류신) 또는 폴리(아미노산)을 임의로 추가 포함할 수 있고; 조성물은 또한 마그네슘의 염, 예를 들어,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제조 방법은 용이한 분산가능한 충분한 순도 및 호흡가능 크기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생산을 허용하는 것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약제학적 조성물은 폐에서 높은 침착 분율을 가지며, 상기 방법은 높은 백분율의 약제학적 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조성물은 조성물이 필요에 환자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키트는 조성물, 환자가 흡입하기 위한 흡입 수단, 및 조성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수단을 포함한다. 어떤 구현예에서, 보관 수단은 흡입 수단에 맞도록 개조된 주 캡슐, 및 부차적인 보관 용기를 포함한다. 키트는 보관 수단에 부착된 라벨도 임의로 포함하고, 환자에게 사용 설명서를 제공함을 포함한다.
도 1A 는 wt IL-4 에 대한 핵산 및 아미노산 서열을 보여준다.
도 1B 는 변종 mIL-4 에 대한 핵산 및 아미노산 서열을 보여준다.
도 2 는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 따른 전달 키트를 도식적으로 보여준다.
도 3 은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 따른 하나의 제형에 대한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크로마토그램을 보여준다.
도 4 는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 따른 공급원료 용액에 대한 SDS PAGE 겔 및 제형에 대한 분무건조 분말을 보여준다.
도 5 는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 따른 분무건조 mIL-4 제형의 시차주사열계량법 (DSC) 온도기록도를 보여준다.
도 6 는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 따른 분무건조 mIL-4 제형의 DSC 온도기록도를 보여준다.
도 7 는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 따른 제형의 입자 크기 분포를 보여준다.
도 8 은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 따른 분말 제형을 투여하기 위해 k용될 수 있는 흡입기 장치의 분해조립 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 따른 분말 제형을 투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흡입기 장치의 추가 투시도인데, 상기 흡입기 장치는 개방된 상태, 캡슐 적재 위치로 보여지고 있다.
도 10 은 도 9 와 유사하지만, 사용 동안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 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 따른 분말 제형을 투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흡입기 장치의 입단면도를 보여주는데, 상기 흡입기 장치는 이에 배치된 캡슐과 함께 보여지고 있지만, 관통 상태는 아니다.
도 12 는 도 11 과 유사하지만, 캡슐 관통 작동 동안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 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 따른 분말 제형을 투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흡입기 장치의 부분 단면도로서 상부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14 는 IL-4 뮤테인 건조 분말 조성물의 혈장 농도 대 시간 프로파일이다.
용어 폐동맥 및 호흡기는 폐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용어 "뮤테인(mutein)"은 당업자에 의해 만들어진 어떤 단백질에의 자리 지정 아미노산 치환을 결과적으로 일으키는 어떤 단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글리코실화는 당단백질을 형성하기 위해 글리코실 기의 단백질에의 첨가를 의미한다. 그와 같이, 용어는 천연 글리코실화 및 합성 글리코실화 모두, 예컨대 탄수화물 골격의 아스파라긴 잔기의 측쇄로의 연결 (N-글리코실화) 또는 당, 바람직하게는 N-아세틸갈락토스아민, 갈락토오스 또는 자일로스의 세린, 트레오닌, 4-히드록시프롤린 또는 5-히드록시리신 (O-글리코실화)에의 커플링을 포함한다.
작용제로서 기능하는 인간 IL-4 의 변종은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용어 "IL-4 뮤테인", "IL-4 변종", "mIL-4", "인간 변종 IL-4 단백질", "mhIL-4", "변형 인간 IL-4 수용체 길항제", "IL-4RA", "IL-4 길항제", 및 그의 동등물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이들 폴리펩타이드는 야생형(wild type) 단백질의 "N" 및 "C" 말단 건너편에 추가 잔기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폴리펩타이드 및 그의 기능적 분절은 폴리펩타이드를 의미하고, 여기서 생형 인간 IL-4 단백질 (wt IL-4; 도 1A)으로의 특이적 아미산 치환이 만들어졌다. 이들 폴리펩타이드는 본 발명의 mhIL-4 조성물을 포함하는데, 이는 예를 들어 천식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 투여된다. 특히, 본 발명의 예시적인 mhIL-4 는 도 1B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N-말단 메티오닌 ("IL-4RA" 또는 "met-R121D/Y124D")에 의해 치환된 적어도 R121D/Y124D 쌍을 포함한다.
용어 "기능적 분절"은 더 작은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IL-4 길항적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로서 본 출원을 위해 정의된다. mIL-4 의 변형 중 mIL-4 의 상기 및 다른 측면은 미국 특허 Nos. 6,313,272; 및 6,028,176 에 기재되어 있고, 그의 전체 내용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용어 "야생형 IL-4" 또는 "wtIL-4" 및 그의 동등물은 상호교환적으로 본 출원을 위해 사용되고, 미국 특허 No. 5,017,691 에 개시된 바와 같이 타고난 인간 IL-4 의 129 통상 발생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타고난 또는 재조합 인간 인터류킨-4 를 의미하고, 이의 전체 내용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또, 변형 인간 mIL-4 수용체 길항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그 길항제가 결합하는 동족 수용체에서 신호를 초래하지 않고, 비-단백질 폴리머에의 커플링 및/또는 다양한 삽입 및/또는 결손을 가질 수 있고, wtIL-4 에 따라 번호가 매겨지는데, 이는 선택된 특정 아미노산이 wtIL-4 에서 통상적으로 일어나는 동일한 아미노산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당업자는 위치, 예를 들어, 121 (아르기닌), 124 (티로신), 및/또는 125 (세린)에서 통상 출현하는 아미노산이 뮤테인에서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아미노산 위치, 예를 들어, 38, 102 및/또는 104 에서의 시스테인 잔기의 삽입은 뮤테인 상에서 이동될 것이다. 그러나, 이동된 Ser (S), Arg (R), Tyr (Y) 또는 삽입된 Cys (C)의 위치는 wtIL-4 에서 인접 Ser, Arg, Tyr 또는 Cys 에 의한 인접 아미노산의 검사 및 상호관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용어 "1차 입자 크기"는 다양한 기술, 예컨대 레이저 회절, 주사전자현미경 및 침강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이 입자의 크기로서 본 출원을 위해 정의된다.
용어 "공기역학적"은, 에어로졸 입자가 측정되는 바와 같이 공기 중 동일한 침강 속도를 갖는 단위 밀도의 구체의 직경으로서 본 출원을 위해 정의된다. 공기역학적 직경은 다단 충격기에 의해 측정된다. 용어 "공기역학 중량 평균 직경", 즉 "MMAD" 은 공기역학적 직경에 대해 질량의 분포의 중앙값으로서 정의된다. 공기역학적 평균 직경 및 기하학적 표준편차는 입자의 질량 및 크기를 근거로 에어로졸의 입자 크기 분포를 기재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은 기술에 따라서, 50 질량%의 입자는 공기역학적 평균 직경보다 더 작을 것이고 입자의 50% 는 공기역학적 평균 직경보다 더 클 것이다.
또, DNA 서열 인코딩 인간 mIL-4 는 신호서열을 인코딩하는 DNA 서열을 포함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그와 같은 신호서열은, 존재한다면, mIL-4 뮤테인의 발현을 위해 선택된 세포에 의해 인식되는 것이어야 한다. 원핵세포, 진핵세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타고난 IL-4 의 신호서열일 수 있다. 신호서열의 포함은 mIL-4 뮤테인이 만들어진 재조합 세포로부터 mIL-4 뮤테인을 분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지에 달려있다. 선택된 세포가 원핵세포이면, DNA 서열은 신호서열을 인코딩하지 않고 발현을 지시하기 위해 N-말단 메티오닌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선택된 세포가 진핵세포이면, 신호서열은 인코딩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야생형 IL-4 신호서열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한데, 이는 미국 특허 No. 6,028,176 에 개시되어 있고,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하나의 실례에서, 본 발명의 변종 인간 mIL-4 단백질은 변형을 갖는 야생형 hIL-4 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변형은 위치 121, 124 또는 125 에서 야생형 hIL-4 단백질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다른 천연 아미노산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다른 예에서, 변종 단백질은 하기:
(i) 상기 뮤테인 내의 C 말단의 변형;
(ⅱ) 상기 뮤테인 내의 잠재적 글리코실화 부위의 결손; 및/또는
(ⅲ) 상기 단백질의 비-단백질 폴리머와의 커플링,
(ⅳ) 위치 13, 16, 81 및 89 에서의 치환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 및
그의 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2 변형을 포함하고,
mIL-4 단백질은 야생형 hIL-4 의 길항제이고 N-말단 메티오닌을 임의로 추가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변종 단백질은 야생형 hIL-4 에 따라 번호가 매겨진 치환 R121D 및 Y124D 를 포함하는 단백질의 제1 변형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대상체" 또는 "환자"는 대상 방법이 수행되는 어떤 개체 또는 환자를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대상체는 인간이고,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지만, 대상체는 동물일 수 있다. 따라서, 비-인간 영장류(원숭이, 침팬지, 오랑우탕 및 고릴라 포함)는 대상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용어 "투여" 또는 "투여하는"은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행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용어 "치료적 유효량" 또는 "유효량"은 연구원, 수의사, 의사 또는 다른 임상의가 발견한 조직, 기관, 동물 또는 인간의 생물학적 또는 의약적 반응을 도출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한다.
용어 "분말"은 치수가 약 10 μm 미만인 고형 미립자로서 제형된 고형 물질, 예컨대 직경 약 6 μm 미만인 건조 고형 미립자로서 제형된 고형 물질로서 본 출원을 위해 정의된다.
용어 "유리전이 온도"는, 어떤 온도로 가열되어 유리질 상태로부터 탄성 상태로의 전이를 경험할 때 가역 변화가 물질에서 일어나는 온도 범위의 대략 중간점으로서 본 출원을 위해 정의된다. 유리전이 (Tg)는 시차주사열계량법 (DSC)로 측정된다. Tg 의 정의는 항상 임의적이고, 국제 협약은 존재하지 않는다.
천식은 기도의 만성 염증 또는 알레르기 장애이고, 여기서, 많은 세포 및 세포성 요소는 특히, 비만 세포, 호산구, T 림프구, 기도 대식세포, 호중구, 및 상피 세포 역할을 한다. 민감한 개체에서, 이 염증은 특히 밤 또는 이른 아침에 쌕쌕거림, 숨가쁨, 흉부 압박감, 및 기침의 재발성 에피소드를 야기한다. 이들 에피소드는 자발적으로 또는 치료에 의해 종종 가역적인 광범위하지만 변동성인 변동성 기류 폐색과 대개 연관된다. 염증은 또한 다양한 자극에 대한 존재하는 기관지 과반응성에서의 연관 증가 및 지나친 점액 분비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수분 및 응집에 대한 저항성을 포함하여 우수한 온도및 구조 안정성을 나타내는 약제학적 분산성 건조 분말 조성물을 제공한다. 조성물은 인간 인터류킨-4 뮤테인 (mIL-4)를 포함하는 치료제를 포함한다. 분말은 1차 입자 크기 및/또는 공기역학적 직경 크기의 평균값 약 10 μm 미만, 예컨대 약 2 μm 내지 약 6 μm, 예를 들어, 약 2 μm 내지 약 4 m 를 전형적으로갖는 입자에 의해 형성된다. 입자 크기 분포에서의 기하학적 표준편차는 1 내지 3, 예컨대 약 1.5 내지 2.5 이다.
다양한 구현예는 통상 본 발명의 특성을 특징으로 하고 설명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환자가 흡입하기에 적합한 분산성 분말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상기 조성물은 인간 인터류킨 뮤테인 (mhIL-4)를 포함하는 치료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조성물의 유리전이 온도는 조성물이 보관되는 보관온도보다 적어도 50℃ 가 더 높고,상기 조성물은 3개월에 걸쳐 상기 보관온도에서 보관된 후에도 본래 특정 활성의 적어도 80 % 를 유지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라, 환자가 흡입하기에 적합한 분산성 분말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상기 조성물은 2개의 변형을 갖는 야생형 hIL-4 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변종 인간 인터류킨-4 (mIL-4) 단백질을 포함하는 치료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변형은 위치 121, 124 또는 125 에서 야생형 hIL-4 단백질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다른 천연 아미노산으로 대체하는 것이고, 제2 변형은 상기 뮤테인 내의 C 말단의 변형; 상기 뮤테인 내의 잠재적 글리코실화 부위의 결손; 및/또는 상기 단백질의 비-단백질 폴리머와의 커플링, 위치 13, 16, 81 및 89 에서의 치환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 및 그의 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이고, mIL-4 단백질은 야생형 hIL-4 의 길항제이고 N-말단 메티오닌을 임의로 추가 포함한다. 그와 같은 조성물은 또한 조성물이 보관되는 보관온도보다 적어도 50℃ 초과인 유리전이온도를 가질 수 있고 이고, 상기 조성물은 3개월에 걸쳐 상기 보관온도에서 보관된 후에도 본래 특정 활성의 적어도 80 % 를 유지한다.
어떤 구현예에서, 상기에 기재된 어떤 조성물은, 상기에 기재된 mhIL-4 또는 mIL-4 에 추가하여, 완충제, 예컨대 시트레이트, 아세테이트, 락테이트, 타르타레이트, 숙시네이트, 또는 말레에이트, 및 안정화제, 예컨대 탄수화물, 예를 들어, 수크로스, 만니톨, 또는 트레할로스, 또는 마그네슘 염, 예를 들어,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현예에서, 어떤 조성물은, 완충제 및/또는 안정화제의 포함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에 기재된 mhIL-4 에 추가하여 아미노산, 예를 들어, 류신, 또는 폴리(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부형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토된 어떤 구현예의 조성물 보관온도(즉, 조성물이 보관되는 온도, 이는 실온 또는 그 미만, 예를 들어, 약 2℃ 내지 8℃ 일 수 있고, 대안적으로, 보관기간의 제1 부분 동안 약 2℃ 내지 8℃ 의 보관온도, 및 보관기간의 제2 부분 동안 실온)보다 적어도 75℃ 더 높은 유리전이온도, 예컨대 보관온도보다 적어도 100℃ 더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며, 적어도 2년의 총 보관기간 후, 상기 검토된 어떤 구현예의 조성물은 총 보관기간의 만료 후에 본래 특정 활성의 적어도 95 % 를 유지하고, 예를 들어 본래 특정 활성의 적어도 98 % 를 유지한다.
상기 검토된 어떤 구현예의 조성물은 약 10 % 내지 약 98 %, 예컨대 약 10 % 내지 약 75 %, 예를 들어, 약 10 % 내지 약 60 % 인, 상기 조성물 중 치료적 활성 물질의 질량 농도를 갖는다.
상기 검토된 어떤 구현예의 조성물은 약 1 % 내지 약 10 %, 예컨대 약 1 % 내지 약 5, 예를 들어, 약 1 % 내지 약 3 % 인 수분 함량을 갖는다.
상기 검토된 어떤 구현예의 조성물은 적어도 2년의 총 보관기간의 만료 후에 약 3 % 이하, 예컨대 약 1 % 이하, 또는 약 0 % 의 응집도를 갖는다.
상기 검토된 어떤 구현예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보관기간의 만료후 약물성분에 대한 치료적 활성 물질의 산화도 약 5 % 이하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총 보관기간은 적어도 2년이다. 예를 들어, 그와 같은 산화도는 약 3 % 이하, 또는 약 2 % 일 수 있다.
상기 검토된 어떤 구현예의 조성물은 약 10 μm 미만, 예를 들어 약 2 μm 내지 약 6 μm, 예컨대 약 2 μm 내지 약 4 μm의 직경의 평균값을 갖는 입자에 의해 형성되는 분말이다.
상기 검토된 어떤 구현예의 조성물은 1 내지 3, 예를 들어, 약 1.5 내지 2.5 의 입자 크기의 기하학적 표준편차를 갖는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검토된 어떤 구현예의 조성물은, 환자에 의해 흡입될 때, 조성물의 방출된 양, 즉 약 70 질량% 이상, 예컨대 약 80 질량% 이상, 예를 들어, 약 90 질량% 이상을 제공한다.
상기 검토된 어떤 구현예의 조성물은, 환자에 의해 흡입될 때, 약 5 μm 이하의 직경의 값을 갖는 입자의 침착 분율, 즉 약 25 내지 약 60 질량%, 예컨대 약 40 내지 약 60 질량%, 예를 들어, 약 50 내지 약 60 질량% 을 제공한다.
상기 검토된 어떤 구현예의 조성물은 pH 값, 즉 약 3 내지 6, 예컨대 약 4 내지 5 를 갖는다.
상기 검토된 어떤 구현예의 조성물은 약 0.3 내지 30 mg, 예를 들어, 약 0.3 내지 5 mg, 예컨대 약 0.5 내지 3 mg 의 활성 물질의 명목 용량을 갖는다.
상기 검토된 어떤 구현예의 조성물에서, IL-4 뮤테인은 변형을 갖는 야생형 hIL-4 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변형은 위치 121, 124 또는 125 에서 야생형 hIL-4 단백질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다른 천연 아미노산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또, IL-4 뮤테인은 상기 뮤테인 내의 C 말단의 변형; 상기 뮤테인 내의 잠재적 글리코실화 부위의 결손; 및/또는 상기 단백질의 비-단백질 폴리머와의 커플링, 위치 13, 16, 81 및 89 에서의 치환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 및 그의 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2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변형은 야생형 hIL-4 에 준하여 번호를 매긴 치환 R121D 및 Y124D, 또는 야생형 hIL-4 및 N-말단 메티오닌에 준하여 번호를 매긴 치환 R121D 및 Y124D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토된 어떤 구현예의 조성물은 냉동건조, 분무건조, 및 냉동분무건조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밀링, 또는 밀링과 함께 동결건조를 추가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검토된 어떤 구현예의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 투여함을 포함하는,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어떤 구현예에서, 상기 검토된 어떤 구현예의 분산성 분말 조성물을 함유하는 캡슐을 보유하기 위한 오목부를 마련하고 있는 흡입기 본체, 및 상기 캡슐과 소통하는 노즈피스를 포함하는 흡입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여기서, 상기 흡입기 장치는 외부 공기 흐름이 상기 노즈피스를 통해 흡입용 분산성 분말 조성물과 혼합될 수 있도록 흡입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캡슐을 관통시키기 위해 개조된 관통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그와 같은 장치는, 적당하게 제형된 건조 분말 조성물이 환자에 의해 흡입될 때, 상기 조성물의 방출된 양은 약 70 질량% 이상인 것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된다. 어떤 구현예에서, 흡입기 장치 내의 관통 수단은 탄력성 엘리먼트의 바이어싱(biasing)에 대해 수평으로 미끄러지고 상기 흡입기 본체와 고정된 교대(橋臺) 엘리먼트 사이에서 작동하는 위한 관통 니들, 및 대응하는 작동 푸시버튼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윤곽선을 갖는 각 관통 니들은 캡슐의 코팅물의 관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베벨팁(beveled tip)을 포함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흡입기 장치 내의 노즈피스(nosepiece)는 2개의 작동 상태를 제공하기 위해 흡입기 본체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2개의 작동 상태는 캡슐을 위한 오목부가 새로운 캡슐을 물리게 하거나 사용된 캡슐을 꺼내기 쉽도록 하는 개방 상태, 및 상기 흡입기 노즈피스가 용수철식으로 잠겨져 있는 폐쇄 사용 상태를 포함한다. 노즈피스는 노즈피스의 플랜지의 후크부를 포함하는 하는 용수철식 잠금 수단에 의해 폐쇄 위치에서 잠겨질 수 있고, 상기 후크부는 흡입기 본체에 형성된 래칭(latching) 시트 내에 형성된 대응하는 릿지(ridge)를 갖는다. 추가 구현예에서, 흡입기 노즈피스의 플랜지는 흡입기 본체에 형성된 구멍에 물리게 할 수 있는 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서, 구멍은 상기 페그의 횡단 투스가 슬롯을 통과할 수 있도록 개조된 종방향 슬롯을 마련할 수 있고, 투스가 안으로 미끄러지도록 개조된 환상 바닥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페그가 상기 구멍에 물리도록 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핀은 구멍에서 회전가능할 수 있고, 노즈피스는 흡입기 본체에 대해서 회전가능하다. 추가 구현예에서, 흡입기 본체의 캡슐을 위한 오목부는 플랜지에 있는 흡입기 노즈피스에 제공된 관통 플레이트 또는 그리드를 통해 외부와 소통할 수 있고, 노즈피스의 배관으로부터 캡슐 오목부를 분리하기 위해 개조되며, 상기 캡슐 오목부는 캡슐 오목부는 하나 이상의 공기 입구 구멍을 통해 외부와 소통하는 바닥을 가지고 있다.
어떤 구현예에서, 상기에서 논의된 어떤 구현예의 분산성 분말 조성물, 환자가 흡입하기 위한 흡입 수단, 및 흡입 수단에 맞도록 개조되는 주 캡슐과 부차적인 보관 용기를 포함하는 조성물 보관용 보관 수단을 포함하고, 보관 수단에 부착된 라벨을 추가로 포함하며, 환자에게 사용 설명서를 제공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키트에 의해 사용되는 조성물은 캡슐 형태이고, 각 캡슐은 약 5 내지 25 mg 의 조성물, 예컨대 약 5 내지 약 20 mg 의 조성물, 예를 들어, 약 10 내지 약 20 mg 의 조성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건조 분말 조성물 중 활성 물질의 양은 명목상 약 0.3 내지 30 mg, 예컨대 약 0.3 내지 5 mg, 예를 들어, 약 0.5 내지 3 mg 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건조 분말 조성물 중 활성 물질의 최소량은 약 0.3 mg 일 수 있고; 다른 구현예에서, 그와 같은 최소량은 약 0.5 mg, 약 0.7 mg, 약 0.75 mg, 약 1 mg, 약 1.5 mg, 또는 약 2 mg 일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건조 분말 조성물 중 활성 물질의 최대량은 약 3 mg 일 수 있고; 다른 구현예에서, 그와 같은 최대량은 약 5 mg, 약 7.5 mg, 약 10 mg, 약 12 mg, 약 15 mg, 또는 약 30 mg 일 수 있다. 조성물 중 mIL-4 의 총 질량 농도는 약 10 % 내지 약 98 %, 예컨대 약 10 % 내지 약 75 %, 예를 들어, 약 10 % 내지 약 60% 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조성물 중 mIL-4 의 질량 농도는 약 5 % 내지 약 98 %, 예컨대 약 5 % 내지 약 75 %, 예를 들어, 약 5 % 내지 약 60%, 또는 약 5 % 내지 약 50%, 또는 약 5 %, 또는 약 10 %, 또는 약 15 %, 또는 약 30% 일 수 있다. 이 문맥에서, m-IL4 화합물의 (중량)%는 존재할 수 있는 반대이온(들)의 중량을 제외한 유리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조 분말 조성물은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건조 분말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부형제, 및/또는 mIL-4 화합물의 효과를 개선하는 어떤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부형제는, 환자에게 전달되는 분말 중 활성제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때, 단지 벌킹제(bulking agent)로서 쓰일 수 있다. 그와 같은 부형제는 또한 활성제의 더 효율적이고 재생가능한 전달을 개선하고 제조 및 분말 충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활성제의 취급 특성(예를 들어, 흐름성 및 일관성)을 개선하기 위해 분말 분산 장치 내에 분말의 분산성을 개선하는데 쓰일 수 있다. 특히, 부형제 물질은 종종 mIL-4 의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을 개선하고, 잔류 수분 함량을 최소화하며 입자 크기, 응집도, 표면 특성 (예를 들어, 주름), 흡입의 용이, 및 깊은 폐에의 수득한 입자의 표적화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약제학적 부형제 및 첨가제는 단백질, 펩타이드, 아미노산, 지질, 폴리머, 및 탄수화물 (예를 들어, 단당류, 디-, 트리-, 테트라-, 및 올리고당류를 포함하는 당; 유도체화 당, 예컨대 알디톨, 알돈산, 에스테르화 당; 및 다당류 또는 당 폴리머)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존재할 수 있다. 예시적인 단백질 부형제는 혈청 알부민, 예컨대 인간 혈청 알부민 (HSA), 재조합 인간 알부민 (rHA), 젤라틴, 및 카제인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아미노산/폴리펩타이드 성분은 알라닌, 글리신, 아르기닌, 베타인, 히스티딘,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시스테인, 리신, 류신, 프롤린, 이소류신, 발린,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아스파르탐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아미노산의 폴리아미노산, 예컨대 디-류신 및 트리-류신이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탄수화물 부형제는 예를 들어, 단당류, 예컨대 프룩토오스, 말토스, 갈락토오스, 글루코스, D-만노스, 및 소르보스; 이당류, 예컨대 락토오스, 수크로스, 트레할로스, 셀로바이오스; 다당류, 예컨대 라피노우즈, 멜레지토스, 말토덱스트린, 덱스트란, 및 전분; 및 알디톨, 예컨대 만니톨, 자일리톨, 말티톨, 락티톨, 자일리톨 소르비톨 (글리시톨), 및 마이오이노시톨을 포함한다.
mIL-4 건조 분말 조성물은 또한 완충제 또는 pH 조정제를 포함할 수 있고; 전형적으로, 완충제는 유기산 또는 염기로부터 제조된 염이다. 대표적인 완충제는 유기산 염, 예컨대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글루콘산, 카르본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아세트산, 또는 프탈산의 염; 트리스, 트로메타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또는 포스페이트 완충제를 포함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mIL-4 건조 분말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부형제/첨가제,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피콜(Ficoll; 폴리머 당), 덱스트란, 덱스트레이트 (예를 들어, 시클로덱스트린, 예컨대 2-히드록시프로필-베타-시클로덱스트린, 히드록시에틸 전분), 폴리에틸렌 글리콜, 펙틴, 염 (예를 들어, 나트륨 클로라이드), 항산화제, 정전기방지제,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폴리소르베이트, 예컨대 "TWEEN 20" 및 "TWEEN 80", 레시틴, 올레산,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및 소르비탄 에스테르), 지질 (예를 들어, 인지질, 지방산), 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콜레스테롤), 및 킬레이트제 (예를 들어, EDTA). mIL-4 건조 분말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약제학적 부형제 및/또는 첨가제의 다른 예는 하기에 열거되어 있다: "Remington: Science & Practice of Pharmacy", 19th ed., Williams & Williams, (1995), 및 in "Physician's Desk Reference", 52nd ed., Medical Economics, Montvale, N.J. (1998), 그의 명세서는 참고로 본원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건조 분말 조성물은 또한 추가 성분, 예컨대 완충제, 안정화제, 및/또는 벌킹(bulking) 부형제를 포함한다. 그의 예는 이들 제제의 어떤 바람직한 양 및/또는 조합을 제공한다.
완충제는 전형적으로 시트레이트, 아세테이트, 락테이트, 및/또는 타르타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안정화제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탄수화물, 예컨대 수크로스, 만니톨, 및/또는 트레할로스, 및 부형제는 아미노산, 예컨대 류신, 또는 폴리(아미노산)를 포함하거나, 안정화제는 마그네슘의 염, 예컨대 마그네슘 설페이트,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및 마그네슘 아세테이트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건조 분말 조성물은 약 5% 내지 약 50% 의 mIL-4 를 포함할 것이고, 약 10% 내지 약 30% 가 더 바람직하다. 안정화제는 이 구현예에서 약 10% 내지 약 85%,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80% 의 범위로 존재한다. 어떤 구현예에서, 안정화제는 약 15% 내지 약 50% 의 범위로 존재한다. 벌킹제(bulking agent)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산 형태이고, 이 구현예서는 임의적이다. 함유된다면, 약 10% 내지 약 25%. 완충제는 약 10% 내지 약 85% 의 범위로 포함되고, 약 20% 내지 약 50% 가 바람직하다. 완충제 대 안정화제의 비는 약 1:8.5 내지 약 8.5:1 이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약 1:8.5 내지 약 4:1 이다. 구현예는 약 1:4 내지 약 4:1, 약 1:4 내지 약 2:1, 약 1:2 내지 약 2:1, 및 약 2:3 내지 약 1:1 의 완충제 대 안정화제 비를 포함한다. 이 구현예에서, 캡슐 또는 블리스터(blister)로의 바람직한 충전 범위는 약 5 mg 내지 약 25 mg 의 건조 분말 조성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 mg 내지 약 15 mg 이다. 이 구현예에서, 임의 양의 마그네슘 이온이 안정화제로서 첨가될 수 있다. 이온은 약 1 mM 내지 약 22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mM 내지 약 200 mM 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마그네슘 이온 대 완충제의 화학양론은 이 구현예에서 1, 2, 4, 6, 8, 또는 10 일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의 바람직한 mIL-4 분자은 도 1B 에 보여진 것이다. 이 구현예의 유효량의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회, 2회 또는 3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 분말 조성물은 조성물의 유리전이 온도, 조성물의 보관온도, 보관기간, 및 조성물이 보관 후 본래 특정 활성 및 단백질 통일성을 유지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어떤 특성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어떤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건조 분말 조성물은, 하기에 기재된 어떤 보관온도, 조성물이 보관되는 보관온도보다 적어도 50℃ 초과, 바람직하게는 보관온도보다 적어도 75℃ 초과,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보관온도보다 적어도 100℃ 초과인 유리전이온도를 갖는다.
추천되는 보관온도에 대해서, 어떤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건조 분말 조성물의 보관온도는 약 실온 (15 내지 25℃) 이하, 예컨대 약 2℃ 내지 8℃ 이다. 어떤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건조 분말 조성물은 보관기간의 제1 초기 부분 동안 약 2℃ 내지 8℃, 그 다음 보관기간의 제2 부분 동안 실온에서 보관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보관기간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는 의약품의 제조일 후 적어도 2년의 본 발명의 건조 분말 조성물의 총 보관기간에 대해 추가로 제공되고, 그 보관 동안에, 조성물은 3개월에 걸쳐 상기 보관온도에서 보관된 후에도 본래 특정 활성의 적어도 80%, 예를 들어 적어도 90% 를 유지한다. 어떤 구현예에서, 조성물 총 보관기간의 만료 후에 본래 특정 활성의 적어도 95 % 를 유지하고, 예를 들어, 본래 특정 활성의 적어도 98 % 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건조 분말 조성물의 특징을 기술하는 어떤 다른 특성은 수분 함량, pH 값, 단백질의 응집도, 및 단백질의 산화도를 포함한다. 어떤 구현예에서, 수분 함량은 약 1 % 내지 약 10 %, 예컨대 약 1 % 내지 약 5 %, 예를 들어, 약 1 % 내지 약 3 % 이다. 구현예에서, 수분 함량은 1 % 미만이다. 본 발명의 건조 분말 조성물의 pH 값은 일반적으로 약 3 내지 6, 예를 들어, 약 4 내지 5 이다.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pH 범위는 약 3 내지 7, 예를 들어 약 6 내지 7 일 수 있다. 단백질의 응집도에 대해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총 보관기간의 만료 후에 약 3 % 이하, 예컨대 약 1 % 이하, 예를 들어, 약 1 % 미만의 응집을 보여준다.
어떤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건조 분말 조성물 중 치료적 활성 물질의 산화도는 조성물의 총 보관기간의 만료 후에 약물성분에 대해서 약 10 % 이하, 예컨대 약 5 % 이하, 예를 들어, 약 3 % 이다.
본 발명의 건조 분말 조성물은 어떤 적합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법은 예를 들어, mIL-4 를 함유하는 치료적 활성 물질의 수용액에 대해서 공정, 예컨대 냉동건조, 분무건조, 또는 냉동분무건조를 포함하고, 밀링, 또는 밀링과 함께 동결건조를 임의로 추가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절차에서, 활성 성분(즉, mIL-4)의 분획이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약 1 내지 5% 의 고형물의 질량 농도를 갖는 용액이 제조된다. 고형물의 잔류 분획은 경우에 따라서 다른 성분, 예컨대 완충제, 안정화제, 및/또는 벌킹 부형제를 포함한다.
그 다음, 용액은 소적을 만들기 위해 특정 압력 및 온도로 설정된 노즐을 향한다. 소적은 특정 온도로 설정된 챔버로 들어가서 건조된다. 특정 크기 범위의 건조 입자는 사이클론에 수집된다. 그 다음, 이 분말은 특정 충전 중량으로 주요 용기에 충전된다. 주요 용기는 특정 충전 중량에서 보관 및 흡입기에 함유된 물질의 방출을 위해서 제공되는 어떤 적당한 용기일 수 있다. 주 보관 용기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는 흡입기에 삽입된 후에 구멍이 나고 부서질 수 있는 캡슐이다. 당업자는 건조 온도뿐만 아니라 소적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압력 및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분말은 적당한 흡입기 장치, 예를 들어, RS01 Model 7 Inhaler 를 사용하여 흡입될 수 있고, 이는 미국 특허 출원 No. 2003-0000523 및 대응하는 유럽 특허 출원 No. EP 1270034 에 기재되어 있다. 흡입기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분말이 환자에 의해 흡입될 때 조성물의 방출된 양이 약 70 질량% 이상인 것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된다. 흡입기는 하기와 같이 도 8 내지 13 을 참고로 더욱 상세히 기재될 수 있다.
도 8 에 보여진 바와 같이, 흡입기 장치 1 은 흡입기 노즈피스 3 을 포함하는데, 이는 플랜지 4 를 포함하고, 흡입기 본체 2 에 형성된 대응하는 구멍 6 에 물릴 수 있는 페그 5 를 가지고 있다. 도 9 에 보여진 바와 같이, 구멍 6 에는 페그 5 의 크로스 투스 8 을 물리게 할 수 있는 종방향 슬롯, 및 투스 8 이 미끄러질 수 있는 바닥 고리형 오목부(나타나지 않음)가 제공된다. 따라서, 투스 8 이 종방향 슬롯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구멍 6 에 페그 5 를 물리게 할 수 있고, 바닥에 도달하면, 구멍 6 에서 페그 5 를 충분히 회전시켜, 흡입기 본체 2 에 대해서 흡입기 노즈피스 3 을 회전시킬 수 있다.
흡입기 노즈피스 3 은, 도 8 내지 13 에 보여진 바와 같이 흡입기 본체 2 에 마련된 래칭(latching) 오목부 19 (도 8) 내부에 형성된 대응하는 릿지(ridge) 20 (도 8) 을 물리게 하기 위해 작은 릿지(ridge) (나타나지 않음)를 갖는 플랜지 4 의 후크부 18 (도 10)을 포함하는 용수철식 잠금 수단에 의해 폐쇄 상태로 잠길 수 있다. 흡입기 본체 2 에는 캡슐을 위한 오목부가 추가로 제공되고, 이 오목부는 상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플랜지 4 에 있는 흡입기 노즈피스 3 에 포함되고 노즈피스 3 의 배관 12 (도 9)로부터 캡슐 오목부 9 (도 9)을 분리하기 위해 설계된 관통 플레이트 또는 그리드 11 (도 11-13)을 통해 외부와 소통된다.
캡슐 13 (도 12) 은 오목부 9 내에 물리게 될 수 있는데, 상기 캡슐은 공지된 형태이고, 보유한 의약 내용물이 쉽게 이용될 수 있도록 관통형으로 개조되며, 여기서, 관통 작동은 어떤 적당한 관통 수단에 의해 수행된다. 보여진 흡입기 1 에서, 관통 수단은, 탄력성 엘리먼트에 의해 반대로 재촉되어 수평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한 쌍의 관통 니들 14 (도 8 및 11-13)을 포함하는데, 상기 엘리먼트는 이 구현예에서, 관통 니들 14 와 같은 축이고 흡입기 본체 2 로 고정된 각 교대(橋臺) 엘리먼트 16 (도 11-13) 사이에서 작동하는 코일 스프링 15 및 중공 푸시버튼 엘리먼트 17 (도 8-13)을 포함한다. 관통 니들 14 는 to 피하주사용 니들과 유사하고 캡슐 13 의 코팅물을 관통시에 상기 관통 니들 14 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베벨팁(beveled tip)을 가지고 있다.
흡입기 장치 1 의 작동은 하기와 같이 추가로 기재될 수 있다. 개방 상태에서, 도 9 에 보여진 바와 같이, 캡슐은 캡슐 오목부 9 내에 물리고 노즈피스 3 은 흡입기 본체 2 상에 용수철식으로 잠겨진다. 푸시버튼 엘리먼트 17 을 누름으로써, 관통 니들 14 는 캡슐 13 을 관통되게 할 것이고, 이에 따라 내용물, 예컨대 본 발명의 건조 분말은 캡슐 오목부와 소통될 것이다. 노즈피스 3 을 빨아들임으로써, 외부 쓰루홀 10 으로부터 나오는 공기 흐름이 발생할 것이고 이는 캡슐 오목부에 들어 갈 것이고, 이에 따라 캡슐 내용물과 혼합하고, 그리드 11 및 배관 12 를 통과하게 되고 제품이 흡입되게 될 것이다.
필요하다면, 흡입기 장치 1 은 관통 니들 14 로서 피하주사용 니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니들은 관통에 대한 저항성이 작고 아주 정확한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캡슐의 손상없이 비교적 큰 직경을 갖는 니들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아주 간단한 관통 작동을 제공할 수 있다. 작은 수, 예를 들어 단지 2개의 관통 니들의 사용으로, 관통 단면적이 동일하고 니들과 캡슐 사이의 접촉면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마찰, 및 이전의 흡입기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건조 분말 조성물은 흡입 투여를 통해 하기로부터 앓고 있는 환자와 같은 필요한 환자에게 투여된다: 천식, 또는 다른 폐쇄성 폐 질환, 예컨대 기관지염, 폐기종, 기관지확장증 및 낭성섬유종; 섬유증 폐 질환, 예컨대 간질성 폐동맥 섬유증 및 다른 간질성 폐 질환 of unknown origin; 유육종증 및 기타 호흡기 상태, 예컨대 비용종(鼻茸腫) 및 폐동맥 호산구증가증 및 호산구성 육아종. 투여의 유효성은 환자에 의해 흡입될 때 조성물의 방출된 양, 및 특정 크기를 갖는 입자의 침착 분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본 발명의 건조 분말 조성물이 그렇게 흡입될 때, 조성물의 방출된 양은 약 70 질량% 이상, 예컨대 약 80 질량% 이상, 예를 들어, 약 90 질량% 이상이다. 실제적인 제한에 기인하여, 방출된 양은 90 질량% 또는 95 질량% 를 초과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본 발명의 건조 분말 조성물이 그렇게 흡입될 때, 폐에 들어가는, 약 5 μm 이하의 직경의 값을 갖는 입자의 침착 분율은 약 25 내지 약 60 질량%, 예컨대 약 40 내지 약 60 질량%, 예를 들어, 약 50 내지 약 60 질량% 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약 5 μm 이하의 직경의 값을 갖는 입자의 최소 침착 분율은 약 25 질량% 일 수 있고; 다른 구현예에서, 그와 같은 최소 침착 분율은 약 40 질량%, 또는 약 50 질량% 일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약 5 μm 이하의 직경의 값을 갖는 입자의 최대 침착 분율은 약 60 질량% 일 수 있고; 다른 구현예에서, 그와 같은 최대 침착 분율은 약 70 질량%, 또는 약 80 질량% 일 수 있다. 추가 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건조 성물을 제조하는 어떤 방법은 본원의 하기 "실시예" 부분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건조 분말 조성물은 각종 장애 (알레르기 장애 포함), 질환, 및 건강이상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환자에 투여된다. 그와 같은 장애의 바람직한 예는 천식이다. 다른 장애의 예는 include 다른 폐쇄성 폐 질환, 예컨대 기관지염, 폐기종, 기관지확장증 및 낭성섬유종; 섬유증 폐 질환, 예컨대 간질성 폐동맥 섬유증 및 원인 불명의 다른 간질성 폐 질환; 유육종증 및 기타 호흡기 상태, 예컨대 비용종(鼻茸腫) 및 폐동맥 호산구증가증 및 호산구성 육아종. 사용될 전달의 종류는 흡입이다.
본 발명이 다양한 투여를 기재하고 있지만, 치료가 필요한 어떤 특정 대상체를 위한 특정 투여 수준 및 투여 빈도는 변할 수 있고 다양한 인자에 의존할 것이라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이들 인자는 특정 폴리펩타이드의 활성 또는 그의 기능적 분절, 화합물의 작용의 대사 안정성 및 길이, 연령, 본체 중량, 일반적인 건강, 성별, 일상 음식물, 투여 방식, 투여 시간, 배출 속도, 약물 상호작용, 특정 상태의 심각도, 및 치료 수용자를 포함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mIL-4 의 전형적인 투여는 약 0.005 내지 1 mg/kg 일 것이다. 예를 들어, mIL-4 의 투여를 위해, 에어로졸 흡입에 의한 대략적인 명목 투여는 하기이다: 약 0.3 mg 내지 60 mg, 예컨대 약 0.3 mg 내지 약 0.7 mg, 또는 약 0.6 mg 내지 약 1.1 mg, 또는 약 0.9 mg 내지 약 1.6 mg, 또는 약 1.4 mg 내지 약 1.9 mg, 또는 약 1.8 mg 내지 약 2.3 mg, 또는 약 2.2 mg 내지 약 2.8 mg, 또는 약 2.7 mg 내지 약 3.2 mg, 또는 약 3.1 mg 내지 약 4.2 mg, 또는 약 4.1 mg 내지 약 5.2 mg, 또는 약 5.1 mg 내지 약 7.7 mg, 또는 약 7.4 mg 내지 약 10.2 mg, 또는 약 10.1 mg 내지 약 15.2 mg, 또는 약 15.1 mg 내지 약 20.2 mg, 또는 약 20.1 mg 내지 약 25.2 mg, 또는 약 25.1 mg 내지 약 30.2 mg, 또는 약 30.1 mg 내지 약 35.2 mg, 또는 약 35.1 mg 내지 약 40.2 mg, 또는 약 40.1 mg 내지 약 45.2 mg, 또는 약 45.1 mg 내지 약 50.2 mg, 또는 약 50.1 mg 내지 약 55.2 mg, 또는 약 55.1 mg 내지 약 60 mg.
대상체에의 대략적인 투여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약 0.3 mg, 약 0.5 mg, 약 1.0 mg, 약 1.5 mg, 약 2 mg, 약 2.5 mg, 약 3.0 mg, 약 4 mg, 약 5 mg, 약 7.5 mg, 약 10 mg, 약 15 mg, 약 20 mg, 약 25 mg, 약 30 mg, 약 35 mg, 약 40 mg, 약 45 mg, 약 50 mg, 약 55 mg 또는 약 60 mg. 투여는 1일 3회, l일 2회, 매일, 2일에 1회, 3일에 1회, 1주일에 2회 또는 필요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mIL-4 의 투여에 의한 치료는 증상이 지속됨에 따라 일(日), 주, 년를 눈대중하거나 무한정 계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율적인 투여를 위해, 도 2에 도식적으로 나타낸 전달 키트가 사용될 있다. 키트 100 은 환자의 흡입을 위한 흡입 엘리먼트, 및 건조 분말 조성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용기를 포함한다. 보관 용기는 또 주 캡슐 및 부차적인 보관 용기를 포함하고, 또 환자에게 사용 설명서를 제공하기 위해 보관 용기에 붙인 임의 라벨을 포함한다. 주 캡슐은 흡입 엘리먼트를 끼우기 위해 배열된다.
도 2에 나타난 키트에서, 본 발명의 건조 분말 조성물은 도시되지 않은 캡슐 내에 존재할 수 있는데, 각 캡슐은 약 5 내지 25 mg 의 조성물, 예컨대 약 5 내지 약 20 mg, 예를 들어, 약 10 내지 약 20 mg 의 조성물을 명목 충전 중량으로서 함유한다.
다양한 크기 및 물질은 의약품의 1차 포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키트 100 에서, 바람직한 용기는 #3 크기의 캡슐이다. 그러나, 다른 크기 캡슐, 예컨대 크기 1, 2 및 4 캡슐이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캡슐은 다양한 물질, 예를 들어, 히드록실프로필메틸셀룰로스 (HPMC) 또는 젤라틴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더욱이, 1차 포장의 다른 형태, 예컨대 블리스터 팩이 사용될 수 있다. 블리스터 팩 배치는 개별적 개방가능 블리스터의 혼합으로 구성되고, 그 형태에서, 블리스터로 형성된 베이스(base) 호일은 블리스터 내에 함유된 약제를 갖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뚜껑 호일에 연결된다.
흡입 장치의 선택은 또한 분말의 해부 침착, 건조 분말 제형의 전달의 안정성 및 효율에 중요하고, 장치를 사용할 때의 환자의 준수의 보장을 위해 중요하다.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에 기재된 RS01 Model 7 Inhaler 이다. 그러나, 상이한 특성을 일으키는 다양한 다른 흡입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RS01 와 같은 캡슐을 사용하는 단회 투여 장치가 사용될 수 있고, 그 예는 Aventis Eclipse® Boehringer Ingelheim Aerohaler® 또는 HandiHaler® 이다. 더욱이, 블리스터 팩 장치, 예컨대 Vectura Aspirair® 또는 GSK DiskHaler® 또는 Diskus 가 대체될 수 있다. 추가적인 보관 장치, 예컨대 Orion Pharma Easyhaler® Inovata Biomed Clickhaler® 또는 Sofotec Novalizer® 는 mIL-4 의 다회 투여를 도모할 수 있다. 모든 흡입 장치에 대해, 약 30일분의 공급량이 환자의 오용을 최소화하고, 환자에 대한 비용을 절감하고, 의약의 안정성 및 안전한 사용을 유지하기 위해 분배될 것이다.
하기 실시예는 추가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만,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제형의 조제
각각이 활성 성분 mIL-4 을 포함하는 4개의 제형을, 표 1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성분을 용액에 배합하여 제조했다. 뒤따르는 실시예에서 논의된 이후의 테스트 및 평가는 표 1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제형 1 내지 4 로서 칭한다.
[표 1]
Figure pct00001
실시예 2. 건조 분말의 제조 방법
제형 1-4 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분무건조 파라미터는 표 2 에 요약되어 있다.
[표 2]
Figure pct00002
실시예 3. 단백질의 응집물 및 조성물 내의 활성 성분의 질량의 연구
각 제형의 함량 및 순도를, RP-HPLC 분석법으로 거의 20 mg 의 분말의 분석하여 측정했다. 3회 측정을 각 분말에 대해 수행하고, 중량% 를 계산했다. 표 3은 각 제형의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그 결과는 이론적 값과 일치한다.
[표 3]
Figure pct00003
가장 큰 편차는 제형 4 에서였는데, 여기서 측정 농도는 예상 농도보다 거의 8% 더 낮았다. 역상 HPLC 분해법을 사용하여 분해 프로파일의 특성을 기술했다. 분해의 현저한 징후는, 약 7.6 분에서 응집을 나타내는 추가적인 피크를 보여주는 제형 4 에 대한 것을 제외하고 분무건조 분말에 대해 관찰되지 않았다. 수득한 크로마토그램은 도 1에 나타나 있다
SDS PAGE (단백질의 응집)
샘플을, 음이온 세정제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와 배양했다. 단백질을, 한정된 기공 크기 (예를 들어, ExcelGel SDS, 15% 폴리폴리아미드, Pharmacia)를 갖는 폴리아크릴아미드 겔에서 비환원 상태 하에서 분리했다. 분리는 단백질의 분자 중량에 비례한다. Coomassie Blue 로 착색한 후, 겔을 스캔하고(예를 들어, Scanner JX-330, Sharp), 개체 밴드의 수를 측정했다. 단백질의 SDS PAGE 평가를 모든 4개의 제형에 대해 수행했다. 수득한 결과는 도 2 에 나타나 있다. 희미한 밴드가 일부 최소 단백질 분해를 암시하는 분무건조 제형 4 에서 관찰되었다.
수분 함량
각 제형의 수분 함량을 칼피셔(Karl Fisher) 적정법으로 측정했다. 약 10 mg 의 각 제형을 10 mL 의 Karl Fisher 시약에 용해시켰다. 샘플을, 1 mL 의 샘플 용액을 전량(電量) 분석 셀에 주입하여 분석했다. 전형적으로, 3개의 샘플을 각 제형에 대해 분석하고 샘플 용액을 3배로 주입했다. Karl Fisher 시약으로 이루어진 블랭크(blank)를 사용했다.
표 4 는 각 제형의 수분 함량에 관한 데이타를 제공한다.
[표 4]
Figure pct00004
실시예 4. 생물학적 활성 TF1 기능성 생물학적 분석의 평가
TF-1 세포 내지 IL-4 또는 IL-13 의 증식 반응을, mIL-4 의 기능적 길항제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했다. TF-1 세포주를 비-부착성 적백혈병으로부터 얻었고, 모델 시스템으로서 널리 사용한 것은, 세포가 IL-4 및 IL-13 포함하는 수많은 염증 사이토카인에 응하여 증식하기 때문이다. TF-1 세포를, IL-4, IL-13 및 mIL-4 유무에 따라 배양했다. mIL-4 의 농도(log nM) 대 평균 비교형광유닛(relative fluorescence unit)를 그리고, 테이타를 추출하여 50% 길항제 효과를 측정했다. of for IL-4 및 IL13 에 대한 mIL-4 의 EC50 (50% 억제 효과)을 평균으로 보고하고 95%의 신뢰구간을 보고한다.
TF1 기능성 생물학적 분석의 결과는 표 5에 나타나 있다. 그 결과는, 분무건조로 인한 분무건조 분말 샘플의 활성의 손실이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5]
Figure pct00005
실시예 5. 유리전이 온도 측정
유리전이 온도를 시차주사열계량법 (DSC) 로 측정하는데, 이는 분(min)당 10℃ 의 N2 유속을 사용하는 TA Insruments DSC2920 장치로 수행했다.
4개의 제형 및 냉동건조 개시 물질에 대한 DSC 열분석 데이타는 도 3 및 도 4 에 보여진다. 약 75℃ 내지 125℃ 의 범위에서, 유리전이 온도 (보관온도 초과 50℃)를 나타내는 열류의 변화가 있다.
도 4로부터 추가로 관찰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온도기록도를 25℃ 내지 300℃ 로부터 얻었다. 그 결과에 따르면, 제형 1 및 2 가 열적 행동에서 상이하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는 기준선에서의 변화가 수크로스를 갖는 제형에서 약 140℃ 에서 관찰되기 때문이다(도 3).
실시예 6. 레이저 회절에 의한 1차 입자 크기 분포의 측정
분무건조 제형의 기하학적 입자 크기 분포를 습식 분산 레이저 회절법으로 측정했다. Malvern Mastersizer 2000 를 Hydro2000S 습전지와 공동으로 사용했다.
샘플을, 약 10 내지 25 mg 의 제형의 무게를 재고 20 mL 의 유리 비알에 넣어 조제했다. 10 ml 의 분산제를 첨가하여 현탁액을 만들었다. 샘플을, 2분 동안 10% 의 진폭 (40 와트)으로 프로브(probe) 초음파발생장치를 사용하여 초음파 처리하여 입자 분산을 촉진했다. 3개의 샘플을 각 제형에 대해 조제했다.
그 다음, 샘플을, 표 6에 보여진 세팅으로 Malvern Mastersizer 2000 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표 6]
Figure pct00006
측정 결과는 제1 내지 4 에 대해 표 7에 요약되어 있다. 입자 크기 분포에서의 유일한 한계 차이를 제형 조성물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관찰했다. 중간 직경은 2.3 내지 2.8 μm 의 범위였다. 평균 D90 값은 4.4 μm 내지 4.9 μm 의 범위였다. 입자 분포의 폭의 측정인 평균 SPAN 값은, 입자가 비교적 단분산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1.4 이하였다.
[표 7]
Figure pct00007
분산제로서 n-옥탄 중 0.1%v/v 레시틴으로 조제된 제형 2 (mIL-4/시트레이트/수크로스)에 대한 결과는 도 5에 나타나 있고, 여기서, 측정은 습전지로의 샘플 전달 직후 레이저 회절에 의해 수행했다. 3개 측정의 오버레이(overlay)는 도 5에 보여진다.
실시예 7. 차세대 충격기에 의한 공기역학적 입자 크기 분포의 측정
각 제형의 공기역학적 성능을, 차세대 충격기 (NGI)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제형의 에어로졸화에 대해, 저저항 캡슐 장치인 Plastiape RS01 Model 7 을 사용했다. 제형을 크기 3 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HPMC) 캡슐 (Shinogi)에 충전했다.
명목상, 약 5 mg 의 제형의 무게를 재고 각 캡슐에 넣었다. 캡슐 충전 및 계량을, 조건부 글로브 박스(glove box; 5 % 미만의 상대습도, 15℃ 내지 25℃ 의 실온)에서 수행했다. 캡슐을, 조제 직후에 장치에 장착하고, 구멍을 내고, NGI 에 표본추출했다. 4 kPa 압력 강하에 해당하는 유속을, 용적유량계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흡입기를 USP IP 에 연결하는 변형 어탭터(adapter)로 압력 강하를 직접 측정했다. Copley Critical Flow Controller 를 설치하여 테스트 동안 장치를 통해 4리터의 공기를 뽑았다. NGI 샘플을 RP HPLC 분석법으로 분석했다. 거의 100 L/min 의 공기 유속이, 흡입기 장치를 가로지르는 4 kPa 압력 강하를 산출하는데 필요하였다. 이러한 유속을 모든 NGI 테스트에 사용했다.
표 8 은 이들 실험에 대해 계산된 성능 파라미터를 열거하고 있다. 평균 미립자량 (FPD)은 제형 사이의 mIL-4 농도의 차이로 인해 변했다. 미립자 분획 (FPF)로서 표준화될 때, 제형 2 는 96% 에서 가장 높은 FPF 를 가졌고, 제형 1 및 3 은 각각 85 % 및 83 % 에서 가장 높았다. 평균 MMAD 는 Malvern 에 의해 측정된 D50 값에 가까워졌다(참조 표 7). 이들 결과는, 흡입기 장치를 사용한 1, 2 및 4 가 흡입 전달에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8]
Figure pct00008
실시예 8. 방출된 미립자량의 측정
방출된 질량 및 미립자량 (침착) 결과에 대한 데이타는 표 9에 요약되어 있는데, 상기 데이타는 2개의 상이한 1차 입자 크기(평균 입자 크기 4.8 μm 을 갖는 배치(batch) 1 및 평균 입자 크기 3.3 μm 를 갖는 배치 2)에서 제조된 제형 1 에 대해 상이한 충전 중량을 사용한다. 방출된 질량 및 미립자량 (침착) 결과에 대한 데이타는 표 10에 요약되어 있는데, 상기 데이타는 2개의 상이한 1차 입자 크기(평균 입자 크기 2.9 μm 을 갖는 배치 1 및 평균 입자 크기 4.2 μm 를 갖는 배치 2)에서 제조된 제형 2 에 대해 상이한 충전 중량을 사용한다. 상기 결과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충전 중량은 방출된 질량 및 미립자 분획 모두에 강한 영향을 준다.
[표 9]
Figure pct00009
[표 10]
Figure pct00010
실시예 9. 보관 상태 및 안정성의 연구
4개의 제형을, 유사한 상태에서 분무건조한 후에 그의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평가했다. 모든 제형은 흡인 전달에 만족할만한 기하학적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레이저 회절에 의해 측정된다. 평균 입자 크기 직경 (D50) 값은 2.3 내지 2.8 μm 의 범위이고, 평균 90th 백분위수 직경 (D90) 값은 4.4 내지 4.9 μm 의 범위였다. 모든 제형의 수분 함량은 2 질량% 미만이었다. 그러나, 제형 3 에 대한 수분 흡수 프로파일은 결정화를 나타내는 30-40% RH 에서 뚜렷한 중량을 보여주었다. 그 제형은 추가 테스트로부터 제외되었다.
제형 1, 2 및 4 의 공기역학적 성능은 흡입 전달을 위해 적합한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제형 4 의 화학적 분석은 RP-HPLC 에 의한 미지 피크의 존재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제형 1 및 2 은 5℃ 내지 30℃/65% RH 에서 3개월 안정성 테스트를 위해 고려되었다.
표 11 에 있는 안정성 테스트 결과는 제형 2, 즉 75% 의 mIL-4, 15% 의 수크로스 및 10% 의 시트레이트, pH 5.0 와 유사한 건조 분말의 신규 배치와 관련된다.
[표 11a]
Figure pct00011
[표 11b]
Figure pct00012
[표 11c]
Figure pct00013
실시예 10. 키트 함량 및 패키징
동적 증기 흡착 (DVS)을, 분무건조 물질에 대해 수행되어 수분 흡수를 평가했다. 샘플을, 0.001% 의 dM/dT 값과 함께 0 내지 90% RH 의 SMS DVS 2000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냉동건조 mIL-4 을 또한 참고로 그 특성을 기술했다. IL-4 의 4개의 분무건조 제형의 동적 증기 흡착 (DVS) 연구는 제형 1, 2 및 4 의 수분 흡수 특성이 서로 일치하고 mIL-4 냉동건조 케이크와 일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은 상대 습도의 증가와 함께 수분의 증가를 보여주고, 다른 수분 유도 결과를 보여주지 않는다.
제형 3 은 이 제형에 대해 결정화 및 잠재적 불안정성의 탓으로 돌릴 수 있는 30-40 % RH 에서의 뚜렷한 중량 손실 결가를 보여준다. 표 12 및 13 는 DVS 데이터의 요약을 제공한다.
[표 12]
Figure pct00014
[표 13]
Figure pct00015
이들 제형의 수분 흡수는, 사용된 패키징 배치가 표 14 및 1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불안정성으로 귀결되는 이들 건조 분말의 수분 유입을 최소화해야한다는 것을 필요로 한다.
표 14 및 15 는, 호일 겉포장 내에 포장되고 12주 동안 5℃, 25/60% RH 및 40℃/75% RH 에서 보관된 제형 1 및 2 로부터의 충전 캡슐 및 벌크 분말에 대한 안정성 테이타를 보여준다. 또한, 각 제형에 대해 일련의 캡슐 샘플을 유리 비알에 보관하지만, 8주 동안 25℃ 및 60% 상대습도에 노출했다(커포장 및 건조제 없음). 제형 모두에서, 호일 겉포장 내에 12주에 걸쳐 보관된 벌크 분말 및 캡슐은 호일 겉포장이 수분 유입으로부터 의약품을 보호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는 실질적 수분 증가를 부여주었다. 데이타 shown for RP-HPLC 및 SDS PAGE 에 대해 보여진 데이타는 수분 유도 분해를 특징으로 한다. 8주 동안 비보호된 보관 캡슐 샘플은 큰 수분 증가 및 명백한 분해를 보여주었다. 표 11에 보여진 바와 같이 개선된 패키징으로, 동일한 시간의 틀에 걸쳐 가속된 보관 조건(30℃/65% RH) 하에서 수분 증가 및 단백질 분해의 증거는 없었다.
[표 14]
Figure pct00016
[표 15]
Figure pct00017
실시예 11. 건조 분말 제형에 의한 천식 환자의 치료
IL-4/IL-13 길항제 건조 분말 조성물의 흡입의 국소독성 및 약물동태 (PK)를, 임상 연구로부터 측정했다. 방법: 경증 및 중등증 천식이 있는 10명의 대상체 (FEV1 % 예측 73 내지 105%, 기관지확장제 반응도 = 10%)에, 도 10의 흡입기를 통해 10mg IL-4 뮤테인 건조 분말 조성물을 단회 투여했다. 건조 분말 조성물은 도 1B에 있는 75% 의 mIL-4 의 약물 투여, 15% 의 수크로스, 및 10% 의 시트레이트 (근사비 7:3 의 나트륨 시트레이트 대 시트르산)를 포함했다.
일련의 PK 및 폐 기능 (FEV1) 측정을 투여 후 24시간에 걸쳐 수집했다. 결과: 피크 혈액 농도에 대한 시간은 2.0시간이었다. 혈액 내 반감기(3 내지 4시간)은 제형 및 투여 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총 전신노출 (AUC0-8; 범위 12 - 39 nghr/mL) 및 대상체 사이의 변동성 (AUC0-8 에 대한 기하학적 CV, 48%)은 생체외 분말 및 장치 특성화를 근거로한 예상과 일치한다. 24시간에 걸친 FEV1 에서의 전형적인 변화는 10% 였는데, 이는 약물의 흡입 전달 뒤의 폐기능 변화의 이전 보고와 일치한다 (Wilkinson, J. et al. BMJ 1992; 305:931-932). 건조 분말 조성물은 국소자극의 증거가 없는 천식 대상체에 잘 받아들여졌다. 흡입된 건조 분말 조성물에 대한 평균 (±SD) IL-4 뮤테인 혈장 농도 대 시간 프로파일은 도 14 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조로 기재되어 있지만, 변형 및 변동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된다.
SEQUENCE LISTING <110> AEROVANCE, INC. LALOR, Cecily B. TEPPER, Jeffrey S. FROLAND, Wayne A. <120> PHARMACEUTICAL POLYPEPTIDE DRY POWDER AEROSOL FORMULA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130> AERO1250-1WO <150> US 60/959,267 <151> 2007-07-11 <160> 4 <170> PatentIn version 3.4 <210> 1 <211> 12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His Lys Cys Asp Ile Thr Leu Gln Glu Ile Ile Lys Thr Leu Asn Ser 1 5 10 15 Leu Thr Glu Gln Lys Thr Leu Cys Thr Glu Leu Thr Val Thr Asp Ile 20 25 30 Phe Ala Ala Ser Lys Asn Thr Thr Glu Lys Glu Thr Phe Cys Arg Ala 35 40 45 Ala Thr Val Leu Arg Gln Phe Tyr Ser His His Glu Lys Asp Thr Arg 50 55 60 Cys Leu Gly Ala Thr Ala Gln Gln Phe His Arg His Lys Gln Leu Ile 65 70 75 80 Arg Phe Leu Lys Arg Leu Asp Arg Asn Leu Trp Gly Leu Ala Gly Leu 85 90 95 Asn Ser Cys Pro Val Lys Glu Ala Asn Gln Ser Thr Leu Glu Asn Phe 100 105 110 Leu Glu Arg Leu Lys Thr Ile Met Arg Glu Lys Tyr Ser Lys Cys Ser 115 120 125 Ser <210> 2 <211> 387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2 cacaagtgcg atatcacctt acaggagatc atcaaaactt tgaacagcct cacagagcag 60 aagactctgt gcaccgagtt gaccgtaaca gacatctttg ctgcctccaa gaacacaact 120 gagaaggaaa ccttctgcag ggctgcgact gtgctccggc agttctacag ccaccatgag 180 aaggacactc gctgcctggg tgcgactgca cagcagttcc acaggcacaa gcagctgatc 240 cgattcctga aacggctcga caggaacctc tggggcctgg cgggcttgaa ttcctgtcct 300 gtgaaggaag ccaaccagag tacgttggaa aacttcttgg aaaggctaaa gacgatcatg 360 agagagaaat attcaaagtg ttcgagc 387 <210> 3 <211> 1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3 Met His Lys Cys Asp Ile Thr Leu Gln Glu Ile Ile Lys Thr Leu Asn 1 5 10 15 Ser Leu Thr Glu Gln Lys Thr Leu Cys Thr Glu Leu Thr Val Thr Asp 20 25 30 Ile Phe Ala Ala Ser Lys Asn Thr Thr Glu Lys Glu Thr Phe Cys Arg 35 40 45 Ala Ala Thr Val Leu Arg Gln Phe Tyr Ser His His Glu Lys Asp Thr 50 55 60 Arg Cys Leu Gly Ala Thr Ala Gln Gln Phe His Arg His Lys Gln Leu 65 70 75 80 Ile Arg Phe Leu Lys Arg Leu Asp Arg Asn Leu Trp Gly Leu Ala Gly 85 90 95 Leu Asn Ser Cys Pro Val Lys Glu Ala Asn Gln Ser Thr Leu Glu Asn 100 105 110 Phe Leu Glu Arg Leu Lys Thr Ile Met Asp Glu Lys Asp Ser Lys Cys 115 120 125 Ser Ser 130 <210> 4 <211> 39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4 atgcacaaat gcgatatcac cctgcaggaa atcatcaaaa ccctgaattc tctgaccgaa 60 cagaaaaccc tgtgcaccga actgaccgtt accgacatct tcgctgcttc gaaaaacacc 120 accgaaaaag aaaccttctg ccgtgctgct accgttctgc gtcagttcta ctctcaccac 180 gaaaaagaca cccgttgcct gggtgctacc gctcagcagt tccaccgtca caaacagctg 240 atccgtttcc tgaaacgtct ggaccgtaac ctgtggggtc tggctggtct gaacagctgc 300 ccggttaaag aagctaacca gtctaccctg gaaaacttcc tggaacgtct gaaaaccatc 360 atggacgaaa aagactctaa atgctcttct taataa 396

Claims (179)

  1. 인간 인터류킨 뮤테인 (mhIL-4)를 포함하는 치료제를 포함하는, 환자가 흡입하기에 적합한 분산성 분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유리전이 온도는 조성물이 보관되는 보관온도보다 적어도 50℃ 가 더 높고,
    상기 조성물은 3개월에 걸쳐 상기 보관온도에서 보관된 후에도 본래 특정 활성의 적어도 80 % 를 유지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완충제 및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완충제는 시트레이트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완충제는 아세테이트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완충제는 락테이트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완충제는 타르타레이트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는 탄수화물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는 수크로스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9.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는 만니톨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0.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는 트레할로스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아미노산 또는 폴리(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아미노산은 류신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유리전이 온도는 보관온도보다 적어도 75℃ 더 높은 분산성 분말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유리전이 온도는 보관온도보다 적어도 100℃ 더 높은 분산성 분말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총 보관기간의 만료 후에 본래 특정 활성의 적어도 95 % 를 유지하고, 상기 총 보관기간은 적어도 2년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본래 특정 활성의 적어도 98 % 를 유지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치료적 활성 물질의 질량 농도는 약 10 % 내지 약 98 %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치료적 활성 물질의 질량 농도는 약 10 % 내지 약 75 %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치료적 활성 물질의 질량 농도는 약 10 % 내지 약 60 %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수분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 함량은 약 1 % 내지 약 10 %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 중 수분 함량은 약 1 % 내지 약 5 %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 중 수분 함량은 약 1 % 내지 약 3 %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총 보관기간의 만료 후에 약 3 % 이하의 응집도를 가지며, 상기 총 보관기간은 적어도 2년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24. 제23항에 있어서, 응집도는 약 1 % 이하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응집도는 약 0 %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보관온도는 실온 또는 그 미만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보관온도는 실온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28.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보관온도는 약 2℃ 내지 8℃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29.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보관온도는 보관기간의 제1 부분 동안 약 2℃ 내지 8℃ 이고, 보관기간의 제2 부분 동안 실온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보관기간의 만료후 약물성분에 대한 치료적 활성 물질의 산화도는 약 5 % 이하이고, 상기 총 보관기간은 적어도 2년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31. 제30항에 있어서, 산화도는 약 3 % 이하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산화도는 약 2 %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분말은 약 10 μm 미만의 직경의 평균값을 갖는 입자에 의해 형성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직경의 평균 값은 약 2 μm 내지 약 6 μm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직경의 평균 값은 약 2 μm 내지 약 4 μm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36.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입자 크기에서의 기하학적 표준편차는 1 내지 3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기하학적 표준편차는 약 1.5 내지 2.5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38.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환자에 의해 흡입될 때의 조성물의 방출된 양은 약 70 질량% 이상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방출된 양은 약 80 질량% 이상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40.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방출된 양은 약 90 질량% 이상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41.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환자에 의해 흡입될 때, 약 5 μm 이하의 직경의 값을 갖는 입자의 침착 분율은 약 25 내지 약 60 질량%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42.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침착 분율은 약 40 내지 약 60 질량%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43.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침착 분율(deposited fraction)은 약 50 내지 약 60 질량%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44.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pH 값은 약 3 내지 6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45. 제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pH 값은 약 4 내지 5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46. 제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분산성 분말 조성물, 환자가 흡입하기 위한 흡입 수단, 및 주 캡슐과 부차적인 보관 용기를 포함하는 조성물 보관용 보관 수단을 포함하고, 보관 수단에 부착된 라벨을 추가로 포함하며, 환자에게 사용 설명서를 제공하며, 단, 주 캡슐은 흡입 수단에 맞도록 개조되는 키트.
  47. 제46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캡슐 형태이고, 각 캡슐은 약 5 내지 25 mg 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키트.
  48.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각 캡슐은 약 5 내지 약 20 mg 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키트.
  49. 제46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각 캡슐은 약 10 내지 약 20 mg 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키트.
  50. 치료적 활성 물질의 수용액에 대하여 냉동건조, 분무건조, 및 냉동분무건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밀링(milling)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2. 제50항 또는 제51항에 있어서, 공정은 분무건조인 방법.
  53. 제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치료적 활성 물질은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활성 물질의 명목 용량은 약 0.3 내지 30 mg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54. 제1항 내지 제45항 및 제5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명목 용량은 약 0.3 내지 5 mg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55. 제1항 내지 제45항, 제53항 및 제5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명목 용량은 약 0.5 내지 3 mg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56. 제1항 내지 제46항 및 제53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IL-4 뮤테인은 변형을 갖는 야생형 hIL-4 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제1 변형은 위치 121, 124 또는 125 에서 야생형 hIL-4 단백질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다른 천연 아미노산으로 대체하는 것이고, 상기 뮤테인은 N-말단 메티오닌을 임의로 추가 포함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57. 제56항에 있어서, IL-4 뮤테인은 하기:
    (i) 상기 뮤테인 내의 C 말단의 변형;
    (ⅱ) 상기 뮤테인 내의 잠재적 글리코실화 부위의 결손;
    (ⅲ) 상기 단백질의 비-단백질 폴리머와의 커플링;
    (ⅳ) 위치 13, 16, 81 및 89 에서의 치환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 및
    그의 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2 변형을 추가로 포함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58. 제56항 또는 제57항에 있어서, 제1 변형은 야생형 hIL-4 에 준하여 번호를 매긴 치환 R121D 및 Y124D 를 포함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59. 제56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1 변형은 야생형 hIL-4 및 N-말단 메티오닌에 준하여 번호를 매긴 치환 R121D 및 Y124D 를 포함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60. 2개의 변형을 갖는 야생형 hIL-4 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변종 인간 인터류킨-4 (mIL-4) 단백질을 포함하는 치료제를 포함하되,
    제1 변형은 위치 121, 124 또는 125 에서 야생형 hIL-4 단백질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다른 천연 아미노산으로 대체하는 것이고, 제2 변형은 하기:
    (i) 상기 뮤테인 내의 C 말단의 변형;
    (ⅱ) 상기 뮤테인 내의 잠재적 글리코실화 부위의 결손; 및/또는
    (ⅲ) 상기 단백질의 비-단백질 폴리머와의 커플링,
    (ⅳ) 위치 13, 16, 81 및 89 에서의 치환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 및
    그의 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이고,
    mIL-4 단백질은 야생형 hIL-4 의 길항제이고 N-말단 메티오닌을 임의로 추가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의 유리전이 온도는 조성물이 보관되는 보관온도보다 적어도 50℃ 더 높고,
    상기 조성물은 3개월에 걸쳐 상기 보관온도에서 보관된 후에도 본래 특정 활성의 적어도 80 % 를 유지하는, 환자가 흡입하기에 적합한 분산성 분말 조성물.
  61. 인간 인터류킨 뮤테인 (mhIL-4)를 포함하는 치료제, 완충제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환자가 흡입하기에 적합한 분산성 분말 조성물.
  62. 제61항에 있어서, 완충제는 시트레이트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63. 제61항에 있어서, 완충제는 아세테이트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64. 제61항에 있어서, 완충제는 락테이트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65. 제61항에 있어서, 완충제는 타르타레이트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66. 제61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는 탄수화물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67. 제61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는 수크로스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68. 제61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는 만니톨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69. 제61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는 트레할로스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70. 제61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아미노산 또는 폴리(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71. 제70항에 있어서, 아미노산은 류신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72. 제61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유리전이 온도는 보관온도보다 적어도 75℃ 더 높은 분산성 분말 조성물.
  73. 제61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유리전이 온도는 보관온도보다 적어도 100℃ 더 높은 분산성 분말 조성물.
  74. 제61항 내지 제7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총 보관기간의 만료 후에 본래 특정 활성의 적어도 95 % 를 유지하고, 상기 총 보관기간은 적어도 2년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75. 제74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본래 특정 활성의 적어도 98 % 를 유지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76. 제61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치료적 활성 물질의 질량 농도는 약 10 % 내지 약 98 %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77. 제61항 내지 제7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치료적 활성 물질의 질량 농도는 약 10 % 내지 약 75 %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78. 제61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치료적 활성 물질의 질량 농도는 약 10 % 내지 약 60 %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79. 제61항 내지 제7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수분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 함량은 약 1 % 내지 약 10 %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80. 제61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 중 수분 함량은 약 1 % 내지 약 5 %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81. 제61항 내지 제8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 중 수분 함량은 약 1 % 내지 약 3 %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82. 제61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총 보관기간의 만료 후에 약 3 % 이하의 응집도를 가지며, 상기 총 보관기간은 적어도 2년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83. 제82항에 있어서, 응집도는 약 1 % 이하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84. 제82항 또는 제83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응집도는 약 0 %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85. 제61항 내지 제8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보관온도는 실온 또는 그 미만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86. 제61항 내지 제8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보관온도는 실온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87. 제61항 내지 제8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보관온도는 약 2℃ 내지 8℃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88. 제61항 내지 제8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보관온도는 보관기간의 제1 부분 동안 약 2℃ 내지 8℃ 이고, 보관기간의 제2 부분 동안 실온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89. 제61항 내지 제8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보관기간의 만료후 약물성분에 대한 치료적 활성 물질의 산화도는 약 5 % 이하이고, 상기 총 보관기간은 적어도 2년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90. 제89항에 있어서, 산화도는 약 3 % 이하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91. 제89항 또는 제90항에 있어서, 산화도는 약 2 %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92. 제61항 내지 제9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분말은 약 10 μm 미만의 직경의 평균값을 갖는 입자에 의해 형성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93. 제61항 내지 제9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직경의 평균 값은 약 2 μm 내지 약 6 μm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94. 제61항 내지 제9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직경의 평균 값은 약 2 μm 내지 약 4 μm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95. 제61항 내지 제9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입자 크기에서의 기하학적 표준편차는 1 내지 3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96. 제61항 내지 제9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기하학적 표준편차는 약 1.5 내지 2.5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97. 제61항 내지 제9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환자에 의해 흡입될 때의 조성물의 방출된 양은 약 70 질량% 이상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98. 제61항 내지 제9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방출된 양은 약 80 질량% 이상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99. 제61항 내지 제9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방출된 양은 약 90 질량% 이상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00. 제61항 내지 제9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환자에 의해 흡입될 때, 약 5 μm 이하의 직경의 값을 갖는 입자의 침착 분율은 약 25 내지 약 60 질량%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01. 제61항 내지 제10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침착 분율은 약 40 내지 약 60 질량%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02. 제61항 내지 제10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침착 분율은 약 50 내지 약 60 질량%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03. 제61항 내지 제10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pH 값은 약 3 내지 6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04. 제61항 내지 제10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pH 값은 약 4 내지 5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05. 제61항 내지 제10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분산성 분말 조성물, 환자가 흡입하기 위한 흡입 수단, 및 주요 용기와 부차적인 보관 용기를 포함하는 조성물 보관용 보관 수단을 포함하고, 환자의 사용 설명서 및 보관 수단에 부착된 라벨을 추가로 포함하며, 단, 주 캡슐은 흡입 수단에 맞도록 개조되는 키트.
  106. 제105항에 있어서, 주요 용기는 흡입 수단에 의해 부서질 수 있고, 각 주요 용기는 약 5 내지 25 mg 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키트.
  107. 제105항 또는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용기는 약 5 내지 약 20 mg 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캡슐인 키트.
  108. 제105항 내지 제10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각 주요 용기는 약 10 내지 약 20 mg 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키트.
  109. 치료적 활성 물질의 수용액에 대하여 냉동건조, 분무건조, 및 냉동분무건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61항 내지 제10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0. 제109항에 있어서, 밀링(milling)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11. 제109항 또는 제110항에 있어서, 공정은 분무건조인 방법.
  112. 제61항 내지 제10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치료적 활성 물질은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활성 물질의 명목 용량은 약 0.3 내지 30 mg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13. 제61항 내지 제104항 및 제1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명목 용량은 약 0.3 내지 5 mg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14. 제61항 내지 제104항, 제112항 및 제1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명목 용량은 약 0.5 내지 3 mg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15. 제61항 내지 제104항, 및 제112항 내지 제1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IL-4 뮤테인은 변형을 갖는 야생형 hIL-4 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제1 변형은 위치 121, 124 또는 125 에서 야생형 hIL-4 단백질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다른 천연 아미노산으로 대체하는 것이고, 상기 뮤테인은 N-말단 메티오닌을 임의로 추가 포함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116. 제115항에 있어서, IL-4 뮤테인은 하기:
    (i) 상기 뮤테인 내의 C 말단의 변형;
    (ⅱ) 상기 뮤테인 내의 잠재적 글리코실화 부위의 결손;
    (ⅲ) 상기 단백질의 비-단백질 폴리머와의 커플링;
    (ⅳ) 위치 13, 16, 81 및 89 에서의 치환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 및
    그의 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2 변형을 추가로 포함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117. 제115항 또는 제116항에 있어서, 제1 변형은 야생형 hIL-4 에 준하여 번호를 매긴 치환 R121D 및 Y124D 를 포함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118. 제115항 내지 제1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1 변형은 야생형 hIL-4 및 N-말단 메티오닌에 준하여 번호를 매긴 치환 R121D 및 Y124D 를 포함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119. 변종 인간 인터류킨-4 (mIL-4) 단백질을 포함하는 치료제, 완충제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되,
    상기 변종 인간 인터류킨-4 (mIL-4) 단백질은 2개의 변형을 갖는 야생형 hIL-4 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제1 변형은 위치 121, 124 또는 125 에서 야생형 hIL-4 단백질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다른 천연 아미노산으로 대체하는 것이고, 제2 변형은 하기:
    (i) 상기 뮤테인 내의 C 말단의 변형;
    (ⅱ) 상기 뮤테인 내의 잠재적 글리코실화 부위의 결손; 및/또는
    (ⅲ) 상기 단백질의 비-단백질 폴리머와의 커플링,
    (ⅳ) 위치 13, 16, 81 및 89 에서의 치환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 및
    그의 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이고,
    mIL-4 단백질은 야생형 hIL-4 의 길항제이고 N-말단 메티오닌을 임의로 추가 포함하는, 환자가 흡입하기에 적합한 분산성 분말 조성물.
  120. 환자가 흡입하기에 적합한 분산성 분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간 인터류킨 뮤테인 (mhIL-4)를 포함하는 치료제를 포함하고, 환자에 의해 흡입될 때의 상기 조성물의 방출된 양은 약 70 질량% 이상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21. 제120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방출된 양은 약 80 질량% 이상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22. 제120항 또는 제121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방출된 양은 약 90 질량% 이상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23. 제120항 내지 제1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환자에 의해 흡입될 때, 약 5 μm 이하의 직경의 값을 갖는 입자의 침착 분율은 약 25 내지 약 60 질량%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24. 제120항 내지 제12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침착 분율은 약 40 내지 약 60 질량%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25. 제120항 내지 제12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침착 분율은 약 50 내지 약 60 질량%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26. 제119항 내지 제12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분산성 분말 조성물, 환자가 흡입하기 위한 흡입 수단, 및 주요 용기과 부차적인 보관 용기를 포함하는 조성물 보관용 보관 수단을 포함하고, 보관 수단에 부착된 라벨을 추가로 포함하며, 환자에게 사용 설명서를 제공하며, 단, 주 캡슐은 흡입 수단에 맞도록 개조되는 키트.
  127. 제126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캡슐 형태이고, 각 캡슐은 약 5 내지 25 mg 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키트.
  128. 제126항 또는 제127항에 있어서, 각 캡슐은 약 5 내지 약 20 mg 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키트.
  129. 제126항 내지 제12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각 캡슐은 약 10 내지 약 20 mg 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키트.
  130. 치료적 활성 물질의 수용액에 대하여 냉동건조, 분무건조, 및 냉동분무건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20항 내지 제12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1. 제130항에 있어서, 밀링(milling)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2. 제130항 또는 제131항에 있어서, 공정은 분무건조인 방법.
  133. 제120항 내지 제12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치료적 활성 물질은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활성 물질의 명목 용량은 약 0.3 내지 30 mg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34. 제120항 내지 제125항 및 제13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명목 용량은 약 0.3 내지 5 mg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35. 제120항 내지 제125항, 제133항 및 제13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명목 용량은 약 0.5 내지 3 mg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36. 제120항 내지 제125항 및 제133항 내지 제13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IL-4 뮤테인은 변형을 갖는 야생형 hIL-4 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제1 변형은 위치 121, 124 또는 125 에서 야생형 hIL-4 단백질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다른 천연 아미노산으로 대체하는 것이고, 상기 뮤테인은 N-말단 메티오닌을 임의로 추가 포함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137. 제136항에 있어서, IL-4 뮤테인은 하기:
    (i) 상기 뮤테인 내의 C 말단의 변형;
    (ⅱ) 상기 뮤테인 내의 잠재적 글리코실화 부위의 결손;
    (ⅲ) 상기 단백질의 비-단백질 폴리머와의 커플링;
    (ⅳ) 위치 13, 16, 81 및 89 에서의 치환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 및
    그의 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2 변형을 추가로 포함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138. 제136항 또는 제137항에 있어서, 제1 변형은 야생형 hIL-4 에 준하여 번호를 매긴 치환 R121D 및 Y124D 를 포함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139. 제136항 내지 제13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1 변형은 야생형 hIL-4 및 N-말단 메티오닌에 준하여 번호를 매긴 치환 R121D 및 Y124D 를 포함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140. 2개의 변형을 갖는 야생형 hIL-4 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변종 인간 인터류킨-4 (mIL-4) 단백질을 포함하는 치료제를 포함하되,
    제1 변형은 위치 121, 124 또는 125 에서 야생형 hIL-4 단백질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다른 천연 아미노산으로 대체하는 것이고, 제2 변형은 하기:
    (i) 상기 뮤테인 내의 C 말단의 변형;
    (ⅱ) 상기 뮤테인 내의 잠재적 글리코실화 부위의 결손; 및/또는
    (ⅲ) 상기 단백질의 비-단백질 폴리머와의 커플링,
    (ⅳ) 위치 13, 16, 81 및 89 에서의 치환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 및
    그의 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이고,
    mIL-4 단백질은 야생형 hIL-4 의 길항제이고 N-말단 메티오닌을 임의로 추가 포함하고,
    환자에 의해 흡입될 때의 조성물의 방출된 양은 약 70 질량% 이상인, 환자가 흡입하기에 적합한 분산성 분말 조성물.
  141. 인간 인터류킨 뮤테인 (mhIL-4)를 포함하는 치료제를 포함하는, 환자가 흡입하기에 적합한 분산성 분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환자에 의해 흡입될 때, 약 5 μm 이하의 직경의 값을 갖는 입자의 침착 분율은 약 25 내지 약 60 질량%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42. 제141항에 있어서, 침착 분율은 약 40 내지 약 60 질량%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43. 제141항 또는 제142항에 있어서, 침착 분율은 약 50 내지 약 60 질량%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44. 제141항 내지 제14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분산성 분말 조성물, 환자가 흡입하기 위한 흡입 수단, 및 주 캡슐과 부차적인 보관 용기를 포함하는 조성물 보관용 보관 수단을 포함하고, 보관 수단에 부착된 라벨을 추가로 포함하며, 환자에게 사용 설명서를 제공하며, 단, 주 캡슐은 흡입 수단에 맞도록 개조되는 키트.
  145. 제144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캡슐 형태이고, 각 캡슐은 약 5 내지 25 mg 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키트.
  146. 제144항 또는 제145항에 있어서, 각 캡슐은 약 5 내지 약 20 mg 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키트.
  147. 제143항 내지 제14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각 캡슐은 약 10 내지 약 20 mg 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키트.
  148. .
  149. 치료적 활성 물질의 수용액에 대하여 냉동건조, 분무건조, 및 냉동분무건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41항 내지 제14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50. 제149항에 있어서, 밀링(milling)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1. 제149항 또는 제150항에 있어서, 공정은 분무건조인 방법.
  152. 제141항 내지 제14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치료적 활성 물질은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활성 물질의 명목 용량은 약 0.3 내지 30 mg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53. 제141항 내지 제143항 및 제15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명목 용량은 약 0.3 내지 5 mg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54. 제141항 내지 제143항, 제152항 및 제15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명목 용량은 약 0.5 내지 3 mg 인 분산성 분말 조성물.
  155. 제141항 내지 제143항 및 제152항 내지 제15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IL-4 뮤테인은 변형을 갖는 야생형 hIL-4 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제1 변형은 위치 121, 124 또는 125 에서 야생형 hIL-4 단백질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다른 천연 아미노산으로 대체하는 것이고, 상기 뮤테인은 N-말단 메티오닌을 임의로 추가 포함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156. 제155항에 있어서, IL-4 뮤테인은 하기:
    (i) 상기 뮤테인 내의 C 말단의 변형;
    (ⅱ) 상기 뮤테인 내의 잠재적 글리코실화 부위의 결손;
    (ⅲ) 상기 단백질의 비-단백질 폴리머와의 커플링;
    (ⅳ) 위치 13, 16, 81 및 89 에서의 치환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 및
    그의 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2 변형을 추가로 포함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157. 제155항 또는 제156항에 있어서, 제1 변형은 야생형 hIL-4 에 준하여 번호를 매긴 치환 R121D 및 Y124D 를 포함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158. 제155항 내지 제15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1 변형은 야생형 hIL-4 및 N-말단 메티오닌에 준하여 번호를 매긴 치환 R121D 및 Y124D 를 포함하는 분산성 분말 조성물.
  159. 2개의 변형을 갖는 야생형 hIL-4 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변종 인간 인터류킨-4 (mIL-4) 단백질을 포함하는 치료제를 포함하되,
    제1 변형은 위치 121, 124 또는 125 에서 야생형 hIL-4 단백질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다른 천연 아미노산으로 대체하는 것이고, 제2 변형은 하기:
    (i) 상기 뮤테인 내의 C 말단의 변형;
    (ⅱ) 상기 뮤테인 내의 잠재적 글리코실화 부위의 결손; 및/또는
    (ⅲ) 상기 단백질의 비-단백질 폴리머와의 커플링,
    (ⅳ) 위치 13, 16, 81 및 89 에서의 치환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 및
    그의 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이고,
    mIL-4 단백질은 야생형 hIL-4 의 길항제이고 N-말단 메티오닌을 임의로 추가 포함하고,
    조성물이 환자에 의해 흡입될 때, 약 5 μm 이하의 직경의 값을 갖는 입자의 침착 분율은 약 25 내지 약 60 질량% 인, 환자가 흡입하기에 적합한 분산성 분말 조성물.
  160. 제1항 내지 제45항, 제53항 내지 제104항, 제112항 내지 제125항, 제133항 내지 제143항, 및 제152 내지 제15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조성물을 치료적 유효량으로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 투여함을 포함하는 질환의 치료 방법.
  161. 제160항에 있어서, 질환은 천식인 치료 방법.
  162. 제160항 또는 제161항에 있어서, 투여는 흡입에 의한 것인 치료 방법.
  163. 제46항 내지 제49항, 제105항 내지 제108항, 제126항 내지 제129항, 및 제144항 내지 제14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키트에 함유된 조성물을 치료적 유효량으로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 투여함을 포함하는 질환의 치료 방법.
  164. 제1항 내지 제45항, 제53항 내지 제104항, 제112항 내지 제125항, 제133항 내지 제143항, 및 제152항 내지 제15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분산성 분말 조성물을 함유하는 캡슐을 보유하기 위한 오목부를 마련하고 있는 흡입기 본체, 및 상기 캡슐과 소통하는 노즈피스를 포함하는 흡입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 장치는 외부 공기 흐름이 상기 노즈피스를 통해 흡입용 분산성 분말 조성물과 혼합될 수 있도록 흡입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캡슐을 관통시키기 위해 개조된 관통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환자에 의해 흡입될 때 상기 조성물의 방출된 양은 약 70 질량% 이상인 흡입기 장치.
  165. 제164항에 있어서, 관통 수단은 탄력성 엘리먼트의 바이어싱(biasing)에 대해 수평으로 미끄러지고 상기 흡입기 본체와 고정된 교대(橋臺) 엘리먼트 사이에서 작동하는 위한 관통 니들, 및 대응하는 작동 푸시버튼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윤곽선을 갖는 각 관통 니들은 캡슐의 코팅물의 관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베벨팁(beveled tip)을 포함하는 흡입기 장치.
  166. 제164항에 있어서, 노즈피스는 2개의 작동 상태를 제공하기 위해 흡입기 본체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2개의 작동 상태는 캡슐을 위한 오목부가 새로운 캡슐을 물리게하거나 사용된 캡슐을 꺼내기 쉽도록 하는 개방 상태, 및 상기 흡입기 노즈피스가 용수철식으로 잠기져 있는 폐쇄 사용 상태를 포함하는 흡입기 장치.
  167. 제166항에 있어서, 흡입기 노즈피스는 노즈피스의 플랜지의 후크부를 포함하는 하는 용수철식 잠금 수단에 의해 폐쇄 위치에서 잠겨지고, 상기 후크부는 흡입기 본체에 형성된 래칭(latching) 시트 내에 형성된 대응하는 릿지(ridge)를 갖는 흡입기 장치.
  168. 제167항에 있어서, 흡입기 노즈피스의 플랜지는 흡입기 본체에 형성된 구멍에 물리게 할 수 있는 페그를 포함하는 흡입기 장치.
  169. 제168항에 있어서, 구멍은 상기 페그의 횡단 투스가 슬롯을 통과할 수 있도록 개조된 종방향 슬롯을 마련하고 있고, 투스가 안으로 미끄러지도록 개조된 환상 바닥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페그가 상기 구멍에 물리도록 하는 흡입기 장치.
  170. 제169항에 있어서, 핀은 구멍에서 회전가능하고, 노즈피스는 흡입기 본체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흡입기 장치.
  171. 제164항에 있어서, 흡입기 본체의 캡슐을 위한 오목부는 플랜지에 있는 흡입기 노즈피스에 제공된 관통 플레이트 또는 그리드를 통해 외부와 소통하고, 노즈피스의 배관으로부터 캡슐 오목부를 분리하기 위해 개조되며, 상기 캡슐 오목부는 캡슐 오목부는 하나 이상의 공기 입구 구멍을 통해 외부와 소통하는 바닥을 가지고 있는 흡입기 장치.
  172. 유효량의 mIL-4, 안정화제, 및 완충제를 포함하는 건조 분말 약제학적 조성물.
  173. 제172항에 있어서, 약 5% 내지 약 50% 의 mIL-4, 약 10% 내지 약 85% 의 안정화제, 및 약 10% 내지 약 85% 의 완충제를 포함하는 건조 분말 약제학적 조성물.
  174. 제172항 또는 제173항에 있어서, 완충제 대 안정화제의 비는 약 1:8.5 내지 약 8.5:1 인 건조 분말 약제학적 조성물.
  175. 제172항 또는 제173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는 마그네슘 이온의 공급원을 추가로 포함하는 건조 분말 약제학적 조성물.
  176. 제175항에 있어서, 마그네슘 이온의 공급원은 마그네슘 설페이트,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및 마그네슘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건조 분말 약제학적 조성물.
  177. 제172항 내지 제17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mIL-4 는 2개의 변형을 갖는 야생형 hIL-4 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제1 변형은 위치 121, 124 또는 125 에서 야생형 hIL-4 단백질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다른 천연 아미노산으로 대체하는 것이고, 제2 변형은 하기:
    (i) 상기 뮤테인 내의 C 말단의 변형;
    (ⅱ) 상기 뮤테인 내의 잠재적 글리코실화 부위의 결손; 및/또는
    (ⅲ) 상기 단백질의 비-단백질 폴리머와의 커플링,
    (ⅳ) 위치 13, 16, 81 및 89 에서의 치환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 및
    그의 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이고,
    mIL-4 단백질은 야생형 hIL-4 의 길항제이고 N-말단 메티오닌을 임의로 추가 포함하는 건조 분말 약제학적 조성물.
  178. 제172항 내지 제17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mIL-4 은 도 1B 의 서열에 따른 mIL-4 인 건조 분말 약제학적 조성물.
  179. 제172항 내지 제17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약 5 mg 내지 약 25 mg 로 포함하는 캡슐 또는 블리스터를 포함하는 키트.
KR1020107003128A 2007-07-11 2008-07-11 약제학적 폴리펩타이드 건조 분말 에어로졸 제형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478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5926707P 2007-07-11 2007-07-11
US60/959,267 2007-07-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866A true KR20100047866A (ko) 2010-05-10

Family

ID=40229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128A KR20100047866A (ko) 2007-07-11 2008-07-11 약제학적 폴리펩타이드 건조 분말 에어로졸 제형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4) US20110262384A1 (ko)
EP (1) EP2178547A4 (ko)
JP (1) JP2010533204A (ko)
KR (1) KR20100047866A (ko)
CN (1) CN101784280A (ko)
AU (1) AU2008274938A1 (ko)
CA (1) CA2693785A1 (ko)
EA (1) EA201070129A1 (ko)
WO (1) WO20090097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30934B8 (en) 2007-12-14 2012-10-24 AeroDesigns, Inc Delivering aerosolizable food products
RS58839B1 (sr) 2010-06-08 2019-07-31 Pieris Pharmaceuticals Gmbh Muteini lipokalina u suzama koji vezuju il-4 r alfa
AR084342A1 (es) 2010-12-16 2013-05-08 Genentech Inc Diagnostico y tratamientos relacionados con la inhibicion de th2
CN102553040B (zh) * 2010-12-17 2014-07-02 陈庆堂 滤出药粉吸入器
HUE042720T2 (hu) 2011-12-13 2019-07-29 Pieris Pharmaceuticals Gmbh Eljárás bizonyos rendellenességek megelõzésére vagy kezelésére IL-4 és/vagy IL-13 saját receptorához történõ kötõdésének gátlása révén
US9481777B2 (en) 2012-03-30 2016-11-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dewatering in a continuous high internal phase emulsion foam forming process
BR112016008694A2 (pt) 2013-10-23 2017-10-03 Genentech Inc Métodos de previsão da reação de pacientes com asma, de previsão da capacidade de reação de pacientes com asma, de identificação de pacientes com asma, de tratamento de pacientes portadores de asma e de tratamento de asma, uso de um kit e kit
CA2937556A1 (en) 2014-02-21 2015-08-27 Genentech, Inc. Anti-il-13/il-17 bispecific antibodies and uses thereof
NO2709641T3 (ko) * 2014-03-10 2018-05-12
CN107430117A (zh) 2015-03-16 2017-12-01 豪夫迈·罗氏有限公司 检测和定量IL‑13的方法和在诊断和治疗Th2相关疾病中的用途
EP3481471B1 (en) * 2016-07-07 2020-08-26 Philip Morris Products S.a.s. Nicotine inhaler system
AU2019218128A1 (en) 2018-02-09 2020-09-17 Genentech, Inc. Therapeutic and diagnostic methods for mast cell-mediated inflammatory diseases
EP3553078A1 (en) 2018-04-11 2019-10-16 Julius-Maximilians-Universität Würzburg Glyco-engineered interleukin-4 based antagonists
WO2020092015A1 (en) 2018-11-02 2020-05-07 University Of Rochester Therapeutic mitigation of epithelial infection
WO2024043900A1 (en) * 2022-08-26 2024-02-29 Cummins Filtration Inc. Filtration system with additiv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9338A (en) * 1994-05-12 1997-10-21 Osteoarthritis Science, Inc. Use of IL-4 for inhibition of the breakdown of articular cartilage and other tissues
DE4423131A1 (de) * 1994-07-01 1996-01-04 Bayer Ag Neue hIL-4-Mutantenproteine als Antagonisten oder partielle Agonisten des humanen Interleukin 4
US6028176A (en) * 1996-07-19 2000-02-22 Bayer Corporation High-affinity interleukin-4 muteins
EP1351704B1 (en) * 2000-12-21 2007-03-07 Nektar Therapeutics Storage stable powder compositions of interleukin-4 receptor
ITMI20010357U1 (it) * 2001-06-28 2002-12-30 Plastiape Spa Dispositivo inalatore
WO2003030974A1 (en) * 2001-10-08 2003-04-17 Eli Lilly And Company Portable medication inhalation kit
JP2007500243A (ja) * 2003-06-09 2007-01-11 ナステック・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成長ホルモンの増進された経粘膜送達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US7404957B2 (en) * 2003-08-29 2008-07-29 Aerovance, Inc. Modified IL-4 mutein receptor antagonists
EP1713441A2 (en) * 2004-02-12 2006-10-25 Nektar Therapeutics Interleukin-13 antagonist powders, spray-dried particles, and methods
US7635754B2 (en) * 2004-09-22 2009-12-22 Aerovance, Inc. Interleukin-9 and interleukin-4 chimeric antagonist muteins and methods of using same
WO2007082068A2 (en) * 2006-01-11 2007-07-19 Aerovance,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asthma in human and non human prim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74938A1 (en) 2009-01-15
US20110284412A1 (en) 2011-11-24
EA201070129A1 (ru) 2010-10-29
WO2009009775A1 (en) 2009-01-15
EP2178547A1 (en) 2010-04-28
CA2693785A1 (en) 2009-01-15
JP2010533204A (ja) 2010-10-21
CN101784280A (zh) 2010-07-21
US20110287256A1 (en) 2011-11-24
EP2178547A4 (en) 2011-02-16
US20110262384A1 (en) 2011-10-27
US20110005523A1 (en)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7866A (ko) 약제학적 폴리펩타이드 건조 분말 에어로졸 제형 및 이의 제조 방법
US7192919B2 (en) Sustained release compositions for delivery of pharmaceutical proteins
JP3874789B2 (ja) 吸入用治療製剤
JP2004521103A (ja) インターロイキン4レセプターの貯蔵安定性粉末組成物
JP2003519664A (ja) Glp−1誘導体の経上皮送達
JP6397984B2 (ja) 乾燥粉末ペプチド医薬
WO2000061178A1 (en) Pulmonary administration of dry powder formulations for treating infertility
US7112341B1 (en) Pulmonary administration of dry powder formulations for treating infertility
KR20020097033A (ko) 당뇨병 환자에게서 공복시 당 및 체중 증가를 감소시키는방법
RU2175556C2 (ru) Способы и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легочной доставки инсулина
US20230181461A1 (en) Inhalable lactose containing composition
US9795653B2 (en) Use of inhalable powder formulation comprising growth hormone for preventing or treating NMDA receptor hypofunction-related diseases
US2008020634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the Bioavailability of Pulmonarily Administered Insulin
TW202241490A (zh) 用於治療氣喘之脂質運載蛋白突變蛋白乾粉配製物
US20040112376A1 (en) Method of inducing euglycemia in diabetic patients
CN101474399A (zh) 一种胰岛素肺吸入粉雾剂及其制备方法
Babenko Engineering spray freeze dried particles for pulmonary delivery of proteins
EP3203984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budesonide and formoterol.
Vanbever Optimization of dry powder aerosols for systemic drug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