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7824A - 화상 표시 장치, 촬상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촬상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7824A
KR20100047824A KR1020097018430A KR20097018430A KR20100047824A KR 20100047824 A KR20100047824 A KR 20100047824A KR 1020097018430 A KR1020097018430 A KR 1020097018430A KR 20097018430 A KR20097018430 A KR 20097018430A KR 20100047824 A KR20100047824 A KR 20100047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area
sub display
change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8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카즈 나루토
히사시 쯔가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47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촬상 장치(화상 표시 장치)(1)는, 주 표시 영역 MR과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을 갖는 배면 모니터(12)(표시 수단)를 포함한다. 또한, 촬상 장치(1)의 표시 제어 수단은, 배면 모니터(12)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을 제어하여,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에 복수의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 중의 하나의 부 표시 영역(예를 들면 SR2)에 표시되는 화상 P2를 주 표시 영역 MR에도 표시한다. 또한, 이 화상 P2에 대하여 소정의 변경(회전 등)이 실시되면, 소정의 변경이 실시된 상태의 화상 P2가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 중의 하나의 부 표시 영역 SR2와 주 표시 영역 MR의 양쪽에 표시된다.
화상 표시 장치, 표시 수단, 표시 제어 수단, 변경 수단, 삭제 대상 화상, 마크, 프로그램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 촬상 장치 및 프로그램{IMAGE DISPLAY DEVICE, IMAGING DEVICE, AND PROGRAM}
본 발명은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 및 그것에 관련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화상 표시 장치 중에는, 주 화면과 부 화면을 갖는 표시부에 복수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있어서는, 복수의 부 화면에 복수의 화상이 표시되어 있고, 해당 복수의 화상 중에서 선택된 화상이, 임의의 부 화면으로부터 주 화면으로 서서히 이동하도록 표시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81427호 공보
상기의 기술은, 임의의 화상을 하나의 부 화면(부 표시 영역이라고도 칭함)으로부터 주 화면(주 표시 영역이라고도 칭함)으로 이동시킬 때의 표시 기술에 관한 것이며, 그 이외의 용도에 관한 것은 아니다. 주 화면과 부 화면의 이용 방법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주 표시 영역과 복수의 부 표시 영역을 이용하여, 보다 유용한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 및 그것에 관련된 기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화상 표시 장치이며, 주 표시 영역과 복수의 부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수단과, 표시 수단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을 제어하여, 복수의 부 표시 영역에 복수의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복수의 부 표시 영역 중의 하나의 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1 화상을 주 표시 영역에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제1 화상에 대하여 소정의 변경을 실시하는 변경 수단을 포함하고, 표시 제어 수단은, 소정의 변경이 실시된 상태의 제1 화상을 하나의 부 표시 영역과 주 표시 영역의 양쪽에 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촬상 장치이며, 주 표시 영역과 복수의 부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수단과, 표시 수단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을 제어하여, 복수의 부 표시 영역에 복수의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복수의 부 표시 영역 중의 하나의 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1 화상을 주 표시 영역에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제1 화상에 대하여 소정의 변경을 실시하는 변경 수단을 포함하고, 표시 제어 수단은, 소정의 변경이 실시된 상태의 제1 화상을 하나의 부 표시 영역과 주 표시 영역의 양쪽에 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컴퓨터에, a) 주 표시 영역과 복수의 부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수단에 있어서, 복수의 부 표시 영역에 복수의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복수의 부 표시 영역 중의 하나의 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1 화상을 주 표시 영역에도 표시하는 단계와, b) 제1 화상에 대하여 소정의 변경을 실시하는 단계와, c) 소정의 변경이 실시된 상태의 제1 화상을 하나의 부 표시 영역과 주 표시 영역의 양쪽에 갱신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변경이 실시된 상태의 제1 화상이 주 표시 영역에 비교적 크게 표시되므로, 변경 내용의 확인이 용이하다. 또한, 소정의 변경이 실시된 상태의 제1 화상이, 복수의 부 표시 영역 중의 하나의 부 표시 영역에도 표시되므로, 복수의 화상 중 제1 화상에 대하여 소정의 변경이 실시된 것을 다른 화상과 비교하면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촬상 장치의 정면 외관도.
도 2는 촬상 장치의 배면 외관도.
도 3은 촬상 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방향 선택 키의 확대도.
도 5는 배면 모니터에 있어서의 화상 재생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메뉴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회전 처리 후의 재생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회전 처리 후에 스크롤한 재생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스크롤 조작 후의 재생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확대 처리 후의 재생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추가적인 스크롤 조작 후의 재생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다른 화상에 관한 확대 처리 후의 재생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변형예에 관한 확대 처리 후의 재생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스크롤 조작 후의 재생 화면 G1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삭제 마크 부여 후의 재생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추가적인 스크롤 조작 후의 재생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다른 화상에 관한 삭제 마크 부여 후의 재생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확인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보호 마크 부여 후의 재생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인쇄 지정 마크 부여 후의 재생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비닉화(秘匿化) 마크 부여 후의 재생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밝기 변경 후의 재생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변형예에 관한 밝기 변경 후의 재생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1. 구성>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1)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은 촬상 장치(1)의 정면 외관도이고, 도 2는 촬상 장치(1)의 배면 외관도이다. 이 촬상 장치(1)는, 렌즈 교환식 일안(一眼) 리플렉스 타입의 디지털 카메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촬상 장치(1)는, 배면 모니터(12)(후술함)에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도 기능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는, 카메라 본체부(카메라 보디)(2) 를 포함하고 있다. 이 카메라 본체부(2)에 대하여, 교환식의 촬영 렌즈 유닛(교환 렌즈)(3)이 착탈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 본체부(2)는, 그 정면 좌측 상부에 모드 설정 다이얼(82)을 포함하고, 그 정면 우측 상부에 제어값 설정 다이얼(86)을 포함하고 있다. 모드 설정 다이얼(82)을 조작하는 것에 의하면, 카메라의 각종 모드[각종 촬영 모드(인물 촬영 모드, 풍경 촬영 모드, 및 풀 오토 촬영 모드 등), 촬영한 화상을 재생하는 재생 모드, 및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교신을 행하는 통신 모드 등을 포함함]의 설정 동작(절환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값 설정 다이얼(86)을 조작하는 것에 의하면, 각종 촬영 모드에 있어서의 제어값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 본체부(2)는, 정면 좌측 단부에 촬영자가 잡기 위한 그립부(14)를 포함하고 있다. 그립부(14)의 상면에는 노광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릴리즈 버튼(1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립부(14)의 내부에는 전지 수납실과 카드 수납실이 설치되어 있다. 전지 수납실에는 카메라의 전원으로서,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가 수납되어 있고, 카드 수납실에는 촬영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90)(도 3 참조)가 착탈 가능하게 수납된다.
도 2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부(2)의 배면의 대략 중앙에는, 배면 모니터(12)가 설치되어 있다. 배면 모니터(12)는, 예를 들면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LCD)로서 구성된다. 배면 모니터(12)는, 각종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것, 및 재생 모드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90)(기록 매체)에 기록된 촬영 화상을 재생 표시하는 것 등이 가 능하다.
배면 모니터(12)의 좌측 상부에는 메인 스위치(81)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 스위치(81)는 2점 슬라이드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접점을 좌측 방향의 「오프」 위치로 설정하면, 전원이 오프로 되고, 접점의 우측 방향의 「온」 위치로 설정하면, 전원이 온으로 된다.
배면 모니터(12)의 우측에는 방향 선택 키(84)(도 4도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방향 선택 키(84)는, 위 버튼(84U)과 아래 버튼(84D)과 왼쪽 버튼(84L)과 오른쪽 버튼(84R)을 갖고 있어, 상하 좌우의 4방향의 압박 조작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방향 선택 키(84)는, 중앙 버튼(84C)을 갖고 있어, 상기 4방향의 압박 조작과는 별도로, 중앙부에 있어서의 압박 조작도 검출할 수 있다.
배면 모니터(12)의 좌측에는, 메뉴 화면의 설정, 화상의 삭제 등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설정 버튼 군(83)이 설치되어 있다. 설정 버튼 군(83)에는, 메뉴 버튼(83A) 및 시프트 버튼(83D)이 포함되어 있다.
<2. 기능 블록>
다음에, 촬상 장치(1)의 기능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촬상 장치(1)는, 촬상 소자(CCD 등)를 포함하고 있고, 광전 변환 작용에 의해 촬영 광학계로부터의 피사체의 광상(피사체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본 촬영 화상에 관한 화상 신호(기록용의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본 촬영 화상에 관한 화상 데이터는, 적절한 화상 처리(압축 처리 등을 포함함)가 실시된 후, 메모리 카드(90)에 기억된다.
또한, 메모리 카드(9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는 촬상 장치(1) 내에 판독되고, 해당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이 배면 모니터(12)에 표시된다. 즉, 촬상 장치(1)의 배면 모니터(12)에 있어서는, 촬영 완료된 화상 등을 재생하는 재생 표시가 실현된다.
이하에서는, 촬상 장치(1)의 재생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의 기능 블록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는 판독부(21), 표시 제어부(22), 배면 모니터(12)(표시부), 변경 제어부(30), 및 화상 메모리(56) 등을 포함한다.
판독부(21)는, 메모리 카드(90) 내의 화상 데이터를 촬상 장치(1)의 화상 메모리(56) 상에 판독하는 처리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22)는, 화상 메모리(56)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을 배면 모니터(12)에 표시하는 표시 동작을 제어한다. 이 표시 제어부(22)는, 배면 모니터(12)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을 제어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화상을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SR1 내지 SR3)(도 5 참조)에 표시하는 동시에,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 중의 하나의 부 표시 영역 SR2에 표시되는 화상 P2를 주 표시 영역 MR에도 표시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2)는, 소정의 변경이 실시된 상태의 화상 P2를 하나의 부 표시 영역 SR2와 주 표시 영역 MR의 양쪽에 표시하도록, 배면 모니터(12)에 표시 내용을 제어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2)는, 주 표시 영역 MR에 표시해야 할 화상과 부 표시 영역 SR에 표시해야 할 복수의 화상의 양쪽에 관한 리사이즈 동작 등도 제어한다.
변경 제어부(30)는, 각 화상에 관한 여러가지 변경 처리를 실시하는 처리부이다. 변경 제어부(30)는, 회전 처리부(31)와 배율 변경 처리부(32)와 마크 부여부(33)와 화상 처리부(34)를 갖고 있다. 회전 처리부(31)는 화상의 회전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이며, 배율 변경 처리부(32)는 화상의 배율 변경 처리(확대 처리 및 축소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이다. 또한, 마크 부여부(33)는 화상에 대하여 소정의 마크(예를 들면, 삭제 대상 화상인 것을 나타내는 삭제 마크 등)를 부여하는 처리부이며, 화상 처리부(화질 조정 처리부)(34)는 화상에 대하여 색, 콘트라스트, 및 밝기 등에 관한 변경 처리(화질 조정 처리)를 실시하는 처리부이다.
화상 메모리(56)는,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고속 액세스 가능한 화상 메모리이며, 복수 프레임분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 가능한 용량을 갖는다.
<3. 재생 동작>
<3-1. 개요 및 회전 처리>
다음에, 도 5를 참조하면서, 촬상 장치(1)에 있어서의 재생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배면 모니터(12)에 있어서의 재생 화면(화상 재생 화면) G1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재생 화면 G1은, 모드 설정 다이얼(82)의 조작에 의해 촬상 장치(1)의 모드가 「재생 모드」로 절환되는 것 등에 따라서, 배면 모니터(12)에 표시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 모니터(12)의 재생 화면 G1에는, 비교적 큰 단일한 주 표시 영역 MR과 비교적 작은 복수(여기서는 3개)의 부 표시 영역 SR(SR1 내지 SR3)이 형성되어 있다. 주 표시 영역 MR은 배면 모니터(12) 내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부 표시 영역 SR(SR1 내지 SR3)은 배면 모니터(12) 내의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은, 주 표시 영역 MR보다도 작은 영역이며, 예를 들면 주 표시 영역 MR의 약 몇분의 1 내지 약 십몇분의 1(예를 들면 약 1/4)의 크기(면적)를 갖고 있다.
각 표시 영역 MR, SR에는, 메모리 카드(90)로부터 판독된 복수의 화상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3개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에는, 소정의 기준에 의한 순서(예를 들면 촬영 번호순)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화상 중, 연속하는 3개의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3개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 중의 하나의 부 표시 영역(상세하게는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P2는, 주 표시 영역 MR에도 표시된다.
상세하게는, 우선, 판독부(21)(도 3)에 의해 제n 화상 P(n)이 메모리 카드(90)로부터 화상 메모리(56)에 판독된다. 그 후, 표시 제어부(22)에 의해 제n 화상 P(n)에 관한 리사이즈 처리가 실시되고, 주 표시 영역 MR의 크기에 따른 화소수를 갖는 화상 데이터 PM과, 부 표시 영역 SR(SR2)의 크기에 따른 화소수를 갖는 화상 데이터 PS(PS2)가 생성된다.
또한, 판독부(21)에 의해 제(n-1) 화상 P(n-1)이 메모리 카드(90)로부터 화상 메모리(56)에 판독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22)에 의해, 제(n-1) 화상 P(n-1)에 관한 리사이즈 처리가 실시되고, 부 표시 영역 SR(SR1)의 크기에 따른 화소수를 갖는 화상 데이터 PS(PS1)가 생성된다.
또한, 판독부(21)에 의해 제(n+1) 화상 P(n+1)이 메모리 카드(90)로부터 화상 메모리(56)에 판독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22)에 의해, 제(n+1) 화상 P(n+1)에 관한 리사이즈 처리가 실시되고, 부 표시 영역 SR(SR3)의 크기에 따른 화소수를 갖는 화상 데이터 PS(PS3)가 생성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22)에 의해, 이들 화상 데이터 PM, PS1 내지 PS3에 의한 배면 모니터(12)에서의 표시 동작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배면 모니터(12)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에 있어서는, 화상 데이터 PS1 내지 PS3에 의해 비교적 작은 화상(서브 화상(부 화상)이라고도 칭함)이 표시되고, 배면 모니터(12)의 주 표시 영역 MR에 있어서는, 화상 데이터 PM에 의해 비교적 큰 화상(메인 화상(주 화상)이라고도 칭함)이 표시된다.
그 후, 이러한 상태에서 메뉴 버튼(83A)이 눌러지면, 표시 제어부(22)에 의해, 도 6과 같은 메뉴 화면 GM이 화면 G1(도 5) 대신에 배면 모니터(12)에 표시된다. 이 메뉴 화면 GM에는, 「회전」, 「확대ㆍ축소」(배율 변경), 「삭제」, 「보호」, 「DPOF」, 「시크릿」, 「밝기 변경」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메뉴 항목이 열거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메뉴 항목 중에서, 촬상 장치(1)의 조작자에 의해 원하는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해당 선택 항목에 따른 원하는 변경 동작이 실행된다.
이하에서는, 우선, 메뉴 항목 「회전」이 선택된 경우를 예시한다.
메뉴 항목 「회전」이 선택되면, 다시 도 5의 화면 G1로 복귀된다. 단, 복귀 후의 화면 G1에 있어서는, 화상의 회전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 등에 관한 스크롤 동작이, 방향 선택 키(84)의 왼쪽 버튼(84L)과 오른쪽 버튼(84R)을 사용하여 실행되고, 「회전」 처리의 대상 화상이 선택된다.
예를 들면, 왼쪽 버튼(84L)이 눌러지면, 그때까지 좌측 단부측의 부 표시 영역 SR1에 표시되어 있던 화상 P(n-1)이,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 표시되는 동시에 주 표시 영역 MR에도 표시된다. 또한, 그때까지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 표시되어 있던 화상 P(n)은, 우측 단부측의 부 표시 영역 SR3에 표시된다. 또한, 좌측 단부측의 부 표시 영역 SR1에는, 화상 P(n-1)보다도 가상적으로 좌측에 존재하는 다른 화상 P(n-2)가 표시된다. 또한, 그 후, 왼쪽 버튼(84L)이 더 눌러지면, 동일한 동작이 실행되고, 또한 좌측의 화상이 중앙으로 스크롤하는 동작이 실현된다.
혹은, 반대로, 오른쪽 버튼(84R)이 눌러지면, 그때까지 우측 단부측의 부 표시 영역 SR3에 표시되어 있던 화상 P(n+1)이,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 표시되는 동시에 주 표시 영역 MR에도 표시된다. 또한, 그때까지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 표시되어 있던 화상 P(n)은, 좌측 단부측의 부 표시 영역 SR1에 표시된다. 또한, 우측 단부측의 부 표시 영역 SR3에는, 화상 P(n+1)보다도 가상적으로 우측에 존재하는 다른 화상 P(n+2)가 표시된다.
이러한 스크롤 조작에 의해, 메모리 카드(90) 내의 복수의 화상 중 3개의 화상이 3개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에 표시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시점에 있어서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은, 상방의 주 표시 영역 MR에도 표시된다. 따라서, 주 표시 영역 MR에 표시되는 비교적 큰 메인 화상 에 의해, 처리 대상의 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처리의 대상 화상이 부 표시 영역 SR2와 주 표시 영역 MR의 양쪽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작자에 의해 중앙 버튼(84C)이 1회 눌러질 때마다, 대상 화상이 반시계 방향으로 90도씩 회전한다. 예를 들면, 중앙 버튼(84C)이 1회 눌러지면, 대상 화상이 90도 회전한다. 이에 의하면, 도 5에 있어서는 횡방향으로 표시되어 있던 세로 화상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올바른 방향)에서 표시된다. 또한, 중앙 버튼(84C)이 2회 눌러지면, 대상 화상이 180도 회전하고, 중앙 버튼(84C)이 3회 눌러지면, 대상 화상이 270도 회전한다.
상세하게는, 중앙 버튼(84C)이 1회 눌러지면, 대상 화상의 주 표시 영역 MR에의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 PM에 대하여, 90도의 회전 처리(「방향」의 변경 처리라고도 표현됨)가 실시된다. 또한, 동일한 대상 화상에 관한 부 표시 영역 SR2에의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 PS2에 대해서도, 동일한 회전 각도(90도)의 회전 처리가 실시된다. 그리고, 회전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 PM을 사용하여 대상 화상이 주 표시 영역 MR에 있어서 표시되는 동시에, 회전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 PS2를 사용하여 대상 화상이 부 표시 영역 SR2에 있어서 표시된다. 또한, 해당 대상 화상에 관해서는 90도의 회전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취지도 촬상 장치(1)의 기억부(예를 들면 화상 메모리(56) 등)에 기억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대상 화상의 2개의 화상 데이터(즉 주 표시 영역 MR에 있어서의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 PM, 및 부 표시 영역 SR2에 있어서의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 PS2)에 대하여 각각, 소정의 변경 처리가 실시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 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대상 화상의 한쪽의 화상 데이터 PM에 소정의 변경 처리를 실시하여 새로운 화상 데이터 PM을 생성하는 동시에, 해당 새로운 화상 데이터 PM에 대한 리사이즈 처리를 행함으로써, 부 표시 영역 SR2에 있어서의 표시용의 새로운 화상 데이터 PS2를 생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혹은, 대상 화상의 원래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변경 처리를 실시한 후에, 해당 변경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각각 다른 리사이즈 처리를 실시하여, 2종류의 새로운 화상 데이터 PM, PS2를 생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여기서는, 화상에 관한 변경 내용(회전 각도 등)을 촬상 장치(1)의 기억부에 기억해 두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9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해당 화상 데이터에 대한 부가 정보로서 해당 변경 내용을 기억해 두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메모리 카드(90)에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유지하는 한편, 메모리 카드(90)로부터 촬상 장치(1)에 읽어들인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변경을 가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90) 내의 화상 데이터 자체에 대하여 여러가지의 변경(회전 등)을 가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 후, 변경 후의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재생 화면 G1이 갱신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에 관한 변경(회전 처리)이 실시된 상태의 화상 P2(즉 회전 후의 화상 P2)가, 주 표시 영역 MR과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의 양쪽에서 표시된다. 또한, 각 영역 MR, SR2에 있어서, 화상 P2의 회전 후에 종횡비의 부정합에 의해 생기는 여백 부분은, 흑색 영역 BK로서 표시된다.
이상의 표시 동작에 있어서는,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SR1 내지 SR3)에 복수의 화상이 표시되는 동시에,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 중의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 표시된 화상 P2는 주 표시 영역 MR에도 표시된다. 따라서,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을 사용하여, 임의의 화상 P2를 다른 화상과 비교하면서 시인하는 동시에, 비교적 큰 주 표시 영역 MR을 사용하여, 임의의 화상 P2를 확실하게 시인할 수 있다.
특히, 소정의 변경(여기서는 회전 처리)이 실시된 상태의 화상 P2가 주 표시 영역 MR에 비교적 크게 표시되므로, 변경 내용의 확인(바꾸어 말하면, 회전된 화상의 확인)이 용이하다. 또한, 변경이 실시된 상태의 화상 P2가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 중의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도 표시되므로, 화상 P2에 대한 소정의 변경을 다른 화상과 비교하면서 확인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화상 중 화상 P2에 대하여 해당 소정의 변경이 실시된 것을 다른 화상과 비교하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 후,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에 관한 스크롤 조작을 수반하여, 다른 화상에 대해서도 동일한 회전 조작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때, 스크롤 조작 전에 회전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화상(예를 들면 화상 P2)은, 해당 스크롤 조작에 따라,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 중,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와는 상이한 다른 부 표시 영역 SR1(또는 SR3)에 있어서, 회전 처리 후의 상태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도 7에서는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 표시되어 있던 화상 P(n)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롤 조작에 의해 우측 단부의 부 표시 영역 SR3으로 이동하 여 표시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화상 P(n)은 회전 후의 상태로 우측 단부의 부 표시 영역 SR3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스크롤 조작 중에 있어서는,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의 각각에 있어서 각 화상에 관한 회전 결과를 반영시킨 상태에서 해당 각 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처리의 지시 조작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한번 더 메뉴 버튼(83A)을 누르고, 해당 메뉴 화면 내의 항목 「통상 표시」(도시하지 않음)를 선택하면 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하면, 회전 처리의 지시 조작을 실행할 수 없는 상태로 복귀된 후에, 배면 모니터(12)에는 재생 화면 G1이 다시 표시된다.
<3-2. 배율 변경 처리>
다음에, 메뉴 화면 GM(도 6)에 있어서 메뉴 항목 「확대ㆍ축소」가 선택된 경우를 예시한다.
메뉴 항목 「확대ㆍ축소」가 선택되면, 배면 모니터(12)에는 메뉴 화면 GM 대신에 다시 화면 G1(도 5 참조)이 표시된다. 단, 재표시 후의 화면 G1에 있어서는, 화상의 배율 변경 처리(확대/축소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 등에 관한 스크롤 동작이, 방향 선택 키(84)의 왼쪽 버튼(84L)과 오른쪽 버튼(84R)을 사용하여 실행되고, 「배율 변경」 처리의 대상 화상이 선택된다.
도 9는, 스크롤 동작 후의 재생 화면 G1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배율 변경 처리의 대상 화상 P(i)가 주 표시 영역 MR과 부 표시 영역 SR2의 양쪽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해당 대상 화상에 대한 배율 변경 지시 조작이 접수된다. 구체적으로는, 위 버튼(84U)이 눌러지면 확대 지시가 이루어진 것으로 간주되고, 아래 버튼(84D)이 눌러지면 축소 지시가 이루어진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이 배율 변경 조작(특히 확대 조작)에 있어서는, 확대 위치의 설정 조작도 접수된다. 구체적으로는, 시프트 버튼(83D)을 1회 누르면, 확대 위치의 설정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위 버튼(84U)과 아래 버튼(84D)과 왼쪽 버튼(84L)과 오른쪽 버튼(84R)을 사용하여 확대 프레임 EF가 주 표시 영역 MR 내에 있어서 이동되고, 확대 위치가 설정된다. 확대 프레임 EF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대 후의 표시 대상 영역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시프트 버튼(83D)을 다시 누르면, 확대 위치의 설정 모드는 종료되고, 다시 위 버튼(84U)에 의한 확대 지시 및 아래 버튼(84D)에 의한 축소 지시 등이 접수된다.
예를 들면, 위 버튼(84U)이 눌러지면, 소정의 확대율(예를 들면, 200%)에 따라서 화상이 확대된다. 여기에서는, 위 버튼(84U)이 1회 눌러져 원래의 화상을 2배로 확대하는 지시가 부여된 것으로 한다.
이러한 확대 지시가 부여되면, 대상 화상 P(i)의 화상 데이터를 다시 메모리 카드(90)로부터 판독하여, 대상 화상 P(i)의 확대 프레임 EF 내의 영역을 잘라내고, 또한 소정의 확대율에 따라서 씨닝 정도를 저감하여 리사이즈함으로써, 주 표시 영역 MR에의 확대 표시용의 새로운 화상 데이터 PM이 생성된다. 또한, 이 확대 표시용의 새로운 화상 데이터 PM에 기초하여, 대상 화상에 관한 부 표시 영역 SR2에의 확대 표시용의 새로운 화상 데이터 PS2도 생성된다. 또한, 해당 대상 화상에 관하여 2배의 확대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취지 및 확대 중심 위치도, 촬상 장치(1)의 기억부(메모리 등)에 있어서 기억된다.
그리고, 변경 후의 화상 데이터 PM, PS2 등을 사용하여 재생 화면 G1이 갱신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대 처리 후의 새로운 화상 데이터 PM을 사용하여 대상 화상 P(i)가 주 표시 영역 MR에 있어서 표시되는 동시에, 새로운 화상 데이터 PS2를 사용하여 대상 화상 P(i)가 부 표시 영역 SR2에 있어서 표시된다. 바꾸어 말하면, 배율 변경에 관한 변경(여기서는 확대 처리)이 실시된 상태의 화상 P2(즉 확대 후의 화상 PE)가, 주 표시 영역 MR과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의 양쪽에 있어서 표시된다.
이상과 같은 표시 동작에 있어서는,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SR1 내지 SR3)에 복수의 화상이 표시되는 동시에,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 중의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 표시된 화상 P2는 주 표시 영역 MR에도 표시된다. 따라서,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을 사용하여, 임의의 화상 P2를 다른 화상과 비교하면서 시인하는 동시에, 비교적 큰 주 표시 영역 MR을 사용하여, 임의의 화상 P2를 확실하게 시인할 수 있다.
특히, 소정의 변경(여기서는 배율 변경 처리)이 실시된 상태의 화상 P2가 주 표시 영역 MR에 비교적 크게 표시되므로, 변경 내용의 확인(바꾸어 말하면, 배율 변경된 화상의 확인)이 용이하다. 또한, 변경 후의 화상 P2가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 중의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도 표시되므로, 복수의 화상 중 화상 P2에 대하여 해당 소정의 변경이 실시된 것을 다른 화상과 비교하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화상 P2에 대한 해당 소정의 변경 내용을 다른 화상과 비교하면서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그 후, 스크롤 조작을 수반하여, 다른 화상에 관하여 동일한 배율 변경 조작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0의 화면 G1이 배면 모니터(12)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왼쪽 버튼(84L)이 눌러지면, 화면 G1은 도 11의 상태로 갱신된다. 구체적으로는, 그때까지 좌측 단부측의 부 표시 영역 SR1에 표시되어 있던 화상 P(i-1)이,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 표시되는 동시에 주 표시 영역 MR에도 표시된다. 또한, 그때까지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 표시되어 있던 화상 P(i)는, 우측 단부측의 부 표시 영역 SR3에 표시된다. 또한, 좌측 단부측의 부 표시 영역 SR1에는, 화상 P(i-1)보다도 가상적으로 좌측에 존재하는 다른 화상 P(i-2)가 표시된다.
이 때, 이전의 조작으로 배율 변경 처리가 실시된 부 표시 영역 SR2의 화상은, 다른 부 표시 영역 SR1, SR3으로 이동하여도 배율 변경 후의 상태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도 10에 있어서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 표시되어 있던 화상 P(i)가, 스크롤 조작에 의해 우측 단부의 부 표시 영역 SR3으로 이동하여 표시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P(i)는, 배율 변경 후의 상태(상세하게는 2배로 확대된 상태)로 우측 단부의 부 표시 영역 SR3에 있어서 표시된다.
이와 같이, 스크롤 조작 중에 있어서는,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의 각각에 있어서 각 화상에 관한 배율 변경 결과를 반영시킨 상태에서 해당 각 화상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그 후, 스크롤 조작 중에 주 표시 영역 MR 및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 표시되어 있는 임의의 화상, 예를 들면 화상 P(i-1)을 대상으로 하여, 배율 변경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때, 해당 화상 P(i-1)에 대해서는, 독자의 배율 변경율(예를 들면 화상 P(i)에 대한 배율 변경율과는 다른 배율 변경율)에 의한 배율 변경 처리(예를 들면 4배의 확대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에 있어서는, 4배의 확대 처리가 실시된 화상 P(i-1)이, 주 표시 영역 MR과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의 양쪽에 각각 표시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화상 P(i)는, 부 표시 영역 SR3에 있어서 2배로 확대된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각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에 있어서는 변경 처리(여기서는 배율 변경 처리)가 실시된 상태의 화상이 표시되므로, 다른 화상과의 비교를 행하기 쉽다. 특히, 각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에 있어서는, 개별적으로 설정된 배율 변경율에 의한 확대 화상이 각각 표시되므로, 각 화상을 각 부 표시 영역에 있어서 원하는 상태로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확대 처리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축소 처리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 부 표시 영역 SR(SR1 내지 SR3)에 있어서, 각 화상에 개별적으로 설정된 배율 변경 상태로 각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도 10 참조)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주 표시 영역 MR 에 대한 배율 변경 조작(상세하게는 위 버튼(84U)의 누르기 조작)에 따라,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부 표시 영역 SR(SR1 내지 SR3)에 있어서, 주 표시 영역 MR과 동일한 배율 변경 상태를 적용한 배율 변경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여도 된다. 도 13의 화면 G1은, 부 표시 영역 SR2에 있어서 화상 P(i)를 2배로 확대한 화상이 표시되는 점에서 도 10의 화면 G1과 공통되어 있다. 한편, 다른 부 표시 영역 SR1, SR3에 있어서도, 동일한 배율(즉 2배)에 의한 확대 화상이 표시되는 점에서 도 10과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부 표시 영역 SR1에 있어서 화상 P(i-1)에 관한 2배 확대 화상이 표시되는 동시에, 부 표시 영역 SR3에 있어서 화상 P(i+1)에 관한 2배 확대 화상이 표시되는 점에서, 도 10과 상이하다.
<3-3. 삭제 처리>
다음에, 메뉴 화면 GM(도 6)에 있어서 메뉴 항목 「삭제」가 선택된 경우를 예시한다.
메뉴 항목 「삭제」가 선택되면, 배면 모니터(12)에는 메뉴 화면 GM 대신에 다시 화면 G1(도 5 참조)이 표시된다. 단, 재표시 후의 화면 G1에 있어서는, 화상의 삭제 처리, 상세하게는 조작자가 선택(지정)한 화상만을 삭제하는 「선택적 삭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 등에 관한 스크롤 동작이, 방향 선택 키(84)의 왼쪽 버튼(84L)과 오른쪽 버튼(84R)을 사용하여 실행되고, 「삭제」 처리의 대상 화상이 선택된다.
도 14는, 스크롤 동작 후의 재생 화면 G1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삭제 처리의 대상 화상 P(j)가 주 표시 영역 MR과 부 표시 영역 SR2의 양쪽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중앙 버튼(84C)이 눌러지면, 해당 대상 화상 P(j)에 대한 잠정적인 삭제 지시가 접수된다. 또한, 중앙 버튼(84C)이 다시 눌러지면, 해당 대상 화상 P(j)에 대한 잠정적인 삭제 지시가 해제된다.
중앙 버튼(84C)이 눌러짐에 의해 삭제 지시가 부여되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 화상 P(j)의 주 표시 영역 MR에의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 PM에 대하여 화상 처리(삭제 마크의 부여 처리)가 실시된다. 이 삭제 마크의 부여 처리는, 그 화상을 삭제해야 할 취지를 나타내는 마크(삭제 마크라고도 칭함) MK1을 대상 화상 P(j)에 대하여 중첩적으로 묘화하는 화상 처리이다. 또한, 동일한 대상 화상 P(j)에 관한 부 표시 영역 SR2에의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 PS2에 대해서도, 동일한 삭제 마크 MK1의 부여 처리가 실시된다. 그리고, 삭제 마크 MK1이 부여된 대상 화상 P(j)가 새로운 화상 데이터 PM을 사용하여 주 표시 영역 MR에 있어서 표시되는 동시에, 삭제 마크 MK1이 부여된 대상 화상 P(j)가 새로운 화상 데이터 PS2를 사용하여 부 표시 영역 SR2에 있어서 표시된다. 또한, 해당 대상 화상 P(j)에 관해서는, 삭제해야 할 취지의 지시(삭제 지시)가 부여되어 있는 것이 촬상 장치(1)의 기억부(메모리 등)에 기억된다.
이상과 같은 표시 동작에 있어서는,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SR1 내지 SR3)에 복수의 화상이 표시되는 동시에,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 중의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 표시된 화상 P2(화상 P(j))는 주 표시 영역 MR에도 표시된다. 따라서,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을 사용하여, 임의의 화상 P2를 다 른 화상과 비교하면서 시인하는 동시에, 비교적 큰 주 표시 영역 MR을 사용하여, 임의의 화상 P2를 확실하게 시인할 수 있다.
특히, 소정의 변경(여기서는 삭제 마크 MK1의 부여 처리)이 실시된 상태의 화상 P2(화상 P(j))가 주 표시 영역 MR에 비교적 크게 표시되므로, 변경 내용의 확인(바꾸어 말하면, 삭제 마크 MK1의 유무의 확인)이 용이하다. 또한, 변경 후의 화상 P2(화상 P(j))가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 중의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도 표시되므로, 화상 P2에 대한 해당 소정의 변경을 다른 화상과 비교하면서 확인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화상 중 임의의 화상 P2에 대하여 삭제 지시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각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에 표시되는 다른 화상과도 비교(대조)하면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그 후, 스크롤 조작을 수반하여, 다른 화상에 관한 동일한 삭제 지시의 부여 조작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5의 화면 G1이 배면 모니터(12)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오른쪽 버튼(84R)이 눌러지면, 화면 G1은 도 16의 상태로 갱신된다. 구체적으로는, 그때까지 우측 단부측의 부 표시 영역 SR3에 표시되어 있던 화상 P(j+1)이,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 표시되는 동시에 주 표시 영역 MR에도 표시된다. 또한, 그때까지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 표시되어 있던 화상 P(j)는, 좌측 단부측의 부 표시 영역 SR1에 표시된다. 또한, 우측 단부측의 부 표시 영역 SR3에는, 화상 P(j+1)보다도 가상적으로 우측에 존재하는 다른 화상 P(j+2)가 표시된다.
이 때, 이전 조작에서 삭제 마크 MK1이 부여된 화상 P(j)는, 부 표시 영역 SR2로부터 다른 부 표시 영역 SR1, SR3으로 이동하여도, 삭제 마크 MK1이 부여된 상태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도 15에 있어서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 표시되어 있던 화상 P(j)가, 스크롤 조작에 의해 좌측 단부의 부 표시 영역 SR1로 이동하여 표시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P(j)는, 삭제 마크 MK1이 부여된 상태로 좌측 단부의 부 표시 영역 SR1에 있어서 표시된다.
이와 같이, 스크롤 조작 전의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 있어서 삭제 마크 MK1이 부여된 상태로 표시되어 있던 화상(예를 들면 화상 P2)은, 해당 스크롤 조작에 따라,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 중,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와는 상이한 다른 부 표시 영역 SR1(또는 SR3)에 있어서, 삭제 마크 MK1이 부여된 상태로 표시된다. 이에 의하면, 조작자는, 스크롤 조작 중,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의 각각에 있어서, 각 화상에 관한 삭제 지시의 유무(삭제 마크의 부여 결과)를 반영시킨 상태에서 해당 각 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화상과의 비교(대조)를 행하기 쉽다.
또한, 그 후, 스크롤 조작 중에 주 표시 영역 MR 및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 표시되어 있는 임의의 화상, 예를 들면 화상 P(j+1)을 대상으로 하여, 삭제 마크의 부여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의 화면 G1이 배면 모니터(12)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중앙 버튼(84C)이 눌러지면, 해당 화면 G1은 도 17에 도시하는 상태로 갱신된다.
도 17에 있어서는, 삭제 마크의 부여 처리가 실시된 화상 P(j+1)이, 주 표시 영역 MR과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의 양쪽에 각각 표시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 P(j)는, 부 표시 영역 SR1에 있어서 삭제 마크 MK1이 부여된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동일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더 많은 화상에 대한 삭제 지시가 부여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작자는, 삭제해야 할 화상에 대한 삭제 지시의 부여 처리가 모두 종료되면, 한번 더 메뉴 버튼(83A)을 누른다. 촬상 장치(1)는, 이 누르기 조작에 응답하여, 이번에는 확인 화면 GC(도 18 참조)를 배면 모니터(12)에 표시한다. 그리고, 화면 GC 내의 「예」 버튼이 눌러지면, 이제까지의 삭제 지시 내용이 확정되고, 실제의 삭제 동작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삭제 마크가 부여되어 있던(삭제 대상으로서 선택되어 있던) 1개 또는 복수의 해당 대상 화상이 메모리 카드(90)로부터 삭제된다.
<3-4. 보호 처리>
다음에, 메뉴 화면 GM(도 6)에 있어서 메뉴 항목 「보호」가 선택된 경우를 예시한다.
메뉴 항목 「보호」가 선택되면, 배면 모니터(12)에는 메뉴 화면 GM 대신에 다시 화면 G1(도 5 참조)이 표시된다. 단, 재표시 후의 화면 G1에 있어서는, 화상의 보호 처리, 상세하게는 조작자가 선택(지정)한 화상을 보호하는 「선택적 보호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대상 화상의 선택 동작 및 대상 화상의 보호 지시의 접수 동작 등은, 전술한 「선택적 삭제 처리」와 동일하게 실행된다. 예를 들면, 중앙 버튼(84C)이 눌러짐에 따라, 대상 화상에 대한 보호 지시가 부여된다. 또한, 부 표시 영역 SR에 관한 스크롤 조작을 수반하여, 대상 화상의 선택 조작이 실행된다. 또한, 보호 지시가 1개 또는 복수의 화상에 대하여 부여된 후에, 메뉴 버튼(83A)이 눌러지면, 도 18과 동일한 확인 화면 GC가 배면 모니터(12)에 표시된다. 그리고, 확인 화면 GC를 사용한 확정 지시에 따라, 선택된 화상(피선택 화상)에 대한 보호 처리(구체적으로는, 메모리 카드(90)에 있어서 피선택 화상의 파일을 기입 금지 속성으로 변경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이 결과, 비선택 화상에 대한 삭제 및 수정 등이 제한된다.
단, 이 선택적 보호 처리에 있어서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삭제 마크 MK1 대신에 보호 마크 MK2가 부여된다. 이 보호 마크 MK2는, 그 화상을 보호해야 할 취지를 나타내는 마크이다.
이러한 표시 동작에 있어서도, 전술한 「선택적 삭제 처리」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소정의 변경(여기서는 보호 마크 MK2의 부여 처리)이 실시된 상태의 화상 P2가 주 표시 영역 MR에 비교적 크게 표시되므로, 변경 내용의 확인(바꾸어 말하면, 보호 마크 MK2의 유무의 확인)이 용이하다. 또한, 변경 후의 화상 P2가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도 표시되므로, 화상 P2에 대한 해당 소정의 변경을 다른 화상과 비교하면서 확인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화상 중 임의의 화상 P2에 대하여 보호 지시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각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에 표시되는 다른 화상과 비교(대조)하면서, 인식할 수 있다.
<3-5. 인쇄 지정 처리>
다음에, 메뉴 화면 GM(도 6)에 있어서 메뉴 항목 「DPOF」(Digital Print Order Format)가 선택된 경우를 예시한다.
메뉴 항목 「DPOF」가 선택되면, 배면 모니터(12)에는 메뉴 화면 GM 대신에 다시 화면 G1(도 5 참조)이 표시된다. 단, 재표시 후의 화면 G1에 있어서는, DPOF를 이용한 인쇄 지정 처리, 상세하게는 피선택 화상을 인쇄 출력하는 것 등을 지정하는 「선택적 인쇄 지정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 인쇄 지정 처리에 있어서는, 위 버튼(84U)과 아래 버튼(84D)이 눌러짐에 따라 인쇄 매수를 증감하는 설정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이 인쇄 지정 처리에 있어서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삭제 마크 MK1 대신에 인쇄 지정 마크 MK3이, 대상 화상 P2에 대하여 부여된다. 이 인쇄 지정 마크 MK3은, 그 화상을 인쇄해야 할 취지를 나타내는 마크이다. 또한, 인쇄 지정 마크 MK3은, 그 화상의 인쇄 지정 매수도 함께 나타내고 있다. 상세하게는, 해당 마크 MK3에 포함되는 숫자가, 그 화상의 인쇄 지정 매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그 밖의 동작은, 전술한 「선택적 삭제 처리」와 동일하게 실행된다.
예를 들면, 부 표시 영역 SR에 관한 스크롤 조작을 수반하여, 대상 화상의 선택 조작이 실행된다. 또한, 인쇄 지정이 1개 또는 복수의 화상에 대하여 부여된 후에, 메뉴 버튼(83A)이 눌러지면, 도 18과 동일한 확인 화면 GC가 배면 모니터(12)에 표시된다. 그리고, 확인 화면 GC를 이용하여 확정 지시가 부여되면, 촬상 장치(1)는, 선택된 화상에 대한 인쇄 지정 처리(DPOF를 이용하여 피선택 화상에 대한 인쇄 매수 등을 지정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러한 표시 동작에 있어서도, 전술한 「선택적 삭제 처리」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소정의 변경(여기서는 인쇄 지정 마크 MK3의 부여 처리)이 실시된 상태의 화상 P2가 주 표시 영역 MR에 비교적 크게 표시되므로, 변경 내용의 확인(바꾸어 말하면, 인쇄 지정 마크 MK3의 유무의 확인 및 인쇄 지정 매수의 확인)이 용이하다. 또한, 변경 후의 화상 P2가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도 표시되므로, 화상 P2에 대한 해당 소정의 변경을 다른 화상과 비교하면서 확인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화상 중 임의의 화상 P2에 대하여 인쇄 지정이 부여되어 있는 것과, 해당 화상 P2에 대한 인쇄 지정 매수를, 각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에 표시되는 다른 화상과 비교(대조)하면서, 인식할 수 있다.
<3-6. 시크릿 처리>
다음에, 메뉴 화면 GM(도 6)에 있어서 메뉴 항목 「시크릿」이 선택된 경우를 예시한다.
메뉴 항목 「시크릿」이 선택되면, 배면 모니터(12)에는 메뉴 화면 GM 대신에 다시 화면 G1(도 5 참조)이 표시된다. 단, 재표시 후의 화면 G1에 있어서는, 선택 화상을 비닉화(秘匿化)하여 비표시 상태로 하는 처리(「시크릿 처리」), 상세하게는 조작자가 선택(지정)한 화상을 비닉화하여 비표시 상태로 하는 「선택적 시크릿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대상 화상의 선택 동작 및 대상 화상의 비닉화 지시의 접수 동작 등은, 전술 한 「선택적 삭제 처리」와 동일하게 실행된다. 예를 들면, 중앙 버튼(84C)이 눌러짐에 따라, 대상 화상에 대한 비닉화 지시가 부여된다. 또한, 부 표시 영역 SR에 관한 스크롤 조작을 수반하여, 대상 화상의 선택 조작이 실행된다. 또한 비닉화 지시가 1개 또는 복수의 화상에 대하여 부여된 후에, 메뉴 버튼(83A)이 눌러지면, 도 18과 동일한 확인 화면 GC가 배면 모니터(12)에 표시된다. 그 후, 확인 화면 GC를 이용하여 확정 지시가 부여되면, 촬상 장치(1)는, 해당 확정 지시에 응답하여, 피선택 화상에 대한 비닉화 처리를 실행한다. 이후, 해당 피선택 화상은, 배면 모니터(12) 상의 재생 화면 G1에 표시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별도의 비닉화 해제 처리가 접수됨으로써, 해당 비표시 상태는 해제될 수 있다.
단, 이 선택적 비닉화 처리에 있어서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삭제 마크 MK1 대신에 비닉화 마크 MK4가 부여된다. 이 비닉화 마크 MK4는, 그 화상을 비닉화해야 할 취지를 나타내는 마크이다.
이러한 표시 동작에 있어서도, 전술한 「선택적 삭제 처리」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소정의 변경(여기서는 비닉화 마크 MK4의 부여 처리)이 실시된 상태의 화상 P2가 주 표시 영역 MR에 비교적 크게 표시되므로, 변경 내용의 확인(바꾸어 말하면, 비닉화 마크 MK4의 유무의 확인)이 용이하다. 또한, 변경 후의 화상 P2가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도 표시되므로, 화상 P2에 대한 해당 소정의 변경을 다른 화상과 비교하면서 확인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화상 중 임의의 화상 P2에 대하여 비닉화 지시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각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에 표시되는 다른 화상과 비교(대조)하면서, 인식할 수 있다.
<3-7. 화질 조정 처리(밝기 변경)>
다음에, 메뉴 화면 GM(도 6)에 있어서 메뉴 항목 「밝기 변경」이 선택된 경우를 예시한다.
메뉴 항목 「밝기 변경」이 선택되면, 배면 모니터(12)에는 메뉴 화면 GM 대신에 다시 화면 G1(도 5 참조)이 표시된다. 단, 재표시 후의 화면 G1에 있어서는, 선택 화상의 밝기를 변경하는 처리(휘도 변경 처리라고도 칭해짐)의 실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 「밝기 변경 처리」에 있어서는, 위 버튼(84U)과 아래 버튼(84D)이 눌러짐에 따라, 밝기를 증감하는 변경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밝기 변경 처리」에 있어서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 화상 P(k)에 관한 주 표시 영역 MR에의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 PM에 대하여 밝기를 증감하는 화질 조정 처리(밝기 변경 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동일한 대상 화상 P(k)에 관한 부 표시 영역 SR2에의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 PS2에 대해서도, 동일한 정도의 밝기 변경 처리가 실시된다. 그리고, 밝기 변경 후의 새로운 화상 데이터 PM을 사용하여 대상 화상 P(k)가 주 표시 영역 MR에 있어서 표시되는 동시에, 밝기 변경 후의 새로운 화상 데이터 PS2를 사용하여 대상 화상 P(k)가 부 표시 영역 SR2에 있어서 표시된다. 또한, 해당 대상 화상 P(k)에 관해서는, 밝기 변경의 지시(삭제 지시)가 부여되어 있는 것이, 해당 밝기 변경의 정도와 함께, 촬상 장치(1)의 기억부(메모리 등)에 기억된다.
또한, 그 밖의 동작은, 전술한 「선택적 삭제 처리」와 동일하게 실행된다. 예를 들면, 부 표시 영역 SR에 관한 스크롤 조작을 수반하여, 대상 화상의 선택 조작이 실행된다.
이러한 표시 동작에 있어서도, 전술한 「선택적 삭제 처리」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소정의 변경(여기서는 밝기 변경 처리)이 실시된 상태의 화상 P2가 주 표시 영역 MR에 비교적 크게 표시되므로, 변경 내용의 확인(바꾸어 말하면, 밝기 변경 후의 화상의 확인)이 용이하다. 또한, 변경 후의 화상 P2가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도 표시되므로, 화상 P2에 대한 해당 소정의 변경을 다른 화상과 비교하면서 확인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화상 중 임의의 화상 P2에 대하여 밝기 변경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각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에 표시되는 다른 화상과 비교(대조)하면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밝기 변경 후의 화상 P2를, 각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에 표시되는 다른 화상과 비교(대조)하면서, 시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각 부 표시 영역 SR(SR1 내지 SR3)에 있어서, 각 화상에 개별적으로 설정된 밝기로 각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도 22 참조)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주 표시 영역 MR에 대한 밝기 변경 조작(위 버튼(84U) 및/또는 아래 버튼(84D)의 누르기 조작)에 따라,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부 표시 영역 SR(SR1 내지 SR3)에 있어서, 주 표시 영역 MR에 있어서의 밝기 변경과 동등한 밝기 변경을 실시한 휘도 변경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여도 된다. 도 23의 화면 G1은, 부 표시 영역 SR2에 있어서, 그 밝기가 주 표시 영역 MR 과 동일한 정도로 변경된 화상 P(k)가 표시되는 점에서 도 22의 화면 G1과 공통되어 있다. 한편, 다른 부 표시 영역 SR1, SR3에 있어서의 표시 화상에 대해서도, 동일한 정도의 밝기 변경이 실시되는 점에서 도 22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부 표시 영역 SR1에 있어서는, 화상 P(k)에 대한 밝기 변경과 동일한 정도의 밝기 변경이 실시된 화상 P(k-1)이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부 표시 영역 SR3에 있어서는, 화상 P(k)에 대한 밝기 변경과 동일한 정도의 밝기 변경이 실시된 화상 P(k+1)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모든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에 있어서는, 주 표시 영역 MR에서의 표시 화상 P(k)에 대한 밝기 변경과 동일한 정도의 밝기 변경이 실시된 화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부 표시 영역 SR(특히, 부 표시 영역 SR1, SR3)에 표시된 화상을 보는 것에 의해, 주 표시 영역 MR의 표시 화상 P(k)에 대한 밝기 변경과 동일한 정도의 밝기 변경을 다른 화상 P(k-1), P(k+1)에 실시한 경우에 해당 다른 화상 P(k-1), P(k+1)이 어떻게 변경되는지를 간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변경 후의 화상 P(k-1), P(k+1)을 화상 P(k)와 비교 대조하면서 간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에 있어서, 동등한 밝기 변경이 실시된 복수의 화상 P(k-1), P(k), P(k+1)을 동시에 열람할 수 있다.
<4. 기타>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내용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화질 조정 처리 중 「밝기 변경 처 리」에 대하여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화질 조정 처리(예를 들면 「콘트라스트 변경 처리」, 「색상 변경 처리」, 「채도 변경 처리」 등)에 대해서도, 상기의 사상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변경(「콘트라스트 변경 처리」 등)이 실시된 상태의 화상 P2가 주 표시 영역 MR에 비교적 크게 표시되므로, 변경 내용의 확인(콘트라스트 변경 후의 화상의 확인 등)이 용이하다. 또한, 변경 후의 화상 P2가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도 표시되므로, 화상 P2에 대한 해당 소정의 변경을 다른 화상과 비교하면서 확인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화상 중 임의의 화상 P2에 대하여 화질 조정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각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에 표시되는 다른 화상과도 비교(대조)하면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제어부(22)는, 배면 모니터(12)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을 제어하여,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 중의 중앙의 부 표시 영역 SR2에 표시되는 화상 P2를 주 표시 영역 MR에도 표시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복수의 부 표시 영역 SR1 내지 SR3 중의 좌측의 부 표시 영역 SR1에 표시되는 화상 P1을 주 표시 영역 MR에도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주 표시 영역 MR과 부 표시 영역 SR1이 대응하고 있는 것을 알기 쉽도록, 주 표시 영역 MR을 배면 모니터(12)의 화면 G1 내에 있어서 왼쪽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1)의 표시부(배면 모니터(12))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기술에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촬상 장치(1)에 의해 취득된 촬영 화상을, 퍼스널 컴퓨터 등의 컴퓨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퍼스널 컴퓨터의 CPU 등을 사용하여 상기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촬상 장치(1)에 의해 취득된 촬영 화상을 상기의 화면 G1과 동일한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표시 대상의 화상은 촬영 화상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종류의 화상을 표시 대상으로 하도록 하여도 된다.
나아가, 촬상 기능을 갖지 않는 화상 재생 전용 장치 등에 있어서, 각종 화상을 표시할 때에 상기의 사상을 적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Claims (14)

  1. 주 표시 영역과 복수의 부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부 표시 영역에 복수의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부 표시 영역 중의 하나의 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1 화상을 상기 주 표시 영역에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화상에 대하여 소정의 변경을 실시하는 변경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의 변경이 실시된 상태의 상기 제1 화상을 상기 하나의 부 표시 영역과 상기 주 표시 영역의 양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변경은, 화상의 회전에 관한 변경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회전에 관한 변경이 실시된 상태의 상기 제1 화상을, 상기 하나의 부 표시 영역과 상기 주 표시 영역의 양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변경은, 화상의 배율 변경에 관한 변경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배율 변경에 관한 변경이 실시된 상태의 상기 제1 화상을, 상기 하나의 부 표시 영역과 상기 주 표시 영역의 양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변경은, 삭제 대상 화상인 것을 나타내는 마크를 부여하는 변경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마크가 부여된 상태의 상기 제1 화상을, 상기 하나의 부 표시 영역과 상기 주 표시 영역의 양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변경은, 보호 대상 화상인 것을 나타내는 마크를 부여하는 변경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마크가 부여된 상태의 상기 제1 화상을, 상기 하나의 부 표시 영역과 상기 주 표시 영역의 양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변경은, 화상의 인쇄 지정에 관한 마크를 부여하는 변경을 포함 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마크가 부여된 상태의 상기 제1 화상을, 상기 하나의 부 표시 영역과 상기 주 표시 영역의 양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변경은, 화상의 비닉화(秘匿化)에 관한 마크를 부여하는 변경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마크가 부여된 상태의 상기 제1 화상을, 상기 하나의 부 표시 영역과 상기 주 표시 영역의 양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변경은, 화상의 색, 콘트라스트,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화질 조정 처리를 수반하는 변경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화질 조정 처리가 실시된 상태의 상기 제1 화상을, 상기 하나의 부 표시 영역과 상기 주 표시 영역의 양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부 표시 영역에 관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부 표시 영역 중의 상기 하나의 부 표시 영역과는 상이한 다른 부 표시 영역에, 상기 제1 화상을 상기 소정의 변경이 실시된 상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부 표시 영역 중 상기 하나의 부 표시 영역과는 상이한 다른 부 표시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과는 다른 제2 화상을, 상기 제1 화상에 대한 상기 소정의 변경과 동등한 변경을 실시한 상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변경은, 화상의 배율 변경에 관한 변경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화상을, 상기 제1 화상에 대한 배율 변경과 동등한 배율 변경 처리를 실시한 상태로 상기 다른 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변경은, 화상의 색, 콘트라스트,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화질 조정 처리를 수반하는 변경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화상을, 상기 제1 화상에 대한 상기 화질 조정 처리와 동등한 상기 화질 조정 처리를 실시한 상태로 상기 다른 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3. 주 표시 영역과 복수의 부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부 표시 영역에 복수의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부 표시 영역 중의 하나의 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1 화상을 상기 주 표시 영역에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화상에 대하여 소정의 변경을 실시하는 변경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의 변경이 실시된 상태의 상기 제1 화상을 상기 하나의 부 표시 영역과 상기 주 표시 영역의 양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4. 컴퓨터에,
    a) 주 표시 영역과 복수의 부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수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 표시 영역에 복수의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부 표시 영역 중의 하나의 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1 화상을 상기 주 표시 영역에도 표시하는 단계와,
    b) 상기 제1 화상에 대하여 소정의 변경을 실시하는 단계와,
    c) 상기 소정의 변경이 실시된 상태의 상기 제1 화상을 상기 하나의 부 표시 영역과 상기 주 표시 영역의 양쪽에 갱신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097018430A 2007-09-05 2008-07-08 화상 표시 장치, 촬상 장치 및 프로그램 KR201000478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30206A JP2009063727A (ja) 2007-09-05 2007-09-05 画像表示装置、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07-230206 2007-09-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824A true KR20100047824A (ko) 2010-05-10

Family

ID=40428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430A KR20100047824A (ko) 2007-09-05 2008-07-08 화상 표시 장치, 촬상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269876B2 (ko)
EP (1) EP2184735A4 (ko)
JP (1) JP2009063727A (ko)
KR (1) KR20100047824A (ko)
CN (1) CN101627421B (ko)
BR (1) BRPI0807785A2 (ko)
RU (1) RU2437169C2 (ko)
TW (1) TW200921626A (ko)
WO (1) WO2009031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6988B2 (ja) * 2005-12-19 2012-06-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
USD609714S1 (en) * 2007-03-22 2010-02-09 Fujifilm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TW201044262A (en) * 2009-06-10 2010-12-16 Nexcom Int Co Ltd Assembled display device and display frame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of
US9235452B2 (en) * 2010-02-05 2016-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raphics remoting using augmentation data
JP5229379B2 (ja) * 2011-02-21 2013-07-03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制御装置
JP5865052B2 (ja) * 2011-12-15 2016-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79085B2 (ja) * 2011-12-22 2015-09-1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情報処理装置、画面出力システム、画面出力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094489B1 (en) * 2012-05-29 2015-07-28 West Corporation Controlling a crowd of multiple mobile station devices
JP2014017579A (ja) * 2012-07-06 2014-01-30 Olympus Imaging Corp 撮影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D739414S1 (en) * 2012-08-29 2015-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camera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8382S1 (en) * 2012-08-29 2015-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camera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3488S1 (en) * 2012-09-04 2016-12-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and installing applications in an electronic mall
USD757026S1 (en) * 2012-09-18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camera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8385S1 (en) * 2012-09-18 2015-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camera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4639821A (zh) * 2013-11-11 2015-05-20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通过控制装置无线操控的相机、及其操控系统和方法
USD786283S1 (en) * 2015-02-20 2017-05-09 Google Inc. Portion of a display panel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6361670B2 (ja) * 2016-02-22 2018-07-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I698845B (zh) * 2019-02-12 2020-07-11 聯陽半導體股份有限公司 時序控制器、顯示裝置及其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8483A (ja) * 1997-02-17 1998-08-25 Nikon Corp 情報処理装置
JP2000181427A (ja) 1998-12-14 2000-06-30 Toshiba Corp 画像表示方法
JP2001052191A (ja) * 1999-08-17 2001-02-23 Nikon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US6883140B1 (en) * 2000-02-24 2005-04-19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digitally represented still images
KR100763188B1 (ko) * 2005-07-21 2007-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73544A1 (en) 2010-03-25
CN101627421B (zh) 2012-07-18
US8269876B2 (en) 2012-09-18
JP2009063727A (ja) 2009-03-26
TW200921626A (en) 2009-05-16
CN101627421A (zh) 2010-01-13
EP2184735A1 (en) 2010-05-12
RU2437169C2 (ru) 2011-12-20
WO2009031357A1 (ja) 2009-03-12
EP2184735A4 (en) 2011-05-04
RU2009133270A (ru) 2011-03-10
BRPI0807785A2 (pt)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7824A (ko) 화상 표시 장치, 촬상 장치 및 프로그램
US9116610B2 (en) Imaging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WO2017164011A1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表示方法
EP1840700B1 (en) Digital Camera
US20120274831A1 (en) Imaging apparatus, user interface, and associated methodology for a co-existent shooting and reproduction mode
JP2006339766A (ja) 画像記録装置
JP2013098862A (ja) 携帯機器
JP2013021548A (ja) 撮像装置、画像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635477B2 (ja) 画像撮影装置、擬似3次元画像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9087962A1 (ja) 画像処理装置
US7423682B2 (en) Digital camera
JP2008294704A (ja) 表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4235130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5374870B2 (ja) 画像表示装置、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655660B2 (ja) デジタルカメラ、動画編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27534B2 (ja) 撮像装置
JP4211527B2 (ja) プリント画像選択装置及び方法
JP5716806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6806222B2 (ja) 撮像装置
JP4547302B2 (ja) 画像表示装置
JP2006211078A (ja) デジタルカメラ、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02991B2 (ja) 画像表示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151214A (ja) 画像表示装置、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229532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7133063A (ja) 表示制御装置、画像表示装置、撮像装置、表示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