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7324A -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7324A
KR20100047324A KR1020107006249A KR20107006249A KR20100047324A KR 20100047324 A KR20100047324 A KR 20100047324A KR 1020107006249 A KR1020107006249 A KR 1020107006249A KR 20107006249 A KR20107006249 A KR 20107006249A KR 20100047324 A KR20100047324 A KR 20100047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s
emitting diode
dimensional
dimensional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르게 제이. 비어후이젠
제라드 하버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필립스 루미리즈 라이팅 캄파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필립스 루미리즈 라이팅 캄파니 엘엘씨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00047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5/12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light-generating elements, e.g. arranging light-generating elements in differing patterns or dens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발광 다이오드들(LED들)(102)의 1차원 어레이(100)는 상기 LED들을 서로에 근접하여, 예를 들면, 150㎛ 이하로 배치하고 상기 LED들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상기 기판(107)의 에지에 근접하여, 예를 들면, 150㎛ 이하로 배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LED들을 상기 기판의 에지에 근접하게 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1차원 어레이들이 나란히 함께 접합되어, 서로 근접하여 배치된 인접한 1차원 어레이들로부터의 상기 LED들을 갖는 2차원 어레이(160)를 형성할 수 있다. 동일한 1차원 어레이들 및 인접한 1차원 어레이들 상의 LED들 사이의 간격들을 최소화함으로써, 디바이스의 휘도가 개선되어 디바이스를 고휘도 응용에 적합하게 한다. 또한, 다수의 1차원 어레이들을 이용하여 보다 큰 2차원 어레이를 형성하는 것은 종래의 모놀리식 2차원 어레이들에 비하여 수율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LIGHT EMITTING DIODE ARRAY}
본 발명은 발광 디바이스들의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이한 사이즈의 2차원 어레이들을 형성하도록 조합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들의 1차원 어레이들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반도체 발광 디바이스는 효율적인 광원이다. 많은 응용들, 특히 3mm2sr보다 큰 에텐듀(etendue)를 갖는 고휘도 응용들의 경우, 종종 다수의 LED들을 어레이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휘도는 LED들의 서로에 대한 근접의 함수이므로, 그러한 어레이들에서 LED들을 서로 근접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방식으로 어레이들을 형성하기 위해, LED들은 직접 또는 개재하는 서브마운트를 이용하여 모놀리식 기판(monolithic substrate) 위에 개별적으로 마운팅된다. 그러나, 단일 기판에 많은 수의 LED들을 정확히 접착시키는 것은 어렵고 비교적 낮은 수율을 갖는다. 예를 들면, LED당 10% 실패율로, 15개 LED들을 3x5 2차원 어레이로 마운팅하는 것은 대략 21%(90%^15)의 수율을 생성한다.
따라서, LED들이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전체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LED들의 개선된 어레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들(LED들)의 1차원 어레이는 상기 LED들을 서로에 근접하여, 예를 들면, 150㎛ 이하로 배치하고 상기 LED들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상기 어레이의 기판의 에지에 근접하여, 예를 들면, 150㎛ 이하로 배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LED들을 상기 기판의 에지들에 근접하게 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1차원 어레이들이 나란히 함께 접합되어 서로 근접하여 배치된 인접한 1차원 어레이들로부터의 상기 LED들을 갖는 2차원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동일한 1차원 어레이들 및 인접한 1차원 어레이들 상의 LED들 사이의 간격들을 최소화함으로써, 디바이스의 휘도가 개선되어 디바이스를 고휘도 응용에 적합하게 한다. 또한, 다수의 1차원 어레이들을 이용하여 보다 큰 2차원 어레이를 형성하는 것은 종래의 모놀리식 2차원 어레이들에 비하여 수율을 증가시킨다.
도 1은 1차원 발광 다이오드(LED) 어레이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2차원 어레이를 형성하도록 나란히 조합된 복수의 1차원 어레이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2차원 어레이가 마운팅될 수 있는 히트 싱크(heat sink)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위에 있는 LED들에 연결된 냉각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판 위에 마운팅된 2차원 어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2차원 어레이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1차원 어레이에 이용되는 기판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1 및 6의 1차원 어레이의 일부분의 근접도를 나타낸다.
도 8은 LED들을 마운팅하고 개별 1차원 어레이들로 다이싱하기 전에 단일 타일 위에 생성되어 있는 복수의 기판들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콘택트 리드들(contact leads)이 기판의 상면의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1차원 어레이의 다른 실시예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1차원 어레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수의 1차원 어레이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2차원 어레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직렬로 연결된 2개의 1x3 1차원 어레이들로부터 형성된 2x3 2차원 어레이를 나타낸다.
도 13은 LED들이 병렬로 함께 연결되어 있는 1차원 어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LED들)(102)로 채워진(populated) 기판(104)을 포함하는 1차원 발광 다이오드(LED) 어레이(100)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기판(104)은, 도 1의 LED들(102)에 의한 도로부터 감추어져 있으나 도 6에는 도시되어 있는, N 콘택트들(108) 및 P 콘택트들(110)뿐만 아니라, LED들(102)에 대한 N 콘택트 리드(108lead) 및 P 콘택트 리드(110lead)를 형성하도록 패터닝된 도전층으로 덮인 상부 표면을 갖는 절연 베이스(106)를 포함한다. LED들(102)은 기판(104)의 정반대 측면들 상의 N 콘택트 리드(108lead) 및 P 콘택트 리드(110lead)와 직렬로 함께 연결된다.
1차원 어레이(100)는 도 1에서 7개까지의 LED들(102)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원한다면 어레이(100)는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수의 LED들(102)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차원 어레이(100)는 일반적으로 1xN 어레이로 칭해질 수 있고, 여기서 N≥2이다. 도 1에 도시된 어레이(100)와 유사하지만 상이한 수 N의 LED들을 갖는 어레이들이 본 명세에 비추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원한다면, 1차원 어레이(100) 상의 LED 마운팅 위치들 중 하나 이상은 채워지지 않고 단락(short-circuit)될 수 있고, 이것은 도 1에서 LED(102a)의 크로스해칭(cross-hatching)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1차원 1xN 어레이들(100)은 조합되어, 즉, 서로 인접하여 마운팅되어, 2차원 MxN 어레이(200)를 형성할 수 있고, 여기서 M≥2이다. 2차원 어레이(200)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1차원 어레이들(100)은 동일한 수의 LED들(102)로 채워질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1차원 어레이들(100) 중 하나 이상은 소망의 어레이 구성을 생성하기 위해 상이한 수의 LED들(102)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개별 1차원 어레이들(100)을 이용하여 2차원 어레이를 형성하는 것의 이점은 전체 수율이 개선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15개의 LED들의 종래의 모놀리식 2차원 어레이, 예를 들면, 3x5 어레이는 21%(90%^15)의 수율을 가질 수 있는 반면, 5개의 1차원 1x3 어레이들은, 5개의 스트립들을 마운팅하고 서로 근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의 수율이 99%라고 가정할 때, 69%(90%^3*99%^5)의 수율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MxN 어레이(200)가 마운팅될 수 있는 히트 싱크(210)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히트 싱크(210)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 또는 그의 합금들과 같은 열전도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히트 싱크(210)는, 예를 들면, 와이어 본딩에 의해 또는 하부 표면 기판(104)(여기서 기판(104) 내의 스루-비아들(through-vias)(도시 생략)은 상부 표면 상의 N 및 P 콘택트들(108, 110)로의 전기 접촉을 제공함) 상의 솔더-리플로우(solder-reflow)에 의해, 개별 1xN 어레이들(100)의 N 및 P 콘택트 리드들(108, 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리드들(212)을 포함한다. 1차원 어레이들(100)의 기판들(104)은 히트 싱크(210)에 솔더링되어 LED들(102)로부터 1차원 어레이들(100)의 기판을 통해 히트 싱크(210)로 양호한 열 접촉 및 낮은 열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어레이(200)와 유사하고, DBC(direct bond copper) 기판(120)에 연결되는 어레이(200')의 측면도이고, DBC 기판(120)은 히트 파이프(122) 또는 다른 적절한 냉각 인터페이스와의 열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LED들의 위치 아래에 구멍을 갖는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와이어 본드들(124)은 DBC 기판(120)과 N 및 P 콘택트 리드들(108 및 110) 사이의 전기 접촉을 제공한다. 다르게는, DBC 기판(120)과 N 및 P 콘택트 리드들(108 및 110) 사이의 전기 접촉은 파선들로 나타내어진 기판(104) 내의 스루-비아들(126)에 의해 달성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어레이(200')의 상면도이고, 원(circle)은 히트 파이프(122)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레이(200')는, 열 인터페이스를 최적화하기 위해 또는 단순히 소망의 어레이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유리할 수 있는, 변화하는 수의 LED들(102)을 갖는 하나 이상의 1차원 어레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원은 다르게는 라운드 스폿-램프(round spot-lamp)과 같은 광학 시스템의 형상을 나타내고, 여기서 스트립마다 변화하는 수의 LED들은 광학 시스템의 이상적인 형상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 6은 1차원 어레이(100)의 기판(104)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기판(104)은, 예를 들면, 세라믹, Al2O3, AlN, 알루미나, 또는 실리콘 질화물일 수 있는 베이스(106)를 포함한다. 베이스(106)는 LED들에 대한 전기적으로 절연된 N-콘택트들(108) 및 P-콘택트들(110)을 형성하도록 패터닝된 도체 영역들(109)로 덮이고, N-콘택트들(108) 및 P-콘택트들(110)은 그들 사이에 도전성 브리지(conductive bridge)(111)와 직렬 배열된다. 도체 영역들(109)은, 예를 들면, Au 또는 Cu 또는 적합한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부터, 종래 방식으로 증착되고 리소그래피 방식으로 패터닝될 수 있고, 예를 들면, 2㎛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LED 위치들에서의 N 및 P 콘택트들(108 및 110) 위에는 도금된 범프들(112)이 있고, 그것들은 기판(104)에 마운팅될 때 LED들(102)과의 전기 접촉을 제공한다. 도금된 범프들(112)은, 예를 들면, 50%의 면적 피복율(area coverage)을 갖는 두께가 15-30㎛인, 예를 들면, Au 도금일 수 있다.
도 7은 LED(102)의 부분들이 베어내진, 어레이(100)의 일부분의 근접도를 나타낸다. 어레이(100)는, 디바이스의 휘도를 개선하기 위해 LED들(102)이 서로 근접하여 마운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어레이(100)를 리어 프로젝션(rear projection) 시스템과 같은 고휘도 디바이스, 및 포켓 프로젝터와 같은 높은 루멘/와트 시스템에 적합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휘도(luminance) L = Flux/(Area*pi)이고 MxN 어레이에 대한 면적(Area)은 Area = (M*Width_of_LED+(M-1)*Gap_Width)*(N*Length_of_LED+(N-1)*Gap_Length)이다. 따라서, LED들로부터의 동일한 전체 플럭스(total flux)를 가정할 때, 간격_길이(Gap_Length) 또는 간격_폭(Gap_Width)이 클수록, 면적은 더 크고 휘도 L은 더 낮다.
N-콘택트(108) 및 P-콘택트(110)는, 기판(104)에 마운팅될 때, LED들(102) 사이의 간격인, 거리 Dgap이 150㎛ 이하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75㎛ 또는 50㎛와 같이, 100㎛ 이하가 되도록 형성된다. 거리 Dgap을 최소화하기 위해, 2개의 인접한 LED 위치들에 대한 N 콘택트들(110)은 서로 근접하도록, 예를 들면, 거리 Dcontacts가 되도록 구성된다. 최소 거리 Dcontacts 및, 따라서, 거리 Dgap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예를 들면, ±15㎛의 허용 오차를 가질 수 있는, LED 다이 배치가 설명되어야 한다. 만약 거리 Dcontacts가 너무 작다면, LED 다이들은 LED 다이 배치 중에 서로 단락(short out)하거나 접촉할 수 있다. 도금된 범프들(112)의 배치의 제조 허용 오차들도 허용 오차, 예를 들면, ±15㎛에 추가된다. 기판(104) 상의 LED들(102)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어레이(100)의 휘도는 증가된다.
또한, 기판(104)은 LED들(102)의 에지와 베이스(106)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107) 사이의 거리 Dedge가 최소화되도록, 예를 들면, 150㎛ 이하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75㎛ 또는 50㎛와 같이, 100㎛ 이하가 되도록 구성된다. 거리 Dedge를 최소화함으로써, 2개의 인접한 1차원 어레이들(100)로부터의 LED들(102) 사이의 거리는 300㎛ 이하일 것이다. 거리 Dedge를 최소화하기 위해, N 콘택트들(108)은, 인접한 LED 위치 아래의 P 콘택트(110)에 또는 N 콘택트 리드(108lead)에 전기 접촉을 이루는 브리지(111)를 제외하면, 그것들이 최소로 연장하거나 LED들(102)의 에지들을 전혀 넘지 않도록, 즉, 거리 D102가 50㎛ 미만이 되고, 바람직하게는, 0.0㎛와 같이, 25㎛ 이하가 되도록 구성된다. 금속 N 콘택트들(108)을 그것들이 완전히 LED들(102) 아래에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판(104)의 베이스(106)는 금속 콘택트 재료에 접촉함이 없이 LED들(102)의 에지에 매우 근접하여 소잉(saw)될 수 있는데, 금속 콘택트 재료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서로 근접하여 배치될 때 인접한 어레이들과의 단락 위험뿐만 아니라, 베이스(106)의 소잉을 방해하게 될 것이다. 본 실시예는 LED 다이의 파라미터 상의 N 콘택트들을 갖는 LED 플립칩 구성에 기초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LED 다이의 파라미터 상의 P 콘택트들, 또는 LED 다이의 정반대 측면들 상의 N 콘택트 및 P 콘택트들과 같은 다른 구성들에서는, N 콘택트들(108) 및 P 콘택트들(110)의 구성은 본 명세에 비추어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제조시에, 복수의 기판들(104)이 단 하나의 큰 타일로부터 동시에 생성될 수 있다. 예로서, 도 8은 LED들(102)을 마운팅하고 개별 어레이들(100)로 다이싱하기 전에 단일 타일(160) 위에 생성되어 있는 복수의 기판들(104)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기판들(104)이 형성되고, 콘택트 영역들(109) 및 도금된 범프들(112)(도 6)이 형성된 후에, 타일(160) 위에 LED들(102)이 채워진다. LED들(102)은 임의의 소망의 플립-플롭 설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방식으로 사파이어, 실리콘 탄화물, 또는 Ⅲ-질화물 기판들 상에 에피택셜 성장되는, Ⅲ-질화물 디바이스이다. 일단 LED들(102)이 마운팅되면, 종래의 에폭시 언더필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고 그런 다음, 예를 들면, 레이저 리프트 오프(laser lift off) 또는 다른 적절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성장 기판을 제거한다. LED들(102)의 남아 있는 상부 표면은 그 후 광 추출을 개선하기 위해, 예를 들면, PEC(photoelectrochemical) 또는 다른 적절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러프닝(roughen)된다. 그 후, 예를 들면, 소잉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개별 1차원 어레이들(100)이 다이싱되고, 테스트되고, 히트 싱크 상에 마운팅되고 다수의 1xN 단위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기판(104)의 설계들은 와이어 본드에 대한 필요를 제거하고 LED들(102)의 어레이로부터 근접한 파라미터 내에 TVS(transient voltage suppressor)와 같은, LED들보다 더 높은 컴포넌트들을 배치하는 것을 피한다. 따라서, 렌즈들과 같은 광학 컴포넌트들은 LED들의 상부 표면에 근접하여, 예를 들면, 100㎛ 이하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N 콘택트 리드(302lead) 및 P 콘택트 리드(304lead)가 기판(306)의 동일한 측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1차원(1x3) 어레이(300)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1차원 어레이(300)의 단면도이다. 어레이(300)의 사이즈는 도시된 것으로부터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예를 들면, 어레이는 1x2, 1x4 또는 더 클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1은 4개의 1차원 1x3 어레이들(300) 및 4개의 1차원 1x2 어레이들(301)을 이용하여 생성된 2차원 4x5 어레이(350)의 예를 나타낸다. 물론, 보다 적은 또는 추가적인 1차원 어레이들을 이용해서뿐만 아니라 보다 큰 또는 보다 작은 1차원 어레이들을 이용하여 상이한 사이즈의 2차원 어레이들이 생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306)은, 예를 들면, 두께가 2㎛인, Au 또는 Cu의 도전성 하부층(312)을 갖는, 예를 들면, 실리콘의 베이스(310)로부터 형성된다. 절연층(314)이 하부층(312)의 위에 있다. 절연층(314)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물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의 1.5㎛ 두께의 층일 수 있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Au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의 2개의 스루 비아들(316a, 316b)이 절연층(314) 내에 존재한다. 스루 비아(316a)는 P 콘택트 리드(304) 아래에 위치하는 반면, 스루 비어(316b)는 어레이 내의 가장 먼 LED에 대한 P 콘택트 영역 아래에 위치한다. 절연층(314) 위에는, LED들에 대한 콘택트 리드들(302lead 및 304lead) 및 N-콘택트들(302) 및 P-콘택트들(304)을 형성하는, 패터닝된 도체 영역들(318)이 있다. 도체 영역들(318) 위에는, LED들과의 전기 접촉을 제공하는, 도금된 범프들(320)이 있다.
도 12는 2x3 2차원 어레이(400)를 형성하도록 함께 마운팅된 LED들(403)의 2개의 1x3 1차원 어레이들(402)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1차원 어레이들(402)은, 예를 들면, 절연 베이스 위에 있는 패터닝된 금속 콘택트들을 갖는, 도 1에서 설명된 어레이(100)와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1차원 어레이들(402)은, 하나의 어레이의 N 콘택트(410)를 다른 어레이의 플러스 콘택트(412)에 연결하는 점퍼(408)와 함께, 도전성 리본들(405 및 407)을 통해, 플러스 리드(404)와 마이너스 리드(406)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어레이들(402)은 히트 싱킹(heat sinking)을 위한 슬러그(414) 상에 마운팅되고 플라스틱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의 몰딩된 바디(416)에 의해 둘러싸인다. 1차원 어레이들(402)은 또한 TVS 다이오드들(418)을 포함한다. 도 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레이들(402)은 LED들(403)의 하나의 측면만이 기판의 에지에 근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점퍼(408), 리본들(405 및 407), 및 TVS 다이오드들(418)과 같은, LED들(403)보다 높은 컴포넌트들은 LED들에 근접한 파라미터의 외부에, 예를 들면, 0.5mm보다 더 멀리, 더 구체적으로는 1mm 또는 2mm보다 더 멀리 배치된다. 따라서, 렌즈들과 같은 광학 컴포넌트들은 점퍼(408), 리본들(405 및 407), 및 TVS 다이오드들(418)로부터의 방해 없이 LED들의 어레이에 근접하여, 예를 들면, 100㎛ 미만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LED들(501)(LED들의 일부분만이 도시되어 있음)이 N 콘택트들(502) 및 P 콘택트들(504)을 통해 병렬로 N 콘택트 리드(502lead) 및 P 콘택트 리드(504lead)에 연결되어 있는 1차원 어레이(5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따라서, N 콘택트들(502)은 함께 연결되고 P 콘택트들(504)은 함께 연결된다.
본 발명은 교육 목적으로 특정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개조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항들의 정신 및 범위는 전술한 설명에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4)

  1. 발광 다이오드들의 1차원 어레이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1차원 어레이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전기 도전성 콘택트 영역들을 갖는 기판; 및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하고,
    각 발광 다이오드는 플립칩 구성을 갖고 상기 복수의 도전성 콘택트 영역들 중 하나의 도전성 콘택트 영역 상에 마운팅되고, 각 발광 다이오드는 다른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150㎛ 이하만큼 분리되고 각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으로부터 150㎛ 이하만큼 분리되어 있는 에지를 갖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 표면의 정반대 측면들 상의 플러스 콘택트 리드(positive contact lead) 및 마이너스 콘택트 리드(negative contact lead)를 더 포함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 표면의 동일한 측면들 상의 플러스 콘택트 리드 및 마이너스 콘택트 리드를 더 포함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영역들은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아래의 플러스 콘택트 영역이 인접한 발광 다이오드 아래의 마이너스 콘택트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은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아래의 플러스 콘택트 영역이 인접한 발광 다이오드 아래의 플러스 콘택트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콘택트 영역들을 통해 병렬로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각 콘택트 영역은 위에 있는 발광 다이오드의 에지로부터 50㎛를 넘어 연장하지 않는 측면을 갖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각 발광 다이오드는 다른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100㎛ 이하만큼 분리되고 각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으로부터 100㎛ 이하만큼 분리되어 있는 에지를 갖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들의 2차원 어레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발광 다이오드들의 복수의 1차원 어레이들을 더 포함하고, 각 1차원 어레이 상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인접한 1차원 어레이 상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300㎛ 미만에 있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원 어레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1차원 어레이는 나머지 1차원 어레이들과는 상이한 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갖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높이를 갖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 중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2mm보다 더 근접해 있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보다 더 큰 높이를 갖는 컴포넌트는 없는 장치.
  11. 발광 다이오드들의 2차원 어레이로서,
    발광 다이오드들의 복수의 1차원 어레이들을 포함하고, 발광 다이오드들의 각 1차원 어레이는 기판 상에 마운팅된 복수의 플립칩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하고, 기판 상의 각 발광 다이오드는 동일한 기판 상의 다른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150㎛ 이하만큼 분리되고 각 발광 다이오드는 인접한 1차원 어레이 상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300㎛ 이하만큼 분리되는 발광 다이오드들의 2차원 어레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어레이는 MxN 어레이이고, M≥2 및 N≥2이고, M개의 1차원 어레이들이 있고 상기 M개의 1차원 어레이들 각각은 1xN 어레이인 발광 다이오드들의 2차원 어레이.
  13. 제11항에 있어서, 각 1차원 어레이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 아래에 있는 상기 기판 상의 도전성 콘택트 영역들을 더 포함하고, 각 콘택트 영역은 위에 있는 발광 다이오드의 에지로부터 50㎛를 넘어 연장하지 않는 측면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들의 2차원 어레이.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높이를 갖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 중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2mm보다 더 근접해 있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보다 더 큰 높이를 갖는 컴포넌트는 없는 발광 다이오드들의 2차원 어레이.
KR1020107006249A 2007-08-23 2008-08-22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KR201000473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44,279 2007-08-23
US11/844,279 US20090050921A1 (en) 2007-08-23 2007-08-23 Light Emitting Diode Arr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324A true KR20100047324A (ko) 2010-05-07

Family

ID=40089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249A KR20100047324A (ko) 2007-08-23 2008-08-22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90050921A1 (ko)
EP (1) EP2183521A1 (ko)
JP (1) JP2010537419A (ko)
KR (1) KR20100047324A (ko)
CN (1) CN101821543A (ko)
RU (1) RU2010110808A (ko)
TW (1) TW200929521A (ko)
WO (1) WO20090249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758B1 (ko) * 2013-07-09 2015-02-06 피에스아이 주식회사 초소형 led 전극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1806A2 (en) 2004-12-27 2006-07-06 Quantum Paper, Inc. Addressable and printable emissive display
US9425357B2 (en) 2007-05-31 2016-08-23 Nthdegree Technologies Worldwide Inc. Diode for a printable composition
US8809126B2 (en) 2007-05-31 2014-08-19 Nthdegree Technologies Worldwide Inc Printable composition of a liquid or gel suspension of diodes
US8415879B2 (en) 2007-05-31 2013-04-09 Nthdegree Technologies Worldwide Inc Diode for a printable composition
US9343593B2 (en) 2007-05-31 2016-05-17 Nthdegree Technologies Worldwide Inc Printable composition of a liquid or gel suspension of diodes
US9419179B2 (en) 2007-05-31 2016-08-16 Nthdegree Technologies Worldwide Inc Diode for a printable composition
US8674593B2 (en) 2007-05-31 2014-03-18 Nthdegree Technologies Worldwide Inc Diode for a printable composition
US8846457B2 (en) 2007-05-31 2014-09-30 Nthdegree Technologies Worldwide Inc Printable composition of a liquid or gel suspension of diodes
US9018833B2 (en) 2007-05-31 2015-04-28 Nthdegree Technologies Worldwide Inc Apparatus with light emitting or absorbing diodes
US8456392B2 (en) 2007-05-31 2013-06-04 Nthdegree Technologies Worldwid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photovoltaic or other electronic apparatus and system
US8852467B2 (en) 2007-05-31 2014-10-07 Nthdegree Technologies Worldwid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printable composition of a liquid or gel suspension of diodes
US9534772B2 (en) 2007-05-31 2017-01-03 Nthdegree Technologies Worldwide Inc Apparatus with light emitting diodes
US8877101B2 (en) 2007-05-31 2014-11-04 Nthdegree Technologies Worldwid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power generating or other electronic apparatus
US8133768B2 (en) 2007-05-31 2012-03-13 Nthdegree Technologies Worldwid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photovoltaic or other electronic apparatus and system
US8889216B2 (en) 2007-05-31 2014-11-18 Nthdegree Technologies Worldwid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ddressable and static electronic displays
US20090154137A1 (en) * 2007-12-14 2009-06-18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Illumination Device Including Collimating Optics
US8127477B2 (en) 2008-05-13 2012-03-06 Nthdegree Technologies Worldwide Inc Illuminating display systems
US7992332B2 (en) 2008-05-13 2011-08-09 Nthdegree Technologies Worldwide Inc. Apparatuses for providing power for illumination of a display object
TWI425277B (zh) 2010-02-02 2014-02-01 Delta Electronics Inc 發光二極體背光模組及其背光驅動模組
JP2016189488A (ja) * 2016-07-07 2016-11-04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US11024611B1 (en) * 2017-06-09 2021-06-01 Goertek, Inc. Micro-LED array transfer method,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0756A (en) * 1974-08-16 1976-02-24 Monsanto Company Integrated composit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isplay array having LED's and selectively addressable memory elements
DE3685501T2 (de) * 1985-02-04 1993-01-28 Sony Corp Abtast- und halteschaltung.
US5660461A (en) * 1994-12-08 1997-08-26 Quantum Devices, Inc. Arrays of optoelectronic devic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307527B1 (en) * 1998-07-27 2001-10-23 John S. Youngquist LED display assembly
US7635203B2 (en) * 2003-05-05 2009-12-22 Lumination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LED panel lamp systems
US7482638B2 (en) * 2003-08-29 2009-01-27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Package for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PT1756876E (pt) * 2004-04-12 2011-06-02 Phoseon Technology Inc Rede de led de alta densidade
US7361938B2 (en) * 2004-06-03 2008-04-22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Luminescent ceramic for a light emitting device
US20070267646A1 (en) * 2004-06-03 2007-11-22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 Photonic Crystal and a Luminescent Ceramic
DE102004036157B4 (de) * 2004-07-26 2023-03-16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lektromagnetische Strahlung emittierendes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Leuchtmodul
JP2008508706A (ja) * 2004-07-27 2008-03-2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発光ダイオードアセンブリ
US7329982B2 (en) * 2004-10-29 2008-0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ED package with non-bonded optical element
US7221044B2 (en) * 2005-01-21 2007-05-22 Ac Led Lighting, L.L.C. Heterogeneous integrated high voltage DC/AC light emitter
US7234820B2 (en) * 2005-04-11 2007-06-26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Illuminators using reflective optics with recycling and color mixing
US8163580B2 (en) * 2005-08-10 2012-04-24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Multiple die LED and lens optical system
EP1952450A1 (en) * 2005-11-22 2008-08-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rrays of light emitting articl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7200730A (ja) * 2006-01-27 2007-08-09 Casio Comput Co Ltd 光源ユニット、光源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US7663152B2 (en) * 2006-08-09 2010-02-16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Illumination device including wavelength converting element side holding heat sin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758B1 (ko) * 2013-07-09 2015-02-06 피에스아이 주식회사 초소형 led 전극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24951A1 (en) 2009-02-26
CN101821543A (zh) 2010-09-01
EP2183521A1 (en) 2010-05-12
TW200929521A (en) 2009-07-01
US20090050921A1 (en) 2009-02-26
RU2010110808A (ru) 2011-09-27
JP2010537419A (ja) 201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7324A (ko)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JP5030372B2 (ja) 半導体発光デバイス用の実装
US9172012B2 (en) Multi-chip light emitter packages and related methods
US10431567B2 (en) White ceramic LED package
JP4325412B2 (ja)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5113349B2 (ja) Rgb熱隔離基板
US9590155B2 (en) Light emitting devices and substrates with improved plating
US20150062915A1 (en) Light emitting diode devices and methods with reflective material for increased light output
US20120086024A1 (en) Multiple configuration light emitting devices and methods
US10234119B2 (en) Multiple voltage light emitter packag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JP2012508457A (ja) マルチチップ発光ダイオードモジュール
KR101400271B1 (ko) 광디바이스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디바이스
JP2011249737A (ja) リードフレーム、配線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ledユニット
US9589940B2 (en) Light emitting device
CN109314170B (zh) 用于优化的热阻、焊接可靠性和smt加工良率的led金属焊盘配置
JP7193698B2 (ja)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KR101051489B1 (ko) 발광 다이오드 유닛의 제조 방법과,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발광 다이오드 유닛
CN116314526A (zh) 用于优化的热阻、焊接可靠性和smt加工良率的led金属焊盘配置
KR20150142121A (ko) 반도체 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