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9280A - 포장 제과 제품 - Google Patents

포장 제과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9280A
KR20100039280A KR1020097026148A KR20097026148A KR20100039280A KR 20100039280 A KR20100039280 A KR 20100039280A KR 1020097026148 A KR1020097026148 A KR 1020097026148A KR 20097026148 A KR20097026148 A KR 20097026148A KR 20100039280 A KR20100039280 A KR 20100039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wing gum
confectionery product
packaged
packaging
gum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6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스퍼 네르가드
Original Assignee
굼링크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굼링크 에이/에스 filed Critical 굼링크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00039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2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0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of the chewing gum ba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1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aerat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fectioner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츄잉 검 조성물 및 상기 츄잉 검 조성물에 대해 습기 장벽(humidity barrier)을 형성하는 포장 조립체(package assembly)(11; 21; 31; 41)를 포함하는 포장 제과 제품(packaged confectionary product)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제과 제품이 포장 내에 담긴 츄잉 검 조성물에 대한 습기 장벽을 포함하는 포장 조립체 내에 캡슐화되는 경우, 검 중합체의 전-분해(pre-degradation)의 상당한 감소가 수득될 수 있다.
생분해성 츄잉 검, 포장 조립체, 습기 장벽.

Description

포장 제과 제품{Packaged confectionary product}
본 발명은 제1항에 따른 포장 제과 제품에 관한 것이다.
츄잉 검이 생분해성 검 중합체(biodegradable gum polymer)에 기반될 수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그와 같은 개시의 예가 WO 00/19837 및 US 5,672,367에 주어질 수 있다.
생분해성 츄잉 검과 관련된 다른 문제들이 과거에 다루어졌다. 생분해성 츄잉 검의 분야 내에서 그와 같은 과제의 예는 예를 들면, 질감(texture), 방출(release) 및 분해성(degradability)일 수 있다. 선행 기술의 생분해성 츄잉 검과 관련된 문제는 환경에서 처리될 때, 원하는 분해를 수득하는 것이고 이 문제는 다수의 상이한 방법, 예를 들면, 원하는 분해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합체의 적용, 또는 츄잉시 적용되는 경우 처리 후에 분해 과정을 증진시키는 효소의 적용에 의해 다루어지고 있고 다루어질 수 있다.
선행 기술에서, 츄잉 검의 생분해성 성분들은 주로 수 불용성과 대조적으로, 수용성 또는 수 추출성(water extractable) 성분들이었다. 그와 같은 생분해성, 수 추출성 츄잉 검 성분들은 예를 들면, 상이한 종류의 감미제(예를 들면, 폴리덱스트로오스, 이눌린), 전분 또는 기타 다당류, 연화제(softener), 산 등과 같은 수용성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성분들 중 여러 개가 친수성이고 생분해성이다.
그러나, 생분해성 츄잉 검 또는 수 불용성이나 수 난용성(only slighly soluble)인 생분해성 검 중합체를 포함하는 츄잉 검과 관련된 여러 문제들 중 하나는 이 생분해성 검 중합체 및 수용성/수 추출성 분해성 츄잉 검 성분들이 츄잉 검에 적용되는 경우 츄잉 전, 츄잉 동안, 및 츄잉 후에 매우 상이하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수용성이거나 또는 수 추출성, 생분해성 중합체 성분들은 일반적으로 츄잉 동안 츄잉 검으로부터 타액 내로 추출되고 소화계에서 분해될 수 있도록 삼켜진다. 또한, 물에 용해되기 보다는 가소성(plasticize)인 전분은 타액 내의 아밀라아제 효소의 존재 때문에 츄잉 동안 이미 분해되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수 불용성, 생분해성 검 중합체 및 단백질 기반 화합물은 츄잉 동안 츄잉 검 조성물에 유지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츄잉 후에 다른 츄잉 검 잔류물과 함께 처리된다.
여러 다른 문제들 중에서, 본 발명은 수 불용성/수 난용성(slightly soluble) 생분해성 검 중합체와 수용성/수 추출성 츄잉 검 성분들 간의 분해 시기를 정하고 또한 츄잉 검의 전체 특성을 상기 츄잉 검 제품의 츄잉 동안 사용자의 기대와 부합시키는 문제를 다룬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생분해성 츄잉 검 조성물 및 상기 생분해성 츄잉 검 조성물에 대한 습기 장벽(humidity barrier)을 형성하는 포장 조립체(package assembly)를 포함하는 포장 제과 제품(packaged confectionary product)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제과 제품이 포장 내에 담긴 츄잉 검 조성물에 대한 습기 장벽을 포함하는 포장 조립체 내에 캡슐화되는 경우, 검 중합체의 전-분해(pre-degradation)(즉, 츄잉 검의 츄잉 전 분해)의 상당한 감소가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포장의 외부로부터 생분해성 츄잉 검 조성물로의 습기, 예를 들면, 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습기 장벽을 형성하는 것은 상승된 온도에서도 낮은 전-분해의 경향을 보일 수 있는 안정한 제품을 가져온다.
츄잉검 제품은 코어(core), 스틱, 구(ball), 입방체(cube), 및 기타 원하는 형태로 제조되고, 선택적으로 포장 전에 코팅 및 연마(polishing) 공정이 적용될 수 있다.
포장 조립체의 밀봉(sealing)은 예를 들면, 포장된 츄잉 검 주위에 단순히 접혀진 판지 또는 중합체 기반 포장재(wrapping)를 포함하는 포장에 비해 매우 유리하며, 이는 접힌 선들이 불가피하게 공기 및 수분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습기 장벽은 임계적 이동(critical migration)을 방지하는 장벽을 의미한다. 이는 초기 단계 동안, 즉, 제조와 소비자가 최초로 포장 조립체를 개봉하는 시점 간의 기간 동안, 생분해성 츄잉 검 조성물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까지 습기 이동을 감소시키는 장벽의 이용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구 "검 중합체(gum polymer)"는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 기반 화합물을 의미한다. 그와 같은 단백질 기반 화합물의 예는 프롤라민(prolamine), 제인(zein), 옥수수 글루텐 가루(corn gluten meal), 밀 글루텐, 글리아딘(gliadin), 글루테닌(glutenin)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유리한 구체예에 따르면, 생분해성 중합체는 합성물(synthetic)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습기 장벽(HB)이 밀봉된다.
습기 장벽의 밀봉은 투습도(moisture vapour transmission rate, MVTR)가 낮게 유지되는 한, 접착제, 열 밀봉, 기계적 밀봉(mechanical sealing)과 같은 공지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포장 조립체는 블리스터 패키지(blister packag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포장 조립체는 플라스틱 용기를 포함한다. 플라스틱 용기는 예를 들면, 병(ajar), 통(tub), 또는 밀봉될 수 있는 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포장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포장 조립체는 백(bag)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포장 조립체는 기계적으로 형성된 습기 전달 통로(humidity transmission duct) 없이 습기 밀봉(humidity sealing)으로 형성된 장벽 형성 랩핑(wrapping) 필름(예를 들면, 셀로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포장 조립체는 기계적으로 형성된 습기 전달 통로 없이 습기 밀봉으로 형성된 판지 상자(cardboard box)를 포함한다.
전술된 두 개의 포장 조립체들은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 적어도 MVTR을 낮게 유지시키는 습기 밀봉을 갖도록 제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습기 장벽은 중합체 물질을 포함한다.
중합체 물질에 의해 형성된 적합한 습기 장벽의 예는 플라스틱 용기일 수 있다. 용기는 개봉가능한(breakable) 밀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봉은 예를 들면, 제거시 상기 포장 조립체의 내부 및 그에 의해 검 조성물에 접근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접근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경우, 재밀봉될 수 있게 하는 뚜껑(lid)을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습기 장벽은 중합체 함유 필름 물질을 포함한다.
중합체 물질 필름에 의해 형성된 적합한 습기 장벽의 예는 단일 층 또는 적층된 중합체 필름으로 제조된 밀봉된 백일 수 있다. 백은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한 밀봉, 필름의 열 밀봉(heat sealing) 또는 임의의 적합한 신뢰가능한 밀봉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은 1회 개봉형(one-time only breakable)이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재-밀폐가능한(re-closable)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습기 장벽은 적층물(laminate)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습기 장벽은 둘 이상의 적층된 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층들은 예를 들면, 상이한 종류의 중합체 필름 및/또는 금속 필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금속 필름의 변이체는 금속증착 중합체 필름(metalized polymer fil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장벽은 하나 이상의 금속 포일을 포함한다.
금속 포일은 유리하게는 매우 낮은 투습도(MVTR)을 수득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포장 조립체의 금속 포일이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중합체 필름에 적층되어, 2층, 3층, 또는 그 이상의 다중층 적층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장벽은 하나 이상의 알루미늄 포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츄잉 검 조성물은 개별적으로 밀봉된 구획 중의 포장 조립체 내에 담겨 있다.
츄잉 검 조성물을 포장 조립체 내의 서브-구획 내에 유지시키는 적합한 방법의 예는 예를 들면, 다수의 츄잉 검 조각들이 개별적으로 밀봉된 구획 내에 유지되는 것인 소위 블리스터 패키지(blister packag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츄잉 검 조성물은 공유된 밀봉 구획(shared sealed compartment) 중의 포장 조립체 내에 담긴다.
하나의 구획 내에 보다 많은 수의 츄잉 검 조각들을 유지시키는 경우, 밀봉의 개봉이 최초의 겁근 후 남은 츄잉 검 조각들의 전-분해를 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 조립체가 재-밀폐가능한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츄잉 검 조성물은 재-밀폐가능한 포장 조립체 내에 담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포장은 지퍼 밀봉(zipper sealing), 접착제 등에 의해 재-밀폐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츄잉 검 조성물은 코팅된 츄잉 검 조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츄잉 검 조각
츄잉 검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조각으로 제조되어 사용자가 츄잉 검 조성물을 츄잉하게 있다. 츄잉 검 조각의 형태 및 크기는 츄잉 및 밀봉된 포장 조립체 내의 보관을 위해 적합한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포장 조립체는 진공 포장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질소와 같은 하나 이상의 불활성 기체를 포함한다.
의도하지 않은 산소 유발 분해를 피하기 위해 유리하게 포장 조립체의 내적(inner volume) 내의 제어된 대기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포장 물질의 투습도(MVTR)는 DIN 23℃, 85% RH/DIN 53122에 관해 10g/m2/24hr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포장 물질(packging material)의 투습도(MVTR)는 DIN 23℃, 85% RH/DIN 53122에 관해 5g/m2/24hr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포장 물질의 투습도(MVTR)는 DIN 23℃, 85% RH/DIN 53122에 관해 3g/m2/24hr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포장 물질의 투습도(MVTR)는 DIN 23℃, 85% RH/DIN 53122에 관해 2g/m2/24hr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포장 물질의 투습도(MVTR)는 DIN 23℃, 85% RH/DIN 53122에 관해 1g/m2/24hr 미만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포장 물질의 MVTR은 약 21℃보다 높은 온도에서 전-분해를 막기 위해, DIN 23℃, 85% RH에 관해 약 1g/m2/24hr 미만으로 낮아야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포장 물질의 MVTR/WVTR(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은 ASTM (38℃ 90 % RH/F1249)에 관해 1g/m2/24hr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생분해성 검 중합체는 수지(resinous)이거나 또는 탄성중합체(elastomeric)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내적은 재-밀폐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포장 조립체의 내적은 광 차단층(light barrier, LB)에 의해 캡슐화된다.
광 차단층은 예를 들면, 다른 중합체 필름에 적층될 수 있는, 금속증착 필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차단층은 예를 들면, 환경으로부터의 광, 예를 들면, 태양광에 의해 유발되거나 또는 가속되는 전-분해를 막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츄잉 검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포함한다.
폴리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고리형 에스테르의 중합을 통해 수득된 폴리에스테르 및 이작용기(difunctional)- 또는 다작용기(polyfunctional) 산과 이작용기 또는 다작용기 알코올의 축합 과정을 통해 수득된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중합체의 변형은 다른 적합한 종류의 중합 과정 및 변형을 통해 수득된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는 단백질, 예를 들면, 프롤라민, 예를 들면, 제인, 옥수수 글루텐, 밀 글루텐, 글리아딘, 글루테닌, 및 이들의 조합에 수소결합된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작용기 산 또는 다작용기 산과 이작용기 알코올 또는 다작용기 알코올에 기반하여 형성된 폴리에스테르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상기 공지된 방법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 US2007/043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츄잉 검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프롤라민 조성물인 단백질 조성물을 포함한다.
프롤라민 조성물은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롤라민 및 하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롤라민은 예를 들면, 제인, 옥수수 글루텐 가루(corn gluten meal), 밀 글루텐, 글리아딘, 글루테닌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중합체를 제공하는 방법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 US2004/001903에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츄잉 검 조성물은 프롤라민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츄잉 검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츄잉 검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츄잉 검 조성물은 중심-충진형 츄잉 검(centre filled chewing gum)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츄잉 검 조성물은 압착된 츄잉 검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츄잉 검 조성물은 코팅을 갖도록 제조된다.
코팅은 예를 들면, 연질 코팅(soft coating), 경질 코팅(hard coating), 필름 코팅 또는 임의의 적합한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이 전-분해를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포장 조립체의 수분 함량은 포장된 츄잉 검 조성물의 중량의 2.5%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포장 조립체의 수분 함량은 포장된 츄잉 검 조성물의 중량의 2.0%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포장 조립체의 수분 함량은 포장된 츄잉 검 조성물의 중량의 1.5%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포장 조립체의 수분 함량은 상기 츄잉 검 조성물의 약 2개월의 보관 후에 포장된 츄잉 검 조성물의 중량의 3.0%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포장 조립체의 수분 함량은 상기 츄잉 검 조성물의 약 2개월의 보관 후에 포장된 츄잉 검 조성물의 중량의 2.0% 미만이다.
상세한 설명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생분해성(biodegradable)"은 광범위하게 환경적 영향, 예를 들면, 습기, 물, 열, 태양광, UV광, 세척 등에 노출된 경우, 적용된 검 중합체가 분해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생분해성"은 또한 화학적 분해(예를 들면, 가수분해) 및 물리적 분해(예를 들면, 광-유도 분해)를 의미한다. 자연에 남겨진 츄잉 검 잔류물이 환경에 방치된 경우, 사라지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해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나, 생분해성은 또한 능동적으로 유도된 수단 또는 물리적 인자에 의해 분해가 증가, 유발 또는 가속되는 것인 보다 능동적인 과정, 예를 들면, 효소에 의한 분해를 의미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그와 같은 능동적 수단은 예를 들면, 반드시 즉각적인 제거를 촉진하기 보다는 츄잉 검 잔류물의 분해를 유도할 목적의 세정제(cleaning agent)의 이용에 관한 것일 수 있다. 그와 같은 환경적 분해는 물론 츄잉 검 잔류물의 완전한 분해를 의미할 수 있으나, 또한, 다수의 경우에 표면으로의 점착(tack)을 방지하여 표면으로의 비-점착(non-tack)을 수득하거나, 또는 적어도 이미 표면에 고정된 잔류물의 표면으로부터의 방출을 수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구 "검 중합체(gum polymer)"는 츄잉 검의 기본 특성, 즉, 츄잉 검이 구강 내에서 츄잉될 때, 수분 내지 수 시간 내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의 특성을 한정하는 중합체 물질을 의미한다. 그와 같은 검 중합체는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츄잉 검의 "검 백본(gum backbone)"의 주요한 기능부로 적용된 탄성중합체 및/또는 수지성 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적합하게 가소화되는 경우, 그와 같은 백본은 하나 이상의 탄성중합체 단독에 의해, 또는 하나 이상의 수지성 중합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그와 같은 검 중합체와 검 조성물에서의 이들의 용도는 구별되지 않으며, 검 중합체는 광범위하게 검 특성을 제공하는 츄잉 검의 츄잉 내성부(chew resistant part)를 의미한다. 그와 같은 검 중합체는 검 베이스 중합체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구 "검 중합체(gum polymer)"는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 기반 화합물(protein based compound)을 의미한다. 그와 같은 단백질 기반 화합물의 예는 프롤라민, 제인, 옥수수 글루텐 가루, 밀 글루텐, 글리아딘, 글루테닌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수의 중요한 이슈들을 입증하기 위해 다수의 실시예가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는 생분해성 검 중합체 및 비-생분해성(non-biodegradable) 검 중합체에 기반한 다수의 츄잉 검의 제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른 츄잉 검 제품을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츄잉 검 제품을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른 츄잉 검 제품을 예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른 츄잉 검 제품을 예시한다.
실시예 1
통상적인 부틸 고무(conventional butyl rubber), 천연 수지 및 저 분자량(Mw) PVA가 제공되었다. 그 혼합물은 실시예 5에서 특정된다.
실시예 2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 WO2004/028269의 기재에 따른 폴리 락트산 기반 중합체가 제공되었다.
실시예 3A
폴리에스테르에 수소 결합된 프롤라민에 기반하여 폴리에스테르 기반 중합체 블렌드(blend)를 제조하였다. 상기 중합체 블렌드는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 US 6,858,238 B2의 개시에 따라 제공된다.
실시예 3B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 US 5,482,722에 따른 제인 기반 중합체가 제공되었다.
실시예 4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 US2007/043200의 개시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가 제공되었다.
뒤이어 하기의 조성에 따라 다수의 츄잉 검을 제조하였다. 방법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 WO2006066576에 개시된 이-단계 공정에 따라 수행하였다. 다른 적합한 혼합 공정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5 - 9
Figure 112009077403453-PCT00001
실시예 10
실시예 5 내지 9의 츄잉 검을 분해 시기(timing of degradation)에 대해 평 가하였다.
평가는 3 단계에 대해 수행하였다: 츄잉 전 단계(초기 단계), 츄잉 동안의 단계(츄잉 단계), 및 최종적으로 츄잉 후 단계(츄잉 후 단계).
초기 단계(initial phase)는 실시예 5 내지 8에 따른 츄잉 검의 제조 후에 1일 동안 지속되었고 시료를 포장 없이 약 55%의 상대적 습도 및 약 21℃의 온도에서 공기 중에 보관하였다.
츄잉 단계는 약 37℃의 온도, 즉, 구강 온도에서 약 15분 동안 지속되었다. 수용성/수 추출성(water extractable) 성분(본 실시예에서 "비-검 중합체 성분(non-gum polymer ingredient)"으로 표시됨), 예를 들면, 감미제 및 일부 향료 성분들의 주요 부분이 츄잉 검으로부터 방출되었다. 그 후, 뒤이은 츄잉 후 단계(after chew phase)에서 나머지 츄잉 검 덩어리를 평가하였다.
츄잉 후 단계는 초기 단계와 동일한 조건 하에, 즉, 약 55%의 상대적 습도 및 약 21℃의 온도 하에 6개월 동안 지속되었다.
Figure 112009077403453-PCT00002
츄잉 직전에 초기 단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OK" 표시는 육안 테스트가 평가된 츄잉 검에 대해 감미제의 분해 또는 이동의 징후를 보이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냈다.
츄잉 단계는 풍미 및 질감(texture)에 대해 평가하였다. 모든 제공된 실시예는 허용가능한 풍미 및 질감을 가졌다. "OK" 표시는 불괘감이 발견되지 않았고, 허용가능한 풍미 및 질감은 비-검 중합체 성분 및 검 중합체 모두가 상당한 분해를 개시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냈다.
츄잉 후 단계는 주로 풍미 및 질감에 대해 평가하였다. 생분해성 츄잉 검은 변질(off-note) 및 열화되는 질감의 표시에 의해 분해의 명확한 징후를 보였다. 이 단계에서, "OK" 표시는 원하는 분해가 개시되었고 이 분해는 비-검 중합체 성분들의 주요 부분은 츄잉 동안 추출되었기 때문에 검 중합체에 대한 것이다. 이 단계 에서, 용어 "Not OK"는 분해의 표시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1
실시예 5 내지 9의 츄잉 검을 변형된 조건 하에서 분해 시기에 대해 평가하고, 실시예 10의 평가보다 다소 더 긴 초기 단계에 기반하여 평가를 수행하였다.
역시, 평가는 3 단계에 대해 수행하였다: 츄잉 전 단계(초기 단계), 츄잉 동안의 단계(츄잉 단계), 및 최종적으로 츄잉 후 단계(츄잉 후 단계).
초기 단계는 실시예 5 내지 8에 따른 츄잉 검의 제조 후에 2개월 동안 지속되었고 시료를 포장 없이 약 55%의 상대적 습도 및 약 21℃의 온도에서 공기 중에 보관하였다.
츄잉 단계는 약 37℃의 온도, 즉, 구강 온도에서 약 15분 동안 지속되었다. 수용성/수 추출성 성분(본 실시예에서 "비-검 중합체 성분"로 표시됨), 예를 들면, 감미제 및 일부 향료 성분들의 주요 부분이 츄잉 검으로부터 방출되었다. 그 후, 뒤이은 츄잉 후 단계에서 잔류된 츄잉 검 덩어리를 평가하였다.
츄잉 후 단계는 초기 단계와 동일한 조건 하에, 즉, 약 55%의 상대적 습도 및 약 21℃의 온도 하에 6개월 동안 지속되었다.
Figure 112009077403453-PCT00003
츄잉 직전에 초기 단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OK" 표시는 육안 테스트가 평가된 츄잉 검에 대해 감미제의 분해의 징후를 보이지 않았고, 감미제의 이동의 약한 징후를 보였다는 것을 나타냈다.
츄잉 단계는 풍미 및 질감에 대해 평가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실험 조건은 육안 평가가 전-분해의 약한 징후만을 보였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풍미와 질감 특성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했다. 평가된 츄잉 검이 비교적 낮은 수분 함량으로 제제화되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생분해성 검 중합체에 기반한 모든 평가된 츄잉 검이 약 10분의 츄잉 후에 강한 변질(off-note)을 보였기 때문에, 분해의 강한 표시 를 관찰하였다. 테스트된 츄잉 검 중 일부에 대해 이 변질은 분해된 검 중합체로부터 초래된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 잔류들로부터 유래했다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이 분해 잔류물로부터 초래된 변질은 상당하고 중간 츄잉 시간 내지 긴 츄잉 시간에서 차단(mask)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 주목된다.
통상적인 비-분해성 검 중합체에 기반한 실시예 5의 츄잉 검은 풍미 변질(off-taste)을 보이지 않았다.
츄잉 단계의 최초 수분 동안, 생분해성 검 중합체에 기반한 모든 츄잉 검의 풍미는 허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실시예 10에서 관찰된 풍미와 유사했다. 이는 비-검 중합체 성분들은 검 중합체에 비해 보다 긴 보관 시간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는 것을 나타냈다.
다시, 츄잉 후 단계는 주로 풍미 및 질감에 대해 평가하였다. 생분해성 츄잉 검은 변질(off-note) 및 열화되는 질감의 표시에 의해 분해의 명확한 징후를 보였다. 이 단계에서, "OK" 표시는 원하는 분해가 개시되었고 이 분해는 비-검 중합체 성분들의 주요 부분은 츄잉 동안 추출되었기 때문에 검 중합체에 대한 것이다. 이 단계 에서, 용어 "Not OK"는 분해의 표시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생분해성 검 중합체와 다른 생분해성 츄잉 검 성분들이 완전히상이하게(out of phase) 분해되고 특히, 최종-소비자에 의한 츄잉 전 보관과 유통의 합리적인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검 중합체의 원치않는 전 분해가 해소되어야 한다는 것이 확립되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6 내지 8의 츄잉검을 본 발명의 기재에 따라 분해 시기에 대해 평가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평가는 츄잉 직후, 츄잉 검의 상태, 즉, 츄잉 검이 본 발명의 기재에 따라 포장되고 보관된 경우, 츄잉 검의 결과적인 성능에 중점을 두었다.
실시예 6 내지 8의 츄잉 검 조성물의 제조 직후에, 츄잉 검을 늘이고(roo) 포장 전에 츄잉 검으로 자국을 내었다(score). 코어(core)를 약 50%의 상대적 습도 및 약 21℃의 온도에서 포장하였다.
테스트는 실시예 6 내지 8의 생분해성 검 중합체에 기반한 츄잉 검을 담기 위한 상이한 종류의 포장 조립체의 적용을 포함했다. 적용된 포장 종류는 적층형 종이 랩핑(laminated paper-wrapping), PE 필름으로 싸인 판지 플립 탑 상자(cardboard flip top box), 도 1a 및 1b에 따른 블리스터 패키지(blister package), 도 4에 따른 플라스틱 용기, 도 3에 따른 알루미늄 백(alu bag) 및 진공 백이었다.
적층형 종이-랩핑은 츄잉 검 코어를 기계적으로 둘러싼 통상적인 츄잉 검 포장, 즉, 비-밀봉형 포장에 해당한다. 플립-탑 상자는 판지로 제조되었으며 뒤이어 비-밀봉형 중합체 필름 랩핑(non-sealed polymer film wrapping)이 제공되었다.
나머지 포장들은 밀봉되었다.
초기 단계는 실시예 5 내지 8에 따른 츄잉 검의 제조 후 2개월 동안 지속되었고 뒤이어 제품을 포장 조립체 내에 넣었다. 시료를 약 21℃의 온도에서 약 55% 의 상대적 습도를 갖는 공기 중에 보관하였다.
그 후, 포장 조립체 내에 담긴 츄잉 검 코어의 상태를 풍미에 의해 평가하였다.
Figure 112009077403453-PCT00004
적층형 종이-랩핑에 의해 형성된 비-밀봉형 포장은 문제가 되는 전-분해를 방지하지 못했으나, 열 밀봉(용접), 접착제 또는 단단한 기계적 밀봉(tight mechanical sealing)(플라스틱 용기)에 의해 밀봉된 포장은 전-분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감싸인(wrapped) 비-밀봉형 플립-탑 상자는 허용가능한 성능을 가져왔다는 것이 주목되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의 실험을 반복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보관 온도를 30℃로 높이고 상대적 습도도 약 70%로 높였다.
본 실시예에서도, 밀봉된 포장이 습기 및 산소의 침투에 대해 충분한 차단층이라는 것이 입증되었으나, 플립-탑 상자는 밀봉된 포장 조립체에 비해 열등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비-밀봉형 포장은 문제가 되는 전-분해를 방지할 수 없으나, 열-밀봉(용접), 접착제, 또는 단단한 기계적 밀봉(플라스틱 용기)에 의해 밀봉된 포장은 전-분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했다는 것이 명확하게 확립되었다.
훨씬 더 놀라운 것은, 온도가 상승되었으나, 상승된 온도가 코어 내에 함유된 수분 자체가 전-분해를 유발하거나 또는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결정적인(critical) 전-분해가 여전히 방지되었다는 것의 확인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하는 결론은 전-분해가 제조된 츄잉 검 내에 함유된 물에만 의존하지 않고, 사용 전에 보관 동안 츄잉 검 내로 이동한 수분에도 유의성있게 의존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츄잉 후 분해는 츄잉 동안 검에 첨가된 타액이 관여되므로, 다소 의외였고, 더 의외인 것은 비-검 중합체 츄잉 검 성분들이 생분해성 검 중합체에 비해 전-분해가 없거나 또는 적어도 더 낮은 경향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적용 가능한 상이한 비-한정적인 포장 조립체를 개시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다른 블리스터 팩 조립체(blister pack assembly)(10)를 예시한다.
상기 블리스터 팩 조립체(10)는 3개의 기본 성분들, 하층(13b) 및 상층(13a) 및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기재(provision)에 따른 츄잉 검 조각들(11)을 포함한다.
츄잉 검 조각들은 하층(13b)의 일부(19)에 의해 한정된 구획(18) 내에 유지 된다. 츄잉 검 조각들은 생분해성 검 중합체에 기반하여, 예를 들면, 실시예 6 내지 9에 따른 생분해성 중합체에 기반하여 제조되었다. 상기 포장은 개별적인 츄잉 검 조각들을 캡슐화하는 습기 장벽(humidity barrier)을 형성한다.
블리스터 쉬트(13a 및 13b)를 위한 다수의 만족스러운 쉬트 물질이 이용가능하다. 이 통상적인 물질은 일반적으로 블리스터와 뚜껑 간의 박리형 결합(peelable connection)을 형성하기 위한 통상적인 적찹제(adhesive)와 함께, 중합체 물질 및 금속 물질 및 이 물질들을 포함하는 적층물(laminate)을 포함한다. 하기에 기재된 특정한 물질은 다수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물질의 예에 불과하다. 포장의 예시된 하층(13b)은 하기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획(18)을 제공하기 위해 제조된 적층 물질을 포함하는 블리스터 쉬트로부터 형성된다.
하층(13b)은 예를 들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의 약 60 마이크론 두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필름을 포함하는 25 마이크론 두께의 층이 상기 PVC 층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접착제에 의해 상기 PVC 층에 고정될 수 있다. 알루미늄 포일의 60 마이크론 층이 상기 폴리아미드 필름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접착제에 의해 상기 폴리아미드 필름에 고정된다. PVC의 또 다른 60 마이크론 층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알루미늄 포일에 접착될 수 있다. 적층물 중의 층의 갯수, 이들의 조성물 및 이 층들의 두께는 원하는 특성을 맞추기 위해 변형될 수 있다.
상층은 요구되는 안정한 밀봉을 수득하나 사용자가 서브-구획에 접근하고자 할 때 용이한 제거를 보장하는 목적을 충족시키는 13a를 위해 적합해야 한다.
예시된 블리스터 패키지의 중요한 장점은 상이한 츄잉 검 조각에 대한 밀봉 이 다른 밀봉된 구획으로의 습기의 이동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개별적으로 개봉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는 적합한 포장을 이용하고 예를 들면, 통상적인 종이로 싸여진 츄잉 검 제품에 비해 습기의 이동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습기 장벽 내에 츄잉 검 조성물을 유지시키는 것에 의해 전-분해를 방지하거나 또는 피하는 것이다.
블리스터 패키지를 적용하는 경우, 수득가능한 MVTR은 포장 내에 담긴 츄잉 검 조성물의 효과적인 밀봉에 의존적일 것이다.
수득가능한 상이한 MVTR 값이 하기에 열거된다.
A-PET 블리스터 패키지: 2 g/m2/24hr
PVC(Polyvinylchloride)/PVDC(Polyvinyldichloride)의 적층을 갖는 이중 블리스터 패키지(duplex blister package): 0,25 g/m2/24hr
PVC(Polyvinylchloride)/PE(Polyethylene)/PVDC(PolyvinyldicMoride)의 적층을 갖는 삼중(triplex) 블리스터 패키지: 0,03 g/m2/24hr
상기 값들은 DIN 23℃ 85% RH. (DIN 53122)에 관한 것이다.
적합한 블리스터 패키지의 상이한 종류는 또한 US 4,211,326 또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금속증착(metalized) 필름에 기반한, 보다 현대적인 블리스터 팩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화된 보관 조건 때문에 온도가 변화하는 경우, 전-분해를 막기 위해 MVTR 값을 2 g/m2/24hr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g/m2/24hr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두 개의 필름(23A 및 23B)가 말단(27 및 26)에서 결합된 것인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의 단면을 보여준다. 상기 결합(joining)은 예를 들면, 열 밀봉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필름(23A 및 23B)은 츄잉 검 조각들(21)을 담기 위한 내적(28)을 한정한다.
상기 츄잉 검 조각은 생분해성 츄잉 검 중합체, 예를 들면, 실시예 6 내지 8에 따른 생분해성 검 중합체에 기반하여 제조된다. 백(bag)이 상기 츄잉 검 조각을 캡슐화하는 습기 장벽을 형성한다.
전술된 두 개의 필름의 결합에 대한 대안으로서, 예시된 백은 유리하게는 일측면이 접히고 나머지 3개의 측면이 용접된 필름에 기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적용된 필름 물질은 임의의 적합한 물질, 예를 들면, 단일층, 다중층(multilayer)을 포함할 수 있고, 발포체(foam), 버블 쉬트(bubble she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변화된 보관 조건 때문에 온도가 변하는 경우, 전-분해를 막기 위해 요구되는 약 2 g/m2/24hr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g/m2/24hr 미만의 낮은 MVTR를 수득하기 위해 다중층 적층물을 적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범위 내의 다른 구체예를 예시한다.
본 구체예는 상자(35)를 포함하고, 상기 상자 내부(38)에 다수의 츄잉 검 조각들(31)이 담긴다.
상기 상자는 필름 쉬트 물질(33A 및 33B)에 의해 형성된 습기 장벽에 의해 캡슐화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 물질은 하나 또는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결합된 두개의 쉬트(36 및 37)에 기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습기 장벽은 적합한 물질, 예를 들면, 단일층, 다중층을 포함할 수 있고, 발포체, 버블 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변화된 보관 조건 때문에 온도가 변하는 경우, 전-분해를 막기 위해 요구되는 약 2 g/m2/24hr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g/m2/24hr 미만의 낮는 MVTR를 수득하기 위해 다중층 적층물을 적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를 예시한다.
예시된 포장 조립체는 뚜껑(44)을 갖도록 제조된 플라스틱 용기(45)를 포함한다. 상기 플라스틱 용기는 예를 들면,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에 기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용기(45)는 다수의 츄잉 검 조각들(41)이 배열된 내적(48)을 한정한다. 츄잉 검 조각들은 예를 들면, 실시예 6 내지 8에 따른 생분해성 검 중합체에 기반하여 제조된다. 상기 용기는 츄잉 검 조각을 캡슐화하는 습기 장벽을 형성한다.
상기 뚜껑에 의해 한정된 밀봉은 적어도 포장으로의 최초 접근 전에, 내적으로의 낮은 수준의 습기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개봉가능하거나(breakable) 또는 제거가능한(removable) 밀봉으로 보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뚜껑은 최초 접근 후 1주 이상 내에 전-분해를 피하기 위해 충분한 밀봉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플라스틱 용기는 적합한 물질로 제조되며, 상기 용기의 벽은 단일층, 복수층일 수 있고, 발포체, 버블 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예시된 포장은 사용자가 제품을 적절하게 식별하고 다룰 수 있게 할 수 있는 제품의 적합한 표시(indication)와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전술된 구체예에서, 습기 장벽에 의해 형성된 포장 조립체의 수분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포장된 츄잉 검 조성물의 중량의 2.5% 미만이어야 한다. 이는 츄잉 검 조성물의 수분 함량을 낮게 유지시키고 동시에 포장이 적합하게 밀봉되게 하며, 물론 밀봉 공정 동안 습도를 낮게 유지시키는 것에 의해 확보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습기 장벽 내의 포장 조립체의 수분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츄잉 검 조성물의 약 2개월의 보관 후에 포장된 츄잉 검 조성물의 중량의 3.0% 미만이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앞서 예시된 포장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적용된 필름은 단층 또는 다중층 웹-물질(web-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광(light)에 대해 투명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상기 필름에 또한 포장 조립체 내에 담긴 츄잉 검 조성물을 보호하기 위한 UV 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금속 필름으로 보완된 중합체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완전한 포장은 실질적으로 금속 없이 제조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환경 친화적 방식(environmentally attractive way)으로 처리되는 경우 상기 포장을 태울 수 있게 하는 소량의 금속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적어도 상기 포장 조립체의 내적은 액체-불투과성 물질(liquid-impermeable material)로 제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액체-불투과성 물질의 쉬트는 다중층 쉬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액체-불투과성 물질의 쉬트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 쉬트와 하나 이상의 금속 쉬트의 적층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액체-불투과성 물질의 쉬트는 금속 포일, 중합체 필름, 금속증착 필름 또는 코팅 필름, 중합체 밀봉제(polymer sealant),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필름 또는 포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포장 조립체의 액체-불투과성 물질은 10 ㎛ 내지 2 mm, 바람직하게는 40 ㎛ 내지 5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내지 200 ㎛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 내지 150 ㎛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포장 조립체의 다중층 구조는 외부 필름(outside film), 선택적인 중간 차단층(optional intermediate barrier layer) 및 중합체 밀봉제의 내층(inside layer)을 포함한다.
필름 또는 고체 포장 조립체를 한정하는 벽은 예를 들면, 하기의 3개의 층을 포함하는 다중층 적층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PETP로 제조된 외층(outside layer), 알루미늄 포일, 예를 들면, 9 ㎛ 포일로 제조된 차단층인 중간층 및 80 내지 120 ㎛ 폴리에틸렌(PE)을 포함하는 밀봉제(sealant)를 형성하는 내층. 상기 다 중층 적층 물질은 일반적으로 두개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포장 조립체는 또한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는 제1 측벽(first side wall) 섹션의 또 다른 밀봉 중간층 및 실질적으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포장 조립체의 내부 밀봉 중간층(inner sealing medium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구조는 예를 들면, 포장 조립체가 형태-안정적(form-stable)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조립체의 제조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즉, PE 또는 PP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내부 열-밀봉형 표면(inner heat-sealable surface)을 갖는 하나 이상의 유연성있는 필름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의도된 팽창 및 지지성(standing property)을 수득하기 위해 상부 벽 및 하부 벽에 측벽보다 더 부드럽거나 또는 더 유연하거나, 예를 들면, 더 두꺼운 필름이 이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내부 열-밀봉형 표면 층을 포함하는 다중층 필름이 이용된다. 포장 조립체의 제조를 위해, 예를 들면, PE 층이 완성되거나 또는 미리제조된(prefabricated) 필름에 대해 내부 면 상에 보이는 것인, 적층형 COEX OPP/PETP (폴리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고, COEX OPP는 PP와 PE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얇은 밀봉 중간층이 양쪽 측면에 제공된 CO-사출 배향(CO-extruded oriented)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의미한다. 향상된 차단 특성을 수득하기 위해, 차단층, 예를 들면, 금속증착 층 또는 알루미늄 필름이 PETP 층과 PE 층 사이에, 또는 COEX OPP 필름과 PETP 층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ETP 층은 배향된 폴리아미드, OPA(oriented polyamide)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Claims (39)

  1. 생분해성 츄잉 검 조성물(11; 21; 31; 41) 및 상기 생분해성 츄잉 검 조성물(11; 21; 31; 41)에 대한 습기 장벽(13a, 13b; 23a, 23b; 33a, 33b; 44, 45)을 형성하는 포장 조립체(package assembly)를 포함하는 포장 제과 제품(packaged confectionary product).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장벽(humidity barrier, HB)은 밀봉되는 것인 포장 제과 제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조립체는 블리스터 패키지(blister package)를 포함하는 것인 포장 제과 제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조립체는 병, 통(tub) 등과 같은 플라스틱 용기를 포함하는 것인 포장 제과 제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조립체는 백(bag)을 포함하는 것인 포장 제과 제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장벽은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포장 제과 제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장벽은 중합체 함유 필름 물질(polymer containing film material)을 포함하는 것인 포장 제과 제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장벽은 적층물(laminate)을 포함하는 것인 포장 제과 제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장벽은 하나 이상의 금속 포일(metal foil)을 포함하는 것인 포장 제과 제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장벽은 하나 이상의 알루미늄 포일을 포함하는 것인 포장 제과 제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츄잉 검 조성물은 개별적으로 밀봉된 구획(compartment) 중의 포장 조립체 내에 담겨 있는 것인 포장 제과 제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츄잉 검 조성물은 공유된 밀봉 구획(shared sealed compartment) 중의 포장 조립체 내에 담겨 있는 것인 포 장 제과 제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츄잉 검 조성물은 재-밀폐가능한(re-closable) 포장 조립체 내에 담겨 있는 것인 포장 제과 제품.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츄잉 검 조성물은 츄잉 검 조각을 포함하는 것인 포장 제과 제품.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조립체는 진공 포장된 것인 포장 제과 제품.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조립체는 질소와 같은 하나 이상의 불활성 기체를 포함하는 것인 포장 제과 제품.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물질(packaging material)의 투습도(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 MVTR)는 DIN 23℃, 85% RH/DIN 53122에 관해 10g/m2/24hr 미만인 것인 포장 제과 제품.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물질의 투습도(MVTR) 는 DIN 23℃, 85% RH/DIN 53122에 관해 5g/m2/24hr 미만인 것인 포장 제과 제품.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물질의 투습도(MVTR)는 DIN 23℃, 85% RH/DIN 53122에 관해 3g/m2/24hr 미만인 것인 포장 제과 제품.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물질의 투습도(MVTR)는 DIN 23℃, 85% RH/DIN 53122에 관해 2g/m2/24hr 미만인 것인 포장 제과 제품.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물질의 투습도(MVTR)는 DIN 23℃, 85% RH/DIN 53122에 관해 1g/m2/24hr 미만인 것인 포장 제과 제품.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물질의 WVTR/MVTR(water 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은 ASTM (38℃ 90% RH/F1249)에 관해 1g/m2/24hr 미만인 것인 포장 제과 제품.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츄잉 검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수지(resinous) 및/또는 탄성중합체(elastomeric) 생분해성 검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포장 제과 제품.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적(inner volume)(41)은 재-밀폐가능한 것인 포장 제과 제품.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적(18; 28; 38; 48)은 광 차단층(light barrier, LB)에 의해 캡슐화되는 것인 포장 제과 제품.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츄잉 검 조각은 압착된 것인 포장 제과 제품.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츄잉 검 조각은 코팅된 것인 포장 제과 제품.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츄잉 검 조각은 중심-충진형(center-filled)인 것인 포장 제과 제품.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츄잉 검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포장 제과 제품.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츄잉 검은 프롤라민 조성 물을 포함하는 것인 포장 제과 제품.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츄잉 검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인 포장 제과 제품.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츄잉 검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포장 제과 제품.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츄잉 검 조성물은 중심 충진형 츄잉 검으로 제조된 것인 포장 제과 제품.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츄잉 검 조성물은 압착 츄잉 검으로 제조된 것인 포장 제과 제품.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츄잉 검은 코팅을 갖도록 제조된 것인 포장 제과 제품.
  36.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조립체의 수분 함량은 포장된 츄잉 검 조성물의 중량의 2.5% 미만인 것인 포장 제과 제품.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조립체의 수분 함량은 상기 츄잉 검 조성물의 약 2개월의 보관 후에 포장된 츄잉 검 조성물의 중량의 3.0% 미만인 것인 포장 제과 제품.
  38.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조립체의 수분 함량은 포장된 츄잉 검 조성물의 중량의 2.0% 미만인 것인 포장 제과 제품.
  39.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조립체의 수분 함량은 포장된 츄잉 검 조성물의 중량의 1.5% 미만인 것인 포장 제과 제품.
KR1020097026148A 2007-05-20 2007-05-20 포장 제과 제품 KR201000392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DK2007/000235 WO2008141643A1 (en) 2007-05-20 2007-05-20 Packaged confectionary produ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280A true KR20100039280A (ko) 2010-04-15

Family

ID=38982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6148A KR20100039280A (ko) 2007-05-20 2007-05-20 포장 제과 제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00068339A1 (ko)
EP (1) EP2152092B1 (ko)
JP (1) JP2010527595A (ko)
KR (1) KR20100039280A (ko)
CN (1) CN101742919A (ko)
BR (1) BRPI0721633A2 (ko)
CA (1) CA2687300C (ko)
MX (1) MX2009012483A (ko)
WO (1) WO20081416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2459A1 (en) 2011-03-09 2012-09-13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s and gum bases comprising multi-block copolymers
WO2014007936A1 (en) * 2012-06-19 2014-01-09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Bulk packaged, uncoated chewing gum
RU2662283C2 (ru) 2012-08-10 2018-07-25 Вм. Ригли Джр. Компани Основа жевательной резинки (варианты)
WO2017205300A1 (en) * 2016-05-23 2017-11-30 Steve Kanze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sugar addiction
USD955455S1 (en) * 2019-07-31 2022-06-21 Google Llc Robot
USD969893S1 (en) * 2019-07-31 2022-11-15 Google Llc Robot with a transitional image on a screen display
US20210315230A1 (en) * 2020-04-14 2021-10-14 Camille Varlet Product and method for making dissolving chewing gum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0161A (en) * 1977-03-15 1979-04-17 General Foods Corporation Carbonated chewing gum
CA1097233A (en) * 1977-07-20 1981-03-10 George K. E. Gregory Packages
US4211326A (en) * 1978-10-10 1980-07-08 American Can Company Blister package
US4842870A (en) * 1987-12-22 1989-06-27 Warner-Lambert Company Anhydrous, non-staling chewing gum composition
US5783266A (en) * 1994-03-11 1998-07-21 Gehrke; Russ Easy-open individual sealed serving packaging
US5510124A (en) * 1994-03-23 1996-04-23 Wm. Wrigley Jr. Company Method for packaging single units of chewing gum and chewing gum so packaged
US5482722A (en) * 1994-09-26 1996-01-09 Opta Food Ingredients, Inc. Confections comprising a proteinaceous chewable base
NL9401703A (nl) * 1994-10-14 1996-05-01 Rijksuniversiteit Kauwgom.
US5885630A (en) * 1996-09-20 1999-03-23 Wm. Wrigley Jr. Company Multiflavor gum packaging system using a volatile-flavor adsorber
US6010724A (en) * 1997-12-23 2000-01-04 Wm. Wrigley Jr., Company Packaged chewing gum and methods for packaging chewing gum
US6001397A (en) * 1997-12-23 1999-12-14 Wm. Wrigley Jr. Company Method for packaging chewing gum and chewing gum so packaged
US6086988A (en) * 1998-03-23 2000-07-11 Kloeckner Pentaplast Of America, Inc. Recyclable lidding material for push-through packaging
US6520329B1 (en) * 1998-12-09 2003-02-18 Lts Lohmann Thapie-Systeme Ag Packaging for planiform objects/products
US6469129B1 (en) * 1999-04-26 2002-10-22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crosslinked branched polyesters
DE60029637T2 (de) * 2000-01-27 2007-07-26 Fonterra Tech Ltd. Kaugummigrundstoff
ES2554389T3 (es) * 2001-03-23 2015-12-18 Gumlink A/S Goma de mascar biodegradable y método para manufacturar tal goma de mascar
US6926951B2 (en) * 2001-04-04 2005-08-09 Sonoco Development, Inc. Laminate for gum packaging
JP3678361B2 (ja) * 2001-06-08 2005-08-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ガスバリアフィルム
BR0211643A (pt) * 2001-08-01 2004-11-09 Fonterra Tech Ltd Melhoras em ou relativas à composições de goma de mastigação
US6572367B1 (en) * 2002-05-21 2003-06-03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Horizontally oriented combustion apparatus
US6733578B2 (en) * 2002-06-20 2004-05-11 Wm. Wrigley Jr. Company Plasticized prolamine compositions
US6858238B2 (en) * 2002-06-26 2005-02-22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 products including prolamine blends
US20050175733A1 (en) * 2002-07-02 2005-08-11 Bitten Thorengaard Compressed resin moderated chewing gum
MXPA05002959A (es) * 2002-09-24 2005-06-03 Gumlink As Polimero degradable para goma de mascar.
CA2500000C (en) * 2002-09-24 2014-07-15 Gumlink A/S Low moisture chewing gum
AU2002340774B2 (en) * 2002-09-24 2008-10-02 Gumlink A/S Chewing gum comprising at least two different biodegradable polymers
DE10319315A1 (de) * 2003-04-29 2004-11-18 Basf Ag Verwendung eines amorphen Polyesters als Polymerbasis für Kaumassen
ES2285521T3 (es) * 2003-08-14 2007-11-16 Cargill, Incorporated Composiciones de goma de mascar que comprenden monatina y procedimientos para la preparacion de las mismas.
US7328801B2 (en) * 2004-03-18 2008-02-12 Omnicare, Inc. Storage and dispensing unit
JP2006027638A (ja) * 2004-07-14 2006-02-02 Kureha Corp 乾燥食品包装体品
US7563468B2 (en) * 2004-09-07 2009-07-21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 packages with gum disposal accommodations
CA2558406C (en) * 2005-09-02 2011-06-14 Cadbury Adams Usa Llc Packaging design with thin foil
US8024911B2 (en) * 2006-02-16 2011-09-27 Mcneil Ab Method for blister pac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87300C (en) 2015-06-30
JP2010527595A (ja) 2010-08-19
MX2009012483A (es) 2009-12-02
CN101742919A (zh) 2010-06-16
WO2008141643A1 (en) 2008-11-27
BRPI0721633A2 (pt) 2013-01-15
US20100068339A1 (en) 2010-03-18
EP2152092A1 (en) 2010-02-17
EP2152092B1 (en) 2017-07-19
CA2687300A1 (en) 200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9280A (ko) 포장 제과 제품
BR112012005879B1 (pt) sistema e método de embalagem
AU745647B2 (en) New use
ES2739703T3 (es) Envase que tiene un fijador de cierre reutilizable adhesivo y métodos para este
EP0812133B1 (en) Method for packaging single units of chewing gum and chewing gum so packaged
WO2007121259A3 (en) Films having a desiccant material incorporated therein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CN107406153A (zh) 清洁产品网及制造方法
EP0994812A1 (en) Packaged chewing gum and methods for packaging chewing gum
CA2284152C (en) Method for packaging chewing gum and chewing gum so packaged
RU2429710C2 (ru) Упакованный кондитерский продукт
JP2011142921A (ja) 包装した菓子製品
IL136307A (en) Packing for holster ring
US20130034638A1 (en) Biodegradable, biocompatible and non-toxic material, sheets consisting of said material and the use thereof in food, pharmaceutical, cosmetic and cleaning products
JP2007099324A (ja) 深絞り成形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JP5428190B2 (ja) 包装用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JPH1120084A (ja) 生分解性包装体
EP3450330A1 (fr) Utilisation de film polymère pour l'emballage de milieu de culture
JP2004147504A (ja) おにぎり製造方法、包装容器及び包装体
JPH08231836A (ja) ヒートシール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MXPA96004259A (en) Method to pack individual units of mascara and mascara gum asi empac
JP2016064843A (ja) 密封包装体用容器及び密封包装体
JPS6287027A (ja) 茸類用容器
JPH04325156A (ja) 凍結乾燥固形物の製造方法
BE733962A (ko)
JP2000142638A (ja) ペースト状食品の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