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9049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9049A
KR20100039049A KR1020080098253A KR20080098253A KR20100039049A KR 20100039049 A KR20100039049 A KR 20100039049A KR 1020080098253 A KR1020080098253 A KR 1020080098253A KR 20080098253 A KR20080098253 A KR 20080098253A KR 20100039049 A KR20100039049 A KR 20100039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cap
seating portion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9638B1 (ko
Inventor
정요승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8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63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9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커넥터(10)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커넥터하우징(11)에는 탭터미널(20)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탭터미널(20)의 선단이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전방에는 상기 탭터미널(20)을 둘러 감싸는 터미널캡(30)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캡(30)은 탄성부재(40)에 의해 상기 터미널안착부(12)에 탄성지지된다. 상기 터미널캡(30)은, 제1커넥터(10)가 제2커넥터(50)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커넥터(50)에 의해 눌러져 상기 탄성부재(4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터미널안착부(12)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때, 상기 탭터미널(20)의 선단은 상기 터미널캡(30)의 전면부(31)에 형성된 통공(38)을 관통하여 상기 제2커넥터(50)의 내부로 삽입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캡에 의해 탭터미널의 손상 및 오염이 최소화되므로, 터미널간의 전기적 연결이 잘 이루어져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터미널캡, 탄성부재

Description

커넥터{A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고 제2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들의 결합이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제1커넥터(1)와 제2커넥터(5)의 결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1커넥터(1)의 외관과 골격을 제1커넥터하우징(2)이 형성하며, 상기 제1커넥터하우징(2)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제1터미널안착부(2')가 형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안착부(2')에는 탭터미널(3)이 안착된다. 상기 제1터미널안착부(2')에 안착된 상기 탭터미널(3)의 선단은 상기 제1터미널안착부(2')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하우징(2)의 외측에는 후술할 제2커넥터(5)의 걸림돌기(8)가 걸어지는 걸림턱(4)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커넥터(5)의 외관과 골격을 역시 제2커넥터하우징(6)이 형성하며, 상기 제2커넥터하우징(6)의 내부를 관통하여 제2터미널안착부(6')가 형성된다. 상기 제2터미널안착부(6')에는 리셉터클터미널(7)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커넥터하우징(6)의 외측에는 걸림돌기(8)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에서 상기 탭터미널(3)의 선단이 상기 제1터미널안착부(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므로, 탭터미널(3)의 선단이 손상되기 쉽다. 즉, 탭터미널(3)의 선단이 외력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되거나 이물질에 의해 그 표면이 오염될 수 있다. 그러면, 상대 리셉터클터미널(7)과의 전기적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제1커넥터(1)와 제2커넥터(5)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커넥터(5)의 걸림돌기(8)가 상기 제1커넥터(1)의 걸림턱(4)에 걸어진다. 그런데, 이때 상기 걸림돌기(8)가 상기 걸림턱(4)에 밀착되게 걸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유격에 의하여, 제1커넥터(1)와 제2커넥터(5) 사이에 유동이 발행한다. 이로 인해 터미널간의 접촉불량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탭터미널을 커버하여 외력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유동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미널캡의 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전방에 제2커넥터의 제2터미널안착부가 삽입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부에 안착되고, 선단이 상기 결합공간으로 돌출되는 탭터미널과; 상기 탭터미널이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서 직교하게 연장되는 측면부로 구성되어 상기 탭터미널의 선단을 둘러 감싸고, 일측에 연결된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터미널안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 터미널캡;을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캡은, 상기 결합공간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커넥터에 의해 눌러져 상기 터미널안착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터미널안착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터미널 캡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벽에서 돌출되는 고정보스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벽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지지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외주면을 둘러 상기 터미널캡의 측면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캡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캡의 이동이 안내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 일측에는 제2커넥터의 걸림돌기가 걸어지는 걸림턱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커넥터의 내부에 탭터미널을 둘러 감싸 보호하는 터미널캡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터미널캡이 상기 탭터미널을 보호하여, 상기 탭터미널의 손상이 최소화된다. 이로 인해 제2커넥터와의 전기적 연결이 잘 이루어져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캡이 터미널안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므로, 상기 터미널캡의 복원력이 제2커넥터를 밀어내어 제2커넥터의 걸림돌기가 제1커넥터의 걸림턱에 밀착된 상태로 걸어질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결합상태의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의 유격이 제거되어 커넥터들의 유동이 최소화됨으로써 전기적 연결이 잘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캡의 측면부가 터미널안착부의 외주면을 둘러 형성되는 캡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터미널캡이 이동되므로, 터미널캡의 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탭터미널을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1커넥터, 리셉터클터미널을 구비하여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를 제2커넥터라고 칭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반결합된 상태가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완전결합된 상태가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커넥터(10)의 외관과 골격을 커넥터하우징(11)이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1)은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1)의 내부에는 터미널안착부(12)가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를 관통하여서는 터미널공(13)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공(13)에는 후술할 탭터미널(20)이 안착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전방에 해당되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1)의 내부에는 제2커넥터(50)가 삽입되는 결합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14)에는 상기 터미널안착부(12)에서 돌출되는 탭터미널(20)의 선단이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선단 외주면을 둘러서는 캡삽입부(15)가 형성된다. 상기 캡삽입부(15)는 상기 결합공간(14)으로 개구되어 상기 결합공간(14)과 연통된 다. 상기 캡삽입부(15)에는 후술할 터미널캡(30)이 선택적으로 안착된다.
또한,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공간(14)과 연통되는 지지공간(16)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공간(16)은 후술할 탄성부재(40)가 구비되는 공간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공간(16)에는 후술할 터미널캡(30)의 지지벽(35)이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지지공간(16)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부재(40)의 일측이 고정되는 고정단(17)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하우징(11)의 외면 일측에는 걸림턱(18)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8)은 후술할 제2커넥터(50)의 걸림돌기(57)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턱(18)의 선단에는 상기 걸림돌기(57)가 상기 걸림턱(18)을 부드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경사면(19)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14)에는 상기 탭터미널(20)의 선단을 둘러 감싸 보호하는 터미널캡(30)이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캡(30)은 상기 결합공간(14)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 3과 같이, 상기 터미널캡(30)은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50)가 결합될 때 상기 터미널안착부(12)를 향하여 이동하여 상기 캡삽입부(15)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캡(30)은 상기 터미널안착부(12)에 대하여 상기 탭터미널(20)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지지된다.
상기 터미널캡(30)은 전면부(31)와 상기 전면부(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교하게 연장되는 측면부(33)로 구성된다. 상기 터미널캡(30)의 내부에는 상기 전면부(31)와 측면부(33)에 의하여 소정의 요입공간(34)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요입공간(34)은 상기 전면부(31)의 반대측에 해당되는 터미널캡(30)의 일측으로 개 구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요입공간(34)에 상기 탭터미널(20)의 선단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전면부(31)와 직교하여서는 상기 요입공간(34)을 구획하도록 지지벽(35)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벽(35)의 선단에는 고정보스(36)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보스(36)에는 후술할 탄성부재(40)의 타측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터미널캡(30)의 전면부(31)에는 상기 터미널캡(30)이 이동됨에 라 상기 탭터미널(20)이 상기 전면부(31)를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탭터미널(20)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38)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측면부(33)는 상기 터미널캡(30)이 상기 제2커넥터(50)에 의해 눌러질 때, 상기 캡삽입부(15)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이로써 상기 터미널캡(30)의 이동이 정확하게 안내된다. 또한, 상기 터미널캡(30)이 상기 결합공간(14) 내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측면부(33)가 상기 결합공간(14) 내면에 지지되어 상기 터미널캡(30)의 유동이 최소화된다.
상기 터미널캡(30)은 탄성부재(40)에 의해 상기 터미널안착부(12)에 대하여 탄성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상기 지지공간(16)에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부재(40)의 일측은 상기 고정단(17)에, 상기 탄성부재(40)의 타측은 상기 고정보스(36)에 연결된다.
물론, 상기 탄성부재(40)가 상기 결합공간(1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탄성부재(40)의 양단이 각각 고정단(17)과 고정보스(36)에 완전히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0)의 일측이 고정단(17)에 정확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단(17)에도 고정보스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상기 터미널캡(30)이 상기 탭터미널(20)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캡(30)이 눌러지면 상기 터미널캡(30)이 상기 탄성부재(4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터미널안착부(12)를 향해 이동하였다가, 상기 터미널캡(30)을 누르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터미널캡(30)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소정의 탄성계수를 가지는 재질이면 충분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이 사용되었다.
이하, 도 3과 4를 참고로 상기 제1커넥터(10)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5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2커넥터(50)의 외관과 골격을 제2커넥터하우징(51)이 형성한다. 상기 제2커넥터하우징(51)의 내부에는 제2터미널안착부(52)가 구비된다. 상기 제2터미널안착부(52)를 관통하여서는 제2터미널공(53)이 형성된다. 상기 제2터미널공(53)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리셉터클터미널이 안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5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커넥터(50)의 제2터미널안착부(52)가 상기 터미널캡(30)을 눌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50)가 결합할 때, 상기 제1커넥터(10)의 탭터미널(20) 선단이 상기 제2커넥터(50)의 제2터미널공(53) 내부로 삽입되어 리셉터클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커넥터하우징(51)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걸림턱(18)에 걸어져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5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걸림돌기(57)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같이, 제1커넥터(10)의 결합공간(14)에는 터미널캡(30)이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캡(30)의 지지벽(35)과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고정단(17)이 탄성부재(40)로 연결된다. 즉, 탄성부재(40)의 일측은 상기 고정단(17)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40)의 타측은 상기 지지벽(35)에서 돌출되는 고정보스(36)와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터미널캡(30)은 상기 터미널안착부(12)와 멀어지는 방향, 즉 상기 탭터미널(20)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상기 결합공간(14)에 구비되는 상기 터미널캡(30)은 상기 탭터미널(20)의 선단을 둘러 감싸는데, 즉 상기 탭터미널(20)이 상기 터미널캡(30)의 요입공간(34)에 위치하도록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탭터미널(20)에 외력이 직접 가해지지 않으며, 이물질에 의한 오염도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터미널캡(30)이 상기 결합공간(14)에 구비될 때에는 상기 측면부(33)가 결합공간(14)의 내면 일측과 밀착되어 상기 터미널캡(30)의 유동이 최소화된다.
이하,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50)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터미널안착부(12)와 제2터미널안착부(52)를 서로 마주보도록 한 상태에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2커넥터(50)의 제2터미널안착부(52)가 상기 결합공간(14)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제2터미널안착부(52)가 상기 결합공간(14)에 계속 삽입되면, 상기 터미널캡(30)의 전면부(31)와 만나게 되 며, 상기 터미널캡(30)을 눌러주게 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캡(30)은 상기 탄성부재(4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터미널안착부(12)를 향하여 이동되며, 상기 터미널캡(30)의 측면부(33)와 지지벽(35)이 캡삽입부(15)와 지지공간(16)에 각각 삽입된다. 이처럼 상기 터미널캡(30)이 이동할 때, 상기 측면부(33)가 상기 캡삽입부(1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터미널캡(30)의 이동이 정확하게 안내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탭터미널(20)의 선단이 상기 전면부(31)의 통공(38)을 관통하여 상기 제2커넥터(50)의 제2터미널공(53)에 삽입되며, 제2터미널공(53)에 안착되는 리셉터클터미널(미도시)과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50)가 완전히 결합되면, 제2커넥터(50)의 걸림돌기(57)가 상기 제1커넥터(10)의 걸림턱(18)에 걸어져 제1 및 제2커넥터(10,50)의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상기 제2커넥터(50)의 제2터미널안착부(52)는 터미널캡(3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터미널안착부(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로 인해, 상기 걸림돌기(57)가 상기 걸림턱(18)에 밀착되게 걸어지게 된다. 따라서 결합상태의 제1 및 제2커넥터(50) 사이의 유격이 최소화되며, 결합상태인 제1 및 제2커넥터(10,50)의 유동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 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들의 결합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반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완전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커넥터 11: 커넥터하우징
12: 터미널안착부 14: 결합공간
15: 캡삽입부 16: 지지공간
17: 고정단 18: 걸림턱
20: 탭터미널 30: 터미널캡
31: 전면부 33: 측면부
34: 요입공간 35: 지지벽
36: 고정보스 38: 통공
40: 탄성부재 50: 제2커넥터

Claims (6)

  1. 내부에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전방에 제2커넥터의 제2터미널안착부가 삽입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부에 안착되고, 선단이 상기 결합공간으로 돌출되는 탭터미널과;
    상기 탭터미널이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서 직교하게 연장되는 측면부로 구성되어 상기 탭터미널의 선단을 둘러 감싸고, 일측에 연결된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터미널안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 터미널캡;을 포함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캡은, 상기 결합공간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커넥터에 의해 눌러져 상기 터미널안착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터미널안착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터미널캡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벽에서 돌출되는 고정보스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벽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지지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외주면을 둘러 상기 터미널캡의 측면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캡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캡의 이동이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 일측에는 제2커넥터의 걸림돌기가 걸어지는 걸림턱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80098253A 2008-10-07 2008-10-07 커넥터 KR101529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253A KR101529638B1 (ko) 2008-10-07 2008-10-07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253A KR101529638B1 (ko) 2008-10-07 2008-10-07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049A true KR20100039049A (ko) 2010-04-15
KR101529638B1 KR101529638B1 (ko) 2015-06-19

Family

ID=4221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253A KR101529638B1 (ko) 2008-10-07 2008-10-07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63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6012B2 (ja) * 1992-10-21 1998-04-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749289B2 (ja) * 1995-09-19 2006-02-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094009B2 (ja) * 1998-10-13 2000-10-03 アン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ンタクト保持装置付き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638B1 (ko) 201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4762B1 (en) Waterproof connector
US6971905B2 (en) Fixing member and a connector
US7559797B2 (en) Dummy plug
US7198496B2 (en) Lever type connector
JP2009541919A (ja) 電気コネクタ
JP7207233B2 (ja) コネクタ
JP2001110526A (ja) コネクタ
US11031718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a locking lance with a restricting portion to restrict outward deformation of the locking lance
JP2009181851A (ja) コネクタ用カバー
JP5112451B2 (ja) シール可能な電気コネクタ
JP2004072876A (ja) 防水ボックス
JP2010080106A (ja) コネクタ
JP2010519678A5 (ko)
KR200449502Y1 (ko) 방수시일
JPWO2020100731A1 (ja) コネクタ
WO2021111826A1 (ja) コネクタ
KR20100039049A (ko) 커넥터
US11322885B2 (en) Lever-type connector
CN112038818B (zh) 连接器
KR20170085941A (ko) 커넥터
JP6506904B2 (ja) コネクタ
US10128605B2 (en) Connector
JP5681478B2 (ja) コネクタ
JPH10172642A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
JPH11204184A (ja) コンタクト保持装置付き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