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4945A - 래들 - Google Patents
래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34945A KR20100034945A KR1020080094198A KR20080094198A KR20100034945A KR 20100034945 A KR20100034945 A KR 20100034945A KR 1020080094198 A KR1020080094198 A KR 1020080094198A KR 20080094198 A KR20080094198 A KR 20080094198A KR 20100034945 A KR20100034945 A KR 201000349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dle
- molten steel
- unit
- bottom portion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4—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til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8—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for bottom p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들에 관한 것으로, 철피 내측에 측연와가 적층되며 상하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측벽부; 및 측벽부의 저면을 커버하며, 바닥연와가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바닥부에는 용강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래들은 내부에 잔존되는 용강의 양을 줄여주어, 철강제품에 대한 생산량이 증대되고 래들에 잔존하는 용강에 대한 처리비용이 감소된다.
래들, 용강, 용선, 연와, 경사
Description
본 발명은 래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강이 자체하중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높이를 다르게 설계하여 용강의 잔존율을 낮추는 래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제강 정련공정은, 제선 공정으로부터 고로에서 출선된 용선을 티엘씨(torpedo ladle car)로 운반하여 탈류, 탈린 처리를 실시하는 용선 예비처리공정을 거쳐 래들로 옮겨지고, 전로 공정과 용강 이차정련공을 차례로 거쳐 슬라브를 생산하는 연주공정까지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용선을 용강으로 정련하는 제강공정은 전로 내에서의 1차 정련공정과 전로에서 출강된 용강을 수강 대차 상에 놓여진 래들에서 수강 처리하는 2차 정련공정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2차 정련공정은 고급 청정강을 만드는 핵심 설비이다.
래들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래들의 최외곽에는 철피가 둘러지며, 철피 내측면에는 준영구장과 영구장과 연와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연와는 산화마그네슘과 탄소가 함유되도록 제조되며, 가로방향으로 열을 맞추어 상향으로 축조된다.
래들 내부에 담겨지는 용강은 내열성이 큰 연와에만 접촉되므로, 래들은 용강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게 된다. 한편, 연와는 용강의 열에 의해 이웃하는 다른 연와와 상호 밀착되어 용강의 누설을 차단한다. 래들 내부의 용강은 턴디쉬로 이동된다.
종래 래들에 유입되는 용강은 턴디쉬로 빠져나가며, 일부가 래들에 남겨진다. 남겨진 용강은 건조과정을 거쳐 래들에서 분리되어 재사용된다.
그러나, 래들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연와의 높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래들에 남겨져 회수되는 용강의 용량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래들에 남아 있는 용강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남겨진 용간의 용량에 따른 건조비용 및 회수비용이 증대되고, 일부는 회수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용강의 잔존율을 낮추어 생산원가를 절감하는 래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피 내측에 측연와가 적층되며 상하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저면을 커버하며, 바닥연와가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에는 용강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을 제공한다.
상기 바닥부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바닥부의 저점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부의 경사는 상기 바닥연와의 높이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래들은 용강이 배출되는 배출구의 위치가 바닥부에서 저점에 위치되어, 래들 내부에 잔존되는 용강의 양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래들은 용강의 잔존률을 낮춤으로써, 생산단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래들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들의 바닥부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 시예에 따른 래들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래들(10)은 바닥부(20)와 측벽부(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래들(1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닥부(20)는 원통의 하측면에 해당되며, 측벽부(30)는 바닥부(20)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래들(10)에는 용강이 담기는데, 측벽부(30)의 최외곽에는 철피(31)가 둘러지며, 철피(31) 내측면에는 준영구장(32)과 영구장(33) 및 측연와(34)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연와(34)는 산화마그네슘과 탄소가 함유되도록 제조되며, 가로방향으로 열을 맞추어 상향으로 축조된다.
측벽부(30) 내부에 담겨지는 용강은 내열성이 큰 측연와(34)에만 접촉되므로, 래들(10) 전체는 용강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는다.
측벽부(30) 내부에 축조되는 측연와(34)는 용강의 열에 의해 팽창되는 경우, 좌우로 이웃하는 또 다른 측연와(34)와 상호 간섭되어 수평방향으로는 팽창할 수 없으므로, 상향으로 팽창하게 된다.
이때, 측연와(34)의 상향 팽창이 일정 기준 이상 진행되면 상하로 이웃하는 또 다른 측연와(34)와의 결합력이 약화되므로, 측연와(34)의 상향 팽창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상단에 축조되는 측연와(34)의 상면에는 고정재(35)가 도포된다.
바닥부(20)는 바닥연와(24)만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1과 같이 측벽부(30)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계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닥부(20)에는 배출구(28)가 구비되어 용강이 배출된다. 이때, 용강이 자체 하중에 의해 배출구(28)로 이동되도록 바닥부(20)는 경사를 갖는다.
바닥부(20)는 다수의 바닥연와(24)가 촘촘히 측방향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바닥연와(24) 중에 배출구(28)가 형성되는 바닥연와(24)는 주위 바닥연와(24) 보다 낮게 설계된다.
도 2는 설명의 편의상 바닥부(20)에 바닥연와(24)만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바닥부(20)를 형성하는 바닥연와(24) 중 어느 하나에는 배출구(28)가 형성된다.
배출구(28)가 형성되는 바닥연와(24)는 주위 다른 바닥연와(24) 보다 낮게 설계된다. 배출구(28)로 용강이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배출구(28)가 형성되는 바닥연와(24)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설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20)는 4가지 영역으로 구분된다. 즉, 바닥부(20)는 용강이 낙하되는 중간지점(B), 중간지점(B)에서 일방향에 위치되는 최상지점(A), 중간지점(B)에서 타방향에 위치되며 배출구(28)가 위치되는 최하지점(D), 바닥부(20)의 나머지에 해당되는 이동지점(C)으로 구획된다.
여기서, 중간지점(B)은 용강이 낙하되어 주위로 이동되는 지점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280mm 높이의 바닥연와(24)를 사용한다.
최상지점(A)은 중간지점(B) 보다 높게 설계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300mm 높이의 바닥연와(24)를 사용한다.
이동지점(C)은 최상지점(A)과 중간지점(B) 보다 낮게 설계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250mm 높이의 바닥연와(24)를 사용한다.
최하지점(D)은 바닥부(20)에서 가장 낮게 설계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230mm 높이의 바닥연와(24)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강을 래들(10)에 붓는 장치에 의해 래들(10)에 용강이 쏟아지면, 용강이 중간지점(B)으로 낙하되어 주위로 퍼져나간다.
즉, 용강은 중간지점(B)에서 일부가 최상지점(A)으로 이동된 다음, 바닥면(20)의 높이차에 의해 중간지점(B) 또는 이동지점(C)을 지나 최하지점(D)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용강은 중간지점(B)에서 일부가 이동지점(C)을 지나 최하지점(D)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바닥부(20)에 경사가 형성됨으로써, 용강은 자체 하중에 의해 최하지점(D)으로 이동되어 배출구(2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바닥부(20)에 경사가 형성되면, 래들(10)로 유입된 용강 중 턴디쉬로 이동되는 양이 기존에 비해 증대되므로, 철강제품에 대한 생산량이 증대되고, 래들(10)에 잔존하는 용강에 대한 처리비용이 감소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들의 바닥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들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래들 20 : 바닥부
24 : 연와 28 : 배출구
30 : 측벽부
Claims (4)
- 철피 내측에 측연와가 적층되며 상하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측벽부; 및상기 측벽부의 저면을 커버하며, 바닥연와가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상기 바닥부에는 용강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바닥부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배출구는 상기 바닥부의 저점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바닥부의 경사는상기 바닥연와의 높이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4198A KR20100034945A (ko) | 2008-09-25 | 2008-09-25 | 래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4198A KR20100034945A (ko) | 2008-09-25 | 2008-09-25 | 래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4945A true KR20100034945A (ko) | 2010-04-02 |
Family
ID=4221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4198A KR20100034945A (ko) | 2008-09-25 | 2008-09-25 | 래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3494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842183A (zh) * | 2019-10-29 | 2020-02-28 |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 一种钢包包盖及其制造方法 |
-
2008
- 2008-09-25 KR KR1020080094198A patent/KR2010003494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842183A (zh) * | 2019-10-29 | 2020-02-28 |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 一种钢包包盖及其制造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097941A (zh) | 一种钢包及其砌筑方法 | |
KR20100034945A (ko) | 래들 | |
KR20130059908A (ko) | 래들의 벽체 구조 | |
CN107974533A (zh) | 一种多工位vd/vod真空精炼炉装置 | |
KR102083534B1 (ko) | 용융금속 처리장치 및 슬래그 배재방법 | |
JP2017166009A (ja) | 高炉溶銑大樋での溶銑滓処理方法及び高炉溶銑大樋スキンマーダンパー | |
KR20100034070A (ko) | 용강 주조용 웰블럭 | |
CN106653548B (zh) | 一种具有磁屏蔽功能的绝缘窗冷却装置 | |
KR101268634B1 (ko) | 래들 | |
CN203820872U (zh) | 一种新型埋管式v型铜水套流槽 | |
KR20110059458A (ko) | 턴디쉬의 바닥 구조체 | |
CN105841495A (zh) | 一种高温熔体连续排放溜槽前床 | |
KR20130046657A (ko) | 래들의 슬래그라인용 벽체 구조 | |
CN206578289U (zh) | 一种包壁工作层结构改进的钢包 | |
KR100721923B1 (ko) | 내구성이 향상된 대탕도 | |
CN110538991A (zh) | 一种复合砌筑连铸中间包及砌筑方法 | |
KR20060038133A (ko) | 슬래그 혼입방지용 레이들 | |
JP2001262219A (ja) | 真空脱ガス装置下部槽の内張り施工方法 | |
KR102103389B1 (ko) | 지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321848B1 (ko) | 레이들 장치 | |
US1689175A (en) | Hot top for ingot molds | |
KR101698652B1 (ko) | 슬래그 배재장치 | |
RU2804210C1 (ru) | Чугуновозный ковш | |
KR102294056B1 (ko) | 용기, 용기 처리 방법 및 용융물 처리 방법 | |
CN201150989Y (zh) | 组合式分隔钢液模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