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9908A - 래들의 벽체 구조 - Google Patents

래들의 벽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9908A
KR20130059908A KR1020110126139A KR20110126139A KR20130059908A KR 20130059908 A KR20130059908 A KR 20130059908A KR 1020110126139 A KR1020110126139 A KR 1020110126139A KR 20110126139 A KR20110126139 A KR 20110126139A KR 20130059908 A KR20130059908 A KR 20130059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side wall
wall
filling layer
permanent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0579B1 (ko
Inventor
강건용
이만식
이승진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6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579B1/ko
Publication of KR20130059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2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44Consumable closure means, i.e. closure means being used only once
    • B22D41/46Refractory plugging m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42Details of construction of furnace walls, e.g. to prevent corrosion; 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 C03B5/43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e.g. fire-br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03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magnesium oxide, calcium oxide or oxide mixtures derived from dolomite
    • C04B35/04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magnesium oxide, calcium oxide or oxide mixtures derived from dolomite based on magnesium ox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들 벽부의 수명을 높이기 위한 래들의 벽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연이은 측벽이 상방으로 방사상으로 넓어지도록 연장되어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용기 형상을 갖는 철피, 상기 철피의 바닥 내측에 축조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철피의 내측면에 축조되는 벽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래들의 벽체 구조{WALL STRUCTURE OF LADLE}
본 발명은 래들의 벽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래들 벽부의 구조적 안정화 및 사용 수명을 높이기 위한 래들의 벽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정에서는 고철이나 혹은 선철을 제강로에 용해한 후 필요한 합금원소를 첨가하는 취련작업을 거쳐 용강을 제조하게 된다.
그리고 뒤이어 제강로에서 취련이 완료된 용강은 2차 정련작업 또는 주조작업을 위하여 제강 래들(ladle)에 옮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강 래들은 제강공정에 있어 후속작업을 하기 위한 필수 장비이다.
이러한 래들은 통상적으로 철피로 둘러싸여 있는 본체 내측에 수강하는 고열의 용강을 견딜 수 있도록 내화물을 축조하여 구성된다.
관련 선행기술로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40288호(등록일: 1998년 03월 11일, 명칭: 제강 래들 슬래그라인용 캐스타블 블록 및 제강 래들 슬래그라인용 벽체 내부구조)가 있다.
본 발명은 래들에서 벽부의 구조적 안정화 정도를 향상시켜 래들 내화물의 목지열림 현상을 저감하고, 래들의 사용 수명을 높이기 위한 래들의 벽체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래들의 벽체 구조는, 바닥에 연이은 측벽이 상방으로 방사상으로 넓어지도록 연장되어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용기 형상을 갖는 철피, 상기 철피의 내측면에 축조되며, 다단의 연와를 갖는 벽부, 및 상기 벽부의 상기 연와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목지열림 현상을 저감하는 충진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진층은 분말상의 마그네시아계 충진재 채워넣은 후, 600℃ 이상으로 예열하여 고형화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시아계 충진재는 1.0mm의 입도, 1.9g/cm3의 비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벽부는, 상기 철피의 측벽 내측에 축조되는 측벽 단열보드, 상기 측벽 단열보드의 내측에 축조되는 측벽 영구장, 상기 측벽 영구장의 내측에 축조되는 측벽 준영구장, 및 상기 측벽 준영구장의 내측에 축조되는 측벽연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층은 상기 측벽 준영구장과 상기 측벽연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래들 벽부에 충진층을 형성하여 틈을 제거함으로써 래들의 구조적 안정화 정도를 향상시켜 래들 내화물의 목지열림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래들 내화물의 수명 향상 및 유지보수관리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래들의 벽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래들의 벽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래들(100)의 벽체 구조는 철피(102), 바닥부(110), 벽부(120), 및 충진층(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철피(102)는 외곽틀을 형성하는 원통형 용기로서, 바닥과 바닥에 연이은 측벽이 상방으로 방사상으로 넓어지도록 연장되어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즉, 철피(102)는 정면에서 봤을 때 밑변보다 윗변이 더 긴 등각사다리꼴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철피(102)의 내부에는 바닥부(110) 및 벽부(120)가 형성된다.
바닥부(110)는 철피(102) 바닥에 축조되는 부분으로서, 바닥 단열보드(112), 바닥 영구장(114), 바닥 준영구장(116), 및 바닥연와(118)가 순차적으로 축조된다. 바닥부(110)는 필요에 따라 바닥 영구장(114) 또는 바닥 준영구장(116)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벽부(120)는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철피(102) 측벽의 내측면에 다단의 연와로 축조된다.
또한, 벽부(120)는 용강과 접촉하는 용강라인 벽부(ML)와 슬래그와 접촉하는 슬래그라인 벽부(SL)로 구분할 수 있다. 용강라인 벽부(ML)는 바닥부(110)의 상부에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고, 슬래그라인 벽부(SL)는 용강라인 벽부(ML)의 상부에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용강라인 벽부(ML)와는 달리 고온의 침식성 슬래그와 접촉되는 슬래그라인 벽부(SL)는 용강라인 벽부(ML)보다 손상되는 정도가 심하다.
구체적으로, 벽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강라인 벽부(ML)와 슬래그라인 벽부(SL)를 모두 포함하여 철피(102)의 측벽 내측에 형성되는 측벽 단열보드(122), 상기 측벽 단열보드(122)의 내측에 축조되는 측벽 영구장(124), 상기 측벽 영구장(124)의 내측에 형성되는 측벽 준영구장(126), 및 상기 측벽 준영구장(126)의 내측에 축조되는 측벽연와(128)를 포함한다. 이러한 벽부(120)는 바닥부(110)와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측벽 영구장(124) 또는 측벽 준영구장(126)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벽부(120)는 경사진 측벽 준영구장(126)과 측벽 준영구장(126)에 연접되도록 축조된 육면체 형상의 측벽연와(128)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충진층(13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충진층(130)은 벽부(120)의 연와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목지열림 현상을 저감한다.
구체적으로, 충진층(130)은 측벽 준영구장(126)과 측벽연와(128) 사이 공간에 열팽창계수가 작은 분말상의 마그네시아계 충진재(132)를 채움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충진재(132)는 공기와 함께 측벽 준영구장(126)과 측벽연와(128) 사이 공간에 채워져있다가, 래들(100)의 예열 및 용강의 수강이 이루어지는 조업과정 중에 고온에 노출되어 고형화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충진층(130)은 공간 내부의 공기가 열팽창되어 연접 축조된 측벽연와(128)들 사이를 벌어지게 하거나, 측벽연와(128)를 외부로 밀어 이탈시키는 목지열림 현상을 방지하고 래들(100) 내화물의 수명을 연장시 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충진층(130)은 측벽 준영구장(126)과 측벽연와(128) 사이의 공간에 마그네시아계 충진재(132)를 채워넣은 이후에, 600℃ 이상의 온도로 예열하여 고형화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마그네시아계 충진재(132)를 측벽 준영구장(126)과 측벽연와(128) 사이 공간에 채워넣는 방법으로는 측벽 영구장(124) 내측면에 인접되도록 측벽연와(128)를 축조할 때, 각 층의 측벽연와(128) 상단에 마그네시아계 충진재(132)를 충진한 후, 다음 층 측벽연와(128)를 축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마그네시아계 충진재(132)를 충진한다.
이러한 마그네시아계 충진재(132)는 1.0mm의 입도, 1.9g/cm3의 비중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래들 벽부에 충진층을 형성하여 틈을 제거함으로써 래들의 구조적 안정화 정도를 향상시켜 래들 내화물의 목지열림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래들 내화물의 수명 향상 및 유지보수관리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래들의 벽체 구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래들 102: 철피
110: 바닥부 112: 바닥 단열보드
114: 바닥 영구장 116: 바닥 준영구장
118: 바닥연와 120: 벽부
122: 측벽 단열보드 124: 측벽 영구장
126: 측벽 준영구장 128: 측벽연와
130: 충진층 132: 충진재
SL: 슬래그라인 벽부 ML: 용강라인 벽부

Claims (5)

  1. 바닥에 연이은 측벽이 상방으로 방사상으로 넓어지도록 연장되어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용기 형상을 갖는 철피;
    상기 철피의 내측면에 축조되며, 다단의 연와를 갖는 벽부; 및
    상기 벽부의 상기 연와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목지열림 현상을 저감하는 충진층;을 포함하는 래들의 벽체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진층은 분말상의 마그네시아계 충진재 채워넣은 후, 600℃ 이상으로 예열하여 고형화되는 래들의 벽체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시아계 충진재는 1.0mm의 입도, 1.9g/cm3의 비중을 가지는 래들의 벽체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철피의 측벽 내측에 축조되는 측벽 단열보드;
    상기 측벽 단열보드의 내측에 축조되는 측벽 영구장;
    상기 측벽 영구장의 내측에 축조되는 측벽 준영구장; 및
    상기 측벽 준영구장의 내측에 축조되는 측벽연와;를 포함하는 래들의 벽체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충진층은 상기 측벽 준영구장과 상기 측벽연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래들의 벽체 구조.
KR1020110126139A 2011-11-29 2011-11-29 래들의 벽체 구조 KR101330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139A KR101330579B1 (ko) 2011-11-29 2011-11-29 래들의 벽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139A KR101330579B1 (ko) 2011-11-29 2011-11-29 래들의 벽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908A true KR20130059908A (ko) 2013-06-07
KR101330579B1 KR101330579B1 (ko) 2013-11-18

Family

ID=4885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139A KR101330579B1 (ko) 2011-11-29 2011-11-29 래들의 벽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5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531A (ko) * 2015-06-18 2016-12-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인고트 주형장치
KR20180078462A (ko) * 2016-12-30 2018-07-10 장재형 슬래그포트 단열내피와 그 제작방법 및 그 단열내피가 구비된 슬래그포트
CN112264612A (zh) * 2020-09-30 2021-01-26 江苏沙钢集团有限公司 一种钢包砌筑结构及钢包使用方法
CN112264610A (zh) * 2020-09-30 2021-01-26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铁水罐及其制备方法
WO2022250798A1 (en) * 2021-05-25 2022-12-01 Harbison Walker International Holdings, Inc. Industrial furnace with refractory layer for insulation and conduc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656U (ja) * 1991-07-31 1993-02-23 川崎炉材株式会社 溶鋼取鍋の内張り構造
EP0557536B1 (en) * 1991-09-18 1996-06-19 Krosaki Corporation Refractory material comprising low-silica electrofused magnesia clinker and product obtained therefrom
KR100833000B1 (ko) * 2001-12-13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열팽창에 의한 내화물 파손이 방지되는 래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531A (ko) * 2015-06-18 2016-12-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인고트 주형장치
KR20180078462A (ko) * 2016-12-30 2018-07-10 장재형 슬래그포트 단열내피와 그 제작방법 및 그 단열내피가 구비된 슬래그포트
CN112264612A (zh) * 2020-09-30 2021-01-26 江苏沙钢集团有限公司 一种钢包砌筑结构及钢包使用方法
CN112264610A (zh) * 2020-09-30 2021-01-26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铁水罐及其制备方法
CN112264612B (zh) * 2020-09-30 2022-01-18 江苏沙钢集团有限公司 一种钢包砌筑结构及钢包使用方法
WO2022250798A1 (en) * 2021-05-25 2022-12-01 Harbison Walker International Holdings, Inc. Industrial furnace with refractory layer for insulation and con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0579B1 (ko) 2013-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579B1 (ko) 래들의 벽체 구조
TWI509076B (zh) 用於冶金爐的冷卻板、使用該冷卻板的冶金爐及該冷卻板的製造方法
JP4087000B2 (ja) レードル及びレードルのライニング方法
KR101631400B1 (ko) 용강 용기
KR101571644B1 (ko) 용융금속 용기의 라이닝 구조
JP2005336588A (ja) 出銑樋及びその形成方法
JP2012149863A (ja) 竪型炉の炉底耐火物の内張り構造
JP2003231910A (ja) 転炉絞り部のライニング
CN108424989A (zh) 一种高炉铁口区域冷却结构
CN205927098U (zh) 一种钢包保温内衬结构
CN204975307U (zh) 一种钢包
KR20130046657A (ko) 래들의 슬래그라인용 벽체 구조
KR101175444B1 (ko) 래들의 바닥 구조체
JPH0345108Y2 (ko)
RU195618U1 (ru) Изложница для разливки кремния
KR102083533B1 (ko) 처리 장치
JP6924635B2 (ja) 電気炉の炉底コーナー部の耐火物構造
KR101330578B1 (ko) 래들 구조체
US2228545A (en) Ingot mold
JP5777430B2 (ja) シャフト炉型冶金炉のステーブ配置構造
JP3022822U (ja) 鋳物用取鍋
JP5540555B2 (ja) 溶融金属容器
KR200371423Y1 (ko) 로체 내부에 시공되는 내화벽돌 구조
JP5825372B2 (ja) 高炉のステーブ配置構造
JP3439909B2 (ja) 真空溶鋼処理装置の内張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