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4755A -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 Google Patents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4755A
KR20100034755A KR1020107001895A KR20107001895A KR20100034755A KR 20100034755 A KR20100034755 A KR 20100034755A KR 1020107001895 A KR1020107001895 A KR 1020107001895A KR 20107001895 A KR20107001895 A KR 20107001895A KR 20100034755 A KR20100034755 A KR 20100034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resin
resin composition
group
polycarbonat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유키 가와이
요시히코 호리오
야스히로 이시카와
히로시 가와토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4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18Block or graft polymers
    • C08G64/183Block or graft polymer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45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ster sequences
    • C08G77/448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ster sequences containing polycarbonat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한 반복 단위를 특정량 갖고, 또한 점도수가 30 내지 71인 폴리카보네이트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와 백색 안료(B)의 함유 비율이 질량비로 99:1 내지 50:50이며, 유동성,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광 반사율, 치수 안정성, 외관이 우수한 성형체를 부여하는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이다.

Description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LIGHT-REFLECTING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THEREOF}
본 발명은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유동성,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광 반사율, 치수 안정성, 외관이 우수한 액정 디스플레이 분야의 광 반사판, 램프 홀더, 조명 기기의 반사 부재, 광 반사 부재를 갖춘 광학 소자 등의 성형체에 바람직한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액정 디스플레이 분야의 광 반사판, 램프 홀더, 조명 기기의 반사 부재에 응용하는 경우, 얻어지는 성형체는 밝기를 유지하기 위해서 고반사율이어야 한다. 그것을 위하여는 빛을 흡수하기 어려운 백색 안료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백색 안료 중에서 가장 우수한 산화타이타늄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산화타이타늄을 다량으로 배합하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분자량 저하가 커져,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개량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박육화, 대면적화, 광학 부재의 미소화에 따라, 제안되어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서는 사출 성형시의 유동성이 부족하고 결과적으로 충전 불량이 되어 만족한 성형체를 얻을 수 없다. 유동성을 보충하는 방책으로서 성형 온도를 올리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지만, 얻어지는 제품의 휨 변형이라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소제를 이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생각되지만, 얻어지는 제품의 색조가 악화하여, 광원색의 재현성이 뒤떨어져, 높은 반사율을 얻을 수 없다. 한편, 특정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한 유동성이 우수한 광학 성형체가 알려져 있지만, 산화타이타늄을 이용한 검토는 실시되고 있지 않다(특허문헌 2 참조).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볼 때,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광 반사율, 열 안정성, 성형시의 유동성을 더욱 개량할 필요가 요청되고 있다.
특허문헌1:일본특허공개평5-320519 특허문헌2:일본특허공개2005-247947
본 발명은 유동성, 열 안정성이 우수하며, 또한 광 반사율, 치수 안정성, 외관이 우수한 성형체를 부여하는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특정한 반복 단위를 특정량 가지며, 또한 점도수가 특정 범위에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백색 안료를 소정의 비율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하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가지며, 화학식 2의 함유량이 1 내지 30질량%이고, 점도수가 30 내지 71인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A-1)를 함유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 및 백색 안료(B)를 포함하며, 또한 (A)성분과 (B)성분의 함유 비율이 질량비로 99:1 내지 5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상기 화학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는 단일 결합,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리덴기, 탄소수 5 내지 15의 사이클로알킬렌기, 탄소수 5 내지 15의 사이클로알킬리덴기, -S-, -SO-, -SO2-, -O-, -CO- 결합 또는 하기 화학식 3 또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Y는 탄소수 2 내지 15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 내지 d는 각각 0 내지 4의 정수이고,
n은 2 내지 200의 정수이며, 또한
복수의 R1 및 R2, 또는 복수의 R3 및 R4는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와 백색 안료(B)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추가로 오가노폴리실록세인(C) 0.05 내지 3질량부를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3. 백색 안료(B)가 산화타이타늄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4.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가 추가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A-2)를 포함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5.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A-2)가 폴리오가노실록세인부 0.1 내지 10질량%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4에 기재된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6.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가 추가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3)를 포함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7.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와 백색 안료(B)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추가로 난연제(D) 0.1 내지 5질량부를 포함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8. 상기 1 내지 7의 어느 것에 기재된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체,
9. 광선 반사체인 상기 8에 기재된 성형체,
10. 반사율(Y)이 90% 이상이고, 두께 1mm에서 전광선 투과율이 0.6% 이하인 상기 9에 기재된 성형체
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동성, 열 안정성이 우수한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광 반사율, 치수 안정성, 외관이 우수한 상기 조성물의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휴대 전화용 프레임을 모방한 성형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의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A)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하, 단지「(A)성분」이라고 하기도 한다)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A)성분은 (A-1)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있고, (A-2)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 (A-3)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1) 및 (A-2) 이외의 다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부터 선택된 임의 성분 중 1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A-1)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페놀변성 다이올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이며, 계면 중합법이라고 불리는 관용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즉, 2가 페놀, 페놀변성 다이올 및 포스젠 등의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반응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염화메틸렌 등의 불활성 용매 중에 있어, 공지된 산 수용체나 분자량 조절제의 존재 하에, 추가로 필요에 따라 촉매나 분기제를 첨가하여, 2가 페놀, 페놀변성 다이올 및 포스젠 등의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반응시킨다.
(A-1)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5
[화학식 2]
Figure pct00006
화학식 1 중, R1, R2, a, b 및 X에 관해서는 하기 화학식 1a와 더불어 설명한다. 또한, 화학식 2 중, R3, R4, c, d, n 및 Y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화학식 2a와 더불어 설명한다.
(A-1)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에 이용하는 2가 페놀로서는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pct00007
화학식 1a에 있어서, R1 및 R2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알킬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및 환상의 어느 것이든 좋다. 알킬기로서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 n-뷰틸기, 아이소뷰틸기, tert-뷰틸기, n-펜틸기, 아이소펜틸기, n-헥실기, 아이소헥실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a 및 b는 각각 R1 및 R2의 치환수를 나타내고, 0 내지 4의 정수이다. 한편, R1이 복수로 있는 경우,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으며, R2가 복수로 있는 경우,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다.
X는 단일 결합,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예컨대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뷰틸렌기, 펜틸렌기, 헥실렌기 등),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리덴기(예컨대 에틸리덴기, 아이소프로필리덴기 등), 탄소수 5 내지 15의 사이클로알킬렌기(예컨대 사이클로펜틸렌기, 사이클로헥실렌기 등), 탄소수 5 내지 15의 사이클로알킬리덴기(예컨대 사이클로펜틸리덴기, 사이클로헥실리덴기 등), -S-, -SO-, -SO2-, -O-, -CO- 결합 또는 하기 화학식 3 또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8
[화학식 4]
Figure pct00009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2가 페놀로서는 다양한 것이 있지만, 특히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비스페놀 A]이 적합하다. 비스페놀 A 이외의 비스페놀로서는, 예컨대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뷰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옥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페닐메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1-메틸페닐)프로페인,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나프틸메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t-뷰틸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3-브로모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3,5-다이메틸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3-클로로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3,5-다이클로로페닐)프로페인 및 2,2-비스(4-하이드록시-3,5-다이브로모페닐)프로페인 등의 비스(하이드록시아릴)알케인류;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펜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세인, 및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3,5,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세인 등의 비스(하이드록시아릴)사이클로알케인류;
4,4'-다이하이드록시페닐에터 및 4,4'-다이하이드록시-3,3'-다이메틸페닐에터 등의 다이하이드록시아릴에터류;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설파이드 및 4,4'-다이하이드록시-3,3'-다이메틸다이페닐설파이드 등의 다이하이드록시다이아릴설파이드류;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설폭사이드 및 4,4'-다이하이드록시-3,3'-다이메틸다이페닐설폭사이드 등의 다이하이드록시다이아릴설폭사이드류;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설폰 및 4,4'-다이하이드록시-3,3'-다이메틸다이페닐설폰 등의 다이하이드록시다이아릴설폰류;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 등의 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류; 9,9-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 및 9,9-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 등의 다이하이드록시다이아릴플루오렌류; 1,3-비스(4-하이드록시페닐)아다만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아다만테인 및 1,3-비스(4-하이드록시페닐)-5,7-다이메틸아다만테인 등의 다이하이드록시다이아릴아다만테인류;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다이페닐메테인, 4,4'-[1,3-페닐렌비스(1-메틸에틸리덴)]비스페놀, 10,10-비스(4-하이드록시페닐)-9-안트론, 1,5-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싸이오)-2,3-다이옥사펜타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2가 페놀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분자량 조절제로서는 보통,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합에 사용되는 것이면 각종의 것들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가 페놀로서 예컨대 페놀, o-n-뷰틸페놀, m-n-뷰틸페놀, p-n-뷰틸페놀, o-아이소뷰틸페놀, m-아이소뷰틸페놀, p-아이소뷰틸페놀, o-t-뷰틸페놀, m-t-뷰틸페놀, p-t-뷰틸페놀, o-n-펜틸페놀, m-n-펜틸페놀, p-n-펜틸페놀, o-n-헥실페놀, m-n-헥실페놀, p-n-헥실페놀, p-t-옥틸페놀, o-사이클로헥실페놀, m-사이클로헥실페놀, p-사이클로헥실페놀, o-페닐페놀, m-페닐페놀, p-페닐페놀, o-n-노닐페놀, m-노닐페놀, p-n-노닐페놀, o-큐밀페놀, m-큐밀페놀, p-큐밀페놀, o-나프틸페놀, m-나프틸페놀, p-나프틸페놀; 2,5-다이-t-뷰틸페놀; 2,4-다이-t-뷰틸페놀; 3,5-다이-t-뷰틸페놀; 2,5-다이큐밀페놀; 3,5-다이큐밀페놀; p-크레졸, 브로모페놀, 트라이브로모페놀, 평균 탄소수 12 내지 35의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의 알킬기를 오쏘 위치, 메타 위치 또는 파라 위치에 갖는 모노알킬페놀; 9-(4-하이드록시페닐)-9-(4-메톡시페닐)플루오렌; 9-(4-하이드록시-3-메틸페닐)-9-(4-메톡시-3-메틸페닐)플루오렌; 4-(1-아다만틸)페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1가 페놀 중에서는 p-t-뷰틸페놀, p-큐밀페놀, 및 p-페닐페놀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촉매로서는 상전이 촉매, 예컨대 3차 아민 또는 그 염, 4차 암모늄염, 4차 포스포늄염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3차 아민으로서는, 예컨대 트라이에틸아민, 트라이뷰틸아민, N,N-다이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 피리딘 및 다이메틸아닐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3차 아민염으로서는, 예컨대 이들 3차 아민의 염산염 및 브롬산염 등을 들 수 있다. 4차 암모늄염으로서는, 예컨대 트라이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트라이에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트라이뷰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트라이옥틸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테트라뷰틸암모늄클로라이드 및 테트라뷰틸암모늄브로마이드 등을, 4차 포스포늄염으로서는, 예컨대 테트라뷰틸포스포늄클로로 및 테트라뷰틸포스포늄브로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촉매는 각각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촉매 중에서는 3차 아민이 바람직하고, 특히 트라이에틸아민이 적합하다.
불활성 유기 용제로서는 각종의 것들이 있다. 예컨대 다이클로로메테인(염화메틸렌), 트라이클로로메테인, 사염화탄소, 1,1-다이클로로에테인, 1,2-다이클로로에테인, 1,1,1-트라이클로로에테인, 1,1,2-트라이클로로에테인, 1,1,1,2-테트라클로로에테인, 1,1,2,2-테트라클로로에테인, 펜타클로로에테인 및 클로로벤젠 등의 염소화 탄화수소나, 톨루엔, 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는 특히 염화메틸렌이 적합하다.
분기제로서, 예컨대 1,1,1-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α,α',α"-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1,3,5-트라이아이소프로필벤젠; 1-[α-메틸-α-(4'-하이드록시페닐)에틸]-4-[α',α'-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틸]벤젠; 4,4'-[1-[4-[1-(4-하이드록시페닐)-1-메틸에틸]페닐]에틸리덴]비스페놀; 플루오로글라이신, 트라이멜리트산, 및 이사틴비스(o-크레졸) 등의 작용기를 3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A-1)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에 이용하는 페놀변성 다이올은 하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페놀변성 다이올이다.
[화학식 2a]
Figure pct00010
화학식 2a에 있어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및 아이소프로필기를 들 수 있다. R3이 복수로 있는 경우,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으며, R4가 복수로 있는 경우,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다. Y는 탄소수 2 내지 15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알킬렌기로서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뷰틸렌기, 아이소뷰틸렌기, 펜틸렌기 및 아이소펜틸렌기 등의 알킬렌기, 에틸리덴기, 프로필리덴기, 아이소프로필리덴기, 뷰틸리덴기, 아이소뷰틸리덴기, 펜틸리덴기 및 아이소펜틸리덴기 등의 알킬리덴기를 들 수 있다. c 및 d는 0 내지 4의 정수이며, n은 2 내지 200의 정수이다. n은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0이다.
상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페놀변성 다이올은, 예컨대 하이드록시벤조산 또는 그 알킬에스터, 산 염화물과 폴리에터다이올로부터 유도되는 화합물이다. 이 페놀변성 다이올은 일본 특허 공개 소62-7922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60-7907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2-173465호 공보 등에서 제안되고 있는 방법에 의해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들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페놀변성 다이올에 대해 적절히 정제를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제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반응 후단에서 계내를 감압하여, 과잉의 원료(예컨대 파라하이드록시벤조산)을 증류 제거하는 방법, 페놀변성 다이올을 물 또는 알칼리 수용액(예컨대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등으로 세정하는 방법 등이 바람직하다.
하이드록시벤조산알킬에스터로서는 하이드록시벤조산메틸에스터, 하이드록시벤조산에틸에스터 등이 대표예이다. 폴리에터다이올은 HO-(Y-O)n-H(Y 및 n은 상기와 같다)로 표시되고, 탄소수 2 내지 15의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의 옥시알킬렌기로 이루어지는 반복 단위를 갖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 등을 들 수 있다. 입수성 및 소수성의 관점에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터다이올의 옥시알킬렌기의 반복수 n은 2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0이다. n이 2 이상이면 페놀변성 다이올을 공중합 할 때의 효율이 높고, n이 200 이하이면 (A-1)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내열성의 저하가 작다는 이점이 있다.
산염화물로서는, 하이드록시벤조산과 포스젠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이 대표예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 2652707호 공보 등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하이드록시벤조산 또는 그 알킬에스터는 파라체, 메타체, 오쏘체의 어느 것이든 좋지만, 공중합 반응의 면에서는 파라체가 바람직하다. 오쏘체는 하이드록실기에 대한 입체장해 때문에 공중합의 반응성이 뒤떨어질 우려가 있다.
(A-1)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페놀변성 다이올은 그 변질 등을 막기 위해, 가능한 한 염화메틸렌 용액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메틸렌 용액으로서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수산화 나트륨 등의 알칼리 수용액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A-1)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에 있어서, 페놀변성 다이올의 공중합량을 늘리면 유동성은 개선되지만 내열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페놀변성 다이올의 공중합량은 원하는 유동성과 내열성의 밸런스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놀변성 다이올 공중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일본 특허 공개 소62-79222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상이 되어, 일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같은 용도로 적용 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100℃ 이상의 내열성을 유지하려면 (A-1)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중에 포함되는 페놀변성 다이올 잔기의 양은 1 내지 30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질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A)성분에 사용되는 (A-1)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점도수가 30 내지 71[Mv(점도 평균 분자량)=10,000 내지 28,100에 상당]이며, 바람직하게는 34.7 내지 62(Mv=12,000 내지 24,100에 상당)이다. 점도수가 30 이상이면 기계 물성이 양호하고, 점도수가 71 이하이면 페놀변성 다이올(코모노머)의 공중합 효과가 양호하게 발휘된다.
또한, 고유동성을 발현시키고자 하면 다량의 코모노머가 필요하지만, 점도수가 71 이하이면, 코모노머의 사용량에 대하여 내열성이 크게 저하되는 일이 없다.
한편, 점도수는 ISO 1628-4(1999)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이다.
(A)성분에 사용되는 (A-2)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로서는 다양한 것이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반복 단위를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부와,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오가노실록세인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화학식 5]
Figure pct00011
[상기 화학식에서, R5 및 R6은 각각 할로젠원자(예컨대 염소, 브롬, 불소, 옥소)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이며, e 및 f는 각각 0 내지 4의 정수이다. R5가 복수로 있는 경우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으며, R6이 복수로 있는 경우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다. 그리고, Z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리덴기, 탄소수 5 내지 15의 사이클로알킬렌기, 탄소수 5 내지 15의 사이클로알킬리덴기 또는 -SO2-, -SO-, -S-, -O-, -CO- 결합, 단일 결합 또는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6]
Figure pct00012
[화학식 7]
Figure pct00013
[상기 화학식에서, R7, R8 및 R9는 각각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며, 각각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다. 또한, g 및 h는 각각 0 또는 1 이상의 정수이다.]
이 폴리오가노실록세인부의 중합도는 5 내지 1,00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인 것이 난연성, 성형품 외관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A-2)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부와,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오가노실록세인부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이고, 점도 평균 분자량 10,000 내지 50,000,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35,000의 것이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의 n-헥세인 가용분이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A-2)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는 난연성의 관점에서 폴리오가노실록세인부의 함유량 0.1 내지 10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질량%이다.
이 (A-2)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는, 예컨대 미리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부를 구성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PC 올리고머)와, 폴리오가노실록세인부를 구성하는 말단에 반응성기를 갖는 폴리오가노실록세인[예컨대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PDMS), 폴리다이에틸실록세인 등의 폴리다이알킬실록세인 또는 폴리메틸페닐실록세인 등]을, 염화메틸렌, 클로로벤젠 및 클로로폼 등의 용매에 용해시켜 비스페놀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가하고, 촉매로서 트라이에틸아민이나 트라이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을 이용하여 계면 반응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고 소44-30108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고 소45-20510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올리고머는 용제법, 즉 염화메틸렌 등의 용제속에서 공지된 산수용체, 분자량 조절제의 존재 하에,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2가 페놀과 포스젠과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반응, 또는 2가 페놀과 다이페닐카보네이트와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에스터 교환 반응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pct00014
[상기 화학식에서, R5, R6, Z, e 및 f는 상기와 같다.]
상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2가 페놀로서는 다양한 것이 있지만, 특히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비스페놀 A]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스페놀 A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2가 페놀로 치환한 것이어도 좋다. 비스페놀 A 이외의 2가 페놀로서는,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알케인, 하이드로퀴논,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알케인,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터 및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케톤과 같은 화합물; 또는 비스(3,5-다이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및 비스(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과 같은 할로젠화 비스페놀류 등을 들 수 있다.
(A-2)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의 제조에 제공되는 폴리카보네이트올리고머는 이들 2가 페놀 1종을 이용한 동종중합체여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이용한 공중합체여도 좋다. 또한, 다작용성 방향족 화합물을 상기 2가 페놀과 병용하여 얻어지는 열가소성 랜덤 분기폴리카보네이트여도 좋다. 한편, n-헥세인 가용분이 1.0질량%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공중합체 중의 폴리오가노실록세인 함유율을 10질량% 이하로 함과 동시에,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의 수가 5 이상인 것을 이용하고, 또한 제3차 아민 등의 촉매를 5.3×10-3몰/(kg·올리고머) 이상 이용하여 상기 공중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성분에 사용되는 (A-3)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1) 및 (A-2) 이외의 다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관용된 제조방법, 즉, 보통 2가 페놀과 포스젠 또는 탄산에스터 화합물 등의 폴리카보네이트 전구체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한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염화메틸렌 등의 용매 중에 있어, 공지된 산수용체나 분자량 조절제의 존재 하에, 추가로 필요에 의해 분기제를 첨가하여, 2가 페놀과 포스젠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와의 반응에 의해서, 또는 2가 페놀과 다이페닐카보네이트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와의 에스터 교환 반응 등에 의해서 제조된 것이다.
(A-3)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2가 페놀로서는 다양한 것이 있지만, 특히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비스페놀 A]이 적합하다. 비스페놀 A 이외의 비스페놀로서는, 예컨대 전술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로 예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탄산에스터 화합물로서는 다이페닐카보네이트 등의 다이아릴카보네이트나 다이메틸카보네이트, 다이에틸카보네이트 등의 다이알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분자량 조절제로서는 보통 폴리카보네이트의 중합에 사용되는 것이면 각종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가 페놀로서, 예컨대 페놀, o-n-뷰틸페놀, m-n-뷰틸페놀 및 p-n-뷰틸페놀 등 전술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로 예시된 것이 사용된다. 1가 페놀 중에서는 p-t-뷰틸페놀, p-큐밀페놀, p-페닐페놀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기타, 분기제로서 전술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와 같이, 예컨대 1,1,1-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에탄; α,α',α"-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1,3,5-트라이아이소프로필벤젠; 1-[α-메틸-α-(4'-하이드록시페닐)에틸]-4-[α',α'-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틸]벤젠; 플루오로글라이신, 트라이멜리트산 및 이사틴비스(o-크레졸) 등의 작용기를 3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A-3)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보통 점도 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00 내지 40,000이다.
(A-3)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는 전술에서 설명한 것, 또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A)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함유된, (A-1)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A-2)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 및 (A-3)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혼합비율 (A-1):(A-2):(A-3)은 질량비로 1~100:99~0:99~0이며, 바람직하게는 10~90:90~10:8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60:80~10:70~0이다.
[(B)백색 안료]
본 발명의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B)백색 안료(이하, 단지「(B)성분」이라고 하기도 한다)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B)성분은 다양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산화타이타늄, 산화아연, 리소폰, 황화아연 및 연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착색력이 우수한 산화타이타늄이 바람직하다. 산화타이타늄으로서는, 루틸형 및 아나타제형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열 안정성, 내후성이 우수한 루틸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타이타늄은 각종 표면 처리제로 처리하여 그 표면을 피복하면 효과적이다. 그 처리제로서는 수화알루미늄, 실리카, 및 아연 등이 보통 사용된다. 기타, 산화타이타늄의 수지 중에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실리콘오일이나 폴리올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A)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B)백색 안료와의 혼합 비율은 수지의 성형 가공성, 성형품의 차광성이나 높은 광 반사성의 관점에서, 질량비로 99:1 내지 50:50이며, 바람직하게는 90:10 내지 50:5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20 내지 50:50이다.
[(C)오가노폴리실록세인]
본 발명의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는 (C)오가노폴리실록세인(이하, 단지「(C)성분」이라고 하기도 한다)을 배합할 수 있다.
(C)성분은 알킬수소 실리콘 및 알콕시 실리콘 등을 들 수 있고, 예컨대 도오레·다우코닝사제의 SH1107, SR2402, BY16-160, BY16-161, BY16-160E 및 BY16-161E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C)성분을 (A)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B)백색 안료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3질량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A)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분해를 막을 수 있다. (C)성분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2질량부이다. (C)오가노폴리실록세인의 배합량이 0.05질량부 미만이면, (A)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열화하여 분자량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3질량부를 초과하면 성형체 표면에 은색이 발생하여, 제품 외관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D)난연제]
본 발명의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는 (D)난연제(이하, 단지 「(D)성분」이라고 하기도 한다)를 배합할 수 있다.
(D)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인계, 금속염계 및 실리콘계 등의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오가노실록세인함유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오가노실록세인함유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E)폴리오가노실록세인 입자 40 내지 90질량부의 존재 하에, (F)다작용성 단량체(f-1) 100 내지 50질량% 및 그 밖의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f-2) 0 내지 50질량%로 이루어지는 바이닐계 단량체 0.5 내지 10질량부를 중합하고, 추가로 (G)그 밖의 바이닐계 단량체 5 내지 50질량부[(E),(F) 및 (G) 합하여 100질량부에 대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오가노실록세인함유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E)폴리오가노실록세인입자는, 광산란법 또는 전자현미경 관찰로부터 구해지는 수평균 입자 직경이, 바람직하게는 0.008 내지 0.6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2μm,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5μm이다. 상기 수평균 입자 직경이 0.008μm 미만의 것을 얻는 것은 곤란한 경향이 있고, 0.6μm을 넘는 경우에는 난연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E)폴리오가노실록세인입자의 톨루엔 불용분량(상기 입자 0.5g을 톨루엔 80ml에 실온에서 24시간 침지한 경우의 톨루엔 불용분량)이 95% 이하, 더욱은 50% 이하, 특히는 20% 이하인 것이 난연성, 내충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다작용성 단량체(f-1)는 분자 내에 중합성 불포화결합을 2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이며, 구체예로서 메타크릴산 알릴, 사이아눌산 트라이알릴, 아이소사이아눌산 트라이알릴, 프탈산 다이알릴, 다이메타크릴산 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타크릴산 1,3-뷰틸렌 글라이콜 및 다이비닐벤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는 경제성 및 효과 면에서 메타크릴산 알릴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f-2)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파라메틸스타이렌, 파라뷰틸스타이렌 등의 방향족 바이닐계 단량체;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등의 시안화 바이닐계 단량체;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프로필, 아크릴산뷰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글라이시딜, 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산하이드록시뷰틸,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뷰틸, 메타크릴산라우릴, 메타크릴산글라이시딜, 및 메타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단량체; 이타콘산, (메트)아크릴산, 푸마르산 및 말레산등의 카복실기함유 바이닐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G)그 밖의 바이닐계 단량체는 폴리오가노실록세인함유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얻기 위해서 사용되는 성분이며, 추가로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배합하여 난연성 및 내충격성을 개량하는 경우에, 그래프트 공중합체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상용성을 확보하여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성분이기도 한다. 이 때문에, (G)바이닐계 단량체로서는, 상기 바이닐계 단량체의 중합체의 용해도 파라미터가 바람직하게는 9.15 내지 10.15[(cal/cm3)1/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17 내지 10.10[(cal/cm3)1/2], 특히 바람직하게는 9.20 내지 10.05[(cal/cm3)1/2]이다. 용해도 파라미터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난연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용해도 파라미터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일본 특허 공개 2003-23863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D)성분의 평균 입자 직경은 전자현미경 관찰로부터 구한 값에서 0.1 내지 1μm으로 분산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평균 입자 직경이 1μm보다 크면 충분한 난연성, 강성 및 충격 강도가 얻어지지 않고, 0.1μm보다 작으면 충격 강도의 향상이 불충분하게 된다.
(D)성분의 배합량은 (A)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B)백색 안료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질량부이다. (D)성분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3질량부이다. 0.1질량부보다 적으면 난연성이나 충격 강도가 불충분하며, 5질량부보다 많으면 난연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강성이 저하된다.
[기타]
또한, 본 발명의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인계 안정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각종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인계 안정제는 제조시 또는 성형 가공시의 열 안정성을 향상시켜, 기계적 특성, 색상 및 성형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인계 안정제로서는 인산계 화합물 및/또는 방향족 포스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인산계 화합물로서는 아인산, 인산, 아포스폰산, 포스폰산 및 이들의 에스터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트라이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다이-tert-뷰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라이옥틸포스파이트, 트라이옥타데실포스파이트, 다이데실모노페닐포스파이트, 다이옥틸모노페닐포스파이트, 다이아이소프로필모노페닐포스파이트, 모노뷰틸다이페닐포스파이트, 모노데실다이페닐포스파이트, 모노옥틸다이페닐포스파이트, 비스(2,6-다이-tert-뷰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다이포스파이트, 2,2-메틸렌비스(4,6-다이-tert-뷰틸페닐)옥틸포스파이트, 비스(노닐페닐)펜타에리트리톨다이포스파이트, 비스(2,4-다이-tert-뷰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다이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펜타에리트리톨다이포스파이트, 트라이뷰틸포스페이트,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 트라이메틸포스페이트, 트라이페닐포스페이트, 다이페닐모노오쏘크세닐포스페이트, 다이뷰틸포스페이트, 다이옥틸포스페이트, 다이아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4,4'-바이페닐렌다이포스포스핀산 테트라키스(2,4-다이-tert-뷰틸페닐)벤젠포스폰산 다이메틸, 벤젠포스폰산 다이에틸, 벤젠포스폰산 다이프로필 및 하기의 화합물 1 내지 10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이들 중에서, 상기 화합물 1, 비스(2,6-다이-tert-뷰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다이포스파이트(PEP-36) 및 트리스(2,4-다이-tert-뷰틸페닐)포스파이트(Irg168)가 바람직하다.
방향족 포스핀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아릴포스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18
[상기식에서 W는 탄화수소기이며, 적어도 그 하나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이다.]
상기 화학식 9의 아릴포스핀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트라이페닐포스핀, 다이페닐뷰틸포스핀, 다이페닐옥타데실포스핀, 트리스-(p-톨릴)포스핀, 트리스-(p-노닐페닐)포스핀, 트리스-(나프틸)포스핀, 다이페닐-(하이드록시메틸)-포스핀, 다이페닐-(아세톡시메틸)-포스핀, 다이페닐-(β-에틸카복시에틸)-포스핀, 트리스-(p-클로로페닐)포스핀, 트리스-(p-플루오로페닐)포스핀, 다이페닐벤질포스핀, 다이페닐-β-사이아노에틸포스핀, 다이페닐-(p-하이드록시페닐)-포스핀, 다이페닐-1,4-다이하이드록시페닐-2-포스핀 및 페닐나프틸벤질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트라이페닐포스핀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인계 안정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계 안정제의 배합량은, (A)성분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보통 0.001 내지 1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5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질량부이다.
인계 안정제의 배합량이 상기 범위내이면 성형시의 열 안정성이 향상한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피브릴 형성능을 갖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여기서, 피브릴 형성능이란, 전단력 등의 외적 작용에 의해 수지끼리 결합하여 섬유상이 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피브릴 형성능을 갖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용융 적하 방지 효과를 부여하고, 우수한 난연성을 발현시킨다.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예컨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하, 「PTFE」라고 하기도 한다)이 바람직하다.
피브릴 형성능을 갖는 PTFE는 매우 높은 분자량을 가지며, 표준 비중으로부터 구해지는 수평균 분자량으로, 보통 50만 이상, 바람직하게는 50만 내지 1,500만, 보다 바람직하게 100만 내지 1,000만이다. 이러한 PTFE는 예컨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수성 용매 중에서,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퍼옥시다이설파이드의 존재 하에, 7 내지 700KPa의 압력 하, 온도 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에서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러한 PTFE는 고체 형상 외에 수성 분산액 형태의 것도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피브릴 형성능을 갖는 PTFE로서는 예컨대 ASTM 규격에 의해 타입 3으로 분류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 타입 3으로 분류되는 시판품으로서는, 예컨대 테프론 6-J(상품명, 미쓰이·듀폰 플로로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제), 폴리프론 D-1 및 폴리프론 F-103(상품명, 다이킨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타입3 이외로서는 아르고프론 F5(상품명, 몬테플루오스사제) 및 폴리프론 MPA FA-100(상품명, 다이킨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배합량은 (A)성분과 (B)성분과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질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질량부이다.
각종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입체 장애된 페놀계 및 에스터계 등의 산화방지제, 입체 장애된 아민계 등의 광안정제, 보통 사용되는 이형제, 대전방지제 및 형광 증백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적절히 함유시킬 수 있다.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본 발명의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각 성분을 배합하여 필요에 따라 용융 혼련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배합 및 용융 혼련은 보통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용융 혼련기로서는, 예컨대 리본 블렌더, 헨셀 믹서, 반버리 믹서, 드럼 텀블러, 단축 스크류 압출기, 2축 스크류 압출기, 코니더 및 다축 스크류 압출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용융 혼련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는 보통 250 내지 300℃가 적당하다.
수득된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기지의 여러 가지 성형 방법, 예컨대 사출 성형, 중공 성형, 압출 성형, 압축 성형, 캘린더 성형, 및 회전 성형 등을 적용하여 여러가지 형상의 성형체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고, 가열 성형 또는 프레스 성형하여 양호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가열성형의 방법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비 성형체를 가열하여 진공 및/또는 압축 공기의 압력으로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여기서 가열 시는, 예비 성형체의 한쪽 또는 양쪽의 어느 것으로부터 여도 좋고, 열원에 직접 접촉시켜 가열할 수도 있다. 이 때, 가열 온도가 150℃ 미만인 경우는 균일하게 성형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200℃를 초과하면 발포가 생기기 쉬워 바람직하지 못하다. 열성형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단순한 진공 성형법, 드레이프 포밍법, 매치드 다이법, 압력 버블 플러그 보조 진공성형법, 플러그 보조법, 진공 스냅백법, 압력 발포 진공 스냅백법, 에어 슬립 포밍법, 트랩드 시트 접촉가열-압력 포밍 및 단순 압공 성형법 등을 들 수 있다. 이 성형시의 압력은 진공 성형법의 경우는 0.1MPa 이하, 압공 성형법의 경우는 0.3 내지 0.8MPa가 바람직하고, 진공 성형법과 압공 성형법은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 열성형에 의해 광원의 타입, 개수에 따른 형상, 균질한 면반사가 가능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성형체는 내열성이나 난연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높은 반사성을 갖는 것이고, 액정 디스플레이의 광 반사판 등의 성형품, 또는 광학 소자 등의 분야의 성형품이나 부품을 제조하는 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하여 수득된 본 발명의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보통의 성형 방법, 예컨대 사출 성형법이나 압축 성형법 등을 이용하여 평면판 또는 곡면판에 성형함으로써 본 발명의 광선 반사체가 얻어진다. 이 광선 반사체는, 예컨대 조명 장치용이나 액정 디스플레이 백라이트용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 백라이트용 반사판으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의 광선 반사체는 재료에 브롬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내광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이용하더라도 반사율의 저하가 적고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는 등, 종래에 없는 우수한 특성을 갖춘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광선 반사체는 재료에 브롬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내광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이용하더라도 반사율의 저하가 적고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는 등 종래에 없는 우수한 특성을 갖춘 것이다.
본 발명의 광선 반사체는 반사율(Y)이 90%, 두께 1mm에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0.6% 이하이다.
반사율(Y) 및 전광선 투과율(%)에 관해서는 실시예에서 후술하지만, 반사기에 요구되는 반사 특성은 Y값으로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지고 있고, 빛의 누설에 기인하는 조명 장치의 휘도(조사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두께 1mm에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0.6% 이하일 것이 요망되고 있다. Y값이 90% 이상이며, 두께 1mm에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0.6% 이하인 반사기를 겸하는 조명 장치용 하우징은 반사기의 반사 특성 및 조명 장치의 휘도(조사율)가 매우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선 반사체는, Y값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7% 이상, 두께 1mm에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이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조예>
<공중합 코모노머의 제조예 1>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비스(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의 합성: PTMG쇄의 평균 분자량=2,000]
질소 하에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PTMG, Mn=2,000) 100질량부와 p-하이드록시벤조산메틸 16.7질량부를 다이뷰틸주석옥사이드 0.05질량부의 존재 하에, 210℃로 가열하여, 메탄올을 증류 제거했다.
반응계 내를 감압으로 하여 과잉의 p-하이드록시벤조산메틸을 증류 제거했다. 반응 생성물을 염화메틸렌에 용해 후, 이 염화메틸렌 용액에 8질량%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여 20분간 격렬하게 혼합한 후, 원심분리에 의해 염화메틸렌상(相)을 채취했다. 염화메틸렌상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비스(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를 수득했다.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p-하이드록시벤조산, p-하이드록시벤조산메틸을 정량한 결과, p-하이드록시벤조산은 10질량ppm 이하, p-하이드록시벤조산메틸은 0.2질량%였다.
한편, HPLC 측정 방법은 GL 사이언스사제 ODS-3컬럼을 이용하여, 컬럼 온도 40℃, 0.5% 인산 수용액과 아세토나이트릴의 1:2 혼합 용매, 유속 1.0mL/분의 조건으로 측정했다. 정량은 표품에 의한 검량선을 바탕으로 산출했다.
<공중합 코모노머의 제조예 2>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비스(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의 합성: PTMG쇄의 평균 분자량=1,000]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PTMG, Mn=1,000) 100질량부, p-하이드록시벤조산메틸 33.4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같이 실시했다.
p-하이드록시벤조산은 10질량ppm 이하, p-하이드록시벤조산메틸은 0.3질량%였다.
<공중합 코모노머의 제조예 3>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비스(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의 합성: PTMG쇄의 평균 분자량=600]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PTMG, Mn=600) 100질량부, p-하이드록시벤조산메틸 5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같이 실시했다.
p-하이드록시벤조산은 10질량ppm 이하, p-하이드록시벤조산메틸은 0.2질량%였다.
<공중합 코모노머의 제조예 4>
[폴리테트라에틸렌 글라이콜-비스(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의 합성: PTEG쇄의 평균 분자량=1,000]
폴리테트라에틸렌 글라이콜(PTEG, Mn=1,000) 100질량부, p-하이드록시벤조산메틸 33.4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같이 실시했다.
p-하이드록시벤조산은 10질량ppm 이하, p-하이드록시벤조산메틸은 0.3질량%였다.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용액의 제조>
5.6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뒤에서 용해하는 비스페놀 A(BPA)에 대하여 2,000ppm의 아(亞)다이싸이온산나트륨(sodium dithionite)을 가하고, 이것에 BPA 농도가 13.5질량%가 되도록 BPA를 용해하여, BPA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조제했다. 이 BPA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40L/시(hr), 염화메틸렌 15L/시의 유량으로, 포스젠을 4.0kg/시의 유량으로 내경 6mm, 관 길이 30m의 관형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통과시켰다. 관형 반응기는 쟈켓 부분을 가지고 있고, 쟈켓에 냉각수를 통해서 반응액의 온도를 40℃ 이하로 유지했다. 관형 반응기를 나간 반응액은 후퇴익을 갖춘 내용적 40L의 배플 부착 조형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도입되고, 여기에 추가로 BPA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8L/시, 25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0.07L/시, 물 17L/시, 1질량% 트라이에틸아민 수용액을 0.64L/시로 첨가하여 반응을 실시했다. 조형 반응기로부터 넘쳐 나가는 반응액을 연속적으로 뽑아내어 정치하는 것으로 물상(水相)을 분리 제거하여, 염화메틸렌상을 채취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는 농도 329g/L, 클로로포메이트기 농도 0.74mol/L였다.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PCC1의 제조>
방해판, 패들형 교반익 및 냉각용 쟈켓을 갖춘 50L 조형 반응기에 상기에서 제조한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용액 15L, 염화메틸렌 8.9L, 상기에서 제조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비스(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325g(PTMG쇄의 평균 분자량=2,000) 및 트라이에틸아민 8.7mL을 투입하고 교반 하에서, 여기에 6.4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710g을 가하여 10분간, 폴리카보네이트올리고머와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비스(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의 반응을 실시했다.
이 중합액에 p-t-뷰틸페놀(PTBP)의 염화메틸렌 용액(PTBP 225g을 염화메틸렌 2.0L에 용해한 것), BPA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NaOH 617g과 아다이싸이온산나트륨 1.9g을 물 9.0L에 용해한 수용액에 BPA 930g을 용해시킨 것)을 첨가하여 50분간 중합 반응을 실시했다.
희석을 위해 염화메틸렌 15L를 가하여 10분간 교반한 후,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유기상과 과잉의 BPA 및 NaOH를 포함하는 물상으로 분리하여, 유기상을 단리했다.
이렇게 해서 수득된 폴리카보네이트의 염화메틸렌 용액을 그 용액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15용적%의 0.03mol/L NaOH 수용액, 0.2mol/L 염산으로 세정하고, 이어서 세정 후의 물상 중의 전기 전도도가 0.01μS/m 이하가 될 때까지 순수(純水)로 세정을 반복했다.
세정에 의해 수득된 폴리카보네이트의 염화메틸렌 용액을 농축·분쇄하여, 수득된 플레이크를 감압 하, 100℃에서 건조했다.
NMR에 의해 구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비스(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잔기의 양은 4.0질량%였다.
ISO 1628-4(1999)에 준거하여 측정한(이하, 마찬가지로 점도수를 측정) 점도수는 38.1(Mv=13,500)이었다.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PCC2의 제조>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비스(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325g(PTMG쇄의 평균 분자량=2,000)을 폴리테트라에틸렌 글라이콜-비스(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163g(PTEG쇄의 평균 분자량=1,00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PCC1의 제조와 같이 실시했다.
NMR에 의해 구한 폴리테트라에틸렌 글라이콜-비스(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잔기의 양은 2.0질량%였다.
점도수는 38.0(Mv=13,500)이었다.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PCC3의 제조>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비스(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PTMG 쇄의 평균분자량=2,000)의 첨가량을 813g으로, PTBP의 사용량을 246g으로, 건조 온도를 100℃에서 8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PCC1의 제조와 같이 실시했다.
NMR에 의해 구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비스(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잔기의 양은 10.7질량%였다.
점도수는 35.6(Mv=12,400)이었다.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PCC4의 제조>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비스(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PTMG쇄의 평균 분자량=2,000) 325g을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비스(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PTMG쇄의 평균 분자량=600) 813g으로, PTBP의 사용량을 213g으로, 건조 온도를 8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PCC1의 제조와 같이 실시했다.
NMR에 의해 구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비스(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잔기의 양은 9.9질량%였다.
점도수는 39.6(Mv=14,200)이었다.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PCC5의 제조>
방해판, 패들형 교반익 및 냉각용 쟈켓을 갖춘 50L 조형 반응기에 상기에서 제조한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용액 15L, 염화메틸렌 8.9L, 다이메틸실란옥시 단위의 반복수가 90인 알릴페놀 말단 변성 PDMS 625g 및 트라이에틸아민 8.7mL을 투입하고 교반 하에서, 여기에 6.4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390g을 가하여 10분간,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와 알릴페놀 말단 변성 PDMS의 반응을 실시했다.
이 중합액에 PTBP의 염화메틸렌 용액(PTBP 172g을 염화메틸렌 2.0L에 용해한 것), BPA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NaOH 566g과 아다이싸이온산나트륨 2.2g을 물 8.3L에 용해한 수용액에 BPA 1,116g를 용해시킨 것)을 첨가하여 50분간 중합 반응을 실시했다.
희석을 위해 염화메틸렌 15L을 가하여 10분간 교반한 후,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유기상과 과잉의 BPA 및 NaOH를 포함하는 물상으로 분리하고, 유기상을 단리했다.
이렇게 해서 수득된 폴리카보네이트의 염화메틸렌 용액을 그 용액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15용적%의 0.03mol/L NaOH 수용액, 0.2mol/L 염산으로 세정하고, 이어서 세정 후의 물상 중의 전기 전도도가 0.01μS/m 이하가 될 때까지 순수로 세정을 반복했다.
세정에 의해 수득된 폴리카보네이트의 염화메틸렌 용액을 농축·분쇄하여, 수득된 플레이크를 감압 하, 120℃에서 건조했다.
NMR에 의해 구한 PDMS 잔기의 양은 10.0질량%였다.
점도수는 41.5(Mv=15,000)였다.
<실시예>
수지 조성물의 물성 측정 및 평가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실시했다.
(1) Q값
수득된 펠렛은 각각 120℃에서 5시간 열풍 건조한 후, 고가(高架)식 플로우 테스터를 이용해서 JIS K7210에 준거하여, 280℃, 15.7MPa의 압력 하에서, 직경 1mm, 길이 10mm의 노즐로부터 유출하는 용융 수지량(mL/sec)을 측정했다. 한편, 용융 점도의 저하와 동시에 흐름 값(Q값)은 증가한다.
(2) 반사율 Y·황색도 YI
수득된 펠렛은 각각 120℃에서 5시간 열풍 건조한 후, 성형기[스미토모 쥬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제, 스미토모 네스탈 N515/150]를 이용하여, 300℃의 성형 온도, 80℃의 금형 온도에서, 140mm×140mm×3.2mm의 반사율 측정용 평판을 제작했다. 반사율, 황색도는 LCM 분광 광도계 MS2020플러스(맥베스사제)에 의한 Y값, YI값으로 평가했다.
(3) 전광선 투과율 (%)
성형기[스미토모 쥬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제, 스미토모 네스탈 N515/150]를 이용하여, 300℃의 성형 온도, 80℃의 금형 온도에서, 80mm×80mm×1.0mm의 전광선 투과율 측정용 평판을 제작했다. JIS K7105에 준거하여, 니뽄덴쇼쿠고교샤제의 시험기에 의해, 평행 광선 투과율을 측정했다.
(4) 점도 평균 분자량 차이 (ΔMv)
원료 폴리카보네이트와의 점도 평균 분자량 차이(ΔMv)를 구했다.
수득된 펠렛을 염화메틸렌 용액에 용해해서 불용분을 필터로써 제거하여 증발시켜 필름을 제작하고, 그 필름을 두 번째 염화메틸렌에 용해시켜 20℃에서 우벨로데 점도관으로써 점도를 측정하여, 이것으로 부터 극한점도[η]를 구한 후, 다음 식으로써 산출했다.
[η]=1.23×10-5Mv0.83
(5) 성형체의 외관평가
사출 성형기[스미토모 쥬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제, SH100]를 이용하고, 성형기로써 동시에 핀 게이트(1mmΦ) 2개를 갖는 상자 형상의 금형(치수: 107mm×152mm×10mm, 두께: 2mm)을 이용하여, 성형 온도 300℃, 금형 온도 80℃, 130초의 냉각 시간(성형 사이클 시간 160초)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체류 시간을 연장한 경우의 성형체를 제작하고, 이 성형체에 대하여 외관(은색 발생의 유무)을 육안으로 판정했다. 은색의 발생이 없는 경우를 ○, 은색이 조금 발생한 경우를 △, 은색이 발생한 경우를 ×, 성형체를 채취할 수 없었던 경우를 ―로 했다.
(6) 휴대 프레임 성형 시험
수득된 펠렛을 각각 120℃에서 5시간 열풍 건조한 후, 스미토모 쥬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제 SG100M-HP를 이용하여, 성형 온도 280, 290, 300, 310℃, 금형 온도 80℃에서, 도 1에 나타내는 휴대전화용 프레임을 모방한 성형체를 제작하여 성형 가능 최저 온도를 평가하고, 성형 불가능한 경우를 ×로 했다.
또한, 310℃ 성형체에 대하여 육안에 의해 성형체 휨을 평가했다. 휨의 평가 기준으로서, 휨이 없는 경우를 ○, 조금 휨이 있는 경우를 △, 큰 휨이 있는 경우를 ×, 성형체를 채취할 수 없던 경우를 ―로 했다.
(7) 난연성 평가시험
수득된 펠렛을 각각 120℃에서 5시간 열풍 건조한 후, 스미토모 쥬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네스탈 N515/150을 이용하여, 성형 온도 300℃, 금형 온도 80℃에서, 127mm×12mm×1mm 두께의 연소 시험용 시험편을 제작했다. 제작한 시험편은 UL94 준거의 난연성 시험에 의해 평가했다.
한편, UL94 난연성 시험(수직 연소 시험)이란, 연직으로 유지한 소정 크기의 시험편에 버너의 불꽃을 10초간 불꽃에 접한 후의 불꽃의 잔류 시간으로부터 난연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며, V-0시험 합격의 경우를 ○, V-0시험 불합격의 경우를 ×로 했다.
<실시예 1 내지 24 및 비교예 1 내지 7>
하기 표 1 내지 4에 있어서, 이용한 성분은 이하와 같다.
·(A)성분
(A-1)성분: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PCC1 내지 4(제조예에 의해 제조한 것)
(A-2)성분: 폴리카보네이트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공중합체
타프론 FC1700(이데미쓰고산 가부시키가이샤제, Mv=17,500, PDMS 함유량 3.5질량%)
PCC5(제조예에 의해 제조한 것)
(A-3)성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타프론 FN1700(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제, Mv=17,500)
타프론 FN1500(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제, Mv=14,200)
·(B)성분: 산화타이타늄 분말
PF726(이시하라산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PF726, 평균입경 0.21μm)
PC3(이시하라산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PC3, 평균입경 0.21μm)
2233(KRONOS사제, 상품명: 2233)
·(C)성분: 오가노폴리실록세인
BY-16-161(도오레·다우 코닝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BY-16-161)
·(D)성분: 난연제
MR-01(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제, 상품명: MR-01)
·가소제
KLB635(카오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KLB-635)
·난연화 조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TFE(아사히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CD076)
상기 시판의 각종 폴리카보네이트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 공중합체, 시판의 각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산화타이타늄, 오가노실록세인, PTFE를 사용하여 표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로 배합하고, 벤트 부착 2축압출기(도시바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제, TEM-35B)에 의해서 온도 280℃에서 혼련하여 펠렛화했다. 수득된 펠렛을 상기 (1) 내지 (7)에 따라서 물성 측정 및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 내지 4에 나타내었다.
한편, 표 1 및 표 2는 난연제를 배합하지 않은 것이고, 표 3 및 표 4는 난연제를 배합한 것인 실시예 및 비교예이다.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표 1 내지 4로부터 이하의 것이 밝혀졌다.
<1>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6으로부터, (A-1)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특히 유동성이 우수하고, 열 안정성, 치수 안정성 및 성형 외관이 우수한 재료가 되는 것을 알았다.
<2> 실시예 11 내지 24 및 비교예 7로부터, (A-2)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난연제를 함유시키지 않더라도 열 안정성, 치수 안정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재료가 되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의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유동성,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의 성형체는 광 반사율, 치수 안정성, 외관이 우수하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의 광 반사판, 램프 홀더, 조명 기기의 반사 부재, 광 반사 부재를 갖춘 광학 소자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높은 광 반사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가지며, 화학식 2의 함유량이 1 내지 30질량%이고, 점도수가 30 내지 71인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A-1)를 함유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 및 백색 안료(B)를 포함하며, 또한 (A)성분과 (B)성분의 함유 비율이 질량비로 99:1 내지 5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00023

    [화학식 2]
    Figure pct00024

    (상기 화학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는 단일 결합,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리덴기, 탄소수 5 내지 15의 사이클로알킬렌기, 탄소수 5 내지 15의 사이클로알킬리덴기, -S-, -SO-, -SO2-, -O-, -CO- 결합 또는 하기 화학식 3 또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Y는 탄소수 2 내지 15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 내지 d는 각각 0 내지 4의 정수이고,
    n은 2 내지 200의 정수이며, 또한
    복수의 R1 및 R2, 또는 복수의 R3 및 R4는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다.)
    [화학식 3]
    Figure pct00025

    [화학식 4]
    Figure pct00026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와 백색 안료(B)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추가로 오가노폴리실록세인(C) 0.05 내지 3질량부를 포함하는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백색 안료(B)가 산화타이타늄인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가 추가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A-2)를 포함하는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A-2)가 폴리오가노실록세인부 0.1 내지 10질량%를 포함하는 것인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가 추가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3)를 포함하는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와 백색 안료(B)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추가로 난연제(D) 0.1 내지 5질량부를 포함하는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체.
  9. 제 8 항에 있어서,
    광선 반사체인 성형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반사율(Y)이 90% 이상이고, 두께 1mm에서 전광선 투과율이 0.6% 이하인 성형체.
KR1020107001895A 2007-08-01 2008-07-28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KR201000347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00987 2007-08-01
JP2007200987 2007-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755A true KR20100034755A (ko) 2010-04-01

Family

ID=4030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895A KR20100034755A (ko) 2007-08-01 2008-07-28 광 반사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315246B2 (ko)
KR (1) KR20100034755A (ko)
CN (1) CN101772548A (ko)
TW (1) TWI433890B (ko)
WO (1) WO20090170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9384B2 (ja) * 2009-07-16 2014-11-05 出光興産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筐体
JP5619386B2 (ja) * 2009-07-27 2014-11-05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5840388B2 (ja) * 2011-06-01 2016-01-06 日東電工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装置
WO2013088796A1 (ja) * 2011-12-13 2013-06-20 出光興産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光学成形品
KR101779188B1 (ko) 2014-09-05 2017-09-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67714A (ko) 2014-12-04 2016-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KR101685665B1 (ko) 2014-12-04 2016-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6396792B2 (ja) * 2014-12-25 2018-09-26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導光部材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導光部材
JP6850203B2 (ja) * 2017-06-05 2021-03-31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光学部材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6630872B1 (ja) * 2018-03-27 2020-01-15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3399A (en) * 1985-08-22 1987-05-05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polyether block copolymers, polymer blends containing same and intermediates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2002284977A (ja) * 2001-03-23 2002-10-03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4369275B2 (ja) * 2004-04-05 2009-11-18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体
JP4331050B2 (ja) * 2004-05-13 2009-09-16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共重合体の成形方法
JP4731134B2 (ja) * 2004-07-01 2011-07-20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共重合体の製造方法及びポリカーボネート共重合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15246B2 (ja) 2013-10-16
CN101772548A (zh) 2010-07-07
TWI433890B (zh) 2014-04-11
WO2009017089A1 (ja) 2009-02-05
JPWO2009017089A1 (ja) 2010-10-21
TW200923011A (en) 200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5213B2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olycarbonate resin
JP5315246B2 (ja) 光反射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5063873B2 (ja) 光拡散性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および同樹脂組成物を用いた光拡散板
KR20090122151A (ko)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광반사 부재
JP4914027B2 (ja) 光拡散性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および同樹脂組成物を用いた光拡散板
JP5073226B2 (ja) 光拡散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拡散板
JP5421548B2 (ja) ガラス繊維強化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該樹脂組成物を用いた成形品
JP5064720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光学成形体及び照明ユニット
WO2020054741A1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