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3208A - 댐퍼플라이휠 - Google Patents

댐퍼플라이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3208A
KR20100033208A KR1020080092269A KR20080092269A KR20100033208A KR 20100033208 A KR20100033208 A KR 20100033208A KR 1020080092269 A KR1020080092269 A KR 1020080092269A KR 20080092269 A KR20080092269 A KR 20080092269A KR 20100033208 A KR20100033208 A KR 20100033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arc
damping space
midguide
damper fly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1111B1 (ko
Inventor
이희락
허만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평화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to KR1020080092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111B1/ko
Priority to PCT/KR2009/002818 priority patent/WO2010032915A1/en
Publication of KR20100033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0Fly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3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34Wound springs
    • F16F15/1343Wound springs characterised by the spring mounting
    • F16F15/13438End-caps for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3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34Wound springs
    • F16F15/1343Wound springs characterised by the spring mounting
    • F16F15/13453Additional guiding means for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9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characterised by friction-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6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a fluid or past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라이머리휠이 형성하는 댐핑공간 내에서 신축작용하는 스프링의 내구성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의 폭넓고 부드러운 완충특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프링의 신축작용에 수반되는 소음, 진동 및 마찰 등을 저감시키며, 댐퍼플라이휠이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완충특성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댐핑, 플라이휠, 엔진, 회전진동

Description

댐퍼플라이휠{Damper Flywheel}
본 발명은 댐퍼플라이휠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과 같이 회전진동이 수반되는 회전력을 공급하는 동력공급체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회전진동을 감쇄시 킨 후, 차량의 파워트레인과 같은 회전부하에 전달하도록 하는 댐퍼플라이휠의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엔진은 동력을 생산하는 폭발행정이 연속적이지 않고 단속적이기 때문에, 크랭크샤프트로 출력되는 동력은 회전진동이 수반되게 마련이고, 이와 같은 회전진동을 감소시키고 안정된 회전출력을 얻어내기 위해 플라이휠을 사용하며, 최근에는 엔진의 폭넓은 회전속도 범위에 고르게 대응할 수 있고 부하에 따른 다양한 토크변화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용하도록 하기 위해 두 개의 질량체를 사용하여 회전진동을 감쇄시키도록 한 댐퍼플라이휠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 댐퍼플라이휠이 차량에 장착된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엔진의 크랭크샤프트에 직결되는 프라이머리휠과 클러치를 통해 동력을 인출하는 세컨더리휠을 구비하고, 이들 사이에 스프링과 마찰와셔 등을 장착하여 상호간에 댐핑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프라이머리휠이 프라이머리휠커버와 형성하는 댐핑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세컨더리휠과 직결되어 있는 드라이브플레이트와 상기 플라이머리휠 사이에서 신축하면서, 상기 프라이머리휠과 세컨더리휠 사이에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이들 사이의 토크변화를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댐핑공간 내에서 신축작용을 빈번히 수행해야 하므로 그 내구성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며, 상기 스프링의 완충특성에 따라 댐퍼플라이휠이 제공하는 전체적인 특성이 좌우되므로 엔진의 전체적인 운전범위와 가 해지는 부하의 다양한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댐퍼플라이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프링의 폭넓고 부드러운 완충특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의 신축작용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스프링과 관련하여 소음이나 진동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댐핑공간 내에서 신축작용하는 스프링의 내구성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의 폭넓고 부드러운 완충특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프링의 신축작용에 수반되는 소음, 진동 및 마찰 등을 저감시키며, 댐퍼플라이휠이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완충특성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댐퍼플라이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 댐퍼플라이휠은
동력공급체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도록 연결되고, 상기 회전력의 회전축과 동심축을 이루는 원호형의 댐핑공간을 내부에 구비한 프라이머리휠과;
상기 프라이머리휠과 동심축을 이루어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전부하로 동력을 인출하도록 연결된 세컨더리휠과;
상기 댐핑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프라이머리휠과 세컨더리휠의 상대회동에 상응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 탄성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단부를 지지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운동시 상기 원호형 궤적을 따라 상호간에 가이드되면서 삽입 또는 인출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슬라이드가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유닛의 슬라이드가이드는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된 가이드바디와;
상기 가이드바디로부터 상기 프라이머리휠의 회전 중심축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단부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가이드의 가이드바디는
이웃한 다른 슬라이드가이드의 가이드바디와 상호간에 가이드되면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돌출된 돌기부를 구비한 돌기형과;
상기와 같은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함몰된 홈부를 구비한 홈형과;
상기와 같은 돌기부나 홈부를 각각 양쪽에 구비하거나, 상기와 같은 돌기부와 홈부를 양쪽에 함께 구비한 복합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유닛의 슬라이드가이드는
상기 탄성유닛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 양단에 각각 위치되는 엔드가이드로 이루어진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두 엔드가이드 중 어느 일측의 가이드바디에는 상호간에 가이드되면서 삽입되도록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돌출된 돌기부를 구비하고, 타측 엔드가이드의 가이드바디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함몰된 홈부가 형성된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탄성유닛의 슬라이드가이드는
상기 탄성유닛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 양단에 각각 위치되는 엔드가이드와;
상기 두 엔드가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드가이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엔드가이드와 미드가이드의 총 수량보다 하나 적은 수량이 직렬로 배치된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엔드가이드의 가이드바디는
이웃한 상기 미드가이드의 가이드바디와 상호간에 가이드되면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돌출된 돌기부나, 상기와 같은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함몰된 홈부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미드가이드의 가이드바디는
이웃한 다른 슬라이드가이드의 가이드바디와 상호간에 가이드되면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돌출된 돌기부와 상기와 같은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함몰된 홈부를 양쪽에 각각 구비한 제1복합형과, 상기 돌기부를 양쪽에 구비한 제2복합형 및 상기 홈부를 양쪽에 구비한 제3복합형 중 각각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는
상기 홈부를 구비한 일측의 엔드가이드와;
상기 엔드가이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복합형 미드가이드와;
상기 제1복합형 미드가이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복합형 미드가이드와;
상기 제2복합형 미드가이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홈부를 구비한 타측의 엔드가이드;
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는
상기 돌기부를 구비한 일측의 엔드가이드와;
상기 엔드가이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3복합형 미드가이드와;
상기 제3복합형 미드가이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복합형 미드가이드와;
상기 제1복합형 미드가이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돌기부를 구비한 타측의 엔드가이드;
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는
상기 돌기부를 구비한 일측의 엔드가이드와;
상기 엔드가이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3복합형 미드가이드와;
상기 제3복합형 미드가이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복합형 미드가이드와;
상기 제2복합형 미드가이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홈부를 구비한 타측의 엔드가이드;
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디를 이루는 돌기부가 이웃한 다른 가이드바디의 홈부에 가이드되면서 삽입되는 최대 깊이는, 당해 두 가이드바디의 가압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 변형 범위 이내의 길이로 설정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디의 홈부는 상기 프라이머리휠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포크부에 의해 이웃한 다른 가이드바디의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유닛에 구비되는 다수의 코일스프링은 서로 탄성계수가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유닛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은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길게 형성된 원호형 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가이드에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드가 상기 댐핑공간을 형성하는 프라이머리휠과 접촉하는 부위에, 슬라이드가이드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오일을 함유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윤활홈이 구비된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라이머리휠이 형성하는 댐핑공간 내에서 신축작용하는 스프링의 내구성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의 폭넓고 부드러운 완충특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프링의 신축작용에 수반되는 소음, 진동 및 마찰 등을 저감시키며, 댐퍼플라이휠이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완충특성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동력공급체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도록 연결되고, 상기 회전력의 회전축과 동심축을 이루는 원호형의 댐핑공간(1)을 내부에 구비한 프라이머리휠(3)과; 상기 프라이머리휠(3)과 동심축을 이루어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전부하로 동력을 인출하도록 연결된 세컨더리휠(5)과; 상기 댐핑공간(1) 내에 배치되어 상기 프라이머리휠(3)과 세컨더리휠(5)의 상대회동에 상응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 탄성유닛(7)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유닛(7)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스프링(9)과; 상기 코일스프링(9)의 단부를 지지하는 가압부(11)를 구비하며, 상기 댐핑공간(1)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운동시 상기 원호형 궤적을 따라 상호간에 가이드되면서 삽입 또는 인출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슬라이드가이드(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력공급체는 전기모터 등과 같은 장치도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연료의 폭발행정에 의해 동력을 얻는 내연기관인 엔진 등이 해당되며,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든다면, 상기 회전부하는 클러치와 변속기 및 여기에 연결되는 차량의 구동륜까지의 전체 차량의 파워트레인이 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댐퍼클러치가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프라이머리휠(3)은 엔진의 크랭크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세컨더리휠(5)은 변속기와 연결시켜주는 클러치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댐핑공간(1)은 상기 프라이머리휠(3)과 상기 프라이머리휠(3)에 결합되는 휠커버(15)에 의해 대략 도우넛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세컨더리휠(5)은 상기 댐핑공간(1)에 설치되는 드라이브플레이트(17)에 연결되어, 실질적으로는 상기 드라이브플레이트(17)와 상기 프라이머리휠(3)의 상대회동에 의해서 상기 탄성유닛(7)의 신축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댐핑공간(1)은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나뉘어질 수 있는 바, 도 1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2개의 댐핑공간이 형성된 상태이다. 물론 단 하나의 댐핑공간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3개나 그 이상의 댐핑공간으로 분할될 수도 있을 것인바, 상기 탄성유닛(7)은 상기 댐핑공간(1)의 개수에 따라 각 댐핑공간(1)에 하나씩의 탄성유닛(7)이 장착된다.
이외에 상기 프라이머리휠(3)과 세컨더리휠(5) 사이에는 마찰와셔, 탄성와셔 등이 설치되어, 상기 프라이머리휠(3)과 세컨더리휠(5) 사이의 상대 회동시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상기 탄성유닛(7)의 신축작용과 함께 댐핑작용을 구현하는데, 상기 마찰력을 제공하는 메커니즘은 종래의 공지된 기술과 대동소이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탄성유닛(7)의 슬라이드가이드(13)는 상기 댐핑공간(1)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9)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된 가이드바디(19)와; 상기 가이드바디(19)로부터 상기 프라이머리휠(3)의 회전 중심축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9)의 단부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3)가 지지하는 상기 코일스프링(9)의 외측면이란,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3)가 없었더라면, 상기 코일스프링(9)이 상기 프라이머리휠(3)의 회전에 의해 원심력을 받아 상기 프라이머리휠(3)의 댐핑공간(1)을 이루는 내측면에 접촉되게 되는 부위를 말한다.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3)의 가이드바디(19)는 이웃한 다른 슬라이드가이드(13)의 가이드바디(19)와 상호간에 가이드되면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상기 댐핑공간(1)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돌출된 돌기부(21)를 구비한 돌기형과; 상기와 같은 돌기부(21)가 삽입되도록 상기 댐핑공간(1)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함몰된 홈부(23)를 구비한 홈형과; 상기와 같은 돌기부(21)나 홈부(23)를 각각 양쪽에 구비하거나, 상기와 같은 돌기부(21)와 홈부(23)를 양쪽에 함께 구비한 복합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진다.
예컨대, 상기 홈형 가이드바디를 가진 슬라이드가이드(13)는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복합형 가이드바디를 가진 슬라이드가이드(13)는 도 5와 6에 예시되어 있고, 상기 돌기형 가이드바디를 가진 슬라이드가이드(13)는 도 8의 우측에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3)의 다양한 실시태양에 대하여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먼저 살펴본다. 참고로,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3)는 그 형태에 따른 분류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돌기형과 홈형 및 복합형의 가이드바디(19)를 가진 모든 것들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설치위치에 따른 분류로서는 탄성유닛(7)의 양단에 설치되는 엔드가이드(25)와 이들 엔드가이드(25)들 사이에 위치하는 미드가이드(27) 모두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유닛(7)의 슬라이드가이드(13)는 상기 탄성유닛(7)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댐핑공간(1)의 원호형 궤적 양단에 각각 위치되는 엔드가이드(25)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두 엔드가이드(25) 중 어느 일측의 가이드바디(19)에는 상호간에 가이드되면서 삽입되도록 상기 댐핑공간(1)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돌출된 돌기부(21)를 구비하고, 타측 엔드가이드(25)의 가이드바디(19)에는 상기 돌기부(21)가 삽입되도록 상기 댐핑공간(1)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함몰된 홈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즉, 탄성유닛(7)에 단 2개의 슬라이드가이드(13)인 엔드가이드(25)만 구비된 구조로서, 이들 두 엔드가이드(25)의 가압부(11)들 사이에 하나의 코일스프링(9)이 배치된 구성을 의미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유닛(7)의 슬라이드가이드(13)는 상기 탄성유닛(7)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댐핑공간(1)의 원호형 궤적 양단에 각각 위치 되는 엔드가이드(25)와, 상기 두 엔드가이드(25)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드가이드(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스프링(9)은 상기 엔드가이드(25)와 미드가이드(27)의 총 수량보다 하나 적은 수량이 직렬로 배치된 구조이다.
상기 엔드가이드(25)의 가이드바디(19)는 이웃한 상기 미드가이드(27)의 가이드바디(19)와 상호간에 가이드되면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상기 댐핑공간(1)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돌출된 돌기부(21)나, 상기와 같은 돌기부(21)가 삽입되도록 상기 댐핑공간(1)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함몰된 홈부(23)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미드가이드(27)의 가이드바디(19)는 이웃한 다른 슬라이드가이드(13)의 가이드바디(19)와 상호간에 가이드되면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상기 댐핑공간(1)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돌출된 돌기부(21)와 상기와 같은 돌기부(21)가 삽입되도록 상기 댐핑공간(1)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함몰된 홈부(23)를 양쪽에 각각 구비한 제1복합형과, 상기 돌기부(21)를 양쪽에 구비한 제2복합형 및 상기 홈부(23)를 양쪽에 구비한 제3복합형 중 각각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진다.
도 9의 경우에는, 상기 탄성유닛(7)의 양단에 각각 엔드가이드(25)가 구비되고, 상기 두 엔드가이드(25) 사이에 상기 복합형의 미드가이드(27)가 하나씩 배치된 구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드가이드(25)는 홈형 또는 돌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미드가이드(27)는 복합형일 수밖에 없으나, 그 형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복합형과 제2복합형 및 제3복합형으로 3가지 중에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엔드가이드(25)와 미드가이드(27)의 형태는 일측의 엔드가이드(25)로부터 미드가이드(27)를 거쳐 타측의 엔드가이드(25)에 이르기까지, 서로 댐핑공간(1)의 원주형 궤적을 따라 서로 슬라이딩하면서 가이드되도록 연결되는 하나의 체인 유사의 구조를 가져야 함은 물론이다.
도 10의 경우에는 상기 미드가이드(27)가 2개씩 구비된 구조로서, (가)에서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3)는 좌측으로부터 상기 홈부(23)를 구비한 일측의 엔드가이드(25)와, 상기 엔드가이드(25)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복합형 미드가이드(27)와, 상기 제1복합형 미드가이드(27)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복합형 미드가이드(27)와, 상기 제2복합형 미드가이드(27)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홈부(23)를 구비한 타측의 엔드가이드(25)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 구조는 도 1 내지 7에 적용된 구조이다.
(나)의 경우에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3)는 좌측으로부터 상기 돌기부(21)를 구비한 일측의 엔드가이드(25)와, 상기 엔드가이드(25)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3복합형 미드가이드(27)와, 상기 제3복합형 미드가이드(27)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복합형 미드가이드(27)와, 상기 제1복합형 미드가이드(27)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돌기부(21)를 구비한 타측의 엔드가이드(25)로 구성된다.
(다)에서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3)는 좌측으로부터 상기 돌기부(21)를 구비한 일측의 엔드가이드(25)와, 상기 엔드가이드(25)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3복합 형 미드가이드(27)와, 상기 제3복합형 미드가이드(27)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복합형 미드가이드(27)와, 상기 제2복합형 미드가이드(27)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홈부(23)를 구비한 타측의 엔드가이드(25)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이외에도 상기 미드가이드(27)는 인접한 슬라이드가이드(13)와의 결합이 가능한 형태를 가지는 것을 조건으로 필요에 따라 더 많은 개수가 삽입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장착되는 코일스프링(9)의 개수도 증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바디(19)를 이루는 돌기부(21)가 이웃한 다른 가이드바디(19)의 홈부(23)에 가이드되면서 삽입되는 최대 깊이는, 당해 두 가이드바디(19)의 가압부(11) 사이에 배치된 상기 코일스프링(9)의 탄성 변형 범위 이내의 길이로 설정된다.
즉, 도 3에서 a로 표시된 길이는, 제1복합형 미드가이드(27)의 돌기부(21)가 홈형 엔드가이드(25)의 홈부(23)에 삽입될 수 있는 최대 스트로크를 의미하며, 상기 제1복합형 미드가이드(27)와 홈형 엔드가이드(25) 사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9)은 상기와 같은 최대 스트로크의 삽입상태에서도 그 수축된 상태가 탄성 변형 한계를 넘지 않아서, 소성변형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코일스프링(9)의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3의 b와 c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각각 해당부위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9)의 소성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바디(19)의 홈부(23)는 상기 프라이머리휠(3)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포크부(29)에 의해 이웃한 다른 가이드바디(19)의 돌기부(21)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스프링(9)의 외측면 중 일부만을 상기 포크부(29)에 의해 양쪽에서 감싸서 지지하는 형태를 가지게 되고, 이는 상기 코일스프링(9)의 신축작용시에 상기 가이드바디(19)와 코일스프링(9)의 접촉 및 간섭을 최대한 억제하여 코일스프링(9)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원활한 신축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에 기여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바디(19)의 돌기부(21)도 상기 홈부(23)에 삽입되는 폭만으로 상기 코일스프링(9)을 지지하면서 상기 코일스프링(9)과 함께 이동하므로, 역시 상기 코일스프링(9)의 신축작용시에 상기 가이드바디(19)와 코일스프링(9) 사이의 접촉 및 간섭을 최소화시키는 데에 기여하게 된다.
상기 탄성유닛(7)에 코일스프링(9)을 2개 이상 복수로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수의 코일스프링(9)은 서로 탄성계수가 다르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탄성계수가 다른 코일스프링(9)이 직렬로 배치되게 되면 상기 탄성유닛(7)의 신축작용시에 발휘되는 완충특성은 각 코일스프링(9)이 가진 탄성계수에 의해 다단으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보다 작은 충격으로부터 보다 큰 충격까지 부드럽고 폭넓은 완충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9)들의 탄성계수를 적절히 변경함에 의해 댐퍼플라 이휠의 완충특성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어서, 상기 댐퍼플라이휠이 장착될 환경에 댐퍼플라이휠을 용이하게 최적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유닛(7)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9)은 상기 댐핑공간(1)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길게 형성된 원호형 코일스프링(9)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직선형의 코일스프링(9)을 사용할 수도 있겠으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댐핑공간(1)의 원호형 궤적을 따르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코일스프링(9)은 그 수축 작용이 원호형 궤적을 따라 일정하게 이루어지므로, 신축작용시에 코일스프링(9)의 단부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은 고른 압력분포를 가지고 상기 가압부(11)에 접촉하므로, 코일스프링(9)의 부분적인 하중 집중이 방지되고, 신축작용이 이루어지는 전체 범위에서 소음, 진동 및 마찰이 억제되고 안정적인 탄성특성을 보이게 되어, 궁극적으로 댐퍼플라이휠의 안정된 댐핑작용에 기여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3)에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3)가 상기 댐핑공간(1)을 형성하는 프라이머리휠(3)과 접촉하는 부위에, 슬라이드가이드(13)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오일을 함유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윤활홈(31)이 구비된 구조로 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은 윤활홈(31)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3)와 프라이머리휠(3) 사이의 마찰 및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플라이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댐퍼플라이휠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댐퍼플라이휠에 채용된 슬라이드가이드들의 구조를 설명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슬라이드가이드 중 하나인 엔드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슬라이드가이드 중 하나인 제1복합형 미드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슬라이드가이드 중 하나인 제2복합형 미드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3의 슬라이드가이드와 코일스프링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가이드들의 다양한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각 슬라이드가이드들을 직선적으로 펼쳐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댐핑공간 3; 프라이머리휠
5; 세컨더리휠 7; 탄성유닛
9; 코일스프링 11; 가압부
13; 슬라이드가이드 15; 휠커버
17; 드라이브플레이트 19; 가이드바디
21; 돌기부 23; 홈부
25; 엔드가이드 27; 미드가이드
29; 포크부 31; 윤활홈

Claims (15)

  1. 동력공급체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도록 연결되고, 상기 회전력의 회전축과 동심축을 이루는 원호형의 댐핑공간을 내부에 구비한 프라이머리휠과;
    상기 프라이머리휠과 동심축을 이루어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전부하로 동력을 인출하도록 연결된 세컨더리휠과;
    상기 댐핑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프라이머리휠과 세컨더리휠의 상대회동에 상응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 탄성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단부를 지지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운동시 상기 원호형 궤적을 따라 상호간에 가이드되면서 삽입 또는 인출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슬라이드가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플라이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의 슬라이드가이드는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된 가이드바디와;
    상기 가이드바디로부터 상기 프라이머리휠의 회전 중심축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단부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플라이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가이드의 가이드바디는
    이웃한 다른 슬라이드가이드의 가이드바디와 상호간에 가이드되면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돌출된 돌기부를 구비한 돌기형과;
    상기와 같은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함몰된 홈부를 구비한 홈형과;
    상기와 같은 돌기부나 홈부를 각각 양쪽에 구비하거나, 상기와 같은 돌기부와 홈부를 양쪽에 함께 구비한 복합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플라이휠.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의 슬라이드가이드는
    상기 탄성유닛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 양단에 각각 위치되는 엔드가이드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플라이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두 엔드가이드 중 어느 일측의 가이드바디에는 상호간에 가이드되면서 삽입되도록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돌출된 돌기부를 구비하고, 타측 엔드가이드의 가이드바디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함몰된 홈부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플라이휠.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의 슬라이드가이드는
    상기 탄성유닛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 양단에 각각 위치되는 엔드가이드와;
    상기 두 엔드가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드가이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엔드가이드와 미드가이드의 총 수량보다 하나 적은 수량이 직렬로 배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플라이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엔드가이드의 가이드바디는
    이웃한 상기 미드가이드의 가이드바디와 상호간에 가이드되면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돌출된 돌기부나, 상기와 같은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함몰된 홈부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미드가이드의 가이드바디는
    이웃한 다른 슬라이드가이드의 가이드바디와 상호간에 가이드되면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돌출된 돌기부와 상기와 같은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함몰된 홈부를 양쪽에 각각 구비한 제1복합형과, 상기 돌기부를 양쪽에 구비한 제2복합형 및 상기 홈부를 양쪽에 구비한 제3복합형 중 각각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플라이휠.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는
    상기 홈부를 구비한 일측의 엔드가이드와;
    상기 엔드가이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복합형 미드가이드와;
    상기 제1복합형 미드가이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복합형 미드가이드와;
    상기 제2복합형 미드가이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홈부를 구비한 타측의 엔드가이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플라이휠.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는
    상기 돌기부를 구비한 일측의 엔드가이드와;
    상기 엔드가이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3복합형 미드가이드와;
    상기 제3복합형 미드가이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복합형 미드가이드와;
    상기 제1복합형 미드가이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돌기부를 구비한 타측의 엔드가이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플라이휠.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는
    상기 돌기부를 구비한 일측의 엔드가이드와;
    상기 엔드가이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3복합형 미드가이드와;
    상기 제3복합형 미드가이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복합형 미드가이드와;
    상기 제2복합형 미드가이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홈부를 구비한 타측 의 엔드가이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플라이휠.
  11. 청구항 3, 5, 7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디를 이루는 돌기부가 이웃한 다른 가이드바디의 홈부에 가이드되면서 삽입되는 최대 깊이는, 당해 두 가이드바디의 가압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 변형 범위 이내의 길이로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플라이휠.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디의 홈부는 상기 프라이머리휠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포크부에 의해 이웃한 다른 가이드바디의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플라이휠.
  13. 청구항 1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에 구비되는 다수의 코일스프링은 서로 탄성계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플라이휠.
  14. 청구항 1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은 상기 댐핑공간의 원호형 궤적을 따라 길게 형성된 원호형 코일스프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플라이휠.
  15. 청구항 1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가이드에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드가 상기 댐핑공간을 형성하는 프라이머리휠과 접촉하는 부위에, 슬라이드가이드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오일을 함유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윤활홈이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플라이휠.
KR1020080092269A 2008-09-19 2008-09-19 댐퍼플라이휠 KR101011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269A KR101011111B1 (ko) 2008-09-19 2008-09-19 댐퍼플라이휠
PCT/KR2009/002818 WO2010032915A1 (en) 2008-09-19 2009-05-27 Damper flywh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269A KR101011111B1 (ko) 2008-09-19 2008-09-19 댐퍼플라이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208A true KR20100033208A (ko) 2010-03-29
KR101011111B1 KR101011111B1 (ko) 2011-01-25

Family

ID=4218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269A KR101011111B1 (ko) 2008-09-19 2008-09-19 댐퍼플라이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1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592B1 (ko) * 2012-12-27 2014-05-27 평화크랏치공업 주식회사 듀얼 매스 플라이휠
CN105240471A (zh) * 2015-10-28 2016-01-13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双向张紧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656B1 (ko) * 2004-12-28 2006-07-31 대한민국 라텍스 비드에 코팅된 재조합 p33 단백질을 이용한타일레리아병의 진단 방법
KR101228739B1 (ko) 2011-05-31 2013-02-04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내마모성이 향상된 이중질량 플라이휠
KR101610509B1 (ko) 2014-09-22 201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매스 플라이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6789A1 (fr) * 1991-05-23 1992-11-27 Valeo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KR100471254B1 (ko) 2002-09-05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중 질량 플라이휠
KR100610853B1 (ko) 2004-08-11 2006-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틀림 진동 댐퍼
KR100614444B1 (ko) * 2004-08-11 2006-08-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틀림 진동 댐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592B1 (ko) * 2012-12-27 2014-05-27 평화크랏치공업 주식회사 듀얼 매스 플라이휠
CN105240471A (zh) * 2015-10-28 2016-01-13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双向张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111B1 (ko) 201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58621B (zh) 摆式减振装置
KR101011111B1 (ko) 댐퍼플라이휠
US8303424B2 (en) Shoe having a spring position limitation, or torsional oscillation damper having such a shoe
US20110081977A1 (en) Power transmission part, damper mechanism, and flywheel assembly
US20110143843A1 (en) Flywheel assembly
JP2009529628A (ja) 振動吸収アイソレータ
KR101386865B1 (ko)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101417453B1 (ko) 플라이휠의 댐핑장치
KR20140093241A (ko) 개선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100921296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자동 변속기용 토셔널 댐퍼
US8062138B2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comprising end blocks and drive train comprising said torsional vibration damper
RU2561155C2 (ru) Демпфер крутильных колебаний
JPH08177874A (ja) ねじり振動ダンパー一体型ねじり弾性継手
CN102418771B (zh) 扭矩波动吸收器
KR20070108670A (ko) 드라이브 샤프트의 다이나믹 댐퍼
KR101027893B1 (ko) 댐퍼플라이휠의 슬라이드가이드
KR20100114759A (ko) 차량용 비틀림 진동 댐퍼
KR101361415B1 (ko) 댐퍼 플라이휠
KR20200056839A (ko) 모터 장착 엔진의 댐퍼
KR101552436B1 (ko) 토크 리미터 기능을 갖춘 듀얼 매스 댐퍼
KR102317971B1 (ko)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KR20030081678A (ko) 진동감쇠장치
KR102317968B1 (ko)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KR100569144B1 (ko) 차량의 비틀림 진동 댐퍼
KR20020043710A (ko) 내연기관의 듀얼매스 플라이휠의 비틀림 진동감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