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2201A -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2201A
KR20100032201A KR1020080091242A KR20080091242A KR20100032201A KR 20100032201 A KR20100032201 A KR 20100032201A KR 1020080091242 A KR1020080091242 A KR 1020080091242A KR 20080091242 A KR20080091242 A KR 20080091242A KR 20100032201 A KR20100032201 A KR 20100032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notification signal
air conditioner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1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2201A/ko
Publication of KR2010003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기 또는 실외기 등의 유닛의 동작상태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정상동작되는 유닛이 주기적으로 정상동작됨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써 이상발생 시 통신오류와 구분이 용이하도록 하고 이상발생시 즉시 이벤트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유닛의 이상동작 및 통신오류 대하여 빠른 대응이 가능하고, 복수의 유닛을 관리하는데에 따른 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공기조화기, 알림신호, 이벤트, 통신오류, 이상동작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작중인 유닛의 이상발생 유무 및 통신오류의 발생유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서 동작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및 실외기 등의 유닛이 하나의 룸에 설치되는 것이 아 니라, 각각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므로 각 유닛이 정상동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유닛이 설치된 곳으로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직접 이동하여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원거리에서 각 유닛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원격제어기가 구비되나, 원격제어기의 경우 통신선을 이용하여 각 유닛의 상태를 체크하는 것으로 원격제어기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통신선에 문제가 발생되거나 통신을 위한 서비스 이용에 문제가 발생되는 등의 통신오류 시 유닛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유닛의 정보가 일정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유닛에 이상이 발생되어 유닛의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지 아니면 유닛은 정상동작되나 통신오류로 인하여 유닛의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이러한 경우 심각한 이상이 유닛에 발생되어 공기조화기가 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빠르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유닛의 이상과 통신이상을 구분할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닛에서 동작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함과 동시에 유닛에 발생된 문제를 빠르고 쉽게 확인하고, 통신이상과 유닛의 오동작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복수의 유닛에 대한 관리가 용이한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 1 유닛이 제 2 유닛으로 알림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알림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유닛이 정상동작 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 2 유닛으로 상기 알림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제 2 유닛은 통신이상으로 판단하여 에러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은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유닛,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1 유닛에 연결되는 제 2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 2 유닛의 명령에 관계없이 주기적으로 알림신호 상기 제 2 유닛으로 전송하여 정상동작 됨을 알리고, 상기 제 2 유닛은 소정시간 이상 상기 알림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유닛과의 통신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은 유닛이 주기적으로 정상동작됨을 나타내는 알림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써 일일이 상태를 확인하지 않아도 유닛의 정상동작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동작중인 유닛에 이상 발생시 즉시 이벤트가 발생되어 관련된 데이터를 상위의 유닛으로 전송됨으로 유닛의 이상에 빠른 대처가 가능하고, 알림신호 및 이벤트데이터를 이용함에 따라 통신오류와 이상동작의 구분이 용이하므로 복수의 유닛을 관리하는데 있어 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발생된 문제를 빠르게 확인하고 해결 할 수 있어 유 닛의 소손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만족도 또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본체(2)가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나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의 어느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실외기 및 실외기를 포함하는 유닛이 원격제어기에 연결되는 시스템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기, 실내기와 연결되는 실외기 등의 유닛을 복수로 포함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에 연결되어 실내기로 동작명령을 입력하는 로컬제어기(R), 복수의 유닛에 연결되어 그 동작을 제어하고 모니터링 하는 원격제어기(R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유닛은 실내기(I) 및 실외기(O)를 포함하고, 공기청정유닛, 환기유닛, 가습유닛, 제습유닛, 히터와 같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닛은 원격제어기(RC)와 연결되어 통합제어 될 수 있다. 이하 실내기(I) 및 실외기(O)가 구비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상기와 같은 유닛이 연결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실외기 및 실내기의 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외기(O)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 하는 실외 열교환기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고압 압력센서와 압축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저압 압력센서를 포함한다.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하나, 그 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실내기(I)는 실내 열교환기와, 실내기팬, 실외기(O)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 다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실내기(I)는 하나의 실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실외기(O)는 다수의 실내기(I)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요구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되는 실내기(I)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됨에 따라 실외기(O)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O)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된다. 여기서, 실외기의 수는 실내기 수에 따른 냉난방 용량 및 구비되는 압축기의 용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실외기(O)와 실내기(I)는 냉매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실외기(O)와 실내기(I) 간의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고, 소정의 통신방식에 따라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기(RC)는 실내기(I) 및 실외기(O)와 연결되어, 소정의 통신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실내기(I) 및 실외기(O)의 동작을 모니터링 하고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실내기 및 실외기로 전송함으로서 실내기 및 실외기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원격제어 기(RC)는 상이한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변환하는 변환기 또는 게이트웨이를 내장한다. 이때, 원격제어기(RC)는 실내기(I) 및 실외기(O)에 복수 개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원격제어기(RC)는 소정의 통신 방식에 따라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내기 및 실외기 제어에 따른 데이터를 공유한다.
로컬제어기(R)는 실내기(I)에 연결되어, 연결된 실내기(I)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실내기(I)로 전송한다. 이때, 로컬제어기는 실내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통신방식에 따라 일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유닛이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에서, 실내기 및 실외기는 통신선을 통해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동작상태를 확인하며, 입력되는 설정에 따라 운전되도록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이때, 실내기와 실외기는 상위유닛과 하위 유닛의 관계로 통신을 수행하거나 대등한 관계로서 통신할 수 있다.
실내기 및 실외기간의 통신에 있어서 실내기는 실외기의 하위에 연결되며, 실외기는 하위에 연결된 실내기의 상태를 확인한다. 단, 원격제어기는 실외기의 상위에 연결되나, 경우에 따라 실외기와 동등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위의 유닛은 상위의 유닛으로 주기적으로 동작상태를 알리는 알림신호를 전송하고, 상위의 유닛은 알림신호를 이용하여 하위 유닛의 상태를 판단하고 그 동작의 오류여부를 외부에 알린다.
예를 들어, 실외기에 연결되는 복수의 실내기(I1 내지 I3) 중 어느 하나의 실내기를 제 1 유닛이라 할 때, 실외기(O)는 제 2 유닛인 것으로 한다.
제 1 유닛은 제 2 유닛에 연결되고, 소정시간 간격으로 제 2 유닛으로 알림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알림신호는 제 1 유닛이 정상동작됨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 2 유닛은 제 1 유닛으로부터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제 1 유닛이 정상동작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알림신호는 유닛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별도의 정보 없이 단순한 형태의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알림신호는 제 1 유닛이 정상임을 나타내기만 하면 되고 주기적으로 반복 전송되므로 상호 약속된 형태의 지정신호로 전송되며 최소한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제 1 유닛은 1시간 간격으로 '0000' 또는 '1111' 등의 지정된 신호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하는 제 2 유닛은 제 1 유닛으로부터 이러한 지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제 1 유닛이 정상동작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1 유닛은 이상이 발생되거나 오동작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이때 발생된 이상동작에 대한 이벤트 코드를 생성하여 제 2 유닛으로 전송한다. 한편, 제1 유닛은 이상동작에 대한 이벤트 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상동작에 대한 알림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벤트데이터로서 전송한다.
제 2 유닛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제 1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알림신호를 수신하고, 알림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함에 따라 제 1 유닛이 정상동작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제 1 유닛으로부터 이벤트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이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 1 유닛의 이상동작에 대한 이벤트 코드에 대응하여 소정의 안내메시지를 표시한다. 경우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한 다.
한편, 일정시간 이상 제 1 유닛으로부터 알림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 2 유닛은 제 1 유닛과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통신이상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한다. 경우에 따라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출력한다. 여기서, 제2 유닛은 제 1 유닛이 정상동작되는 경우 주기적으로 알림신호가 수신되고,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는 제 1 유닛으로부터 이벤트데이터가 수신되므로, 일정시간 이상 제 1 유닛으로부터 아무런 신호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통신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제 2 유닛은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는데,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된 제 3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제 3 유닛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표시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데이터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1 유닛으로부터 이벤트 코드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분석하여 이벤트 코드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메시지가 포함된 데이터를 제 3 유닛으로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이 경우 제 3 유닛이 코드를 분석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메시지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제 3 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유닛 및 원격제어기도 적용될 수 있으며, 단순히 디스플레이수단만을 구비한 기기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닛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내기 및 실외기 등의 유닛은 입력부(120), 출력부(130), 데이터부(140), 통신부(150) 그리고 유닛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입력부(120)는 누름 조작 또는 터치를 통한 데이터 입력 수단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실내기의 경우, 입력부(120)는 냉방, 난방, 제습 등의 운전모드, 온도, 풍량, 풍향 등에 대한 운전설정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실외기의 경우 입력부를 통해 구동명령, 배관탐색, 주소할당 등의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소정의 문자, 숫자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 소정의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밝기 또는 색이 가변되는 램프를 포함하여,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수단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 유닛의 동작상태를 화면에 표시하고, 스피커는 동작 상태에 따라 효과음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며, 램프는 특정 밝기 또는 특정 색으로 점등 또는 점멸되어 동작 상태를 출력한다.
데이터부(140)는 공기조화기 운전에 사용되는 제어데이터,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구성데이터, 효과음데이터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어데이터 저장부(143), 유닛 동작중 발생되는 동작상태정보 및, 하위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동작상태 데이터가 저장되는 동작데이터 저장부(142), 에러 또는 오동작에 대한 에러코드 정보 및 이벤트 코드 해석을 위한 이벤트 코드 데이터, 이벤트 코드에 대한 메시지 데이터가 포함되는 이벤트데이터 저장부(141)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벤트데이터 저장부는 유닛에 이상동작 발생시 이벤트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와 이벤트 코드 수신시 이를 해독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며, 이벤트 데이터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이벤트 데이터에 포함된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다른 유닛 또는 원격제어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통신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수신되는 데이터는 제어부로 인가하고 데이터부에 저장되도록 한다.
유닛은 소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실외기는 압축기, 열교환기, 실외팬 등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동부에 포함되어,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각 구동수단을 제어한다. 실내기의 경우에는 토출각, 베인, 실내팬, 열교환기, 팽창밸브 등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동부에 포함되어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제어된다.
제어부(110)는 입력부(12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유닛의 운전을 시작하거나 정지하고, 운전모드, 운전설정을 변경하여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실외기의 경우, 제어부(110)는 실내기 또는 원격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소정의 운전모드로 실외기가 운전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전달하고, 그에 대응하여 구동부가 동작됨에 따라 유닛이 구동된다.
이때, 실내기 등의 제 1 유닛의 경우, 제어부(110)는 정상 동작 중인 경우, 소정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알림신호를 생성하고, 상위의 유닛인 실외기로 전송 되도록 생성된 알림신호가 전송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정상동작중, 통신부(150)를 통해 동작상태확인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그에 대한 응답으로 유닛의 동작상태 데이터를 요청한 상대 유닛으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동작 중, 에러가 발생되거나 오동작되는 등의 이상동작이 발생되는 경우, 상위의 유닛과의 통신상태에 관계없이 즉시, 발생된 이상동작에 관한 이벤트 코드를 생성한다. 제어부(110)는 이벤트 코드가 포함되는 이벤트 데이터를 통신부(150)로 인가하고 상위의 유닛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반드시 이벤트 코드를 생성하는 것은 아니고, 발생된 이상동작에 대응하는 이벤트 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제 2 유닛에 이벤트 코드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상동작에 대한 알림데이터를 생성하고, 알림데이터가 포함된 이벤트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실외기 등의 제 2 유닛의 경우, 제어부(110)는 주기적으로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알림신호를 통해 제 1 유닛이 정상동작 됨을 확인한다. 여기서 알림신호에 대하여 별도의 응답신호는 전송하지 않으나 경우에 따라 제 1 유닛으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그에 대하여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 1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동작상태 데이터를 통해 유닛의 동작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한다. 여기서 알림신호는 제 1 유닛이 정상동작됨을 나타내는 단순한 신호로써, 실제 운전모드, 운전설정 등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동작상태 데이터를 통해 수신된다.
제어부(110)는 제 1 유닛으로부터 이벤트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분석 하여 이벤트 코드에 따른 경고메시지, 경고음, 경고등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고,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벤트 코드를 해석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된 제 3 유닛으로 전송함으로써 메시지가 제 3 유닛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제 1 유닛이 정상동작되는 경우 알림신호 또는 동작상태 데이터가 수신되고, 이상동작시에는 이벤트 데이터가 수신되므로, 제 1 유닛으로부터 소정시간 이상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통신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따른 메시지 또는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출력부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상태 전송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제 1 유닛은 제 2 유닛에 연결되고, 소정시간 간격으로 제 2 유닛으로 알림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알림신호는 제 1 유닛이 정상동작됨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 2 유닛은 제 1 유닛으로부터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제 1 유닛이 정상동작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유닛은 동작 중, 알림신호를 제 2 유닛으로 전송한다(S310) 이하, 실외기에 연결되는 복수의 실내기 중 어느 하나의 실내기는 제 1 유닛이라 할때, 실외기는 제 2 유닛인 것을 예로 한다.
제 1 유닛은 정상동작 중인 경우(S320), 지정된 시간 경과 시 알림신호를 제 2 유닛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 1 유닛은 1시간 또는 2시간 간격으로 알림신호를 생성하여 제 2 유닛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알림신호는 제 2 유닛과 미리 약속된 신호로써 제 1 유닛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전송되는 신호이므로 단순히 제 2 유닛이 알림신호를 다른 신호와 구분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최소한의 크기의 신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유닛은 정상동작 중인 동안에는 상기와 같이 반복적으로 알림신호를 전송하여, 정상동작됨을 제 2 유닛에 알린다.
한편, 제 1 유닛은 동작 중, 에러가 발생하거나 오동작되는 등의 이상동작이 발생되는 경우(S340)거나 에러가 발생되는 경우, 발생된 이상동작에 대한 에벤트 코드를 생성하고(S350) 이벤트 코드가 포함된 이벤트 데이터를 제 2 유닛으로 전송한다. 이때 제 1 유닛은 제 2 유닛으로부터 상태 확인 등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이벤트가 발생되는 즉시, 즉 이상동작이 발생되는 즉시 이벤트코드를 생성하여 이벤트 데이터를 제 2 유닛으로 전송한다(S360).
이상동작 발생시, 제 1 유닛에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되는 경우 발생된 이상동작에 대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한다. 경우에 따라 지정된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경고등이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유닛은 이상동작 발생 시, 제 2 유닛과 미리 약속된 이벤트 코드를 생성하여 전송하는데 이상동작에 부합하는 이벤트 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이벤트 코드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 발생된 이상동작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벤트 데이터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이 경우 제 2 유닛은 이벤트 데이터에 포함된 메시지를 즉시 출력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닛의 동작상태 확인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유닛은 하위의 제 1 유닛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알림신호 여부를 판단한다(S400). 제 2 유닛은 지정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식별자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알림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한다. 제 2 유닛은 알림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 1 유닛이 정상동작되고, 더불어 통신상태도 정상임을 확인한다(S410).
수신된 데이터가 알림신호가 아닌, 이벤트 데이터인 경우(S420), 제 2 유닛의 제어부는 데이터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이벤트 데이터에 포함된 이벤트 코드를 분석하고(S430), 이벤트 코드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S440). 제 2 유닛은 생성된 메시지를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한다(S450). 경우에 따라 지정된 경고음 또는 경고등이 출력된다.
여기서 제 2 유닛에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된 제 3 유닛으로 메시지를 전송하여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 3 유닛은 다른 실내기 실외기 등의 유닛이거나, 원격제어기 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PMP등의 휴대단말, 컴퓨터 일 수 있다.
수신된 데이터가 동작상태 정보가 포함된 동작데이터인 경우(S460), 제어부(110)는 동작데이터를 분석하여 제 1 유닛의 동작상태를 판단하고 동작데이터 저 장부에 저장하며, 제 1 유닛의 동작정보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S470).
한편, 소정시간이상 제 1 유닛으로부터 아무런 데이터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S480), 제어부(110)는 통신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통신오류에 대한 경고를 출력한다(S490). 이때 경고는 메시지, 경고음, 경고등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된다.
단, 제 1 유닛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기는 하나 알림신호, 이벤트데이터, 동작데이터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또한 전송과정에서 데이터 로스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경우, 재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닛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상태 전송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닛의 동작상태 확인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I: 실내기 O: 실외기
R: 로컬제어기 RC: 원격제어기
110: 제어부 120: 입력부
130: 출력부 140: 데이터부
150: 통신부

Claims (11)

  1. 제 1 유닛이 제 2 유닛으로 알림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알림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유닛이 정상동작 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 2 유닛으로 상기 알림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제 2 유닛은 통신이상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신호는 제 1 유닛의 동작상태가 정상임을 알리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제 2 유닛의 명령에 관계없이, 상기 알림신호를 주기적으로 자동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상 상기 알림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유닛은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에 에러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이 소정 동작을 수행하는 중 에러가 발생되는 경우, 고장에 대한 알림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은 고장진단 시,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상에 대한 알림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제 2 유닛으로부터 명령이 수신되지 않아도, 고장 또는 이상 발생 시, 즉시 상기 알림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8.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닛에 디스플레이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된 제 3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경고 또는 알림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9.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유닛;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1 유닛에 연결되는 제 2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 2 유닛의 명령에 관계없이 주기적으로 알림신호 상기 제 2 유닛으로 전송하여 정상동작됨을 알리고,
    상기 제 2 유닛은 소정시간 이상 상기 알림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유닛과의 통신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에 대한 고장진단 중, 또는 상기 제 1 유닛 동작 중, 이상이 발생된 경우, 상기 제 2 유닛의 명령에 관계없이 즉시, 이상에 대한 알림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닛과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된 제 3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유닛에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3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80091242A 2008-09-17 2008-09-17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32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242A KR20100032201A (ko) 2008-09-17 2008-09-17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242A KR20100032201A (ko) 2008-09-17 2008-09-17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201A true KR20100032201A (ko) 2010-03-25

Family

ID=4218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242A KR20100032201A (ko) 2008-09-17 2008-09-17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22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033A (ko) * 2013-11-01 2015-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CN111219846A (zh) * 2019-11-18 2020-06-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使用寿命监控方法及装置、系统、室外机、空调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033A (ko) * 2013-11-01 2015-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CN111219846A (zh) * 2019-11-18 2020-06-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使用寿命监控方法及装置、系统、室外机、空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01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EP2944887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400399B1 (ko)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비상제어방법
US9104188B2 (en) Equipment controll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00123487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70107316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JP2016196978A (ja) 空気調和機の監視システム、モバイル端末及び空気調和機の情報収集アプリケーション
KR10158820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시운전 결과 출력방법
KR2012002637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주소설정방법
JP7016023B2 (ja) 機器情報管理システム、リモコン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10214006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4300069B2 (ja)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00032201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30110A (ko)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디버깅 방법
JP7057531B2 (ja) 空調システム
KR10186092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3514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205162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3374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965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비상제어방법
JP6072906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203576B1 (ko) 공기조화기용 테스터 및 그 방법
KR2013003502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5534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통신방법
KR10205314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