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2090A -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 - Google Patents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2090A
KR20100032090A KR1020080091060A KR20080091060A KR20100032090A KR 20100032090 A KR20100032090 A KR 20100032090A KR 1020080091060 A KR1020080091060 A KR 1020080091060A KR 20080091060 A KR20080091060 A KR 20080091060A KR 20100032090 A KR20100032090 A KR 20100032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eliminator
blade
bolt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4338B1 (ko
Inventor
이숭재
반규창
Original Assignee
덕산공조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산공조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산공조기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1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33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2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미네이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그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간의 적정한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그 내주면과 외주면을 서로 끼워 결합시킬 수 있는 원통형의 스페이서를 비치하고 그 사이에 블레이드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하고 내구성이 높은 간격유지 효과를 발할 수 있게 하는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이다.
밑판, 본체프레임, 스페이서, 브레이드, 볼트, 드롭윙

Description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The wep type eliminator assembled built-in spacers}
본 발명은 엘리미네이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그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간의 적정한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그 내주면과 외주면을 서로 끼워 결합시킬 수 있는 원통형의 스페이서를 비치하고 그 사이에 블레이드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하고 내구성이 높은 간격유지 효과를 발할 수 있게 하는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미네이터란 공기조화기에서 냉각코일 후단에 설치하여 비산되는 응축수를 제거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에어와셔의 스프레이파트 말단에 사용하여 분진이나 먼지를 함유한 오염된 미세한 물입자들을 제거하는 기구이다. 즉, 공기조화기에서는 보다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덕트로 배출되는 공기의 분진이나 먼지를 선 제거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공기조화기에서는 공기가 본 발명과 같은 엘리미네이터를 통과하기 전에 작은 물입자를 분사시키는 스프레이어 를 통과하게 구조화 되어 있다. 이렇게 스프레이어를 통과하게 되면 작은 물입자가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이나 먼지를 흡착하여 서로 엉키며 달라붙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로 본 발명의 엘리미네이터를 통과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과 같은 엘리미네이터는 여기서 상기 오염된 물입자를 공기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낙수시키고 덕트로는 깨끗한 공기만을 공급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엘리미네이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시된 도 1에서처럼, 프레임(22)에 결합되는 간격판(21)을 형성하고 그 간격판(21)에 일정한 간격(26)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결합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결합홈에 엘리미네이터의 브레이드(25)를 끼워 체결한다. 따라서 종래의 엘리미네이터는 간격판(21)을 미리 형성하여 브레이드(25)의 설치 갯수를 정해야만 하고, 공사 현장의 상황에 따라 활용가능한 범위가 적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엘리미네이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그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간의 적정한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에 관한 것으로, 그 내주면과 외주면을 서로 끼워 결합시킬 수 있는 원통형의 스페이서를 비치하고 그 사이에 블레이드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하고 내구성이 높은 간격유지 효과를 발할 수 있게 하는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는, 4각의 프레임(50)의 하단에 밑판(51)을 형성하되, 그 중심부에 배수구(52)를 형성한 본체프레임(50); 상기 본체프레임(50)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파동형의 블레이드(40); 상기 블레이드(4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볼트(10)와 너트(11)로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에 볼트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스페이서가; 결합하여 상기 엘리미네이터(100)를 지나는 물입자들을 제거하여 주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에서, 상기 블레이드(40)는, 파동 형태 블레이드(40)의 최고점과 최저점에 돌출되어 바람의 이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꺾어지는 드롭윙(43)을 형성시켜 물입자의 통행을 차단시키고; 그 파동 형태 블레이드(40)의 상승부와 하강부위에 절곡되어 돌출되는 장형의 돌기 부(42)를 1 내지 4개를 형성하여 물입자의 차단효과를 향상시키며;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에서, 상기 금속 재질의 블레이드(40)는, 롤포밍기를 이용한 압출의 형태로 제작하여 드롭윙(43) 부위를 2중으로 접어 제작하고; 상기 블레이드(40)는, 파동형태로 제작하되, 그 파장이 1절 내지 6절의 형태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원통 형태로 제작하되, 최상단의 원통부1(A)의 상하로 테이퍼진 테이퍼절단면1(23, 22)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테이퍼절단면1(22)의 하부로 돌출된 원통형의 소지름 원통부1(21)를 형성하며, 그 내부를 관통한 볼트공1(25)을 형성한 상태로 상부에 볼트머리 삽입공1(24)을 확개한 제1스페이서(20)와; 상기 제1스페이서(20)와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소지름 원통부1(A)가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삽입공2(34)을 형성하고, 이를 관통하는 볼트공2(35)가 형성된 상하 테이퍼절단면2(33, 32)을 가진 원통부2(B)와 소지름 원통부2(31)로 이루어진 제2스페이서(30)가; 결합하되, 상기 더 큰 지름의 제1스페이서(20)와 제2스페이서(30)가 그 삽입공1, 2(24, 34)와 소지름 원통부1, 2(21, 31)의 삽입형태로 결합하되, 그 사이에 블레이드(40)의 관통공(41)을 끼우고, 볼트(10)와 너트(11)의 체결을 통해 견고한 결합을 달성하고 : 상기 제1스페이서(20)와 제2스페이서(30)는, 그 결합형태를 제1스페이서(20)에 제2스페이서(30)를 1 : 1 대응시키거나 제1스페이서(20)에 제2스페이 서(30)를 일 대 다수로 결합시켜 체결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의 제1스페이서와 제2스페이서의 삽입결합 후 볼트로 체결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다수의 블레이드를 엘리미네이터의 본체프레임 내부에 편리하게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방식으로 블레이드를 체결하지만 그 체결의 견고성이 뛰어나 거센 풍압에도 그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페이서와 볼트의 활용으로 다양한 크기의 엘리미네이터에 적용되어 손쉽게 블레이드를 체결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도 조립이 가능하여 활용가능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엘리미네이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된 도 2 내지 도 6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4각의 프레임(50)의 하단에 밑판(51)을 형성하되, 그 중심부에 배수구(52)를 형성한 본체프레임(50)이 있고, 상기 본체프레임(50)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파동의 블레이드(40)가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4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볼트(10)와 너트(11)로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에 볼트공이 형성된 원 통형의 스페이서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엘리미네이터(100)를 지나는 공기의 물입자를 걸러 주는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인 엘리미네이터(100)를 설명하자면, 공기조화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덕트로 배출되는 공기에서 먼지, 분진 및 물입자를 제거한 상태로 순수한 공기만을 배출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즉, 분진이나 먼지가 포함된 공기에 스프레이를 통해 작은 입자의 물을 뿌려주게 되면, 분진이나 먼지는 상기 물입자에 달라붙게 되고, 공기가 정화되는 것이다. 결국 이렇게 분진이나 먼지가 달라붙은 물입자는 따로 분리하여 낙수시키고 순수한 공기만을 덕트로 배출시키기 위해서 물입자를 걸러주는 기구가 바로 엘리미네이터(100)인 것이다. 이 엘리미네이터(100)의 작동형태를 보면, 도시된 도 6에서처럼, 일측방에서 분진을 흡수한 물입자와 함께 공기를 불어 주게 되면, 엘리미네이터(100)를 관통하면서 물입자만을 걸러 낙수시키고 순수한 공기만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서 본체프레임(50)의 내부에 다수의 블레이드(4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파형의 형태로 체결되어 있다. 즉, 공기는 도시된 도 5와 6에서처럼, 상기 블레이드(40)의 파형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블레이드(40)면에 물입자가 부딪쳐 물입자는 아래로 흘러 배출시키는 과정을 거듭하며 순수한 공기만을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블레이드(40)에 일정한 파동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유도한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이며, 이러한 블레이드(40)가 항상 일정한 간격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이 스페이서인 것이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원통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볼트(10)와 너트(11)를 통해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되, 스페 이서와 스페이서 사이에 블레이드(40)를 끼워 볼트 체결함에 어지간한 바람이나 충격에 의해서 그 간격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고, 특히 다양한 크기의 엘리미네이터(100)를 제작함에 있어서 아주 간편한 방식으로 조립가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럼 본 발명 엘리미네이터(100)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들의 보다 상세한 구성과 그 작동의 형태를 살펴본다. 상기 블레이드(40)는, 파동 형태 블레이드(40)의 최고점과 최저점에 돌출되어 바람의 이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꺾어지는 드롭윙(43)을 형성시켜 물입자의 통행을 차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블레이드(100)는 파형의 형태로 제작하여 공기가 그 블레이드(40)의 사이로 이동하면서 절곡면에 부딪쳐 물입자를 걸러 줄 수 있도록 함에 이러한 작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시된 도 5에서처럼 공기의 흐름 방향과 역방향으로 꺽인 드롭윙(43)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물론 그러한 드롭윙(43)의 형성위치도 파동 형상의 블레이드(40) 최고점과 최저점(도시된 도 3과 6을 기준)에 위치시켜 본 발명의 엘리미네이터(100)를 지나는 공기입자에서 물입자를 걸러주기 최적의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즉, 도시된 것처럼 공기 입자의 흐름을 정면으로 막아 그곳에서 공기의 흐름이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물입자는 블레이드(40)와 드롭윙(43)에 부딪쳐 그 벽면을 타고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고, 순수한 공기만이 블레이드(40) 간의 간격을 지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더욱 부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블레이드(40)에 또 다른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즉, 도시된 도 2와 3에서처럼, 그 파동 형태 블레이드(40)의 상승부와 하강부위에 절곡되어 돌출되는 장형의 돌기부(42)를 1 내지 4개를 형성하여 물입자의 차단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돌출된 돌기부(42)는 불어 오는 공기와 보다 많은 면적으로 부딪칠 수 있게 한다. 사실 특성상 공기나 기체가 이동하다가 어떠한 물체에 부딪히게 되면, 그 물체를 부드럽게 돌아 나가기보다는 그 물체의 외주면을 타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돌아 나가는 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형성한 이 돌기부(42)는 이러한 공기의 유동 흐름의 특성을 살려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시킴으로 물입자를 걸러주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레이드(4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특히 상기 금속 재질의 블레이드(40)는, 롤포밍기를 이용한 압출의 형태로 제작하여 드롭윙(43) 부위를 2중으로 접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금속 재질의 블레이드(40)를 형성함에 있어서 보다 많은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롤포밍기로 뽑아내는 것이며,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드롭윙(43)의 형성이나 돌기부(42)의 형성을 보다 용이하게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블레이드(40)는, 도시된 도 3에서처럼, 파동형태로 제작하되, 그 파장이 1절 내지 6절의 형태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물론 이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많은 실험과 실시의 과정에서 터득한 경험 칙으로 6절 이상의 블레이드(40)는 엘리미네이터(100)의 제작시 그 폭이 너무 넓어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도 있으며, 공기의 흐름이 너무 막혀서 적체되는 문제점도 양산시킨다. 따라서 6절 이하의 파동형태가 가장 적합했다.
그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블레이드(40)와 블레이드(40) 간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는 상기 스페이서를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도시된 도 2와 3에서처럼, 원통 형태로 제작하되, 최상단의 원통부1(A)의 상하로 테이퍼진 테이퍼절단면1(23, 22)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테이퍼절단면1(22)의 하부로 돌출된 원통형의 소지름 원통부1(21)를 형성하며, 그 내부를 관통한 볼트공1(25)을 형성한 상태로 상부에 볼트머리 삽입공1(24)을 확개한 제1스페이서(20)가 있고, 상기 제1스페이서(20)와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소지름 원통부1(A)가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삽입공2(34)을 형성하고, 이를 관통하는 볼트공2(35)가 형성된 상하 테이퍼절단면2(33, 32)을 가진 원통부2(B)와 소지름 원통부2(31)로 이루어진 제2스페이서(30)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되, 상기 더 큰 지름의 제1스페이서(20)와 제2스페이서(30)가 그 삽입공1, 2(24, 34)와 소지름 원통부1, 2(21, 31)의 삽입형태로 결합하되, 그 사이에 블레이드(40)의 관통공(41)을 끼우고, 볼트(10)와 너트(11)의 체결을 통해 견고한 결합을 달성한 것이다.
설명된,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형태가 약간 다른 두 개의 스페이서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체결을 달성한다. 모두 원통형이며, 제1스페이서(20)의 지름이 제2스페이서(30)의 지름에 비하여 다소 큰데, 그 이유는 상기 제1스페이 서(20)의 상단 삽입공1(24)에 볼트(10)의 머리가 삽입되어야만 하기에 그러하다. 그리고 상기 제1스페이서(20)의 하단에는 도시된 것처럼 소지름 원통부1(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소지름 원통부1(21)는 상기 제2스페이서(3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공2(34)에 끼워진다. 물론 이때 상기 제1스페이서(20)와 제2스페이서(30)의 사이 즉,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소지름 원통부1(21)의 외주면에 블레이드(40)의 관통공(41)이 끼워진 상태로 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레이드(40)는 항상 상기 스페이서의 길이만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본체프레임(50)의 내부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블레이드(40)의 경우 그 단면의 형태가 파동의 형태로 굴곡진 상태이기에 그 테이퍼진 면이 끼워지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페이서도 도시된 것처럼 테이퍼절단면이 형성된다. 제1스페이서(20)의 경우도 원통부1(A)의 상하로 테이퍼지게 절단된 테이퍼절단면1(23, 22)이 형성되고, 제2스페이서(30)의 경우도 원통부2(B)의 상하로 테이퍼지게 절단된 테이퍼절단면2(33, 32)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블레이드(40)가 일정한 간격을 정확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테이퍼절단면을 각각의 원통부에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블레이드(40)를 체결하게 되면, 공기 조화기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엘리미네이터(100)에 적정수의 블레이드(40)를 아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는 필요에 따라서 현장에서도 직접 간단한 작업을 통해서 체결이 가능한데, 종래의 발명에서는 따라올 수 없는 본 발명만의 큰 장점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스페이서(20)와 제2스페이서(30)는, 그 결합형태를 제1스페이서(20)에 제2스페이서(30)를 1 : 1 대응시키거나 제1스페이서(20)에 제2스페이서(30)를 일대 다수로 결합시켜 체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프레임(50)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블레이드(40)를 체결함에 있어서 제1스페이서(20) 1개당 하나의 제2스페이서(30)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블레이드(40)를 체결할 수도 있고, 하나의 제1스페이서(20) 당 다수의 제2스페이서(30)를 결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볼트(10)의 길이를 변형시키는 단순한 보정만으로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활용하면 다양한 크기의 엘리미네이터(100)를 생산하는데, 편리하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엘리미네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엘리미네이터에 체결되는 블레이드와 그 스페이서의 결합형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엘리미네이터에서 사용되는 블레이드와 스페이서의 결합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미네이터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엘리미네이터에서 사용되는 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엘리미네이터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볼트 11; 너트
20; 제1스페이서 21; 소지름 원통부1
22; 하부테이퍼절단면1 23; 상부테이퍼절단면1
24; 볼트머리 삽입공1 25; 볼트공1
30; 제2스페이서 31; 소지름 원통부2
32; 하부테이퍼절단면2 33; 상부테이퍼절단면2
34; 삽입공 2 40; 블레이드
41; 관통공 42; 돌기부
43; 드롭윙 50; 본체프레임
51; 밑판 52; 배수구
100; 엘리미네이터

Claims (6)

  1. 엘리미네이터에 있어서,
    4각의 프레임(50)의 하단에 밑판(51)을 형성하되, 그 중심부에 배수구(52)를 형성한 본체프레임(50);
    상기 본체프레임(50)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파동형의 블레이드(40);
    상기 블레이드(4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볼트(10)와 너트(11)로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에 볼트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스페이서가; 결합하여 상기 엘리미네이터(100)를 지나는 공기의 물입자를 걸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0)는,
    파동 형태 블레이드(40)의 최고점과 최저점에 돌출되어 바람의 이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꺾어지는 드롭윙(43)을 형성시켜 물입자의 통행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재질의 블레이드(40)는,
    롤포밍기를 이용한 압출의 형태로 제작하여 드롭윙(43) 부위를 2중으로 접어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원통 형태로 제작하되, 최상단의 원통부1(A)의 상하로 테이퍼진 테이퍼절단면1(23, 22)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테이퍼절단면1(22)의 하부로 돌출된 원통형의 소지름 원통부1(21)를 형성하며, 그 내부를 관통한 볼트공1(25)을 형성한 상태로 상부에 볼트머리 삽입공1(24)을 확개한 제1스페이서(20)와;
    상기 제1스페이서(20)와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소지름 원통부1(A)가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삽입공2(34)을 형성하고, 이를 관통하는 볼트공2(35)가 형성된 상하 테이퍼절단면2(33, 32)을 가진 원통부2(B)와 소지름 원통부2(31)로 이루어진 제2스페이서(30)가;
    결합하되, 상기 더 큰 지름의 제1스페이서(20)와 제2스페이서(30)가 그 삽입공1, 2(24, 34)와 소지름 원통부1, 2(21, 31)의 삽입형태로 결합하되, 그 사이에 블레이드(40)의 관통공(41)을 끼우고, 볼트(10)와 너트(11)의 체결을 통해 견고한 결합을 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스페이서(20)와 제2스페이서(30)는,
    그 결합형태를 제1스페이서(20)에 제2스페이서(30)를 1 : 1 대응시키거나 제1스페이서(20)에 제2스페이서(30)를 일 대 다수로 결합시켜 체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
KR1020080091060A 2008-09-17 2008-09-17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 KR101024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060A KR101024338B1 (ko) 2008-09-17 2008-09-17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060A KR101024338B1 (ko) 2008-09-17 2008-09-17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090A true KR20100032090A (ko) 2010-03-25
KR101024338B1 KR101024338B1 (ko) 2011-03-23

Family

ID=4218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060A KR101024338B1 (ko) 2008-09-17 2008-09-17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3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329B1 (ko) * 2018-03-23 2019-04-04 (주)경성정기 신축 구조의 액적 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476Y1 (ko) * 2001-08-07 2002-01-12 주식회사 에이스산업 공기조화기용 엘리미네이터
KR100623926B1 (ko) * 2005-09-16 2006-09-13 주식회사 동원이엔지 엘리미네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329B1 (ko) * 2018-03-23 2019-04-04 (주)경성정기 신축 구조의 액적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338B1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4377B1 (de) Luftreinigungsgerät
DE102011052785B3 (de) Nasslöschturm für die Löschung von heißem Koks
JP5463603B2 (ja) 二重円柱形スリット脱塵空気噴射ノズル及びこれを利用した濾過集塵装置脱塵システム
KR101418997B1 (ko) 에어건 노즐
KR101024338B1 (ko) 조립식 스페이서를 비치한 엘리미네이터
JP2007278586A (ja) 冷却・冷凍装置および同装置における冷風の吹き出し風速の設定方法
CN106669405B (zh) 一种湿法脱硫烟气净化系统
TWI665001B (zh) 除塵除霧裝置及吸收塔
DE102011012045B4 (de) Abgaswäscher
RU2126289C1 (ru) Сухая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колонна и способ охлаждения, увлажнения и/или очистки газа
EP0800851A1 (de) Vorrichtung zur Reinigung schadstoffbelasteter Abluft
KR102352630B1 (ko) 스노우크리스탈 이오나이저를 갖는 양방향 미세먼지 육각관 집진모듈
CN202620946U (zh) 锯齿形冲击式转轮脱硫除尘器
KR100623926B1 (ko) 엘리미네이터
US3811621A (en) Cone spray nozz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DE4311439A1 (de) Vorrichtung zum Reinigen, Befeuchten, Entfeuchten und Temperieren von Gas, vornehmlich von Luft
JP2019058256A5 (ko)
RU2663731C2 (ru) Скруббер с движущейся насадкой
KR20140056896A (ko) 집진기용 공기 분사 장치
KR200356377Y1 (ko) 에어콤프레셔용필터
CN110500682B (zh) 一种蒸发式环保空调
DE102011109734A1 (de) Filterschutzkappe
CN106731430A (zh) 一种文丘里管束式除尘除雾器
RU2568701C1 (ru) Скруббер с движущейся насадкой
KR101442082B1 (ko) 에어컨 실외기용 장착식 정화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