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947A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947A
KR20100031947A KR1020080090835A KR20080090835A KR20100031947A KR 20100031947 A KR20100031947 A KR 20100031947A KR 1020080090835 A KR1020080090835 A KR 1020080090835A KR 20080090835 A KR20080090835 A KR 20080090835A KR 20100031947 A KR20100031947 A KR 20100031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ush
housing
steering column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화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0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1947A/ko
Publication of KR20100031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20Connecting steering column to steer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 컬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결합력을 향상시켜 잠금 상태에서 미세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티어링 기어와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어 스티어링 휠과 연결되는 튜브; 및 주름부가 구비되어 상기 튜브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을 제공한다.
차량, 자동차, 스티어링 휠, 스티어링 컬럼, 스티어링 기어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STEERING COLUMN FOR VEHICLES}
본 발명은 스티어링 컬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결합력을 향상시켜 잠금 상태에서 미세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컬럼은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기어를 연결하는 장치로서, 잠금 상태를 결정하는 레버를 조작하여 튜브를 하우징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하므로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스티어링 휠에 연결되는 튜브가 하우징에 출몰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구조에 의해 운전자의 취향에 맞는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구현할 수 있으며, 레버의 조작에 의해 튜브의 유동이 구속되는 잠금 상태에서 튜브와 하우징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을 작게 하기 위해 튜브와 하우징 사이에 부시가 개재된다.
이 부시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통상적인 구조이며, 튜브의 둘레면에 삽입되므로 튜브를 하우징 내부로 삽입하면 튜브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레 버의 조작으로 잠금 상태가 유지되면 튜브와 하우징 사이의 간격을 줄이는 역할을 행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은 원통 모양의 부시가 튜브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기 때문에 레버에 의해 잠금 상태로 전환되면 일측 방향으로부터 가압되는 외력이 튜브를 가압하게 되므로 부시의 일부분은 튜브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부시의 다른 부분은 튜브로부터 떨어지는 작동이 발생되어 하우징과 튜브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잠금 상태를 이루는 외력이 전면에 걸쳐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이 향상되어 잠금 상태에서 미세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티어링 기어와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어 스티어링 휠과 연결되는 튜브; 및 주름부가 구비되어 상기 튜브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부시는 내경이 상기 튜브의 외경과 비교하여 작게 형성되고, 일측에 절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을 제 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부시의 단부에는 단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단턱이 삽입되는 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은 주름부 및 절개부가 구비는 부시가 설치됨으로써, 부시가 튜브의 외벽과 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되므로 잠금 상태에서 부시와 튜브 및 하우징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튜브와 하우징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잠금 상태에서 미세 유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조향작동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부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10)은 스티어링 기어(미도시)와 연결되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어 스티어링 휠(미도시)과 연결되는 튜브(30)와, 주름부(54)가 구비되어 튜브(30)와 하우징(20) 사이에 개재되는 부시(50)를 포함한다.
이로써, 튜브(30)와 하우징(20) 사이에 부시(50)가 개지되면 주름부(54)를 이루는 산은 튜브(30)의 외벽에 밀착되고, 주름부(54)를 이루는 골은 하우징(20)의 내벽에 밀착되어 튜브(30)와 하우징(2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렇게 주름부(54)가 형성된 부시(50)가 튜브(30)와 하우징(20)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레버(12)가 조작되어 잠금 상태로 변환되면 일측 방향으로부터 외력에 가해져도 주름부(54)를 이루는 산과 골은 소정량 팽창 또는 수축되면서 튜브(30) 및 하우징(2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에, 종래 기술에 따른 부시는 원통 모양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측 방향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면 외력이 가해는 면은 튜브와 밀착되어 선접촉을 이루게 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면은 튜브로부터 떨어지므로 부시와 튜브 사이의 접촉 면적이 작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50)의 내경은 튜브(30)의 외경과 비교하여 작게 형성되고, 일측에 절개부(56)가 구비되므로 튜브(30)를 부시(50) 내부로 삽입할 때는 절개부(56)가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소정량 변형되고, 튜브(30)가 부시(50) 내측으로 삽입되면 부시(50)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부시(50)가 튜브(30) 외벽에 밀착된다.
부시(50)의 단부에는 단턱(52)이 구비되는데, 부시(50)의 전방측 단부 및 후방측 단부에 각각 링 모양의 단턱(52)이 구비되므로 부시(50)의 전방측 단턱(52)은 하우징(20)의 개구부에 밀착되고, 후방측 단턱(52)은 후술될 하우징(20)의 내벽에 걸리게 되므로 부시(50)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게 한다.
하우징(20)에는 부시(50)의 단턱(52)이 삽입되는 홈부(22)가 구비되므로 부시(50)를 하우징(20)에 조립할 때에는 부시(50)를 절개부(56) 측으로 압축시켜 외경을 축소시킨 후에 하우징(20) 내부로 삽입하여 외력을 해제하면 부시(50)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후방측 단턱(52)이 홈부(22)에 삽입되고, 전방측 단턱(52)이 개구부에 안착되면서 부시(5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후에 부시(50) 내측으로 튜브(30)를 삽입하고, 레버(12)를 조작하여 잠금 상태로 전환하면 튜브(30)와 하우징(20)의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20)과 튜브(30)를 결합할 때에는 부시(50)를 절개부(56) 측으 로 가압하여 외경을 축소시키고, 하우징(20) 내부로 삽입한 휘에 외력을 해제하면 부시(50)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부시(50)의 후방측 단턱(52)이 하우징(20)의 홈부(22)로 삽입되면서 부시(50)가 정확한 위치에 조립된다.
이때, 부시(50)의 전방측 단턱(52)은 하우징(20)의 개구부 테두리에 밀착되어 부시(50)의 안정된 결합을 이루게 된다.
이후에, 부시(50) 내부로 튜브(30)를 삽입하면 주름부(54)를 이루는 산이 튜브(30)의 외벽에 밀착되면서 튜브(30)와 하우징(20)의 결합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결합된 튜브(30)는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출몰 정도가 조절될 수 있어 스티어링 휠과 운전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레버(12)를 조작하여 잠금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잠금 상태로 전환되면 레버(12)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부시(50)의 일측이 가압되는데, 이 외력에 의해 주름부(54)를 이루는 산과 골이 일부분은 팽창되고, 타부분은 압축되면서 튜브(30)의 외벽 및 하우징(2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튜브(30)의 외벽 및 하우징(20)의 내벽 전면에 걸쳐 부시(50)의 주름부(54)를 이루는 산과 골이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하우징(20)과 튜브(30)의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동에 의해 잠금 상태를 이루는 외력이 전면에 걸쳐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이 향상되어 잠금 상태에서 미세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스티어링 컬럼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부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티어링 컬럼 20 : 하우징
30 : 튜브 50 : 부시

Claims (4)

  1. 스티어링 기어와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어 스티어링 휠과 연결되는 튜브; 및
    주름부가 구비되어 상기 튜브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내경이 상기 튜브의 외경과 비교하여 작게 형성되고, 일측에 절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단부에는 단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단턱이 삽입되는 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KR1020080090835A 2008-09-16 2008-09-16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KR20100031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835A KR20100031947A (ko) 2008-09-16 2008-09-16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835A KR20100031947A (ko) 2008-09-16 2008-09-16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947A true KR20100031947A (ko) 2010-03-25

Family

ID=4218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835A KR20100031947A (ko) 2008-09-16 2008-09-16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194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543B1 (ko) * 2013-02-06 2014-11-25 남양공업주식회사 자동차의 조향장치
KR20160118166A (ko) 2016-09-21 2016-10-11 이우성 국제사회 상거래용 자유무역 유통의 위조방지 조절화폐 및 상기 화폐를 제조하는 금형
KR20170012495A (ko) 2017-01-13 2017-02-02 이우성 핵폐기물처리용 고속증식로 원자로설비
KR20170015945A (ko) 2017-01-23 2017-02-10 이우성 핵폐기물처리용 다목적고온가스로 원자로설비
US10100873B2 (en) 2014-12-09 2018-10-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dially deflectable bushing and steering gear assembly using the same
CN113329930A (zh) * 2019-01-24 2021-08-31 蒂森克虏伯普利斯坦股份公司 用于机动车辆的线控转向系统的转向柱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543B1 (ko) * 2013-02-06 2014-11-25 남양공업주식회사 자동차의 조향장치
US10100873B2 (en) 2014-12-09 2018-10-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dially deflectable bushing and steering gear assembly using the same
KR20160118166A (ko) 2016-09-21 2016-10-11 이우성 국제사회 상거래용 자유무역 유통의 위조방지 조절화폐 및 상기 화폐를 제조하는 금형
KR20170012495A (ko) 2017-01-13 2017-02-02 이우성 핵폐기물처리용 고속증식로 원자로설비
KR20170015945A (ko) 2017-01-23 2017-02-10 이우성 핵폐기물처리용 다목적고온가스로 원자로설비
CN113329930A (zh) * 2019-01-24 2021-08-31 蒂森克虏伯普利斯坦股份公司 用于机动车辆的线控转向系统的转向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1947A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JP5321688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382066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CN108357560B (zh) 转向管柱
WO2014163113A1 (ja) テレスコピックステアリング装置用アウタコラム
GB2455619A (en) Telescopic steering spindle arrangement
WO2006091639A3 (en) Gas generating system
WO2013015257A1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を用いたステアリング装置
JP3940319B2 (ja) 衝撃吸収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058895B1 (ko) 요크 유격 보상장치
JP2009001251A (ja) 車両操舵用伸縮軸およびこれを備える車両用操舵装置
JP6053861B2 (ja) ヨーク遊隔補償装置
CN106476733A (zh) 车辆的吸能构造
JP2006224728A (ja) フレーム付き車の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構造
US10654512B2 (en) Steering device
WO2009060740A1 (ja) シフト装置
JP4390135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9090754A (ja) スイッチボディの取付構造
US6998551B2 (en) Switch apparatus
KR20090018362A (ko)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JP4029761B2 (ja) 伸縮自在シャフ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5114844A1 (ja) 車両用ペダル装置の後退防止装置
JP3887970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固定装置
JP5983893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WO2014167686A1 (ja) 中空円筒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