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419A - 에어백 조립체 - Google Patents

에어백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419A
KR20100031419A KR1020080090533A KR20080090533A KR20100031419A KR 20100031419 A KR20100031419 A KR 20100031419A KR 1020080090533 A KR1020080090533 A KR 1020080090533A KR 20080090533 A KR20080090533 A KR 20080090533A KR 20100031419 A KR20100031419 A KR 20100031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ortion
steering wheel
slot
airbag module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제형
김태근
김석중
심창희
방오성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080090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1419A/ko
Publication of KR20100031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lid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에어백 조립체는, 중앙에 마운팅 플레이트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
상기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에 고정된 혼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에어백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에어백 모듈과 상기 스티어링 휠에는 서로 상보적인 형상의 제 1 가이드부 및 제 2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에어백 조립체, 가이드

Description

에어백 조립체 {Air bag assembly}
본 발명은 운전자용 에어백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상보적인 형상의 가이드 부재의 쌍의 결합에 의해 스티어링 휠의 허브에 에어백 모듈이 장착된 에어백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air bag system)은 시트 벨트와는 별도로, 충돌시에 운전자와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사이 또는 보조석 승객과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사이에서 순간적으로 에어백을 부풀게 하여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한다.
이러한 에어백 시스템 중에서 운전석의 운전자를 위한 에어백 시스템은, 뇌관의 점화에 의해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inflator), 그 발생된 가스에 의해 운전석의 운전자쪽으로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 상기 인플레이터가 설치되며 스티어링 휠에 스포크로 연결된 마운팅 플레이트(mounting plate),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되는 혼 플레이트(horn plate) 등으로 구성된 운전석용 에어백 모듈과, 충돌시 충격 신호를 발생하는 충격 센서와, 그 충격 신호에 따라 인플레이터의 뇌관을 점화시키는 전자 제어 모듈(Eloctronic Control Module)로 구성되어 있 다.
운전석용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외곽에는 팽창 전개시에 스티어링 휠로부터 분리되는 커버부재(cover member)가 씌워져 있고, 운전석용 에어백 모듈의 인플레이터는 뇌관이 점화됨에 따라 팽창가스를 발생하여 에어백에 공급하는 가스발생기(gas generator)가 내장되어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용 에어백 조립체의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을 조립함에 있어서,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과정 동안에 에어백 모듈이 스티어링 휠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게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에어백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에어백 조립체는, 중앙에 마운팅 플레이트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 상기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에어백 부재와 상기 에어백 부재에 고정된 혼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에어백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에어백 모듈과 상기 스티어링 휠에는 서로 상보적인 형상의 하나 이상의 제 1 가이드부 및 하나 이상의 제 2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에어백 모듈의 혼 플레이트의 측면에서 상기 스티어링 휠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마운팅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에어백 모듈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연장된 오목한 하나 이상의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연장된 볼록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연장된 오목한 하나 이상의 슬롯을 구비 하며,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연장된 볼록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롯의 측면은 상기 돌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테이퍼져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향하는 방향의 슬롯의 폭은 상기 돌출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슬롯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슬롯의 내면은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돌출부의 돌출면은 상기 슬롯의 경사진 내면에 상보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는, 중앙에 마운팅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상에 고정된 혼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상기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에어백 부재를 가지는 에어백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에어백 모듈과 상기 스티어링 휠에는 서로 상보적인 형상의 하나 이상의 제 1 가이드부 및 하나 이상의 제 2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에어백 모듈의 하우징의 측면에 상기 스티어링 휠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혼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에어백 모듈을 향하여 연장된다.
한편, 이러한 실시예의 에어백 조립체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연장된 오목한 하나 이상의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슬롯을 따라 슬라 이딩할 수 있도록 연장된 볼록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연장된 오목한 하나 이상의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연장된 볼록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롯의 측면은 상기 돌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테이퍼져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향하는 방향의 슬롯의 폭은 상기 돌출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슬롯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슬롯의 내면은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돌출부의 돌출면은 상기 슬롯의 경사진 내면에 상보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장착된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을 고정수단으로 고정시에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결합 상태가 변화하지 않게 유지되게 되어 정밀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백 모듈(100)은 스티어링 휠(140)에 장착된다. 상기 에어백 모듈(100)은 에어백 부재(110: air bag member)와 상기 에어백 부재(110)에 고정된 혼 플레이트(120: horn plate)를 구비한다. 상기 에어백 모듈(100)의 에어백 부재(110)는 그 내부에 접혀진 상태로 보관된 에어백(미도시)과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 부재(110)는 차량의 충돌시에 상기 에어백 부재를 덮고 있는 에어백 커버(112)를 파괴하고 인플레이터에 의해 전개되어 팽창된다.
상기 에어백 부재(110)는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눌려졌을 때,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혼 작동부(horn operating member: 미도시)를 내부에 포함한다. 에어백 부재(110)는 혼 스프링(122)에 의해 혼 플레이트(120)상에 고정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혼 스프링(122)을 압축시킬 수 있는 힘으로 에어백 커버(112)를 누르면 에어백 부재(110)는 혼 플레이트(122)를 향하여 움직이게 되고, 이 때 혼 작동부에 연결된 혼에서 경고음이 발생하게 된다.
에어백 모듈(100)이 장착되는 스티어링 휠(140)은 실질적으로 림(rim) 형상의 휠 본체(142: wheel body)와 상기 휠 본체(142)의 중앙에 위치한 마운팅 플레이트(148)를 구비한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스포크(144: spoke)에 의해 상기 휠 본체(142)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에어백 모듈(100)을 상기 스티어링 휠(140)에 조립할 때, 에어백 모듈(100)이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에어백 모듈(100)과 상 기 스티어링 휠(140)에는 서로 상보적인 형상의 제 1 가이드부(130) 및 제 2 가이드부(15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부(130)는 상기 에어백 모듈(100)의 혼 플레이트(120) 하측에서 상기 스티어링 휠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부(150)는 상기 스티어링 휠(140)의 마운팅 플레이트(148)로부터 상기 에어백 모듈(100)을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부(130)와 상기 제 2 가이드부(150)는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가이드부(130)와 상기 제 2 가이드부(15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모듈(100)과 상기 스티어링 휠(140)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부(130)는 상기 에어백 모듈(100)의 혼 플레이트(120)의 측면 양쪽에 대칭적인 위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가이드부(150)는 상기 스티어링 휠(140)의 마운팅 플레이트(148)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개수와 위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백 모듈(100)을 스티어링 휠(140)에 장착하는데 용이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제 1 가이드부(130)는 오목한 슬롯(126)을 가진 제 1 가이드 판(124)을 구비한다. 제 1 가이드 판(124)에 형성되는 슬롯의 개수는 하나 이상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이드 판(124)은 예시적으로 2개의 슬롯(126)을 구비하며 상기 슬롯과 슬롯 사이의 가이드 판(124)에는 체결 홈(128)이 형성된다.
도 2는 도 1의 스티어링 휠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가이드부(150)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48)의 측면에 예시적으로 2개 배치된다.
도 3은 도 1의 에어백 조립체의 제 1 가이드부와 제 2 가이드부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을 다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에어백 모듈의 혼 플레이트(120)는 실질적으로 'U' 자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가이드부(130)는 상기 혼 플레이트이 측면에서 제 2 가이드부(150)가 있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이드부(130)는 제 1 가이드판(124)에 형성된 다수의 슬롯(126)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가이드부(130)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제 1 가이드부와 체결되는 제 2 가이드부(150)는 제 2 가이드판(152)상에 형성된 돌출부(154)와 상기 제 2 가이드부(150)에 형성된 체결홈(156)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가이드부(150)의 돌출부(154)는 상기 제 1 가이드부(130)의 슬롯(126)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제 2 가이드판(152)상에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가이드부(130)가 두개의 슬롯(126)을 구비하며, 제 2 가이드부(150)가 두개의 돌출부(154)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가이드부(130)의 상기 슬롯(126)에 상기 제 2 가이드부(150)의 돌출부(154)가 삽입된다. 이 때, 제 1 가이드부(130)가 형성된 혼 플레이트(120)는 제 1 가이드부(130)와 상기 제 2 가이드부(150)의 결합 경로를 따라서 부드럽게 이동하게 되며, 상기 혼 플레이트(120)를 구비하는 에어백 모듈(100) 전체가 스티어링 휠(140) 에 소정의 경로를 따라 체결되게 된다.
도 5는 도 4의 제 1 가이드부(130)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가이드부(130)의 하나의 슬롯(126)을 형성하는 측면들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지 않고 일정 각도(θ)만큼 테이퍼진다. 이 때, 슬롯의 측면은 돌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된다. 따라서, 돌출부를 향하는 방향의 슬롯의 폭(w2), 즉 슬롯의 입구의 폭은 돌출부로부터 멀이지는 방향의 슬롯의 폭(w1)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 1 가이드부(130)의 슬롯(126)의 입구에서의 폭을 확장시킴으로써, 제 2 가이드부(150)이 돌출부(154)가 슬롯(126)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부(130)와 상기 제 2 가이드부(150)가 서로 체결된 후, 그 결합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에는 각각 체결홈(128, 1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홈(128, 156)을 관통하여 고정수단, 예를 들어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에어백 모듈(100)과 상기 스티어링 휠(140)은 서로 고정된다.
상기 에어백 모듈(100)과 상기 스티어링 휠(140)은 상기 슬롯(126)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삽입된 돌출부(154)간의 연결에 되어 지지되고 있으므로, 상기 체결홈(128, 156)에 나사 체결을 위하여 나사를 회전시키더라도 에어백 모듈(100)이 스티어링 휠(14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고 최초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1 가이드부에 슬롯에 형성되고 제 2 가이드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1 가이드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 2 가이드부에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스티어링 휠의 평면도이다.
도 1의 실시예와는 다르게 혼 플레이트(220)는 에어백 모듈(200)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스티어링 휠(240)에 구비되어 고정되어 있다. 즉, 혼 플레이트(220)는 스티어링 휠(240)의 서브 구성요소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백 모듈(200)은 에어백 커버(212)로 덮혀진 에어백 부재와 상기 에어백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214)을 구비한다.
에어백 모듈(200)이 장착되는 스티어링 휠(240)은 실질적으로 림 형상의 휠 본체(242)와 상기 휠 본체(242)의 중앙에 위치한 마운팅 플레이트(248)를 구비한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스포크(244)에 의해 상기 휠 본체(242)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에어백 모듈(200)을 상기 스티어링 휠(240)에 조립할 때, 에어백 모듈(200)이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에어백 모듈(200)과 상기 스티어링 휠(240)에는 서로 상보적인 형상의 제 1 가이드부(230) 및 제 2 가이드부(25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부(230)는 상기 에어백 모듈(100)의 하우징(214)의 측면에서 상기 스티어링 휠(240)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부(250)는 상기 스티어링 휠(240)의 혼 플레이트(220)에서 상기 에어백 모 듈(100)을 향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부(230)와 상기 제 2 가이드부(250)는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가이드부(230)와 상기 제 2 가이드부(25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모듈(200)과 상기 스티어링 휠(240)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부(230)는 상기 에어백 모듈(200)의 하우징(214)의 측면 양쪽에 대칭적인 위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가이드부(250)는 상기 스티어링 휠(240)의 혼 플레이트(220)의 내측 양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개수와 위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백 모듈(200)을 스티어링 휠(240)에 장착하는데 용이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 1 가이드부(230)는 오목한 슬롯(226)을 가진 제 1 가이드 판(224)을 구비한다. 제 1 가이드 판(224)에 형성되는 슬롯의 개수는 하나 이상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이드 판(224)은 예시적으로 2개의 슬롯(226)을 구비하며 상기 슬롯과 슬롯 사이의 가이드 판(224)에는 체결 홈(228)이 형성된다.
도 7은 도 6의 스티어링 휠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티어링 휠(240)의 중앙의 마운팅 플레이트(248)에는 혼 플레이트(220)가 고정되어 장착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250)는 상기 혼 플레이트(220)의 내측면에 예시적으로 2개 배치된다.
도 8은 도 6의 에어백 조립체의 제 1 가이드부와 제 2 가이드부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을 다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에어백 모듈의 하우징(214)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띠형상이며, 상기 제 1 가이드부(230)는 상기 하우징(214)의 측면에서 제 2 가이드부(250)가 있는 방향을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이드부(230)는 제 1 가이드판(224)에 형성된 다수의 슬롯(226)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가이드부(230)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제 1 가이드부와 체결되는 제 2 가이드부(250)는 제 2 가이드판(252)상에 형성된 돌출부(254)와 상기 제 2 가이드부(250)에 형성된 체결홈(256)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가이드부(250)의 돌출부(254)는 상기 제 1 가이드부(230)의 슬롯(226)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제 2 가이드판(252)상에 형성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가이드부(230)가 두개의 슬롯(226)을 구비하며, 제 2 가이드부(250)가 두개의 돌출부(254)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가이드부(230)의 상기 슬롯(226)에 상기 제 2 가이드부(250)의 돌출부(254)가 삽입된다. 이 때, 제 1 가이드부(220)가 형성된 하우징(214)는 제 1 가이드부(230)와 상기 제 2 가이드부(250)의 결합 경로를 따라서 부드럽게 이동하게 되며, 상기 하우징(214)를 구비하는 에어백 모듈(200) 전체가 스티어링 휠(240) 에 대하여 소정의 경로를 따라 체결되게 된다.
도 10는 도 9의 제 1 가이드부(230)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을 참조 하면, 상기 제 1 가이드부(230)의 하나의 슬롯(226)을 형성하는 측면들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지 않고 일정 각도(θ)만큼 테이퍼진다. 이 때, 슬롯의 측면은 돌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된다. 따라서, 돌출부를 향하는 방향의 슬롯의 폭(w2), 즉 슬롯의 입구의 폭은 돌출부로부터 멀이지는 방향의 슬롯의 폭(w1)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 1 가이드부(230)의 슬롯(226)의 입구에서의 폭을 확장시킴으로써, 제 2 가이드부(250)의 돌출부(254)가 슬롯(226)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부(230)와 상기 제 2 가이드부(250)가 서로 체결된 후, 그 결합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에는 각각 체결홈(228, 2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홈(228, 256)을 관통하여 고정수단, 예를 들어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에어백 모듈(200)과 상기 스티어링 휠(240)은 서로 고정된다.
상기 에어백 모듈(200)과 상기 스티어링 휠(240)은 상기 슬롯(226)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삽입된 돌출부(254)간의 연결에 되어 지지되고 있으므로, 상기 체결홈(228, 256)에 나사 체결을 위하여 나사를 회전시키더라도 에어백 모듈(200)이 스티어링 휠(24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고 최초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1은 도 8의 제 1 가이드부와 제 2 가이드부의 변형된 실시예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결합관계는 도 3의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가이드부(230')의 슬롯(226')의 내면(229')은 제 1 가이드판(224')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부(250')의 제 2 가이드판(252')에 형성된 돌출부(254')는 상기 슬롯(226')의 경사진 내면(229')에 상보적인 형상으로 경사진 경사면(256')을 구비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이드부(230')의 슬롯(226')에 상기 제 2 가이드부(250')의 돌출부(254')가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1 가이드부에 슬롯에 형성되고 제 2 가이드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1 가이드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 2 가이드부에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에어백 조립체에 관한 기술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티어링 휠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에어백 조립체의 제 1 가이드부와 제 2 가이드부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다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 1 가이드부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스티어링 휠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에어백 조립체의 제 1 가이드부와 제 2 가이드부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을 다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 1 가이드부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제 1 가이드부와 제 2 가이드부의 변형된 실시예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부호 *
100, 200: 에어백 모듈(air bag module)
120, 220: 혼 플레이트(horn plate)
130, 230: 제 1 가이드부(first guide portion)
140, 240: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142: 242: 휠 본체(wheel body)
144, 244: 스포크(spoke)
148, 248: 마운팅 플레이트(mounting plate)
150: 250: 제 2 가이드부(second guide portion)
214: 하우징(housing)
124, 224: 제 1 가이드판(first fuide plate)
126, 226: 슬롯(slot)
128, 228: 체결홈(mounting hole)
152, 252: 제 2 가이드판(second guide)
154, 254: 돌출부(protrusion)

Claims (14)

  1. 중앙에 마운팅 플레이트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
    상기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에어백 부재와 상기 에어백 부재에 고정된 혼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에어백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에어백 모듈과 상기 스티어링 휠에는 서로 상보적인 형상의 하나 이상의 제 1 가이드부 및 하나 이상의 제 2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에어백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에어백 모듈의 혼 플레이트의 측면에서 상기 스티어링 휠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마운팅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에어백 모듈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연장된 오목한 하나 이상의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연장된 볼록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측면은 상기 돌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테이퍼져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향하는 방향의 슬롯의 폭은 상기 돌출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슬롯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연장된 오목한 하나 이상의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연장된 볼록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슬롯의 내면은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돌출부의 돌출면은 상기 슬롯의 경사진 내면에 상보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8. 중앙에 마운팅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상에 고정된 혼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상기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에어백 부재를 가지는 에어백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에어백 모듈과 상기 스티어링 휠에는 서로 상보적인 형상의 하나 이상의 제 1 가이드부 및 하나 이상의 제 2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에어백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에어백 모듈의 하우징의 측면에서 상기 스티어링 휠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혼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에어백 모듈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연장된 오목한 하나 이상의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연장된 볼록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측면은 상기 돌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테이퍼져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향하는 방향의 슬롯의 폭은 상기 돌출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슬롯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연장된 오목한 하나 이상의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연장된 볼록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슬롯의 내면은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돌출부의 돌출면은 상기 슬롯의 경사진 내면에 상보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KR1020080090533A 2008-09-12 2008-09-12 에어백 조립체 KR20100031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533A KR20100031419A (ko) 2008-09-12 2008-09-12 에어백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533A KR20100031419A (ko) 2008-09-12 2008-09-12 에어백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419A true KR20100031419A (ko) 2010-03-22

Family

ID=4218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533A KR20100031419A (ko) 2008-09-12 2008-09-12 에어백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14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682A (ko) * 2014-03-13 2015-09-23 델피 금속 에스파냐 에스.에이.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 스티어링 휠, 및 경적 작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682A (ko) * 2014-03-13 2015-09-23 델피 금속 에스파냐 에스.에이.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 스티어링 휠, 및 경적 작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4501A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apparatus
US7293794B2 (en) Cover attachment
US20070046002A1 (en) Airbag apparatus
US6565113B2 (en) Air bag module
JP3792796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H09267709A (ja) 膨張式抑止モジュール
JP6179388B2 (ja) 乗員保護装置
CN111301335B (zh) 装饰部件及气囊装置的罩体
US6517105B1 (en) Steering wheel assembly featuring the elimination of a contact coil
KR20100031419A (ko) 에어백 조립체
JP4781699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4572770B2 (ja)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5162234B2 (ja) ハンドルのスイッチ装置及びハンドル
KR101647440B1 (ko) 에어백 모듈 장착 장치
EP1749706B1 (en) Steering wheel with airbag apparatus
EP1864869B1 (en) Airbag and airbag system
KR100397513B1 (ko) 자동차용 에어백모듈 연결장치
KR100471758B1 (ko) 에어백 모듈이 설치된 자동차의 스티어링휠
KR100468540B1 (ko) 스티어링휠의 에어백모듈 설치구조
JP2923456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4160892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KR200296780Y1 (ko) 에어백 조립체
KR100622123B1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2001354095A (ja) エアバッグ装置
JP4665652B2 (ja)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