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9770A - 연소 챔버에서 도입 공기의 제어를 통한 불균질 물질 회분의 건조 추출/냉각을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소 챔버에서 도입 공기의 제어를 통한 불균질 물질 회분의 건조 추출/냉각을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9770A
KR20100029770A KR1020097026532A KR20097026532A KR20100029770A KR 20100029770 A KR20100029770 A KR 20100029770A KR 1020097026532 A KR1020097026532 A KR 1020097026532A KR 20097026532 A KR20097026532 A KR 20097026532A KR 20100029770 A KR20100029770 A KR 20100029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nker
cooling
combustion chamber
air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6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오 마갈디
Original Assignee
마갈디 인더스트리에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갈디 인더스트리에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마갈디 인더스트리에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00029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2Apparatus for 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ash-pits, e.g. by employing trucks or conveyors, by employing su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900/00Special arrangements for conducting or purifying combustion fumes; Treatment of fumes or ashes
    • F23J2900/01006Airlock sealing associated with ash remov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2900/00Special arrangements for supplying or treating air or oxidant for combustion; Injecting inert gas, water or steam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L2900/15041Preheating combustion air by recuperating heat from a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각로 클링커의 건조 추출 및 냉각을 위한 시스템과 관련되고, 주로 추출-냉각 유닛 및 상기 유닛으로부터 상기 연소 챔버의 분리된 환경을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소각로의 연소 챔버로의 도입부에서 허용 가능한 공기의 량을 초과하지 않고 상기 추출된 클링커의 최종 온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도 1). 냉각 공정을 위하여 요구되는 공기 흐름이 허용 가능한 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은 적합한 제어 수단에 의하여 상기 연소 챔버의 보일러 다운스트림의 가장 적합한 지점에 초과 공기가 보내지도록 하여야 한다.
Figure P1020097026532
냉각 공기, 건조 추출, 냉각, 중회분, 소각로

Description

연소 챔버에서 도입 공기의 제어를 통한 불균질 물질 회분의 건조 추출/냉각을 위한 시스템{SYSTEM FOR DRY EXTRACTING/COOLING HETEROGENEOUS MATERIAL ASHES WITH CONTROL OF THE AIR INLET IN THE COMBUSTION CHAMBER}
본 발명은 소각 플랜트의 내부 쓰레기의 연소로부터 발생되는 중회분(heavy ashes)의 건조 추출/냉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각로에서 쓰레기의 연소로부터 발생한 중회분(heavy ashes)을 추출하기 위한 통상적인 시스템은 습윤 시스템의 사용을 제공하였다.
소각로로부터 배출되는 중회분은 최종 연소 회격자(grate)의 다운스트림에 위치한 물이 채워진 탱크로 배출된다. 상기 수집 탱크는 상기 회분 클링커(clinkers)의 냉각 및 수밀봉의 두가지 기능을 가지고, 이에 의하여 연소 공정을 방해하는 수집 탱크 내에 존재하는 기능 저하 수치에 의하여 재흡입된 주위 공기의 보일러로의 도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냉각된 클링커는 스크레이퍼(scrapers) 또는 푸셔(pushers)에 의하여 상기 탱크로부터 제거되고, 이는 슬로프를 따라 상기 회분의 재상승(reascending), 및 다운스트림 장치에서의 연속적인 배출을 야기한다.
습윤 추출을 위한 시스템의 사용은 시스템 자체 및 주변 환경에 현저한 불편함을 야기한다. 상기 주요 단점은 다음과 관련된다:
- 수냉(water-cooled)된 회분에 포함된 화학적 에너지 및 현열(sensible heat)의 비가역적 손실. 일단 상기 회분이 수집 탱크에 떨어지면, 그 안에 존재하는 미연소 물질의 연소 공정이 중지된다. 또한, 상기 회분의 모든 열량(thermal content)는 상기 냉각수로 전달된다.
- 습도 함량에 비례하여 더 높은 중량에 의한 습윤 회분 이동 및 저장의 고비용.
- 상기 클링커의 냉각을 위하여 요구되는 수분의 소비.
- 주변환경으로 배출되기 전에 클링커-오염된 냉각 수의 정제에 대한 요구.
- 상기 회분 자체 및 회수될 금속 파편 사이의 접착 현상에 따른 습윤 회분 내에 존재하는 금속 파편을 분리하는 어려움.
- 온도 증가를 제한하고 손실을 회복하기 위하여 연속적인 첨가를 요하는 냉각수의 이동을 위한 에너지 소비.
- 물이 흐르는 장치 및 파이프라인의 높은 부식 속도에 따른 높은 유지 비용.
본 발명은 대체적으로 상기 클링커의 건조 추출 및 냉각을 위한 시스템의 채택에 기초한다. 소각로 클링커의 건조 추출을 위한 시스템의 채택은 상기 최종 연소 회격자의 다운스트림에 중회분의 배출을 위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보일러로 공기의 도입(도입공기)의 제어의 문제점을 갖는다. 사실, 상기 영역으로부터 제어되지 않은 과도한 공기의 도입은 연소 효율에 강하고 부정적인 영향, 교환 표면 상의 열 흐름의 분포, 및 오염물(NOx) 및 미립자의 형성을 갖는 상기 보일러의 연소 현상의 변경을 수반한다.
또한, 상기 클링커는 사용되는 연료의 다양한 특성 때문에 불균일하고(heterogeneous), 현저한 크기의 이질적인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다른 적용에서 사용되는 마감에서 기계적 블러킹의 위험이 있고 따라서 공기의 상당한 량이 연소 챔버에서 제어되지 않는 도입을 야기하는 통상적인 것(예를 들어, 이중-클라베 밸브(double-clapet valves)의 대안적인 분리 환경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여 이하에서 해결되는 기술적 문제점은 종래 기술과 고나련되어 개시된 단점을 제거하도록 하는 소각로 클링커의 추출 및 냉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언급된 문제점은 청구항 1에 따른 시스템 및 청구항 11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해결된다.
상기 문제점에서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본 발명 자체에 따른 청구항에서 나타내진다.
본 발명은 일정의 중요한 장점을 제공하며, 일부는 이하 설명되며 이하 설명된 상세한 설명에 따라 완벽하게 이해될 것이다. 일반적으로,종래 기술에 대한 본 발명의 중요한 장점은 냉각수의 사용과 관련된 모든 문제를 제거한 것, 보다 쉽고 보다 경제적인 클링커 분리 및 저장 공정, 및 높은 온도의 회분에 포함된 열적 및 화학적 에너지의 회수를 가능케 한다는 사실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주요 장점은 추출(extracting) 시스템이 연결된 상기 연소 챔버의 공기 도입부의 효과적인 제어를 제공함에 의하여 냉각수의 사용없이 클링커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냉각을 적절하게 제공하는 상기 클링커의 건조 추출을 가능케 한다는 점이다.
이는 주로 상기 추출기(extractor)의 내부 및 추출 영역(zone) 및 배출(discharge) 지점 사이를 포함하는 분리 수단의 사용에 의하여 얻어진다. 상기 분리 수단은 클링커의 냉각에 유용하고 연소 공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과 같은 공기의 소정의 량이 상기 연소 챔버에 도입되게 한다.
바람직하고 특히 유리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분리는 이동 가능한 위에 매달리고(overhung) 이동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에서 상기 추출기의 커버에 힌지된(hinged), 벨트 상의 운송에서 클링커의 통로를 가능케하는 공기에 대하여 미로형(labyrinth) 밀봉을 실행하는, 연속한(series) 에어 록(air locks)의 사용에 의하여 수행된다.
추출된 클링커의 양이 요구되는 냉각 공기 및 상기 연소 챔버로 도입되는 공기의 양이 연소 효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연소 공기의 최소 퍼센트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연소 챔버의 다운스트림에서 초과된 냉각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갖는 추출 시스템을 구비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연소 챔버의 다운스트림의 보일러의 적합한 영역과 상기 분리 수단의 다운스트림의 추출기 부분과 연결시키고, 상기 연소 챔버에서의 압력 이상으로 연결된 추출기 부분의 압력을 결정하기에 충분한 부하 손실(load losses)을 초래하기 위하여 사이징(sized)된다. 이러한 특징은 상기 추출기를 통하여 지나는 연소 증기의 위험성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초과 공기의 이동을 위한 상기 장치는 선택적으로 디더스팅(dedusting) 시스템 및 라인에서의 조절 밸브를 구비한 적합한 덕트(duct)에 의하여 구성된다.
상기 추출 기능 및 냉각 기능이 두 개의 별개의 컨베이어(conveyors)에 맡길수 있는 일정 시스템 배열에서, 상기 연소 챔버에 위치된 상기 제1 컨베이어 및 상기 연소 챔버의 다운스트림의 제2 컨베이어; 상기 두 컨베이어의 주위가 상기 제1 벨트에서 제2 벨트로의 클링커의 도입을 위하여 호퍼(hopper)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두 컨베이어의 주변이 단일 환경을 형성하여 따라서 바람직한 구체예에따라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단일 추출/냉각 유닛이므로, 이 모든 것이 본 발명의 기초에서 개념이 바뀌지 않는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을 요약하면, 본 발명은 소각로의 연소 챔벌의 도입부에서 허용될 수있는 공기 흐름을 초과하지 않고 추출된 클링커의 최종 온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소각로 클링커의 건조 추출 및 냉각을 위한 시스템에 관련된다. 냉각 공정을 위하여 요구되는 공기 흐름이 허용가능한 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은 적함한 제어 수단에 의하여 상기 연소 챔버의 보일러 다운스트림의 가장 적절한 지점으로 초과된 공기를 보내게 된다.
사용에 바람직한 시스템은 주로 다음 부재를 포함한다:
1. 추출기 및 소각로 사이의 연결 호퍼, 상기 호퍼를 통하여 클링커가 추출기 밸트 상에 배출되는, 특허 EP 0 471 055 B1의 이후 형태의 물체;
2. 상기 언급된 추출기/냉각기, 회분 및 미립자를 수용하고, 상기 연소 그래이트(grate) 아래 놓이는 상기 호퍼 이후에 오는; 적재 영역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적재-베어링 롤의 피치(pitch)는 자유낙하 물질의 충격으로부터 야기된 부하를 보다 잘 분산 시키기 위하여 더 두껍다; 상기 추출 및 이송 영역은 최대-크기의 클링커의 추출 또한 용이하도록 사이징된다;
3. 상기 추출기의 바닥상에 위치되고 고온을 견디는 조성물로 구성된 미립자의 수용을 위한 시스템;
4. 상기 연소 챔버에서 주변 공기의 도입을 제한하고, 이를 위하여 상기 연소 챔버 및 상기 추출기의 배출 지점 사이의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추출기 내부에 존재하는 분리 수단;
5. 과압의 경우 뜨거운 가스의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과 같은 상기 추출기의 측벽에 위치되는 상기 추출기 내부의 냉각 공기 도입을 위한 수단;
6. 선택적으로, 상기 연소 챔버에 의하여 수용가능한 최대치를 초과하는 냉각 공기의 배출에 가장 적합한 상기 분리 수단의 추출기 부분의 다운스트림 및 연소 챔버의 다운스트림의 보일러 지점 사이의 연결을 위한 연결 파이프라인 또는 덕트; 상기 파이프라인은 사이클론(cyclone) 디더스팅 시스템 및 라인 제어 밸브를 구비할 수 있음;
7. 선택적으로, 상기 덕트에 위치된 밸브의 조절을 통한 분리 수단을 구비한 상기 추출기 영역의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에 존재하는 압력의 제어 로직(control logic).
본 발명의 다른 장점, 특징 및 적용이 제한의 목적이 아닌 실시예에서 보여지는 이어지는 일정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이 이하 설명될 것이다:
- 도 1은 냉각 공기를 연소 챔버로의 도입을 제공하는 작동 모드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설명하는 개요이다;
- 도 2는 보일러로 연소 챔버의 다운스트림에서 초과된 냉각 공기의 이동을 제공하는 작동 모드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 구체예를 보여주는 개요이다;
- 도 3은 필터링 처리에서, 초과된 냉각 공기의 대기로의 이동을 제공하는 작동 모드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 구체예를 보여주는 개요이다;
- 도 4는 도 1의 A-A 선을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 도 5는 상기 추출기 내부의 냉각 공기의 이동을 위한 주요 영역을 자세히 보여준다;
도 6은 도 2의 B-B 선을 따른 개략적 단면도를 보여준다;
먼저 도 1에서, 소각로 클링커의 건조 추출/냉각을 위한 장치가 전체로서 1로 지시된다.
보다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상기 시스템(1)의 다른 구성성분이 100으로 지시되는 연소 챔버로부터 추출되어 버려지는 클링커의 경로를 언급함에 의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연소 챔버(100)의 다운스트림에서 곧바로, 상기 시스템(1)은 높은 열 저항성을 갖는 강판으로 주로 만들어진 건조 추출기에 기초한 추출 및 냉각 유닛(9)을 제공한다. 이러한 추출기(9)는 그 자체로서 알려져있고, 본 명세서에서 인용문헌으로서 포함된 EP 0 252 967에서 실시예로 설명된다.
상기 추출기(9)는 전환 호퍼(102)를 통하여 상기 챔버(100)의 연소 그래이트(101)로부터 하방으로 침전되는 중회분을 모은다.
미립자는 대신 상기 연소 그래이트(101)의 바닥에 위치된,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의 환경(environments)을 분리하기에 적합한 나중에 이중-클래프(double-clapet) 밸브(5)(또는 동등한 수단)을 구비하고, 정압(positive-pressure) 호퍼인 수집 호퍼(8)에 의하여 추출기(9) 상으로 이동된다.
상기 추출기(9)는 케이스(98)의 측벽에서 각각이 (10)으로 지시되는 상기 추출기(9)의 전개에 따라 실질적으로 일반적 방법에서 분산된 외부 냉각 공기를 위한 다수의 도입 홀(holes)을 갖는다. 이러한 도입구(10)는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고, 활성화되거나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들은 체크 밸브, 즉, 상기 추출기에서 과압의 경우, 뜨거운 가스를 주변환경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 추출기(9) 내부에서,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에서 상기 주위의 실질적 압력 분리를 야기하기에 적합한 고정된(91) 및 이동 가능한(92) 분리 수단이 존재한다.
고정 분리 수단(91)은 바람직하게 금속 배플(baffles)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링커 부하점의 업스트림의 영역에서 상기 추출기(9)의 전송 헤드(transmission head)에 배열된다. 컨베이어 벨트 및 관련된 금속 컨테이너(98) 사이의 가능한 영역 모두를 차지(occupying)하는 상기 수단(91)은 전송 드럼(931) 주위를 지남에 의하여 상기 연소 챔버(100)에서 추출기(9)로 도입된 공기가 재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이동가능한 분리 수단(92)는 바람직하게 상기 추출기(9)의 커버의 위에 매달리고 힌지된 에어 록으로 구성되며, 이동 영역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에어 록의 수는 상기 연소 챔버로 알려지고 미리 정하여진 공기의 최대량이 도입되도록 상기 추출기의 배출 지점으로부터 재흡입(resucked)된 공기의 도입부에서 현저한 부하 손실(load loss)를 보증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서 보다 자세히 도시된 것처럼, 상기 에어 록(92)는 상기 벨트 상에서 이동하는 물질의 층의 윤곽(contour)을 따라가도록 바람직하게는 다중 피보팅 바디(pivoting multiple body), 즉 이들 사이에 힌지된 평행 밴드(93)를 포함한다. 상기 평행한 밴드(93)는 상기 컨베이어에 더 근접한 것들이 보다 압축성 물질의 이 통로 상의 층을 평평하게 하는 단계(levelling)를 수행하도록 더 큰 중량을 갖기 위하여 사이징될 수 있다. 상기 연소 챔버(100)에 더 근접한 에어 록에 의하여 주로 작동되는 이러한 기능은 상기 추출기(9)의 배출 지점에 더 가까운 에어 록의 공기 밀봉 기능을 더 효과적으로 만든다.
이동 영역에서 추출된 클링커의 가둠(confinement)을 보증하기 위하여, 모든 길이를 따라 상기 추출기(9)는 상기 물질을 포함하기 위한 금속 보드(boards)(94)를 갖는다. 상기 함유(containing) 보드(94)는 접촉 및 간섭을 방지하기위하여 요구되는 상기 벨트로부터 최소 수직 거리를 제공한다.
필요한 경우, 벨트 및 금속 보트(94) 사이를 포함하는 틈(gap)에서, 금속 또는 고온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다른 물질의 브러쉬(95)가 밀봉의 향상 및 공기 도입의 추가적인 제한을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추출기의 측벽에 있는 상기 도입부(10)를 통하여 도입되는 주변 공기의 양은 미리고정된(prefixed) 통로 영역을 만듦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4에서 매우 자세하게 보이는 것처럼, 상기 도입 영역 또는 포트(port)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유 보드(94)의 외부 면에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핀(fin)으로부터 결정된 거리에서 고정된 수평 밀봉 플레이트(96)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이동의 모든 길이에 대한 상기 추출기 벨트의 양면 모두 상의 상기 밀봉 플레이트(96)의 존재는 상기 추출기(9)로 소정의 공기의 량의 도입을 보증하고, 따라서 연소 챔버(100)에서 통로 영역 및 연소 챔버(100)의 강하(depression) 값이 알려진다. 물론, 이러한 플레이트(96)는 또한 상기 벨트(9)의 이동(이송(conveying)) 영역의 단 지 일부와 관련될 수 있고, 특히 상기 호퍼(102)의 다운스트림의 부분의 단지 일부일 수 있다.
그러므로, 냉각 공기는 상기 도입부(10)(및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밀봉 플레이트(96)에 의하여 결정되는 영역)을 통하여 대부분을 부분에서 상기 추출기(9)로 재흡입된다; 또한 이동가능한 에어 록(92)에 의하여 작동되는 미로형 밀봉을 통하여 상기 추출기의 배출 지점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재흡입된다.
상기 벨트 상의 클링커 냉각은 상기 연소 챔버에서의 강하에 의한 방법으로 재흡입된, 반대방향으로(countercurrent) 거슬러 지나는 주변 공기에 의하여 일어난다. 일단 나중에 열 교환의 효과에 의하여 가열되면, 상기 공기는 상기 연소 챔버로 도입되고, 열을 상기 연소 챔버 안으로 재-도입(re-inletting)한다.
앞서 예상한 것처럼, 냉각될 클링커의 양이 상기 용구되는 냉각 공기가 상기 연소 챔버에 허용될 수 있는 량을 초과하도록 하는 경우, 본 발명은 초과된 냉각 공기를 상기 연소 챔버의 다운스트림의 보일러 영역으로의 이동을 제공한다.
도 2에서 언급되는, 이러한 시스템 배열에서, 초과된 냉각 공기의 이동을 위한 장치는 상기 분리 수단의 다운스트림의 추출기 부분에 연결된 덕트(2)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론 디더스팅 시스템(3) 및 라인(line)에 자동 제어 밸브를 구비한다.
상기 연소 챔버(100)의 다운스트림의 보일러 영역은 상기 연소챔버에 비하여 더 낮은 압력을 가지고, 상기 영역과 상기 추출기 벨트(9)의 연결에 의하여 상기 연소 챔버로부터 상기 추출기로 연소 증기의 이동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상 황을 피하기 위하여, 연소 챔버와 연결된 추출기의 부분에서 상기 연소 챔버와 동일한 압력 값을 얻기 위함과 같이 상기 덕트(2)는 상기 라인을 따라 충분한 부하 손실에 영향을 주도록 사이징된다.
이러한 조건의 우수한 조절을 위하여, 상기 분리 수단의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의 상기 추출기 부분 사이의 압력 차이는 적합한 센서(7)의 수단에 의하여 일정하게 모니터(monitored)되고 상기 덕트(2) 상의 밸브(4)의 작용에 의하여 조절된다.
도 3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초과된 냉각 공기를 방출하기 위한 상기 덕트는 상기 설명된 것과 다른 연결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실, 상기 공기는 상기 연소 챔버의 다운스트림의 보일러 영역에 존재하는 강하(depression)에 의하여 흡입되는 대신에, 명세서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제어 수단(40)을 구비한 덕트(21)을 따라 전용 팬(fan)(22) 또는 동등한 수단에 의하여 흡입될 수 있고, 그 이후에 상기 팬(22)의 업스트림에 배열된 전용 필터(210)를 지나 대기로 배출된다.
이들 마지막 두 시스템 배열(도 1 및 도 3)에서, 상기 추출기(9)로 도입되는 공기는 상기 배출 지점(99) 및 측면 도입부(10)을 통하여 상기 분리 수단의 다운스트림의 벨트 부분에 존재하는 상기 클링커의 반대방향으로 완벽한 냉각을 제공하고, 그 이후에 도 2에 언급된 것으로서 덕트(2)를 통하여 상기 연소 챔버의 다운스트림의 적합한 보일러 영역으로 재흡입되거나, 도 3에서 언급된 것처럼 상기 덕트(21) 및 상기 팬(22)에 의하여 대기로 보내진다.
또한, 도 6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추출기(9)는 고온 저항성을 갖는 성분 으로 이루어진 금속 컨테이너(98)의 하부에 위치된 미립자의 회수를 위한 시스템(981)을 구비한다.
상기 배출 지점(99)으로부터 재도입되는 주변 공기에 의한 미립자의 유입을 피하기 위하여, 이중-클래프(double-clapet) 밸브(992) 또는 환경의 분리를 위한 동등한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회수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된 미립자의 분리된 배출(991)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바람직한 구체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는 동일한 발명의 사상이 존재하는 다른 구체예가 존재할 수 있다는 의미이고, 이들 모두는 이하 제공되는 청구항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14)

  1. - 연소 챔버(100)의 다운스트림에 배열되기 적합한 벨트 컨베이어 이동 수단(9)에 기초하는 건조 추출 및 냉각 유닛;
    - 상기 이동 수단(9) 상에서 이동되는 클링커(clinkers)의 베드(bed)에서 냉각 공기의 도입을 제어하도록 하는데 적합한 냉각 공기를 도입(inletting)하기 위한 수단(10, 99), 여기서 전체 배열은 상기 연소 챔버(100)의 방향에서 상기 클링커의 베드와 반대방향(countercurrent)에서 상기 냉각 공기가 지나도록 함; 및
    - 상기 연소 챔버(100)로의 도입을 위한 상기 컨베이어 수단(9) 상의 상기 클링커의 부하점(loading point)(102)에 이르는 상기 냉각 공기의 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91, 92, 2), 여기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컨베이어 수단(9)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이들의 클링커 이동 부분과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다수의 밀봉(seal) 부재(92)를 포함하며, 각각은 이동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전개되며(develops), 실질적으로 미로 형태(labyrinth-type)의 밀봉인 상기 밀봉 부재(92)는 냉각 공기의 흐름에서 제어된 부하 손실을 결정하는데 적합함;
    을 포함하는 소각로 연소 클링커의 건조 추출 및 냉각을 위한 시스템(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92) 각각은 상기 벨트 컨베이어 이동 수단(9)의 케이스(casing)에서 힌지결합된(hing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연소 클링커의 건조 추출 및 냉각을 위한 시스템(1).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밀봉 부재는 다수의 피보팅(pivoting) 바디(93)(pivoting multiple body) 형태의 공기 에어 록(air lock)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연소 클링커의 건조 추출 및 냉각을 위한 시스템(1).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 이동 수단(9)에 더 근접한 상기 에어 록 바디는 더 압축 가능한 물질의 통로 상에서 클링커 베드를 평평하게 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더 무거운 무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연소 클링커의 건조 추출 및 냉각을 위한 시스템(1).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91, 92, 2)은 상기 클링커의 적재를 위한 영역(102)의 업스트림에서의 상기 이동 수단(9)의 전송 헤드(transmission head)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추가적 고정 밀봉 부재(9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연소 클링커의 건조 추출 및 냉각을 위한 시스템(1).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91, 92, 2)은 상기 연소 챔버(100)의 다운스트림의 보일러 영역에 연속하여 상기 밀봉 부재(92)의 다운스트림에 배열된 상기 이동 수단(9)의 영역과 연결되기 적합한 덕트(2)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연소 클링커의 건조 추출 및 냉각을 위한 시스템(1).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덕트(2)에 배열된 디더스팅(dedusting)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연소 클링커의 건조 추출 및 냉각을 위한 시스템(1).
  8.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공기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연소 클링커의 건조 추출 및 냉각을 위한 시스템(1).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91, 92, 2)는 상기 냉각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대기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21, 22, 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연소 클링커의 건조 추출 및 냉각을 위한 시스템(1).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이동 수단(9)의 케이스(98)에 배열되고 실질적으로 미로형 구조(98, 97)를 갖는 격자에서의 도입 영역과 관련되는 다수의 공기 도입부(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연소 클링커의 건조 추출 및 냉각을 위한 시스템(1).
  11. 클링커가 벨트 컨베이어 이동 수단(9)을 기반으로 하고 연소 챔버(100)의 다운스트림에 배열된 건조 추출 유닛 상에 적재되며, 상기 연소 챔버(100)의 방향으로 상기 이동 수단(9)를 따라 반대방향(countercurrnt)에서 도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함에 의하여 냉각되고,
    상기 연소 챔버(100)도 도입되는 상기 냉각 공기의 양의 제어가 수행되고, 상기 제어는 상기 이동 수단(9)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클링커 이동 부분과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다수의 밀봉 부재의 수단에 의하여 얻어지는 미로형(labyrinth-type) 밀봉에 의하여 야기되는 제어된 부하 손실에 따라 수행되며, 상기 부재 각각은 이동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에서 전개되는, 소각로 연소 클링커의 건조 추출 및 냉각을 위한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는 상기 연소 챔버(100)의 보일러 영역의 다운스트림에 연속하는 상기 밀봉 부재(92)의 다운스트림에 배열된 상기 이동 수단(9)의 영역과의 선택적 연결이 되게 함에 의하여 또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연소 클링커의 건조 추출 및 냉각을 위한 방법.
  13.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연소 챔버(100)의 상기 보일러 영역 다운스트림으로 도입되는 상기 공기 흐름의 제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연소 클링커의 건조 추출 및 냉각을 위한 방법.
  14. 청구항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공기의 도입은 실질적으로 미로형 구조(96, 97)을 갖는 이동 수단(9)의 하나 이상의 도입 영역에 의하여 상기 이동 수단(9)의 케이스(98)에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연소 클링커의 건조 추출 및 냉각을 위한 방법.
KR1020097026532A 2007-05-21 2008-05-07 연소 챔버에서 도입 공기의 제어를 통한 불균질 물질 회분의 건조 추출/냉각을 위한 시스템 KR20100029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277A ITRM20070277A1 (it) 2007-05-21 2007-05-21 Sistema di estrazione/raffreddamento a secco di ceneri di materiali eterogenei con il controllo del rientro di aria in camera di combustione.
ITRM2007A000277 2007-05-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770A true KR20100029770A (ko) 2010-03-17

Family

ID=40032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6532A KR20100029770A (ko) 2007-05-21 2008-05-07 연소 챔버에서 도입 공기의 제어를 통한 불균질 물질 회분의 건조 추출/냉각을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00206203A1 (ko)
EP (1) EP2156098A2 (ko)
JP (1) JP2010528249A (ko)
KR (1) KR20100029770A (ko)
AU (1) AU2008252503A1 (ko)
CA (1) CA2687279A1 (ko)
EA (1) EA200901566A1 (ko)
IT (1) ITRM20070277A1 (ko)
WO (1) WO200814259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8603A (zh) * 2010-05-20 2010-10-13 杭州华源电力环境工程有限公司 带风门自动调节装置的干渣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83941A1 (pl) * 2007-12-03 2009-06-08 Witold Kowalewski Kocioł rusztowy, sposób modernizacji kotła rusztowego oraz sposób likwidowania szkodliwych przedmuchów powietrza, nie biorącego udziału w procesie spalania w kotle rusztowym
IT1396049B1 (it) * 2009-09-24 2012-11-09 Magaldi Ind Srl Sistema di estrazione e trasporto di ceneri leggere mediante trasportatore a nastro in acciaio.
CN102032583A (zh) * 2009-09-29 2011-04-27 克莱德贝尔格曼干燥控制有限公司 用于对热材料进行输送、冷却和能量回收的方法和装置
DE102010024020B4 (de) * 2010-06-16 2019-08-01 Clyde Bergemann Drycon Gmbh Fördermittel und Verfahren zum Fördern von heißem Material
DE102010033307A1 (de) * 2010-08-04 2012-02-09 Clyde Bergemann Dryco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Nachverbrennen von heißem Material auf einem Förderer
IT1405071B1 (it) * 2011-01-21 2013-12-16 Magaldi Power Spa Impianto e metodo di estrazione e raffreddamento di ceneri con incremento dell'efficienza complessiva di caldaia.
ITRM20120351A1 (it) 2012-07-20 2014-01-21 Magaldi Ind Srl Impianto di trasporto a secco di scorie e/o materiali eterogenei.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423A (en) * 1908-04-27 1909-08-10 George J Slaline Smoke-consuming furnace.
US2031047A (en) * 1932-02-13 1936-02-18 Harry S Le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reating, and cooling cement clinkers
US1941560A (en) * 1932-02-13 1934-01-02 Harry S Lee Cement clinker cooling chamber or the like
US2014941A (en) * 1932-02-13 1935-09-17 Harry S Lee Closure apparatus for treatment chambers
US2468415A (en) * 1945-08-17 1949-04-26 Daniel E Stair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urning coal
US2493960A (en) * 1945-12-11 1950-01-10 Charles S Gladd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rning fine solids
US2857182A (en) * 1955-05-31 1958-10-21 Gen Motors Corp Shaft seal
US3314666A (en) * 1964-11-10 1967-04-18 Cyprus Mines Corp Fast fire tunnel kiln
US3606288A (en) * 1970-02-02 1971-09-20 Allegheny Ludlum Steel Furnace seal
JPS5527022B2 (ko) * 1972-09-04 1980-07-17
JPS532646B2 (ko) * 1974-09-30 1978-01-30
US4060041A (en) * 1975-06-30 1977-11-29 Energy Products Of Idaho Low pollution incineration of solid waste
US4325478A (en) * 1976-09-02 1982-04-20 Societe d'Applications de Procedes Industriels et Chimiques Transport belt intended for transporting products at a high temperature, and a transport means equipped with this belt
US4094626A (en) * 1976-11-23 1978-06-13 Fuller Company Apparatus for producing cement clinker
US4109590A (en) * 1976-12-03 1978-08-29 Mansfield Carbon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gas
US4263857A (en) * 1979-01-05 1981-04-28 Dravo Corporation Traveling grate stoker for the combustion of difficultly ignited fuels
US4474010A (en) * 1980-02-15 1984-10-02 Sumitomo Semento Kabushiki Kaisha Method of recovering exhaust gas from boiler in electrical 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combustible material as fue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uch method
US4419834A (en) * 1980-08-11 1983-12-13 Proctor & Schwartz Treating fluidized material
SE8101498L (sv) * 1981-03-10 1982-09-11 Megaron Hb Anordning for eldning av fasta brenslen
FR2513622A1 (fr) * 1981-09-28 1983-04-01 Fives Cail Babcock Procede et appareil pour la calcination des matieres minerales en poudre, notamment en cimenterie
US4475468A (en) * 1983-05-16 1984-10-09 Ishikawajima-Harima Jukogyo Kabushiki Kaisha Incinerator with moving-bed stoker
CA1252356A (fr) * 1983-11-09 1989-04-11 Michel F.E. Couarc'h Procede et dispositif de reinjection de particules envolees dans une chaudiere a combustible solide
US4532872A (en) * 1984-12-17 1985-08-06 Combustion Engineering, Inc. Char reinjection system for bark fired furnace
IT1188247B (it) * 1986-01-10 1988-01-07 Magaldi Mario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estrazione continua a secco di ceneri pesanti
US4723494A (en) * 1987-01-12 1988-02-09 Anclif Equities Inc. Incinerator discharge systems
US4981111A (en) * 1989-11-28 1991-01-01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reactor with fly ash recycle
IT1241408B (it) * 1990-03-02 1994-01-14 Mario Magaldi Sistema di scarico delle ceneri pesanti da caldaie per la produzione di vapore
US5175943A (en) * 1990-05-23 1993-01-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olids feed system and method for feeding fluidized beds
US5239935A (en) * 1991-11-19 1993-08-31 Detroit Stoker Company Oscillating damper and air-swept distributor
US5472720A (en) * 1992-06-17 1995-12-05 Mitec Scientific Corporation Treatment of materials with infrared radiation
WO1994009332A1 (en) * 1992-10-16 1994-04-28 Nippon Steel Corporation Scrap conveyor
US5500195A (en) * 1992-11-13 1996-03-19 Foster Wheeler Energy Corporation Method for reducing gaseous emission of halogen compounds in a fluidized bed reactor
WO1994029229A1 (en) * 1993-06-03 1994-12-22 Volume Reduction Systems, Inc. Preparation of free-flowing solids from aqueous waste
IT1276747B1 (it) * 1995-06-19 1997-11-03 Magaldi Ricerche & Brevetti Estrattore/raffreddatore di materiali sfusi
US5651191A (en) * 1995-07-28 1997-07-29 Wolverine Corporation Material treatment system
DE19650119C1 (de) * 1996-12-03 1998-02-26 Martin Umwelt & Energiete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nutzbarem Gas aus Abfallstoffen
IT1298162B1 (it) * 1998-01-15 1999-12-20 Magaldi Ricerche & Brevetti Apparecchiatura e metodo per la postcombustione di ceneri pesanti ad alto contenuto di incombusti
EP1146021A1 (en) * 2000-03-27 2001-10-17 ALSTOM Power N.V. Method of producing steam and calcined raw meal
ITMI20020353A1 (it) * 2002-02-21 2003-08-21 Magaldi Ricerche & Brevetti Estrattore/raffreddatore di materiali sfusi mediante l'utilizzo di unmezzo di nastro trasportatore dotato di piastre forate e provviste di
ITMI20020744A1 (it) * 2002-04-09 2003-10-09 Magaldi Ricerche & Brevetti Trasportatore raffreddore ad aria ed acqua di materiali caldi sfusi
DE102004003068A1 (de) * 2004-01-21 2005-08-11 Khd Humboldt Wedag Ag Zementklinkerherstellung mit Teilstromabzug schadstoffhaltigen Drehofenabgases
ITMI20040225A1 (it) * 2004-02-12 2004-05-12 Magaldi Ricerche & Brevetti S R L Dispositivo di pre-frantumazione per un trasportatoe raffreddatore di materiali caldi sfusi caldi
US7559725B2 (en) * 2005-11-14 2009-07-14 General Kinematics Corporation Conveyor for and method of conveying heated materi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8603A (zh) * 2010-05-20 2010-10-13 杭州华源电力环境工程有限公司 带风门自动调节装置的干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RM20070277A1 (it) 2008-11-22
CA2687279A1 (en) 2008-11-27
WO2008142594A2 (en) 2008-11-27
EA200901566A1 (ru) 2010-04-30
AU2008252503A1 (en) 2008-11-27
JP2010528249A (ja) 2010-08-19
EP2156098A2 (en) 2010-02-24
US20100206203A1 (en) 2010-08-19
WO2008142594A3 (en) 200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9770A (ko) 연소 챔버에서 도입 공기의 제어를 통한 불균질 물질 회분의 건조 추출/냉각을 위한 시스템
KR970011015B1 (ko) 증기생산 보일러의 바닥재(bottom ash) 배출시스템
AU2006203642B2 (en) Dry slag discharge device for coal-fired boiler
USRE34814E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dry removal of bottom ash
US4048927A (en) Plant for burning waste
CN104736673A (zh) 焦化成套设备自动气流控制系统
EP24836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veyance, cooling and energy recuperation of hot material
US3267890A (en) Municipal incinerator
WO2005078346A1 (en) Pre-crushing device for a conveyor/cooler of hot loose materials
EP2480830A2 (en) System for extraction and transport of light ashes by means of a steel belt conveyor
AU2006203646B2 (en) Dry slag discharge device for coal-fired boiler
US3741133A (en) Transportable incineration system
US20130245353A1 (en) Dry ash collector
RU94972U1 (ru) Печь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плавки материалов в шлаковом расплаве
JPS596691B2 (ja) 異物排出方法
US7077888B2 (en) Device for separating dust from flue gases from combustion plants, especially solid fuel combustion plants
CN114877663A (zh) 一种焚烧炉炉渣烘干系统
RU2253797C1 (ru) Теплогенератор
WO2023026370A1 (ja) 汚泥焼却システム及び汚泥焼却方法
CN213362513U (zh) 一种除渣系统
CN109899807B (zh) 一种采用立式焚烧炉的垃圾焚烧系统
CN113227695B (zh) 烧结机
CN106032897B (zh) 一种无烟锅炉
JPS625221Y2 (ko)
JPH11337025A (ja) ストーカ式焼却炉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