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9026A -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9026A
KR20100029026A KR1020090075671A KR20090075671A KR20100029026A KR 20100029026 A KR20100029026 A KR 20100029026A KR 1020090075671 A KR1020090075671 A KR 1020090075671A KR 20090075671 A KR20090075671 A KR 20090075671A KR 20100029026 A KR20100029026 A KR 20100029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virtual keyboard
keys
layou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흉 체 치우
Original Assignee
미테이크 인포메이션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테이크 인포메이션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미테이크 인포메이션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29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터치스크린제어식 전자장치에 이용되며, 하나의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하나의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및 하나의 메모리블록을 포함한다.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은 하나의 전통 레이아웃 전환키 및 복수개의 보류키를 포함하며, 보류키는 키부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되고 전통 레이아웃 전환키는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에서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으로 전환하는데 사용된다.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은 적어도 하나의 심플형 레이아웃 전환키 및 복수개의 키문자 입력키를 포함하며, 심플형 레이아웃 전환키는 심플형 가상 전통 레이아웃으로 전환하는데 사용되고, 키문자 입력키는 키문자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메모리블록은 사용자가 마지막에 입력한 키문자나 사용자가 정의한 키문자를 기억하는데 사용된다. 메모리블록에 저장된 키문자는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의 보류키에 반영되어 키문자와 숫자키가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에 공존하게 되어 사용자가 메모리블록에 있는 임의의 키문자를 신속하게 읽어낼수 있게 한다.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메모리블록

Description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ON-SCREEN VIRTUAL KEYBOARD SYSTEM}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제어식 전자장치의 가상키보드시스템 및 그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블록 기능을 갖춘 가상키보드 시스템 및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자체 정의한 상용 영문자나 마지막 몇 회에 사용한 영문자를 기억하여 사용자가 특정 데이터 입력 시 전환 절차를 줄여주어 입력절차를 간략하게 해준다.
모바일 터치 스크린식 전자장치(mobile touch screen operated electronic device)는 일반적으로 내장키(built-in)가 없는 물리키보드(physical keyboard)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크린 상의 가상키보드(on-screen virtual keyboard / on-screen keyboard, 또는 소프트웨어 키보드 software keyboard)를 클릭하여 정보를 조작, 입력(key in)해야만 한다. 전자장치는 스크린이 작기 때문에 키(영문자, 숫자, 문장부호, 주음부호, 연산부호, 기능보조키…등)를 가상키보드 레이아웃(virtual keyboard layout)에 동시에 표시할 수 없어 각종 부호 및 연산부호키를 분류한 후 복수개의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에 배열하게 된다. 사용자는 각기 다른 키보드 레이아웃 간의 전환을 통해 모든 키의 사용을 확보할 수 있다. 가상키 보드 레이아웃은 그것이 포함하는 키유형에 따라 숫자키보드 레이아웃(numeric keyboard layout), 숫자와 부호조합키보드 레이아웃(numeric and symbolic keyboard layout), 영문자키보드 레이아웃(alphabetic character keyboard layout), 영문자와 숫자조합키보드 레이아웃(alphanumeric keyboard layout), 영문자와 부호조합키보드 레이아웃(alphabetic character and symbolic keyboard layout), 부호키보드 레이아웃(symbolic keyboard layout), 주음부호 키보드 레이아웃(phonetic symbol keyboard layout)이나 기타 중문입력키보드 레이아웃(예 창제입력기)…등과 대소문자 전환키(56)(Shift키), 탭키(54)(Tab키), 컨트롤키(58)(Control/Ctrl키), 백스페이스키/삭제키(62)(Backspace키), 방향키(52), 엔터키(60)(Enter키), Esc키(취소키) 기능보조키와 조합하여 사용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마이크로소프트 Windows Mobile운영체제의 개인휴대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운영을 예로 들어 응용프로그램화면(30)으로 종래기술에서 자주 사용되는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을 설명하고 있으며 응용프로그램화면(30)에서 표시/숨기기키(32)를 누르면 응용프로그램화면(30)에 가상키보드 레이아웃(34), (36), (38), (40)이 표시된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1 내지 도 4의 키보드 레이아웃의 확대예시도이다. 종래기술에서 터치스크린식 전자장치의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은 사용자가 각기 다른 키보드 레이아웃을 전환해야 하는 조작불편을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키를 축소시켜 키보드레이아웃에 보다 더 많은 키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반적인 가상키보드 레이아웃(34), (36), (38), (40)은 숫 자키에 영문소문자키(66)와 상용부호키(68)의 조합(도 1 내지 도 5 예시), 영문대문자키(72)에 상용부호키(68)의 조합(도 2 내지 도 6 예시), 숫자키(64)와 부호키(70)의 조합(도 3 내지 도 7 예시), 주음부호키와 상용부호키(68)의 조합(도 4 내지 도 8 예시)등의 조합이다. 키보드레이아웃에 조합된 버튼이 많아질수록 각 키의 표시면적은 작아지게 되고 인접한 키와의 거리가 더 가까워진다. 그래서 사용자가 터치펜이 아닌 손가락으로 조작할 경우, 다른 인접한 키를 누를 가능성이 매우 크며 이점이 바로 종래기술의 터치스크린식 전자장치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의 단점이다. 만약 키보드의 표시화면을 확대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손가락으로 터치제어할 수 있게 하려면, 즉 각 키보드 레이아웃이 포함하는 키의 수를 줄이고 사용자의 각기 다른 키보드레이아웃 간의 전환빈도를 늘려야 되는데 이 역시 사용자의 조작에 불편을 야기하게 되어 또 다른 단점이 된다.
사용자가 숫자와 소수의 상용 영문자만 입력할 필요가 있을 경우, 예를 들어 웹페이지 상에 주민등록증번호, 로그인 아이디나 비밀번호를 입력할 경우, 종래기술의 가상키보드 입력방식은 두 종류가 있는데, 1) 숫자와 영문자키를 조합사용하는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은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을 전환할 필요가 없이 동일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에서 영문숫자조합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지만 영문자는 대/소문자를 전환해야 한다. 2) 숫자키와 영문자키가 분류된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을 사용할 경우, 키보드레이아웃을 전환해야만 영문숫자조합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영문자 대/소문자를 반드시 전환해야 한다.
도 9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영문숫자조합데이터 "A1b2C" 입력을 예로 들면, 종래의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은데, 1) 입력기능을 켜서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을 표시하고, 2) 대소문자 전환키(56)를 눌러 영문대소문자를 전환하고, 3) "A" 를입력하고, 4) "1"을 입력하고, 5) "b" 를 입력하고, 6) "2"를 입력하고, 7) 대소문자 전환키(56)를 눌러 영문대소문자를 전환하고, 8) "C"를 입력한다. 이로써 알수 있듯이, 종래 숫자키와 영문자키가 조합된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을 사용하게 되면 숫자와 영문자키를 전환하지 않아도 되지만 짧은 영문숫자조합데이터 "A1b2C"를 입력할 경우 여전히 8개 단계(전환회수는 입력한 데이터에 따라 결정)를 조작해야 한다.
사용자가 주민등록증번호, 아이디, 비밀번호의 세가지유형의 짧은 영/숫자조합데이터를 자주 입력하는 경우 만약 입력한 데이터에 포함된 영문자 길이가 일반적으로 1개에서 6개(예를 들면, 주민등록증번호에는 단지 한 개의 영문자만 포함)라면 비록 1개나 6개의 영문자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키라도 상기 종래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의 번거로운 조작을 줄일 수 없다.
도 10은 종래기술에서의 전자장치의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의 조작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Windows Mobile운영체제로 운영되는 PDA를 예로 들면, PDA는 사용자가 스크린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의 표시/숨기기키(32)를 클릭한 후, 스크린에 기본키(default)의 가상키가 표시된다(S1). 이어서 가상키보드 레이아웃(34)이 사용자가 키보드에 입력한 키정보의 수신을 대기한다(S2). 이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키가 영문/부호/주음/전각 전환키(42), (44), (46), (48)인지를 판단한다(S3). 만약 "예"이면 스크린에 표시된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을 영문/부호/주음/전 각으로 변경하고 순서S2로 건너뛰어 다시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한다(S2). 만약 순서S3에서 키가 영문/부호/주음/전각 전환키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다음 순서로 진입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것이 기능보조키(예, 대소문자전환키(56), 탭키(54), 컨트롤키(58), 백스페이스/삭제키(62), 방향키(52), 엔터키(60))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5). 만약 순서S5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기능보조키가 아니라고 판단할 경우(즉 숫자/문자/부호)에는 스크린에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표시하고(S6)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키가 "A" 라고 하면, 스크린에 "A" 가 표시되고 다시 다음 절차에 진입하여 사용자가 계속 입력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7).
순서S7에서 만약 사용자가 계속 입력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조작이 종료된다. 만약 순서S7에서 사용자가 계속 입력할 것이라고 판단하면 다음 순서S1로 진입하고 계속해서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을 표시한다(S1).
순서S5에서 만약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기능보조키라고 판단할 경우, 해당 기능보조키의 작업을 실행하는데(S8), 예를 들어 입력한 키가 백스페이스/삭제키(62)라면 스크린에 표시된 마지막 숫자/문자/부호가 삭제되고, 만약 입력한 키가 엔터키(60)인 경우 스크린은 행을 바꾸거나 프로그램에서 미리설정된 키를 선택하게 된다. 기능보조키 실행 종료 후 다시 순서S7에 진입하여 사용자가 계속 입력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만약 "아니오"라면 종료되고 "예"인 경우 다시 순서S1로 돌아가게 된다.
상기 도면은 마이크로소프트 Windows Mobile운영체제로 운영되는 PDA를 예로 든 것이다. 기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다른 버전의 터치스크린식 전자 장비를 운영할 경우 외관이 다른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예를 들면,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은 각 키보드타입조합, 각 키보드 위치배치를 가짐)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그 단점도 모두 상기 내용과 일치하며, 키메모리기능이 없다면 화면에 키가 너무 많아 키면적이 작아져서 사용에 불편을 야기하게 된다.
상기 종래기술의 전자장치의 가상키보드조작흐름으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가상키보드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정보를 기억하지 않기에 영문숫자조합데이터 입력 시, 반드시 각기 다른 키보드레이아웃 간을 반복 전환해야 되기에 조작흐름이 복잡해지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키보드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체 정의한 상용 영문자키나 사용자가 마지막 몇 차례 입력한 영문자키를 기억하고 키보드 레이아웃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다음번 사용 시 이미 기억된 키를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키보드레이아웃의 전환회수 및 영문대/소문자 전환회수를 줄여 사용자가 주민등록증번호, 아이디, 비밀번호와 같은 짧은 영/숫자조합데이터를 신속하게 입력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크린 가상키보드시스템을 제공하여 터치스크린제어식 전자장치에 이용되며, 하나의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하나의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및 하나의 메모리블록을 포함한다.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은 하나의 전통 레이아웃 전환키 및 복수개의 보류키를 포함하며, 보류키는 키부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되고 전통 레이아웃전환키는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에서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으로 전환하는데 사용된다.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은 적어도 하나의 심플형 레이아웃 전환키 및 복수개의 키문자 입력키를 포함하며, 심플형 레이아웃 전환키는 심플형 가상 전통 레이아웃으로 전환하는데 사용되고, 키문자 입력키는 키문자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메모리블록은 사용자가 마지막에 입력한 키문자나 사용자가 정의한 키문자를 기억하는데 사용된다. 메모리 블록에 저장된 키문자는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의 보류키에 반영되어 키문자와 숫자키가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에 공존하게 되어 사용자가 메모리블록에 있는 임의의 키문자를 신속하게 읽어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은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이 보류키(영문자키) 및 조합사용되는 숫자기능보조키만을 포함하므로 모든 키를 표시할 필요가 없어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에 설치된 키의 수를 대폭 줄여 키의 면적을 확대시켜 터치펜으로 조작하지 않고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사용자와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가 모두 확대된 키를 쉽게 클릭할 수 있도록 하여 인접한 다른 키를 잘못 누르는 일이 없도록 한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일종의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으로서 터치스크린식 전자장치에 이용되며, 이러한 터치식 전자장치는 휴대폰(Cell Phone), 개인휴대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증권PDA(Financial/Stock PDA) 및 모니터가 7인치 이하인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 울트라 모바일PC(Ultra-Mobile PC,UMPC)일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터치스크린식 전자장치는 마이크로소프트 Windows Mobile운영체제로 운영되는 PDA를 예로 들어 응용프로그램에 운영된 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화면(30)에 표시하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의 스크린 가상키보드시스템은 하나의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 이아웃(88)과 적어도 하나의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150), (152), (154), (156)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88)과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150), (152), (154), (156)사이에서 전환을 통해 사용할수 있다. 특수한 입력 요구하에서는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88)이 신속한 입력요구를 만족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입력요구하에서는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150), (152), (154), (156)이 전체 입력부호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일반적인 문자입력작업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1은 첫번째 실시예의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을 전자장치의 터치스크린에 표시한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이고, 도12는 도11의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88)의 확대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150), (152), (154), (156)의 확대도로, 각기 다른 부호 조합의 전환이며, 도 13에서 예시한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150)은 영문소문자와 아라비아숫자의 입력에 사용되고, 도 14에서 예시한 전통 가상 키보드 레이아웃(152)는 영문대문자와 반각문자부호의 입력에 사용되고, 도 15에서 예시한 전통 가상 키보드 레이아웃(154)은 아라비아숫자, 연산부호와 전각부호의 입력에 사용되고, 도 16에서 예시한 전통 가상 키보드 레이아웃(156)은 중문입력에 사용된다.
도 11 및 도 1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88)은 복수개의 숫자키(64), 하나의 스페이스바키(50), 하나의 엔터키(60)(Enter키), 하나의 백스페이스/삭제키(62)(Backspace키), 복수개의 보류키, 하나의 전통 레이아웃 전환키(92) 및 하나의 메모리키(94)를 포함한다.
숫자키(64)는 10개로 0-9를 포함한다. 보류키는 고정수량을 갖고 있으며 첫번째 실시예에서 보류키의 수는 8개로 모두 영문자키(90)이므로 첫번째 실시예의 보류키는 영문자입력에 사용되지만, 보류키는 영문자키(90)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임의의 키가 될 수 있다. 또한 첫번째 실시예에서 밝힌 보류키 수는 8개이지만 실제 설계된 보류키수는 8개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량을 변경할 수 있다. 다만, 보류키의 수량이 너무 많아 다른 키가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88)에 표시되지 못하게 되거나 수량이 너무 많아 키표시 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피면하기 위해, 보류키 수량이 10개를 넘어서는 안된다. 전통 레이아웃 전환키(92)는 사용자가 필요할 경우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150), (152), (154), (156)으로 전환하는데 사용되고, 메모리키(94)는 사용자가 시스템을 설정모드로 전환하는데 사용되고 영구기억할 필요가 있는 메모리키를 자체 정의하게 된다.(상용 영문자)
도 11 및 도 1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첫번째 실시예의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88)은 최초 가동 시, 보류키로 미리설정한 8개 영문자키(90)로 표시되며 그에 상응하는 영문자는 4개의 소문자(a, b, c, d)와 4개 대문자(A, B, C, D)를 포함한다. 또한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88)은 사용자기 사용하는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150), (152), (154), (156)과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88)의 히스토리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마지막에 입력한 8개의 영문자를 기록해 영문키(90)에 대응하는 영문자로 변경시켜준다. 즉,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터치스크린식 전자장치를 조작함에 따라 8개 영문자키(90)는 대응하는 키부호를 끊임없이 변경시켜 사용자가 마지막에 입력한 8개의 키문자(영문자)에 대응하도록 한다.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은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사용한 키문자를 기억하는것 외에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용 키문자(영문자)를 직접 기록하여 영문자키(90)중에 최소 하나는 사용자가 자체 정의한 영문자가 되게 할수 있다. 사용자는 메모리키(94)를 눌러 한개의 영문키를 상용하는 영문자에 대응하게 할수 있으며, 이 경우 나머지 7개 키가 사용자가 마지막에 입력한 7개 알파벳을 기억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두 개의 상용 영문자키를 정의하면 나머지 6개 키가 사용자가 마지막에 입력한 6개 알파벳을 기억하는데 사용되며 나머지는 이로써 유추할 수 있다.
도 17, 도 18, 도 19는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스크린 가상키보드 입력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심플형 영문숫자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의 조작 주 흐름도이고, 도 18는 메모리키(94)의 조작흐름도이고, 도 19는 전통 레이아웃 전환키(92)로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으로 전환하는 조작흐름도이다.
도 17의 주 흐름 시작(S10)후,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식 전자장치의 스크린 가상키보드의 표시/숨기기키(32)를 클릭하면 터치스크린식 전자장치는 도 11에서 예시한 표시화면과 같이 스크린에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을 표시하게 된다(S11).
따라서, 터치스크린식 전자장치는 사용자가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88)에서 입력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12).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수신한 후, 프로그램은 해당 입력키가 전통 가상키보드 전환키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13).
만약 순서S13에서 "예"로 판단하면, 도 19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전통 가상 키보드 레이아웃 전환키 흐름으로 건너뛰게 된다(S30). 만약 순서 S13에서 "아니오"로 판단하게 되면 계속해서 입력키가 메모리키(94)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14).
만약 순서S14에서 입력키가 메모리키(94)라고 판단하게 되면 메모리키 흐름(S20)으로 건너뛰게 되는데 도 18에서 예시된 흐름과 같다. 만약 순서S14에서 입력키가 메모리키(94)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계속해서 해당 입력키가 기능보조키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15).
만약 순서S15에서 입력키가 기능보조키라고 판단하게 되면 기능보조키의 작업을 실행한다(S152). 기능보조키는 엔터키(60)(Enter), 백스페이스/삭제키(62)(Backspace), 스페이스바(50)을 포함한다. 엔터키(60)의 작업실행은 스크린에 행 바꿈을 표시하거나 프로그램의 기본설정키(default button)를 선택하고, 백페이스/삭제키 작업은 스크린 상의 커서(cursor)앞의 한 문자를 삭제하게 된다. 순서S152실행 종료 후, 사용자가 계속 입력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을 대기한다.(S18)
순서S15에서 만약 프로그램이 해당 입력키가 기능보조키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계속해서 입력키가 미리 설정된 키문자 입력키인지를 판단하며(S16) 첫번째 실시예에서 키문자 입력키는 영문자키(90)이지만 영문자에만 국한되지는 안된다. 만약 순서S16에서 "예"라고 판단하면 프로그램은 메모리블록의 키문자를 재배열하고(S162) 키문자를 해당 영문자키(90)에 반영하여 스크린에 다시 표시하게 된다(S17). 순서S15에서 만약 프로그램이 입력키가 영문자키(90)가 아니라고 판단하게 되면 입력키는 반드시 숫자키(64)나 스페이스바(50)여야 하며, 이 경우, 프로그 램은 입력키를 스크린 (118) (S17)에 표시하고 순서S18에 진입하여 사용자가 계속 입력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을 대기한다. 사용자가 더 이상 입력하지 않으면 주 흐름은 종료되며 사용자가 계속 입력을 선택하게 되면 순서S11로 되돌아가서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88)을 표시하게 된다.
도 18은 메모리키 흐름도이며, 만약 사용자가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의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88)에서 메모리키(94)를 누르면 이 하위 프로세스가 시작된다(S21).
도 1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우선 스크린에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150), (152), (154), (156)을 표시하고(S22), 이어서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수신한다(S23). 사용자가 입력한 후, 프로그램은 입력키가 대소문자 전환키(56)(Shift)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24). 만약 사용자가 입력한 것이 대소문자 전환키(56)(Shift)라면 영문자 대/소문자를 전환하고(S242), 이어서 도 13 내지 도 1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 상에 표시된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대/소문자를 업그레이드하게 된다(S244). 만약 본래 표시된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이 소문자라면 표시된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을 대문자로 변경한다. 만약 본래 표시된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이 대문자라면 표시된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을 소문자로 변경한다. 순서S244에서 표시된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의 업그레이드를 완료한 후 순서 S23로 되돌아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만약 순서S24에서 입력정보가 대소문자 전환키(56)가 아니라고 판단하게 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영문자키(S25)(소문자(66)이나 대문자(72))로 생성된 키문자인지를 판단한다.
순서S25에서 "아니오"라고 판단하게 되면 순서S22로 되돌아가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을 다시 표시하고(S22),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S23)를 다시 수신하기 때문에, 메모리기능은 사용자가 입력한 대/소 영문자키가 대표하는 키문자만을 기억하게 된다.
만약 순서S25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영문자키(소문자(66)또는 대문자(72))가 생성한 키문자라고 판단하게 되면 입력된 키문자가 이미 메모리블록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사한다(S26). 만약 이미 메모리블록에 저장되어 있다면 메모리블록의 키문자를 재배열한다(S262). 만약 입력한 키문자가 메모리블록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키문자를 메모리블록에 저장하고(S264), 이어서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88)의 키를 업그레이드하여 스크린에 표시하고(S28), 다시 주 흐름으로 되돌아간다(S10).
도 19는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전환키 흐름도이다. 도 1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가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의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88)에서 전통 가상키보드의 전통 레이아웃 전환키(92)를 누르면 전통 가상키보드 전환 흐름(S30)이 시작되고,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S31)을 바로 표시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S32)를 수신하고 입력정보를 통해 영문/부호/주음/전각 전환키인지를 판단한다(S33).
만약 순서S33에서 "예"라고 판단하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영문/부호/주음/전 각(S332)으로 변경하고 다시 순서S32로 되돌아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만약 순서S33에서 "아니오"라고 판단하면, 즉 입력한 정보가 영문/부호/주음/전각 전환키가 아니기에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첫번째 실시예의 심플형 레이아웃 전환키(158)인지를 판단한다(S34).
만약 순서S34에서 "예"라고 판단하면 주 흐름S10로 되돌아가게 된다. 만약 순서S34에서 "아니오"라고 판단하면 입력키가 기능보조키인지를 판단한다(S35).
만약 순서S35에서 "예"라고 판단하면 기능보조키 작업을 실행하고(S352), 실행 종료 후 사용자가 계속 입력을 선택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39). 만약 순서S39에서 사용자가 계속 입력할 것이라고 판단하면 순서S31로 되돌아가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을 표시한다. 순서 S39에서는 사용자가 계속 입력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흐름이 종료된다.
순서S35에서 입력키가 기능보조키가 아니라고 판단하게 되면 계속해서 정보가 영문자키인지를 판단한다(S37). 사용자가 입력한 것이 영문자가 아닌 경우 바로 스크린에 입력정보를 표시하게 된다(S384).
사용자가 입력한 것이 영문자키라면 입력한 키문자가 이미 메모리블록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사한다(S372). 입력한 키문자가 이미 메모리블록에 저장되어 있다면 메모리블록을 재배열하고(S374), 입력정보를 스크린에 다시 표시한다(S384). 만약 해당 입력정보가 메모리블록의 새로운 정보에 저장되어 있지 않았으면 정보를 메모리블록에 저장하고(S372),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의 키를 재업그레이드하고(S386), 새로운 키문자를 다시 심플형 가상키보드 보류키(영문자키(90))로 반영 하고 이어서 다시 입력정보를 스크린 상에 표시한다(S384).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계속 입력을 선택할 것인지를 판단하고(S39), 흐름을 종료할 것인지를 결정하거나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을 다시 표시한다(S3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거나 마지막 몇 차례 입력한 키문자를 메모리블록(memory block)에 저장하고 보류키에 반영하여 다음번에 심플형 키보드 레이아웃에서 신속하게 선택하기 쉽도록 하며, 이 메모리블록은 그 안에 있는 저장정보를 영구저장함을 의미하며 저장은 파일(예,프로그램 설정파일)이나 비휘발성 기억장치(NVM,Non-Volatile Memory)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0으로부터 알수 있는 바, 메모리블록에 저장된 키문자는 선입선출법(First-In First-Out,FIFO)에 따라 배열된다. 도 20의 윗부분은 원시 메모리블록이며 그중 8개 메모리셀(memory cell)이 있으며 키문자는 저장순서에 따라 B D g a F C k w이다. 하나의 키문자y를 이 메모리블록에 저장하고자 할 경우, 가장 먼저 메모리블록에 저장된 키문자B를 버려서 공간을 만들어서 그 뒤의 키문자가 차례대로 앞으로 보충되도록 하고 도 20하단에서 예시한 업그레이드 후의 메모리블록과 같이 키문자y는 메모리블록에 저장된다. 이는 도 18과 도 19의 순서S264, S372에서 정보를 메모리블록에 저장하게 하는 것이다. 메모리블록 안에 저장된 키문자는 중복되지 않으나 대소문자가 다른 영문자는 각기 다른 키문자로 간주된다.
도17, 도 18과 도 19의 순서 S162, S262, S374에서는 메모리블록의 키문자를 재배열하는데 상기 순서S264, S372와 같이 키문자를 메모리블록에 저장하는 것과는 달리 순서S264, S372는 저장하려는 새로운 키문자가 메모리블록에 출현한 적이 없 는 것이고 순서S162, S262, S374는 저장하려는 키문자가 메모리블록에 이미 출현한 것임을 나타낸다.
도 21에서, 도 21의 상단은 원시 메모리블록이며, 키문자g는 해당 메모리블록에 저장되지만 해당 메모리블록 위치003에 이미 키문자g가 저장돼 있어 키문자g의 저장작업은 사실 상 메모리블록의 재배열이 되며, 도 21의 업그레이드 후의 메모리블록과 같이, 키문자g는 위치008로 이동하게 되고 업그레이드 후의 메모릭블록과 같이 그 뒤 데이터는 앞으로 보충되고, 위치008의 데이터는 마지막에 사용한 키문자로 생성된 키문자이며 이것이 바로 순서S162, S262, S374가 의미하는 바이다.
본 발명과 종래 스크린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의 조작 흐름의 차이를 한단계 더 이해하기 위해 여기에서는 "A1b2C"를 본 발명 입력흐름의 예로 설명하고 있으며, 종래 스크린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의 조작흐름은 도 9와 종래기술의 설명을 참고하기 바란다.
도 2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의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에 마침 입력하려는 범례"A1b2C"의 어떠한 영문자키도 포함하지 않으며, 이 심플형 키보드 레이아웃이 기억하는 영문자 순서는 w D c W x Y a h로 범"A1b2C"를 입력하는 과정은 도 23과 같고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심플형 영문숫자 가상키보드 표시,
2. 전통 가상키보드 전환키를 눌러 전통 가상키보드로 전환,
3. 대소문자 전환키를 눌러 영문 대문자로 전환,
4. "A"를 입력,
5. "1"을 입력,
6. "b"를 입력,
7. "2"를 입력,
8. 대소문자 전환키를 눌러 영문대문자로 전환,
9. "C"를 입력한다.
종래 가상키보드 조작흐름(도 9참고)와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의 키보드 조작순서(도 23 참고)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비록 최초로 사용하더라도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는 기억된 어떠한 영문키도 없으며, 그 조작은 종래 가상키보드보다 하나의 순서만 더 추가될 뿐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음번 다시 동일한 데이터를 입력해야 할 경우, 전통 가상 키보드로의 전환과 영문대/소문자로의 전환절차를 줄일 수 있다.
도 24는 상기 범례"A1b2C" 입력후의 심플형 키보드 레이아웃 예시도이고, 도 25는 사용자가 도24의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88)으로 동일 범례"A1b2C"를 다시 입력하는 가상키보드 조작흐름도이며, 도 25로부터 동일 범례의 재입력에 단지 6개 절차만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와는 상대적으로 종래기술은 여전히 8개의 절차를 필요로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용 영문자키를 기억한 후 동일 입력작업의 조작흐름을 간략화할 수 있다.
도 26, 도 27과 도 2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예시도이다.
도 26는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의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으로 4개 연산부호(+,-,×,÷)와 소수점 등 모두 다섯 개의 입력키를 추가하고 메모리 블록 의 공간을 줄여 4개 영문자만 수용할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계산기 사용시 편리하게 계산기 키보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세번째 실시예의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으로 소수점과 하나의 설정키(160)를 추가하고 메모리 블록의 공간을 줄여 6개 영문자만 수용할수 있게 한 것이다. 설정키(160)를 누르면 설정화면(미도시)에 진입할 수 있어 사용자가 스스로 메모리블록의 크기를 설정하게 하여 하나의 블록은 메모리키로 사용되고 또 다른 하나의 블록은 사용자가 마지막에 입력한 키문자를 기억하는데 사용된다. 키문자를 생성하는 키문자 입력키는 영문자키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영문자키 이외의 다른 키를 기억하여 키문자 입력키로의 지정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주음부호키, 부호키, 기능보조키와 같은 다른 부호를 채택하여 중문, 다른 외국어문자(전자장치와 그 작업시스템 지원정도에 따라 결정) 등을 키문자로 삼아 보류키에 반영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네번째 실시예의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으로 하나의 설정키(160)를 추가했지만 메모리블록은 여전히 8개 보류키의 입력 메모리를 보류하고 있다.
여기에서 각 실시예를 예시함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서 고정된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실시예에서 고정된 키보드와 키위치, 그리고 실시예에서 고정된 메모리블록의 크기(메모리 입력키는 1개에서 10개 등 서로 다름)에 국한되지 않음을 설명하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든 도면은 실제 비율에 따라 표시된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도에 불과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모리기능을 갖춘 터치스크린식 가상키보드 시스템과 스크린 가상키보드 입력방식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는 주민등록증번호, 아이디, 비밀번호와 같은 자주 사용하는 짧은 영문, 숫자조합데이터를 입력할 때 영문, 숫자조합데이터를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고 상용키를 기록하여 키보드 레이아웃에서 자주 사용하지 않는 키의 수를 줄여 키면적을 대폭 증가시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인접한 키를 잘못 누를 것을 염려하지 않게 된다. 다만, 사용자가 종래의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을 사용하려 할 경우, 습관적인 방식으로도 입력이 가능하며, 본 발명은 종래의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을 완전히 대체하려 한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또 다른 조작에 있어 선택의 여지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아이콘은 마이크로소프트 Windows Mobile운영체제로 운영되는 PDA를 예로 든 것으로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식 전자장치는 이에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며, 터치스크린식 전자장치는 터치스크린 기능이 있는 전자장치(예를 들면 MID, UMPC, PDA, 휴대폰)일수 있으며 운영체제는 임의의 운영체제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터치스크린식 전자장치의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으로 숫자키, 영문소문자키 및 상용부호키를 포함하며;
도 2는 종래 기술의 터치스크린식 전자장치의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으로 영문대문자키 및 상용부호키를 포함하며;
도 3은 종래 기술의 터치스크린식 전자장치의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으로 숫자키 및 부호키를 포함하며;
도 4는 종래 기술의 터치스크린식 전자장치의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으로 주음부호 및 상용부호키를 포함하며;
도 5는 도1의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의 확대 예시도이며;
도 6은 도2의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의 확대 예시도이며;
도 7은 도3의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의 확대 예시도이며;
도 8은 도4의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의 확대 예시도이며;
도 9는 종래 키보드로 입력되는 영문, 숫자조합 데이터 "A1b2C"의 키보드 레이아웃 전환순서 예시도이며;
도 10은 종래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의 조작흐름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의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예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의 확대 예시도이며;
도 13은 전환키를 추가한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으로 영문소문자, 숫자 및 상용부호를 포함하며;
도 14는 전환키를 추가한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으로 영문대문자 및 상용부호를 포함하며;
도 15는 전환키를 추가한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으로 전통 숫자 및 부호를 포함하며;
도 16은 전환키를 추가한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으로 전통 주음부호를 포함하며;
도 17은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의 심플형 영문, 숫자 가상키보드의 조작 주 흐름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의 메모리키의 조작흐름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의 전통 가상키보드 전환키의 조작흐름도이며;
도 20은 정보의 메모리블록 저장 예시도이며;
도 21은 메모리블록의 데이터 재배열 예시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의 메모리블록의 메모리데이터 변경 후의 심플형 영문, 숫자 가상키보드 예시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의 범례"A1b2C"의 입력한 키보드 레이아웃 전환순서 예시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의 범례"A1b2C"를 입력한 키보드 레이아웃의 키 변경 예시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의 범례"A1b2C"를 재입력한 키보드 레이아웃 전환순서 예시도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의 심플형 영문, 숫자 화상키보드로 연산부호 및 소수점을 포함하며;
도 27은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의 심플형 영문, 숫자 가상키보드로 소수점 및 설정키를 포함하며;
도 28은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의 심플형 영문, 숫자 가상키보드로 설정키를 포함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종래기술>
30: 응용프로그램 화면
32: 스크린 가상키보드 표시/숨기기키
34: 영문소문자, 숫자 및 상용부호를 포함한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36: 영문대문자 및 상용부호를 포함한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38: 숫자 및 부호를 포함한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40: 주음부호를 포함한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42: 주음부호 가상키보드 전환키 44: 영문 가상키보드 전환키
46: 부호 가상키보드 전환키 48: 전각 전환키
50: 스페이스바 52: 방향키
54: 탭키 56: 대소문자 전환키
58: 컨트롤키 60: 엔터키
62: 백스페이스/삭제키 64: 숫자키
66: 영문소문자키 68: 상용부호키
70: 부호키 72: 영문대문자키
<본 발명의 실시예>
30: 응용프로그램 화면 32: 표시/숨기기키
50: 스페이스바 60: 엔터키
62: 백스페이스/삭제키 64: 숫자키
88: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90: 영문자키
92: 전환키 94: 메모리키
150, 152, 154, 156: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Claims (10)

  1.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전환키와 복수개의 보류키를 포함하며, 상기 보류키가 키문자의 생성에 사용되는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적어도 하나의 심플형 레이아웃 전환키 및 복수개의 키문자 입력키를 포함하며, 상기 심플형 레이아웃 전환키는 심플형 가상 전통 레이아웃으로 전환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키문자 입력키는 키문자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의 전통 레이아웃 전환키는 상기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으로 전환하는데 사용되는 전통 가상키보드 레이아웃; 및
    최종 입력된 키문자를 기억하는데 사용되는 하나의 메모리블록을 포함하는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으로서,
    상기 메모리블록에 저장된 키문자는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의 보류키에 반영되어 사용자가 상기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으로부터 상기 메모리블록의 임의의 키문자를 신속하게 읽어낼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식 전자장치에 이용되는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블록의 작업모드를 전환하는데 사용되고, 사용자가 입력한 키문자를 기억하여 사용자가 자체 정의한 키문자로 하는 하나의 메모리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류키의 수량이 10개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블록에 저장된 키문자가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블록에 저장된 마지막에 입력한 키문자를 선입선출법에 따라 배열하고, 상기 메모리블록에 가장 먼저 저장된 키문자를 버리고 그 뒤의 키문자를 순서에 따라 앞으로 보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마지막으로 입력한 키문자가 이미 상기 메모리블록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메모리블록의 키문자는 재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블록에 저장된 키문자는 영문자이며, 상기 영문자는 대, 소문자를 구분하여 각각 다른 부호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플형 가상키보드 레이아웃은 복수개의 숫자키, 하 나의 엔터키, 하나의 스페이스바와 하나의 백스페이스(삭제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블록은 사용자가 자체 정의한 키문자를 기억하며, 상기 메모리블록에 저장된 키문자수와 상기 보류키 수는 서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마지막에 입력한 키문자수와 사용자가 자체 정의한 키문자수를 변경하는데 사용되는 하나의 설정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
KR1020090075671A 2008-09-05 2009-08-17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 KR201000290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7134267A TWI360762B (en) 2008-09-05 2008-09-05 On-screen virtual keyboard system
TW097134267 2008-09-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026A true KR20100029026A (ko) 2010-03-15

Family

ID=40996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671A KR20100029026A (ko) 2008-09-05 2009-08-17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060585A1 (ko)
EP (1) EP2163973A2 (ko)
JP (1) JP2010061656A (ko)
KR (1) KR20100029026A (ko)
TW (1) TWI360762B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5199A2 (en) * 2010-11-30 2012-06-07 Cleankeys Inc. Multiplexed numeric keypad and touchpad
US9069390B2 (en) 2008-09-19 2015-06-30 Typesoft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surface sanitation
US9104260B2 (en) 2012-04-10 2015-08-11 Typesoft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press on a touch-sensitive surface
US9110590B2 (en) 2007-09-19 2015-08-18 Typesoft Technologies, Inc. Dynamically located onscreen keyboard
US9454270B2 (en) 2008-09-19 2016-09-2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press on a touch-sensitive surface
US9489086B1 (en) 2013-04-29 2016-11-08 Apple Inc. Finger hover detection for improved typing
US10126942B2 (en) 2007-09-19 2018-11-13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press on a touch-sensitive surface
US10203873B2 (en) 2007-09-19 2019-02-12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ly presenting a keyboard on a touch-sensitive display
US10289302B1 (en) 2013-09-09 2019-05-14 Apple Inc. Virtual keyboard ani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36967A1 (en) * 2000-01-27 2022-07-28 Aidin NASIRISHARGH Virtual keyboard for writing programming codes in electronic device
US10133479B2 (en) * 2007-07-07 2018-11-20 David Hirshberg System and method for text entry
US20120075193A1 (en) * 2007-09-19 2012-03-29 Cleankeys Inc. Multiplexed numeric keypad and touchpad
US8015232B2 (en) * 2007-10-11 2011-09-06 Roaming Keyboards Llc Thin terminal computer architecture utilizing roaming keyboard files
US9092134B2 (en) * 2008-02-04 2015-07-28 Nokia Technologies Oy User touch display interface providing an expanded selection area for a user selectable object
KR101115467B1 (ko) * 2009-09-30 2012-02-24 주식회사 팬택 가상 키보드 제공 단말 및 그 방법
JP5211019B2 (ja) * 2009-11-26 2013-06-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電子機器
KR20110064629A (ko) * 2009-12-08 201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보조키맵 운용 방법 및 장치
US20110223567A1 (en) * 2010-02-03 2011-09-15 Kai Staats Language and communication system
US8327296B2 (en) 2010-04-16 2012-12-04 Google Inc. Extended keyboard user interface
US20110260977A1 (en) * 2010-04-23 2011-10-27 Psion Teklogix Inc. Keyboard and computing device for providing a software input panel
TWI468986B (zh) * 2010-05-17 2015-01-11 Htc Corp 電子裝置、其輸入方法與電腦程式產品
CN101853103A (zh) * 2010-06-03 2010-10-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虚拟键盘的实现方法及装置
US8462131B2 (en) * 2010-06-23 2013-06-11 John CHACHO Electronic device having virtual keyboard with predictive key and related methods
CN102339199B (zh) * 2010-07-23 2016-04-27 深圳市世纪光速信息技术有限公司 输入法切换的方法及装置
KR101044320B1 (ko) * 2010-10-14 2011-06-29 주식회사 네오패드 가상 키입력수단의 배경화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501161B2 (en) 2010-10-22 2016-11-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character input
TWI464635B (zh) * 2010-12-13 2014-12-11 Inventec Corp 手持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EP2487577A3 (en) * 2011-02-11 2017-10-11 BlackBerry Limited Presenting buttons for controlling an application
CA2830034C (en) 2011-03-14 2020-07-07 Super Derivatives, Inc. Context-based keyboard
TWI505173B (zh) * 2011-04-01 2015-10-21 Fih Hong Kong Ltd 提高手持裝置觸碰鍵盤辨識率的系統和方法
JP5544335B2 (ja) * 2011-07-26 2014-07-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8856674B2 (en) * 2011-09-28 2014-10-07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racter deletion
US11099733B2 (en) * 2011-09-30 2021-08-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command presentation and key configuration for keyboards
US20130100035A1 (en) * 2011-10-19 2013-04-25 Matthew Nicholas Papakipos Graphical User Interface Interaction Using Secondary Touch Input Device
WO2012097613A2 (zh) * 2011-10-20 2012-07-26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软键盘显示方法和移动终端
CN103246458B (zh) * 2012-02-09 2016-06-0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自定义软键盘的方法及通信终端
KR20130109389A (ko) * 2012-03-27 2013-10-08 박승배 개인화 가상키보드 제공방법
US20130263039A1 (en) * 2012-03-30 2013-10-03 Nokia Corporation Character string shortcut key
KR20130123705A (ko) * 2012-05-03 201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추가 문자 입력을 위한 가상 키보드와 그를 사용한 추가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N103777874A (zh) * 2012-10-17 2014-05-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及终端
US20140340324A1 (en) * 2012-11-27 2014-11-20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101441200B1 (ko) * 2012-12-06 2014-09-18 강동성 유동형 자판을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의 유동형 자판 표시 방법
US20140176446A1 (en) * 2012-12-20 2014-06-26 Futurewei Technologies, Inc. Adaptive Keyboard for Mobile Devices
TWI514243B (zh) * 2012-12-28 2015-12-21 Chi Mei Comm Systems Inc 虛擬鍵盤控制系統及方法
US20140188606A1 (en) * 2013-01-03 2014-07-03 Brian Moore Systems and methods for advertising on virtual keyboards
USD748649S1 (en) * 2013-03-04 2016-02-02 Roku,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electronic program guide
JP5786887B2 (ja) * 2013-04-22 2015-09-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操作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
JP5894113B2 (ja) * 2013-05-16 2016-03-23 株式会社沖データ 入力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USD829221S1 (en) 2014-02-12 2018-09-25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5224858A (zh) * 2014-06-05 2016-01-0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密码输入界面显示方法及系统
CN105450583B (zh) 2014-07-03 2019-07-0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信息认证的方法及装置
CN105446992A (zh) 2014-07-08 2016-03-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建立商品对象回收信息数据库、确定价值信息方法及装置
US10514845B1 (en) * 2014-07-26 2019-12-24 Nancy Elizabeth Hamilton Password capability using color keys for mobile device
CN105450411B (zh) 2014-08-14 2019-01-0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利用卡片特征进行身份验证的方法、装置及系统
CN105447378B (zh) * 2014-08-27 2018-07-1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密码生成方法和装置
CN105719183A (zh) 2014-12-03 2016-06-2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定向转账方法及其装置
US9746938B2 (en) 2014-12-15 2017-08-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xclusive view keyboard system and method
CN105869043A (zh) 2015-01-19 2016-08-1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分散热点的数据库账户转入、转出的记账方法及装置
CN105989467A (zh) 2015-02-03 2016-10-0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无线支付方法与装置及交通工具乘坐费检验方法与系统
CN107408013B (zh) * 2015-03-13 2020-07-10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画面显示方法以及计算机可读介质
CN104808945B (zh) * 2015-04-29 2017-04-0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虚拟按键的显示方法及装置
US9880737B2 (en) * 2015-06-30 2018-0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hanging keyboard layout automatically while entering a password
CN106570009B (zh) 2015-10-09 2020-07-2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导航类目更新方法及装置
JP6214618B2 (ja) * 2015-11-25 2017-10-18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293461B (zh) * 2016-08-04 2018-02-2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交互式应用中的按键处理方法和终端以及服务器
TWI658401B (zh) 2017-11-14 2019-05-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基於虛擬化行動架構之行動通訊裝置及其相關輸入法切換方法
CN108734371A (zh) 2018-02-12 2018-11-0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针对风控指令的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108632348B (zh) 2018-03-19 2020-02-1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业务校验方法和装置
USD925558S1 (en) * 2019-11-22 2021-07-20 Kai Os Technologies (hong Kong) Limited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21177998A1 (en) * 2020-03-03 2021-09-10 Shabu Ans Kandamkulathy Task management through soft keyboard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335U (ko) * 1989-08-31 1991-04-19
JPH09230981A (ja) * 1996-02-23 1997-09-05 Mita Ind Co Ltd 複写機管理システム
US8479112B2 (en) * 2003-05-13 2013-07-02 Microsoft Corporation Multiple input language selection
US7487461B2 (en) * 2005-05-04 2009-0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commands based on pen motions on a graphical keyboard
KR100652725B1 (ko) * 2005-05-27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7941760B2 (en) * 2006-09-06 2011-05-10 Apple Inc. Soft keyboard display for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8161395B2 (en) * 2006-11-13 2012-04-17 Cisco Technology, Inc. Method for secure data entry in an application
US8065624B2 (en) * 2007-06-28 2011-11-22 Panasonic Corporation Virtual keypad systems and methods
US8253694B2 (en) * 2007-08-03 2012-08-28 Google Inc. Language keyboard
US8667412B2 (en) * 2007-09-06 2014-03-04 Google Inc. Dynamic virtual input device configuration
US20110179372A1 (en) * 2010-01-15 2011-07-21 Bradford Allen Moore Automatic Keyboard Layout Determination
US20110302518A1 (en) * 2010-06-07 2011-12-08 Google Inc. Selecting alternate keyboard characters via motion input
EP2400373A1 (en) * 2010-06-22 2011-12-28 Vodafone Holding GmbH Inputting symbols in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scree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0590B2 (en) 2007-09-19 2015-08-18 Typesoft Technologies, Inc. Dynamically located onscreen keyboard
US10126942B2 (en) 2007-09-19 2018-11-13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press on a touch-sensitive surface
US10203873B2 (en) 2007-09-19 2019-02-12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ly presenting a keyboard on a touch-sensitive display
US10908815B2 (en) 2007-09-19 2021-02-02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tinguishing between a gesture tracing out a word and a wiping motion on a touch-sensitive keyboard
US9069390B2 (en) 2008-09-19 2015-06-30 Typesoft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surface sanitation
US9454270B2 (en) 2008-09-19 2016-09-2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press on a touch-sensitive surface
WO2012075199A2 (en) * 2010-11-30 2012-06-07 Cleankeys Inc. Multiplexed numeric keypad and touchpad
WO2012075199A3 (en) * 2010-11-30 2012-09-27 Cleankeys Inc. Multiplexed numeric keypad and touchpad
US9104260B2 (en) 2012-04-10 2015-08-11 Typesoft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press on a touch-sensitive surface
US9489086B1 (en) 2013-04-29 2016-11-08 Apple Inc. Finger hover detection for improved typing
US10289302B1 (en) 2013-09-09 2019-05-14 Apple Inc. Virtual keyboard animation
US11314411B2 (en) 2013-09-09 2022-04-26 Apple Inc. Virtual keyboard ani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63973A2 (en) 2010-03-17
TWI360762B (en) 2012-03-21
EP2163973A9 (en) 2012-06-06
US20100060585A1 (en) 2010-03-11
JP2010061656A (ja) 2010-03-18
TW201011598A (en) 201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9026A (ko) 스크린 가상키보드 시스템
CN101882047B (zh) 屏幕虚拟键盘系统
US7075519B2 (en) Method for entering a character sequence into an electronic device as well as a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id method
US6980200B2 (en) Rapid entry of data and information on a reduced size input area
EP1581857B1 (en) Alphanumeric keyboard input system using a game controller
JP4242270B2 (ja) 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へのペン入力システムと方法
US20060206815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word correction, and associated method
EP0898222A1 (en) Keypad
US20080291171A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JP4316687B2 (ja) 画面タッチ式入力装置
WO2012101711A1 (ja)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251781A (zh) 通过手机横屏状态显示的虚拟键盘进行输入和功能操作
US20110093255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ggle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JP2005100186A (ja) 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表示装置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KR101808774B1 (ko)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5395819B2 (ja)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886797B2 (ja) 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の表示方法及び携帯情報端末装置
EP1701243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display and selection of disambiguation choices, and associated method
CA2538636C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word correction, and associated method
US20060202866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display and selection of disambiguation choices, and associated method
JP2005215728A (ja) ソフトキーボード機能付電子フォームシステム
US20090174665A1 (en) Method of facilitating user input in handhel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a text disambiguation function
EP2081102A1 (en) Method of facilitating user input in handhel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a text disambiguation function
JP6676985B2 (ja) 電子機器
JP2004310543A (ja) キャラクター入力装置、キャラクター入力方法、キャラクター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