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8401A -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8401A
KR20100028401A KR1020080087423A KR20080087423A KR20100028401A KR 20100028401 A KR20100028401 A KR 20100028401A KR 1020080087423 A KR1020080087423 A KR 1020080087423A KR 20080087423 A KR20080087423 A KR 20080087423A KR 20100028401 A KR20100028401 A KR 20100028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housing
camera
rotating body
li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1638B1 (ko
Inventor
신행재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7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638B1/ko
Publication of KR20100028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은, 장착부와,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부에 결합되는 제1 회전체와, 제1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1 회전체에 결합되는 제2 회전체와, 제1 축이 연장되는 선 위에 위치하는 제1 위치와 제2 축이 연장되는 선 위에 위치하는 제2 위치의 어느 하나에 위치하도록 제2 회전체에 결합될 수 있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Pan tilt system for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설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어서 하나의 제품으로 카메라의 여러 가지 장착 방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넓은 범위의 화각을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팬틸트 줌 카메라(pan tilt zoom camera)를 설치하는 방식은 하우징의 장착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 방식은, 하우징의 측면이 틸트축에 연결되는 측면 장착식이고, 두 번째 방식은, 하우징의 상면이나 하면이 틸트축에 연결되는 상하면 장착식이다. 이들 장착 방식들은 각각 장단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측면 장착식 하우징을 갖는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측면 장착식 시스템은 장착면이 도 1의 (b)에서처럼 건물의 천장과 같이 카메라보다 높게 위치하는 경우와, 도 1의 (a)에서처럼 벽의 상면과 같이 장착면이 카메라보다 낮게 위치하는 경우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장착이 자유롭다. 측면 장착식 시스템에서는 카메라 하우징(3)이 180도 이상의 각도로 자유롭게 회전하 므로 차광판(2; sun visor)을 새로운 위치로 재조립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측면 장착식 시스템을 이용하면 실내의 천장이나 실외의 기둥 위 등 다양한 위치에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상하면 장착식 하우징을 갖는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하면 장착식 시스템에 의하면 카메라가 장착되는 장소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a)와 같이 건물의 옥상에 장착할 때는 팬틸트 기구가 카메라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도 2의 (b)와 같이 천장에 장착할 때에는 카메라의 팬틸트 기구가 카메라보다 위에 위치한다. 상하면 장착식 시스템에서는 카메라의 하우징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카메라가 건물의 옥상에 장착될 때와 천장에 장착될 때에는 설치되는 하우징의 방향이 상하로 반전된다. 따라서 카메라의 차광판(4)과 와이퍼 등의 부속품을 설치된 장소에 적합하도록 재조립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카메라가 장착되는 방식에 따라 카메라의 화각의 범위를 벗어나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는 사각 지대(dead angle)가 달라진다. 카메라를 설치할 때에는 감시 대상이 되는 장소에서 발생하는 사각 지대를 고려하여 하우징 장착 방식을 선택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장착되는 장소에 적합하도록 다른 카메라용 팬틸트 기구를 설치해야 함으로 인해, 설계자와 작업자는 각각의 장소에 맞는 제품을 선정해서 준비하여야 하므로 카메라 설치 작업이 번거롭다. 서로 호환되지 않는 하우징 장착 방식의 팬틸트 시스템 제품들을 별도로 확보하여야 하므로 재고관리 측면에서도 바 람직하지 않다.
또한 한번 카메라가 설치된 이후에 카메라가 설치된 장소의 공간 구조가 변경되거나 장착 위치가 달라져야 할 때에는, 이미 설치되었던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른 방식의 하우징 장착 방식을 이용한 팬틸트 시스템 제품을 다시 구매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카메라 시스템의 유지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가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제품으로 카메라의 여러 가지 장착 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넓은 범위의 화각을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광판과 같은 부속품을 재조립할 필요가 없이 카메라의 장착 방식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는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패닝축선 상에 위치하는 제1 위치와 틸트축선 상에 위치하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위치 변동이 가능한 카메라 하우징을 구비하는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은, 장착부와,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부에 결합되는 제1 회전체와, 제1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2 회전체에 결합되는 제2 회전체와, 제1 축이 연장되는 선 위에 위치하는 제1 위치와 제2 축이 연장되는 선 위에 위치하는 제2 위치의 어느 하나에 위치하도록 제2 회전체에 결합될 수 있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은, 양단이 하우징과 제2 회전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부재를 개재하여 제2 회전체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링크 부재의 양단은, 링크 부재가 제1 축과 제2 축을 가로지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우징과 제2 회전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링크 부재의 일단은 링크 부재가 제1 축과 제2 축을 가로지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2 회전체에 연결되고, 링크 부재의 타단은 하우징이 링크 부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링크 부재는 제1 링크와, 제1 링크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링크를 구비할 수 있고, 제1 링크와 제2 링크의 양단은 각각 하우징과 제2 회전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은, 장착부와,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부에 결합되는 제1 회전체와, 제1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2 회전체에 결합되는 제2 회전체와, 일단이 제1 축과 제2 축을 가로지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2 회전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축에 대략 평행한 제1 링크 위치와 제2 축에 대략 평행한 제2 링크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하는, 링크 부재와, 링크 부재가 제1 링크 위치에 있을 때에 제1 축의 연장선 위에 위치하도록 링크 부재의 타단에 결합하고, 링크 부재가 제2 링크 위치에 있을 때에 제2 축의 연장선 위에 위치하도록 링크 부재의 타단에 결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제2 회전체는 하우징을 제1 위치에 고정하는 제1 고정부와, 하우징을 제2 위치에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는, 제2 회전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나사홈과, 일단은 나사홈에 결합 가능하고 타단은 하우징에 결합 가능한 체결 볼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하우징은 외측 면에 체결 볼트의 타단에 결합 가능한 결합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은, 하우징이 제2 회전체에 대하여 제1 위치나 제2 위치로 변경하여 배치될 수 있으므로 카메라가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종래에는 카메라를 장착하는 장소에 따라 하우징의 장착 방식이 상이한 다른 제품을 적용하여야 했지만, 본 발명의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에서는 하우징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제품으로 카메라의 여러 가지 장착 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하나의 제품이 측면 장착식과 상하면 장착식의 각각의 방식에서 구현 가능한 화각을 가지므로, 넓은 범위의 카메라 화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의 장착 방식을 변경할 때에는 하우징의 위치만을 변경하면 되므로 차광판과 같은 부속품을 재조립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편리하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일반적으로 감시용 카메라는, 팬틸트 시스템(pan & tilt system)에 의해 건물의 외벽 또는 내벽이나 천장과 같은 특정 장소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팬틸트 시스템에 의해 감시용 카메라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패닝(panning) 동작과,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는 틸팅(tilting) 동작에 의해, 카메라가 감시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감시용 카메라는 줌 기능을 구비하므로, 줌 렌즈(zoom lenses)를 가변 조절하여 피사체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감시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원격지에 위치하는 저장 장치에 기록되며, 동시에 화면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화면을 통해 카메라 촬영 지역을 감시하는 관리자는, 조이스틱 등을 이용하여 팬틸트 시스템을 구동하여 팬 또는 틸트 각도(pan or tilt angle)를 원격 조정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은, 건물의 벽이나 기둥과 같이 카메라를 장착하기 위한 면에 장착되는 장착부(10)와, 장착부(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체(20)와, 제1 회전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체(30)와, 상기 제2 회전체(30)에 결합되며 카메라(41)를 내장하는 하우징(40)을 구비한다.
장착부(10)는 벽이나 기둥과 같은 장착 장소에 고정되어,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의 전체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회전체(20)는 카메라(41)의 각도가 좌우측을 향해 변하도록 카메라(41)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패닝(panning)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제1 회전체(20)는 제1 축(P; 패닝축)을 중 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부(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1 회전체(20)는 장착부(10)에 설치된 제1 구동축(11)을 통해 장착부(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1 구동축(11)은 장착부(10)에 내장되는 구동모터(미도시)의 출력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제1 회전체(20)의 장착 구조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즉 이러한 구조를 변형하여 제1 회전체(20)는 제1 회전체(20)의 내부에 내장된 구동모터(미도시)의 출력축에 의해 장착부(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제2 회전체(30)는 카메라(41)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틸트(tilt)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제2 회전체(30)는 제2 축(T; 틸트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회전체(20)에 결합한다. 제2 축(T)은 제1 축(P)을 가로지르는 방향이며, 바람직하게는 제1 축(P)을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가로지르는 방향이다. 제2 회전체(30)가 제2 축(T)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카메라(41)가 위를 바라보거나 아래를 바라보도록 카메라(41)의 상하 방향의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제2 회전체(30)는 제1 회전체(20)에 설치된 제2 구동축(21)에 의해 제1 회전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2 구동축(21)은 제1 회전체(20)에 내장되는 구동모터(미도시)의 출력축일 수 있다.
제2 회전체(30)에는 하우징(40)이 결합한다. 하우징(40)은 카메라(41)를 둘러싸 카메라(41)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우징(40)은 제1 축(P)이 연장되는 제1 연장선(51)의 위에 위치하는 제1 위치와, 제1 축(P)이 연장되는 제2 연장선(52)의 위에 위치하는 제2 위치 가운데 어느 하나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회전체(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의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의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에서 카메라의 장착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40)이 링크 부재(60)를 개재하여 제2 회전체(30)에 결합한다. 링크 부재(60)의 일단(61)은 제2 회전체(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62)은 하우징(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링크 부재(60)의 일단(61)과 타단(62)은 링크 부재(60)가 제1 축(P)과 제2 축(T)을 모두 가로지르는 방향, 즉 도 3 내지 도 5의 지면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우징(40)과 제2 회전체(30)에 결합한다. 따라서 하우징(40)은 도 3에 도시된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로부터 도 5에 도시된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40)이 도 3에 도시된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1의 종래 기술과 같은 측면 장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카메라가 작동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0)이 도 5에 도시된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2의 종래 기술과 같은 상하면 장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카메라가 작동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제2 위치에 놓인 하우징(40)을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하우징(40)은 링크 부재(60)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후 도 5에 도시된 제1 위치로 변환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링크 부재(60)의 타단(6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40)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 축(P)의 제1 연장선(51)에 놓인다. 이로 인해 하우징(40)이 무게 중심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으므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에서는 하우징(40)의 설치 위치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제품으로 카메라의 여러 가지 장착 방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넓은 범위의 화각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은, 건물의 벽과 같은 장착면에 장착되는 장착부(10)와, 장착부(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체(20)와, 제1 회전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체(30)와, 상기 제2 회전체(30)에 결합되며 카메라(41)를 내장하는 하우징(40)을 구비한다.
하우징(40)의 위치는, 제1 회전체(20)의 회전 중심인 제1 축(P)의 연장선인 제1 연장선(51)의 위에 위치하는 제1 위치와, 제2 회전체(30)의 회전 중심인 제2 축(T)의 연장선인 제2 연장선(52)의 위에 위치하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변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40)은 제1 링크(161)와, 제2 링크(162)를 구비하는 링크 부재(160)에 의해 제2 회전체(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링크(161)와 제2 링크(162)의 각각의 양단은 하우징(40)과 제2 회전체(3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 합한다. 이로 인해 하우징(40)은 제2 회전체(3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위치가 변동하는 하우징(40)의 운동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서의 하우징(40)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서의 하우징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와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9는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에서 카메라의 장착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은, 건물의 천장이나 벽과 같은 장착면에 장착되는 장착부(10)와, 제1 축(P)을 중심으로 장착부(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체(20)와, 제2 축(T)을 중심으로 제1 회전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체(30)와, 상기 제2 회전체(30)에 결합되며 카메라(41)를 내장하는 하우징(40)을 구비한다.
하우징(40)은 링크 부재(260)를 개재하여 제2 회전체(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지만, 링크 부재(260)의 결합 방식이 변형되었다. 링크 부재(260)의 일단(261)은, 링크 부재(260)가 제1 축(P)과 제2 축(T)을 가로지르는 축, 즉 도면상 지면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2 회전체(30)에 연결된다. 링크 부재(260)의 타단(262)은 하우징(40)이 링크 부재(26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우징(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7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하우징(40)은 제2 축(T)의 연장선인 제2 연장선(52)에 놓이는 제2 위치에 있다. 하우징(40)이 제1 축(P)의 연장선인 제1 연장선(51)에 놓이는 제1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링크 부재(260)가 일단(261)을 중심으로 제2 회전체(30)에 대하여 회전한다.
이와 같이 회전한 상태가 도 7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하우징(40)으로 도시되었다. 도 7의 점선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하우징(40)이 링크 부재(260)의 타단(26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도 8의 점선으로 도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 회전체(20)가 장착부(10)에 대하여 회전하면 도 9와 같이 카메라(41)가 앞을 바라보게 되어 하우징(40)의 제1 위치로의 변환이 완료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은, 건물의 천장이나 벽과 같은 장착면에 장착되는 장착부(10)와, 제1 축(P)을 중심으로 장착부(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체(20)와, 제2 축(T)을 중심으로 제1 회전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체(30)와, 링크 부재(360)를 개재하여 상기 제2 회전체(30)에 결합되며 카메라(41)를 내장하는 하우징(40)을 구비한다.
하우징(40)은 링크 부재(360)를 개재하여 제2 회전체(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지만, 링크 부재(360)의 결합 방식이 변형되었다. 링크 부재(360)의 일단(361)은, 링크 부재(360)가 제1 축(P)과 제2 축(T)을 가로지르는 축, 즉 도면상 지면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2 회전체(30)에 연결된다. 그러나 링 크 부재(360)의 타단에는 하우징(4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용 블록(362)이 설치된다.
도 10에서 도면상 우측을 향하는 링크 부재(360)는 제2 축(T)에 평행한 제2 링크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40)이 링크 부재(360)의 결합용 블록(362)에 결합하면, 하우징(40)은 제2 축(T)의 연장선인 제2 연장선(52)에 놓이는 제2 위치에 위치한다.
도 10에서 도면상 상측을 향하는 링크 부재(360; 점선으로 표시됨)는 제1 축(P)에 평행한 제1 링크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40)이 링크 부재(360)의 결합용 블록(362)에 결합하면, 하우징(40)은 제1 축(P)의 연장선인 제1 연장선(51)에 놓이는 제1 위치에 위치한다.
하우징(40)의 외측 표면에는 링크 부재(360)와의 결합을 위하여 제1 및 제2 결합홈(44, 45)이 형성된다. 제1 결합홈(44)은 하우징(40)을 제1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링크 부재(360)의 타단의 결합용 블록(362)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제2 결합홈(45)은 하우징(40)을 제2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링크 부재(360)의 타단(362)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우징(40)이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나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모든 경우에 대하여 하우징(40)의 부착된 차광판(43)은 항상 상측을 향하므로, 하우징(40)의 장착 방식을 변경하여도 차광판(43)을 재조립해야 할 필요가 없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은, 건물의 천장이나 벽과 같은 장착면에 장착되는 장착부(10)와, 제1 축(P)을 중심으로 장착부(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체(20)와, 제2 축(T)을 중심으로 제1 회전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체(30)와, 제2 회전체(30)의 제1 고정부(461)나 제2 고정부(462)에 의해 상기 제2 회전체(30)에 결합되며 카메라(41)를 내장하는 하우징(40)을 구비한다.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링크 부재에 의해 하우징과 제2 회전체를 연결한 상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제1 고정부(461)와 제2 고정부(462)에 의해 하우징(40)을 제2 회전체(30)에 결합한다.
제1 고정부(461)는 제2 회전체(30)에 형성되는 나사홈(461a) 및 나사홈(461a)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 볼트(461b)를 구비한다. 제2 고정부(462)는 제2 회전체(30)에 형성되는 나사홈(462a)과 나사홈(462a)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 볼트(462b)를 구비한다. 체결 볼트들(461b, 462b)은 이와 같이 각각의 나사홈들(461a, 462a)에 각각 결합될 수 있지만, 이를 변형하여 하우징(40)을 설치할 위치에 따라 하나의 체결 볼트만을 나사홈들(461a, 462a)의 어느 하나에 결합할 수도 있다.
나사홈들(461a, 462a)은 하우징(40)을 설치할 위치를 고려하여 제2 회전체(30)의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제1 고정부(461)는, 하우징(40)이 제1 축(P)의 연장선인 제1 연장선(51)에 놓이는 제1 위치에 하우징(40)을 위치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2 고정부(462)는, 하우징(40)이 제2 축(T)의 연장선인 제2 연장선(52) 에 놓이는 제2 위치에 하우징(40)을 위치시키는 기능을 한다.
체결 볼트(461b, 462b)의 일단은 나사홈(461a, 462a)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40)에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40)의 외측 면에는 체결 볼트(461b, 462b)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46, 47)이 형성된다.
하우징(4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46)이 제2 고정부(462)의 체결 볼트(462b)에 결합하면, 하우징(40)은 제2 연장선(52) 위에 놓이는 제2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40)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46)이 제1 고정부(461)의 체결 볼트(461b)에 결합하면, 하우징(40)은 제1 연장선(51) 위에 놓이는 제1 위치에 설치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하우징(40)이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나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모든 경우에 대하여 하우징(40)의 부착된 차광판(43)이 항상 상측을 향하므로, 하우징(40)의 장착 방식을 변경하여도 차광판(43)을 재조립해야 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측면 장착식 하우징을 갖는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상하면 장착식 하우징을 갖는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의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의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에서 카메라의 장착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에서 카메라의 장착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의 정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제1 축 46, 47: 결합홈
T: 제2 축 160: 링크 부재
10: 장착부 161: 제1 링크
11: 제1 구동축 162: 제2 링크
20: 제1 회전체 260: 링크 부재
21: 제2 구동축 261: 일단
30: 제2 회전체 262: 타단
40: 하우징 360: 링크 부재
41: 카메라 361: 일단
43: 차광판 362: 결합용 블록
44: 제1 결합홈 461: 제1 고정부
45: 제2 결합홈 461a: 나사홈
51: 제1 연장선 461b: 체결 볼트
52: 제2 연장선 462: 제2 고정부
60: 링크 부재 462a: 나사홈
61: 일단 462b: 체결 볼트
62: 타단

Claims (9)

  1. 장착부;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제1 회전체;
    상기 제1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회전체에 결합되는 제2 회전체; 및
    상기 제1 축이 연장되는 선 위에 위치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축이 연장되는 선 위에 위치하는 제2 위치의 어느 하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회전체에 결합될 수 있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양단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 회전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제2 회전체에 결합하는,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의 양단은, 상기 링크 부재가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을 가로지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 회전체에 연결되는,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의 일단은 상기 링크 부재가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을 가로지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 회전체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 부재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링크 부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는 제1 링크와, 상기 제1 링크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양단은 각각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 회전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
  6. 장착부;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제1 회전체;
    상기 제1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회전체에 결합되는 제2 회전체;
    일단이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을 가로지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 회전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축에 대략 평행한 제1 링크 위치와 상기 제2 축에 대략 평행한 제2 링크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하는, 링크 부재; 및
    상기 링크 부재가 상기 제1 링크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축의 연장선 위 에 위치하도록 상기 링크 부재의 타단에 결합하고, 상기 링크 부재가 상기 제2 링크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2 축의 연장선 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링크 부재의 타단에 결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체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1 위치에 고정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2 위치에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회전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나사홈과, 일단은 상기 나사홈에 결합 가능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 가능한 체결 볼트를 구비하는,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측 면에 상기 체결 볼트의 상기 타단에 결합 가능한 결합홈을 구비하는,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
KR1020080087423A 2008-09-04 2008-09-04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 KR101341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423A KR101341638B1 (ko) 2008-09-04 2008-09-04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423A KR101341638B1 (ko) 2008-09-04 2008-09-04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401A true KR20100028401A (ko) 2010-03-12
KR101341638B1 KR101341638B1 (ko) 2013-12-16

Family

ID=42179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423A KR101341638B1 (ko) 2008-09-04 2008-09-04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63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0593A (ja) * 2005-05-30 2006-12-07 Canon Inc 雲台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0717894B1 (ko) 2006-11-01 2007-05-14 주식회사 영국전자 팬/틸트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638B1 (ko) 201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0172B2 (en) Omnidirectional user configurable multi-camera housing
KR102005977B1 (ko) 지능형 국방경계 감시 카메라 장치
US6375369B1 (en) Housing for a surveillance camera
KR100997877B1 (ko) 광대역 감시 카메라
CN101636769B (zh) 用于视频监视系统视野对准的方法和装置
US20120257064A1 (en) Tracking and monitoring camera device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same
KR20130071510A (ko) 감시용 카메라 장치, 광역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의 연계 감시 방법
KR20110114098A (ko) 파노라마 카메라 및 팬틸트줌 카메라 일체형 감시용 카메라 장치와 이를 채용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WO2007021143A1 (en) Pan/tilt camera apparatus having auxiliary camera
KR20090065853A (ko) 팬틸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KR102498194B1 (ko) 화각 가림현상을 최소화하는 서라운드 카메라 장치
KR100709780B1 (ko) 영상 조합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
KR20110136907A (ko) 광역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의 감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341638B1 (ko)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
JP7066179B2 (ja) 防犯・監視カメラのハウジング装置
KR102334883B1 (ko) 모듈 탈착식 서라운드 카메라 시스템
JPH11308487A (ja) カメラ装置
CN212377640U (zh) 一种云台摄像机的定位装置
CN211391726U (zh) 一种无人机摄像系统
KR101445381B1 (ko) 감시용 카메라 장치
CN220668994U (zh) 一种云景区游览的vr控制装置
KR20140146863A (ko)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20100047929A (ko) 사면 감시용 카메라 장치
CN215871631U (zh) 一种基于bim移动巡检监控设备
KR102381195B1 (ko) 원포인트 나사 조정으로 틸트와 로테이션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돔 타입 cctv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