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8186A - 음성 관리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음성 관리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8186A
KR20100028186A KR1020080087102A KR20080087102A KR20100028186A KR 20100028186 A KR20100028186 A KR 20100028186A KR 1020080087102 A KR1020080087102 A KR 1020080087102A KR 20080087102 A KR20080087102 A KR 20080087102A KR 20100028186 A KR20100028186 A KR 20100028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sium
composition
weight
parts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3234B1 (ko
Inventor
함종천
최선영
함승민
Original Assignee
함종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종천 filed Critical 함종천
Priority to KR1020080087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234B1/ko
Publication of KR20100028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2Chaenomeles, e.g. flowering quin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을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두와 인두에 수분을 공급하고 가래나 기침 등 기관지 관련 장애를 없애줌으로써 성대를 보호하여 윤기 있고 고운 목소리를 내도록 도와주며, 고음발성 때 성대의 움직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윤상갑상근 및 윤상피열근 등을 비롯한 후두부위의 근육을 적정하게 이완시켜줌으로써 고음발성과 공명강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더 나아가 목소리의 개선, 유지 및 관리에 도움을 주어 개인의 의사전달력과 음악가의 연주력을 보다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후두, 인두, 음성, 성대, 관리, 조성물 Larynx, pharynx, voice, vocal cord, management, composition

Description

음성 관리용 조성물{The composition for the voice management}
본 발명은 음성을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두와 인두에 수분을 공급하고 가래나 기침 등 기관지 관련 장애를 없애줌으로써 성대를 보호하여 윤기 있고 고운 목소리를 내도록 도와주며, 고음발성 때 성대의 움직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윤상갑상근 및 윤상피열근 등을 비롯한 후두부위의 근육을 적정하게 이완시켜줌으로써 고음발성과 공명강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더 나아가 목소리의 개선, 유지 및 관리에 도움을 주어 개인의 의사전달력과 음악가의 연주력을 보다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음성은 폐안의 공기가 기관지와 후두를 통하여 나오면서 후두내의 성대를 진동시켜 발생하는 것으로서 인두와 구강 및 비강 등의 성도(聲道, vocal tract)를 통하여 전달된다.
후두(喉頭, larynx)는 후두개에서 시작하여 아래쪽의 기관이행부까지의 약 4㎝ 정도이며 기도의 일부인 동시에 발성기로서 작용한다(도 1).
성대(聲帶, vocal cord)는 갑상연골과 피열연골 사이에 걸쳐있는 한 쌍의 성 대주름으로서 성대근과 성대인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브이(V) 모양을 하고 있다. 양쪽 성대의 닫힘과 열림을 통한 진동으로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도 2).
후두의 여러 부위 중에서 특히 발성을 함에 있어 관련된 주요 부위는 갑상연골, 윤상연골 및 피열연골과 이들 연골을 연결하는 윤상갑상근 및 윤상피열근을 들 수가 있다.
갑상연골은 후두 연골 중에서 가장 크며 설골의 아래, 그리고 윤상연골의 윗부분에 자리하고 있으며 후두의 앞벽과 옆벽을 감싸고 있다(도 1). 중앙부분의 뒷면에는 성대인대의 앞부분이 부착되어 있다(도 3). 윤상연골은 갑상연골의 아래에 위치하여 있는 반지모양의 연골로서 앞쪽의 위로는 갑상연골과 연결되며, 뒤쪽 윗모서리 부분은 양측으로 한 쌍의 피열연골과 연결되어 있다(도 3). 피열연골은 윗부분 앞쪽으로 튀어나온 돌기에 성대인대가 붙어있으며 뒷부분 바깥쪽의 돌기에는 피열근과 윤상피열근이 부착되어 있다(도 3). 윤상갑상근은 윤상연골과 갑상연골의 아랫부분을 잇는 근육으로서 성대를 늘려 음정이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고음을 발성하는 데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윤상피열근은 윤상연골과 피열연골을 연결하는 근육으로서, 측면과 후면의 4부분으로 구성되어 지며, 성대의 열고 닫음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인두(咽頭, pharynx)는 후두와 비강으로 이어지는 기도(氣道)임과 동시에 구강으로 이어지는 음식물의 통로 역할을 하고 있다. 인두 아래쪽에는 후두개(epiglottis)가 있어 음식물과 공기의 통로를 결정하여 준다. 인두는 성대의 진동으로 발생한 소리를 증폭시켜 주며 음색을 결정하여 주는 공명기관의 하나로서 하 인두(laryngopharynx), 구인두(oropharynx), 비인두(nasopharynx)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도 4).
일반적으로 잔기침, 천식 및 가래 등은 목소리를 내는데 어려움을 초래한다. 또한 쉰 목소리, 잘 잠기는 목소리, 거친 목소리 등 소리가 윤기 없게 나오는 경우는 성대에 이상이 있다는 징후이다. 또한 성대의 과도한 사용과 관리의 부족으로 인한 성대의 충혈, 성대 폴립, 성대 결절, 수분이 부족할 때, 위산으로 인한 역류성 후두염(또는 역류성 식도염) 등도 주요 성대질환으로 분류된다.
평소에 목소리를 많이 사용하는 성악가, 뮤지컬배우, 가수 등의 음악가 및 지망생들, 연기자, 성우, 아나운서 등의 방송인 및 지망생들, 교수, 교사, 강사 등의 교육자, 학생 및 직장인, 정치인, 종교인 등의 경우 목소리를 보다 윤기 있고 고운 목소리가 날 수 있도록 잘 관리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이들 전문인에만 국한하지 않고 모든 현대인들의 목소리에 관한 관심은 앞으로도 매우 높아 갈 것이 예상되고 있다.
현대는 얼굴, 몸매, 패션 등을 통하여 자신을 외부에 적극적으로 보여주는 시각중시의 경향이 높다. 그러나 앞으로는 현재의 시각적인 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더욱 발전하여 대화나 노래할 때의 목소리관리에 대한 관심이 향후 급격히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각종 면접, 발표, 상담 및 교육 등 남을 설득하거나 지식을 정확히 전달하는 데에 있어서 좋은 목소리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밖에 없으며, 최근에는 후두와 인두의 관리를 통한 음성관리를 전문으로 하는 음성언어치료 영역이 새로운 직업으로 떠오르고 있으나 극히 제한적인 상황이며 이에 도 움을 줄 수 있는 제품도 극히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성대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은 나름대로 관리하는 자기만의 방법을 갖고 있기도 하지만 아직까지는 대부분 비과학적일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다.
현재까지는 성대를 보호하는 기능성과 장기간 복용에도 부작용이 없는 안전성 및 편리성을 갖춘 제품이 나와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일반적으로는 생수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에 그치고 있으며, 목소리의 관리에 보다 효율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그 시장 또한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부 목소리와 관련된 제품이 발매가 되고 있지만 한정적인 효과와 부작용 등으로 사용에는 한계가 있다.
대표적인 약품으로는 스테로이드 제제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단기간에 아주 효과적이며 비상시에 한두 번 먹는 것은 괜찮으나 장기간 복용하면 당뇨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위험이 있어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
역시 약품으로 판매되는 "겔로밀틀 호르테"는 솔잎추출물이 주성분으로서 큰 대학병원 부근에서만 판매하고 있으며 자기 전에 먹으면 가래가 없어지고 목이 좋아진다고 한다.
역류성 후두염의 치료제인 "란스 톤"은 위산의 역류로 인한 목소리의 갈라짐을 방지하는 제품으로 대학병원에서만 취급하며 일부의 소비자에게 한정되는 제한점이 있다.
현재 유일하게 식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엔젤 미스틱 에너지"라는 제품은 일 본수입품으로서 마그네슘이 주성분이며, 한 알에 일천원 정도에 판매하고 있으며, 일시적으로 고음을 발성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고, 그 효과를 보기 위하여 6알 정도를 먹어야 하며, 이는 단순히 일시적으로 고음을 내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제품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7-0005880은 성대보호를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해구토를 주성분으로 피부에 바르는 젤 타입의 제품이 기록되어 있음에 그치고 있다.
그리고 인두 및 후두를 보호하는 효과를 가지면서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장기간 복용하여도 안전한 제품은 나와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루고 있는 성분들의 효능을 보면 다음과 같다.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는 목련과(Magnoliaceae)의 갈잎 덩굴나무로서 우리나라 전국 산골짜기에서 자라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열매를 오미자라고 하며, 자양, 강장, 진해제로 쓰인다. 성분으로는 고미신(gomicin) A, B, C, D, E, F, G, 쉬잔드린(쉬잔드롤 A), 데옥시쉬잔드린(쉬잔드린 A)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간 보호 및 해독작용, 간염치료 작용, 스트레스성 궤양 예방작용, 진통작용, 위산분비 억제작용을 하며, 호흡중추를 자극하고 중추신경계의 반응을 높여 정신적인 작업능률을 높인다. 또한 각종 병원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며, 진해 거담의 효과를 가지며, 혈액순환장애를 개선하고 분만기의 자궁에 작용하여 생리기능을 항진시키는 효능이 있다. 그리고 골 기질 단백질합성 증가작용, 항산화작용 및 소염진통작용(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787959), 항암치료부작용 완화(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675269), 루푸스(lupus)와 같은 자가면역성 질환예방(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609492)에 대한 효과도 보고되어지고 있다.
모과(Chaenomeles sinensis Koehne)는 장미과(Rosaceae)의 갈잎작은큰키나무로서 높이 7-10m에 이르고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재식한다. 열매를 명사(
Figure 112008504517778-PAT00009
) 또는 목이(木李)라고 하며, 풀명자나무(Chaenomeles speciosa Nakai)와 잎에 둔한 톱니가 있는 명자나무(Chaenomeles japonica)의 열매도 모과라고 하며 그 작용은 같다. 모과는 간장과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소담, 거풍습에 효능이 있고 구토, 설사, 근경련, 류머티스성 마비, 각기, 수종 등의 치료에 쓰이고 있다. 그리고 미백효능(대한민국 공개특허 2003-0090126), 감기치료(대한민국 공개특허 2004-0041865,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6-0099574)), 루푸스 치료(대한민국 특허등록 10-0682046), 피부노화 방지, 피부보습효과(대한민국 공개특허 2007-0076656) 등이 보고되어 지고 있다.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urum A. DC)는 초롱꽃과(Campanulaceae)에 속한 여러해살이 풀로 전국의 산과 들에서 흔히 자라며,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가을에 채취하여 말린 뿌리를 길경(桔梗)이라고 하며, 폐기선개(肺氣宣開), 배농(排膿), 거담(祛痰)의 효능이 있으며, 기관지염, 편도선염, 인후염 등의 호흡기계 질환에 사용되고 있다. 도라지의 주요 성분으로는 10여종의 트리테르펜 사포닌(triterpene saponin)으로서 약 2%를 함유하고 있다. 이 성분은 동물실험을 통하여 진해, 거담과 더불어 중추신경억제작용, 혈당강하, 콜레스테롤 대사개선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천식의 예방 및 치료(대한민국 공개특허 2003-0037355), 항고지혈증(대한민국 특허등록 10-0315000), 항당뇨(대한민국 특허등록 10-0315001), 항암활성(대한민국 특허등록 10-0315002), 항염증(대한민국 특허등록 10-0295366), 간섬유화 억제(대한민국 특허등록 10-0513125), 혈관신생억제효능(대한민국 특허등록 10-0550465), 항치매(대한민국 공개특허 2002-0095624), 암전이 억제(대한민국 특허등록 10-0541248), 알코올대사촉진(대한민국 특허등록 10-0643877), 기관지질환 치료(대한민국 특허등록 10-0643878),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대한민국 특허등록 10-0483539), 비만억제(대한민국 특허등록 10-0573590), 에스트로겐 분비촉진(대한민국 특허등록 10-0382040), 피부노화방지(대한민국 특허등록 10-0761331), 기침억제(대한민국 공개특허 10-0052474), 통풍예방 및 치료(대한민국 특허등록 10-0662206) 등의 효능이 보고되어 지고 있다.
마그네슘(Mg)은 체내에 20-28g정도 함유하고 있어 우리 몸의 0.05%를 차지하고 있으며, 골격계에 60%, 근육과 조직에 39%, 그리고 혈액에 1% 정도 분포되어 있으며, 체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생화학 작용에 반드시 필요한 성분이다. 마그네슘은 근육과 신경의 기능을 유지하고 심장박동에 리듬을 주며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단백질 합성의 촉매 구실을 하는 등의 작용을 한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들도 대부분 마그네슘이 부족한 상태로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급성 및 만성질환을 앓는 사람은 대부분 마그네슘 결핍상태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마그네슘이 부족하게 되면 눈꺼풀이 떨리는 증상이 오며, 집중력 저하, 식욕감퇴, 우울증상, 근육 경련 및 통증을 느끼며, 고혈압, 동맥경화증, 심근경색증, 부정맥이나 혈액순환에 장애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변비나 관절염 및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고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는 반대로 마그네슘의 과잉에 대한 문제점은 신장에 이상이 있는 사람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문제점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된 마그네슘의 중요한 기능으로는 근육의 긴장도를 낮추어 주고 근육의 손실을 막아주어 근육강화와 지구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 근육에 있어서 발성을 할 때 성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높은 음을 자연스럽고 편하게 발성하도록 도와주는 윤상갑상근이 긴장할 경우 자연스러운 고음발성이 되지 않는다. 마그네슘은 이러한 윤상갑상근의 긴장을 풀어주는 역할을 하며, 성대의 개폐를 조절하는 윤상피열근 등을 비롯한 후두부위의 근육에 과도한 힘이 들어가지 않게 하여 자연스럽고 편안한 고음발성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감초는 항염증작용과 습윤 효능이 있어 음성관리에 도움을 주며, 석류는 목의 관리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고, 구기자는 후두를 보호하며, 다시마에는 마그네슘의 함량이 가장 많은 식품으로서 고음의 발성에 도움을 준다.
인삼은 신(腎)이 허하여 목소리가 나지 않을 때 천궁, 당귀, 지황, 두충, 감초 등이 배합된 인삼평보탕(人蔘平補湯)에 사용되었다. 또한 예로부터 검은콩, 검은깨, 진피, 배, 무, 연근, 살구씨, 은행, 석창포, 갈근, 시호, 승마, 지실, 가자피, 목통, 백출, 복령, 계심, 맥문동, 죽엽, 우엉씨, 생강, 황금, 황련, 황백, 용뇌, 지각, 방품, 형개, 매실, 박하, 통초, 건시, 호마유, 가자피, 과루인, 양파 등이 목소리를 보호하는 데에 직간접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비타민C, 레몬 등은 맑은 목소리를 내는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으며, 로즈마리, 레몬밤, 바질, 쟈스민, 타임, 라벤더, 캐모마일, 세이지, 오리가눔, 타임, 프루넬라 등의 허브 차는 항균작용, 항바이러스작용, 신경안정작용 및 수분을 공급함으로서 인후부위를 보호하고 고운 음성을 갖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인후부위에 수분을 공급하고 후두의 윤상갑상근 및 윤상피열근 등을 적정하게 이완시켜줌으로써, 성대를 보호하여 윤기 있고 고운 목소리와 고음을 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더 나아가 목소리의 개선, 유지 및 관리에 도움을 주어 개인의 의사전달력을 보다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을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후두 및 인두를 보호하고 관리하여 윤기 있는 고운 목소리와 고음을 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더 나아가 목소리의 개선, 유지 및 관리에 도움을 주어 개인의 의사전달력과 음악가의 연주력을 보다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음성 관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리를 내는 성대가 위치한 후두와 소리의 공명을 일으키는 중요기관인 인두를 최상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큰 소리나 높은 소리 또는 말을 많이 함으로서 발생되는 쉰 목소리, 갈라지는 목소리, 목의 통증 등은 성대에 관련된 근육들의 긴장에 의한 무리한 성대의 사용과 성대 부위의 수분 부족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으로서, 이를 방치하거나 심하게 되면 음색이 바뀌거나 성대 폴립, 성대 결절 등의 질환으로 발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오미자는 기관지의 기침이나 가래를 없애주며, 기관지의 수축을 방지하여 주며 성대 보습작용으로 목소리의 윤기를 유지하거나 향상시키는 기능이 있어 성악가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원료이다. 또한 위산분비를 억제하여 주는 효능이 있어 역류성 후두염을 예방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모과는 오랫동안 기관지 관련된 효능으로 사용되어 왔고 가래를 없애주는 효능이 알려져 있으며 목을 많이 사용할 경우 사용되어지고 있다.
도라지는 기침, 가래를 없애주고 염증을 없애주는 효능이 있어, 민간약으로도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마그네슘은 고음을 발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능이 있다. 특히 고음 발성 시 성대의 길이가 늘어나고 팽팽하여 지는데 이를 조절하는 주요 근육이 윤상갑상근이다. 보통 고음을 낼 때 무리하게 목의 근육을 사용하는데 마그네슘은 윤상갑상근의 긴장을 이완시켜줌으로서 자연스럽게 고음을 발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윤상피열근 등 후두 부위의 근육의 과도한 긴장을 막아줌으로써, 쉰 목소리, 거친 목소리, 잠기는 목소리 등을 막아줄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조성물의 특징을 종합하여 후두와 인두의 보습을 향상시키고 중요한 공명강인 인두의 확장에 도움을 주어 목소리가 윤기가 있고 공명이 잘된 소리가 나도록 도와주며, 또한 윤상갑상근 및 윤상피열근 등의 과도한 긴장을 방지하고 이완을 시켜줌으로서 고음이 자연스럽게 나고 고운 목소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은 후두 및 인두를 보호하여 항상 윤기 있고 고운 목소리를 낼 수 있 도록 도움을 주는 음성관리용 조성물을 제시함으로서, 목을 많이 사용하는 현대인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명확하고 효과적인 의사전달에 도움을 준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시료 1의 제조
모과 10g, 도라지 10g을 4L의 물에 넣고 2시간을 끓인 다음 약 50-60℃가 되었을 때 오미자 10g을 넣고 상온이 될 때까지 2시간 이상 침지시킨 다음 여과한 다음 추출액 1L당 염화마그네슘을 250㎎을 녹인 다음 냉장고에 보관하여 효력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 시료 2의 제조
모과 10g, 도라지 10g, 감초 10g을 4L의 물에 넣고 2시간을 끓인 다음 약 50-60℃가 되었을 때 오미자 10g을 넣고 상온이 될 때까지 2시간 이상 침지시킨 다음 여과한 다음 추출액 1L 당 염화마그네슘을 250mg를 녹인 다음 냉장고에 보관하여 효력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시료 3의 제조
모과 10g, 도라지 10g을 4L의 물에 넣고 2시간을 끓인 다음 약 50-60℃가 되었을 때 오미자 10g과 석류알 10g을 넣고 상온이 될 때까지 2시간 이상 침지시킨 다음 여과한 다음 추출액 1L 당 염화마그네슘을 250mg을 녹인 다음 냉장고에 보관 하여 효력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1. 시료 1, 2, 3 및 생수의 효력 실험
시험에 참여한 사람은 시료 당 3명으로 시료를 하루 1L 정도 물 대신 음용하며 효력시험을 하였다. 효력시험의 항목은 목의 보습상태, 목소리의 윤기, 고음의 용이함 등을 조사하였으며, 음용 개시부터 1, 2, 4, 6시간 후의 반응을 일주일 간격으로 한 달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시료 1, 2, 3의 경우 음용 첫날 음용 개시 1시간 후부터 목의 보습 상태와 고음발성의 용이함을 조금 느낄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목소리의 윤기가 좋아지는 결과를 얻었다(표 1). 이는 생수만 복용할 경우의 결과(표 2)와 좋은 대조를 이루었다.
표 1. 시료의 음용 기간에 따른 음성 관리 효능 실험
Figure 112008504517778-PAT00002
Figure 112008504517778-PAT00003
표 2. 생수의 음용 기간에 따른 음성 관리 효능 실험
Figure 112008504517778-PAT00004
* 표기된 점수는 3명 점수의 평균값이다.
* 점수의 기준
기침의 정도 평소보다 더 심하게 느낀다 -1점
평소와 다름이 없다 0점
기침의 정도가 조금 좋아졌다 1점
기침의 정도가 매우 좋아졌다 2점
* 기침이 있는 사용자 : 시료 1과 2에 각 1명
생수 음용군에 1명이었음
후두의 보습 평소보다 더 건조하게 느낀다 -1점
평소와 다름이 없다 0점
목의 보습효과가 조금 좋아졌다 1점
목의 보습효과가 매우 좋아졌다 2점
목소리의 윤기 평소보다 더 탁하게 느낀다 -1점
평소와 다름이 없다 0점
목소리의 윤기가 조금 좋아졌다 1점
목소리의 윤기가 매우 좋아졌다 2점
고음발성 평소보다 더 안 된다 -1점
평소와 다름이 없다 0점
고음발성이 조금 용이하여 졌다 1점
고음발성이 매우 용이하여 졌다 2점
상기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세 가지 시료 모두 생수와 대비하여 후두를 보호함으로서 음성을 관리하는 차별화된 효능을 보여 주었다. 기침의 경우 제한된 사용자의 결과이지만 시료 1과 시료 2의 경우 기침을 줄이는 효과가 좋았으며, 이는 생수를 음용한 경우의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결과와 좋은 대조를 이룸을 알 수 있었다. 후두의 보습과 목소리의 윤기 및 고음발성을 조사한 결과 세 가지 시료 모두 좋은 효과를 보였다. 특히 음용 후 1시간 만에 반응을 나타내는 등 빠른 시간 내에 효과를 나타냄으로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시료 1, 2 및 3이 모두 비슷한 효과를 보였는데, 감초가 들어간 시료 2의 경우 후두의 보습에 조금 더 효과가 있었고, 석류가 들어간 시료 3의 경우 목소리의 윤기에 조금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은 후두의 외부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후두의 내부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소리의 발생에 관계되는 후두 연골의 구조이다.
도 4는 소리의 발생과 공명에 관계되는 인두의 구조이다.

Claims (7)

  1. 오미자, 모과, 도라지, 감초, 석류, 구기자, 다시마, 인삼, 검은콩, 검은깨, 레몬, 진피, 배, 무, 연근, 살구씨, 은행, 석창포, 갈근, 시호, 승마, 지실, 가자피, 목통, 백출, 복령, 계심, 맥문동, 죽엽, 우엉씨, 생강, 황금, 황련, 황백, 용뇌, 지각, 방품, 형개, 당귀, 지황, 매실, 박하, 통초, 건시, 호마유, 가자피, 과루인, 양파, 로즈마리, 레몬밤, 바질, 쟈스민, 타임, 라벤더, 캐모마일, 세이지, 오리가눔, 타임, 프루넬라, 비타민C 및 마그네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음성 관리용 조성물
  2. 오미자, 모과, 도라지, 감초, 석류, 구기자, 다시마, 인삼, 검은콩, 검은깨, 레몬, 진피, 배, 무, 연근, 살구씨, 은행, 석창포, 갈근, 시호, 승마, 지실, 가자피, 목통, 백출, 복령, 계심, 맥문동, 죽엽, 우엉씨, 생강, 황금, 황련, 황백, 용뇌, 지각, 방품, 형개, 당귀, 지황, 매실, 박하, 통초, 건시, 호마유, 가자피, 과루인, 양파, 로즈마리, 레몬밤, 바질, 쟈스민, 타임, 라벤더, 캐모마일, 세이지, 오리가눔, 타임, 프루넬라 및 비타민C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과 마그네슘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음성 관리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오미자추출물 0.1- 90 중량부, 모과추출물 0.1-90 중량부, 도라지추출물 0.1-90 중량부 및 마그네슘 0.01-10 중량부를 주요성분으로 함유하는 음성 관리용 조성물
  4. 제 3항의 조성물에 감초 0.01-10 중량부, 석류, 구기자, 다시마, 인삼, 검은콩, 검은깨, 비타민C, 레몬, 진피, 배, 무, 연근, 살구씨, 은행, 석창포, 갈근, 시호, 승마, 지실, 가자피, 목통, 백출, 복령, 계심, 맥문동, 죽엽, 우엉씨, 생강, 황금, 황련, 황백, 용뇌, 지각, 방품, 형개, 당귀, 지황, 매실, 박하, 통초, 건시, 호마유, 가자피, 과루인, 양파, 로즈마리, 레몬밤, 바질, 쟈스민, 타임, 라벤더, 캐모마일, 세이지, 오리가눔, 타임, 프루넬라 추출물 0.01-90 중량부 및 비타민C 0.01-10 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음성 관리용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마그네슘은 스테아린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염화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 탄산마그네슘(Magnesium carbonate),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수산화마그네슘(Magnesium hydroxide), 제삼인산마그네슘(Magnesium phosphate, tribasic), 제이인산마그네슘(magnesium phosphate, dibasic), 규산마그네슘(Magnesium silicate), 글루콘산마그네슘(Magnesium gluconate)등 식용가능한 모든 마그네슘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5항에 있어서 최종제품에서의 제형은 액제, 분말제, 과립제, 환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등을 포함한 모든 제형으로 응용 가 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관리용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최종제품이 액제일 경우 각 추출물은 0.001- 10 중량부, 마그네슘과 비타민은 0.001-1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관리용 조성물.
KR1020080087102A 2008-09-04 2008-09-04 음성 관리용 조성물 KR101103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102A KR101103234B1 (ko) 2008-09-04 2008-09-04 음성 관리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102A KR101103234B1 (ko) 2008-09-04 2008-09-04 음성 관리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186A true KR20100028186A (ko) 2010-03-12
KR101103234B1 KR101103234B1 (ko) 2012-01-05

Family

ID=4217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102A KR101103234B1 (ko) 2008-09-04 2008-09-04 음성 관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2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5136A (zh) * 2012-11-28 2013-02-20 重庆开洲九鼎牧业科技开发有限公司 畜禽清热解毒组合物、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402276B1 (ko) * 2012-12-26 2014-06-02 박윤걸 배, 겨우살이, 헛개나무, 단삼, 뽕나무, 작약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KR101485395B1 (ko) * 2014-02-17 2015-01-26 박윤걸 배, 뽕잎, 인진쑥, 독활, 방풍, 백출, 표고버섯, 복령, 개미취 및 숙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KR101485394B1 (ko) * 2014-02-17 2015-01-26 박윤걸 배, 구지뽕잎, 헛개나무, 생강나무, 오미자, 토복령, 지각 및 수세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880B1 (ko) 2005-09-27 2006-11-10 황호근 비염, 축농증, 기관지염 및 중이염 치료를 위한 한방 제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5136A (zh) * 2012-11-28 2013-02-20 重庆开洲九鼎牧业科技开发有限公司 畜禽清热解毒组合物、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402276B1 (ko) * 2012-12-26 2014-06-02 박윤걸 배, 겨우살이, 헛개나무, 단삼, 뽕나무, 작약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KR101485395B1 (ko) * 2014-02-17 2015-01-26 박윤걸 배, 뽕잎, 인진쑥, 독활, 방풍, 백출, 표고버섯, 복령, 개미취 및 숙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KR101485394B1 (ko) * 2014-02-17 2015-01-26 박윤걸 배, 구지뽕잎, 헛개나무, 생강나무, 오미자, 토복령, 지각 및 수세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234B1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85214A (zh) 一种清咽润喉的黑茶组合物及制备方法
KR20120084723A (ko) 소염, 부기제거, 진통에 사용되는 중국 생약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20070034561A (ko) 사상의학
CN106215012A (zh) 预防和治疗高血压、高血脂、高血糖的袋泡茶及加工方法
KR20100022137A (ko) 녹용을 포함하는 발효 한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방지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
KR101103234B1 (ko) 음성 관리용 조성물
CN102961657B (zh) 一种治疗咳嗽的中药组合物
CN103656410B (zh) 一种治疗咳嗽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6798328A (zh) 一种铁皮石斛保健品
CN109718303A (zh) 提高女性卵巢功能养颜美容改善女性皮肤的中药组合物
CN109793870A (zh) 一种具有抗抑郁抗焦虑功效的纯天然植物精华香水
CN104223297B (zh) 一种延缓衰老的五味子保健口服液及其制备方法
KR20160081870A (ko) 항산화 및 항염증에 효능이 있는 가미청기산 조성물
CN103961614B (zh) 用于治疗呼吸系统疾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8523121A (zh) 一种抗霾清肺的功能性食品及其制备方法
CN104474099B (zh) 一种甜茶止咳露及其制备方法
KR20200087606A (ko) 기억력, 학습력 향상 및 스트레스 완화용 총명탕 조성물
CN109431951A (zh) 一种中药美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
Kamaneh et al. Sinusitis and the related remedies in Persian medicine
CN100438902C (zh) 一种防治鸡传染性鼻炎的药物
CN109718304A (zh) 改善人体心脑血管功能微循环及预防血栓的中药组合物
CN108354967A (zh) 一种清热止咳的蒙药及其制备方法
CN109718305A (zh) 改善人体气血功能提高耐缺氧延缓衰老的中药组合物
CN104258224A (zh) 一种治疗肺肾阴虚型慢性支气管炎的五味子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04206597B (zh) 一种缓解肺肾阴虚症状的五味子保健茶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