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7967A -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7967A
KR20100027967A KR1020090078010A KR20090078010A KR20100027967A KR 20100027967 A KR20100027967 A KR 20100027967A KR 1020090078010 A KR1020090078010 A KR 1020090078010A KR 20090078010 A KR20090078010 A KR 20090078010A KR 20100027967 A KR20100027967 A KR 20100027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device
hole
substrate
locking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오오모리
마사히코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7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3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by means of a moun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01R33/0863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H01R33/0872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for mounting in an opening of a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F21V19/008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at least one conductive element acting as a support means, e.g. resilient contact blades, piston-lik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H01R33/7692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for supporting a tubular fluorescent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5Connectors for wire wrapp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13Lam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431Details of mounted components
    • H05K2201/10598Means for fastening a component, a casing or a heat sink whereby a pressure is exerted on the component towards the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장치의 기판에의 접속 및 분리를 간단히 실행할 수 있는 염가의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냉음극 형광램프(10)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어댑터(400)를 개재해서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속장치(100)와, 접속장치(100)가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기판(300)을 구비하고 있다. 접속장치(100)는 걸림편(係止片)(114)을 가진다. 기판(300)은, 걸림편(114)에 걸리게 되는 걸림구멍(310)을 가지고 있으며, 걸림구멍(310)은, 폭광(幅廣)구멍(311)과, 폭광구멍(311)에 연속되는 폭협(幅狹)구멍(312)을 가지는 장공(長孔)이다. 걸림편(114)이, 폭광구멍(311)에 삽입되고, 폭광구멍(311)으로부터 폭협구멍(312)으로 슬라이드됨으로써, 해당 폭협구멍(312)의 가장자리부분에 걸리게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SUBSTRATE CONNECTION STRUCTURE OF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냉음극 형광램프나 열음극 형광램프 등의 전자부품의 단부에 접속 가능한 접속장치와, 이 접속장치가 장착되는 기판을 접속하는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접속장치를 기판에 접속하는 구조로서는, 상기 접속장치가 프레임의 복수의 개구부에 각각 삽입되고, 냉음극 형광램프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상태에서, 기판 위에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프레임이 기판에 복수의 클립을 이용해서 고정됨으로써, 접속장치가 기판에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6-344602호 공보
이와 같이 프레임을 기판에 고정시켜서, 접속장치가 기판에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클립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복수의 클립을 프레임 및 기판의 단부에 장착하는 것은 시간이 소요된다. 마찬가지로, 유지보수를 위해서, 복수의 클립을 프레임 및 기판의 단부로부터 분리하는 데에도 시간이 소요된다. 또, 클립이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점수가 증가한다. 이런 연유로, 고비용으로 되어 갔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접속장치의 기판에의 접속 및 분리를 간단히 실행할 수 있는 염가의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는, 전자부품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속장치와, 접속장치가 면 위에 장착되는 기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접속장치는, 해당 접속장치를 기판의 면 위에 장착하기 위한 걸림편(係止片)을 가지고 있으며, 기판은, 걸림편이 삽입 가능한 장공(長孔)형상의 걸림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걸림편이 걸림구멍 안을 소정방향으로 슬라이드 또는 회전되면, 걸림편이 걸림구멍의 가장자리부분에 걸리게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에 의한 경우, 걸림편을 걸림구멍에 삽 입하고, 소정방향으로 슬라이드 또는 회전시키기만 해도, 걸림편이 걸림구멍의 가장자리부분에 걸리게 되도록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종래예와 같이 복수의 클립을 이용하지 않고, 접속장치를 기판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간단해진다. 또, 상기 클립 분의 부품점수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 접속구조는, 종래예에 비해서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걸림편을 걸림구멍 안에서 소정방향으로 슬라이드 또는 회전시키기만 해도, 해당 걸림편과 걸림구멍의 가장자리부분과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클립을 분리하지 않고, 접속장치를 기판에 간단히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편은, 접속장치가 아니라, 기판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걸림구멍은, 기판이 아니라, 접속장치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걸림구멍은, 폭광(幅廣)구멍과, 이 폭광구멍에 연속되는 폭협(幅狹)구멍을 가지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편이, 폭광구멍에 삽입되고, 해당 폭광구멍에서 폭협구멍으로 슬라이드됨으로써, 해당 폭협구멍의 가장자리부분에 걸리게 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걸림편을 폭광구멍에 삽입하고, 폭광구멍에서 폭협구멍으로 슬라이드시키기만 해도, 걸림편이 폭협구멍의 가장자리부분에 걸리게 되고, 이에 의해 접속장치가 기판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종래예와 같이 복수의 클립을 이용하지 않고, 접속장치를 기판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간단해진다. 또, 걸림편을 폭협구멍에서 폭광구멍으로 이동시키고, 해당 폭광구멍으로부 터 뽑아내기만 해도, 접속장치를 기판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장치를 기판에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접속장치가 기판의 면 위에 나열해서 유지되도록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접속장치를 기판에 착탈할 때에, 접속장치를 상기 기판의 면 위의 배치에 따라서 각각 위치결정 유지하는 위치결정유지수단을 부가해서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장치가 상기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걸림편을 걸림구멍에 삽입하고, 소정방향으로 슬라이드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접속장치를 한 번에 기판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이 한층 더 간단해지며,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접속장치가 상기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걸림편을 소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슬라이드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접속장치를 기판으로부터 한 번에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한층 더 유지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가 복수의 전자부품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 가능한 한쪽 복수의 상기 접속장치와, 상기 전자부품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 가능한 다른 쪽 복수의 상기 접속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상기 위치결정유지수단은, 한쪽의 상기 접속장치와, 다른 쪽의 상기 접속장치를 각각 상기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해서 위치결정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에 의한 경우, 한쪽 및 다른 쪽의 상기 접속장치가 상기 위치결정수단으로 나열해서 유지된 상태에서, 걸림편을 걸림구멍에 삽입하고, 소정방향으로 슬라이드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접속장치를 한 번에 기판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이 한층 더 간단해지며,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한쪽 및 다른 쪽의 상기 접속장치가 상기 위치결정수단으로 나열해서 유지된 상태에서, 걸림편을 소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슬라이드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접속장치를 기판으로부터 한 번에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한층 더 유지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한쪽 및 다른 쪽의 상기 접속장치가 상기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접속장치를 기판에 장착/분리할 경우에, 일단부측의 접속장치와 타단부측의 접속장치가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으므로, 전자부품을 한쪽 및 다른 쪽의 상기 접속장치에 접속한 상태에서 접속장치를 기판에 용이하게 장착/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점에서도, 유지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는, 전자부품과 접속장치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어댑터를 부가해서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어댑터는, 전자부품의 상기 단부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 가능한 일단부와, 접속장치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타단부와, 일단부와 타단부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적어도 전자부품의 길이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를 가진다.
이와 같은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에 의한 경우, 전자부품의 단부가 어댑터의 일단부에 접속되고, 해당 어댑터의 타단부가 접속장치에 접속된 상태에서, 전자부품이 열팽창 또는 열수축했다 해도, 상기 어댑터의 탄성변형부가 전자부품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에 따라 신축된다. 이런 연유로, 전자부품의 단부가 기계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전자부품이 열팽창 또는 열수축됨으로써, 해당 전자부품의 단부에 부하가 인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탄성변형부는, 전자부품과 접속장치가 어댑터를 개재해서 접속된 상태에서, 해당 접속장치를 기판에 착탈할 때에, 전자부품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전자부품과 접속장치가 어댑터를 개재해서 접속된 상태에서, 해당 접속장치를 기판으로부터 착탈할 때에, 전자부품의 진동 등에 의해 해당 전자부품의 단부에 관한 충격이 상기 탄성변형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흡수된다. 따라서, 전자부품과 접속장치가 어댑터를 개재해서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의 해당 접속장치를 기판에 착탈이 한층 더 용이하게 되므로, 이 점에서, 한층 더 유지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접속장치는, 상기 걸림편 또는 걸림구멍이 형성된 보디와, 이 보디 내에 장착되는 콘택트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콘택트는, 보디로부터 기판을 향해서 돌출하는 접촉부를 가지고 있으며, 걸림편이 걸림구멍의 가장자리부분에 걸리게 되면, 접촉부가 기판의 면 위의 접점패턴에 접촉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편을 걸림구멍 안에서 슬라이드 또는 회전시켜서, 해당 걸림구멍의 가장자리부분에 걸리게 하기만 해도, 콘택트의 접촉부가 기판의 접점패턴에 접촉되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접속장치를 기판에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해당 접속장치가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접속장치의 기판에의 접 속이 간단해진다.
상기 위치결정유지수단이 기판에 대향 배치되는 장척(長尺)형상의 부재인 경우, 해당 위치결정유지수단에는 접속장치가 각각 삽입되는 위치결정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접속장치는, 해당 접속장치가 위치결정유지수단의 위치결정구멍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수단을 부가해서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접속장치를 위치결정구멍에 삽입하기만 해도, 해당 접속장치가 위치결정 유지되므로, 접속장치의 위치결정이 간단해진다. 또, 탈락방지수단에 의해, 접속장치가 위치결정수단의 위치결정구멍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탈락방지수단은, 접속장치의 외부면에 형성된 볼록형상의 플랜지부와, 상기 외부면에 상기 접속장치의 삽입방향으로 플랜지부와 간격을 두고 형성된 걸림볼록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속장치가 위치결정구멍에 삽입되면, 위치결정유지수단의 위치결정구멍의 가장자리부분이 걸림볼록부를 타고 넘어가, 해당 걸림볼록부와 플랜지부와의 사이에서 걸리게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속장치를 걸림볼록부측에서 위치결정수단의 위치결정구멍에 삽입하면, 해당 위치결정구멍의 가장자리부분이 걸림볼록부를 타고 넘어가, 플랜지부와 걸림볼록부와의 사이에서 걸리게 된다. 이런 연유로, 접속장치를 위치결정수단으로부터 간단히 장착할 수 있다. 또, 접속장치를 위치결정수단에 대해서 걸림볼록부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 위치결정구멍의 가장자리부분이 걸림볼록부를 타고 넘어가, 플랜지부와 걸림볼록부와의 사이의 걸림으로부터 해제된다. 이런 연유 로, 접속장치를 위치결정수단으로부터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삽입방향의 양측단부는, 두께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차 저감하는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위치결정구멍의 가장자리부분이 걸림볼록부를 한층 더 용이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다. 따라서, 접속장치의 상기 위치결정수단에의 장착 및 분리가 한층 더 간단해진다.
상기 접속장치가, 걸림볼록부를 대신해서, 접속장치의 상기 외부면에 접속된 기단부(基端部) 및 플랜지부와 극간을 두고 대향하는 선단부를 가지는 걸림암을 구비하는 경우, 걸림암은, 상기 선단부와 상기 외부면과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기단부와 상기 외부면과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커지고 있으며, 접속장치가 위치결정구멍에 삽입되면, 걸림암이 위치결정구멍의 가장자리부분에 압압되어, 해당 걸림암이 상기 외부면을 향해서 탄성 변형되고, 위치결정구멍의 가장자리부분이 걸림암의 선단부 위를 통과하면, 해당 걸림암이 복원되고, 이에 의해 위치결정구멍의 가장자리부분이 걸림암의 선단부와 플랜지부와의 사이에서 걸리게 되도록 되어 있다.
이런 경우에서도, 접속장치를 걸림암측에서 위치결정수단의 위치결정구멍에 삽입하면, 해당 위치결정구멍의 가장자리부분이 걸림암의 선단부를 타고 넘어가, 걸림암의 선단부와 플랜지부와의 사이에서 걸리게 된다. 이런 연유로, 접속장치를 위치결정수단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다. 또, 걸림암을 상기 외부면측에 압압하여 탄성 변형시키면, 위치결정구멍의 가장자리부분이 걸림암의 선단부의 걸림으로부터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접속장치를 위치결정수단에 대해서 걸림암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접속장치를 위치결정수단으로부터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전자부품이 조명용 라이트인 경우, 위치결정유지수단은, 조명용 라이트로부터 발산된 광속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겸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위치결정수단이 반사판을 겸하고 있으므로, 조명 유닛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에 대해서 하기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1(a)가 정면도, 도 1(b)가 A-A단면도이고, 도 2는 동일 접속구조의 일단부측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3은 동일 접속구조의 도 2의 α부분의 개략적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동일 접속구조의 접속장치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4(a)가 정면도, 도 4(b)가 평면도, 도 4(c)가 저면도, 도 4(d)가 측면도, 도 4(e)가 사시도, 도 4(f)가 B-B단면도이고, 도 5는 동일 접속구조의 접속장치의 보디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5(a)가 정면도, 도 5(b)가 평면도, 도 5(c)가 저면도, 도 5(d)가 측면도, 도 5(e)가 사시도이고, 도 6은 동일 접속구조의 접속장치의 콘택트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6(a)가 정면 우측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6(b)가 배면 좌측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7은 동일 접속구조의 어댑터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7(a)가 정면 우측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7(b)가 배면 좌측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동일 접속구조의 접속장치의 걸림편이 기판의 걸림구멍의 가장자리부분에 걸리게 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8(a)가 프레임을 분리한 상태의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8(b)가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는, 복수의 냉음극 형광램프(10)(전자부품)의 길이방향의 양측단부에 각각 접속 가능한 소켓인 복수의 접속장치(100)와, 이 접속장치(100)를 각각 위치결정 유지하는 프레임(200)(위치결정유지수단)과, 접속장치(100)가 장착되는 기판(300)과, 냉음극 형광램프(10)와 접속장치(100)와의 사이에 각각 개재하는 복수의 어댑터(4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 부(部)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냉음극 형광램프(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척형상의 원주형상의 램프부(11)와, 이 램프부(11)의 길이방향의 양측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리드단자(12)를 가지고 있다.
어댑터(400)는, 도전성을 지니는 선재(線材)를 권회해서 작성된 코일 스프링이다. 이 어댑터(400)는, 도 1, 도 2,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경(小徑)의 좌권형상의 제 1의 접속부(410)(일단부)와, 대경(大徑)의 좌권형상의 제 2의 접속부(420)(타단부)와, 제 1의 접속부(410)와 제 2의 접속부(420)와의 사이의 원추형상의 탄성변형부(430)를 가지고 있다.
제 1의 접속부(410)의 내경은,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단자(12)의 외경보다도 약간 커지고 있다. 즉, 제 1의 접속부(410) 내에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단자(12)의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 1의 접속부(410)는, 리드단자(12)가 삽입된 상태에서, 해당 리드단자(12)의 선단부에 납땜이나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제 2의 접속부(420)의 내경은,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램프부(11)의 직경보 다도 약간 커지고 있다. 즉, 제 2의 접속부(420) 내에 램프부(11)의 길이방향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탄성변형부(430)는, 냉음극 형광램프(10)의 길이방향으로 탄성 변형인 원추형상의 코일부이다. 탄성변형부(430) 내에는, 제 1의 접속부(410) 내에 리드단자(12)의 선단부가 삽입될 때에, 해당 리드단자(12)의 후단부가 통과하게 된다.
프레임(200)은,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백 라이트 유닛의 프레임이다. 이 프레임(20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된 장척형상의 판상체이다. 이 프레임(200)의 상부면은, 냉음극 형광램프(10)로부터 발산된 광속을 반사하는 반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 프레임(200)의 Y방향의 양측단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위치결정구멍(210)이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각 개설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구멍(210)은, 접속장치(100)의 보디(110)의 외형에 대응한 대략 직사각형상의 관통구멍이다. 이 위치결정구멍(210)에 접속장치(100)가 삽입됨으로써, 접속장치(100)가 프레임(200)의 Y방향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각각 일렬로 나열해서 위치결정 유지된다.
각 접속장치(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110)와, 이 보디(110) 내에 장착되는 콘택트(120)를 가지고 있다.
보디(110)는 절연성 수지를 사출 성형한 성형품이다. 이 보디(11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형상의 본체부(111)를 가진다.
이 본체부(111)의 상단부에는, 어댑터(400)의 제 2의 접속부(420)를 수용하기 위한 어댑터수용오목부(11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부(111)의 상단부의 X방향의 양측단부면(보디(110)의 외부면)에는 한 쌍의 걸림볼록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볼록부(112)를 포함한 본체부(111)의 폭 치수가 프레임(200)의 위치결정구멍(210)의 길이 치수보다도 약간 커지고 있다. 이런 연유로, 본체부(111)가 프레임(200)의 위치결정구멍(210)에 삽입되면, 해당 프레임(200)의 위치결정구멍(210)의 가장자리부분(211)이 걸림볼록부(112)를 타고 넘어갈 수 있다.
또, 걸림볼록부(112)의 상하단부가 두께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차 저감하는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프레임(200)의 위치결정구멍(210)의 가장자리부분(211)이 걸림볼록부(112)를 용이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다.
본체부(111)의 중간부의 외부면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볼록부(112)의 하부에 환상(環狀)의 플랜지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볼록부(112)와 플랜지부(113)와의 사이의 거리는, 프레임(200)의 두께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걸림볼록부(112)를 타고 넘어간 프레임(200)의 위치결정구멍(210)의 가장자리부분(211)이, 걸림볼록부(112)와 플랜지부(113)와의 사이에서 유지된다. 즉, 걸림볼록부(112) 및 지지판(113)이 프레임(200)의 위치결정구멍(210)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수단이 되고 있다.
본체부(111)의 하단부에는, 콘택트(120)의 압입판(121) 및 접촉부(123)를 고착하기 위한 콘택트수용구멍부분(111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콘택트수용구멍부분(111b)의 바닥부분에는, 어댑터수용오목부(111a)에 연통하는 도출구멍(11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도출구멍(111c)을 통해서 콘택트(120)의 클램프편(122)이 어댑 터수용오목부(111a)에 도출된다.
본체부(111)의 하단부의 Y방향의 양측단부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형상의 한 쌍의 걸림편(114)이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편(114)의 상단부는 플랜지부(113)의 Y방향의 양측단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걸림편(114)의 하단부의 외부면에는, 클로부(114a)가 형성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로부(114a)와 본체부(111)의 하단부면과의 사이의 높이 치수(L)가, 기판(300)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걸림클로부(114a)가 기판(300)의 후술하는 걸림구멍(310)의 가장자리부분(312a)에 걸리게 되면, 본체부(111)와 걸림클로부(114a)와의 사이에서 기판(300)을 건다. 또한, 클로부(114a)의 X방향측의 단부의 상단부면이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으며, 클로부(114a)가 기판(300)의 걸림구멍(310)의 폭광구멍(311)에서 폭협구멍(312)으로 이동될 때에, 해당 폭협구멍(312)의 가장자리부분(312a)에 걸려 멈추지 않도록 되어 있다.
콘택트(120)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 프레스 성형된 것이다. 이 콘택트(1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상의 압입판(121)과, 이 압입판(121)의 상단부에 연속되는 클램프편(122)과, 압입판(121)의 하단부에 연속되는 접촉부(123)를 가지고 있다.
압입판(121)은 양측단부에 한 쌍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를 포함한 압입판(121)의 폭 치수가, 콘택트수용오목부(111)의 Y방향의 양측 내부벽면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약간 커지고 있다. 이런 연유로, 압입판(121)은, 도 4(c) 및 도 4(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택트수용구멍부분(111b)에 압입되어 유지된다.
클램프편(122)은 선단부가 대략 V자형상으로 절곡된 탄성 변형 가능한 판상체(板狀體)이다. 이 클램프편(122)의 선단부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110)의 도출구멍(111c)을 통해서 어댑터수용오목부(111a)에 삽입되어, 해당 어댑터수용오목부(111a)의 X방향측 벽면부(111a1)와 대향한다. 클램프편(122)의 선단부의 절곡부와 어댑터수용오목부(111a)의 벽면부(111a1)와의 사이의 거리는, 어댑터(400)의 제 2의 접속부(420)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아지고 있다. 이런 연유로, 클램프편(122)의 선단부와 어댑터수용오목부(111a)의 벽면부(111a1)와의 사이에, 제 2의 접속부(420)가 삽입되면, 클램프편(122)이 탄성 변형되고, 클램프편(122)의 선단부와 어댑터수용오목부(111a)의 벽면부(111a1)와의 사이에서 어댑터(400)의 제 2의 접속부(420)를 끼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접촉부(123)는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사행(蛇行) 만곡암이다. 이 접촉부(123)의 선단부는, 도 4(d) 및 도 4(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110)의 콘택트수용구멍부분(111b)으로부터 하부로 돌출하며, 기판(300)의 후술하는 접점패턴(320)에 탄성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판(300)은 주지(周知)의 프린트기판이다. 이 기판(300)의 Y방향의 양측단부에는, 복수의 접속장치(100)의 한 쌍의 걸림편(114)을 거는 복수조의 한 쌍의 걸림구멍(310)이 각각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개설되어 있다.
각 걸림구멍(310)은,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X방향을 향한 장공이다. 이 걸림구멍(310)은, 대략 직사각형의 폭광구멍(311)과, 이 폭광구멍(311)에 연통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폭협구멍(312)을 가진다.
폭광구멍(311)의 폭 치수는, 걸림편(114)의 하단부 및 클로부(114a)의 두께 치수를 합한 치수보다도 약간 커지고 있다. 이런 연유로, 폭광구멍(311)에 걸림편(114)이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폭협구멍(312)의 폭 치수는, 걸림편(114)의 두께 치수보다도 약간 크고 또한 걸림편(114)의 하단부 및 클로부(114a)의 두께 치수를 합한 치수보다도 작아지고 있다. 이런 연유로, 걸림편(114)이 폭광구멍(311)에 삽입되어, 해당 폭광구멍(311)에서 폭협구멍(312)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도 1(a), 도 1(b)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편(114)의 클로부(114a)가 폭협구멍(312)의 가장자리부분(312a)에 걸리게 된다.
또, 기판(300) 위의 한 쌍의 걸림구멍(310)의 폭협구멍(312)의 사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점패턴(3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점패턴(320)은, 걸림편(114)이 폭협구멍(312)의 가장자리부분(312a)에 걸리게 된 상태에서, 접속장치(100)의 콘택트(120)의 접촉부(123)에 접촉된다.
이하, 상술한 접속장치(100)를 2개의 프레임(200)에 장착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접속장치(100)의 보디(110)를 프레임(200)의 위치결정구멍(210)에 하부에서 삽입한다. 그러면, 프레임(200)의 위치결정구멍(210)의 양측가장자리부분(211)이 보디(110)의 한 쌍의 걸림볼록부(112)를 타고 넘어가, 플랜지부(113)에 각각 접촉된다. 그러면, 프레임(200)의 위치결정구멍(210)의 양측가장자리부 분(211)이 보디(110)의 한 쌍의 걸림볼록부(112)와 플랜지부(113)와의 사이에서 각각 유지된다. 이 순서를 반복해서, 복수의 접속장치(100)를 프레임(200)의 Y방향의 양측단부에 각각 장착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접속장치(100)가 프레임(200)의 상기 양측단부에 각각 일렬로 위치결정 유지된다.
이하, 이와 같이 프레임(200)의 Y방향의 양측단부에 각각 장착된 복수의 접속장치(100)를 기판(300)의 Y방향의 양측단부에 각각 접속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프레임(200)을 파지하고, 프레임(200)의 상기 양측단부에 장착된 복수의 접속장치(100)의 한 쌍의 걸림편(114)을, 기판(300)의 상기 양측단부의 복수조의 한 쌍의 걸림구멍(310)의 폭광구멍(311)에 각각 위치를 맞추면서 삽입한다. 그러면, 접속장치(100)의 본체부(111)의 하단부가 기판(300)의 면 위에 각각 접촉되는 동시에, 해당 접속장치(100)의 콘택트(120)의 접촉부(123)가 기판(300)의 면 위에 각각 탄성 접촉된다.
그 후, 프레임(200)을 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접속장치(100)의 한 쌍의 걸림편(114)이 한 쌍의 걸림구멍(310)의 폭광구멍(311)에서 폭협구멍(312)으로 각각 이동되어, 해당 걸림편(114)의 클로부(114a)가 폭협구멍(312)의 가장자리부분(312a)에 각각 걸리게 된다. 이에 의해, 걸림클로부(114a)와 본체부(111)와의 사이에서 기판(300)이 걸리게 된다.
이때, 접속장치(100)의 콘택트(120)의 접촉부(123)가 기판(300)의 접점패턴(320)에 각각 탄성 접촉된다. 이와 같이 해서 복수의 접속장치(100)가 기판(300) 의 상기 양측단부 위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접속장치(100)를 기판(300)의 Y방향의 양측단부에 각각 접속한 후, 기판(300)의 상기 양측단부에 접속된 접속장치에 프레임(200)을 각각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냉음극 형광램프(10)의 양측단부에 어댑터(400)를 각각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냉음극 형광램프(10)의 한쪽의 리드단자(12)를 어댑터(400)의 제 2의 접속부(420) 및 탄성변형부(430)를 통해서 제 1의 접속부(410) 내에 삽입한다. 그러면,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램프부(11)의 일단부가 어댑터(400)의 제 2의 접속부(420) 내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단자(12)를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어댑터(400)의 제 1의 접속부(410)에 접속한다.
그 후, 마찬가지로,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다른 쪽 리드단자(12)를 어댑터(400)에 삽입하여, 해당 어댑터(400)의 제 1의 접속부(410)에 접속한다.
이하, 냉음극 형광램프(10)의 양측단부에 각각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된 어댑터(400)를 기판(300)의 Y방향의 양측단부에 접속된 접속장치(100)에 접속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냉음극 형광램프(10)의 양측단부에 접속된 어댑터(400)의 제 2의 접속부(420)를, 기판(300)의 Y방향의 양측단부에 접속된 접속장치(100)의 어댑터수용오목부(111a)에 각각 상부에서 삽입한다.
그러면, 접속장치(100)의 콘택트(120)의 클램프편(122)의 선단부가 어댑터(400)의 제 2의 접속부(420)에 압압된다. 이에 의해, 클램프편(122)이 어댑터수용오목부(111a)의 벽면부(111a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 후, 어댑터(400)의 제 2의 접속부(420)가 클램프편(122)의 선단부를 각각 타고 넘어가면, 클램프편(122)이 복원된다. 이에 의해, 어댑터(400)의 제 2의 접속부(420)가 클램프편(122)의 선단부와 접속장치(100)의 어댑터수용오목부(111a)의 벽면부(111a1)와의 사이에 끼워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해서 냉음극 형광램프(10)의 양측단부가 어댑터(400)를 개재해서 접속장치(100)에 각각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이하, 냉음극 형광램프(10)의 양측단부가 어댑터(400)를 개재해서 접속장치(100)에 각각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해당 냉음극 형광램프(10)가 외부기온의 변화에 의해 열팽창 또는 열수축했을 때의 어댑터(4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냉음극 형광램프(10)가 열팽창되면, 해당 냉음극 형광램프(10)의 양측 리드단자(12) 및 이것에 접속된 어댑터(400)의 제 1의 접속부(410)가 각각 냉음극 형광램프(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어댑터(400)의 제 2의 접속부(420)는 접속장치(100)의 클램프편(122)과 어댑터수용오목부(111a)의 벽면부(111a1)와의 사이에 끼워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변형부(430)가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신한다. 이에 의해, 냉음극 형광램프(10)의 열팽창 시에, 리드단자(12) 및 램프부(11)의 리드단자(12)의 근원(根元)부분에 인가되는 부하가 경감된다.
한편, 냉음극 형광램프(10)가 열수축되면, 해당 냉음극 형광램프(10)의 양측 리드단자(12) 및 이것에 접속된 어댑터(400)의 제 1의 접속부(410)가 각각 상기 열팽창의 이동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어댑터(400)의 제 2의 접속부(420)는 접속장치(100)의 클램프편(122)과 어댑터수용오목부(111a)의 벽면부(11a1)와의 사이에 끼워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변형부(430)가 상기 길이방향으로 수축된다. 이에 의해, 냉음극 형광램프(10)의 열수축 시에, 리드단자(12) 및 램프부(11)의 리드단자(12)의 근원부분에 인가되는 부하가 경감된다.
이하, 본 기판 접속구조의 유지보수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냉음극 형광램프(10) 또는 어댑터(400)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냉음극 형광램프(10)를 상부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냉음극 형광램프(10)의 양측단부에 접속된 어댑터(400)가, 기판(300)의 Y방향의 양측단부에 접속된 접속장치(100)의 클램프편(122)의 선단부와 접속장치(1OO)의 어댑터수용오목부(111a)의 벽면부(111a1)와의 끼워짐으로부터 각각 해방되어, 해당 접속장치(1OO)의 어댑터수용오목부(111a)로부터 꺼내진다. 이와 같이 해서 문제가 있는 냉음극 형광램프(10) 또는 어댑터(400)를 분리하여, 교환한다.
기판(300) 또는 접속장치(100)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기판(300)을 -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프레임(200)의 상기 양측단부에 장착된 복수의 접속장치(100)의 한 쌍의 걸림편(114)이 한 쌍의 걸림구멍(310)의 폭협구멍(312)에서 폭광구멍(311)으로 각각 이동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걸림편(114)의 클로부(114a)와 폭협구멍(312)의 가장자리부분(312a)과의 걸림이 각각 해제된다.
그 후, 기판(300)을 하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접속장치(100)의 걸림편(114)이 한 쌍의 걸림구멍(310)의 폭광구멍(311)으로부터 꺼내진다. 이와 같이 해서 프레임(200)의 상기 양측단부에 장착된 접속장치(100)을 기판(300)으로부터 한 번에 분리한다.
이와 같이 냉음극 형광램프(10)가 어댑터(400)를 개재해서 접속장치(100)에 접속된 상태에서, 해당 접속장치(100)로부터 기판(300)을 분리할 때에, 냉음극 형광램프(10)가 진동된다. 이 진동은, 어댑터(400)의 탄성변형부(430)가 X, Y 및/또는 Z방향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흡수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에 의해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단자(12) 및 램프부(11)의 리드단자(12)의 근원부분에 인가되는 부하가 경감된다.
그 후, 기판(300)을 교환한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냉음극 형광램프(10) 및 어댑터(400)를 분리한 후, 교환이 필요한 접속장치(100)를 하부를 향해서 압압한다. 그러면, 프레임(200)의 위치결정구멍(210)의 가장자리부분(211)이 접속장치(100)의 한 쌍의 걸림볼록부(112)를 타고 넘어간다. 이에 의해, 접속장치(100)가 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된다.
부품교환 후, 냉음극 형광램프(10)가 어댑터(400)를 개재해서 접속장치(100)에 접속된 상태에서, 해당 접속장치(100)가 상술한 순서로 다시 기판(300)을 장착할 수 있다. 이때에도, 냉음극 형광램프(10)가 진동되지만, 이 진동은 어댑터(400)의 탄성변형부(430)가 X, Y 및/또는 Z방향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흡수된다.
이와 같은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에 의한 경우, 접속장치(100)의 한 쌍의 걸림편(114)을 기판(300)의 한 쌍의 걸림구멍(310)의 폭광구멍(311)에 삽입하고, 한 쌍의 걸림편(114)을 폭광구멍(311)에서 폭협구멍(312)으로 이동시키기만 해도, 해당 걸림편(114)이 폭협구멍(311)의 가장자리부분(312a)에 걸리게 되는 동시에, 접속장치(100)의 콘택트(120)의 접촉부(123)가 기판(300)의 접점패턴(320)에 탄성 접촉된다. 이런 연유로, 종래예와 같이 복수의 클립을 장착하지 않고, 복수의 접속장치(100)를 기판(300)에 간단히 접속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간단해진다. 또, 상기 클립 부분, 부품점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 접속구조는, 종래예에 비해서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걸림편(114)이 폭협구멍(311)의 가장자리부분(312a)에 걸리게 되는 동시에, 콘택트(120)의 접촉부(123)가 기판(300)의 접점패턴(320)에 탄성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종래예와 같이 클립의 유지력의 저하에 의해, 접속장치와 기판과의 전기접속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프레임(200)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기만 해도, 해당 프레임(200)에 장착된 복수의 접속장치(100)의 한 쌍의 걸림편(114)이 기판(300)의 폭협구멍(312)에서 폭광구멍(311)으로 이동되므로, 해당 접속장치(100)를 기판(300)으로부터 한 번에 분리할 수 있다. 그 후, 수리 교환을 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냉음극 형광램프(10)를 상부로 이동시키기만 해도, 해당 냉음극 형광램프(10) 및 어댑터(400)를 접속장치(100)로부터 분리하여, 교환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므로, 이 점에서도 유지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취지에 적합한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접속장치의 설계변형예를 예시한 개략도로서, 도 9(a)가 정면 우측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9(b)가 배면 좌측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9(c)가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C-C단면도이고, 도 1O은 동일 접속구조의 어댑터의 설계변형예를 예시한 개략도로서, 도 10(a)가 냉음극 형광램프의 단부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b)가 냉음극 형광램프의 단부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c)가 사시도이고, 도 11은 동일 접속구조의 어댑터의 다른 설계변형예를 예시한 개략도로서, 도 11(a)가 열음극 형광램프의 단부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b)가 열음극 형광램프의 단부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c)가 열음극 형광램프의 단부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접속장치(100)는, 걸림편(114)이 설치되어 있다고 설명하였지만, 이를 대신해서, 걸림구멍(31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걸림편(114)이 기판(300)에 설치된다. 또, 걸림편(114)은 2개 설치되어 있다고 설명하였지만, 적어도 1개 있으면 된다. 이 점은, 걸림구멍(310)도 동일하며, 1개의 접속장치(100)의 걸림편(114)에 대응하는 1개의 걸림구멍이 있으면 된다.
또, 걸림편(114)은, 평판형상이라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막대형상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걸림편(114)에는, 걸림클로부(114a)가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걸림구멍(310)도 장공이며, 상기 걸림편이 슬라이드 또는 회전에 의해, 해당 걸림구멍의 가장자리부분에 걸리게 될 수 있는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걸림구멍(310)의 폭 치수를 폭광구멍(311)에서 폭협구멍(312)을 걸쳐서 점차 저감하도록 설정하고, 걸림편(114)이 폭협구멍(312)에 압입됨으로써, 해당 폭협구멍(312)의 폭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분(312a)의 사이에서 걸리게 되도록 설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속장치(1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110)의 X방향의 양측단부면에 한 쌍의 걸림볼록부(112)를 대신해서, 한 쌍의 걸림암(112')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걸림암(112')은, 접속장치(100)의 상기 양측단부면에 접속된 기단부 및 플랜지부(113)와 극간을 두고 대향하는 선단부를 가진다. 걸림암(122')은, 상기 선단부와 상기 양측단부면과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기단부와 상기 양측단부면과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커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 접속장치(100)를 프레임(200)의 위치결정구멍(210)에 삽입하면, 걸림암(112')이 위치결정구멍(210)의 가장자리부분(211)에 압압되고, 보디(110)의 상기 양측단부면을 향해서 탄성 변형된다. 위치결정구멍(210)의 가장자리부분(211)이 걸림암(112')의 선단부 위를 통과하면, 걸림암(112')이 복원된다. 이에 의해,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암(112')의 선단부와 플랜지부(113)와의 사이에서 위치결정구멍(210)의 가장자리부분(211)이 걸리게 됨으로써, 접속장치(100)를 프레임(200)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다.
또, 걸림암(112')을 보디(110)의 양측단부면측에 압압하여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위치결정구멍(210)의 가장자리부분(211)이 걸림암(112')의 선단부와 플랜지 부(113)와의 사이의 걸림으로부터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접속장치(100)를 프레임(200)에 대해서 걸림암(112')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접속장치(100)를 프레임(200)으로부터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탈락방지수단이, 걸림볼록부(112) 및 지지판(113)이라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보디(110)에 편부재를 구비하고, 프레임(200)의 위치결정구멍(210)의 가장자리부분(211)에 형성한 구멍에 상기 편부재를 걸리게 하도록 해도 된다.
걸림볼록부(112)에 대해서는, 상하 단부가 두께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차 저감하는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있다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걸림볼록부(112)는 프레임(200)을 걸 수 있는 돌기형상의 것인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랜지부(113)에 대해서는, 프레임(200)의 위치결정구멍(210)의 가장자리부분(211)에 접촉되고, 상기 걸림볼록부와의 사이에서 해당 가장자리부분(211)을 걸 수 있는 것인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콘택트(120)에 대해서는,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단자(12)에, 직접적으로 또는 어댑터(400)를 개재해서 간접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것인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콘택트(120)의 클램프편(122)은, 보디(110)의 어댑터수용오목부(111a)의 상기 벽면부와의 사이에서 어댑터(400)의 제 2의 접속부(420)를 끼워 유지함으로써,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단부에 어댑터(400)를 개재해서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된다고 설명하였지만, 냉음극 형광램프(10) 등의 전자부품의 단부에, 직접 또는 어댑터(400)를 개재해서 간접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 1의 접속부인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의 접속부로서는, 리드단자(12) 또는 어댑터(400)의 제 1의 접속부(410)가 끼워 맞춰지는 대략 U자 형상의 접속편이나 한 쌍의 클램프편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콘택트(120)의 접촉부(123)는, 기판(300)의 접점패턴(320)에 탄성 접촉하는 한 쌍의 사행 만곡암이라고 설명하였지만, 기판(300)의 접점패턴(320)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 2의 접속부인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의 접속부로서는, 기판(300)의 접점패턴(320)에 납땜되는 대략 L자 형상의 편부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기판(3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선 등이 압착되는 압착부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댑터(400)는, 냉음극 형광램프(10) 등의 전자부품의 단부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 가능한 일단부와, 접속장치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타단부와, 일단부와 타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또한 적어도 전자부품의 길이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를 가지는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어댑터(400)는, 코일 스프링이라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400')는, 도전성을 지니는 판체를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작성할 수 있다. 이 어댑터(400')는, 단면에서 보 면 대략 L자 형상의 판체인 제 1의 접속부(410')와, 원통형상의 판체인 제 2의 접속부(420')와, 제 1, 제 2의 접속부(410', 420')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변형부(430')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제 1의 접속부(410')에는, 리드단자(12)를 통과하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변형부(430')는 부분적으로 노치된 원통형상의 판체로서, 탄성변형부(430)와 같이, 냉음극 형광램프(10)의 길이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부품이 냉음극 형광램프(10)가 아니라, 열음극 형광램프(20)인 경우에는, 어댑터(400'')는, 도전성을 지니는 판체를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작성할 수 있다. 이 어댑터(400'')는, 단면에서 보면 대략 L자 형상의 판체인 제 1의 접속부(410'')와, 반원호형상의 판체인 제 2의 접속부(420'')와, 제 1, 제 2의 접속부(410'', 420'')의 사이에 형성된 측면에서 보면 대략 S자 형상의 탄성변형부(430'')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제 1의 접속부(410'')에는, 열음극 형광램프(20)의 리드단자(22)를 통과하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변형부(430'')는, 탄성변형부(430)와 같이, 열음극 형광램프(20)의 길이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어댑터(400)에 대해서는, 냉음극 형광램프(10) 등의 전자부품이 접속장치(100)에 직접 접속되는 경우에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레임(200)에 대해서는, 접속장치(100)를 냉음극 형광램프(10) 등의 전자부품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해서 유지할 수 있는 위치결정유지수단 인 경우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판형상의 위치결정유지수단의 단부에 복수의 볼록부를 형성하고, 해당 볼록부를 접속장치의 구멍부분에 끼워 맞춤으로써, 해당 접속장치를 전자부품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해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판형상의 위치결정유지수단의 단부에 복수의 구멍부분을 형성하고, 해당 구멍부분에 접속장치에 형성된 볼록부를 끼워 맞춤으로써, 해당 접속장치를 전자부품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해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혹은, 판형상의 위치결정유지수단의 단부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해당 오목부에 상기 접속장치를 끼워 맞추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멍부분 및 볼록부를 이용하는 경우, 걸림볼록부(112) 및 플랜지부(113)는 생략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레임(200)의 Y방향의 양측단부에 복수의 위치결정구멍(210)이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2매의 프레임(200)의 중앙부에 위치결정구멍(210)을 X방향으로 일렬로 개설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한쪽 프레임(200)의 위치결정구멍(210)에 냉음극 형광램프(10)의 일단부에 접속되는 접속장치가 위치결정 유지되고, 다른 쪽 프레임(200)의 위치결정구멍(210)에 냉음극 형광램프(10)의 타단부에 접속되는 접속장치가 위치결정 유지된다. 이 경우에도, 위치결정구멍(210)을 대신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 구멍부분이나 오목부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프레임(200)(위치결정유지수단)은, 어댑터(400)를 이용하지 않고, 전자부품을 직접 접속장치(100)에 접속하는 경우에도 적응 가능하다.
프레임(200)은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걸림볼록부(112) 및 플랜지부(113)도 생략할 수 있다.
기판(300)에 대해서는, 프린트기판이라고 설명하였지만, 전자부품이 접속되는 전기회로가 작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적어도 접속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판재이면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은, 냉음극 형광램프(10)가 접속 가능한 소켓인 접속장치(100)와 기판(300)과의 접속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해당 접속구조는, 후술하는 전자부품이 접속 가능한 커넥터 등의 접속장치와 기판과의 접속구조로서 적응 가능하다. 전자부품으로서는, 상술한 냉음극 형광램프(10)나 열음극 형광램프(20) 등의 조명용 라이트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커넥터에 접속 가능한 플러그나 케이블 등의 그 외의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각 부의 형상이나 배치에 대해서는,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인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1(a)가 정면도, 도 1(b)가 A-A단면도;
도 2는 동일 접속구조의 일단부측의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동일 접속구조의 도 2의 α부분의 개략적 분해사시도;
도 4는 동일 접속구조의 접속장치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4(a)가 정면도, 도 4(b)가 평면도, 도 4(c)가 저면도, 도 4(d)가 측면도, 도 4(e)가 사시도, 도 4(f)가 B-B단면도;
도 5는 동일 접속구조의 접속장치의 보디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5(a)가 정면도, 도 5(b)가 평면도, 도 5(c)가 저면도, 도 5(d)가 측면도, 도 5(e)가 사시도;
도 6은 동일 접속구조의 접속장치의 콘택트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6(a)가 정면 우측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6(b)가 배면 좌측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동일 접속구조의 어댑터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7(a)가 정면 우측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7(b)가 배면 좌측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동일 접속구조의 접속장치의 걸림편이 기판의 걸림구멍의 가장자리부분에 걸리게 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8(a)가 프레임을 분리한 상태의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8(b)가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9는 동일 접속구조의 접속장치의 설계변형예를 예시한 개략도로서, 도 9(a)가 정면 우측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9(b)가 배면 좌측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9(c)가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C-C단면도;
도 1O은 동일 접속구조의 어댑터의 설계변형예를 예시한 개략도로서, 도 10(a)가 냉음극 형광램프의 단부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b)가 냉음극 형광램프의 단부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c)가 사시도;
도 11은 동일 접속구조의 어댑터의 다른 설계변형예를 예시한 개략도로서, 도 11(a)가 열음극 형광램프의 단부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b)가 열음극 형광램프의 단부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c)가 열음극 형광램프의 단부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냉음극 형광램프(전자부품) 20: 열음극 형광램프(전자부품)
100: 접속장치 110: 보디
112: 걸림볼록부 113: 플랜지부
114: 걸림편 120: 콘택트
123: 접촉부 200: 프레임(위치결정유지수단)
210: 위치결정구멍 300: 기판
310: 걸림구멍 311: 폭광구멍
312: 폭협구멍 400: 어댑터
410: 제 1의 접속부 420: 제 2의 접속부
430: 제 3의 접속부

Claims (13)

  1. 전자부품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속장치와,
    접속장치가 면 위에 장착되는 기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접속장치는, 해당 접속장치를 기판의 면 위에 장착하기 위한 걸림편(係止片)을 가지고 있으며,
    기판은, 걸림편이 삽입 가능한 장공(長孔)형상의 걸림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걸림편이 걸림구멍 안을 소정방향으로 슬라이드 또는 회전되면, 걸림편이 걸림구멍의 가장자리부분에 걸리게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걸림편이, 접속장치가 아니라, 기판에 설치되어 있으며,
    걸림구멍이, 기판이 아니라, 접속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걸림구멍은, 폭광(幅廣)구멍과, 이 폭광구멍에 연속되는 폭협(幅狹)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걸림편이, 폭광구멍에 삽입되고, 해당 폭광구멍에서 폭협구멍으로 슬라이드 됨으로써, 해당 폭협구멍의 가장자리부분에 걸리게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접속장치가 기판의 면 위에 나열해서 유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접속장치를 기판에 착탈(着脫)할 때에, 접속장치를 상기 기판의 면 위의 배치에 따라서 각각 위치결정 유지하는 위치결정유지수단을 부가해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는, 복수의 전자부품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 가능한 한쪽 복수의 상기 접속장치와, 상기 전자부품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 가능한 다른 쪽 복수의 상기 접속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결정유지수단은, 한쪽의 상기 접속장치와, 다른 쪽의 상기 접속장치를 각각 상기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해서 위치결정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
  6.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부품과 접속장치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어댑터를 부가해서 구비하고 있으 며,
    어댑터는, 전자부품의 단부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 가능한 일단부와,
    접속장치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타단부와,
    일단부와 타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또한 적어도 전자부품의 길이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탄성변형부는, 전자부품과 접속장치가 어댑터를 개재해서 접속된 상태에서, 해당 접속장치를 기판에 착탈할 때에, 전자부품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속장치는, 상기 걸림편 또는 걸림구멍이 형성된 보디와, 이 보디 내에 장착된 콘택트를 가지고 있으며,
    콘택트는, 보디로부터 기판을 향해 돌출하는 접촉부를 가지고 있으며,
    걸림편이 걸림구멍의 가장자리부분에 걸리게 되면, 접촉부가 기판의 면 위의 접점패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위치결정유지수단은, 기판에 대향 배치되는 장척(長尺)형상의 부재이며 또한 접속장치가 각각 삽입되는 위치결정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속장치는, 해당 접속장치가 위치결정유지수단의 위치결정구멍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수단을 부가해서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탈락방지수단은, 접속장치의 외부면에 형성된 볼록형상의 플랜지부와, 상기 외부면에 상기 접속장치의 삽입방향으로 플랜지부와 간격을 두고 형성된 걸림볼록부를 가지고 있으며,
    접속장치가 위치결정구멍에 삽입되면, 위치결정유지수단의 위치결정구멍의 가장자리부분이 걸림볼록부를 타고 넘어가, 해당 걸림볼록부와 플랜지부와의 사이에서 걸리게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플랜지부의 상기 삽입방향의 양측단부는, 두께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차 저감하는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
  12. 제10항에 있어서,
    접속장치는, 걸림볼록부를 대신해서, 접속장치의 상기 외부면에 접속된 기단부(基端部) 및 플랜지부와 극간을 두고 대향하는 선단부를 가지는 걸림암을 구비하고 있으며,
    걸림암은, 상기 선단부와 상기 외부면과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기단부와 상기 외부면과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커지고 있으며,
    접속장치가 위치결정구멍에 삽입되면, 걸림암이 위치결정구멍의 가장자리부분에 압압되고, 해당 걸림암이 상기 외부면을 향해서 탄성 변형되고,
    위치결정구멍의 가장자리부분이 걸림암의 선단부 위를 통과하면, 해당 걸림암이 복원되고, 이에 의해 위치결정구멍의 가장자리부분이 걸림암의 선단부와 플랜지부와의 사이에서 걸리게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이 조명용 라이트이고,
    위치결정유지수단은, 조명용 라이트로부터 발산된 광속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
KR1020090078010A 2008-09-03 2009-08-24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 KR201000279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25983 2008-09-03
JP2008225983A JP2010061971A (ja) 2008-09-03 2008-09-03 接続装置の基板接続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967A true KR20100027967A (ko) 2010-03-11

Family

ID=41328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010A KR20100027967A (ko) 2008-09-03 2009-08-24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055976A1 (ko)
EP (1) EP2161975A3 (ko)
JP (1) JP2010061971A (ko)
KR (1) KR20100027967A (ko)
CN (1) CN101667705A (ko)
CA (1) CA2677419A1 (ko)
TW (1) TW2010213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87699B (zh) * 2008-10-28 2013-03-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燈座
TWI381225B (zh) 2009-04-08 2013-01-01 Au Optronics Corp 具纏繞體電連接套的燈管裝置及光源模組
WO2014090191A1 (zh) * 2012-12-14 2014-06-19 东莞巨扬电器有限公司 电连接装置以及应用该电连接装置的灯具
DE202014004396U1 (de) * 2014-05-26 2014-09-01 Dehn + Söhne Gmbh + Co. Kg Adapter zur Montage von als Steckmodule ausgeführten ein- oder mehrpoligen Überspannungsschutzgeräten sowie Verwendung eines derartigen Adapters
JP6698650B2 (ja) * 2015-06-26 2020-05-27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コネクタ、コネクタ搭載基板、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JP7232406B2 (ja) * 2019-06-25 2023-03-0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3015A (en) * 1967-03-30 1969-10-14 Ford Motor Co Bulb socket with light filter
US6312285B1 (en) * 1999-02-25 2001-11-06 Molex Incorporated Panel mounting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s
US6039612A (en) * 1999-03-03 2000-03-21 Eaton Corporation Arrangement for mounting terminal blocks in a mounting panel
US6210215B1 (en) * 1999-11-24 2001-04-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anel mount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238242B1 (en) * 2000-06-19 2001-05-2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anel-mount connector
US6428352B1 (en) * 2000-06-30 2002-08-06 Silicon Graphics, Inc. Fastenerless circuit board support
JP2002157913A (ja) * 2000-11-21 2002-05-31 Koyo:Kk 電球取付装置
JP3903719B2 (ja) * 2001-02-28 2007-04-11 三菱化学株式会社 熱安定性の優れたビスフェノール化合物
US6506081B2 (en) * 2001-05-31 2003-01-1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Float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 staggered overlapping contact pattern
KR20030067127A (ko) * 2002-02-07 2003-08-14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니트
JP3867040B2 (ja) * 2002-10-25 2007-01-10 松下電工株式会社 ランプソケット及びそれを用いる照明器具
TWM248218U (en) * 2003-11-18 2004-10-21 Hon Hai Prec Ind Co Ltd A mounting device for a motherboard tray
US6994577B2 (en) * 2004-06-17 2006-02-07 Molex Incorporated Panel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7168956B2 (en) * 2005-05-17 2007-01-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even point wire harness connector
JP2006344602A (ja) * 2005-06-09 2006-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ランプ、ランプホルダー、電源供給モジュール、そ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
JP2007149979A (ja) * 2005-11-28 2007-06-14 Orion Denki Kk 部品取付用誘導部を備えるプリント基板
JP4406935B2 (ja) * 2006-03-03 2010-02-03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放電管用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放電管
JP2008027591A (ja) * 2006-07-18 2008-02-07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蛍光管用コネクタ及び蛍光管の取付方法
CA2638982A1 (en) * 2007-10-12 2009-04-12 Hosiden Corporation Buffer, adapter, and connecting device for attaching the same buffer or adapter
JP2009146820A (ja) * 2007-12-17 2009-07-02 Hosiden Corp コンタクト及び接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61975A2 (en) 2010-03-10
CN101667705A (zh) 2010-03-10
JP2010061971A (ja) 2010-03-18
TW201021333A (en) 2010-06-01
CA2677419A1 (en) 2010-03-03
EP2161975A3 (en) 2010-04-14
US20100055976A1 (en)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839B1 (ko) 고체 조명 조립체
JP5143906B2 (ja) 電気部品取付組立体
US8851903B2 (en) Connector assemblies for connector systems
KR20100027967A (ko)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
KR101919160B1 (ko) Led 소켓 조립체
JP2005259370A (ja) 蛍光管用コネクタ装置
CN110265840B (zh) 组件以及用于在灯基座内形成电接触部的方法
EP3260774B1 (e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KR20090065461A (ko) 콘택트 및 접속장치
KR20090037812A (ko) 완충구 및 어댑터, 및 완충구 또는 어댑터가 장착되는 접속장치
US20130288497A1 (en)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for providing normal force in electrical connector
US20180187870A1 (en) Light-emitting arrangement and light-emitting system
JP2005243407A (ja) ランプ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1840449B1 (ko)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
KR101177739B1 (ko) 컨택트 및 커넥터
KR100774427B1 (ko) 램프 소켓
JP2010182503A (ja) 抜け止め部材及び接続装置の基板接続構造
JPH01115073A (ja) 蛍光ランプ用ソケット
TW201509001A (zh) 具有照明發光二極體之板子之電連接夾
JP2008117704A (ja) バックライト用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2009134973A (ja) 多連コネクタ
KR20170067755A (ko) 회로기판을 전기베이스에 커플링하기 위한 스프링 잠금 클립
JPH10123967A (ja) 照明装置
JP2008117703A (ja) バックライト用コネクタ
KR20090067500A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