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5938A - 냉동 덮밥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냉동 덮밥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938A
KR20100025938A KR1020080084694A KR20080084694A KR20100025938A KR 20100025938 A KR20100025938 A KR 20100025938A KR 1020080084694 A KR1020080084694 A KR 1020080084694A KR 20080084694 A KR20080084694 A KR 20080084694A KR 20100025938 A KR20100025938 A KR 20100025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frozen
sauce
bowl
frozen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5112B1 (ko
Inventor
서우덕
김진현
최재원
박은경
민용재
이강표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080084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112B1/ko
Priority to PCT/KR2009/004798 priority patent/WO2010024611A2/ko
Publication of KR20100025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 덮밥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결된 밥 위에 덮밥용 소스를 블럭화 하여 동결 후 얹은 다음 함께 포장하여 제조함으로써 한 번의 전자레인지 조리로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밥 고유의 맛을 구현해 낼 수 있는 냉동 덮밥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덮밥, 냉동, 블럭화, 동결 소스, 냉동 밥

Description

냉동 덮밥 및 이의 제조 방법{A frozen rice food topped with seasoned meat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냉동 덮밥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결된 밥 위에 덮밥용 소스를 블럭화 하여 동결 후 얹은 다음 함께 포장하여 제조함으로써 한 번의 전자레인지 조리로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밥 고유의 맛을 구현해 낼 수 있는 냉동 덮밥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밥은 예로부터 우리나라의 주식으로 애용되어 왔고 밥을 활용한 덮밥 등과 같은 메뉴들은 많이 접할 수 있다.
쌀은 우리의 주식으로서 우리 식생활에 밥이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히 크며, 지은 직후에 밥맛이 가장 좋다는 등의 이유로 매 식사마다 취반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취반 직후에 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화하여 딱딱해 지고 끈기가 없게 되어 밥맛이 떨어지게 되는데, 적절한 방법으로 냉동하여 조리하면 금방 지은 것에 가까운 밥 상태로 해 줄 수 있다.
종래의 밥을 활용한 덮밥제품은 소스와 밥을 별도로 포장해 담은 형태로 전자레인지 조리시 여러 번 손이 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별도로 포장되어 있 는 소스와 밥의 포장지를 각각 개봉하여 소스를 밥 위에 부은 뒤 전자레인지에 넣어 조리하거나, 소스와 밥을 각각 전자레인지에 넣어 조리한 다음 소스를 밥 위에 부어야 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 냉동밥류는 볶음밥(필라프)의 형태로 제조, 유통되어 왔고 한국 전통음식이 아닌 메뉴들로 구성되어 있다. 제조과정 또한 야채 등 부재료들이 첨가되어 밥 고유의 맛을 구현해 내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냉동밥류에 관한 특허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5-0016559호에 일반미 밥 65~75중량%, 조미액 3~7중량%, 오일혼합물 2.5~4.5중량%, 조미계육 5~9중량%, 볶은 계란 6~9중량% 및 혼합야채 4.5~10.5중량%로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이를 급속냉동시켜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야채 볶음밥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23726호에는 쌀을 주원료로 취반하여 제조하는 냉동밥에 있어서, 일정 두께의 밥덩이와 밥덩이 사이에 일정량의 채소류를 혼입 충전하여 밥 덩어리 심부에 공극을 크게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류를 혼입하여 제조한 냉동밥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한 번의 전자레인지 조리로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밥 고유의 맛을 구현해 낼 수 있는 냉동 덮밥을 제공하고자 연구하던 중 냉동된 밥 위에 Block화 된 냉동 소스를 얹어서 함께 포장함으로써 취식시 전자레인지에 한 번 조리한 후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능미도 우수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국 전통메뉴인 덮밥을 냉동화하기 위한 것으로, 한 번의 전자레인지 조리로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밥 고유의 맛을 구현해 낼 수 있는 냉동 덮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냉동 덮밥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양태로서,
동결된 냉동 밥 위에,
블럭(block)화 되어 동결된 냉동 소스가 얹어진 형태로 포장되어진 냉동 덮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밥'은 쌀, 보리 등의 곡식을 물에 넣고 물기가 없어지나 풀어지지는 않도록 삶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백미, 흑미, 멥쌀, 찹쌀 등 쌀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리, 콩, 조 등의 곡식을 섞은 것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밥은 백미를 취반하여 얻은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냉동 밥은 바람직하기로는 밥알이 수 내지 수십 개씩,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20개씩 뭉쳐진 형태로 동결되는 것이 좋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밥알의 뭉침 개수가 수 내지 수십 개로 조절됨으로써 본 발명은 식감 등의 기호도가 더욱 향상된 냉동 덮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동 덮밥의 포장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냉동 덮밥은 전통한식 메뉴 중에 소불고기 덮밥, 돼지불고기 덮밥, 소갈비찜 덮밥, 돼지갈비찜 덮밥, 소갈비구이 덮밥 또는 돼지갈비구이 덮밥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소불고기 덮밥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밥과 소스의 비율은 덮밥의 종류, 소스 조성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밥:소스가 1 중량부:0.82±0.1 중량부인 것이 관능면에서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취반 후 밥을 동결시켜 냉동 밥을 제조하는 단계;
(b) 소스를 블럭화 하여 동결시켜 냉동 블럭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냉동 밥 위에 상기 냉동 블럭 소스를 얹어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동 덮밥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동 밥의 제조는 바람직하기로는 밥알이 수 내지 수십 개씩,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20개씩 뭉쳐진 형태로 동결되도록 수행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밥알의 뭉침 개수가 수 내지 수십 개로 조절됨으로써 본 발명은 식감 등의 기호도가 더욱 향상된 냉동 덮밥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동 덮밥의 포장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스의 블럭화 동결 온도는 바람직하기로는 -5℃ 내 지 -23℃,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8℃ 내지 -23℃인 것이 제조되는 냉동 덮밥의 관능면에서 좋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냉동밥에 있어서 기존 냉동제품은 볶음밥 위주의 제품들이 많았지만 본 발명은 한국 전통메뉴인 덮밥을 냉동화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동 밥과 Block화 된 소스를 함께 포장하여 취식시 전자레인지에서 한 번에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쌀을 주원료로 하여 취반된 밥을 냉동 밥 제조시 조리 편리성 및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일정한 크기, 즉 밥알이 수 내지 수십 개씩, 더욱 바람직하기로는5~20개씩 뭉쳐진 형태로 동결하여 냉동 밥을 완성하고, 덮밥에 사용되는 소스는 개별로 block화하여 동결된 후 상기 냉동 밥 위에 얹어서 포장됨으로써 냉동 밥과 닿았을 때 소스의 수분전이에 따른 냉동 밥의 품질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반적인 소스포장 방식은 별도의 포장지에 포장하여 냉동 밥과 별도로 포장되는데 본 발명에서 소스는 냉동기 내부에서 순환하는 형태틀에 소스를 충진하여 개별로 동결된 후 냉동 밥위에 얹어져서 포장된다.
구체적인 양태로서, 본 발명의 냉동 덮밥의 제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도 1):
1) 원료미를 세척하고 불량미를 선별하는 단계;
2) 적정 취반 조건에 맞게 원료미를 1~3시간 동안 불리는 단계;
3) 불린 원료미를 끓는 물에서 15~20분간 취반하는 단계;
4) 취반된 밥을 냉각시키는 단계;
5) 밥알이 수 내지 수십 개씩,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20개씩 뭉쳐진 정도로 동결시키는 단계;
6) 야채와, 돈육 또는 우육을 전처리하는 단계;
7) 양념에 저민 돈육 또는 우육을 1차 볶음 처리하는 단계;
8) 야채와 기타 부재료를 투입하여 2차 볶음 처리하는 단계;
9) 액상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10) 제조된 건더기 소스와 액상 소스를 사각 틀에 충진 하여 블록화하여 동결시켜 블록동결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11) 상기 5) 단계에서 제조된 동결된 밥을 일정한 덩어리로 계량하여 트레이에 넣는 단계;
12) 상기 11) 단계의 계량된 밥 위에 상기 10) 단계에서 제조된 블록동결 소스를 얹는 단계; 및
13) 전자레인지 조리가 가능한 재질로 상기 12) 단계에서 제조된 냉동 덮밥을 포장하는 단계.
상기 본 발명의 구체적인 냉동 덮밥의 제조 방법에 대해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냉동 소스는 건더기 소스와 액상소스로 나누어 제조한 뒤 형태틀에 함께 충 진하여 블럭화하여 동결시킨다.
건더기 소스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소불고기, 소갈비찜, 돼지 갈비구이에 활용하는 돼지고기 또는 소고기를 양념에 재운 후 볶음기에서 1차로 볶아준다. 양념에는 간장, 물엿, 정백당, 식염, 소고기 엑기스 등이 포함된다. 그 후 1차 볶음 처리된 돼지고기 또는 소고기에 야채와 기타 부재료들을 첨가하여 2차로 볶아준다. 야채로는 당근, 대파, 양파 등을 일정한 크기로 잘라서 투입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야채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타 부재료로는 밤, 홍고추, 대추, 당면, 은행 등을 투입할 수 있다. 볶음기는 1차적으로 양념에 재운 소고기를 완전히 익을 때까지 볶아준다. 1차 볶음이 끝난 후에 야채와 기타 부재료들을 첨가하여 2차 볶음은 야채에서 물이 빠지기 전에 볶음을 끝내준다. 이상 건더기 소스를 완성한다.
다음으로 액상소스는 간장, 식염, 중백당, 후추가루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후 전분을 호화시켜 일정 점도를 유지시킨 후 냉각시켜 제조한다. 그 다음, 완성된 건더기 소스와 액상소스를 건더기 소스: 액상소스의 비율이 80~90 중량부: 60~70 중량부가 되도록 사각틀에 투입한다. 소스를 동결시키기 과정은 건더기소스와 액상소스가 투입된 사각틀이 컨베이어 밸트와 연동되어 동결기 내부로 순환이 되면서 액상소스와 건더기 소스가 함께 동결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동결된 소스를 사각틀과 분리하여 냉동 블럭소스를 완성한다.
소스를 블록화하여 동결하는 이유는 동결되지 않은 소스가 동결된 밥과 같이 포장 될 때 소스 내의 수분에 의하여 냉동 밥의 표면이 노화되기 때문에 냉동 밥과 소스의 수분 접촉을 최대한 피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냉동 블록 소스를 제조하여 최종제품인 냉동 덮밥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소스와 별도로, 냉동 밥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먼저, 일반적인 취반 방식을 사용하여 쌀 6~9 중량부, 취반수 7.2~10.8 중량부, 넣은 후 1~3시간 동안 불려 준다. 불리는 시간이 종료된 후에 끓는 물의 온도에서 15~20분 정도 가열한다. 가열이 종료된 밥을 20~40분간 뜸을 들인다.
이후, 취반된 밥을 얼리는 과정은 연속식으로써 흘러 가는 컨베이어 벨트 위에 스크류 타입의 장치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밥알을 떨어 뜨려 놓은 다음 얼린다. 이와 같은 스크류 장치들이 동결작업을 연속하여 진행하는데 그 단계는 총 3단계로 이루어진다. 1단계에서 밥알을 1차적으로 컨베이어 벨트 위에 뿌려준다. 2단계에서는 스큐류 및 밥 펼침기를 사용하여 벨트 위의 밥을 일정한 두께 및 넓이로 펼쳐준다. 3단계에서는 동결기 입구에 장착되어 있는 밥 분쇄기를 이용하여 완전 동결 전에 밥알을 수 내지 수십 개씩,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20개씩 뭉치게 해준다. 3단계 종료시 흰밥의 온도를 0℃ 이하로 떨어지게 하고 밥알이 수 내지 수십 개씩,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20개 정도씩 붙어서 완전동결이 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 냉동 밥 제조시, 밥알이 수 내지 수십 개씩,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20개씩 붙어서 얼게 하는 이유는 상기 범위를 벗어나서 더욱 많은 밥알들이 한 덩어리로 되어 동결되면, 냉동 밥을 자동으로 일정량씩 계량하여 포장하기가 어려워 상기 포장 공정을 수작업으로 진행해야 하므로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포장 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하여 일정한 크기 즉, 밥알이 수 내지 수십 개씩, 더욱 바람직 하기로는 5~20개씩 붙은 크기로 개별적으로 동결시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냉동 덮밥의 완성은 수 내지 수십 개씩,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20개 정도의 밥알이 붙어있는 작은 냉동밥 덩어리들이 자동 계량기를 통하여 정량으로 트레이 내부로 계량이 된 다음, 계량된 냉동 밥 위에 상기에서 사각틀로 블럭화되어 동결된 소스를 올려서 최종 포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밥과 소스를 함께 포장하여 별도의 작업이 없이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해동,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냉동 덮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밥을 동결할 때 수 내지 수십 개씩,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20개의 밥알이 붙어있는 형태로 동결하여 자동포장이 가능하고 덮밥에 어울리는 찰기 있는 밥을 제조할 수 있으며 소스를 블록화하여 동결시킨 뒤 냉동 밥과 함께 포장함으로써 제조 및 유통 과정에서 소스의 수분이 밥에 스며들어 가는 것을 방지하여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동결 블록소스를 얹은 냉동 덮밥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냉동 밥 위에 동결 블록소스를 얹어 기존의 냉동 밥과 차별 화를 둔 냉동 덮밥을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먼저, 우육  200 g을 일정한 크기로 잘라 준비해 두고, 야채로 당근 30 g, 대파 70 g, 양파 100 g을 일정한 크기로 잘라 준비해 두었다. 상기 준비된 우육에 양념으로 물 100g, 혼합간장 50g, 액상과당 50g, 백설탕 25g, 사과퓨레 10g, 양파즙 10g, 베퓨레 10g, 및 참깨 5g을 넣고 6~15분간 혼합한 후 1시간 동안 숙성하였다.
양념육을 1차로 볶음 처리한 후 2차로 준비된 야채를 넣고 2차 볶음처리 하여 건더기 소스를 제조하였다.
물 100g, 소고기 엑기스 10g, 간장  3g, 식염 1.5g, 중백당 2.5g, 후추가루 0.3g를 혼합한 후 전분으로 호화시켜 점성을 지닌 액상소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건더기 소스와 액상소스를 85중량부:65중량부의 비율로 사각틀에 넣어 블록화 하여 -18℃~-23℃의 온도로 동결시켜 블록 동결소스를 제조하였다.
취반된 밥을 -18℃~-23℃의 온도로 밥알이 5~20개씩 뭉치도록 일정한 크기로 동결하여 냉동 밥을 제조하였다.
동결된 냉동 밥 위에 상기 블록 동결소스를 냉동 밥을 1 중량부로 하였을 때 블록 동결소스를 0.82 중량부의 비율로 얹고 포장한 후 동결 보관한 다음 관능검사에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상온 소스를 얹은 냉동 덮밥 제조
냉동 밥은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하여 개별 포장한 후 냉동 보관하였다. 소스는 일단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건더기 소스와 액상소스를 제조하되, 블록화 하여 동결시키는 것을 대신에 건더기 소스와 액상 소스를 혼합한 뒤, 100 ℃에서 가열살균한 다음 냉동 밥과 별도로 밀봉하여 상온에서 보관하였다.
실험예 1: 소스 처리 형태에 따른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냉동 덮밥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공시시료는 본 발명 제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자레인지 조리 후 제품 그대로 숙련된 판넬요원에게 제공하여 관능검사실에서 7단계 기호척도법으로 2회 반복검사를 실시하여 던칸(DUNCAN)의 다범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때 실시예 1의 냉동 덮밥은 포장을 뜯어 전자레인지에 넣어 조리하고, 비교예 1의 냉동 덮밥은 별도로 포장된 냉동 밥을 개봉하여 그 냉동 밥 위에 별도로 포장된 상온 소스의 포장를 개봉하여 상온 소스를 얹은 후 전자레인지에 넣어 조리하였다.
소스 적용 형태에 따른 냉동 덮밥의 관능평가 결과
구분 비교예 1(냉동 밥 위에 상온소스를 그대로 얹진 냉동 덮밥) 실시예 1(냉동 밥 위에 냉동소스를 얹진 냉동 덮밥)
외관 고급스러움 전반기호도 원물감 4.1 4.0 4.0 4.0 6.4 6.7 6.5 6.7
소비자 평가 결과 일반 상온상태의 소스를 첨가한 냉동 덮밥에 비해 냉동 블록 소스를 얹은 냉동 덮밥은 소스에 사용되는 재료들의 원물감이 우수하여 고급스러움이나, 외관에서 비교 우위에 있었다. 상온 소스의 원물감이 없는 이유는 저장성을 위하여 높은 열처리를 하게 되는데 냉동소스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원물감을 살릴 수 있었다.
실험예 2: 소스의 온도에 따른 냉동 덮밥의 관능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냉동 밥에 얹기 전 소스의 온도가 냉동 덮밥의 식감, 색상, 외관, 전반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제조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진행하였다. 다만, 소스를 냉동 밥 위에 얹기 전 소스의 온도를 하기 표 2와 같이 각기 다르게 하였고 냉동 밥 위에 얹은 후 동결시켜 냉동 덮밥을 제조하였다.
소스 냉각온도에 따른 변화
구분 냉동 밥 위에 얹기 직전 소스 온도
25~30℃ 5~10℃ -5~-10℃ -18℃~-23℃
맛 식감 외관 전반기호도 4.1 4.0 4.2 4.0 5.2 5.1 5.2 5.2 6.1 6.2 6.2 6.2 6.4 6.7 6.7 6.5
소스의 냉각온도에 따른 품질변화를 실험한 결과, 표 2와 같이 냉각온도가 낮을수록 좋은 결과를 보였다. 냉각온도가 높을수록 동결된 밥과 함께 포장하였을 때 밥 표면의 전분의 노화를 빠르게 진행시켜 제품의 외관이나 식감이 떨어지는 품질저하의 원인이 되었고 소스의 최종 냉각온도가 영상 5도 이상이었을 때에는 소스에 들어있는 야채의 조직감을 무르게 하여 씹는 식감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었다. 소스의 온도가 -18도 이하로 떨어졌을 때 즉 소스를 블록화 하여 동결하였을 때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실험예 3: 밥알의 뭉침 개수에 따른 냉동 덮밥의 관능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냉동밥 제조시 밥알의 뭉침 개수에 따른 본 발명의 특징인 제품의 품질 및 포장시 오차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실시하되 밥알의 뭉침 개수만 하기 표 3과 같이 달리하였다. 관능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냉동밥 뭉침 개수에 따른 포장 오차 및 품질변화
구분 밥알 뭉침 개수
5~20개 25~35개 40~50개
포장 오차(중량%) 색상 식감 기호도 0.4 6.4 6.4 6.4 2 5.3 5.3 5.6 5 4.4 5.4 5.4
냉동 밥의 뭉침 개수가 따른 포장 오차 및 품질변화를 평가한 결과, 뭉침 개수를 40~50개로 하였을 때 5 중량%의 포장 오차를 나타내 포장 오차가 가장 높았고 또한 기호도가 낮은 반면, 5~20개였을 때에는 포장 오차가 0.4 중량% 이하로 나타나 기준치인 0.5중량% 이하로 낮았고, 본 발명의 특징인 식감도 좋아 기호도도 우수하게 나왔다.
따라서, 뭉침 개수가 20개 보다 많게 될 경우 포장 오차 및 식감, 기호도면에서 열악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냉동 밥과 소스의 비율에 따른 냉동 덮밥의 관능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냉동 덮밥 제조시 냉동 밥과 소스의 비율에 따른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적정 비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냉동 덮밥의 제조공정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진행하였고 다만 냉동 밥과 소스의 중량 비율을 하기 표 4와 같이 달리하였다. 관능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냉동밥과 소스의 비율에 따른 관능평가 결과
구분 비율(소스/밥)
0.82 ± 0.1 1.00 ± 0.1 1.22 ± 0.1
색상 식감 기호도 짠맛 선호도 6.4 6.4 6.4 6.5 5.3 5.3 5.6 5.7 5.4 5.4 5.6 5.5
밥과 소스의 비율에 따른 선호도 조사에서는 밥과 소스의 비율이 0.82 ± 0.1이었을 때 짠맛의 선호도 및 전반적인 색상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한편 소스의 양이 많아 질수록 짠맛의 선호도가 떨어져 전반적인 기호도 또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동된 밥 위에 Block화 된 냉동 소스를 얹어서 함께 포장함으로써 한 번의 전자레인지 조리로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밥 고유의 맛을 구현해 낼 수 있는 냉동 덮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식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냉동 덮밥 제조 방법을 간략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9)

  1. 동결된 냉동 밥 및 블럭(block)화 되어 동결된 냉동 소스가 함께 포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덮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 밥은 밥알이 수 내지 수십 개씩 뭉쳐진 형태로 동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덮밥.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 밥은 밥알이 5~20개씩 뭉쳐진 형태로 동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덮밥.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 덮밥은 소불고기 덮밥, 돼지불고기 덮밥, 소갈비찜 덮밥, 돼지갈비찜 덮밥, 소갈비구이 덮밥 또는 돼지갈비구이 덮밥의 형태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덮밥.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밥과 소스의 비율은 밥:소스가 1 중량부:0.82±0.1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덮밥.
  6. (a) 취반 후 밥을 동결시켜 냉동 밥을 제조하는 단계;
    (b) 소스를 블럭화 하여 동결시켜 냉동 블럭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냉동 밥 위 및 상기 냉동 블럭 소스를 함께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동 덮밥의 제조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 밥의 제조는 밥알이 수 내지 수십 개씩 뭉쳐진 형태로 동결되도록 수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덮밥의 제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 밥의 제조는 밥알이 5~20개씩 뭉쳐진 형태로 동결되도록 수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덮밥의 제조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의 블럭화 동결 온도는 -5℃ 내지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덮밥의 제조 방법.
KR1020080084694A 2008-08-28 2008-08-28 냉동 덮밥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55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694A KR101055112B1 (ko) 2008-08-28 2008-08-28 냉동 덮밥 및 이의 제조 방법
PCT/KR2009/004798 WO2010024611A2 (ko) 2008-08-28 2009-08-27 냉동 덮밥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694A KR101055112B1 (ko) 2008-08-28 2008-08-28 냉동 덮밥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938A true KR20100025938A (ko) 2010-03-10
KR101055112B1 KR101055112B1 (ko) 2011-08-08

Family

ID=4172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694A KR101055112B1 (ko) 2008-08-28 2008-08-28 냉동 덮밥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55112B1 (ko)
WO (1) WO201002461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878A1 (ko) * 2018-11-29 2020-06-04 씨제이제일제당 (주) 마이크로파 조리용 냉동 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8196B2 (ja) 2012-06-22 2017-11-08 ボード オブ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ネブラスカ ローカル制御ロボット手術デバイス
KR101537483B1 (ko) * 2014-10-16 2015-07-17 (주)다손 간편편이식 덮밥용 발아종자 식품 동결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351047B1 (ko) 2016-12-30 2022-01-14 주식회사 풀무원 소스 코팅이 안정화된 냉동식품의 제조방법
KR102303347B1 (ko) 2020-12-21 2021-09-17 신경준 간편식 포장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간편식 포장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4920A (ja) * 1992-04-14 1993-11-02 Yunifuru:Kk 冷凍ファーストフード
JPH06141798A (ja) * 1992-11-05 1994-05-24 Makoto Tashiro 冷凍カレーライスの製造方法
JP4552842B2 (ja) * 2005-12-07 2010-09-29 味の素株式会社 複粒化した冷凍米飯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878A1 (ko) * 2018-11-29 2020-06-04 씨제이제일제당 (주) 마이크로파 조리용 냉동 제품
KR20200064950A (ko) * 2018-11-29 2020-06-08 씨제이제일제당 (주) 마이크로파 조리용 냉동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4611A3 (ko) 2010-07-08
KR101055112B1 (ko) 2011-08-08
WO2010024611A2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12993A (en) Process for making a meat chip
KR101055112B1 (ko) 냉동 덮밥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17380B1 (ko) 전자레인지 조리가 가능한 찰떡용 프리믹스,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찰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87531B1 (ko) 야채 강정 및 그 제조방법
KR100454594B1 (ko) 라이스 커틀릿 및 그 제조방법
CN111084326A (zh) 一种十八宝粥及其制备方法
KR101798909B1 (ko) 갈릭 풍미가 장기간 보존되는 냉동 볶음밥의 제조방법
KR101658993B1 (ko) 레토르트 파우치 포장밥의 제조방법
KR100733787B1 (ko) 육류를 이용한 죽(粥) 및 그 제조방법
RU2172111C1 (ru)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JP4504806B2 (ja) 米を原料とする冷凍インスタント料理の製造方法
JP7142549B2 (ja) カリフラワーサラダ
KR101716446B1 (ko) 증숙건조쌀을 이용한 밥 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밥 만두
JP2005528123A5 (ko)
EP1719418A2 (en) Deep-frozen finished product of the type soup, purée or sauce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such a deep-frozen finished product
Borgis et al. Processing characteristics and acceptability of jackfruit (Artocarpus heterophyllus Lam.) seeds, phys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its flour
KR100495166B1 (ko) 즉석 떡볶이의 제조방법
KR20140005000A (ko) 튀김전용 멥쌀 떡 제조방법
KR20090008649A (ko) 즉석 냉동 잡채 및 그 제조 방법
JP7445930B2 (ja) 凍結乾燥食品の製造方法
KR20190048522A (ko) 유화제를 사용한 냉동볶음밥의 제조방법
KR102276324B1 (ko) 녹두전 프리믹스 조성물
KR100901651B1 (ko) 누룽지 라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12380A (ko) 소스 만두 및 이의 제조방법
RU2116732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мучного продук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