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5463A - 잡음 억압 장치, 휴대 전화기, 잡음 억압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잡음 억압 장치, 휴대 전화기, 잡음 억압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463A
KR20100025463A KR1020090057579A KR20090057579A KR20100025463A KR 20100025463 A KR20100025463 A KR 20100025463A KR 1020090057579 A KR1020090057579 A KR 1020090057579A KR 20090057579 A KR20090057579 A KR 20090057579A KR 20100025463 A KR20100025463 A KR 20100025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usage
unit
microphone array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4420B1 (ko
Inventor
쇼지 하야까와
나오시 마쯔오
히로시 가따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5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1/0216Noise filter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estimating noise
    • G10L2021/02161Number of inputs available containing the signal or the noise to be suppressed
    • G10L2021/02165Two microphones, one receiving mainly the noise signal and the other one mainly the speech sign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1/0216Noise filter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estimating noise
    • G10L2021/02161Number of inputs available containing the signal or the noise to be suppressed
    • G10L2021/02166Microphone arrays; Beam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사용 형태에 따른 잡음 억압 처리를 행하는 잡음 억압 장치, 해당 잡음 억압 장치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 상기 잡음 억압 장치에 의한 잡음 억압 방법 및 상기 잡음 억압 장치를 컴퓨터에 의해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휴대 전화기의 사용 형태가 변경된 경우,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변경된 사용 형태에 따라서 스위치(22, 23)의 절환을 제어하고, 음 입력부(6, 7)로부터의 음 신호를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 중 어느 하나에 입력시킨다. 휴대 전화기의 사용 형태가 변경된 경우, 정보 변환부(25)는, 변경 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로부터 사용 환경 정보를 취득하고, 변경 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로 전달한다.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는, 정보 변환부(25)로부터의 사용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음 입력부(6, 7)로부터의 음 신호에 대하여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실행한다.
잡음 억압 장치, 휴대 전화기, 마이크 어레이 제어 처리부, 음 신호, 음 입력

Description

잡음 억압 장치, 휴대 전화기, 잡음 억압 방법 및 기록 매체{NOISE SUPPRESSING DEVICE, MOBILE PHONE, NOISE SUPPR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수음해서 얻어진 음 신호에 포함되는 잡음 성분을 억압하는 잡음 억압 장치, 그 잡음 억압 장치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 잡음 억압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수음한 음을 각각 음 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컨덴서 마이크 등의 수음부를 복수개 갖고, 각 수음부로부터 출력된 음 신호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음 처리를 행하는 마이크 어레이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마이크 어레이 장치는, 각 수음부로부터 출력된 각 음 신호의 동기를 취하여 가산함으로써 잡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목적으로 하는 음을 강조하는(SNR(Signal to Noise Rate)을 개선하는) 동기 가산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마이크 어레이 장치는, 각 음 신호의 동기를 취하여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감산함으로써 잡음원에 대하여 사각을 형성하는 동기 감산 처리에 의해 잡음 억압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참조).
동기 가산 처리 및 동기 감산 처리 등과 같이 마이크 어레이 장치가 행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는, 수음부와 목적 음원과의 위치 관계, 복수의 수음부간의 배치 등의 상황에 의존하는 처리이다. 수음부와 목적 음원과의 위치 관계란, 예를 들면, 목적 음원의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수음부를 배치시킨 경우의 위치 관계, 목적 음원의 방향에 대한 직선 상에 복수의 수음부를 배치시킨 경우의 위치 관계 등이 있다. 또한, 복수의 수음부간의 배치란, 예를 들면, 복수의 수음부간의 거리, 각 수음부의 음공의 방향 등이 있다.
즉, 마이크 어레이 처리는, 수음부와 목적 음원과의 위치 관계, 복수의 수음부간의 배치 등의 상황이 변경된 경우, 각종의 처리 또는 각종의 처리에 이용하는 파라미터를 축차적으로 절환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최근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는, 절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통상 스타일, 절첩할 때에 표시 화면을 외측(표면)으로 향하게 한 뷰어 스타일 등, 복수의 사용 형태에서의 사용(통화,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절첩식 휴대 전화기는, 표시 화면이 설치된 제1 케이스와, 조작 버튼이 설치된 제2 케이스가 힌지부를 통해서 연결되고, 제1 케이스의 힌지부와의 연결 개소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휴대 전화기는, 뷰어 스타일에서의 마이크와 스피커와의 위치가 지나치게 근접하지 않도록, 힌지부의 근방에 1개의 마이크가 실장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힌지부의 근방에 마이크가 설치된 휴대 전화기에서는, 유저(화자)의 입의 위치와 마이크의 위치가 떨어지므로, 통상 스타일에서의 사용 시에서도 뷰 어 스타일에서의 사용 시에서도 마이크가 수음하는 유저의 발화음의 SNR이 나빠져서, 통화 품질이 열화되어 있었다. 따라서, 마이크 어레이 처리와 같이 SNR을 개선하는 잡음 억압 처리를 행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 어레이 처리는, 휴대 전화기의 사용 상황(사용 형태)이 변경된 경우, 각종의 처리 또는 각종의 처리에 이용하는 파라미터를 절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통상 스타일 및 뷰어 스타일 등의 모든 사용 형태에서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 각각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를 독립적으로 준비해 두고, 각 사용 형태에 따라서 동작시키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를 절환하는 구성이 생각된다.
도 24는 종래의 잡음 억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종래의 잡음 억압 장치는, 제1 음 입력부(101), 제2 음 입력부(102), 센서(103), 케이스의 상태 판단부(104), 음 입출력 절환부(105), 스위치(106, 107, 110),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108),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109) 등을 구비한다.
제1 음 입력부(101) 및 제2 음 입력부(102)는, 마이크, 증폭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이하, A/D 변환기라고 함)를 갖는다. 제1 음 입력부(101) 및 제2 음 입력부(102)는, 마이크에 의해 음을 수음하고, 수음한 음을 시계열의 아날로그의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기에 의해 증폭시켜, A/D 변환기에 의해 디지털의 음 신호로 변환시킨 후, 스위치(106, 107)에 각각 송출한다.
센서(103)는, 잡음 억압 장치가, 예를 들면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휴대 전화기의 힌지부에 장착된 센서이다. 센서(103)는, 휴대 전화기 가 통상 스타일(절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지 뷰어 스타일(절첩된 상태)인지에 따른 힌지부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케이스의 상태 판단부(104)에 송출한다. 케이스의 상태 판단부(104)는, 센서(103)로부터 취득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가 통상 스타일인지, 뷰어 스타일인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음 입출력 절환부(105)에 송출한다.
음 입출력 절환부(105)는, 케이스의 상태 판단부(104)로부터 취득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스위치(106, 107, 110)의 절환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음 입출력 절환부(105)는, 케이스의 상태 판단부(104)로부터 취득한 판단 결과가 통상 스타일이면, 제1 음 입력부(101) 및 제2 음 입력부(102)로부터의 음 신호를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108)에 출력하도록 스위치(106, 107)의 절환을 제어한다. 또한 이 때, 음 입출력 절환부(105)는,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108)로부터의 음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도록 스위치(110)의 절환을 제어한다.
한편, 음 입출력 절환부(105)는, 케이스의 상태 판단부(104)로부터 취득한 판단 결과가 뷰어 스타일이면, 제1 음 입력부(101) 및 제2 음 입력부(102)로부터의 음 신호를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109)에 출력하도록 스위치(106, 107)의 절환을 제어한다. 또한 이 때, 음 입출력 절환부(105)는,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109)로부터의 음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도록 스위치(110)의 절환을 제어한다.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108) 및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109)는, 스위치(106, 107)의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음 신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음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 가산 처리 또는 동기 감산 처리 등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108)는, 휴대 전화기가 통상 스타일로 사용되고 있는 경우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행하고,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109)는, 휴대 전화기가 뷰어 스타일로 사용되고 있는 경우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잡음 억압 장치는, 휴대 전화기의 사용 형태에 따른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행할 수 있어, 사용 형태의 각각에 따른 처리에 의해 잡음을 적절하게 억압해서 음질의 향상이 얻어진다.
또한, 잡음 억압 장치가 비디오 카메라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카메라의 줌 정보와 연동시켜서, 비디오 카메라에 탑재된 줌 마이크로폰의 지향성 및 녹음 레벨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비특허 문헌 1] 金田 豊 저, 「마이크로폰 계에서의 디지털 필터의 응답」, 일본 음향 학회지, 1989년, 제45권, 제2호, 125-128페이지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04493호 공보
전술한 구성의 잡음 억압 장치는, 휴대 전화기의 사용 형태가 변경된 시점에서, 동작시키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를 절환한다. 또한,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된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는, 그 시점으로부터 마이크 어레이 처리에 이용하는 각종의 정보의 추정 처리를 개시함과 함께, 추정한 정보에 기초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개시한다. 따라서, 적절한 정보가 추정되기까지의 동안은, 적절하지 않은 정보(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초기 정보)에 기초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행하게 되므로, 잡음 억압 처리의 동작이 불안정하게 된다. 특히, 휴대 전화기의 사용(통화) 중에 사용 형태가 절환된 경우에는, 불안정한 동작에 의해 처리된 불쾌한 음이 통화 상대에게 보내어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사용 형태를 변경시킨 직후에서도, 이제까지의 잡음 억압 성능을 유지한 채 통화를 계속시키는 것이 가능한 잡음 억압 장치, 그 잡음 억압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 상기 잡음 억압 장치에 의한 잡음 억압 방법 및 상기 잡음 억압 장치를 컴퓨터에 의해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에 개시하는 잡음 억압 장치는, 수음한 음을 음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수음부와 접속 가능하며, 취득한 음 신호에 포함되는 잡음 성분을 억압하는 잡음 억압 장치에서, 복수의 수음부의 위치 관계 및/또는 복수의 수음부와 목적 음원과의 위치 관계가 변화하는 복수의 사용 형태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에 개시하는 잡음 억압 장치는, 사용 형태를 검지하고, 음 신호에 대한 잡음 억압 처리에 이용하는 사용 환경 정보를, 검지한 사용 형태에 따른 사용 환경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한 사용 환경 정보를 이용한 잡음 억압 처리를, 취득한 음 신호에 대하여 행한다.
본원에 개시하는 잡음 억압 장치에 따르면, 잡음 억압 처리에 이용하는 사용 환경 정보를, 각각의 사용 형태에 따른 사용 환경 정보로 변환한다. 따라서, 사용 형태가 변경된 경우에 새로운 사용 환경 정보를 다시 추정하지 않고, 이미 추정된 사용 환경 정보를 변환해서 얻어진 사용 환경 정보를 이용한 잡음 억압 처리를 행하므로, 사용 형태가 변경된 직후부터 양호한 잡음 억압 처리의 실행이 가능하게 된다.
본원에 개시하는 잡음 억압 방법은, 복수의 수음부와 접속 가능한 잡음 억압 장치가, 잡음 억압 처리에 이용하는 사용 환경 정보를, 각각의 사용 형태에 따른 사용 환경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한 사용 환경 정보를 이용한 잡음 억압 처리를 상기 음 신호에 행한다.
본원에 개시하는 잡음 억압 방법에 따르면, 사용 형태가 변경된 경우에 새로운 사용 환경 정보를 다시 추정하지 않고, 이미 추정된 사용 환경 정보를 변환해서 얻어진 사용 환경 정보를 이용한 잡음 억압 처리를 행하므로, 사용 형태가 변경된 직후부터 양호한 잡음 억압 처리의 실행이 가능하게 된다.
본원에 개시하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수음해서 얻어진 음 신호에 포함되는 잡음 성분을 억압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고, 이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잡음 억압 처리에 이용하는 사용 환경 정보를, 수음하였을 때의 사용 형태에 따른 사용 환경 정보로 변환시켜, 변환한 사용 환경 정보를 이용한 잡음 억압 처리를 상기 음 신호에 행하게 한다.
본원에 개시하는 기록 매체에서는, 컴퓨터에, 수음하였을 때의 사용 형태가 변경된 경우에 새로운 사용 환경 정보를 다시 추정하지 않고, 이미 추정된 사용 환경 정보를 변환해서 얻어진 사용 환경 정보를 이용한 잡음 억압 처리를 행하므로, 사용 형태가 변경된 직후부터 양호한 잡음 억압 처리의 실행이 가능하게 된다.
본원에 개시하는 잡음 억압 장치 및 잡음 억압 방법에서는, 사용 형태가 변경된 경우라도, 사용 형태가 변경된 직후부터 양호한 사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는 잡음 억압 처리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음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개시하는 기록 매체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잡음 억압 장치를 컴퓨터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이하에, 본원에 개시하는 잡음 억압 장치를, 휴대 전화기에 적용한 각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에 기초하여 상술한다. 또한, 본원에 개시하는 잡음 억압 장치, 잡음 억압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은, 휴대 전화기에 적용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음해서 얻어진 음 신호를 이용해서 음성 인식을 행하는 음성 인식 장치 등, 취득한 음 신호에 각종 처리를 행하는 음성 처리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실시 형태 1>
이하에, 실시 형태 1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이다. 도 1a에는 절첩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휴대 전화기(1)의 외관 사시도를, 도 1b에는 표시부(11)를 내측으로 해서 절첩한 상태의 휴대 전화기(1)의 외관 사시도를, 도 1c에는 표시부(11)를 외측으로 해서 절첩한 상태의 휴대 전화기(1)의 외관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는, 표시부(11)를 갖는 제1 케이스(1a)와, 조작부(10)를 갖는 제2 케이스(1b)와, 케이스(1a, 1b)를 연결하기 위한 제3 케이스(1c)를 갖는다. 케이스(1b, 1c)는 힌지부(1d, 1d)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고, 케이스(1a, 1c)는 회동부(1e)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제1 케이스(1a)는, 회동부(1e)에 대하여 18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휴대 전화기(1)를 절첩한 경우에 표시부(11)가 조작부(10)와 대향하는 상태와, 표시부(11)가 조작부(10)와 대향하지 않은 상태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a, 1c)는, 힌지부(1d, 1d)에서 케이스(1b)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원에 개시하는 잡음 억압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는, 케이스의 형상 또는 마이크의 사용 상태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 형태에서의 사용이 가능한 휴대 전화기이면, 절첩식의 휴대 전화기에 한정되지 않는 다.
휴대 전화기(1)는, 케이스(1a)의 회동부(1e)와의 연결 개소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스피커(8a)를 갖는다. 또한, 휴대 전화기(1)는, 케이스(1c)의 힌지부(1d, 1d)와의 연결 개소의 측면에 마이크(6a)를 갖고, 휴대 전화기(1)를 절첩한 경우에 조작부(10)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측의 면에 마이크(7a)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에서는, 유저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케이스(1a)에 설치된 스피커(8a)를 자신의 귓가에 배치시켜서 발화하는 사용 형태(통상 스타일이라고도 함)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에서는, 유저는,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1)를 외측으로 향하게 해서 절첩한 상태에서 스피커(8a)를 자신의 귓가에 배치시켜서 발화하는 사용 형태(뷰어 스타일이라고도 함)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도 2는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는, 연산 처리부(2), ROM(Read Only Memory)(3), RAM(Random Access Memory)(4), 센서(5), 제1 음 입력부(6), 제2 음 입력부(7), 음 출력부(8), 통신부(9), 조작부(10), 표시부(11) 등을 구비한다. 전술한 하드웨어 각 부는 버스(2a)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연산 처리부(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MPU(Micro Processor Unit) 등이며, 전술한 하드웨어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함과 함께, ROM(3)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적절히 RAM(4)에 읽어내어 실행한다. ROM(3)은, 휴 대 전화기(1)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여러 가지 제어 프로그램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 RAM(4)은 S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이며, 연산 처리부(2)에 의한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 시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센서(5)는, 힌지부(1d, 1d)에 장착되어 있고, 힌지부(1d, 1d)를 통해서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되어 있지 않은 상태(통상 스타일)인지 절첩된 상태(뷰어 스타일)인지를 검출한다. 센서(5)는, 휴대 전화기(1)가 통상 스타일인지 뷰어 스타일인지에 따른 검출 결과를, 힌지부(1d, 1d)에 설치된 자석에 의한 자기 정보에 의해 출력한다.
제1 음 입력부(6) 및 제2 음 입력부(7)(수음부)의 각각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6a, 7a), 증폭기(6b, 7b), A/D 변환기(6c, 7c)를 갖는다. 마이크(6a, 7a)는, 예를 들면 컨덴서 마이크이며, 수음한 음에 기초하여 아날로그의 음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음 신호를 각각 증폭기(6b, 7b)에 송출한다.
증폭기(6b, 7b)는, 예를 들면 게인 앰프이며, 마이크(6a, 7a)로부터 입력된 음 신호를 증폭하고, 얻어진 음 신호를 각각 A/D 변환기(6c, 7c)에 송출한다. A/D 변환기(6c, 7c)는, 증폭기(6b, 7b)로부터 입력된 음 신호에 대하여, LPF(Low Pass Filter) 등의 필터를 이용하고, 휴대 전화기의 경우는 8000Hz의 샘플링 주파수에서 샘플링해서 디지털의 음 신호로 변환한다. 제1 음 입력부(6) 및 제2 음 입력부(7)는, A/D 변환기(6c, 7c)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의 음 신호를 소정의 출력처에 송출한다.
음 출력부(8)는, 음을 출력하는 스피커(8a),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증폭 기(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을 갖는다. 음 출력부(8)는, 음성 출력할 디지털의 음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의해 아날로그의 음 신호로 변환한 후, 증폭기에 의해 증폭하고, 증폭한 음 신호에 기초하는 음을 스피커(8a)로부터 출력한다.
통신부(9)는, 네트워크(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네트워크(통신 회선)를 통해서 다른 휴대 전화기,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또한, 통신부(9)는, 예를 들면, 제1 음 입력부(6) 및 제2 음 입력부(7)에 의해 취득된 음 신호를, 통신(통화) 상대의 휴대 전화기에 출력한다.
조작부(10)는, 유저가 휴대 전화기(1)를 조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각종의 조작 키를 구비하고 있다. 유저에 의해 각 조작 키가 조작된 경우, 조작부(10)는 조작된 조작 키에 대응한 제어 신호를 연산 처리부(2)에 송출하고, 연산 처리부(2)는 조작부(10)로부터 취득한 제어 신호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한다. 표시부(11)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이며, 연산 처리부(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휴대 전화기(1)의 동작 상황, 조작부(10)를 통해서 입력된 정보, 유저에 대하여 통지할 정보 등을 표시한다.
이하에, 전술한 구성의 휴대 전화기(1)에서, 연산 처리부(2)가 ROM(3)에 저장되어 있는 여러 가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휴대 전화기(1)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에서, 연산 처리부(2)는, ROM(3)에 기억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케이스의 상태 판단부(21), 스위치(22, 23, 28),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 정보 변환부(25),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 등의 각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전술한 각 기능은, ROM(3)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연산 처리부(2)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술한 각 기능을, 본원에 개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각종의 데이터가 조립된 DSP(Digital Signal Processor)에 의해 실현하여도 된다.
제1 음 입력부(6) 및 제2 음 입력부(7)는, 수음해서 얻어진 음 신호를 스위치(22, 23)에 각각 송출한다. 또한, 제1 음 입력부(6) 및 제2 음 입력부(7)는, 원하는 음원인 발화자의 입으로부터 발하여지는 음(목적음) 및 그 밖의 음(잡음)을 포함하여, 휴대 전화기(1)에 대하여 주위로부터 도래하는 음을 수음한다.
스위치(22, 23)는, 각각 제1 음 입력부(6) 및 제2 음 입력부(7)로부터 입력된 음 신호를,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및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의 한 쪽에 송출한다.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및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억압 수단)의 각각은,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실시한 음 신호를 스위치(28)에 송출한다. 스위치(28)는,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및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의 한 쪽으로부터 입력된 음 신호를 소정의 출력처에 송출한다. 또한,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및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에 기초하여 후술한다.
케이스의 상태 판단부(검지 수단)(21)는, 센서(5)로부터 출력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1)가 통상 스타일인지 뷰어 스타일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에 통지한다.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휴대 전화기(1)가 통상 스타일인 것을 나타내는 판단 결과를 케이스의 상태 판단부(21)로부터 통지된 경우, 음 입력부(6, 7)로부터의 음 신호를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에 송출하도록 스위치(22, 23)의 절환을 제어한다. 또한 이 때,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로부터의 음 신호를 소정의 출력처에 송출하도록 스위치(28)의 절환을 제어한다.
또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휴대 전화기(1)가 뷰어 스타일인 것을 나타내는 판단 결과를 케이스의 상태 판단부(21)로부터 통지된 경우, 음 입력부(6, 7)로부터의 음 신호를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에 송출하도록 스위치(22, 23)의 절환을 제어한다. 또한 이 때,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로부터의 음 신호를 소정의 출력처에 송출하도록 스위치(28)의 절환을 제어한다.
또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케이스의 상태 판단부(21)로부터 통지되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정보 변환부(25)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휴대 전화기(1)가 통상 스타일이면,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가 이용하는 사용 환경 정보를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가 이용하는 사용 환경 정보로 변환하도록 정보 변환부(25)에 지시한다. 또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휴대 전화기(1)가 뷰어 스타일이면,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가 이용하는 사용 환경 정보를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 부(27)에서 이용하는 사용 환경 정보로 변환하도록 정보 변환부(25)에 지시한다.
정보 변환부(변환 수단)(25)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에서 이용하는 사용 환경 정보와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가 이용하는 사용 환경 정보 사이에서의 변환 처리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및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는 모두, 2개의 마이크(6a, 7a)로 수음해서 얻어진 음 신호에 기초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행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정보 변환부(25)는,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가 이용하는 사용 환경 정보와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가 이용하는 사용 환경 정보를 단순하게 교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하에,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및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에서,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및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의 각각은, 사용 환경 추정부(261, 271),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62, 272), 억압 게인 산출부(263, 273), 잡음 억압부(264, 274) 등의 각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및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는, 도시하지 않지만, 프레임화 처리부 및 신호 변환부를 갖는다. 프레임화 처리부는, 제1 음 입력부(6) 및 제2 음 입력부(7)로부터 입력된 음 신호에 대해서, 시간축 상의 음 신호로부터 주파수축 상의 음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 프레임화 처리를 행한다. 프레임화 처리는, 예를 들면 프레임 길이 32ms를 1블록으로서 처리하고, 그 다음에 예를 들면 프레임 시프트 20ms로 시프트한 32ms의 구간을 새로운 프레임으로서 처리한다. 이 시프트를 반복해서 처리를 진행시켜 간다. 프레임 길이나 프레임 시프트의 양은 32ms나 20ms에 한정되지 않는다.
신호 변환부는, 프레임화 처리된 음 신호에 대해서, 시간축 상의 음 신호를 주파수축 상의 음 신호(스펙트럼)로 변환(휴대 전화기에서는 8kHz 샘플링으로 256점)하고, 마이크(6a)와 마이크(7a)와의 복소 스펙트럼을 얻는다. 신호 변환부는, 얻어진 복소 스펙트럼을 사용 환경 추정부(261, 271) 및 잡음 억압부(264, 274)에 송출한다. 또한, 신호 변환부는, 예를 들면, 고속 푸리에 변환(FFT)과 같은 시간-주파수 변환 처리를 실행한다.
사용 환경 추정부(추정 수단)(261, 271)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가 행하는 잡음 억압 처리에 이용되는 각종의 사용 환경 정보의 추정 처리를 행하고, 추정한 사용 환경 정보를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62, 272)에 저장한다.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62, 272)는, 예를 들면 RAM(4)의 소정의 영역을 이용하여도 되고, 별도에 설치된 메모리부를 이용하여도 된다.
사용 환경 추정부(261, 271)는, 예를 들면, 신호 변환부으로부터 취득한 복소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마이크(6a)와 마이크(7a) 사이의 위상차 스펙트럼을 이용해서 각종의 사용 환경 정보를 산출한다. 이 경우, 억압 게인 산출부(263, 273)는, 산출된 사용 환경 정보와, 위상차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억압 게인을 결정하고, 잡음 억압부(264, 274)는, 결정된 억압 게인에 기초하는 잡음 억압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적절한 지향성을 형성할 수가 있어, 제1 음 입력부(6) 및 제2 음 입력 부(7)에 의해 취득된 음 신호에 기초하여, 원하는 음원의 방향으로부터 도래하는 음을 강조한 음 신호가 생성된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에서의 지향성의 패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는, 통상 스타일에서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6a)의 음공이 조작부(10) 측에 배치되고, 뷰어 스타일에서는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6a)의 음공이 외측에 배치되도록 힌지부(1d, 1d)의 근방에 마이크(6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1)는, 뷰어 스타일에서는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7a)의 음공이 케이스(1c)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에서는, 통상 스타일에서는 도 5a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지향성 패턴의 수음이 가능하고, 뷰어 스타일에서는 도 5b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지향성 패턴의 수음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5a 에 도시하는 지향성 패턴은, 2개의 마이크(7a, 6a)를 연결한 선 상을 중심으로한 콘형의 지향성 패턴이며, 마이크(7a)가 설치된 측면 측에 지향성의 사각을 형성한 잡음 억압이 행하여진다. 또한, 도 5b 에 도시하는 지향성 패턴은, 원반형의 지향성 패턴이며, 마이크(6a, 7a)에 대한 원하는 음원(화자의 입)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지향성의 사각을 형성한 잡음 억압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에서는, 통상 스타일에서도 뷰어 스타일에서도 마이크 어레이에 의한 지향성 수음을 실현할 수 있다.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및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는, 신호 복원부(도시하지 않 음)를 더 갖는다. 신호 복원부는, 잡음 억압부(264, 274)에 의해 잡음 억압 처리된 주파수축 상의 음 신호를 시간축 상의 음 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치(28)에 송출한다. 또한, 신호 복원부는, 신호 변환부가 행하는 변환 처리의 역변환 처리, 예를 들면 역 푸리에 변환 처리를 실행한다.
스위치(28)는, 예를 들면, 음 입력부(6, 7)에 의해 취득한 음 신호를 통신(통화) 상대의 휴대 전화기에 송신하는 경우에는,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또는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로부터 취득하는 잡음 억압된 음 신호를 통신부(9)에 송출한다. 또한, 통신부(9)는, 취득한 음 신호를 전화 통신으로서 통신 상대의 단말기에 송신한다. 또한, 휴대 전화기(1)가 음성 인식 처리부를 갖는 구성이며, 음 입력부(6, 7)에 의해 취득한 음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스위치(28)는, 잡음 억압된 음 신호를 음성 인식 처리부에 송출한다.
또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의 사용 환경 추정부(261, 271)는, 예를 들면, 배경 잡음 레벨, 배경 잡음 스펙트럼의 통계량, SN비(SNR), 음성 구간·잡음 구간을 나타내는 정보, 잡음 대역을 나타내는 정보, 소정의 음원(화자의 입)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정보, 잡음원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정보, 마이크(6a, 7a)의 감도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마이크 감도 보정 값) 등을 사용 환경 정보로서 추정한다.
배경 잡음 레벨은, 마이크(6a, 7a)에 의해 수음한 음 신호에 포함되는 비교적 일정한 잡음 성분의 레벨을 나타낸다. 배경 잡음 레벨은, 예를 들면, 마이 크(6a, 7a)에서 산출한 위상차 스펙트럼으로부터 음의 도래 방향을 구하고, 소정의 음원 방향 이외로부터 도래하는 신호를 이용해서 배경 잡음 레벨을 추정·갱신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추정된 배경 잡음 레벨은, 마이크(7a)가 설치된 측면 측으로부터 도래하는 음에 기초하는 잡음 레벨이다.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는, 배경 잡음 레벨에 기초하는 잡음 억압 처리를 행함으로써, 주위의 잡음의 레벨에 따른 지향성의 실현이 가능하게 된다.
배경 잡음 스펙트럼은, 마이크(6a, 7a)에 의해 수음한 음 신호에 포함되는 잡음 성분의 주파수 성분 마다의 평균적인 레벨을 나타낸다. 배경 잡음 스펙트럼은, 예를 들면, 마이크(6a, 7a)에서 산출한 위상차 스펙트럼으로부터 음의 도래 방향을 구하고, 소정의 음원 방향 이외로부터 도래하는 신호를 이용해서 배경 잡음 스펙트럼을 추정·갱신할 수 있다. 도 6은 배경 잡음 스펙트럼 및 음성 구간의 스펙트럼의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에는, 횡축을 주파수로 하고, 종축을 레벨(음량)로 해서 배경 잡음 스펙트럼 및 음성 구간의 스펙트럼을 도시하고 있다.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는, 예를 들면 특허 공개 2007-183306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과 같이, 배경 잡음 스펙트럼에 기초하는 잡음 억압 처리를 행함으로써, 배경 잡음 스펙트럼의 값을 목표로 최대 억압량을 결정함으로써, 뮤지컬 노이즈(끽끽과 같은 음)을 억압할 수 있다.
SNR은, 배경 잡음 레벨에 대한 유저의 소리의 크기의 정보이다. SNR은, 잡음 억압부(264, 274)에 의한 잡음 억압 처리 후의 음 신호의 파워(Pinput)와, 잡음 억압 처리 후의 평균 잡음의 파워(Pnoise)와의 비를 취함으로써 구해지고, 예를 들면, 이하의 식 1을 이용할 수 있다.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는, SNR에 기초하는 잡음 억압 처리를 행함으로써, 억압량과 음질과의 밸런스가 적절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행할 수 있다.
Figure 112009038942818-PAT00001
음성 구간·잡음 구간이란, 마이크(6a, 7a)에 의해 수음한 음 신호에 원하는 음원으로부터의 음(목적음)이 포함되어 있는 구간, 목적음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구간이다. 목적음이 포함되어 있는 구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취득한 음 신호의 위상 스펙트럼이 랜덤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목적음을 수음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방법, 목적의 음원의 방향을 포함하지 않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향하게 해서 추정한 잡음 레벨과 입력 음의 레벨과의 차(SNR)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는, 음성 구간·잡음 구간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잡음 구간에서의 음 신호를 이용해서 배경 잡음 레벨, 배경 잡음 스펙트럼을 추정·갱신할 수 있다.
잡음 대역을 나타내는 정보는, 마이크(6a, 7a)에 의해 수음한 음 신호에 포함되는 잡음 성분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잡음 대역은, 예를 들면 위상차 스펙트럼을 이용해서 소정의 음원 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의 음의 대역을 잡음 대역으로서 추정된다.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는, 잡음 대역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마이크(6a, 7a)에 의해 수음되는 음 신호에 포함되는 잡음 성분을 이용하여, 배경 잡음 레벨이나 배경 잡음 스펙트럼을 추정·갱신할 수 있다.
소정의 음원(화자의 입)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정보는, 마이크(6a, 7a)에 의해 수음되는 음 신호의 음성 구간의 위상차 스펙트럼의 정보를 바탕으로, 위상차 스펙트럼의 주파수 방향의 기울기로부터, 소정의 음원의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잡음원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정보는, 마이크(6a, 7a)에 의해 수음되는 음 신호의 잡음 구간의 위상차 스펙트럼의 정보를 바탕으로, 위상차 스펙트럼의 주파수 방향의 기울기로부터, 잡음원의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마이크(6a, 7a)의 감도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마이크 감도 보정 값)은, 마이크(6a, 7a)에 의해 수음되는 음 신호의 잡음 구간에서의 평균 스펙트럼을 추정하고, 각각의 평균 스펙트럼의 비에 기초하여 추정된다. 동일한 종류의 마이크 부품이어도 ±3dB 이상의 감도의 변동이 발생하는 일이 많다.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는, 마이크 감도 보정 값에 기초하여, 마이크(6a, 7a)의 각각에서의 감도의 차에 의한 음 신호의 레벨(신호값) 차를 보정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 1의 정보 변환부(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가 추정하여 보존한 사용 환경 정보를, 다른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에서도 사용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변환부(25)는,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통상 스타일 및 뷰어 스타일)가 변경된 경우에, 그 취지를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로부터 통지된다. 정보 변환부(25)는,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의 변경이 통지된 경우, 변경 전의 사용 형태에서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의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62)(또는 272)에 보존되어 있는 사용 환경 정보를, 변경 후의 사용 형태에서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의 사용 환경 추정부(271)(또는 261)에 전달한다.
변경 후의 사용 형태에서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는, 정보 변환부(25)를 통해서 취득한 사용 환경 정보를 초기 값으로 하여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개시한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가 변경된 경우에도, 변경 전의 사용 형태에서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에 의해 추정된 사용 환경 정보를 변경 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에 이어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변경 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에서 추정된 사용 환경 정보가 불필요하지 않게 되고, 또한, 변경 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27)(또는 26)에서는, 사용 형태가 절환된 직후부터 적절한 사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는 잡음 억압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가 변경된 직후부터, 유저 발화의 어두 절단을 방지하고, 사용 형태가 변경된 타이밍에서도 계속적으로 높은 잡음 억압량에서의 잡음 억압 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통화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변경 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는, 변경 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로부터 배경 잡음 레벨 또는 배경 잡음 스펙트럼을 취득하는 경우, 사용 형태가 절환된 직후부터 적절한 배경 잡음 레벨 또는 배경 잡음 스펙트럼에 기초하는 잡음 억압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 형태가 절환된 직후에 발생하는 뮤지컬 노이즈를 통화 상대에게 들려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경 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는, 변경 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로부터 SN비를 취득하는 경우, 사용 형태가 절환된 직후부터 억압량과 음질의 밸런스가 적절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변경 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는, 변경 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로부터 소정의 음원의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 취득한 방향 정보가 나타내는 방향을 지향성의 중심으로 해서 넓힘의 지향성을 형성하는 잡음 억압 처리를 개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 형태가 절환된 직후에 발화의 처음 부분이 억압됨으로써 발생하는 어두 잘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경 전의 사용 형태에서 추정된 원하는 음원의 방향을 단서로 할 수 있으므로, 초기 값으로부터 추정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목적의 음원의 방향을 좁혀들어가기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목적의 음원의 방향으로 빠른 시기에 지향성을 좁힐 수 있다.
또한, 변경 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는, 변경 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로부터 마이크 감도 보정 값을 취득하는 경우, 사용 형태가 절환된 직후부터 마이크(6a, 7a)의 감도의 차를 보정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는 사용 환경 정보의 예로서 배경 잡음 레벨을 도시하고 있다. 도 7a에는, 각 마이크 어레이 처리가 동작을 개시하는 때마다, 사용 환경 정보의 추정을 다시 하는 구성의 잡음 억압 장치에 의해 잡음 억압된 후의 음 신호의 진폭 및 배경 잡음 레벨을 도시하고 있다. 도 7b에는, 본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가 행하는 잡음 억압 처리에 의해 잡음 억압된 후의 음 신호의 진폭 및 배경 잡음 레벨을 도시하고 있다.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가 절환된 경우에 변경 전의 사용 형태에서의 사용 환경 정보를 변경 후의 사용 형태에서의 잡음 억압 처리에 이용하지 않는 구성에서는, 변경 후의 사용 형태에서의 사용 환경 정보를 소정의 초기 값으로부터 추정한다. 따라서,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 형태가 절환된 타이밍에서 배경 잡음 레벨이 초기값으로 되돌아가고, 적절한 배경 잡음 레벨을 추정할 수 있을 때까지 4초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그 동안은 충분한 잡음 억압이 행하여지지 않으므로, 통화 상대편에는, 잡음이 충분히 억압되어 있지 않은 부자연스러운 음이 보내어지게 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 1과 같이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가 절환된 경우에 변경 전의 사용 형태에서의 사용 환경 정보를 변경 후의 사용 형태에서의 잡음 억압 처리에 이용하는 구성에서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 형태가 절환된 직후부터 적절한 배경 잡음 레벨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형태가 절환된 직후부터 충분한 잡음 억압이 행하여지므로, 통화 중에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 태를 절환한 경우이더라도, 통화 상대편에 부자연스러운 음이 보내어지게 되는 일이 없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에 의한 잡음 억압 처리에 대해서 플로우차트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잡음 억압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이하의 처리는, 휴대 전화기(1)의 ROM(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연산 처리부(2)에 의해 실행된다.
휴대 전화기(1)의 연산 처리부(2)(케이스의 상태 판단부(21))는, 예를 들면 다른 휴대 전화기와의 사이에서 통신(통화)이 개시된 경우, 센서(5)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통상 스타일 또는 뷰어 스타일)를 판단한다(S1). 연산 처리부(2)(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판단한 사용 형태에 따라서, 스위치(22, 23, 28)의 절환을 제어하여(S2), 음 입력부(6, 7)로부터의 음 신호를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또는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에 송출한다.
연산 처리부(2)(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또는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는, 음 입력부(6, 7)로부터 취득하는 음 신호에 대하여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실행하고(S3), 잡음 억압된 음 신호는, 통신부(9)를 통해서 통신 상대의 휴대 전화기에 송신된다. 또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9에 기초하여 후술한다.
연산 처리부(2)는, 다른 휴대 전화기와의 통화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4),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4:아니오), 센서(5)로부터의 검출 결과 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를 판단한다(S5). 연산 처리부(2)(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스텝(S5)에서 판단한 사용 형태에 기초하여, 사용 형태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6), 변경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S6:아니오), 현재의 사용 형태에 대응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에서 추정된 사용 환경 정보를, 현재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에 전달한다(S8). 연산 처리부(2)는, 스텝 S4로 처리를 되돌려, 스텝 S4∼S6의 처리를 반복한다.
사용 형태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6:예), 연산 처리부(2)(정보 변환부(25))는, 변경 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로부터 사용 환경 정보를 취득하여, 변경 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26))에 전달하도록 사용 환경 정보의 수수의 방향을 절환한다(S7).
구체적으로는, 통상 스타일에서 뷰어 스타일로 변경된 경우, 연산 처리부(2)(정보 변환부(25))는,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의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62)에 보존되어 있는 사용 환경 정보를 읽어내서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에 전달한다. 또한, 뷰어 스타일로부터 통상 스타일로 변경된 경우, 연산 처리부(2)(정보 변환부(25))는,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의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72)에 보존되어 있는 사용 환경 정보를 읽어내서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에 전달한다. 또한, 정보 변환부(25)로부터 사용 환경 정보를 취득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의 사용 환경 추정부(261, 271)는, 취득한 사용 환경 정 보를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62, 272)에 보존해서 이용한다.
연산 처리부(2)는, 스텝 S2에 처리를 되돌려, 스텝 S5에서 판단한 사용 형태에 따라서, 스위치(22, 23, 28)의 절환을 제어하고(S2), 음 입력부(6, 7)로부터의 음 신호를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또는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에 송출한다. 연산 처리부(2)는, 스텝 S2∼S7의 처리를 반복하고, 다른 휴대 전화기와의 통화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4:예), 처리를 종료한다.
이하에, 전술한 잡음 억압 처리에서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도 8 중의 스텝 S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이하의 처리는, 휴대 전화기(1)의 ROM(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연산 처리부(2)에 의해 실행된다.
연산 처리부(2)(사용 환경 추정부(261 또는 271))는, 음 입력부(6, 7)로부터 입력되는 음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에 따른 사용 환경을 추정하고(S11), 추정한 사용 환경을 나타내는 사용 환경 정보를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62, 272)에 보존한다(S12). 연산 처리부(2)(억압 게인 산출부(263 또는 273))는, 추정한 사용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잡음 억압부(264, 274)에 의해 억압되는 억압 게인을 산출한다(S13). 연산 처리부(2)(잡음 억압부(264, 274))는, 산출한 억압 게인에 기초하여 억압 처리를 실행하여(S14), 도 8에 도시하는 잡음 억압 처리에 되돌아간다.
전술한 실시 형태 1에서는,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가 절환된 경우에, 변경 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가, 변경 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에 의해 추정된 사용 환경 정보를 이용한다. 따라서, 사용 형태가 변경됨으로써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의 동작이 절환된 경우이더라도, 지금까지 추정되어 있었던 사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잡음 억압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 형태가 변경된 직후부터 최적인 잡음 억압 처리가 가능하여, 사용 형태가 변경된 것에 의한 음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이하에, 실시 형태 2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2의 휴대 전화기는, 전술한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 있으므로,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는, 통상 스타일 및 뷰어 스타일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행하는 구성이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 2의 휴대 전화기는, 통상 스타일의 경우에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행하지만, 뷰어 스타일의 경우에는 1개의 마이크(6a)에 의해 수음한 음 신호에 기초하는 잡음 억압 처리를 행하는 구성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의 휴대 전화기(1)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 2의 휴대 전화기(1)에서, 연산 처리부(2)는, 도 3에 도시한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 대신에 잡음 억압부(29)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 2의 정보 변환부(25)는, 필터부(251) 및 역 필터부 (252)를 갖는다. 또한, 이들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 1의 구성과 동일하다.
잡음 억압부(29)는, 도시하지 않지만,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와 마찬가지로, 사용 환경 추정부,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 억압 게인 산출부, 잡음 억압부의 각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 2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휴대 전화기(1)가 통상 스타일인 것을 나타내는 판단 결과를 케이스의 상태 판단부(21)로부터 통지받은 경우, 음 입력부(6, 7)로부터의 음 신호를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에 송출하도록 스위치(22, 23)의 절환을 제어한다.
한편, 휴대 전화기(1)가 뷰어 스타일인 것을 나타내는 판단 결과를 케이스의 상태 판단부(21)로부터 통지받은 경우,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음 입력부(6)로부터의 음 신호만을 잡음 억압부(29)에 송출하도록 스위치(22, 23)의 절환을 제어한다. 또한 이 때,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잡음 억압부(29)로부터의 음 신호를 소정의 출력처에 송출하도록 스위치(28)의 절환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행하지만, 잡음 억압부(29)는 싱글 마이크를 사용한 잡음 억압 처리를 행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에서 추정된 사용 환경 정보와, 잡음 억압부(29)에서 추정된 사용 환경 정보를 단순하게 교환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2의 정보 변환부(25)는,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가 이용하는 사용 환경 정보를 잡음 억압부(29)에 전달할 때, 및 잡음 억압부(29)가 이용하는 사용 환경 정보를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에 전달할 때 에, 각각의 사용 환경 정보를, 잡음 억압부(29) 또는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용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잡음 억압부(29)는, 배경 잡음 스펙트럼을 사용 환경 정보로서 이용하는 경우, 배경 잡음 스펙트럼에, 저역 성분을 억압하기 위한 하이패스 필터를 거는 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잡음 억압부(29)의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에 보존되는 배경 잡음 스펙트럼은, 하이패스 필터가 걸린 후의 배경 잡음 스펙트럼으로 된다. 한편,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는, 배경 잡음 스펙트럼을 사용 환경 정보로서 이용하는 경우, 배경 잡음 스펙트럼에, 저역 성분을 억압하기 위한 하이패스 필터를 거는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의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62)에 보존되는 배경 잡음 스펙트럼은, 하이패스 필터를 걸기 전의 배경 잡음 스펙트럼이 된다.
따라서, 정보 변환부(25)는, 잡음 억압부(29)가 배경 잡음 스펙트럼을 이용해서 잡음 억압 처리를 행할 때에 이용하는 하이패스 필터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 필터를 거는 처리를 행하는 필터부(251)와, 이 필터의 역 특성을 갖는 필터를 거는 처리를 행하는 역 필터부(252)를 갖는다. 그리고, 정보 변환부(25)는,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의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62)에 보존되어 있는 배경 잡음 스펙트럼을 잡음 억압부(29)에 전달할 때에, 필터부(251)에 의한 필터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정보 변환부(25)는, 잡음 억압부(29)의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에 보존되어 있는 배경 잡음 스펙트럼을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에 전달할 때에, 역 필터부(252)에 의한 필터 처리를 행하여, 하이패스 필터의 영향을 제거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와 잡음 억압 처리를,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에 따라서 절환하는 구성인 경우이더라도, 마이크 어레이 처리에 이용하는 사용 환경 정보와, 잡음 억압 처리에 이용하는 사용 환경 정보를 공용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가 변경됨으로써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및 잡음 억압부(29)의 동작이 절환된 경우이더라도, 지금까지 추정되어 있었던 사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잡음 억압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 형태가 변경된 직후부터 최적의 잡음 억압 처리가 가능하며, 사용 형태가 변경된 것에 의한 음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2의 휴대 전화기(1)가 행하는 잡음 억압 처리는, 전술한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8에서 설명한 플로우차트 중의 스텝 S7의 처리에서, 본 실시 형태 2의 연산 처리부(2)(정보 변환부(25))는, 사용 환경 정보를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또는 잡음 억압부(29)에 전달할 때에, 소정의 변환 처리를 행한다.
<실시 형태3>
이하에, 실시 형태 3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3의 휴대 전화기는, 전술한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 있으므로,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는, 도 3에 도시한 스위치(22, 23)의 절환을 제어함으로써, 통상 스타일에서의 사용 시에는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 부(26)를 동작시켜, 뷰어 스타일에서의 사용 시에는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를 동작시키는 구성이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 3의 휴대 전화기는, 통상 스타일에서의 사용 시 및 뷰어 스타일에서의 사용 시에 상관없이,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및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의 양방을 동작시키는 구성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3의 휴대 전화기(1)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 3의 휴대 전화기(1)에서, 연산 처리부(2)는, 도 3에 도시한 스위치(22, 23)의 기능을 갖추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음 입력부(6) 및 제2 음 입력부(7)에 의해 취득된 음 신호는 각각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및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에 송출된다. 따라서,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및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는,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에 상관없이 항상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실제의 사용 형태가 아닌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에 대해서는, 사용 환경 추정부 261(또는 271) 만을 동작시킨다.
본 실시 형태 3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휴대 전화기(1)가 통상 스타일인 것을 케이스의 상태 판단부(21)로부터 통지받은 경우,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로부터의 음 신호를 소정의 출력처에 송출하도록 스위치(28)의 절환을 제어한다. 또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휴대 전화기(1)가 뷰어 스타일인 것을 케이스의 상태 판단부(21)로부터 통지받은 경우,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로부터의 음 신호를 소정의 출력처에 송출하도록 스위치(28)의 절환을 제 어한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에 따른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로부터의 음 신호가 소정의 출력처에 송출된다.
이와 같이,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에 상관없이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의 사용 환경 추정부(261, 271)를 동작시켜 둠으로써, 사용 형태가 변경된 직후에서도, 변경 후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에서의 사용 환경 정보의 추정이 이미 행하여지고 있으므로, 최적의 사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가 절환되는 것에 의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의 정밀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므로, 음질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면, 음성 구간·잡음 구간의 판정 처리는 어려운 기술이며, 실제의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에 대응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에 의한 처리에 의해 추정한 결과가 가장 신뢰성이 높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3과 같이,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에 상관없이 모든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를 동작시키는 구성에서도, 이러한 사용 환경 정보만,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 사이에서 공용하여도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3의 정보 변환부(25)는,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가 변경된 경우, 변경 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의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62)(또는 272)로부터 소정의 사용 환경 정보를 읽어낸다. 그리고, 정보 변환부(25)는, 읽어낸 사용 환경 정보를, 변경 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에 전달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항상 정보 변환부(25)는, 현재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의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62)(또는 272)에 보존되어 있는 음성 구간·잡음 구간의 판정 결과를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에 전달한다. 현재의 사용 형태가 아닌 쪽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는, 정보 변환부(25)로부터 취득한 음성 구간·잡음 구간의 판정 결과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배경 잡음 스펙트럼의 추정·갱신을 행한다.
이와 같이, 다른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가 추정하는 사용 환경 정보가 보다 최적인 경우에는, 각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는, 보다 최적인 사용 환경 정보를 이용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가 변경됨으로써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의 동작이 절환된 경우이더라도, 각각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가 지금까지 추정한 사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잡음 억압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 형태가 변경된 직후부터 최적인 잡음 억압 처리가 가능하여, 사용 형태가 변경되는 것으로 인한 음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 3의 휴대 전화기(1)에 의한 잡음 억압 처리에 대해서 플로우차트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잡음 억압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이하의 처리는, 휴대 전화기(1)의 ROM(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연산 처리부(2)에 의해 실행된다.
휴대 전화기(1)의 연산 처리부(2)(케이스의 상태 판단부(21))는, 예를 들면 다른 휴대 전화기와의 사이에서 통신(통화)이 개시된 경우, 센서(5)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통상 스타일 또는 뷰어 스타일)를 판단한다(S21). 연산 처리부(2)(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및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는, 음 입력부(6, 7)로부터 취득하는 음 신호에 대하여 2종류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실행한다(S22). 또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에서 도 9에 기초해서 설명한 처리와 동일하다. 또한, 스텝 S21에서 판단한 사용 형태가 아닌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에 대해서는, 사용 환경 추정부 261(또는 271) 만을 동작시킨다.
연산 처리부(2)(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스텝 S21에서 판단한 사용 형태에 따라서, 스위치(28)의 절환을 제어하고(S23),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또는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에 의해 잡음 억압된 음 신호는, 통신부(9)를 통해서 통신 상대의 휴대 전화기에 송신된다.
연산 처리부(2)는, 다른 휴대 전화기와의 통화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고(S24),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24:아니오), 센서(5)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를 판단한다(S25). 연산 처리부(2)(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스텝 S25에서 판단한 사용 형태에 기초하여, 사용 형태가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26), 변경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S26:아니오), 현재의 사용 형태에 대응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에서 추정된 사용 환경 정보를, 현재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에 전달한다(S28). 연산 처리부(2)는, 스텝 S24로 처리를 되돌려, 스텝 S24∼S26의 처리를 반복한다.
사용 형태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26:예), 연산 처리부(2)(정보 변환부(25))는, 변경 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로부터 소정의 사용 환경 정보를 취득하고, 변경 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에 전달하도록 사용 환경 정보의 수수의 방향을 절환한다(S27). 구체적으로는, 음성 구간·잡음 구간의 판정 결과 등, 실제의 사용 형태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에 의해 추정된 사용 환경 정보가 최적인 사용 환경 정보가 전달된다.
연산 처리부(2)는, 스텝 S23으로 처리를 되돌려, 스텝 S25에서 판단한 사용 형태에 따라서 스위치(28)의 절환을 제어한다(S23). 연산 처리부(2)는, 스텝 S23∼S27의 처리를 반복하고, 다른 휴대 전화기와의 통화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24:예), 처리를 종료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 3은, 실시 형태 1의 변형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실시 형태 2의 구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이하에, 실시 형태 4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4의 휴대 전화기는, 전술한 실시 형태 3의 휴대 전화기(1)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 있으므로,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 3의 휴대 전화기(1)는, 사용 형태에 상관없이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의 사용 환경 추정부(261, 271)의 양방에 의해 사용 환경 정보의 추정을 행하는 구성이었다. 본 실시 형태 4의 휴대 전화기는, 사용 환경 정보의 추정뿐만 아니라, 잡음 억압부(264, 274)에 의한 잡음 억압 처리도 행하고,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의 각각이 행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에 의해 억압되는 잡음의 억압량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유저(화자)에게 통지하는 구성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4의 휴대 전화기(1)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 4의 휴대 전화기(1)에서, 연산 처리부(2)는, 도 11에 도시한 구성 이외에, SNR 비교부(30), 화면 표시 제어부(31)의 각 기능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 4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는, 도 4에 도시한 구성 이외에, SNR 산출부(265, 275)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 4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의 SNR 산출부(265, 275)는, 전술한 식 1에 기초하여 SNR을 산출한다. 또한, SNR은, 잡음 성분의 레벨에 대한 음 신호의 레벨의 비이며, SNR이 클수록 고음질인 것을 나타낸다. SNR 산출부(265, 275)는 각각, 산출한 SNR을 SNR 비교부(30)에 송출한다.
SNR 비교부(30)는, SNR 산출부(265, 275)의 각각으로부터 취득한 SNR을 비교하여, 케이스의 상태 판단부(21)에 의해 판단된 현재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에서의 SNR이, 다른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에서의 SNR보다도 작은 값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NR 비교부(30)는, 현재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에서의 SNR이, 다른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에서의 SNR보다도 작은 값이면, 그 취지를 화면 표시 제어부(31)에 통지한다.
화면 표시 제어부(31)는, ROM(3)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의 사용 형태가 아닌 사용 형태에서 사용하는 편이 높은 SNR을 얻을 수 있는 취지를 표시하는 화면 정보를 생성해서 표시부(11)에 표시시킨다. 도 14는 표시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표시 화면은, 뷰어 스타일에서 사용중인 유저에 대하여, 통상 스타일에서 사용하는 편이 고음질의 통화를 할 수 있다는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화면이다.
이와 같이, 현재의 사용 형태가 아닌 사용 형태에서 사용하는 편이 고음질의 통화를 행할 수 있는 것을 통지함으로써, 유저는, 잡음 억압 처리에 적합한 사용 형태를 알 수 있다. 또한, 유저는, 통지된 사용 형태로 절환함으로써, 최적인 잡음 억압된 음 신호에 기초하는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 4의 휴대 전화기(1)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지 화면에 의해, 다른 사용 형태에서 이용하는 편이 바람직하다는 취지를 통지하는 구성이지만, 예를 들면, 음성 가이던스에 의해 통지하여도 된다. 또한, SNR 이외에,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에 의해 억압되는 잡음의 억압량을 비교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 4에서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에 의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이하의 처리는, 휴대 전화기(1)의 ROM(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연산 처리부(2)에 의해 실행된다.
연산 처리부(2)(사용 환경 추정부(261, 271))는, 음 입력부(6, 7)로부터 입력되는 음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에 따른 사용 환경을 추정 하여(S31), 추정한 사용 환경을 나타내는 사용 환경 정보를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62, 272)에 보존한다(S32). 연산 처리부(2)(억압 게인 산출부(263, 273))는, 추정한 사용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잡음 억압부(264, 274)에 의해 억압되는 억압 게인을 산출한다(S33). 연산 처리부(2)(잡음 억압부(264, 274))는, 산출한 억압 게인에 기초하여 억압 처리를 실행한다(S34). 연산 처리부(2)(SNR 산출부(265, 275))는, 전술한 식 1에 기초하여 각각 SNR을 산출하고(S35), 잡음 억압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하에, 전술한 바와 같은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행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를 구비한 본 실시 형태 4의 휴대 전화기(1)에 의한 잡음 억압 처리에 대해서 플로우차트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잡음 억압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이하의 처리는, 휴대 전화기(1)의 ROM(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연산 처리부(2)에 의해 실행된다.
휴대 전화기(1)의 연산 처리부(2)(케이스의 상태 판단부(21))는, 예를 들면 다른 휴대 전화기와의 사이에서 통신(통화)이 개시된 경우, 센서(5)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통상 스타일 또는 뷰어 스타일)를 판단한다(S41). 연산 처리부(2)(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및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는, 음 입력부(6, 7)로부터 취득하는 음 신호에 대하여, 도 15에 기초해서 설명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실행한다(S42).
연산 처리부(2)(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스텝 S41에서 판단한 사용 형태에 따라서, 스위치(28)의 절환을 제어하고(S43),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 부(26) 또는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에 의해 잡음 억압된 음 신호는, 통신부(9)를 통해서 통신 상대의 휴대 전화기에 송신된다.
연산 처리부(2)(SNR 비교부(30))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의 SNR 산출부(265, 275)에 의해 산출된 SNR을 비교한다(S44). 연산 처리부(2)는, 현재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에서의 SNR이, 다른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에서의 SNR 보다도 작은 값인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유저에의 통지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5). 또한, 연산 처리부(2)는, 현재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에서의 SNR이, 다른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에서의 SNR 보다도 작은 값인 경우에, 유저에의 통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연산 처리부(2)는, 유저에의 통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S45:예),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면 정보를 생성하고, 표시부(11)에 표시시킨다(S46). 연산 처리부(2)는, 유저에의 통지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S45:아니오), 스텝 S46의 처리를 스킵하고, 다른 휴대 전화기와의 통화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7).
연산 처리부(2)는, 통화가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47:아니오), 센서(5)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를 판단한다 (S48). 연산 처리부(2)(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스텝 S48에서 판단한 사용 형태에 기초하여, 사용 형태가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49), 변경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S49:아니오), 현재의 사용 형태에 대응한 마이크 어레 이 처리부에서 추정된 사용 환경 정보를, 현재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에 전달한다(S51). 연산 처리부(2)는, 스텝 S47으로 처리를 되돌려, 스텝 S47∼S49의 처리를 반복한다.
사용 형태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49:예), 연산 처리부(2)(정보 변환부(25))는, 변경 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로부터 소정의 사용 환경 정보를 취득하고, 변경 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에 전달하도록 사용 환경 정보의 수수의 방향을 절환한다(S50).
연산 처리부(2)는, 스텝 S43에 처리를 되돌려, 스텝 S48에서 판단한 사용 형태에 따라서 스위치(28)의 절환을 제어한다(S43). 연산 처리부(2)는, 스텝 S43∼S51의 처리를 반복하고, 다른 휴대 전화기와의 통화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47:예), 처리를 종료한다.
<실시 형태5>
이하에, 실시 형태 5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는, 전술한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 있으므로, 마찬가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 1∼4의 휴대 전화기(1)는, 2개의 마이크(6a, 7a)를 구비하는 구성이었다. 본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1)는, 3개의 마이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마이크의 수는 2개 또는 3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7a 및 도 17b는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17a 및 도 17b에는 휴대 전화기(1)를 절첩한 상태만을 도시하고 있어, 도 17a에는 표시부(11)를 갖는 케이스(1a)를 상측으로 한 휴대 전화기(1)의 외관 사시도를, 도 17b에는 조작부(10)를 갖는 케이스(1b)를 상측으로 한 휴대 전화기(1)의 외관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1)는, 도 1a, 도 1b 및 도 1c 에 도시한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가 구비하는 각 구성 요소의 이외에, 케이스(1b)의 조작부(10)가 설치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적절한 위치에 마이크(12a)를 갖는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1)에서, 연산 처리부(2)가 ROM(3)에 저장되어 있는 여러 가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휴대 전화기(1)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1)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1)의 연산 처리부(2)는, 도 3에 도시한 구성에서, 스위치(22, 23) 대신에 입력 절환부(32)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1)는, 마이크(12a), 증폭기 및 A/D 변환기(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제3 음 입력부(12)를 갖는다. 제1 음 입력부(6), 제2 음 입력부(7) 및 제3 음 입력부(12)는, 수음해서 얻어진 음 신호를 입력 절환부(32)에 각각 송출한다. 본 실시 형태 5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케이스의 상태 판단부(21)로부터 통지된 휴대 전화기의 사용 형태에 따 라서, 음 입력부(6, 7, 12) 중의 2개의 음 입력부로부터의 음 신호를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에 송출하도록 입력 절환부(32)에 의한 절환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스타일인 것이 통지된 경우,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음 입력부(6, 7)로부터의 음 신호를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에 송출하도록 입력 절환부(32)를 제어한다. 또한, 뷰어 스타일인 것이 통지된 경우,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음 입력부(6, 12)로부터의 음 신호를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에 송출하도록 입력 절환부(32)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1)는,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지향성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1)에서의 지향성의 패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1)에서는, 통상 스타일에서는 도 19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마이크(7a, 6a)를 연결한 선 상을 중심으로 한 콘형의 지향성 패턴의 수음이 가능해져, 마이크(7a)가 설치된 측면 측에 지향성의 사각을 형성한 잡음 억압이 행하여진다. 또한, 뷰어 스타일에서는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마이크(12a, 6a)를 연결한 선 상을 중심으로 한 콘형의 지향성 패턴의 수음이 가능해져, 마이크(12a)가 설치된 측면 측에 지향성의 사각을 형성한 잡음 억압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1)에서는, 사용 형태에 따라서 마이크 어레이 처리에 이용하는 2개의 마이크를 적절히 절환함으로써, 목적의 음원(화자의 입)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에 지향성을 만들지 않는 콘형의 지향성 패턴을 항상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1)에 서는, 사용 형태에 상관없이 최적의 잡음 억압 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음질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1)가 행하는 잡음 억압 처리는, 전술한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8에서 설명한 플로우차트 중의 스텝 S2의 처리에서, 본 실시 형태 5의 연산 처리부(2)(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3개의 음 입력부(6, 7, 12) 중 2개를 선택하여, 선택한 2개의 음 입력부으로부터의 음 신호를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 중 어느 하나에 송출하도록 입력 절환부(32)를 제어한다.
<실시 형태 6>
이하에, 실시 형태 6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6의 휴대 전화기는, 전술한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1)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 있으므로, 마찬가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1)는, 통상 스타일에서의 사용 시와 뷰어 스타일에서의 사용 시에서, 3개의 마이크(6a, 7a, 12a) 중 2개의 마이크를 절환해서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행하는 구성이었다. 본 실시 형태 6의 휴대 전화기(1)는, 통상 스타일 및 뷰어 스타일에서의 사용 이외에, 통상 스타일에서의 사용 시에, 스피커(8a)를 화자의 귀에 가깝게 해서 사용하는 음성 통화 스타일(본 실시 형태 6에서도 통상 스타일이라고 함)과, 화자가 표시부(11)의 표시 화면을 보면서 사용하는 스타일(이하, 영상 전화 스타일이라고 함)과의 절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6의 휴대 전화기(1)는, 통상 스타일에서의 사용 시, 뷰어 스타일에서의 사용 시, 영상 전화 스타일에서의 사용 시에서, 3개의 마이크(6a, 7a, 12a)를 절환해서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행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 6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뷰어 스타일의 상태에서 표시부(11)의 표시 화면을 보면서 사용하는 스타일도 가능하지만,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본 실시 형태 6에서는, 전술한 통상 스타일, 뷰어 스타일, 영상 전화 스타일의 절환이 가능한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0은 실시 형태 6의 휴대 전화기(1)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 6의 휴대 전화기(1)에서, 연산 처리부(2)는, 도 18에 도시한 기능 이외에, 제3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33)의 기능을 갖는다. 제3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33)는, 도 4에 도시한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및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 6의 휴대 전화기(1)는, 음성 통화와 영상 전화 통화와의 선택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 6의 휴대 전화기(1)는, 음성 통화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는 음성 신호만을 통화 상대의 휴대 전화기에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6의 휴대 전화기(1)는, 영상 전화 통화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는, 휴대 전화기(1)에 설치된 카메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촬영된 화상 신호와 함께 음성 신호를 통화 상대의 휴대 전화기에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 6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에는, 음성 통화인지 영상 전화 통화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되어 있다.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 는, 음성 통화인지 영상 전화 통화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와, 케이스의 상태 판단부(21)로부터 통지된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에 기초하여, 통상 스타일인지, 뷰어 스타일인지, 영상 전화 스타일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판단한 스타일에 따라서, 음 입력부(6, 7, 12) 중 2개의 음 입력부로부터의 음 신호를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 33)에 송출하도록 입력 절환부(32)에 의한 절환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스타일이라고 판단한 경우,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음 입력부(6, 7)로부터의 음 신호를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에 송출하도록 입력 절환부(32)를 제어한다. 또한, 뷰어 스타일인 것이 통지된 경우,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음 입력부(6, 12)로부터의 음 신호를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에 송출하도록 입력 절환부(32)를 제어한다. 또한, 영상 전화 스타일이라고 판단한 경우,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음 입력부(6, 12)로부터의 음 신호를 제3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33)에 송출하도록 입력 절환부(32)을 제어한다.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 33)의 각각은, 2개의 음 입력부로부터의 음 신호가 입력된 경우, 각각의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62, 272)에 보존해 있는 사용 환경 정보를 이용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실행하고, 잡음 억압한 음 신호를 스위치(28)를 통해서 소정의 출력처에 송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 6의 휴대 전화기(1)는, 도 21a 및 도 21b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지향성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는 실시 형태 6의 휴대 전화기(1)에서의 지향성의 패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 6의 휴대 전화기(1)에서는, 통상 스타일에서는 도 21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마이크(7a, 6a)를 연결한 선 상을 중심으로 한 콘형의 지향성 패턴의 수음이 가능해져, 마이크(7a)가 설치된 측면 측에 지향성의 사각을 형성한 잡음 억압이 행하여진다.
또한, 영상 전화 스타일에서는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마이크(12a, 6a)를 연결한 선 상을 중심으로 한 콘형의 지향성 패턴의 수음이 가능해져, 마이크(12a)가 설치된 측면 측에 지향성의 사각을 형성한 잡음 억압이 행하여진다. 또한, 뷰어 스타일에서는 도 19b 에 도시한 지향성 패턴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 6의 휴대 전화기(1)에서는, 통상 스타일 및 뷰어 스타일 등과 같은 케이스의 상태의 변화뿐만 아니라, 음성 통화 및 영상 전화 통화 등과 같은 음성의 입력 스타일의 변화에 의해서도, 실행시키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 33)의 절환을 행한다. 따라서, 음성의 입력 스타일을 절환한 경우이더라도, 최적인 마이크 어레이 처리의 실행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 6의 휴대 전화기(1)는,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 형태에 상관없이, 목적의 음원(화자의 입)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에 지향성을 만들지 않는 콘형의 지향성 패턴을 항상 형성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사용 형태에서도 잡음 억압 처리의 정밀도를 저하시키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 6의 휴대 전화기(1)가 행하는 잡음 억압 처리는, 전술한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 처리를 행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8에서 설명한 플로우차트 중의 스텝 S1, 5의 처리에서, 본 실시 형태 6의 연산 처리부(2)(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통상 스타일인지, 뷰어 스타일인지, 영상 전화 스타일인지의 사용 형태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는, 케이스의 상태 판단부(21)로부터 통지된 휴대 전화기(1)의 케이스의 상태와, 음성 통화인지 영상 전화 통화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사용 형태인지를 판단한다.
<실시 형태 7>
이하에, 실시 형태 7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7의 휴대 전화기는, 전술한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1)와 마찬가지 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 있으므로, 마찬가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 1∼6의 휴대 전화기(1)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 33)의 각각이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62, 272)를 구비하는 구성이었다. 즉,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가 변경된 경우에, 정보 변환부(25)가, 변경 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 33)의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62)(또는 272)로부터 사용 환경 정보를 읽어내고, 변경 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 33)에 전달하는 구성이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 7의 휴대 전화기(1)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 33)의 각각에는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62, 272)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다.
도 22는 실시 형태 7의 휴대 전화기(1)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이다. 본 실시 형태 7의 휴대 전화기(1)에서, 연산 처리부(2)는, 도 3에 도시한 기능과 마찬가지 기능을 갖는 것 이외에, 정보 변환부(25)에는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기억 수단)(251)가 접속되어 있다.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 (251)로서는, 예를 들면 RAM(4)의 소정의 영역을 이용하여도 되고, 별도에 설치된 메모리부를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는, 도 4에 도시하는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지만,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62, 272)를 구비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 7의 정보 변환부(25)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에 의해 추정되는 사용 환경 정보를 축차 취득하여,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51)에 보존한다. 또한, 정보 변환부(25)는,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51)에 사용 환경 정보를 보존하는 경우, 각각의 사용 환경 정보를 추정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에 대응시켜 보존하여도 되고, 소정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사용 형태로 변환 시킨 후에 보존하여도 된다. 또한, 정보 변환부(25)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에 의해 추정된 사용 환경 정보를 축차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51)에 보존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전화기(1)의 사용 형태가 변경되었을 때에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51)에 보존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정보 변환부(25)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 제어부(24)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51)에 보존되어 있는 사용 환경 정보를 읽어내고,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변환부(25)는, 통상 스타일에서의 사용 시에는, 제1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에 사용 환경 정보를 전 달하고, 뷰어 스타일에서의 사용 시에는, 제2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에 사용 환경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정보 변환부(25)는, 필요에 따라서,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51)로부터 읽어낸 사용 환경 정보를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에 각각 전달할 때에,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에 대응한 사용 환경 정보로의 변환 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 7의 휴대 전화기(1)에서는, 복수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에서 추정된 사용 환경 정보가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51)에서 일괄 관리된다. 따라서, 3개 이상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를 구비하는 구성의 휴대 전화기(1)에서는, 사용 환경 정보의 송출 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즉, 실시 형태 6의 휴대 전화기(1)와 같이 3개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 27, 33)를 구비하는 구성에서는, 변경 전의 사용 형태 및 변경 후의 사용 형태에 따라서, 어느 쪽인가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 33)로부터, 어느 쪽인가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7)(또는 26, 33)로 사용 환경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 7의 휴대 전화기(1)에서는,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51)로부터 읽어낸 사용 환경 정보를 어느 쪽인가의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에 송출하면 되므로 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7의 휴대 전화기(1)가 행하는 잡음 억압 처리는, 전술한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8에서 설명한 플로우차트 중의 스텝 S7의 처리에서, 본 실시 형태 7의 연산 처 리부(2)(정보 변환부(25))는, 사용 환경 정보 보존부(251)로부터 읽어낸 사용 환경 정보를, 변경 후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26)(또는 27)로 전달하는 처리를 행한다.
<실시 형태 8>
이하에, 실시 형태 8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8은, 전술한 실시 형태 1∼7의 휴대 전화기(1)에 대한 외관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3a, 도 23b 및 도 23c는 실시 형태 8의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23a에는 절첩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휴대 전화기(1)의 외관 사시도를, 도 23b에는 절첩한 상태의 휴대 전화기(1)를 케이스(1a) 측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를, 도 23c에는 절첩한 상태의 휴대 전화기(1)를 케이스(1b) 측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 8의 휴대 전화기(1)는, 표시부(11)를 갖는 제1 케이스(1a)와, 조작부(10)를 갖는 제2 케이스(1b)가, 힌지부(1d)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힌지부(1d)는, 도 23a, 도 23b 및 도 23c에서의 상하 방향을 회동축으로 하고, 케이스(1b)에 대하여 18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도 2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10)를 해방시킨 상태와,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10)를 닫은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8의 휴대 전화기(1)에서는, 마이크(6a)를 힌지부(가동부)(1d)에 설치하고, 마이크(7a)를 케이스(1b)의 조작부(10)가 설치되어 있는 면의 반대 측의 면에 설치해 있다.
이와 같이, 회동하는 힌지부(1d)에 마이크(6a)를 설치함으로써, 본 실시 형 태 8의 휴대 전화기(1)에서는, 통상 스타일에서의 사용 시에서도 뷰어 스타일에서의 사용 시에 있어서, 2개의 마이크(6a, 7a)를 이용한 마이크 어레이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a는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b는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c는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는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4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5a는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지향성의 패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5b는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지향성의 패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6은 배경 잡음 스펙트럼 및 음성 구간의 스펙트럼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a는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7b는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은 잡음 억압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실시 형태 2의 휴대 전화기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11은 실시 형태 3의 휴대 전화기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12는 잡음 억압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실시 형태 4의 휴대 전화기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14는 표시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5는 마이크 어레이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잡음 억압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7a는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7b는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8은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19a는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지향성의 패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9b는 실시 형태 5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지향성의 패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0은 실시 형태 6의 휴대 전화기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21a는 실시 형태 6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지향성의 패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1b는 실시 형태 6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지향성의 패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2는 실시 형태 7의 휴대 전화기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23a는 실시 형태 8의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3b는 실시 형태 8의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3c는 실시 형태 8의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4는 종래의 잡음 억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 전화기(잡음 억압 장치)
2 : 연산 처리부
21 : 케이스의 상태 판단부(검지 수단)
25 : 정보 변환부(변환 수단)
26, 27 : 마이크 어레이 처리부(억압 수단)
261, 271 : 사용 환경 추정부(추정 수단)
6, 7 : 음 입력부(수음부)

Claims (12)

  1. 복수의 수음부를 통해서 음 신호를 입력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고, 입력된 음 신호에 포함되는 잡음 성분을 억압하는 잡음 억압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수음부의 위치 관계 및/또는 상기 복수의 수음부와 목적 음원과의 위치 관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사용 형태 중에서, 상기 잡음 억압 장치의 사용 형태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복수의 수음부에서 입력된 각 음 신호에 대하여 잡음 억압 처리에 이용하는 사용 환경 정보를, 상기 검지부가 검지한 사용 형태에 따른 사용 환경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가 변환한 사용 환경 정보를 이용한 잡음 억압 처리를 상기 음 신호에 대하여 행하는 억압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억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형태의 각각에 따른 사용 환경을 추정하는 추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추정부가 추정한 사용 환경을 나타내는 사용 환경 정보를, 상기 검지부가 검지한 사용 형태에 따른 사용 환경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억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부가 추정한 각각의 사용 형태에 따른 사용 환경을 나타내는 사용 환경 정보를, 각각의 사용 형태에 대응지어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 환경 정보를, 상기 검지부가 검지한 사용 형태에 따른 사용 환경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억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부는,
    상기 검지부가 검지한 사용 형태에 따라서, 상기 수음부의 각각에 입력된 음 신호에서의 음성 구간 및 잡음 구간, 그 음성 구간 및 잡음 구간의 정보를 이용해서 배경 잡음 레벨 및/또는 배경 잡음 스펙트럼을 추정하고,
    현재의 사용 형태에 대하여 추정한 상기 음성 구간 및 잡음 구간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사용 형태가 아닌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배경 잡음 레벨 및/또는 배경 잡음 스펙트럼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억압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형태의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억압부에 의해 잡음 억압 처리가 행하여진 음 신호의 SN비 및/또는 상기 억압부에 의한 잡음 억압 처리에서의 억압량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사용 형태의 각각에 대응해서 산출된 SN비 및/또는 억압량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비교한 결과를 외부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추정부는, 상기 수음부의 각각에 입력된 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형태의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 환경을 추정하고,
    상기 억압부는, 상기 추정부가 추정한 상기 사용 형태의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 환경을 나타내는 사용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 신호에 대하여 잡음 억압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억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음부의 사용 형태의 절환이 가능하고,
    상기 수음부의 사용 형태의 각각에 대응지어서, 소정의 음원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정보를 기억하는 방향 정보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억압부는, 상기 검지부가 검지한 상기 수음부의 사용 형태에 대응해서 기억하고 있는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형태에 따른 잡음 억압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억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음부는, 3개 이상이며,
    상기 사용 형태의 각각에 따라서, 상기 수음부 중의 복수의 수음부를 선택하 는 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억압부는, 선택된 수음부에 입력된 음 신호에 대하여 상기 잡음 억압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억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환경 정보는, 배경 잡음 레벨, 배경 잡음 스펙트럼의 통계량, 잡음 구간 및 잡음 대역을 나타내는 정보, 소정의 음원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정보, 잡음원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정보, SN비, 및 상기 복수의 수음부의 감도의 변동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 중의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억압 장치.
  9. 상기 복수의 수음부는 마이크로폰이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잡음 억압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음부 중의 적어도 1개가 설치된 가동부를 갖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수음부의 배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11. 복수의 수음부를 통해서 음 신호를 입력 가능한 잡음 억압 장치가, 상기 음 신호에 포함되는 잡음 성분을 억압하는 잡음 억압 방법으로서,
    상기 잡음 억압 장치는, 상기 복수의 수음부의 위치 관계 및/또는 상기 복수의 수음부와 목적 음원과의 위치 관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사용 형태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잡음 억압 장치가, 상기 사용 형태를 검지하는 스텝과,
    상기 잡음 억압 장치가, 상기 복수의 수음부에서 입력된 각 음 신호에 대하여 잡음 억압 처리에 이용하는 사용 환경 정보를, 검지한 사용 형태에 따른 사용 환경 정보로 변환하는 스텝과,
    상기 잡음 억압 장치가, 변환한 사용 환경 정보를 이용한 잡음 억압 처리를 상기 음 신호에 대하여 행하는 스텝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억압 방법.
  12. 컴퓨터에, 수음해서 얻어진 음 신호에 포함되는 잡음 성분을 억압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의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에,
    수음하였을 때의 사용 형태를 검지시키는 스텝과,
    상기 음 신호에 대하여 잡음 억압 처리에 이용하는 사용 환경 정보를, 검지한 사용 형태에 따른 사용 환경 정보로 변환시키는 스텝과,
    변환한 사용 환경 정보를 이용한 잡음 억압 처리를 상기 음 신호에 대하여 행하는 스텝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의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90057579A 2008-08-27 2009-06-26 잡음 억압 장치, 휴대 전화기, 잡음 억압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084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18610 2008-08-27
JP2008218610A JP5206234B2 (ja) 2008-08-27 2008-08-27 雑音抑圧装置、携帯電話機、雑音抑圧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463A true KR20100025463A (ko) 2010-03-09
KR101084420B1 KR101084420B1 (ko) 2011-11-21

Family

ID=40999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579A KR101084420B1 (ko) 2008-08-27 2009-06-26 잡음 억압 장치, 휴대 전화기, 잡음 억압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20388B2 (ko)
EP (1) EP2159791B1 (ko)
JP (1) JP5206234B2 (ko)
KR (1) KR101084420B1 (ko)
CN (1) CN10166175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619A1 (ko) * 2015-04-17 2016-10-20 (주)에스앤아이스퀘어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인식 통역기 및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6252B2 (en) * 2007-11-02 2010-12-21 Agere Systems Inc. Method for seamless noise suppression on wideband to narrowband cell switching
JP5407848B2 (ja) * 2009-12-25 2014-02-05 富士通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の指向性制御装置
JP5672770B2 (ja) 2010-05-19 2015-02-18 富士通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アレイ装置及び前記マイクロホンアレイ装置が実行するプログラム
JP5494468B2 (ja) 2010-12-27 2014-05-14 富士通株式会社 状態検出装置、状態検出方法および状態検出のためのプログラム
CN104902037B (zh) 2010-12-27 2018-08-28 罗姆股份有限公司 移动电话
US9313306B2 (en) 2010-12-27 2016-04-12 Rohm Co., Ltd. Mobile telephone cartilage conduction unit for making contact with the ear cartilage
JP5783352B2 (ja) 2011-02-25 2015-09-24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会話システム、会話システム用指輪、携帯電話用指輪、指輪型携帯電話、及び、音声聴取方法
GB2493327B (en) 2011-07-05 2018-06-06 Skype Processing audio signals
GB2495472B (en) 2011-09-30 2019-07-03 Skype Processing audio signals
CN103002171B (zh) * 2011-09-30 2015-04-29 斯凯普公司 处理音频信号的方法和装置
GB2495129B (en) 2011-09-30 2017-07-19 Skype Processing signals
GB2495128B (en) 2011-09-30 2018-04-04 Skype Processing signals
GB2495278A (en) 2011-09-30 2013-04-10 Skype Processing received signals from a range of receiving angles to reduce interference
GB2495131A (en) * 2011-09-30 2013-04-03 Skype A mobile device includes a received-signal beamformer that adapts to motion of the mobile device
GB2495130B (en) 2011-09-30 2018-10-24 Skype Processing audio signals
CN102368793B (zh) * 2011-10-12 2014-03-1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手机及其通话信号处理方法
GB2496660B (en) 2011-11-18 2014-06-04 Skype Processing audio signals
GB201120392D0 (en) 2011-11-25 2012-01-11 Skype Ltd Processing signals
US20130136282A1 (en) 2011-11-30 2013-05-30 David McClain System and Method for Spectral Personalization of Sound
GB2497343B (en) 2011-12-08 2014-11-26 Skype Processing audio signals
JP6162386B2 (ja) * 2012-11-05 2017-07-12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携帯電話
TWI666910B (zh) 2012-01-20 2019-07-21 日商精良股份有限公司 mobile phone
US8831686B2 (en) * 2012-01-30 2014-09-09 Blackberry Limited Adjusted noise suppression and voice activity detection
KR101836023B1 (ko) 2012-06-29 2018-03-07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스테레오 이어폰
JP6003510B2 (ja) * 2012-10-11 2016-10-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音声解析装置、音声解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946493B (zh) * 2012-11-27 2019-01-29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通话环境音调节方法
JP5931707B2 (ja) * 2012-12-03 2016-06-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ビデオ会議システム
CN103077725B (zh) * 2012-12-31 2015-12-23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语音处理的方法及装置
CN103929557B (zh) * 2013-01-11 2016-04-13 华为技术有限公司 语音会议噪声处理方法及装置
US20140211949A1 (en) * 2013-01-29 2014-07-31 Qnx Software Systems Limited Sound field reproduction
US9426573B2 (en) 2013-01-29 2016-08-23 2236008 Ontario Inc. Sound field encoder
US9307337B2 (en) * 2013-03-11 2016-04-05 Arris Enterpris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broadcast content
KR101877652B1 (ko) 2013-08-23 2018-07-12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전화
US9705548B2 (en) 2013-10-24 2017-07-11 Rohm Co., Ltd. Wristband-type handset and wristband-type alerting device
JP6551919B2 (ja) 2014-08-20 2019-07-31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検知装置および見守り通報装置
JP6446913B2 (ja) 2014-08-27 2019-01-09 富士通株式会社 音声処理装置、音声処理方法及び音声処理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5469806B (zh) * 2014-09-12 2020-02-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声音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04538040A (zh) * 2014-11-28 2015-04-2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动态选择通话语音信号的方法和装置
KR101973486B1 (ko) 2014-12-18 2019-04-29 파인웰 씨오., 엘티디 전자형 진동 유닛을 사용한 연골 전도 청취 장치 및 전자형 진동 유닛
KR102056550B1 (ko) 2015-07-15 2019-12-16 파인웰 씨오., 엘티디 로봇 및 로봇 시스템
JP6596689B2 (ja) * 2015-07-24 2019-10-30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マイクロホン装置
JP6551929B2 (ja) 2015-09-16 2019-07-31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受話機能を有する腕時計
CN105654960A (zh) * 2015-09-21 2016-06-0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对终端声音消噪的处理方法及装置
CN105357566B (zh) 2015-10-29 2019-05-24 歌尔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语音遥控器及其供电方法
US10778824B2 (en) 2016-01-19 2020-09-15 Finewell Co., Ltd. Pen-type handset
US10095470B2 (en) 2016-02-22 2018-10-09 Sonos, Inc. Audio response playback
US10264030B2 (en) 2016-02-22 2019-04-16 Sonos, Inc. Networked microphone device control
US9965247B2 (en) 2016-02-22 2018-05-08 Sonos, Inc. Voice controlled media playback system based on user profile
US9947316B2 (en) 2016-02-22 2018-04-17 Sonos, Inc. Voice control of a media playback system
US10509626B2 (en) 2016-02-22 2019-12-17 Sonos, Inc Handling of loss of pairing between networked devices
US10743101B2 (en) 2016-02-22 2020-08-11 Sonos, Inc. Content mixing
CN105957527A (zh) * 2016-05-16 2016-09-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语音控制电器的方法、装置及语音控制空调
US9978390B2 (en) 2016-06-09 2018-05-22 Sonos, Inc. Dynamic player selection for audio signal processing
US10152969B2 (en) 2016-07-15 2018-12-11 Sonos, Inc. Voice detection by multiple devices
US10134399B2 (en) 2016-07-15 2018-11-20 Sonos, Inc. Contextualization of voice inputs
US10115400B2 (en) 2016-08-05 2018-10-30 Sonos, Inc. Multiple voice services
US9942678B1 (en) 2016-09-27 2018-04-10 Sonos, Inc. Audio playback settings for voice interaction
US9743204B1 (en) * 2016-09-30 2017-08-22 Sonos, Inc. Multi-orientation playback device microphones
US10181323B2 (en) 2016-10-19 2019-01-15 Sonos, Inc. Arbitration-based voice recognition
US11183181B2 (en) 2017-03-27 2021-11-23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of multiple voice services
CN107087208B (zh) * 2017-05-25 2020-07-07 深圳市酷开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全景视频播放方法、系统及存储装置
US10475449B2 (en) 2017-08-07 2019-11-12 Sonos, Inc. Wake-word detection suppression
US10048930B1 (en) 2017-09-08 2018-08-14 Sonos, Inc. Dynamic computation of system response volume
US10446165B2 (en) 2017-09-27 2019-10-15 Sonos, Inc. Robust short-time fourier transform acoustic echo cancellation during audio playback
US10482868B2 (en) 2017-09-28 2019-11-19 Sonos, Inc. Multi-channel acoustic echo cancellation
US10051366B1 (en) 2017-09-28 2018-08-14 Sonos, Inc. Three-dimensional beam forming with a microphone array
US10621981B2 (en) 2017-09-28 2020-04-14 Sonos, Inc. Tone interference cancellation
US10466962B2 (en) 2017-09-29 2019-11-05 Sonos, Inc. Media playback system with voice assistance
JP7013789B2 (ja) * 2017-10-23 2022-02-01 富士通株式会社 音声処理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音声処理装置及び音声処理方法
US10880650B2 (en) 2017-12-10 2020-12-29 Sonos, Inc. Network microphone devices with automatic do not disturb actuation capabilities
US10818290B2 (en) 2017-12-11 2020-10-27 Sonos, Inc. Home graph
WO2019152722A1 (en) 2018-01-31 2019-08-08 Sonos, Inc. Device designation of playback and network microphone device arrangements
US10522167B1 (en) * 2018-02-13 2019-12-31 Amazon Techonlogies, Inc. Multichannel noise cancellation using deep neural network masking
US11175880B2 (en) 2018-05-10 2021-11-16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oice-assisted media content selection
US10847178B2 (en) 2018-05-18 2020-11-24 Sonos, Inc. Linear filtering for noise-suppressed speech detection
US10959029B2 (en) 2018-05-25 2021-03-23 Sonos, Inc. Determining and adapting to changes in microphone performance of playback devices
US10681460B2 (en) 2018-06-28 2020-06-09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playback devices with voice assistant services
US11076035B2 (en) 2018-08-28 2021-07-27 Sonos, Inc. Do not disturb feature for audio notifications
US10461710B1 (en) 2018-08-28 2019-10-29 Sonos, Inc. Media playback system with maximum volume setting
US10587430B1 (en) 2018-09-14 2020-03-10 Sonos, Inc. Network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playback devices based on sound codes
US10878811B2 (en) 2018-09-14 2020-12-29 Sonos, Inc. Network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ly deactivating wake-word engines
US11024331B2 (en) 2018-09-21 2021-06-01 Sonos, Inc. Voice detection optimization using sound metadata
US10811015B2 (en) 2018-09-25 2020-10-20 Sonos, Inc. Voice detection optimization based on selected voice assistant service
JP2020053948A (ja) 2018-09-28 2020-04-02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聴取装置
US11100923B2 (en) 2018-09-28 2021-08-24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wake word detection using neural network models
US10692518B2 (en) 2018-09-29 2020-06-23 Sonos, Inc. Linear filtering for noise-suppressed speech detection via multiple network microphone devices
US11899519B2 (en) 2018-10-23 2024-02-13 Sonos, Inc. Multiple stage network microphone device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and processing load
EP3654249A1 (en) 2018-11-15 2020-05-20 Snips Dilated convolutions and gating for efficient keyword spotting
US11183183B2 (en) 2018-12-07 2021-11-23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media playback systems having multiple voice assistant services
US11132989B2 (en) 2018-12-13 2021-09-28 Sonos, Inc. Networked microphon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localized arbitration
US10602268B1 (en) 2018-12-20 2020-03-24 Sonos, Inc. Optimization of network microphone devices using noise classification
US11315556B2 (en) 2019-02-08 2022-04-26 Sonos,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voice processing by transmitting sound data associated with a wake word to an appropriate device for identification
US10867604B2 (en) 2019-02-08 2020-12-15 Sonos,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voice processing
US11120794B2 (en) 2019-05-03 2021-09-14 Sonos, Inc. Voice assistant persistence across multiple network microphone devices
US10741164B1 (en) * 2019-05-28 2020-08-11 Bose Corporation Multipurpose microphone in acoustic devices
US11200894B2 (en) 2019-06-12 2021-12-14 Sonos, Inc. Network microphone device with command keyword eventing
US10586540B1 (en) 2019-06-12 2020-03-10 Sonos, Inc. Network microphone device with command keyword conditioning
US11361756B2 (en) 2019-06-12 2022-06-14 Sonos, Inc. Conditional wake word eventing based on environment
US11138969B2 (en) 2019-07-31 2021-10-05 Sonos, Inc. Locally distributed keyword detection
US10871943B1 (en) 2019-07-31 2020-12-22 Sonos, Inc. Noise classification for event detection
US11138975B2 (en) 2019-07-31 2021-10-05 Sonos, Inc. Locally distributed keyword detection
US11189286B2 (en) 2019-10-22 2021-11-30 Sonos, Inc. VAS toggle based on device orientation
US11200900B2 (en) 2019-12-20 2021-12-14 Sonos, Inc. Offline voice control
US11562740B2 (en) 2020-01-07 2023-01-24 Sonos, Inc. Voice verification for media playback
US11556307B2 (en) 2020-01-31 2023-01-17 Sonos, Inc. Local voice data processing
US11308958B2 (en) 2020-02-07 2022-04-19 Sonos, Inc. Localized wakeword verification
US11727919B2 (en) 2020-05-20 2023-08-15 Sonos, Inc. Memory allocation for keyword spotting engines
US11308962B2 (en) 2020-05-20 2022-04-19 Sonos, Inc. Input detection windowing
US11482224B2 (en) 2020-05-20 2022-10-25 Sonos, Inc. Command keywords with input detection windowing
US11698771B2 (en) 2020-08-25 2023-07-11 Sonos, Inc. Vocal guidance engines for playback devices
US11984123B2 (en) 2020-11-12 2024-05-14 Sonos, Inc. Network device interaction by range
US11551700B2 (en) 2021-01-25 2023-01-10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efficient keyword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7680B1 (en) * 1998-07-14 2002-04-23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noise cancellation
EP1202602B1 (en) 2000-10-25 2013-05-15 Panasonic Corporation Zoom microphone device
JP4138290B2 (ja) 2000-10-25 2008-08-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ズームマイクロホン装置
JP2004228920A (ja) * 2003-01-23 2004-08-12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通信端末
JP2005148163A (ja) 2003-11-11 2005-06-09 Canon Inc 音声認識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DE102004000043A1 (de) * 2004-11-17 2006-05-24 Siemens Ag Verfahren zur selektiven Aufnahme eines Schallsignals
JP4863713B2 (ja) 2005-12-29 2012-01-25 富士通株式会社 雑音抑制装置、雑音抑制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002438A2 (en) * 2006-03-24 2008-12-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for a wearable apparatus
JP4912036B2 (ja) 2006-05-26 2012-04-04 富士通株式会社 指向性集音装置、指向性集音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09069184A1 (ja) 2007-11-26 2009-06-04 Fujitsu Limited 音処理装置、補正装置、補正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619A1 (ko) * 2015-04-17 2016-10-20 (주)에스앤아이스퀘어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인식 통역기 및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
KR20160123747A (ko) * 2015-04-17 2016-10-26 (주)에스앤아이스퀘어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인식 통역기 및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4420B1 (ko) 2011-11-21
EP2159791B1 (en) 2013-02-13
US8620388B2 (en) 2013-12-31
EP2159791A1 (en) 2010-03-03
CN101661753B (zh) 2012-07-04
US20100056227A1 (en) 2010-03-04
CN101661753A (zh) 2010-03-03
JP5206234B2 (ja) 2013-06-12
JP2010054731A (ja)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420B1 (ko) 잡음 억압 장치, 휴대 전화기, 잡음 억압 방법 및 기록 매체
US9135924B2 (en) Noise suppressing device, noise suppressing method and mobile phone
KR102512311B1 (ko) 이어버드 스피치 추정
TWI435318B (zh) 利用多重裝置上的多重麥克風之語音加強之方法、設備及電腦可讀媒體
EP2208364B1 (en) Noise cancellation circuit for electronic device
EP2999235B1 (en) A hearing device comprising a gsc beamformer
JP2009500938A (ja) 音響ビーム形成装置及び方法
JP3964325B2 (ja) 通話システムおよび通信機
US20160100259A1 (en) Feedback estimation based on deterministic sequences
US20130148811A1 (en) Electronic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rmining Position Deviations in an Electronic Device and Generating a Binaural Audio Signal Based on the Position Deviations
JP5707871B2 (ja) 音声通話装置及び携帯電話
CN113329290B (zh) 耳机控制方法、装置、无线耳机及存储介质
JPH11239093A (ja) 移動体無線通信装置
JP7043344B2 (ja) エコー抑圧装置、エコー抑圧方法及びエコー抑圧プログラム
JP2009153053A (ja) 音声推定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RU2786157C2 (ru) Устройство эхоподавления, способ эхоподавления и программа эхоподавления
JP4655719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5022459B2 (ja) 収音装置、収音方法及び収音プログラム
JP2010204564A (ja) 通信装置
JP6357987B2 (ja) 通信装置
JP2013005106A (ja) 場内拡声装置、場内拡声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0016516A (ja) 電話装置
JP2006304023A (ja) 通話装置及び通話方法
JP2013042562A (ja) 携帯電話
JP2012138882A (ja) 携帯電話および音声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