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5199A - 반사 스크린 - Google Patents

반사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199A
KR20100025199A KR1020080083870A KR20080083870A KR20100025199A KR 20100025199 A KR20100025199 A KR 20100025199A KR 1020080083870 A KR1020080083870 A KR 1020080083870A KR 20080083870 A KR20080083870 A KR 20080083870A KR 20100025199 A KR20100025199 A KR 20100025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flective screen
depression
reflector
ref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윤
이원웅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3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5199A/ko
Publication of KR20100025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함몰부를 포함하는 광투과부, 상기 함몰부 내에 위치하는 광흡수부 및 제 1 반사부 및 상기 광투과부 상에 위치하는 제 2 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흡수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 1 반사부 사이에 위치하는 반사 스크린을 제공한다.
반사 스크린

Description

반사 스크린{Reflective Screen}
본 발명은 반사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사 스크린은 회의나 영사회 등에 있어서, OHP나 16mm 또는 8mm 필름을 이용하는 영사기 등의 기기에 사용되고 있고, 근래에는 영사기의 일종인 프로젝터(projector) 본체의 소형화나 가격의 저하 등에 수반되어, 홈 시어터(Home Theater) 등의 가정용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경우, 가정이나 사무실에 반사 스크린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와 같은 장소는 통상 외광이나 조명 빛 등의 주변 환경들로 인해 외광이 반사 스크린에 등어가기 쉬운 설계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가정용 또는 사무용으로 이용하기 위한 반사 스크린은 밝은 환경 하에서도 양호한 영상 표시를 실현하는 것이 그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사 스크린의 반사율을 향상시켜 명실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반사 스크린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스크린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함몰부를 포함하는 광투과부, 상기 함몰부 내에 위치하는 광흡수부 및 제 1 반사부 및 상기 광투과부 상에 위치하는 제 2 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흡수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 1 반사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부의 두께는 상기 제 1 반사부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제 1 반사부의 두께는 상기 함몰부의 높이의 1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광흡수부의 길이 방향에 따른 폭은 상기 제 1 반사부의 길이 방향에 따른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 2 반사부에 접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반사부 및 상기 제 2 반사부는 일체형일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스트라이프 타입, 매트릭스 타입 및 물결 타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사 스크린은 반사 스크린의 반사율을 향상시켜 이에 따라 명실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스크린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스크린(100)은 베이스부(110), 상기 베이스부(110)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함몰부(125)를 포함하는 광투과부(120), 상기 함몰부(125) 내에 위치하는 광흡수부(121) 및 제 1 반사부(131)를 포함하며, 상기 광흡수부(121)는 상기 베이스부(110)와 상기 제 1 반사부(1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반사 스크린(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아크릴(acryl),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지지의 신뢰성 및 투과율을 확보하기 위해 30 내지 250㎛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투과부(120)는 빛이 투과되는 영역으로, 투명한 자외선 경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경화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에폭시, 실리콘 등을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및 실록 산 등의 다관능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 가교형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광투과부(120)는 함몰부(125)의 용이한 형성을 위해 300 내지 500㎛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투과부(120)는 광흡수부(121) 및 제 1 반사부(131)를 포함하는 복수의 함몰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25)는 입사되는 빛 또는 출사되는 빛을 흡수 또는 반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광투과부(120) 내의 일면에 일정 깊이로 함몰된 영역일 수 있다.
함몰부(125)는 명실비 및 투과율을 고려하여 일정 폭과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함몰부(125)는 10 내지 150㎛의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3 내지 200㎛의 높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함몰부(125)는 명실비 및 투과율을 고려하여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함몰부(125)는 빛을 흡수하는 광흡수부(121) 및 빛을 반사하는 제 1 반사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부(121)는 상기 함몰부(125)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부(110)와 제 1 반사부(1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광흡수부(121)는 입사되는 빛 또는 출사되는 빛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빛을 흡수하기 위해 흑색 무기물, 흑색 유기물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흡수부(141)는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 수지에 카본 블랙(Carbon black)을 포함하는 감광성 흑색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반사부(131)는 빛이 반사되는 영역으로, 반사율이 높은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은(Ag), 크롬(C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은색 도료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제 1 반사부(131)는 함몰부(125)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광흡수부(121)와 상기 제 2 반사부(1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반사부(131)는 제 2 반사부(132)에 접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2 반사부(132)는 광투과부(120) 전면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빛을 전면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2 반사부(132)는 제 1 반사부(131)와 동일하게 반사율이 높은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은(Ag), 크롬(C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은색 도료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2 반사부(132)는 제 1 반사부(131)와 일체형일 수 있다.
제 2 반사부(132)는 균일한 반사율을 위해 10 내지 100㎛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스크린의 함몰부를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스크린(100)의 함몰부(125)는 광흡수부(121)를 포함하며, 함몰부(125) 내로 포함된 제 1 반사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함몰부(125)의 높이(H0)는 3 내지 200㎛일 수 있다.
또한, 광흡수부(121)의 두께(T1)는 제 1 반사부(131)의 두께(T2)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는 광흡수부(121)의 두께(T1)가 제 1 반사부(131)의 두께(T2)보다 두꺼우면, 외광을 차폐하고 명실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 1 반사부(131)의 두께(T2)는 함몰부(125)의 높이(H0)의 1 내지 30%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반사부(131)의 두께(T2)는 함몰부(125)의 높이(H0)의 10 내지 20%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반사부(131)의 두께(T2)가 함몰부(125)의 높이(H0)의 1% 이상이면, 제 2 반사부(132)에서 반사되어 산란된 빛을 제 1 반사부(131)에서 재반사하여 전면으로 출사시키기 때문에 집광 효과가 우수한 이점이 있고, 제 1 반사부(131)의 두께(T2)가 함몰부(125)의 높이(H0)의 30% 이하이면,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을 차폐하기 어려운 단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광흡수부(121)의 길이 방향에 따른 폭(W1)은 제 1 반사부(131)의 길이 방향에 따른 폭(W2)보다 좁을 수 있다. 즉, 함몰부(125)는 제 1 반사부(131) 방향 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함몰부(125)의 측면과 제 1 반사부(131)의 면은 일정 각도(θ)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각도(θ)는 외광을 효율적으로 차폐하고 내부에서 반사되어 출사되는 광은 전면으로 집광하여 효율적으로 명실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함몰부(125)의 타입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함몰부(125)의 타입은 반사 스크린의 전면에서 내려다보았을 때의 형상임을 참고한다.
다음, 도 3a 내지 도 3d는 함몰부의 다양한 타입(Type)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a를 살펴보면 광투과부(120)에 위치한 함몰부(125)는 스트라이프(stripe)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도 3b와 같이, 사선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함몰부(125)는 도 3c와 같이, 매트릭스(Matrix)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3d와 같이, 함몰부(125)는 물결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함몰부의 타입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전술한 반사 스크린의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a)와 같이, 베이스부(200)를 준비한다. 베이스부(200)는 아크릴(acryl),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 트(PET) 등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200) 상에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에폭시, 실리콘 등을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및 실록 산 등의 다관능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 가교형인 자외선 경화 수지를 도포하여 광투과부(210)를 형성한다.
그리고, 광투과부(210) 상부에 일정 패턴을 갖는 몰드(Mold, 220)를 배치한다. 그리고 몰드(220)에 압력을 가하여 광투과부(210)의 상부에 몰드(220) 패턴을 형성한다.
전술한 공정의 결과로 (b)와 같이 광투과부(210)에 일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230)가 형성된다. 함몰부(23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200)를 자외선 경화 시킨다.
이후, (c)와 같이 함몰부(230)가 형성된 광투과부(210)의 상부에 유동성을 갖는 재료 즉, 자외선 경화 수지에 카본 블랙(Carbon black)을 포함하는 감광성 흑색 레진(240)을 도포한다. 그러면, 감광성 흑색 레진(240)이 광투과부(210)의 함몰부(230)에 채워질 수 있다.
이후, 블레이드(Blade) 등을 이용하여 광투과부(210)의 표면에서 감광성 흑색 레진(240)을 걷어내어 (d)와 같이, 광흡수부(250)를 형성하고, 자외선 경화 공정을 거친다. 이때, 감광성 흑색 레진(240)을 걷어낼 때, 광흡수부(250)의 두께를 조절하도록 한다.
다음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함몰부(230) 내에 광흡수부(250)를 형성한 이후에, (e)와 같이, 광흡수부(250)가 형성된 광투과부(210) 상에 은색 도료를 그라비아 리버스 코트법(Gravure reverse court)으로 형성하여, 함몰부(230) 내에 제 1 반사부(261)를 형성하고, 광투과부(210)의 표면에 제 2 반사부(262)를 동시에 형성한다. 이와는 달리, 스프레이 도장, 스크린 인쇄, 콤마 코트, 잉크젯 또는 증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스크린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5는 반사 스크린의 함몰부 내에 위치하는 제 1 반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살펴보면, 영사기로부터 출사되어 반사 스크린에 입사된 빛 중 일부(a)는 반사 스크린의 제 2 반사부(262)에 입사되어 전면으로 반사되고, 일부(b)는 광흡수부(230)에 입사되어 흡수되고, 일부(c) 즉, 전반사의 임계각을 만족하는 빛은 광흡수부(230)에서 전반사되어 제 2 반사부(262)에서 반사된다.
그리고, 제 2 반사부(262)에서 반사되는 빛은 다시 제 1 반사부(261)에서 반사되어 전면으로 출사된다. 여기서, 제 2 반사부(262)에서 반사되어 제 1 반사부(261)로 입사되는 빛의 경우, 만약 제 1 반사부(261) 대신 광흡수부가 있었다면, 전반사의 임계각을 만족하지 않는 빛은 광흡수부(230)에 흡수되어 손실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함몰부에 제 1 반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전반사의 임계각을 만족하지 않는 빛일지라도 전면으로 반사시켜 빛의 손실을 방지 하여, 반사 스크린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명실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스크린의 제 1 반사부의 두께와 함몰부의 높이에 따른 반사 스크린의 반사 효과 및 외광 차폐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함몰부 높이에 대한 제 1 반사부의 두께비(%) 반사 효과 외광 차폐 효과
0.5 ×
1
2
3
5
10
15
20
25
30
35 ×
× : 나쁨, ○ : 좋음, ◎ : 매우 좋음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스크린에 있어서, 함몰부의 높이에 대한 제 1 반사부의 두께가 차지하는 비가 1% 이상이면, 제 1 반사부로 입사되는 빛을 전면으로 반사시켜 반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어, 빛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반사 스크린으로 입사하는 외광을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함몰부의 높이에 대한 제 1 반사부의 두께가 차지하는 비가 30% 이하이면, 반사 스크린으로 입사하는 외광을 차폐할 수 있는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스크린을 포함하는 반사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스크린(300)을 포함하는 반사 스크린 장치(400)는 프로젝터(P)로부터 반사 스크린(300)에 입사되는 빛을 관찰자(O)에게 반사시키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스크린(300)은 광투과부 내에 위치하는 함몰부에 제 1 반사부를 형성함으로써, 반사 스크린으로 입사되는 빛을 효율적으로 재반사하여 전면으로 출사시켜, 반사 스크린의 명실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사 스크린(300)을 통해 대화면의 영상을 관찰하는 관찰자(O)는 휘도가 높고, 선명한 대화면의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스크린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스크린을 나타낸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스크린의 함몰부의 다양한 타입을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스크린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스크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스크린을 포함하는 반사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도면.

Claims (8)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함몰부를 포함하는 광투과부;
    상기 함몰부 내에 위치하는 광흡수부 및 제 1 반사부; 및
    상기 광투과부 상에 위치하는 제 2 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흡수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 1 반사부 사이에 위치하는 반사 스크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부의 두께는 상기 제 1 반사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반사 스크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부의 두께는 상기 함몰부의 높이의 1 내지 30%인 반사 스크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부의 길이 방향에 따른 폭은 상기 제 1 반사부의 길이 방향에 따른 폭보다 좁은 반사 스크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사다리꼴 형상인 반사 스크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 2 반사부에 접해 있는 반사 스크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부 및 상기 제 2 반사부는 일체형인 반사 스크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스트라이프 타입, 매트릭스 타입 및 물결 타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반사 스크린.
KR1020080083870A 2008-08-27 2008-08-27 반사 스크린 KR20100025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870A KR20100025199A (ko) 2008-08-27 2008-08-27 반사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870A KR20100025199A (ko) 2008-08-27 2008-08-27 반사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199A true KR20100025199A (ko) 2010-03-09

Family

ID=42176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870A KR20100025199A (ko) 2008-08-27 2008-08-27 반사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51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89657A1 (en) * 2018-10-18 2021-12-16 Appotronics Corporation Limited Projection screen and processing method theref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89657A1 (en) * 2018-10-18 2021-12-16 Appotronics Corporation Limited Projection screen and processing method therefor
US11906891B2 (en) * 2018-10-18 2024-02-20 Appotronics Corporation Limited Projection screen and processing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4475B2 (en) Front ligh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reflectiv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front light, and electronic equipment provided with reflective display device
JP5250933B2 (ja) 反射スクリーン、及び、反射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US20090213593A1 (en) Optical device and system for black level enhancement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06082870A1 (ja) 反射スクリーン、反射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および反射型投影システム
JP2006330145A (ja) 反射スクリーン、反射投影システム、及び、反射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7056776B2 (ja) 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JP2006065266A (ja) 反射スクリーン、反射投影システム、及び、反射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5034533B2 (ja) 反射スクリーン
JP5521357B2 (ja) プリズムシート、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6024227A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反射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2004247072A (ja) 面光源装置
JP2008083317A (ja) 光学シート及び表示装置
JP6520015B2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KR20100025199A (ko) 반사 스크린
JP2016151649A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CN114649494A (zh) 一种光学保护基板及制备方法、显示装置
JP2010531465A (ja) 付着力が向上した光学シート、これを備えるフィルター、及びこれらのシートまたはフィルターを備える画像表示装置
KR20100025198A (ko) 반사 스크린
JP4725198B2 (ja) 反射スクリーン、反射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5974789B2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KR20100025197A (ko) 반사 스크린
JP2012150356A (ja) 光学シート、表示装置、及び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KR100967874B1 (ko) 반사 스크린
JP2015055855A (ja) 反射型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JP6702462B2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