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874B1 - 반사 스크린 - Google Patents

반사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874B1
KR100967874B1 KR1020080023469A KR20080023469A KR100967874B1 KR 100967874 B1 KR100967874 B1 KR 100967874B1 KR 1020080023469 A KR1020080023469 A KR 1020080023469A KR 20080023469 A KR20080023469 A KR 20080023469A KR 100967874 B1 KR100967874 B1 KR 100967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ark
transmittance
disposed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8227A (ko
Inventor
구홍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3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87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02Lenticular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 스크린은 제 1 투과율을 갖는 제 1 층(First Layer)과, 제 1 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 1 투과율보다 높은 제 2 투과율을 갖는 제 2 층(Second Layer)과, 제 2 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흑색도(Degree of Blackness)가 제 2 층의 흑색도보다 높은 암색부(Dark Colored Portion) 및 암색부 및 제 2 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 1 투과율보다 높은 제 3 투과율을 갖는 제 3 층(Third Layer)을 포함하고, 제 2 층은 두께가 서로 다른 제 1 부분(First Portion)과 제 2 부분(Second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사 스크린{Reflective Screen}
본 발명은 반사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영상 투영 장치는 영상 빛을 발산하는 프로젝터 등의 영상원과 반사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스크린은 전방에 배치된 프로젝터(Projector) 등의 영상원으로부터 투명되는 영상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 스크린을 포함하는 영상 투영 장치는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하고 아울러 대형 화면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면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제 2 층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콘트라스트(Contrast) 특성이 향상된 반사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 스크린은 제 1 투과율을 갖는 제 1 층(First Layer)과, 제 1 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 1 투과율보다 높은 제 2 투과율을 갖는 제 2 층(Second Layer)과, 제 2 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흑색도(Degree of Blackness)가 제 2 층의 흑색도보다 높은 암색부(Dark Colored Portion) 및 암색부 및 제 2 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 1 투과율보다 높은 제 3 투과율을 갖는 제 3 층(Third Layer)을 포함하고, 제 2 층은 두께가 서로 다른 제 1 부분(First Portion)과 제 2 부분(Second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암색부는 그 단면이 제 2 층과 인접하는 하부 부분(Lower Portion)과 하부 부분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부분(Upper Portion)을 포함하고, 하부 부분의 폭은 상부 부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암색부는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이고, 제 2 층의 상부에는 복수의 암색부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부분은 두 개의 암색부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고, 제 1 부분의 두께는 제 2 부분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또한, 제 1 부분의 단면의 형상은 오목 렌즈(Concave Lens)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 1 층의 반사율은 제 2 층의 반사율 및 제 3 층의 반사율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암색부의 굴절률은 제 3 층의 굴절률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 3 층의 접착강도는 5 내지 200㎏f/㎠일 수 있다.
또한, 제 3 층의 접착강도는 20 내지 150㎏f/㎠일 수 있다.
또한, 제 3 층은 외부 광의 파장이 305nm 내지 330nm인 영역에서 25% 내지 35% 범위의 흡수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3 층은 전자파 방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반사 스크린은 제 1 투과율을 갖는 제 1 층(First Layer)과, 제 1 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 1 투과율보다 높은 제 2 투과율을 갖는 제 2 층(Second Layer)과, 제 2 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흑색도(Degree of Blackness)가 제 2 층의 흑색도보다 높은 암색부(Dark Colored Portion) 및 암색부 및 제 2 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 1 투과율보다 높은 제 3 투과율을 갖는 제 3 층(Third Layer)을 포함하고, 제 2 층은 두께가 서로 다른 제 1 부분(First Portion)과 제 2 부분(Second Portion)을 포함하고, 제 1 부분은 두 개의 암색부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고, 제 1 부분의 두께는 제 2 부분의 두께보다 얇고, 제 2 층의 굴절률은 제 3 층의 굴절률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반사 스크린은 제 1 투과율을 갖는 제 1 층(First Layer)과, 제 1 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 1 투과율보다 높은 제 2 투과 율을 갖는 제 2 층(Second Layer)과, 제 2 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흑색도(Degree of Blackness)가 제 2 층의 흑색도보다 높은 암색부(Dark Colored Portion) 및 암색부 및 제 2 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 1 투과율보다 높은 제 3 투과율을 갖는 제 3 층(Third Layer)을 포함하고, 제 1 층은 제 2 층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의 단면의 형상은 볼록 렌즈(Convex Lens)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 스크린은 콘트라스트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투영되는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사 스크린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영상 투영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영상 투영 장치는 영상원(200)과 반사 스크린(100)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원(200)은 영상 빛을 발상하고, 반사 스크린(100)은 영상원(200)이 발산하는 영상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원(200)은 프로젝터를 예로 들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반사 스크린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살펴보면 반사 스크린(100)은 제 1 층(First Layer, 110), 제 2 층(Second Layer, 120), 암색부(Dark Colored Portion, 130) 및 제 3 층(Third Layer, 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층(110)은 제 1 투과율을 가지며,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재질, 예컨대 알루미늄(Al), 크롬(Cr) 등의 재질을 포함하여 입사되는 광을 충분히 반사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층(110)의 반사율은 제 2 층(120)의 반사율, 제 3 층(140)의 반사율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제 1 층(110)을 반사층(Reflective Layer)이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층(120)은 제 1 층(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 1 층(110)의 제 1 투과율보다 높은 제 2 투과율을 가짐으로써 입사되는 광을 충분히 투과할 수 있다.
제 2 층(120)의 투과율이 과도하게 낮은 경우에는 외부의 영상원(200)으로부터 발산되는 영상 빛을 충분히 반사시킬 수 없어서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가 과도하게 낮아질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제 2 층(120)의 투과율은 대략 40%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층(120)은 투명 혹은 반투명 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층(120)은 에폭시 재질 또는 아크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층(120)은 도 3에서와 같이 두께가 서로 다른 제 1 부분(First Portion, 121)과 제 2 부분(Second Portion, 1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부분(121)의 두께(t1)는 제 2 부분(122)의 두께(t2)보다 얇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층(110)이 제 2 층(120)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부(111)를 포함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암색부(130)는 제 2 층(120)의 상부에 배치되며 흑색도(Degree of Blackness)가 제 2 층(120)의 흑색도보다 높다. 이러한 암색부(130)는 흑색도가 높은 재질, 예컨대 탄소(Carbon)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암색부(130)는 흑색도가 높은 재질의 비드(Bead)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암색부(130)는 도 3과 같이 그 단면이 제 2 층(120)과 인접하는 하부 부분(Lower Portion, 131)과 하부 부분(131)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부분(Upper Portion, 132)을 포함하고, 하부 부분(131)의 폭(W3)은 상부 부분(132)의 폭(W4)보다 클 수 있다.
제 3 층(140)은 암색부(130) 및 제 2 층(1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 1 층(110)의 제 1 투과율보다 높은 제 3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영상원(200)으로부터 입사되는 영상 빛이 암색부(130)에 흡수되는 것을 억제하고 효과적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제 3 층(140)의 굴절률은 상기 암색부(130)의 굴절률보다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각도 이하로 입사되는 빛은 암색부(130)의 굴절률이 제 3 층(140)의 굴절률 보다 작음으로 인해 암색부(130)에 의해 전반사될 수 있고, 소정 각도 이상으로 입사되는 빛은 암색부(130)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층(140)의 재질은 암색부(130)가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성형이 용이한 것이 유리할 수 있고, 아울러 암색부(140)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3 층(140)에 암색부(130)를 형성한 이후에 제 3 층(140)을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층(14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성형이 용이하고 아울러 경화 이후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자외선 경화 수질 재질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제 3 층(140)은 전자파 장애(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EMI)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전자파 방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 3 층(140)은 경화된 이후에 충분히 큰 접착강도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 제 3 층(140)의 접착강도가 과도하게 작은 경우에는 제 2 층(120)과 제 3 층(140)의 경계면이 박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 2 층(120)과 제 3 층(140)의 사이에는 암색부(130)가 위치하기 때문에 제 2 층(120)과 제 3 층(140)이 접촉하는 부분의 넓이가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제 3 층(140)이 충분히 큰 접착강도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제 3 층(140)의 접착강도는 5 내지 200㎏f/㎠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f/㎠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3 층(140)의 접착강도가 5㎏f/㎠ 이상인 이유는 제 3 층(140)의 경화 이후에 제 3 층(140)과 제 2 층(120)이 쉽게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제 3 층(140)의 접착강도는 높으면 높을수록 좋으나 현재 공정상의 한계로 제 3 층(140)의 접착강도는 200㎏f/㎠이하일 수 있다.
아울러, 반사 스크린(100)은 기재층(150)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 재층(150)은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과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 3 층(140)이 형성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기재층(150)에는 소정의 염료가 첨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반사 스크린(100)은 기능층(160)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능층(160)은 오염 방지층, 눈부심 방지층, 반사 방지층 등의 다양한 기능성 층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재층(150) 및 기능층(160)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반사 스크린(100)의 기능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2와 같이 영상원(200)으로부터 발상되는 영상 빛을 L1이라 가정한다. 또한 외부 광원(300), 예컨대 태양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을 L2라 가정한다.
영상원(200)으로부터 입사되는 영상 빛(L1)의 경우에 제 3 층(140)으로 입사되는 입사각(A)이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제 3 층(140)으로 입사된 영상 빛(L1)은 제 2 층(120)을 투과한 이후에 다시 제 1 층(110)에 의해 반사되어 반사 스크린(10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그러면, 시청자는 반사 스크린(100)에 의해 반사된 영상 빛(L1)을 감지함으로써 반사 스크린(100)에 구현되는 영상을 인식할 수 있다.
반면에, 태양 등의 외부 광원(300)으로 입사되는 외부광(L2)의 경우에는 제 3 층(140)으로 입사되는 입사각(B)이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제 3 층(140)으로 입사된 외부광(L2)은 제 2 층(120)을 투과한 이후에 암색부(130)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그러면, 시청자는 외부 광원(300)에 의한 외부광(L2)이 있는 환경에서도 반사 스크린(100)에 의해 반사된 영상 빛(L1)을 감지함으로써 반사 스크린(100)에 구현되는 영상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6은 제 2 층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살펴보면 제 2 층(120)은 두께가 서로 다른 제 1 부분(121)과 제 2 부분(122)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 1 부분(121)은 두 개의 암색부(130)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고, 제 1 부분(121)의 두께(t1)는 제 2 부분(122)의 두께(t2)보다 얇을 수 있다. 즉, 제 1 부분(121)과 제 2 부분(122) 중 상대적으로 얇은 제 1 부분(121)이 두 개의 암색부(130) 사이의 제 3 층(140)에 노출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외부광(L2)의 흡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 1 부분(121)의 단면의 형상은 오목 렌즈(Concave Lens)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1 층(110)의 측면에서는 제 1 층(110)이 제 2 층(120)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11)의 단면의 형상이 볼록 렌즈(Convex Lens) 형상인 것이다.
제 1 부분(121)과 제 2 부분(122)의 경계면에서 제 1 부분(121)과 제 2 부분(122)의 사이 각(θ1)과 제 1 부분(121)과 제 2 부분(122)의 두께차이(t3)는 외부광(L2)을 보다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부분(121)의 단면의 폭(W1)은 두 개의 암색부(130) 간의 간격(W2)보다 작은 것이 가능하다.
제 2 층(120)의 제 1 부분(121)의 기능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같이 제 2 층(120)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균일한 경우에는, 소정 각도로 입사되는 외부광(L2)이 제 1 층(110)에 의해 반사된 이후 다시 제 2 층(120)을 투과한 이후 암색부(130)에 의해 반사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태양과 같은 외부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L2)이 암색부(13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제 2 층(120) 및 제 1 층(110)에 도달하고, 이후 제 1 층(110)에 의해 반사되는 외부광(L2)이 암색부(13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반사 스크린의 반사율이 증가함으로써 콘트라스트 특성이 악화되고 이에 따라 영상의 화질이 악화될 수 있다.
반면에, 도 6의 경우에는 태양과 같은 외부 광원으로부터 외부광(L2)이 소정 각도로 입사되면, 외부광(L2)은 제 3 층(140) 및 제 2 층(120)을 투과하여 제 1 층(110)의 돌출부(111)에 도달할 수 있다. 돌출부(111)에 도달한 외부광(L2)은 볼록한 형상의 돌출부(111)의 경사면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그러면, 외부광(L2)은 돌출부(111)에 의해 입사각에 비해 더 큰 각도로 반사됨으로써 암색부(130)의 밑면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광(L2)의 반사율이 감소함으로써 구현되는 영상의 콘트라스트 특성이 향상되며 반사 스크린에 구현되는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2 층(120)의 굴절률은 제 3 층(140)의 굴절률과 실질적으로 동일 한 것이 가능하다. 즉, 제 2 층(120)이 두께가 서로 다른 제 1 부분(121)과 제 2 부분(122)을 포함하는 경우, 즉 제 1 층(110)이 돌출부(111)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 2 층(120)의 굴절률과 제 3 층(140)의 굴절률이 서로 동일한 경우에도 소정 각도로 입사되는 외부광(L2)을 암색부(130)의 밑면으로 흡수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콘트라스트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제 2 층과 제 3 층의 굴절률이 서로 다른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살펴보면, 제 2 층(120)의 굴절률은 제 3 층(140)의 굴절률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층(120)의 굴절률은 제 3 층(140)의 굴절률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소정 각도로 입사되는 외부광(L2)은 제 2 층(120)과 제 3 층(140)의 경계면에서 진행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외부광(L2)의 진행방향은 제 2 층(120)에서의 입사각이 제 3 층(140)에서의 입사각보다 더 크게 되는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러면, 제 1 부분(121)의 두께(t1)와 제 2 부분(122)의 두께(t2)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거나 제 1 부분(121)과 제 2 부분(122)의 경계면에서 제 1 부분(121)과 제 2 부분(122)의 사이 각(θ1)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도 소정 각도로 입사되는 외부광(L2)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도 8은 제 1 부분의 단면의 폭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살펴보면, 제 1 부분(121)의 폭(W1)은 두 개의 암색부(130)의 사이 간격(W2)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앞선 도 4와 같이 제 1 부분(121)의 폭(W1)이 두 개의 암 색부(130)의 사이 간격(W2)보다 작은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부분(121)과 제 2 부분(122)의 경계면에서 제 1 부분(121)과 제 2 부분(122)의 사이 각(θ2)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도 9는 암색부의 또 다른 형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살펴보면, 암색부는 그 단면이 (a)와 같이 Flat Top을 갖는 형태인 것이 가능하다.
또는, 암색부는 그 단면에 (b)와 같이 Round Top을 갖는 형태인 것도 가능하다.
또는, 암색부는 그 단면이 (c)와 같이 오목한 형태의 측면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암색부의 단면의 형태는 외부광(L2)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영상 빛을 효과적으로 반사하기 위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암색부의 배치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0을 살펴보면 암색부(130)는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이고, 이러한 스트라이프 형상의 복수의 암색부(130)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스트라이프 형상의 암색부(130)는 제 3 층(140)의 일면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11과 같이 암색부(130)는 제 3 층(140)의 일면과 소정 각도(C)를 이루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암색부(130)의 진행방향과 제 3 층(140)의 일면이 이루는 각도(C)는 영상의 해상도 등의 변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12는 기울어진 형태의 암색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살펴보면, 암색부(130)는 태양과 같은 외부 광원이 발상하는 외부광(L2)의 입사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암색부(130)는 제 3 층(140)의 밑면과 θ3의 각도를 이루는 제 3 부분(Third Portion, 1500)과 제 3 층(140)의 밑면과 θ4의 각도를 이루는 제 4 부분(Fourth Portion, 1501)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3 층(140)의 밑면과 제 3 부분(1500)이 이루는 각도(θ3)가 제 3 층(140)의 밑면과 제 4 부분(1501)이 이루는 각도(θ4)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3 부분(1500)의 밑면의 길이(S1)는 제 4 부분(1501)의 밑면의 길이(S2)보다 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앞선 도 3의 경우에 비해 암색부(130)로 입사되는 외부광(L2)의 입사각도가 상대적으로 클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광(L2)의 흡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는 암색부와 제 1 부분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살펴보면, 두 개의 암색부(13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부분(121)은 두 개의 암색부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 하다.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임의의 한 제 1 부분(121)을 사이에 배치된 두 개의 암색부(131, 132) 중 외부광(L2)이 입사되는 방향에 배치된 것을 제 1 암색부(131)라 하고, 그 아래 방향에 배치된 것을 제 2 암색부(132)라 하자.
이러한 경우에 제 1 부분(121)의 폭(W1)이 제 1 암색부(131)와 제 2 암색부(132) 간의 간격(W2)보다 작고, 암색부(130)의 밑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 1 부분(121)과 제 1 암색부(131) 간의 간격(P1)은 제 1 부분(121)과 제 2 암색부(132) 간의 간격(P2)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그러면, 외부에서 입사되는 외부광(L2)이 제 2 암색부(132)의 밑에 의해 흡수되도록 반사 각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 도 13에서는 암색부(130)의 밑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 1 부분(121)과 제 1 암색부(131) 간의 간격(P1)이 제 1 부분(121)과 제 2 암색부(132) 간의 간격(P2)보다 큰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와는 다르게 암색부(130)의 밑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 1 부분(121)과 제 1 암색부(131) 간의 간격(P1)이 제 1 부분(121)과 제 2 암색부(132) 간의 간격(P2)보다 작은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부분(121)의 두께(t1)와 제 2 부분(122)의 두께(t2)의 차이 등 외부광(L2)의 반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른 변수들이 도 13의 경우와 다르게 변경될 수 있다.
또는, 도 14와 같이 제 1 부분(121)은 제 1 암색부(131)와는 중첩(Overlap)되고, 제 2 암색부(132)와는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암색부(130)의 밑 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 1 부분(121)과 제 1 암색부(131)는 P3의 길이만큼 중첩되고, 제 1 부분(121)과 제 2 암색부(132)는 P4의 길이만큼 이격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부분(121)의 폭(W1)이 제 1 암색부(131)와 제 2 암색부(132) 사이의 간격(W2)보다 큰 경우도 가능하고, 제 1 부분(121)의 폭(W1)이 제 1 암색부(131)와 제 2 암색부(132) 사이의 간격(W2)보다 작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가능하다.
여기, 도 14에서는 제 1 부분(121)은 제 1 암색부(131)와는 중첩(Overlap)되고, 제 2 암색부(132)와는 중첩되지 않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와는 다르게 제 1 부분(121)은 제 1 암색부(131)와는 중첩되지 않고, 제 2 암색부(132)와는 중첩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부분(121)의 두께와 제 2 부분(122)의 두께의 차이 등 외부광(L2)의 반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른 변수들이 도 14의 경우와 다르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5는 제 3 층의 광흡수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3 층이 자외선 경화성 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에, 제 3 층은 자외선의 흡수율이 높을수록 경화도가 향상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반사 스크린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고려하여, 제 3 층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의 파장이 305nm 내지 330nm인 영역에서 30% 범위의 흡수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제 3 층을 경화하기 위해 자외선을 제 3 층에 조사하는 경우, 외부 또는 내부적 요인으로 인해 항시 일정한 파장대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없기 때문에, 제 3 층의 광흡수율은 이에 따른 편차로 대략 ㅁ 5% 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층은 자외선의 파장이 305nm 내지 330nm인 영역에서 ㅁ 5% 정도의 오차범위를 포함하여 25% 내지 35% 범위의 광흡수율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의 파장이 305 nm이상인 조건에서 제 3 층은 자외선 파장을 대략 25% 내지 30% 범위로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 3 층은 낮은 파장대인 자외선 광에서 흡수율이 25% 내지 30% 범위로 나타나기 때문에 제 3 층의 경화를 위해 높은 파장 대의 자외선 광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자외선의 파장이 330nm 이하인 조건에서 제 3 층은 자외선 파장을 대략 30% 내지 35% 범위로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 3 층은 자외선의 파장이 330nm 이하일 때 역시, 낮은 파장대인 자외선 광에서 흡수율이 30% 내지 35% 범위로 나타나기 때문에 제 3 층의 경화를 위해 높은 파장대의 자외선 광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그래프는, 제 3 층이 낮은 파장 대인 자외선 광에서 25% 내지 35% 대의 흡수율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반사 스크린은 제 3 층의 경화 과정에서 제 3 층의 경화를 위해 조사된 자외선이 다른 부분, 예컨대 암색부에 치명적인 손상 또는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낮은 파장 대에서 적정한 흡수율을 갖는 제 3 층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을 영상 투영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반사 스크린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제 2 층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제 2 층과 제 3 층의 굴절률이 서로 다른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제 1 부분의 단면의 폭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암색부의 또 다른 형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1은 암색부의 배치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기울어진 형태의 암색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내지 도 14는 암색부와 제 1 부분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제 3 층의 광흡수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번호의 설명>
100 : 반사 스크린 200 : 영상원
110 : 제 1 층 120 : 제 2 층
130 : 암색부 140 : 제 3 층
150 : 기재층 160 : 기능층

Claims (14)

  1. 제 1 투과율을 갖는 제 1 층(First Layer);
    상기 제 1 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높은 제 2 투과율을 갖는 제 2 층(Second Layer);
    상기 제 2 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흑색도(Degree of Blackness)가 상기 제 2 층의 흑색도보다 높은 복수의 암색부(Dark Colored Portion); 및
    상기 복수의 암색부 및 상기 제 2 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높은 제 3 투과율을 갖는 제 3 층(Third Layer);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층은 제 1 두께를 갖는 복수의 제 1 부분(First Portion)과 상기 제 1 두께보다 두꺼운 제 2 두께를 갖는 복수의 제 2 부분(Second Portion)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암색부 각각은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 1 부분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는 반사 스크린.
  2. 제 1 투과율을 갖는 제 1 층(First Layer);
    상기 제 1 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높은 제 2 투과율을 갖는 제 2 층(Second Layer);
    상기 제 2 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흑색도(Degree of Blackness)가 상기 제 2 층의 흑색도보다 높은 암색부(Dark Colored Portion); 및
    상기 암색부 및 상기 제 2 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높은 제 3 투과율을 갖는 제 3 층(Third Layer);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층은 상기 제 2 층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알루미늄을 함유한 층인 반사 스크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두 개의 상기 암색부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는 반사 스크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암색부는 그 단면이 상기 제 2 층과 인접하는 하부 부분(Lower Portion)과 상기 하부 부분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부분(Upper Portion)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부분의 폭은 상부 부분의 폭보다 큰 반사 스크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암색부는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이고,
    상기 제 2 층의 상부에는 복수의 상기 암색부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반사 스크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반사율은 상기 제 2 층의 반사율 및 상기 제 3 층의 반사율보다 높은 반사 스크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암색부의 굴절률은 상기 제 3 층의 굴절률보다 작은 반사 스크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층의 접착강도는 5 내지 200㎏f/㎠인 반사 스크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층의 접착강도는 20 내지 150㎏f/㎠인 반사 스크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층은 외부 광의 파장이 305nm 내지 330nm인 영역에서 25% 내지 35% 범위의 흡수율을 갖는 반사 스크린.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층은 전자파 방지재를 포함하는 반사 스크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의 단면의 형상은 오목 렌즈(Concave Lens) 형상인 반사 스크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의 굴절률은 상기 제 3 층의 굴절률과 동일한 반사 스크린.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단면의 형상은 볼록 렌즈(Convex Lens) 형상인 반사 스크린.
KR1020080023469A 2008-03-13 2008-03-13 반사 스크린 KR100967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469A KR100967874B1 (ko) 2008-03-13 2008-03-13 반사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469A KR100967874B1 (ko) 2008-03-13 2008-03-13 반사 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227A KR20090098227A (ko) 2009-09-17
KR100967874B1 true KR100967874B1 (ko) 2010-07-05

Family

ID=4135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469A KR100967874B1 (ko) 2008-03-13 2008-03-13 반사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8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7307A (ko) * 2011-12-23 2014-09-04 에씰로아 인터내셔날(콩파니에 제네랄 도프티크) 자외선 유해성 차단에 대한 안경알의 등급 결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1588A (ja) 2005-02-02 2006-11-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スクリーン、及び、反射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2007241263A (ja) 2006-02-07 2007-09-20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スクリーン
JP2008040153A (ja) * 2006-08-07 2008-02-21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1588A (ja) 2005-02-02 2006-11-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スクリーン、及び、反射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2007241263A (ja) 2006-02-07 2007-09-20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スクリーン
JP2008040153A (ja) * 2006-08-07 2008-02-21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7307A (ko) * 2011-12-23 2014-09-04 에씰로아 인터내셔날(콩파니에 제네랄 도프티크) 자외선 유해성 차단에 대한 안경알의 등급 결정
KR102041951B1 (ko) 2011-12-23 2019-11-07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자외선 유해성 차단에 대한 안경알의 등급 결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227A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6602B1 (ko) 전방 조명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TWI490568B (zh) 顯示裝置及其前光模組
TWI526721B (zh) 具支撐肋之導光板與使用其之顯示模組
CN109212825B (zh) 光学膜片及显示模块
US20090213593A1 (en) Optical device and system for black level enhancement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04286996A (ja) 透過型スクリーン
TWI786412B (zh)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JP2021033019A (ja) 光学部材
JP2010533311A (ja) 高明暗比の光学シート、それを備えるフィルタ、及び前記シートまたはフィルタを備える画像表示装置
EP3985435B1 (en) Projection screen
KR100891648B1 (ko) 고해상도 시트, 이를 구비하는 필터, 및 상기 시트 또는필터를 구비하는 표시소자
TW202135174A (zh) 前光模組與具有前光模組之顯示裝置
US20220171097A1 (en) Mobile terminal
JP2006208610A (ja) 透光性基板及び透過型光学部材
KR100967874B1 (ko) 반사 스크린
JP2013213882A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CN114649494A (zh) 一种光学保护基板及制备方法、显示装置
KR20090098224A (ko) 반사 스크린
JP2010531465A (ja) 付着力が向上した光学シート、これを備えるフィルター、及びこれらのシートまたはフィルターを備える画像表示装置
US11982828B2 (en) Display device
KR100967603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JP2006208611A (ja) 透光性基板及び透過型光学部材
JP2007248938A (ja) 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背面投射型ディスプレイ装置
CN108121105A (zh) 面盖组件、显示模组和移动终端
KR20100025199A (ko) 반사 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