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367A - 리니어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리니어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367A
KR20100024367A KR1020090078334A KR20090078334A KR20100024367A KR 20100024367 A KR20100024367 A KR 20100024367A KR 1020090078334 A KR1020090078334 A KR 1020090078334A KR 20090078334 A KR20090078334 A KR 20090078334A KR 20100024367 A KR20100024367 A KR 20100024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agnet
vibration motor
terminal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4518B1 (ko
Inventor
김한준
권기태
Original Assignee
유성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성정밀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24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04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 H02K33/0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with polarised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01F7/1607Armatures entering the winding
    • H01F7/1615Armatures or 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having permanent magne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진동을 하는 리니어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에 마그네트를 고정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마그네트의 내측으로 진동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며, 스프링를 단자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마그네트의 크기를 크게 형성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자기력에 따른 진동력 향상 및 진동의 응답속도를 향상시켜 다양한 진동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요크의 구성요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여 제작단가를 낮춤과 동시에 스프링를 단자로 이용하여 부품수를 줄이면서 코일 구동시 단선이 발생하지 않은 구조로 이루어져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싱의 상측케이스와 진동부의 웨이트에 각각 돌출부와 홈 및 탄성부재를 형성하여, 진동부의 구동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리니어 진동모터를 제공한다.
수직진동, 핸드폰, 스프링 단자

Description

리니어 진동모터{Linear type 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수직진동을 하는 리니어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그네트를 외측으로 위치를 이동시키고, 웨이트와 코일을 일체형으로 하여 움직이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기존 방식보다 자기력을 높일 수 있어 진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켜 다양한 진동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며, 또한, 자기회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요크의 기능을 케이싱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부품수를 줄여 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웨이트와 코일을 인서트 사출물을 통해 인서트 사출하여 제작 공정수를 줄여 공정단가를 낮춤과 동시에 안정적인 결합력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스프링을 단자로 이용하여 부품수를 줄이면서 코일 구동시 단선이 발생하지 않은 구조로 이루어져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공간활용이 가능해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싱의 상측케이스와 진동부의 웨이트에 각각 돌출부와 홈 및 탄성부재를 형성하여, 진동부의 구동시 소음을 방지할 수 있 리니어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기에서 착신을 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것이 벨소리와 진 동이다. 진동을 위해서는 소형의 진동모터를 구동시켜 구동력이 기기의 케이스로 전달되도록 하여 기기전체가 진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휴대폰과 같이 통신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착신수단중 하나인 진동모터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부품으로써,휴대폰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알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폰시장이 급속도로 팽창되고 있고, 이와 더불어 새로운 기능의 요구에 따라 멀티미디어의 사용을 위한 터치스크린 채용이 급속히 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과 같이 단순 착신알림용 진동 보다는 사용자와 기기간의 인터페이스 용도의 다양한 진동이 요구되고 있어 이를 위하여 기존 제품보다 응답성이 빠르고, 진동력이 강한 새로운 구조의 제품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진동모터의 단면도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편평형 또는 코인형(coin type) 진동모터(101)는 고정자(120)에 대하여 샤프트(13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자(110)와, 상기 회전자(110)와 고정자(120)를 내부수용하는 하우징(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자(120)의 하부기판(121)에 장착되는 브러쉬(125)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한쌍의 브러쉬(125)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류가 유도되며, 상기 브러쉬(125)의 상단은 상기 회전자(110)의 상부기부(111)하부면에 구비되는 정류자(115)와 탄력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브러쉬(125)와 접촉되는 정류자(115)를 통해 상기 회전자(110)에 구비된 권선코일(11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권선코일(112)에 유도되는 전류의 흐름방향에 의한 전기장과 상기 고정자(120)의 구비된 마그네트(122)에 의한 자기장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기 회전자(110)는 샤프트(131)를 중심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자(110)의 회전시마다 상기 브러쉬(125)와 이에 접촉하는 정류자(115)의 세그먼트간의 접점이 변하면서 전원 극성이 계속적으로 바뀌게 되므로 무게중심이 편중된 회전자(10)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착신신호인 진동을 유발하게 된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114는 상기 권선코일, 중량체를 감싸는 절연물이며, 132는 베어링부재이며, 135는 상기 하우징(30)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는 브라켓이다.
이러한 진동모터(101)는 외부전원공급시 편심배치된 중량체를 갖는 회전자(110)를 회전시킴으로써 기계적 진동을 얻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자(110)의 회전력은 대부분이 브러쉬(125)와 정류자(115)간의 접점을 통한 정류작용을 거쳐 회전자(110)의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정류자 또는 브러쉬형 모터구조로 구현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를 갖는 모터의 구동시 상기 브러쉬(125)가 정류자(115)의 세그먼트와 또 다른 세그먼트사이의 극간을 지나면서 기계적인 마찰과 전기적인 스파크(Spark)및 마모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블랙파우더(Black Powder)와 같은 이물을 생성하여 모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진동의 응답속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구성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면서 수직방향의 상하진동을 발생시키는 수직진동자(103)가 개발되었다.
도 2는 일반적인 수직진동자의 단면도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진동자(103)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181)와, 하부면에 하부플레이트(183)가 장착되고, 수직으로 착자된 마그네트(182), 상기 하부플레이트(183), 마그네트(182)와 더불어 자기회로를 형성하도록 마그네트(183)가 장착되는 요크(184)및 상기 요크(184)에 장착되는 웨이트(185)를 포함하는 진동체를 상하를 진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싱(181)과 요크(184)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186) 및 상기 케이싱(181)의 하부를 밀폐하는 브라켓(188)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진동발생용 코일(187)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직진동자(103)의 작동은,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187)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마그네트(182), 하부플레이트(183)및 요크(184)로 이루어진 자기회로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187)에서 발생되는 전기장 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트(182), 하부플레이트(183), 요크(184) 및 웨이트(185)를 포함하는 진동체가 스프링(186)을 매개로 하여 케이싱(181)내에 매달려 있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수직진동자(103)는 응답속도와 진동력을 향상하기 위해 마그네트(182)의 크기를 크게하여 자기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체 부피가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요크(184)에 마그네트(182) 및 웨이트(185)를 결합한 후 케이스(181)에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다수의 공정을 통해 제품을 완성함으로써,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특히, 상기와 같은 많은 공정을 통해 결합 및 조립이 이루어져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아울러, 진동발생용 코일(187)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FPCB를 사용하고 이를 하측 케이스에 부착하여야 하는 공정이 필요하여 부수적인 공정이 많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니어 진동모터는 내부공간을 형성한 상측케이스와, 상기 상측케이스의 하측에 결합하는 하측케이스로 이루어진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측케이스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고정결합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내측에 배치되며 코일과 웨이트 및 인서트 사출물로 이루어진 진동부와; 일측은 상기 하측케이스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진동부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을 그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니어 진동모터는 마그네트는 케이싱의 상측케이스에 형성된 내부공간 상측부와 마그네트의 상측부를 접착수단에 의해 고정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니어 진동모터는 마그네트는 하측케이스의 상측으로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상측케이스의 내부공간 상측면과 하측케이스의 걸림턱에 의해 고정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니어 진동모터는 마그네트는 상측케이스와 거리를 띄운 상태에서 하측케이스와 접착수단에 의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니어 진동모터에 형성된 케이싱의 상측케이스와 마그네트 사이에는 스페이서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니어 진동모터는 진동부의 코일과 웨이트 및 진동부단자를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니어 진동모터는 진동부의 코일과 인서트 사출물 사이에는 코일내 자기밀도를 높이기 위해 플레이트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니어 진동모터는 스프링은 전원과 연결하여 전류를 통전시킨 상태에서 코일과 연결하여 코일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니어 진동모터는 스프링에서 인가받은 전원을 코일)에 인가하는 방법은, 진동부의 인서트 사출물에 진동부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진동부 단자와 코일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 사출물에 형성된 진동부 단자와 스프링이 맞 닿도록 배치하여 코일에 전기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니어 진동모터는 스프링에서 인가받은 전원을 코일에 인가하는 방법은, 진동부의 웨이트를 (+)단자와 (-)단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두개로 분할해 각각의 웨이트를 스프링에 연결하여, 상기 웨이트를 매개로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니어 진동모터에 형성된 케이싱의 상측 케이스에 형성된 내부공간에는 돌출부를 더 형성하고, 진동부의 웨이트 상측으로 상측케이스의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홈 및 상기 홈에 삽입하는 탄성부재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니어 진동모터는 마그네트를 외측으로 위치를 이동시키고, 웨이트와 코일을 일체형으로 하여 움직이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기존 방식보다 자기력을 높일 수 있어 진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켜 다양한 진동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자기회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요크의 기능을 케이싱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부품수를 줄여 단가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웨이트와 코일을 인서트 사출물을 통해 인서트 사출하여 제작 공정수를 줄여 공정단가를 낮춤과 동시에 안정적인 결합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을 단자로 이용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면서 코일 구동시 단선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싱의 상측케이스와 진동부의 웨이트에 각각 돌출부와 홈 및 탄성부재를 형성하여, 진동부의 구동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30)은 내부공간(11)을 형성한 상측케이스(10)와, 상기 상측케이스(10)의 하측에 결합하는 하측케이스(2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마그네트(M)는 상기 케이싱(30)의 상측케이스(10)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공간(11) 내에 고정결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수직진동모터에 있어서 응답속도 및 진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기력의 세기를 크게 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응답속도 및 진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그네트(M)를 외측에 배치시켜, 마그네트(M)의 크기를 크게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자기력의 세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M)는 케이싱(30)의 상측케이스(10)에 형성된 내부공간(11)의 상측면과 마그네트(M)의 상측부를 본드와 같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고정결합할 수 있으며, 이때에, 케이싱(30)에 형성된 하측케이스(20)의 상측으로 걸림 턱(21)을 형성하여, 상측케이스(10)의 내부공간(11)의 상측면과 하측케이스(20)의 걸림턱(21)에 의해 마그네트(M)가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자기력의 세기를 더 크게 하기 위해 케이싱(30)의 상측케이스(10)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뜨린 상태에서 하측케이스(20)에 접착수단에 의해 결합할 수도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싱(30)의 상측케이스(10)와 마그네트(M) 사이에 스페이서(S)를 더 형성하여 상측케이스(20)와 일정한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마그네트(M)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게 되면 제품의 제작시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진동부(40)는 상기 마그네트(M)의 내측에 배치되며 코일(41)과 웨이트(42) 및 인서트 사출물(43)로 이루어져 코일(41)이 움직여 진동이 발생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부(40)는 구성요소인 코일(41) 및 웨이트(42), 인서트 사출물(43)을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제작 공정수를 줄임과 동시에 안정적인 결합을 하도록 하여 진동부(40)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진동부(40)의 코일(41)에는 코일(41)에 전원을 인가할 때에, 코일(41)에 흐르는 자속을 집중시켜 자기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같이 플레이트(45)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스프링(50)은 일측은 하측케이스(20)의 내측에 고정시키고, 타측은 진동부(40)에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50)은 전원과 연결하여 전류를 통전시킨 상태에서 코일(41)과 연결하여 코일(41)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는 단자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스프링(50)을 단자로 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도 7에서와 같이 진동부(40)의 인서트 사출물(43)에 진동부 단자(44)를 추가로 형성하고, 상기 진동부 단자(44)와 코일(41)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 사출물(43)에 형성된 진동부 단자(44)와 스프링(50)이 맞닿도록 배치하여 코일(41)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8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진동부(40)의 웨이트(42)를 각각 (+)단자와 (-)단자로 이용할 수 있도록 둘로 분할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을 통해 결합한 후, 스프링(50)과 연결하여 웨이트(42)를 매개체로 하여 코일(41)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마그네트(M)를 크게 형성함으로써 발생하는 단가 상승을 코일 구동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종래에 사용하던 구성요소를 줄임과 동시에 진동부(40)의 구성을 일체화하여 조립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단가 및 응답속도와 진동향상을 시킬 수 있는 자기력의 세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아울러, 도 8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싱(30)의 상측케이스(10)에 형성된 내부공간(11)의 상측에 돌출부(12)를 더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12)와 대응하 는 위치에 진동부(40)의 웨이트(42)의 상측으로 홈(42a) 및 상기 홈(42a)에 삽입하는 탄성부재(42b)를 형성하여, 진동부(40)의 상/하 직선운동이 이루어질 때에, 상측케이스(10)와 진동부(40)가 부딪혀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이외에도 도 10에서와 같이 내부공간(11)을 형성한 상측케이스(10)와, 상기 상측케이스(10)의 하측에 결합하는 하측케이스(20)로 이루어진 케이싱(30)과; 상기 케이싱(30)의 상측케이스(10)에 형성된 내부공간(11)에 고정결합하는 마그네트(M)와; 상기 마그네트(M)의 내측에 배치되며 코일(41)과 웨이트(42) 및 상기 코일(41)과 연결되는 제1단자(44a)를 외측에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제2단자(44b)를 형성한 FPCB(44)로 이루어진 구동부(40)와; 일측은 상기 하측케이스(20)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구동부(40)에 형성된 FPCB(44)의 제2단자(44b)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50);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에, 상기 고정부(40)에 형성된 FPCB(44)의 제1단자(44a)는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리니어 진동모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리니어 진동모터(100)를 구동하기 위해 통상의 전원을 스프링(50)에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스프링(50)에 인가된 전원은 스프링(50)과 맞닿아 있는 진동부(40)의 인서트 사출물(43)에 형성된 진동부 단자(44) 및 상기 진동부 단자(44)를 통과하여 코일(41)에 전원이 인가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전원인가 방식 이외에 진동부(40)에 형성되어 있는 웨이트(42)를 스프링(5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받을 수 있도록 둘로 분할한 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웨이트(42)를 매개체로 코일(41)로 전원을 인가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코일(41)에서 발생하는 전기장과 진동부(40)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마그네트(M)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진동부(40)가 케이싱(30)의 내부에서 상, 하로 수직이동을 하여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에, 본 발명에서는 코일(41)을 포함하는 진동부(40)의 외측으로 마그네트(M)를 배치하여 마그네트(M)의 크기를 크게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자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진동의 효율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해 오던 요크의 역할을 케이싱(40)을 통해 이룸으로써, 부품수를 줄임으로써 공간확보는 물론이거니와 공정수를 줄여 작업의 용이성 및 작업시간 단축, 제작비 절감의 효과 및 제품을 소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진동부(40)는 인서트사출을 통해 코일(41), 웨이트(42), 인서트 사출물(43)을 일체로 형성하여 제작공정의 단축 및 각각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력을 증대하여 파손율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에서와 같이 스프링(50)을 단자로 이용함에 따라 단자간의 접촉 불량에 따른 불량율을 대폭 축소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이 단순화되어 제작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케이싱(30)의 상측케이스(10)에 형성된 돌출부(12)와 진동부(40)의 웨이트(42)에 형성되어 있는 홈(42a) 및 홈(42a)에 삽입된 탄성부재(42b)에 의해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10에서와 같이 진동부(40)를 코일(41) 및 웨이트(42)만을 형성한 상태에서, 스프링(50)과의 사이에 FPCB(44)를 더 형성하여 전원을 스프링(50) - FPCB(44) - 진동부(40)의 코일(41)로 인가하였을 때에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사출물을 사용하지 않았기에 공정수를 줄일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가능함은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당연한 것임을 명시한다.
도 1은 종래의 진동모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수직진동모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진동모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의 설치 위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인가에 따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진동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A-A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진동모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 : 마그네트 S : 스페이서
10 : 상측케이스 11 : 내부공간
12 : 돌출부 20 : 하측케이스
21 : 걸림턱 30 : 케이싱
40 : 진동부 41 : 코일
42 : 웨이트 42a : 홈
42b : 탄성부재 42c : 웨이트단자
43 : 인서트 사출물 44 : 진동부 단자
45 : 플레이트 50 : 스프링
44 : FPCB 44a : 제1단자
44b : 제2단자
100 : 리니어 진동모터

Claims (13)

  1. 내부공간(11)을 형성한 상측케이스10)와, 상기 상측케이스(10)의 하측에 결합하는 하측케이스(20)로 이루어진 케이싱(30);
    상기 케이싱(30)의 상측케이스(10)에 형성된 내부공간(11)에 고정결합하는 마그네트(M);
    상기 마그네트(M)의 내측에 배치되며 코일(41)과 웨이트(42) 및 인서트 사출물(43)로 이루어진 진동부(40);
    일측은 상기 하측케이스(20)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진동부(40)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50)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리니어 진동모터.
  2. 내부공간(11)을 형성한 상측케이스(10)와, 상기 상측케이스(10)의 하측에 결합하는 하측케이스(20)로 이루어진 케이싱(30);
    상기 케이싱(30)의 상측케이스(10)에 형성된 내부공간(11)에 고정결합하는 마그네트(M);
    상기 마그네트(M)의 내측에 배치되며 코일(41)과 웨이트(42) 및 상기 코일(41)과 연결되는 제1단자(44a)를 외측에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제2단자(44b)를 형성한 FPCB(44)로 이루어진 구동부(40);
    일측은 상기 하측케이스(20)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구동부(40)에 형성된 FPCB(44)의 제2단자(44b)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50);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리니어 진동모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M)는 케이싱(30)의 상측케이스(10)에 형성된 내부공간 상측부와 마그네트(M)의 상측부를 접착수단에 의해 고정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리니어 진동모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M)는 하측케이스(20)의 상측으로 걸림턱(21)을 형성하여, 상기 상측케이스(10)의 내부공간(11) 상측면과 하측케이스(20)의 걸림턱(21)에 의해 고정되도록 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리니어 진동모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M)는 상측케이스(10)와 거리를 띄운 상태에서 하측케이스(20)와 접착수단에 의해 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리니어 진동모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0)의 상측케이스(10)와 마그네트(M) 사이에는 스페이서(S)를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리니어 진동모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40)의 코일(41)과 웨이트(42) 및 진동부 단자(44)를 인서트 사출(43)을 통해 일체로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리니어 진동모 터.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40)의 코일(41)과 인서트 사출물(43) 사이에는 코일(41)내 자기밀도를 높이기 위해 플레이트(45)를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리니어 진동모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0)은 전원과 연결하여 전류를 통전시킨 상태에서 코일(41)과 연결하여 코일(41)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리니어 진동모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0)에서 인가받은 전원을 코일(41)에 인가하는 방법은, 진동부(40)의 인서트 사출물(43)에 진동부 단자(44)를 형성하고, 상기 진동부 단자(44)와 코일(41)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 사출물(43)에 형성된 진동부 단자(44)와 스프링(50)이 맞닿도록 배치하여 코일(41)에 전기를 인가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리니어 진동모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0)에서 인가받은 전원을 코일(41)에 인가하는 방법은, 진동부(40)의 웨이트(42)를 (+)단자와 (-)단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두개로 분할해 각각의 웨이트(42)를 스프링(50)에 연결하여, 상기 웨이트(42)를 매개로 코일(41)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리니어 진동모터.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0)은 전원과 연결하여 전류를 통전시킨 상태에서 스프링(50)과 FPCB(44)의 제2단자(44b)를 연결하고, FPCB(44)의 제1단자(44a)와 코일(41)을 연결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리니어 진동모터.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0)의 상측케이스(10)에 형성된 내부공간(11)에는 돌출부(12)를 더 형성하고, 진동부(40)의 웨이트(42) 상측으로 상측케이스(10)의 돌출부(2)와 대응하는 위치에 홈(42a) 및 상기 홈(42a)에 삽입하는 탄성부재(42b)를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리니어 진동모터.
KR1020090078334A 2008-08-23 2009-08-24 리니어 진동모터 KR101354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2628 2008-08-23
KR1020080082628 2008-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367A true KR20100024367A (ko) 2010-03-05
KR101354518B1 KR101354518B1 (ko) 2014-01-27

Family

ID=4217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334A KR101354518B1 (ko) 2008-08-23 2009-08-24 리니어 진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51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448B1 (ko) * 2010-08-17 2012-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KR20130070100A (ko) * 2011-12-19 2013-06-27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WO2013147457A1 (ko) * 2012-03-26 2013-10-03 Choi Un-Ho 리니어 진동자
US9548646B2 (en) 2012-12-06 2017-01-17 Mplus Co., Ltd. Linear vibration motor
KR20190057948A (ko) * 2017-11-21 2019-05-29 (주)파트론 진동 모터
US10312788B2 (en) * 2016-07-21 2019-06-04 AAC Technologies Pte. Ltd. Linear vibration mo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069867U (zh) * 2017-08-11 2018-03-02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线性振动马达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799B1 (ko) * 2004-10-09 2007-05-18 김경욱 솔레노이드형 리니어 모터 및 그 구동회로
GB0702897D0 (en) * 2007-02-15 2007-03-28 Johnson Electric Sa Voice coil mot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448B1 (ko) * 2010-08-17 2012-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KR20130070100A (ko) * 2011-12-19 2013-06-27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WO2013147457A1 (ko) * 2012-03-26 2013-10-03 Choi Un-Ho 리니어 진동자
US9548646B2 (en) 2012-12-06 2017-01-17 Mplus Co., Ltd. Linear vibration motor
US10312788B2 (en) * 2016-07-21 2019-06-04 AAC Technologies Pte. Ltd. Linear vibration motor
KR20190057948A (ko) * 2017-11-21 2019-05-29 (주)파트론 진동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4518B1 (ko)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518B1 (ko) 리니어 진동모터
KR100541113B1 (ko) 패턴코일형 수직진동자
KR100541112B1 (ko) 분동내장형 수직진동자
KR100735299B1 (ko) 수직진동자
KR101090426B1 (ko) 선형 진동자
KR100593900B1 (ko) 공진주파수를 이용한 선형 진동모터
KR20140032583A (ko) 진동발생장치
US6806603B1 (en) Flat type vibration motor
KR20030075982A (ko) 진동모터
KR101141002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593917B1 (ko) 수직진동자
KR100913573B1 (ko) 수직진동자
KR101198978B1 (ko) 통신단말기용 수평형 리니어 진동모터
KR100986409B1 (ko) 진동자
KR100283495B1 (ko) 사각형 진동모터
WO2015032012A1 (zh) 垂直线性振动电机
JP2004202424A (ja) バイブレータとこのバイブレータを搭載する携帯端末機器
KR100893036B1 (ko) 진동자
KR20130000826U (ko) 선형 진동발생 장치
KR100616628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1005006B1 (ko) 진동 모터
KR101140957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616629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20150028947A (ko) 편평형 모터용 회전자 및 이를 포함하는 편평형 모터
KR100403974B1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진동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