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118A - 시트 전원인가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전원인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118A
KR20100021118A KR1020080079860A KR20080079860A KR20100021118A KR 20100021118 A KR20100021118 A KR 20100021118A KR 1020080079860 A KR1020080079860 A KR 1020080079860A KR 20080079860 A KR20080079860 A KR 20080079860A KR 20100021118 A KR20100021118 A KR 20100021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seat
supply rai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4529B1 (ko
Inventor
최선우
김석환
김영규
오진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9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52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시트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원공급레일; 및 상기 시트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가 이동될 때 상기 전원공급레일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시트와 함께 이동하는 전원인가수단;을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상기 전원공급레일과 전원인가수단을 통해 상기 시트측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전원인가장치를 이용하면, 차량 와이어하네스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차량 와이어하네스 길이를 기존보다 짧게 함으로써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시트, 와이어하네스, 전원인가

Description

시트 전원인가장치{An apparatus of power supplying for seats}
본 발명은 시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인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필요 이상의 길이로 구성되는 차량 와이어하네스의 길이를 줄이고, 차량 와이어하네스가 시트의 긴 이동거리에도 손상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시트 전원인가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시트 하부에 위치해 있는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 와이어하네스가 연결된다. 차량 와이어하네스는 차량 플로어를 통해 시트 하부의 모터에 직접 연결된다. 이렇게 모터에 연결된 차량 와이어하네스는 시트의 이동이 반복됨에 따라 차체 플로어와의 마찰이 심화되어 손상되기 쉬우며, 시트의 이동시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 와이어하네스를 보호하고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스를 장착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차량 와이어하네스를 위한 케이스가 장착된 경 우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케이스가 장착된 시트의 이동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케이스가 장착된 시트의 이동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차량 와이어하네스(150)를 보호하고 외부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차체 플로어(120)에 케이스(160)가 장착된다. 차량 와이어하네스(150)는 케이스(160) 내부에 위치하여 시트(110)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모터(140)에 직접 연결된다. 이렇게 연결된 차량 와이어하네스(150)는 시트(110)가 이동할 때 시트(110)의 이동 거리만큼의 길이가 케이스(160)에서 나오고 들어감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차량 와이어하네스(150)가 케이스(160)에 수납되는 경우, 차량 와이어하네스(15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지만, 계속되는 움직임에 의해 케이스(160) 내부의 부품들과 마찰되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와이어하네스(150)는 시트의 이동거리에 준하는 길이로 길게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 와이어하네스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차량 와이어하네스의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원가 및 중량을 절감시키도록 구성된 시트 전원인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전원공급레일; 및
상기 시트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가 이동될 때 상기 전원공급레일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시트와 함께 이동하는 전원인가수단;
을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상기 전원공급레일과 전원인가수단을 통해 상기 시트측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레일과 전원인가수단은 각각 쌍으로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전원공급레일과 전원인가수단으로는 플러스 전원이 흐르고, 다른 하나의 전원공급레일과 전원인가수단으로는 마이너스 전원이 흐르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인가수단은 상기 전원공급레일을 타고 구르는 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와,
일측이 상기 롤러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시트 와이어하네스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레일은 차체 플로어에 고정되어 상기 시트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드레일의 일측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전원공급레일과 상기 슬라이드레일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원공급레일과 상기 슬라이드레일을 절연시키는 절연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전원인가장치를 이용하면, 차량 와이어하네스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차량 와이어하네스 길이를 기존보다 짧게 함으로써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전원인가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전원인가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의 이동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전원인가장 치는 전원공급레일(210)과 전원인가수단(22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공급레일(210)은 시트(110)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드레일(130)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결합고정되며, 슬라이드레일(130)의 길이에 준하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드레일(130)은 시트(110)와 차체플로어(120) 사이에 위치하여 차체 플로어(120)에 고정되어 있고, 시트(110)는 슬라이드레일(130)을 따라 차량 진행방향의 전,후방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공급레일(210)과 슬라이드레일(130)은 나사결합, 스냅결합, 리벳결합 및 용접과 같은 공지된 기술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레일(210)은 슬라이드레일(130)이 아닌 차체플로어(120)와 직접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원공급레일(210)은 일측에 차량 와이어하네스(150)가 연결되어 전원이 흐르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와이어하네스는 전원공급레일에 전원이 흐르는 전원공급레일(210)과 전원공급레일(210)이 결합된 슬라이드레일(130) 사이에는 절연판(230)이 구비되어, 슬라이드레일(130)과 전원공급레일(210)을 절연한다.
이와 같이 전원공급레일(210)이 슬라이드레일(130) 또는 차체 플로어(120)에 고정되면, 전원공급레일(210)에 전원을 인가하는 차량 와이어하네스(150)도 시트(110)의 이동과 관계없이 위치가 고정되는 바, 차량 와이어하네스(150)는 손상이 방지되고 시트(110)의 이동거리에 준하는 길이가 필요하지 않아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인가수단(220)은 시트(110)에 연결되어 시트(110)가 이동될 때 시트(110)와 함께 이동되는 구성으로, 전원공급레일(21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전원공급레일(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여기서, 전원인가수단(220)은 전원공급레일(210)을 타고 구르는 롤러로 구성할 수 있다. 전원인가수단(220)을 롤러로 구성함으로써 전원인가수단(220)과 전원공급레일(210) 사이의 마찰이 줄어 전원인가수단(220)이 전원공급레일(210)을 따라 유연하게 이동한다.
전원인가수단(220)은 시트 와이어하네스(240)에 의해 시트(110)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140)와 결합된다. 이때 시트 와이어하네스(240)는 롤러로 구성된 전원인가수단(220)의 회전축에 연결됨으로써 전원공급레일(210)을 타고 구르는데 간섭받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전원인가장치는 모터와 연결된 스위치를 구비하여, 스위치를 통해 모터에 흐르는 전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시트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전원인가장치는 전원공급레일 및 전원인가수단이 각각 쌍으로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전원공급레일(210)과 전원인가수단(220)에는 플러스전원이 흐르고, 다른 하나의 전원공급레일(215)과 전원인가수단(225)으로는 마이너스전원이 흐르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한쪽 전원공급레일(210)과 전원인가수단(220)에는 플러스전원이 흐르고 다른쪽 전원공급레일(215)과 전원인가수단(225)에는 마이너스 전원이 흐름으로써 전원이 안정적이고 모터의 속도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케이스가 장착된 시트의 이동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케이스가 장착된 시트의 이동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전원인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의 이동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전원인가장치의 전원 흐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시트 120: 차체 플로어
130: 슬라이드레일 140: 모터
150: 차량 와이어하네스 210: 전원공급레일
220: 전원인가수단 230: 절연판
240: 시트 와이어하네스

Claims (6)

  1. 시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전원공급레일; 및
    상기 시트에 연결되어, 상기 시트가 이동될 때 상기 전원공급레일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시트와 함께 이동하는 전원인가수단;
    을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상기 전원공급레일과 전원인가수단을 통해 상기 시트측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시트 전원인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레일과 전원인가수단은 각각 쌍으로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전원공급레일과 전원인가수단으로는 플러스 전원이 흐르고, 다른 하나의 전원공급레일과 전원인가수단으로는 마이너스 전원이 흐르도록 구성되는 시트 전원인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인가수단은 상기 전원공급레일을 타고 구르는 롤러로 구성되는 시트 전원인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와,
    일측이 상기 롤러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시트 와이어하네스
    를 더 포함하는 시트 전원인가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레일은 차체 플로어에 고정되어 상기 시트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드레일의 일측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시트 전원인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레일과 상기 슬라이드레일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원공급레일과 상기 슬라이드레일을 절연시키는 절연판을 포함하는 시트 전원인가장치.
KR1020080079860A 2008-08-14 2008-08-14 시트 전원인가장치 KR101014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860A KR101014529B1 (ko) 2008-08-14 2008-08-14 시트 전원인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860A KR101014529B1 (ko) 2008-08-14 2008-08-14 시트 전원인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118A true KR20100021118A (ko) 2010-02-24
KR101014529B1 KR101014529B1 (ko) 2011-02-14

Family

ID=4209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860A KR101014529B1 (ko) 2008-08-14 2008-08-14 시트 전원인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5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4432A (zh) * 2018-08-29 2018-12-28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电动地滑轨系统
KR20190106519A (ko) * 2018-03-09 2019-09-18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무선 마사지 모듈을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604A (ko) 2021-05-26 2022-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전력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공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1929A (ja) * 1986-02-06 1987-08-10 Tokyu Constr Co Ltd 軌道の構造
JP4101372B2 (ja) * 1998-10-16 2008-06-18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リニアモーターカー用充電レール
JP2004210084A (ja) * 2002-12-27 2004-07-29 T S Tec Kk 電装品装備自動車用スライドシート
JP2006290227A (ja) * 2005-04-13 2006-10-26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コンソールの給電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519A (ko) * 2018-03-09 2019-09-18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무선 마사지 모듈을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CN109094432A (zh) * 2018-08-29 2018-12-28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电动地滑轨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4529B1 (ko) 2011-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3213C2 (ru) Система подачи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на уровне грунта для ненаправляем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913764B1 (ko) 케이블 카 시스템
KR101014529B1 (ko) 시트 전원인가장치
CN105593097A (zh) 运送人员的系统
EP2756980A1 (en) Ice breaking pantograph
JP5336491B2 (ja) 車両用の案内及び地上での電気エネルギー取り込み装置、ならびにそのような装置を備える都市交通車両
US8733252B2 (en) Electric monorail part carrier
HU0200987D0 (ko)
US20160152450A1 (en) Travel Facility
JP4050502B2 (ja) クレーンの給電装置
US10788242B2 (en) Apparatus for cleaning surfaces
PE5699A1 (es) Perfeccionamiento en/o relativo a maquinas-herramientas
KR101623401B1 (ko) 팬터그래프 장치
KR20180005044A (ko) 무가선 노면 전차 시스템
CN106312407B (zh) 无源台车的三向无极支撑机构
JP2009196480A (ja) 有軌道台車システム
JP5119918B2 (ja) 有軌道台車システム
JP4221573B2 (ja) 台車給電装置
JP2008024080A (ja) トロリ給電式台車走行装置
JP4503141B2 (ja) 電動式移動棚装置
KR100412458B1 (ko) 차량용 능동형 안마기
CN216467450U (zh) 一种座椅
US406743A (en) Jnvzntor
JP6313700B2 (ja) 搬送システム
US455340A (en) kn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