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265A -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265A
KR20100020265A KR1020080078970A KR20080078970A KR20100020265A KR 20100020265 A KR20100020265 A KR 20100020265A KR 1020080078970 A KR1020080078970 A KR 1020080078970A KR 20080078970 A KR20080078970 A KR 20080078970A KR 20100020265 A KR20100020265 A KR 20100020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 bias
clamping
nonvolatile memory
memory block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길
조백형
김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8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0265A/ko
Publication of KR20100020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comprising amorphous/crystalline phase transition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4Reading or sens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70Resistive array aspects
    • G11C2213/72Array wherein the access device being a dio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블록들로서, 각 메모리 블록들은 비휘발성 메모리 셀들의 행렬을 포함하는 메모리 블록들, 비트 라인들로서, 각 비트 라인은 각 메모리 블록의 비휘발성 메모리 셀들의 열과 커플링된 비트 라인들 및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들로서, 각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는 각 메모리 블록에 포함된 비트 라인들과 선택적으로 커플링된 센싱 노드에 리드 바이어스를 제공하는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들을 포함하되,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들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는 서로 다른 레벨의 제1 및 제2 리드 바이어스를 각각 제공한다.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 트랜지스터, 클램핑 트랜지스터

Description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variable resistive element}
본 발명은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항체(resistance material)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PRAM: 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저항 메모리 장치(RRAM: Resistive RAM), 자기 메모리 장치(MRAM: Magnetic RAM) 등 있다. 동적 메모리 장치(DRAM: Dynamic RAM)나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전하(charge)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반면,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캘코제나이드 합금(chalcogenide alloy)과 같은 상변화 물질의 상태 변화(PRAM), 가변 저항체의 저항 변화(RRAM), 강자성체의 자화상태에 따른 MTJ(Magnetic Tunnel Junction) 박막의 저항 변화(MRAM)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변화 메모리 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변화 물질은 가열 후 냉각되면서 결정 상태 또는 비정질 상태로 변화되는데, 결정 상태의 상변화 물질은 저항이 낮고 비정질 상태의 상변화 물질은 저항이 높다. 따라서, 결정 상태는 셋(set) 데이터 또는 0데이터로 정의하고 비정질 상태는 리셋(reset) 데이터 또는 1데이터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드 퍼포먼스가 향상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각 메모리 블록들은 비휘발성 메모리 셀들의 행렬을 포함하는 메모리 블록들, 비트 라인들로서, 각 비트 라인은 각 메모리 블록의 비휘발성 메모리 셀들의 열과 커플링된 비트 라인들 및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들로서, 각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는 각 메모리 블록에 포함된 비트 라인들과 선택적으로 커플링된 센싱 노드에 리드 바이어스를 제공하는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들을 포함하되,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들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는 서로 다른 레벨의 제1 및 제2 리드 바이어스를 각각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블록들로서, 각 메모리 블록들은 비휘발성 메모리 셀들의 행렬을 포함하는 메모리 블록들, 비트 라인들로서, 각 비트 라인은 각 메모리 블록의 비휘발성 메모리 셀들의 열과 커플링된 비트 라인들 및 클램핑 트랜지스터들로서, 각 클랭핑 트랜지스터는 각 메모리 블록에 대응되는 비트 라인들에 인가되는 전압의 레벨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되, 클램핑 트랜지스터들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클램핑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클램핑 트랜지스터는 서로 다른 저항 레벨을 가진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변화 메모리 장치(PRAM: 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를 이용하여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저항성 메모리 장치(RRAM: Resistive RAM),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FRAM: Ferroelectric RAM)과 같이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블록도들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섹터를 설명하는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메모리 블록(BLK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입출력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회로도이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클랭핑부 및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를 위주로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비휘발성 메모리 셀 어레이(10), 로우 디코더(110), 컬럼 디코더(130), 입출력 회로(140) 등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8개의 섹터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셀 어레이를 예로 드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휘발성 메모리 셀 어레이(1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비휘발성 메모리 셀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휘발성 메모리 셀 어레이(10)는 계층적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메모리 섹터(SECTOR0~SECTOR7)를 포함하고, 각 메모리 섹터(SECTOR0~SECTOR7)는 다수의 메모리 블록(BLK0~BLKl)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메모리 블록(BLK0~BLKl)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되는 각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SWD0~SWDl+1)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SWD0~SWDl+1)가 각 메모리 블록(BLK0~BLKl)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부 메모리 블록의 양측에만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SWD0~SWDl+1)가 배 치될 수도 있다.
각 메모리 블록(BLK0~BLKl)은 다수의 비휘발성 메모리 셀(MC)의 행렬을 포함한다. 다수의 비휘발성 메모리 셀(MC)의 행(row)은 각 워드 라인과 커플링되고, 다수의 비휘발성 메모리 셀(MC)의 열(column)은 비트 라인(BL0~BLn)과 커플링된다.
비휘발성 메모리 셀(MC)은 결정 상태 또는 비정질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 상변화 물질을 구비하는 가변 저항 소자(RC)와, 가변 저항 소자(RC)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억세스 소자(A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억세스 소자(AC)는 가변 저항 소자(RC)와 직렬로 커플링된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억세스 소자(AC)로서 다이오드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억세스 소자(AC)로서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상변화 비휘발성 메모리 셀을 다이오드 제어 상변화 비휘발성 메모리 셀(diode-controlled PRAM cell)이라고 한다. 또한, 상변화 물질은 2개의 원소를 화합한 GaSb, InSb, InSe. Sb2Te3, GeTe, 3개의 원소를 화합한 GeSbTe, GaSeTe, InSbTe, SnSb2Te4, InSbGe, 4개의 원소를 화합한 AgInSbTe, (GeSn)SbTe, GeSb(SeTe), Te81Ge15Sb2S2 등 다양한 종류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게르마늄(Ge), 안티모니(Sb), 텔루리움(Te)으로 이루어진 GeSbTe를 주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워드 라인은 다수의 메인 워드 라인(MWL0~MWLm)과 다수의 서브 워드 라인(SWL0~SWLl)을 이용한 계층적(hierarchiral) 워드 라인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각 메인 워드 라인(MWL0~MWLm)은 다수의 메모리 블 록(BLK0~BLKl)에 공통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각 서브 워드 라인(SWL0~SWLl)은 각 메모리 블록(BLK0~BLKl)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SWD0~SWDl+1)를 통해서 메인 워드 라인(MWL0~MWLm)과 커플링한다.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SWD0~SWDl+1)는 각 메인 워드 라인(MWL0~MWLm)과 각 서브 워드 라인(SWL0~SWLl) 사이에 커플링되고, 메인 워드 라인(MWL0~MWLm)에 인가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서브 워드 라인들(SWL0~SWLl)의 레벨을 조절한다.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SWD0~SWDl+1)는 예를 들어, 메인 워드 라인(MWL0~MWLm)에 하이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면 서브 워드 라인(SWL0~SWLl)을 디스차지시키며, 로우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면 서브 워드 라인(SWL0~SWLl)을 접지 전압보다 높은 소정의 전압 레벨로 유지시킨다.
다수의 비트 라인(BL0~BLn)은 컬럼 선택 회로(50)를 통하여 입출력 회로(140)의 리드 회로(예, 140_1)와 선택적으로 커플링된다. 여기서 컬럼 선택 회로(50)는 컬럼 디코더(130)에서 제공되는 컬럼 선택 신호(Y0~Yn)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턴온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회로(140)는 라이트 회로(미도시) 및 리드 회로(140_1~140_l)를 포함하며, 각 메모리 블록(BLK0~BLKl)에 데이터를 라이트하거나 메모리 블록(BLK0~BLKl)으로부터 데이터를 리드할 수 있다.
각 리드 회로(140_1~140_l)는 각 메모리 블록(BLK0~BLKl) 내에서 선택된 비휘발성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기 위한 회로로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스차지부(141), 프리차지부(144), 클램핑부(142),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146), 센싱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차지부(141)는 리드 동작에 선행되어 디스차지 신호(PDIS)에 응답하여, 선택된 비휘발성 메모리 셀과 커플링된 비트 라인(예를 들어, BL0) 및/또는 센싱 노드(VSA)를 일정 레벨, 예를 들어, 접지 전압(VSS)으로 디스차지한다.
프리차지부(144)는 리드 동작 내의 프리차지 기간 동안 센싱 노드(VSA)를 일정 레벨, 예를 들어, 전원 전압(VCC)으로 프리차지시킨다. 여기서 프리차지부(144)는 프리차지 신호(PCHB)를 게이트로 인가받는 PMOS 트랜지스터로서,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 영역은 승압 전압(VPP)과 커플링되어 있을 수 있다.
클램핑부(142)는 클램핑 제어 신호(VCMP)에 응답하여, 비트 라인(BL0)을 일정 바이어스 레벨, 예를 들어, 리드하기 적절한 범위 내로 클램핑시킨다. 구체적으로, 상변화 물질의 임계 전압(Vth) 이하의 소정 레벨로 클램핑시킨다. 임계 전압(Vth) 이상의 레벨이 되면, 선택된 비휘발성 메모리 셀(MC)의 상변화 물질의 상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146)는 선택된 비휘발성 메모리 셀(MC)의 저항 레벨을 리드하기 위해, 제어 바이어스(VBIAS)에 응답하여 센싱 노드(VSA)에 리드 바이어스를 제공한다.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146)는 승압 전압(VPP)과 센싱 노드(VSA)에 사이에 커플링되고 제어 바이어스(VBIAS)를 게이트로 인가받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는 예를 들어, PMOS 트랜지스터일 수 있으며, 이러한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 영역은 승압 전압(VPP)과 커플링되어 있을 수 있다.
센싱부(148)는 센싱 노드(VSA)의 레벨과 기준 바이어스(VREF)의 레벨을 비교 하여, 비교 결과(SA_OUT)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센싱 노드(VSA)의 레벨이 기준 바이어스의 레벨(VREF)보다 높으면 하이 레벨의 비교 결과(SA_OUT)가 출력되고, 센싱 노드(VSA)의 레벨이 기준 바이어스의 레벨(VREF)보다 낮으면 로우 레벨의 비교 결과(SA_OUT)가 출력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146_0~146_l)에서 제공되는 리드 바이어스가 동일한 레벨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들 중 제1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예, 146_0)와 제2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예, 146_8)에서 제공되는 리드 바이어스(I_0, I_8)가 서로 다른 레벨을 가진다. 이에 의해, 각 서브 워드 라인SWL0~SWLl)에서 바라보는 다수의 비트 라인(BL0~BLn)에 존재하는 커패시턴스(capacitance)의 차이 또는 각 비휘발성 메모리 셀(MC)에 저장된 저항 레벨의 차이 등에 의한 리드 동작시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우선, 도 3 및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커패시턴스 등에 의한 리드 동작시 오류를 설명한다.
도 5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서 리드 동작시 오류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1의 메모리 블록(BLK0~BLKl)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수의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로 풀다운 소자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 중 적어도 하나는 풀업 소자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5에서는 메모리 블록(BLK7, BLK 8)에서 제공되는 전류가 인접하는 메모리 블록(BLK6, BLK 9)의 서브 워드 라인(SWL6, SWL9)으로 흐르지 않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주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메모리 블록이 배치되는 서브 워드 라인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전류가 흐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리드 동작시 비트 라인(BL0~BLn)은 우선, 리드 회로(예, 140_1)의 클램핑부(142)와 프리차지부(144)에 의해 일정 바이어스 레벨로 클램핑되어 프리차지된 후에, 메인 워드 라인(MWL0~MWLm)에서 제공되는 예를 들어, 하이 레벨의 신호에 응답하여 서브 워드 라인(SWL0~SWLl)은 접지 전압과 커플링되어 디스차지된다. 그리고, 선택된 비트 라인(BL0~BLn)에는 센싱 노드(VSA)를 통하여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146)에서 리드 바이어스가 제공된다. 이 때, 센싱부(148)는 디스차지 및 리드 바이어스에 의해 변경되는 센싱 노드(VSA)의 레벨과 기준 바이어스(VREF)의 레벨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SA_OUT)를 출력한다.
그런데, 비트 라인(BL0~BLn)이 일정 바이어스 레벨로 클램핑되어 프리차지되고 리드 바이어스가 제공될 경우, 각 비트 라인(BL0~BLn)에 커플링된 비휘발성 메모리 셀(MC)의 가변 저항 소자(RC)의 저항 레벨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워드 라인(SWL0~SWLl)을 통하여 전류(I_pre)가 접지 전압으로 흘러서 서브 워드 라인(SWL0~SWLl)의 전압 레벨이 상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비휘발성 메모리 셀(MC)의 억세스 소자(AC)의 문턱 전압(Vth)이 0.8 V 이고 비트 라인(BL0~BLn)이 약 1.3 V로 클램핑된 경우, 저항이 1 MΩ인 가변 저항 소자(RC)가 커플링된 비트 라인(BL0~BLn)에는 가변 저항 소자(RC)에 의한 전압 강하와 억세스 소자(AC)의 문턱 전압에 의해 전류가 실질적으로 흐르지 않 을 수 있다. 반면에, 저항이 50 KΩ인 가변 저항 소자(RC)에 커플링된 비트 라인(BL0~BLn)은 가변 저항 소자(RC)에 의한 전압 강하가 실질적으로 크지 않아서 서브 워드 라인(예, SWL0~SWLl)을 통하여 전류(I_pre)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저항이 50 KΩ인 가변 저항 소자(RC)에 커플링된 서브 워드 라인(예, SWL0~SWLl)의 전압 레벨은 저항이 1 MΩ인 가변 저항 소자(RC)에 커플링된 서브 워드 라인(예, SWL0~SWLl)의 전압 레벨보다 상승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셀(MC)에 저장된 저항 레벨보다 더 큰 값이 리드될 수 있다. 즉, 셋 저항의 저항 레벨이 실제로 저장된 저항 레벨보다 더 큰 값이 리드될 수 있으므로, 센싱 마진이 줄어들어 리드 동작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도 5와 같이 하나의 메인 워드 라인(예, MWL0)이 공통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메모리 블록(BLK0~BLKl)에서 각 메모리 블록(BLK0~BLKl)에 대응되어 배치되는 모든 서브 워드 라인(SWL0~SWLl)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서브 워드 라인(SWL0~SWLl)의 위치에 따라 서브 워드 라인(SWL0~SWLl)에서 바라보는 다수의 비트 라인(BL0~BLn)에 존재하는 커패시턴스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가 발생하여 리드 동작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메모리 블록(BLK0~BLKl)이 배치되는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예, SWD8)는, 그렇지 않은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예, SWD6, SWD10)보다 더 많은 양의 전류가 접지 전압으로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이에 커플링된 서브 워드 라인(예, SWL7, SWL8)의 전압 레벨은 그렇지 않은 서브 워드 라인(예, SWL6, SWL9)의 전압 레벨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또한, 서브 워드 라인(예, SWL7, SWL8)의 전압 레벨이 상대적으로 높아짐으로 인해서 센싱 노드(VSA)의 전압 레벨 역시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리드 동작시 비휘발성 메모리 셀(MC)에 저장된 저항 레벨보다 더 높은 레벨의 저항을 리드할 수 있으므로, 리드 동작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들 중 제1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예, 146_0)와 제2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예, 146_8)에서 제공되는 리드 바이어스(예, I0, I8)는 서로 다른 레벨을 가지므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메모리 블록(BLK0~BLKl)의 위치에 따라 대응되는 서브 워드 라인(SWL0~SWLl)의 전압 레벨 변화에 의한 리드 동작시 오류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서 각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146_0~146_l)에서 제공하는 리드 바이어스의 레벨은 리드 바이어스를 제공하는 메모리 블록(BLK0~BLKl)에 대응하는 각 서브 워드 라인(SWL0~SWLl)에서 바라보는 다수의 비트 라인(BL0~BLn)에 존재하는 커패시턴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메모리 블록(BLK0~BLKl)이 배치되어, 상기 커패시턴스가 상대적으로 큰 메모리 블록(예, BLK8)에 제공되는 리드 바이어스(I8)의 레벨은 상기 커패시턴스가 상대적으로 작은 메모리 블록(예, BLK0)에 제공되는 리드 바이어스(I0)의 레벨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리드 동작시 상기 커패시턴스가 상대적으로 커서 메모리 블록(예, BLK8)에 대응되는 서브 워드 라인(예, SWL8)의 전압 레벨이 상대적으로 높더라도, 메모리 블록(예, BLK8)에 제공되는 리드 바이어스(예, I8)의 레벨은 상대적으로 낮아서, 리드 동작시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예, 146_0, 146_8)에서 제공되는 리드 바이어스(예, I0, I8)의 레벨은 제어 바이어스(VBIAS)를 제공받아 리드 바이어스(예, I0, I8)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예, MP0, MP8)의 저항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트랜지스터(예, MP0)의 저항을 상대적으로 작게하여 제1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예, 146_0)에서 제공되는 리드 바이어스(예, I0)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거나, 구동 트랜지스터(예, MP8)의 저항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제2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예, 146_8)에서 제공되는 리드 바이어스(예, I8)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예, 146_0)의 구동 트랜지스터(예, MP0)보다 제2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예, 146_8)의 구동 트랜지스터(예, MP8) 저항을 더 크게 조절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예, 146_0)의 구동 트랜지스터(예, MP0)보다 제2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예, 146_8)의 구동 트랜지스터(예, MP8) 크기를 더 작게 할 수 있다. 즉, 채널 영역의 폭을 크게 하거나 채널 영역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채널 영역의 폭(Width; W)과 길이(Length; L)의 비, 즉, W/L를 작게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예, 146_0) 구동 트랜지스터(예, MP0)의 채널 영역보다 제2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예, 146_8) 구동 트랜지스터(예, MP8)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를 더 작게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 면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클램핑부의 트랜지스터를 소정의 저항으로 표시하였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와 다른 점은,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리드 바이어스의 레벨이 동일하더라도, 클램핑부들(142_0~142_l) 중 제1 클램핑 트랜지스터(예, MN0)와 제2 클랭핑 트랜지스터(예, 142_8)의 저항 레벨이 다르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센싱 노드(VSA)에 제공되는 리드 바이어스가 동일한 레벨을 가지더라도, 리드 바이어스에 의해 비휘발성 메모리 셀(MC)을 관통하는 전류의 전류 패스에 존재하는 저항(예, R1, R8)이 메모리 블록(BLK0~BLKl)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메모리 블록(BLK0~BLKl)의 위치에 따라 대응되는 서브 워드 라인(SWL0~SWLl)의 전압 레벨 변화에 의한 리드 동작시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메모리 블록(BLK0~BLKl)이 배치되어, 상기 커패시턴스가 상대적으로 큰 메모리 블록(예, BLK8)에 대응되는 클램핑 트랜지스터(예, MN8)의 저항(예, R8) 레벨은 상기 커패시턴스가 상대적으로 작은 메모리 블록(예, BLK0)에 대응되는 클램핑 트랜지스터(예, MN0)의 저항(예, R0) 레벨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리드 동작시 상기 커패시턴스가 상대적으로 커서 메모리 블록(예, BLK8)에 대응되는 서브 워드 라인(예, SWL8)의 전압 레벨이 상대적으로 높더라도, 전류 패스에 존재하는 클램핑 트랜지스터(예, MN8)의 저항(예, R8)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리드 동작시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클램핑 트랜지스터(예, MN0) 및 제2 클램핑 트랜지스터(예, MN8)의 저항(예, R0, R8)을 조절하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의 크기 또는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램핑 트랜지스터(예, MN0)보다 제2 클램핑 트랜지스터(예, MN8)의 W/L를 작게하여 크기를 더 크게 하거나, 제1 클램핑 트랜지스터(예, MN0)의 채널 영역보다 제2 클램핑 트랜지스터(예, MN8)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를 더 높게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섬 메모리 장치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와 다른 점은, 클램핑부들(142_0~142_l) 중 제1 클램핑 트랜지스터(예, MN0)와 제2 클랭핑 트랜지스터(예, 142_8)의 저항(예, R0, R8) 레벨 뿐만 아니라,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146_0~146_l)에서 제공되는 리드 바이어스의 레벨 역시 동일하지 않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주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메모리 블록(BLK0~BLKl)이 배치되어, 상기 커패시턴스가 상대적으로 큰 메모리 블록(예, BLK8)에 대응되는 클램핑 트랜지스터(예, MN8)의 저항(예, R8) 레벨은 상기 커패시턴스가 상대적으로 작은 메모리 블록(예, BLK0)에 대응되는 클램핑 트랜지스터(예, MN0)의 저항(예, R0) 레벨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패시턴스가 상대적으로 큰 메모리 블록(예, BLK8)에 제공되는 리드 바이어스(I8)의 레벨은 상기 커패시턴스가 상대적으로 작은 메모리 블록(예, BLK0)에 제공되는 리드 바이어스(I0)의 레벨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리드 동작시 상기 커패시턴스가 상대적으로 커서 메모리 블록(예, BLK8)에 대응되는 서브 워드 라인(예, SWL8)의 전압 레벨이 상대적으로 높더라도, 메모리 블록(예, BLK8)에 제공되는 리드 바이어스(예, I8)의 레벨은 상대적으로 낮을 뿐만 아니라, 전류 패스에 존재하는 클램핑 트랜지스터(예, MN8)의 저항(예, R8) 역시 상대적으로 낮아서, 리드 동작시 오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블록도들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메모리 블록(BLK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입출력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회로도이다.
도 5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서 리드 동작시 오류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1의 메모리 블록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비휘발성 메모리 셀 어레이
100: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10: 로우 디코더
130: 컬럼 디코더 140: 입출력 회로
140_1~140_l: 리드 회로 141: 디스차지부
142: 클램핑부 144: 프리차지부
146: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 148: 센싱부

Claims (12)

  1. 메모리 블록들로서, 상기 각 메모리 블록들은 비휘발성 메모리 셀들의 행렬을 포함하는 메모리 블록들;
    비트 라인들로서, 각 비트 라인은 상기 각 메모리 블록의 비휘발성 메모리 셀들의 열과 커플링된 비트 라인들; 및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들로서, 각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는 상기 각 메모리 블록에 포함된 상기 비트 라인들과 선택적으로 커플링된 센싱 노드에 리드 바이어스를 제공하는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들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는 서로 다른 레벨의 제1 및 제2 리드 바이어스를 각각 제공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는 구동 바이어스 제공받아 상기 제1 리드 바이어스를 제공하는 제1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는 상기 구동 바이어스를 제공받아 상기 제2 리드 바이어스를 제공하는 제2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구동 트랜지스터의 저항과 상기 제2 구동 트랜지스터의 저항은 서로 다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트랜지스터의 저항은 상기 제2 구동 트랜지스터의 저항보다 크고,
    상기 제1 구동 트랜지스터의 크기는 상기 제2 구동 트랜지스터의 크기보다 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클램핑 트랜지스터들로서, 각 클랭핑 트랜지스터는 상기 각 메모리 블록에 대응되는 상기 비트 라인들에 인가되는 전압의 레벨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트랜지스터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각 클램핑 트랜지스터는 상기 각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와 상기 선택된 비트 라인에 커플링되는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에 대응되는 제1 클램핑 트랜지스터의 저항은 상기 제2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에 대응되는 제2 트랜지스터의 저항보다 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핑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클랭핑 트랜지스터보다 크기가 작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서브 워드 라인들로서, 각 서브 워드 라인은 상기 메모리 블록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서브 워드 라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는 상기 메모리 블록들 중 제1 메모리 블록에 대응되는 비트 라인들과 선택적으로 커플링되며, 상기 제2 리드 바이어스 제공부는 상기 메모리 블록들 중 제2 메모리 블록에 대응되는 비트 라인들과 선택적으로 커플링되고,
    상기 비트 라인들이 프리차지되고 상기 비트 라인들에 상기 리드 바이어스가 제공되는 동안, 상기 제1 메모리 블록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제1 서브 워드 라인에 흐르는 전류의 양은 상기 제2 메모리 블록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제2 서브 워드 라인에 흐르는 전류의 양보다 많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셀은 다이오드 제어 상변화 메모리 셀(diode-controlled PRAM cell)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9. 메모리 블록들로서, 상기 각 메모리 블록들은 비휘발성 메모리 셀들의 행렬을 포함하는 메모리 블록들;
    비트 라인들로서, 각 비트 라인은 상기 각 메모리 블록의 비휘발성 메모리 셀들의 열과 커플링된 비트 라인들; 및
    클램핑 트랜지스터들로서, 각 클랭핑 트랜지스터는 상기 각 메모리 블록에 대응되는 상기 비트 라인들에 인가되는 전압의 레벨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되,
    상기 클램핑 트래지스터들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클램핑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램핑 트랜지스터는 서로 다른 저항 레벨을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랭핑 트랜지스터의 저항은 상기 제2 클랭핑 트랜지스터의 저항보다 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서브 워드 라인들로서, 각 서브 워드 라인은 상기 메모리 블록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서브 워드 라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핑 트랜지스터는 상기 메모리 블록들 중 제1 메모리 블록에 대응되는 비트 라인들을 클랭핑하고, 상기 제2 클램핑 트랜지스터는 상기 메모리 블 록들 중 제2 메모리 블록에 대응되는 비트 라인들을 클랭핑하되,
    상기 비트 라인들이 프리차지되고 상기 비트 라인들에 상기 리드 바이어스가 제공되는 동안, 상기 제1 메모리 블록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제1 서브 워드 라인에 흐르는 전류의 양은 상기 제2 메모리 블록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제2 서브 워드 라인에 흐르는 전류의 양보다 많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셀은 다이오드 제어 상변화 메모리 셀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KR1020080078970A 2008-08-12 2008-08-12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KR20100020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970A KR20100020265A (ko) 2008-08-12 2008-08-12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970A KR20100020265A (ko) 2008-08-12 2008-08-12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265A true KR20100020265A (ko) 2010-02-22

Family

ID=42090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970A KR20100020265A (ko) 2008-08-12 2008-08-12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02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8929B2 (en) 2012-12-26 2015-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related operating method
US11670378B2 (en) 2021-01-29 2023-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for increasing reliability of data detected through page buff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8929B2 (en) 2012-12-26 2015-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related operating method
US11670378B2 (en) 2021-01-29 2023-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for increasing reliability of data detected through page buff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3535B2 (ja) マルチレベル可変抵抗メモリ装置の駆動方法及びマルチレベル可変抵抗メモリ装置
KR100872880B1 (ko)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방법 및 상변화 메모리 장치
US8081501B2 (en) Multi-level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variable resistive element
US8213254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with temperature controlled column selection signal levels
US8320171B2 (en) Phase change memory devices and memory systems including the same
KR20100064715A (ko)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US7570530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variable resistive element
US20080291715A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variable resistive materials
US8228720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s including variable resistive elements
KR20090126102A (ko)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US8040714B2 (en) Multilevel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variable resistance
KR102563767B1 (ko)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2559035A1 (en) Phase change memory with double write drivers
US8385109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16834B1 (ko)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US7948794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variable resistive element
US8369136B2 (en) Resistive memory employing different pulse width signals for reading different memory cells
KR20100035446A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245298B1 (ko)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KR20090100110A (ko)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KR102619682B1 (ko)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00020265A (ko)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US8050079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variable resistive element
KR20100022784A (ko)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KR20090117464A (ko)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