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961A -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8961A
KR20100018961A KR1020080077734A KR20080077734A KR20100018961A KR 20100018961 A KR20100018961 A KR 20100018961A KR 1020080077734 A KR1020080077734 A KR 1020080077734A KR 20080077734 A KR20080077734 A KR 20080077734A KR 20100018961 A KR20100018961 A KR 20100018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photoelectrode
solar cell
sensitized sola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4450B1 (ko
Inventor
배호기
박태진
문형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to KR1020080077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450B1/ko
Priority to PCT/KR2009/004394 priority patent/WO2010016735A2/ko
Priority to CN200980129600.5A priority patent/CN102105997B/zh
Priority to JP2011522011A priority patent/JP2011530783A/ja
Priority to EP09805196A priority patent/EP2317563A4/en
Publication of KR20100018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H01G9/2031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comprising titanium oxide, e.g. T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59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rganic dye as the active light absorbing material, e.g. adsorbed on an electrode or dissolved in sol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광전극층을 형성하고, 상기 광전극층에 염료를 흡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염료를 흡착하는 공정이전에 상기 광전극층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자외선의 조사에 따른 광전극층에 잔류하는 유기물 및 오염물이 분해, 제거될 뿐만 아니라, 상기 광전극층을 이루는 물질 자체가 광촉매 역할을 하므로,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스스로 전자를 여기시켜 활성화 되면, 주변의 H2O나 O2가 이 전자를 가져가서 주변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염료 흡착이전에 광전극층의 표면을 세정하게 되어 흡착효율을 개선하며, 자외선 조사에 따라 광전극층이 활성화되어 흡착이 더욱 용이하게 되어 또한 염료 흡착효율이 증대되어 염료 흡착효율을 두 가지 측면에서 크게 개선하며, 이에 따라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 자외선

Description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METHOD OF PREPARING DYE SENSITIZED SOLAR CELL}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외선의 조사에 따른 광전극층에 잔류하는 유기물 및 오염물이 분해, 제거될 뿐만 아니라, 상기 광전극층을 이루는 물질 자체가 광촉매 역할을 하므로,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스스로 전자를 여기시켜 활성화 되면, 주변의 H2O나 O2가 이 전자를 가져가서 주변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염료 흡착이전에 광전극층의 표면을 세정하게 되어 흡착효율을 개선하며, 자외선 조사에 따라 광전극층이 활성화되어 흡착이 더욱 용이하게 되어 또한 염료 흡착효율이 증대되어 염료 흡착효율을 두 가지 측면에서 크게 개선하며, 이에 따라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1991년도 스위스 국립 로잔 고등기술원(EPFL)의 마이클 그라첼(Michael Gratzel) 연구팀에 의해 염료감응 나노입자 산화티타늄 태양전지가 개발된 이후 이 분야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염료감응태양전지는 기존의 실리콘계 태 양전지에 비해 제조단가가 현저기 낮기 때문에 기존의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실리콘 태양전지와 달리 염료감응태양전지는 가시광선을 흡수하여 전자-홀 쌍을 생성할 수 있는 염료분자와, 생성된 전자를 전달하는 전이금속 산화물을 주 구성 재료로 하는 광전기화학적 태양전지이다.
일반적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단위 셀 구조는 상, 하부 투명한 기판과 그 투명기판의 표면에 각각 형성되는 투명 도전성 산화물(TCO)로 이루어진 도전성 투명전극을 기본으로 하여, 제1전극에 해당하는 일 측의 도전성 투명전극위에는 그 표면에 염료가 흡착된 전이금속 산화물 다공질 층이 형성되어지고, 제2전극에 해당하는 타 측 도전성 투명전극 위에는 촉매박막전극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 예를 들면 TiO2, 다공질 전극과 촉매박막전극 사이에는 전해질이 충진되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즉,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빛을 받아 전자를 발생시키는 염료가 부착된 광전극(TiO2) 재료가 코팅된 광전극 기판과 전자를 공급하는 촉매전극기판 사이에 산화된 염료에 전자를 공급하여 주는 전해질을 기본으로 구성되어 지는데, 이와 같은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은 상기 광전극에 염료를 얼마나 많이, 잘 흡착하여 빛을 전기로 변환하는가가 결정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광전극부를 구성하는 전이금속 산화물 다공질 층(다공질 광전극층)(TiO2)은 TiO2 paste를 성막하고 열처리하여 페이스트를 구성하는 유기물을 제거함은 물론 TiO2 나노입자사이를 연결시켜(necking) 염료로부터 주입된 전자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 과정에서 상기 다공질 광전극층(TiO2) 내부에 페이스트 등으로부터 유래된 잔류 유기물이 잔존하거나 공정을 통하여 오염된 부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공질 광전극층을 구성하는 TiO2 표면에 염료를 효율적으로 화학 흡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술한 전이금속 산화물 다공질 층을 포함하는 광전극층에 염료를 보다 많이, 잘 흡착할 수 있는 제조방법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광전극층에 잔류하는 유기물 및 오염물이 분해, 제거될 뿐만 아니라, 상기 광전극층을 이루는 물질에 의하여 주변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염료 흡착이전에 광전극층의 표면을 세정하게 되며, 광전극층의 활성화에 따라 흡착이 더욱 용이하게 되어 염료 흡착효율이 증대되며, 이에 따라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전극층을 형성하고, 상기 광전극층에 염료를 흡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염료를 흡착하는 공정이전에 상기 광전극층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자외선의 조사에 따른 광전극층에 잔류하는 유기물 및 오염물이 분해, 제거될 뿐만 아니라, 상기 광전극층을 이루는 물질 자체가 광촉매 역할을 하므로,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스스로 전자를 여기시켜 활성화 되면, 주변의 H2O나 O2가 이 전자를 가져가서 주변의 유기물 을 분해하여, 염료 흡착이전에 광전극층의 표면을 세정하게 되어 흡착효율을 개선하며, 자외선 조사에 따라 광전극층이 활성화되어 흡착이 더욱 용이하게 되어 또한 염료 흡착효율이 증대되어 염료 흡착효율을 두 가지 측면에서 크게 개선하며, 이에 따라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광전극층을 형성하고, 상기 광전극층에 염료를 흡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염료를 흡착하는 공정이전에 상기 광전극층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즉,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빛을 받아 전자를 발생시키는 염료가 부착된 광전극(구체적인 예를 들면 TiO2) 재료가 코팅된 광전극 기판과 전자를 공급하는 촉매전극기판 사이에 산화된 염료에 전자를 공급하여 주는 전해질을 기본구조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이들 두 기능을 가지는 기판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광전극 재료로 이루어지는 광전극부는 빛을 받아 전자를 발생시키는 염료가 흡착된 광전극층 및 이의 하부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투명 전도성 물질(TCO)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광전극층은 주로 전이금속 산화물 n형 반도체재료 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염료가 흡착되어 있는 구조이며, 상기 광전극층을 구성하는 전이금속 산화물(TiO2)는 평균입자크기가 10 ~ 50 ㎚수준으로, 이들로 이루어지는 광전극층은 주로 두께 15 ㎛ 정도의 박막으로 형성되며, 비표면적이 매우 큰 다공성 박막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렇게 형성된 넓은 표면적에 염료입자가 화학적으로 흡착되어 광전변환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구조이다.
그러므로 광전효율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염료의 다량 흡착과 견고한 흡착이 필요하고,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광전극부를 구성하는 광전극층, 바람직하게는 TiO2층에 염료를 착색시키기 전에 광전극층, 바람직하게는 TiO2 다공성층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TiO2의 광촉매특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상기 염료를 흡착하는 공정이전에 상기 광전극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전극층, 바람직하게는 TiO2층을 활성화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광촉매 역할을 하므로,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스스로 전자를 여기시켜 활성화 되면, 주변의 H2O나 O2가 이 전자를 가져가서 주변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염료 흡착이전에 광전극층의 표면을 세정함과 동시에, 광전극층, 바람직하게는 TiO2 입자 표면을 활성화시키므로 염료흡착 효과를 극대화하여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개선시킨다. 또한 자외선 자체가 또한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유기물의 분해 효과를 가지므로 상기 기술한 세정효과를 더욱 증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는 염료를 흡착하는 공정 직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활성화를 유지하고, 세정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으므로 좋다.
즉,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상의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서 광전극부를 구성하는 다공질 광전극층(TiO2)은 TiO2 paste를 성막하고 열처리하여 페이스트를 구성하는 유기물을 제거함은 물론 TiO2 나노입자사이를 연결시켜(necking) 염료로부터 주입된 전자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데, 상기 과정에서 다공질 광전극층(TiO2) 내부에 잔류 유기물이 잔존하거나 공정을 통하여 오염된 부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TiO2의 광촉매 작용과 UV(자외선)의 광에너지 공급 작용 및 유기물 분해효과를 이용하여 염료흡착 공정 전에 다공질 광전극층(TiO2)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잔류유기물이나 오염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다공질 광전극층을 활성화시켜 염료흡착효율을 높이고, 흡착강도를 개선하여,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개선한다.
이외에 상기 기술한 본 발명의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기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소를 제외한 제조방법은 통상의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의 경우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하는 바, 이는 상기 기술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염료가 흡착된 광전극층으로 이루어진 광전극, 상기 광전극 에 대응하는 촉매전극, 상기 광전극 및 촉매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해질; 및, 상판, 하판 및 봉지재로 상기 광전극, 촉매전극 및 전해질을 기밀하는 기밀부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한 본 발명의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상기 기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소를 제외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구조는 통상의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이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상세한 설명,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방법에서 광전극층에서 광촉매 특성이 발생하는 경우의 세정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4)

  1. 광전극층을 형성하고, 상기 광전극층에 염료를 흡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염료를 흡착하는 공정이전에 상기 광전극층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가 염료를 흡착하는 공정 직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극층은 다공질 TiO2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염료가 흡착된 광전극층으로 이루어진 광전극;
    상기 광전극에 대응하는 촉매전극;
    상기 광전극 및 촉매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해질; 및,
    상판, 하판 및 봉지재로 상기 광전극, 촉매전극 및 전해질을 기밀하는 기밀부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20080077734A 2008-08-08 2008-08-08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1414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734A KR101414450B1 (ko) 2008-08-08 2008-08-08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PCT/KR2009/004394 WO2010016735A2 (ko) 2008-08-08 2009-08-06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CN200980129600.5A CN102105997B (zh) 2008-08-08 2009-08-06 染料敏化太阳能电池的制造方法
JP2011522011A JP2011530783A (ja) 2008-08-08 2009-08-06 染料増感太陽電池の製造方法
EP09805196A EP2317563A4 (en) 2008-08-08 2009-08-06 METHOD FOR PRODUCING A COLOR-SENSITIZED SOLAR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734A KR101414450B1 (ko) 2008-08-08 2008-08-08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961A true KR20100018961A (ko) 2010-02-18
KR101414450B1 KR101414450B1 (ko) 2014-07-04

Family

ID=4166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734A KR101414450B1 (ko) 2008-08-08 2008-08-08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17563A4 (ko)
JP (1) JP2011530783A (ko)
KR (1) KR101414450B1 (ko)
CN (1) CN102105997B (ko)
WO (1) WO201001673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3884A1 (ja) * 2012-11-27 2014-06-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多孔質酸化チタン積層体の製造方法
WO2014084133A1 (ja) * 2012-11-27 2014-06-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太陽電池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2111B (zh) * 2012-09-06 2015-04-15 北京大学 一种提高太阳电池转换效率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7594B2 (ja) * 1999-05-27 2008-04-16 触媒化成工業株式会社 光電気セルおよび金属酸化物半導体膜形成用塗布液、光電気セル用金属酸化物半導体膜の製造方法
JP2002231326A (ja) * 2001-02-06 2002-08-16 Nec Corp 光電変換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6872766B2 (en) * 2001-10-03 2005-03-29 Eastman Kodak Company Ultraviolet light filter element
JP4462187B2 (ja) * 2002-08-13 2010-05-1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色素増感型太陽電池及びその電解質
JP4356865B2 (ja) 2002-09-10 2009-11-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金属−金属酸化物複合電極の作製方法、光電変換素子及び光電池
EP1424340B1 (en) 2002-11-28 2006-06-21 Imra Europe S.A. Metal complex photosensitizers and photo-electrochemical cell
JP3671183B2 (ja) * 2003-09-04 2005-07-13 司 吉田 色素増感型太陽電池の製造方法
US20050107486A1 (en) 2003-11-17 2005-05-19 Bi Le-Khac UV-curable polyols
JP2005235757A (ja) * 2004-01-22 2005-09-02 Showa Denko Kk 金属酸化物電極膜および色素増感型太陽電池
KR20080048548A (ko) * 2004-01-22 2008-06-02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금속산화물 전극과 그 제조방법, 및 색소 증감 태양전지
WO2007026927A1 (ja) * 2005-09-02 2007-03-08 Kyocera Corporation 光電変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発電装置
JP4982067B2 (ja) * 2005-10-07 2012-07-25 グンゼ株式会社 色素増感太陽電池用光電極の製造方法
JP2007265629A (ja) 2006-03-27 2007-10-11 Sekisui Jushi Co Ltd 色素増感型太陽電池
JP4808560B2 (ja) * 2006-07-21 2011-11-02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酸化チタン粒子含有組成物、光電極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3884A1 (ja) * 2012-11-27 2014-06-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多孔質酸化チタン積層体の製造方法
WO2014084133A1 (ja) * 2012-11-27 2014-06-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太陽電池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05997B (zh) 2014-03-26
EP2317563A2 (en) 2011-05-04
CN102105997A (zh) 2011-06-22
KR101414450B1 (ko) 2014-07-04
WO2010016735A2 (ko) 2010-02-11
JP2011530783A (ja) 2011-12-22
WO2010016735A3 (ko) 2010-04-01
EP2317563A4 (en)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madpour et al. Fluorine treatment of TiO2 for enhancing quantum dot sensitized solar cell performance
EP1523019A2 (en) Dye-sensitized solar cell with a buffer layer
Qu et al. Structure transformation and photo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iO2 nanomaterials calcined from titanate nanotubes
KR101303450B1 (ko) 염료 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Son et al. Analysis on the light-scattering effect in dye-sensitized solar cell according to the TiO2 structural differences
Arof et al. Chlorophyll as photosensitizer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KR20130123477A (ko) 염료감응태양전지 표면 코팅액의 제조방법, 그 코팅액 및 그를 도포한 염료감응태양전지
CN103354283A (zh) 金纳米粒子修饰树枝状二氧化钛纳米棒阵列电极及其制备方法和光电解水制氢应用
Irannejad et al. Enhanced efficiency of dye-sensitized solar cell by using a novel modified photoanode with platinum C3N4 nanotubes incorporated Ag/TiO2 nanoparticles
CN102534725A (zh) 一种制备Ag2S掺杂TiO2纳米管电极的方法
KR20120136578A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14450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Park et al. Fabrication N, F, and N/F-doped TiO2 photoelectrod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KR20110026818A (ko) 염료 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23197A (ko) 에르븀 이온 및 이테르븀 이온이 도핑된 이산화티탄 분말의제조방법 및 이를 산란층으로 적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417646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09067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72661B1 (ko) 태양광 충방전 복합산화물 반도체 제조 및 이를 활용한 야간 수처리
KR101362676B1 (ko) 반도체 전극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반도체 전극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173084B1 (ko) 금속산화물 나노 입자층의 나노 구조 제어를 통해 효율을 개선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8223B1 (ko) 광 흡수 증대 수단이 구비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 및 그 태양전지
KR20140050164A (ko) 상압/상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338957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 방법 및 그 태양전지
JP5303207B2 (ja) 光電変換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光電変換素子
KR20110040153A (ko) 염료 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