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376A - 케이블의 전자유도를 위한 본딩 클램프 - Google Patents

케이블의 전자유도를 위한 본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8376A
KR20100018376A KR1020080077108A KR20080077108A KR20100018376A KR 20100018376 A KR20100018376 A KR 20100018376A KR 1020080077108 A KR1020080077108 A KR 1020080077108A KR 20080077108 A KR20080077108 A KR 20080077108A KR 20100018376 A KR20100018376 A KR 20100018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onding
hole
bol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5292B1 (ko
Inventor
이광복
Original Assignee
이광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복 filed Critical 이광복
Priority to KR1020080077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29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8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에 장공(12)을 천공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우측에서 고정 볼트(13)로 고정하며 내부 중앙에 본딩 홈(16)을 형성한 고정 블록(15)과;
상기 고정 블록(15)의 본딩 홈(16)과 관통된 나사공(27)에 결합하며 내부 중앙에 구멍(20)을 형성하고 접지부(25)에 연결선(26)을 설치한 연결 볼트(19)와;
상기 구멍(20)에 설치하며 케이블(30)의 외피(31)에 천공한 구멍에 결합하는 접지핀(21)과;
상기 연결 볼트(19)가 누르도록 본딩 홈(16)에 설치하고 외피(31)에 천공한 구멍을 감싸는 우레탄(23)과;
상기 본체(11)의 장공(12)에서 이동 볼트(14)로 설치하며 케이블(30)을 고정하는 이동 블록(17)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딩, 전자유도, 케이블, 클램프

Description

케이블의 전자유도를 위한 본딩 클램프{A bonding clamp for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of the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의 전자유도를 위한 본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연결부분에서 본딩선의 연결이 잘못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연결부분에서 열수축관의 해체 접속 없이 외부로 케이블 쉬스 본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천공한 구멍을 통하여 케이블의 양쪽을 클램핑한 후 연결선이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케이블의 전자유도를 위한 본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케이블의 접속 방법은 첫째, 심선 접속이 완료되면 케이블 외피를 접속할 수 있도록 소요되는 열수축관 규격 및 첨부자재와 각종 공기구를 확인하고 본드선을 접속하며 금속보호관을 부착 조립한 후 조립된 부분을 알루미늄 테이프로 붙임다음 둥근 망치자루 등을 사용하여 골고루 문지른다.
그리고 금속보호관이 오므라지는 부분에서부터 케이블측으로 PVC 테이프를 반씩 겹치게 감되 케이블 PE외피 위에 감아서는 안된다.
둘째, 조립된 금속보호관의 끝부분에서 케이블측으로 약 20cm 정도를 청소하여 외피에 알루미늄 테이프 및 열수축관이 잘 부착될 수 있도록 연마용 센드페이퍼를 사용하여 케이블 외피를 연마한다.
셋째, 열수축관 가열수축 작업시 토피램프의 열로부터 케이블 PE외피를 보호하기 위하여 알루미늄테이프를 부착한다.
넷째, 열수축관이 부착될 케이블 PE외피 부분에 프로판가스 토치램프의 약한 불꽃으로 약 10초간 예열한다.
다섯째, 열수축관을 부착한 다음 채널접속자를 열수축관의 중앙 지점에 취비하고, 열수축관 양측 끝에서 중앙지점으로 채널을 삽입한다.
여섯째, 열을 가하여 수축되도록 하고, 수축을 검사한 후 냉각시켜 정리한다.
일곱째, 공기 누설여부를 점검하고, 분기접속인 경우 분기자재를 삽입하여 분기 접속을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정상적인 분기 접속이 완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열수축관을 해체하여 재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복잡한 시공 과정을 통하여 케이블을 연결하게 되지만 1개소당 평균 작업시간이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되고, 숙련공을 투입해야 하므로 숙련공에 의한 작업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되는 것이므로 경제성이 저하되고 너무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결점이 있으며, 본딩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차폐전류가 흐를 경도를 구성하지 못하므로 차폐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피 천공기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외경에서 외피를 간편하게 천공한 구멍을 이용하여 정확하여 본딩 클램프가 간편하게 연결하여 본딩법을 개선하고 선로시설 낙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피 천공기를 이용하여 숙련공이 아닌 일반공으로도 작업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에 장공을 천공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우측에서 고정 볼트로 고정하며 내부 중앙에 본딩 홈을 형성한 고정 블록과;
상기 고정 블록의 본딩 홈과 관통된 나사공에 결합하며 내부 중앙에 구멍을 형성하고 접지부에 연결선을 설치한 연결 볼트와;
상기 구멍에 설치하며 케이블의 외피에 천공한 구멍에 결합하는 접지핀과;
상기 연결 볼트가 누르도록 본딩 홈에 설치하고 외피에 천공한 구멍을 감싸는 우레탄과;
상기 본체의 장공에서 이동 볼트로 설치하며 케이블을 고정하는 이동 블록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피 천공기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외경에서 외피를 간편하게 천공할 수 있도록 한 후 이 천공 구멍에서 본딩 클램프가 간편하고 정확하게 연결되므로 본딩법을 개선하고 선로시설 낙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블(30)의 연결부분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쪽에 본딩 클램프(10)를 각각 설치하는 것이며, 설치방법은 동일하다.
본딩 클램프(10)는 사각형의 판으로 이루어진 본체(11)의 한쪽 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볼트(13)로 고정 블록(15)을 고정한다.
고정 블록(15)을 고정한 본체(11)의 좌측에는 소정의 간격에 이동 볼트(14)가 연결되어 자유롭게 왕복 이동할 수 있는 장공(12)을 형성하고, 이동 볼트(14)로 이동 블록(17)을 연결한다.
고정한 고정 블록(15)은 중앙 한 부분에 본딩 홈(16)을 형성하고, 이 본딩 홈(16)에 우레탄재질로 이루어진 우레탄(23)을 설치한다.
상기 우레탄(23)을 관통하여 케이블(30)에 미리 형성된 접지용 구멍에 결합하는 접지핀(21)이 관통되어 연결 볼트(19)의 구멍(20)에 결합되고, 접지핀(21)은 구멍(20)에서 스프링(22)에 지지가 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연결 볼트(19)는 고정 블록(15)의 나사공(27)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선단에 누름 돌기(24)가 돌출되어 우레탄(23)의 한쪽에서 누름이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연결 볼트(19)의 머리 부분에는 접지부(25)를 형성하여 연결선(26)을 연결하여 양쪽의 본딩 클램프(1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 블록(17)에는 고정홈(18)을 형성하여 케이블(30)을 감싸며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좌측 중앙에는 안내 돌기(45)가 접촉되도록 한다.
본딩 클램프(10)가 고정하는 케이블(30)은 다수의 선(33)이 알루미늄(32)으로 감싸져 있으며, 알루미늄(32)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외피(31)에 의하여 감싸져 있는 것이다.
상기 케이블(30)을 본딩하기 이전에 본딩 클램프(10)가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지그(40)는 고정 블록(15)의 우측에 접촉되는 지지부(42)를 형성하고, 지지부(42)에는 연결 볼트(19)가 위치하는 홈(43)이 형성되며, 이동 블록(17)에 접촉하는 안내 돌기(45)는 이송안내 볼트(44)의 선단에 설치되고, 이송안내 볼트(44)는 지그(40)의 좌측에서 누름 안내부(41)에 설치되어 이동 블록(17)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본딩 클램프(10)를 이용하여 본딩하기 이전에 소정의 외피 천공기를 이용하여 케이블(30)의 접지 부분에 외피(31)를 천공 하여 알루미늄(32)의 노출로 접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케이블(30)의 외피(31)를 천공한 부분이 접지핀(21)과 일치하는 위치가 되도록 케이블(30)을 우레탄(23)의 하측에 위치시키고이동 볼트(14)를 풀어 이동 블록(17)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고정홈(18)에 케이블(30)이 위치하도록 하여 조임한다.
그러나 양쪽으로 설치한 장공(12)에 이동 볼트(14)가 결합되어 있어서 이동 블록(17)이 쉽게 왕복 이동하지 않고, 왕복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곧바로 조임력을 제공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필요한 경우에는 지그(40)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지그(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30)의 천공구멍이 접지핀(21)과 일치하도록 결합한 후 지그(40)의 지지부(42)가 고정 블록(15)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한다.
이송안내 볼트(44)를 조임하면 안내 돌기(45)가 이동 블록(17)의 중앙에서 힘을 가하여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이동 볼트(14)가 장공(12)에 결합된 상태에서 부드럽게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계속해서 이송안내 볼트(44)를 회전시키면 이동 블록(17)의 고정홈(18)에 케이블(30)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고정 블록(15)과 이동 블록(17)을 통하여 케이블(30)을 고정시킨 후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볼트(19)를 조임하게 되며, 연결 볼트(19)가 나사공(27)에서 회전하면서 선단의 누름 돌기(24)가 우레탄(23)을 누르게 된다.
누름 돌기(24)를 통하여 눌려지는 우레탄(23)은 외피(31)의 천공 구멍 주변을 감싸면서 외부로부터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며, 동시에 연결 볼트(19)가 눌려짐에 따라서 접지핀(21)이 외피(31)의 천공 구멍에 결합되어 내부의 알루미늄(32)과 접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접지핀(21)은 연결 볼트(19)에 의하여 눌려질 때 구멍(20)에서 스프링(22)의 탄성력을 받아 안전하고 정확하게 접지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접지가 종료되면 이동 볼트(14)를 통하여 이동 블록(17)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이송안내 볼트(44)를 풀어 지그(40)를 제거함으로써 본딩 클램프(10)의 설치가 종료되며, 케이블(30)의 연결부분 양쪽에 본딩 클램프(10)를 설치하게 되므로 연결선(26)에 의하여 안정되고 정확하게 본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딩이 종료된 후 본팅 클램프(10)의 양쪽으로 탐침기(100, 110)를 설치하여 부저(120)에 연결함으로써 탐침기(100, 110)를 이용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탐침에 의해 부저(120)가 울리게 되므로 본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본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의 연결부분에서 본딩 클램프를 이용하여 본딩을 통한 전자유도에 의해 차폐전류가 흐를 경로를 제공하여 차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접 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선로시설에서 낙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작업 상태 사시도
도 2 는 일반적인 케이블에 대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본딩 클램프를 지그로 감싼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작업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지그를 사용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연결 볼트를 조임 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의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을 설치한 후 탐침기로 본딩 여부를 실험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딩 클램프 11 : 본체
12 : 장공 13 : 고정 볼트
14 : 이동 볼트 15 : 고정 블록
16 : 본딩 홈 17 : 이동 블록
18 : 고정 홈 19 : 연결 볼트
20 : 구멍 21 : 접지핀
22 : 스프링 23 : 우레탄
24 : 누름 돌기 25 : 접지부
26 : 연결선 30 : 케이블
31 : 외피 32 : 알루미늄
40 : 지그 41 : 누름 안내부
42 : 지지부 43 : 홈
44 : 이송안내 볼트 45 : 안내 돌기
100, 110 : 탐침기

Claims (4)

  1. 소정의 간격에 장공(12)을 천공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우측에서 고정 볼트(13)로 고정하며 내부 중앙에 본딩 홈(16)을 형성한 고정 블록(15)과;
    상기 고정 블록(15)의 본딩 홈(16)과 관통된 나사공(27)에 결합하며 내부 중앙에 구멍(20)을 형성하고 접지부(25)에 연결선(26)을 설치한 연결 볼트(19)와;
    상기 구멍(20)에 설치하며 케이블(30)의 외피(31)에 천공한 구멍에 결합하는 접지핀(21)과;
    상기 연결 볼트(19)가 누르도록 본딩 홈(16)에 설치하고 외피(31)에 천공한 구멍을 감싸는 우레탄(23)과;
    상기 본체(11)의 장공(12)에서 이동 볼트(14)로 설치하며 케이블(30)을 고정하는 이동 블록(17)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전자유도를 위한 본딩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케이블(30)을 고정한 본딩 클램프(10)는 케이블(30)의 양쪽에 설치되어 연결선(26)으로 본딩 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전자유도를 위한 본딩 클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접지핀(21)은 외피(31)의 천공 구멍에 위치하며 구멍(20)에 삽입되어 스프링(22)에 지지가 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전자유도를 위한 본딩 클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고정 블록(15)에는 지지부(42)가 위치하며 이동 블록(17)에는 이동안내 볼트(44)의 안내 돌기(45)가 위치하고, 이동안내 볼트(44)가 설치된 누름 안내부(41)를 갖는 지그(40)로 고정 블록(15)을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전자유도를 위한 본딩 클램프.
KR1020080077108A 2008-08-06 2008-08-06 케이블의 전자유도를 위한 본딩 클램프 KR100955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108A KR100955292B1 (ko) 2008-08-06 2008-08-06 케이블의 전자유도를 위한 본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108A KR100955292B1 (ko) 2008-08-06 2008-08-06 케이블의 전자유도를 위한 본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376A true KR20100018376A (ko) 2010-02-17
KR100955292B1 KR100955292B1 (ko) 2010-05-03

Family

ID=4208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108A KR100955292B1 (ko) 2008-08-06 2008-08-06 케이블의 전자유도를 위한 본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2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1246A (zh) * 2019-05-29 2019-07-12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机柜扁平式滑动进线抱箍
CN110120642A (zh) * 2019-05-14 2019-08-13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套管接线装置及输电设备
CN110676755A (zh) * 2019-11-06 2020-01-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市牟平区供电公司 一种修补输电线路架空避雷线专用工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566B1 (ko) 2013-10-25 2014-03-07 김규현 송배전 케이블 연결 장치용 처짐 방지 겸용 케이블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923B2 (ja) * 1987-11-30 1994-02-16 東京電力株式会社 ケーブル端部における直線接続方法
KR100219320B1 (ko) 1996-09-10 1999-09-01 이계철 직촉식 케이블 본딩상태 감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0642A (zh) * 2019-05-14 2019-08-13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套管接线装置及输电设备
CN110120642B (zh) * 2019-05-14 2021-02-26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套管接线装置及输电设备
CN110011246A (zh) * 2019-05-29 2019-07-12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机柜扁平式滑动进线抱箍
CN110676755A (zh) * 2019-11-06 2020-01-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市牟平区供电公司 一种修补输电线路架空避雷线专用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292B1 (ko) 201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292B1 (ko) 케이블의 전자유도를 위한 본딩 클램프
US10267436B2 (en) Holding device for holding a cable
DK1825572T3 (da) Fremgangsmåde og indretning til at forbinde en elektrisk leder til en metalskinne og værktøj til fastgøring af en bøsning i et hul i en metalskinne
KR101061157B1 (ko)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RU2257652C2 (ru) Кабельный штекер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ьных соединений
KR102333248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CN108886240B (zh) 紧线器与利用所述紧线器的活线分配工具
JP2010218777A (ja) コネクタ
DE60327825D1 (de) Befestigungsanordnung einer elektrischen Anschlussklemme
US10326215B1 (en) Pin aligning crimping fixture
KR102364894B1 (ko) 접지동봉 접속구조
CN106525188B (zh) 流量计测试工装
KR100899094B1 (ko) 소경 와이어링의 인장력 테스트 지그장치
CN111313191B (zh) 一种电厂电气设备测试用线缆连接系统
CN105782583A (zh) 一种管件固定块
KR101279939B1 (ko) 탐침 장치
JP7493217B2 (ja) ハンダ付け装置
CN110718477A (zh) 分体式楔焊自动键合台线夹
CN215393382U (zh) 一种smp通用限位焊接治具
CN221078971U (en) Protective type light guide column structure, electronic equipment and low-voltage metering detection equipment
KR20220080820A (ko) 파이프 홀 커팅용 가이드 클램프
JP2005524373A (ja) ケーブル架設
RU76507U1 (ru) Узел герметизации кабельн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KR200486952Y1 (ko) 케이블 벤딩 장치
JP2010124622A (ja) 間接活線作業用工具及び間接活線作業用先端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