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260B1 -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260B1
KR101895260B1 KR1020160027466A KR20160027466A KR101895260B1 KR 101895260 B1 KR101895260 B1 KR 101895260B1 KR 1020160027466 A KR1020160027466 A KR 1020160027466A KR 20160027466 A KR20160027466 A KR 20160027466A KR 101895260 B1 KR101895260 B1 KR 101895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cking
light
insertion hol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4734A (ko
Inventor
이상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티
Priority to KR1020160027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260B1/ko
Publication of KR20170104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6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20Identification of installed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선로 케이블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선로 케이블에 배치되는 추적 케이블; 및 상기 추적 케이블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광 조사기를 포함하고, 상기 광 조사기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고, 상기 추적 케이블을 지지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추적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적 케이블에 광을 조사하여 추적 케이블이 발산하는 측광을 통해 작업이 필요한 케이블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추적 케이블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기를 휴대하여 필요한 케이블의 위치를 간편하게 추적가능하다. 광 조사기에 결합된 추적 케이블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선로 케이블을 추적가능하다.

Description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Cableway Tracer}
본 발명은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은 신호나 전력을 보내기 위한 선로로써, 대개는 물리적인 전선을 가리키나 데이터 전송로의 의미로도 확대 해석할 수 있으며,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선부터 전화선, 광케이블까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그리고 산업화가 가속되면서 기업체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각종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으며, 점차 사용되는 케이블이 많아짐에 따라 상기 케이블을 한 곳에 모아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되는 케이블이 많아짐에 따라 케이블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케이블과 연결된 각종 기기 또는 케이블 자체를 수리하여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필요한 케이블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힘을 통해 케이블을 잡아당기거나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해당 케이블을 식별하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케이블은 물리적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손상을 입을 염려가 있고, 케이블이 단선된 경우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해당 케이블을 식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3317호(2005.03.09.공개)에서는 케이블 상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그 관련 케이블의 식별을 위한 표식을 외면에 갖춘 슬리브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 재료 케이블 설치 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3317호(2005.03.09.공개)는 복수 개의 슬리브를 케이블에 결합시켜야 하며, 무더기로 모여있는 케이블에 슬리브가 마련된 경우 슬리브로 인해 보관하는 부피 역시 커지게 되고, 상기 슬리브가 케이블 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케이블에 슬리브가 존재하지 않는 구간이 넓어져 필요한 케이블을 확인하기 어려우며, 사용자는 필요한 케이블을 식별하기 위해서 상기 슬리브를 일일히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KR 10-2005-0023317 A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선로 케이블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맨홀 또는 서버실 등에서 작업이 필요한 선로 케이블의 연결관계 및 전반적인 배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섬유로 이루어진 추적 케이블의 외면을 통해 빛을 발산함으로써 선로 케이블을 추적가능한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광 조사기 하나만으로 작업이 필요한 선로 케이블을 확인가능한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 조사기에 추적 케이블을 결합함에 있어서 추적 케이블이 광 조사기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가능함으로써 안정적인 선로 케이블을 추적할 수 있는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는, 선로 케이블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선로 케이블에 배치되는 추적 케이블; 및 상기 추적 케이블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광 조사기를 포함하고, 상기 광 조사기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고, 상기 추적 케이블을 지지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추적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광원을 향하여 관통되고, 상기 추적 케이블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삽입홀의 폭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제1삽입홀과 연통되는 제2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홀은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광원을 향하여 테이퍼진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적 케이블을 상기 선로 케이블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적 케이블은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해 광을 발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적 케이블은 전체면에서 광을 발산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적 케이블은 부분적으로 광을 발산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적 케이블은 미리 정해진 간격마다 길이 표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길이 표시 수단은 상기 추적 케이블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래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결합부재는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적 케이블에 광을 조사하여 추적 케이블이 발산하는 측광을 통해 작업이 필요한 케이블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추적 케이블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기를 휴대하여 필요한 케이블의 위치를 간편하게 추적가능하다. 광 조사기에 결합된 추적 케이블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선로 케이블을 추적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의 광 조사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의 가압부재와 결합부재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의 가압부재와 결합부재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 제2 ,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로써,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는 추적 케이블(200)과 광 조사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 또는 정보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전자기기에 전달하는 선로 케이블(100)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추적 케이블(200)은 선로 케이블(100)을 따라 적어도 일부(바람직하게는 전체)가 선로 케이블(100)에 배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의 광 조사기(3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광 조사기(3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추적 케이블(200)과 연결될 수 있다. 광 조사기(300)는 광원(310)과 하우징(320), 결합부재(330) 및 가압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310)은 후술하는 하우징(320)의 내부에 수용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적 케이블(200)에 광을 조사한다. 즉, 광원(310)은 추적 케이블(200)의 일단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추적 케이블(200)이 외부로 광을 발산하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320)은 중공의 기둥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내부공간에 광원(310)을 수용가능하며, 후술하는 결합부재(330)를 통해 추적 케이블(200)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3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결합부재(330)는 하우징(320)의 일단과 결합하고, 몸체(331)와, 몸체(331)에 형성된 제1삽입홀(332) 및 제2삽입홀(33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20)의 일단부의 내주면과 결합부재(330)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우징(320)과 결합부재(330)는 나사결합할 수 있다.
몸체(331)는 하우징(320)의 일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결합부재(330)는 제1삽입홀(332)과 제2삽입홀(333)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결합부재(330)는 하우징(320)의 길이방향의 일단부, 즉 몸체(331)의 일측으로부터 광원(310)을 향하여 관통되는 제1삽입홀(332)이 형성됨으로써 결합부재(330)의 외부와 하우징(320)의 내부공간이 연통된다. 또한 결합부재(330)는 몸체(331)의 외면으로부터 제1삽입홀(332)의 폭방향 또는 하우징(32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삽입홀(333)이 형성됨으로써, 결합부재(330)의 외부와 제1삽입홀(332)이 연통된다. 그리고 제1삽입홀(332)은 추적 케이블(200)의 일단이 삽입되고, 제2삽입홀(333)은 가압부재(340)가 삽입된다. 따라서 추적 케이블(200)은 제1삽입홀(332)에 삽입되어 결합부재(330)를 관통하고,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3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추적 케이블(200)을 지지한다.
또한 제1삽입홀(332)은 몸체(331)의 일측으로부터 광원(310)을 향하여 테이퍼진 테이퍼부(332a)가 형성된다. 즉, 테이퍼부(332a)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추적 케이블(200)을 광 조사기(300)에 삽입하고자 할 때, 추적 케이블(200)의 일단을 몸체(331)의 제1삽입홀(332)에 정확히 삽입하지 않더라도, 테이퍼부(332a)에 의해 추적 케이블(200)의 일단이 몸체(331)의 제1삽입홀(332)에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의 결합부재(330)와 가압부재(340)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결합부재(330)에는 가압부재(340)가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재(330)는 외주면으로부터 제1삽입홀(332) 방향으로 제1삽입홀(332)과 연통되는 제2삽입홀(333)이 형성될 수 있고, 제2삽입홀(333)에는 가압부재(340)가 삽입된다. 가압부재(340)는 추적 케이블(200)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추적 케이블(200)이 결합부재(3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삽입홀(332)과 제2삽입홀(333)은 각각의 중심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340)의 외주면과 결합부재(330)의 제2삽입홀(333)은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가압부재(340)와 결합부재(330)는 나사결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추적 케이블(200)이 이탈이 방지된다면 다양한 결합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가압부재(340)는 제2삽입홀(333)에 삽입되어 일단이 추적 케이블(200)을 가압한 상태에서, 타단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가압부재(340)가 제2삽입홀(333)에 삽입되어 배치될 때, 상기 타단이 몸체(331)의 외면과 높이가 같거나 몸체(331)의 외면보다 오히려 함몰되게 형성된다면, 사용자는 가압부재(340)를 통해 추적 케이블(200)을 가압시키기거나 가압을 해제하는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장치는 선로 케이블(100)과 추적 케이블(200)을 결합시키는 고정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400)는 그 형상과 고정방법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선로 케이블(100)과 추적 케이블(200)을 서로 결합시켜 선로 케이블(100)의 위치만 식별가능하다면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다. 예컨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클립으로 추적 케이블(200)을 선로 케이블(100)에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적 케이블(200)은 외면 전체에서 광을 발산가능하다. 즉, 광케이블로 이루어진 추적 케이블(200)은 코어(미도시)를 포함하되, 추적 케이블(200)의 외면 전체에서 광을 발산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코어가 포함된 광케이블을 사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적 케이블(200)은 외면에서 부분적으로 광을 발산가능하다. 즉, 추적 케이블(200)의 코어는 추적 케이블(200)의 외면 일부에서만 광을 발산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추적 케이블(200)의 외면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광을 발산시키도록 형성된 코어를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추적 케이블(200)의 외면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광을 발산시키지 않도록 형성된 코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적 케이블(200)은 1미터씩 이격되어 광을 발산하는 띠가 외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광조사기(300)에 삽입되는 추적 케이블(200)의 일단으로부터 1미터가 되는 지점에 상기 광을 발산하는 띠가 1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조사기(300)에 삽입되는 추적 케이블(200)의 일단으로부터 2미터가 되는 지점에 상기 광을 발산하는 띠가 2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추적 케이블(200)은 1미터씩 이격되어 광을 발산하지 않는 띠가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을 발산하지 않는 띠를 제외한 추적 케이블(200)의 외면은 광을 발산하며, 상기 광조사기(300)에 삽입되는 추적 케이블(200)의 일단으로부터 1미터가 되는 지점에 상기 광을 발산하지 않는 띠가 1개 형성되고, 상기 광조사기(300)에 삽입되는 추적 케이블(200)의 일단으로부터 2미터가 되는 지점에 상기 광을 발산하지 않는 띠가 2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추적 케이블(200)의 외면에서 발산되는 광도(光度)의 차이에 의해 길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추적 케이블(200)은 외면에 길이 표시 수단(210)이 마련될 수 있다. 길이 표시 수단(210)은 추적 케이블(200)의 외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마다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길이 표시 수단(210)은 추적 케이블(200)의 외면을 스크래치하여 홈(미부호)을 형성하고, 상기 홈을 통해 측광이 방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광조사기(300)에 삽입된 추적 케이블(200)의 일단으로부터 1미터가 되는 지점에 하나의 홈이 스크래치되어 형성될 수 있고, 2미터가 되는 지점에 두 개의 홈이 스크래치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간격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가능하다. 상기 홈은 추적 케이블(200)의 외주면을 따라 선형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길이 표시 수단(210)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추적 케이블(200)에 길이를 표시만 할 수 있다면 사용자 또는 제작자에 의해 상기 추적 케이블(200)의 외면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추적 케이블(200)은 외면에서 발산되는 광의 밝기와 스크래치된 상기 홈에서 발산되는 광의 밝기가 서로 다를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추적 케이블(200) 또는 선로 케이블(100)의 길이를 짐작가능하다. 덧붙여서, 스크래치된 상기 홈 또는 추적 케이블(200)의 외면 중 어느 하나에 형광 도료를 입히고 측광을 투과시킨다면, 사용자는 추적 케이블(200) 또는 선로 케이블(100)의 길이를 더욱 명확하게 판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선로 케이블(100)에는 길이방향으로 추적 케이블(200)이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상태이다.
먼저, 사용자는 선로 케이블(100)의 교체나 수리가 필요한 경우, 찾고자 하는 선로 케이블(100)의 일측에 배치된 추적 케이블(200)의 일단을 파지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준비된 광 조사기(300)의 제1삽입홀(332)에 추적 케이블(200)의 일단을 삽입한다. 이때, 추적 케이블(200)의 일단은 제1삽입홀(332)에 제대로 삽입되지 않더라도, 테이퍼부(332a)에 의해 제1삽입홀(332)으로 삽입이 유도된다.
또한 제2삽입홀(333)에 가압부재(340)를 삽입하고 가압부재(340)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압부재(340)는 추적 케이블(200)의 외면 일부를 가압하며, 그로 인해 추적 케이블(200)은 광 조사기(300)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이후, 사용자가 광 조사기(300)의 외면에 배치된 스위치(350)를 온(On)시켜 광원(310)으로부터 추적 케이블(200)의 일단으로 광을 조사한다. 별도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위치(350)는 사용자에 의해 1번 눌려 광원(310)이 빛을 계속하여 조사하도록 할 수 있고, 스위치(350)가 사용자에 의해 다시 눌려졌을 때 광원(310)이 빛을 조사하는 것을 멈추도록 오프(Off)시킬 수 있다. 또한 스위치(350)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시간동안만 온(On)되도록 설정 및 제작이 가능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광이 조사된 추적 케이블(200)은 광을 발산하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추적 케이블(200)을 통해 찾고자 하는 선로 케이블(100)을 찾아 유지보수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아울러, 추적 케이블(200)에는 길이 표시 수단(210)이 마련되므로, 사용자는 추적 케이블(200)은 물론 선로 케이블(100)의 길이를 미리 짐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선로 케이블 200 : 추적 케이블
210 : 길이 표시 수단 300 : 광 조사기
310 : 광원 320 : 하우징
330 : 결합부재 331 : 몸체
332 : 제1삽입홀 332a : 테이퍼부
333 : 제2삽입홀 340 : 가압부재
350 : 스위치 400 : 고정부재

Claims (10)

  1. 선로 케이블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선로 케이블에 배치되는 추적 케이블;
    상기 추적 케이블을 상기 선로 케이블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추적 케이블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광 조사기를 포함하고,
    상기 광 조사기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나사결합하고, 상기 추적 케이블을 지지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추적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광원을 향하여 관통되고, 상기 추적 케이블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
    상기 제1삽입홀 주위의 상기 몸체의 일측에 상기 광원을 향하여 테이퍼짐으로써 상기 추적 케이블의 일단이 상기 제1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테이퍼부;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삽입홀의 폭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제1삽입홀과 연통되는 제2삽입홀;
    을 포함하고,
    상기 추적 케이블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해 외부로 광을 발산 또는 차단가능하며, 어느 한 지점에서 발산되는 광도는 그 주변에서 발산되는 광도와 차이가 있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광도 차이 간격에 대응하여 외주면에 미리 정해진 간격마다 스크래치된 길이 표시 수단;
    을 갖는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27466A 2016-03-08 2016-03-08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 KR101895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466A KR101895260B1 (ko) 2016-03-08 2016-03-08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466A KR101895260B1 (ko) 2016-03-08 2016-03-08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734A KR20170104734A (ko) 2017-09-18
KR101895260B1 true KR101895260B1 (ko) 2018-09-05

Family

ID=6003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466A KR101895260B1 (ko) 2016-03-08 2016-03-08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2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8534A (ja) * 2000-05-29 2001-12-07 Yazaki Corp レングスマーク付電線・ケーブル
JP4308949B2 (ja) * 1998-10-15 2009-08-05 株式会社東京エネシス 電動式敷設又は運搬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317A (ko) 2002-06-28 2005-03-09 에이비비 엔트렐렉 전기 전도 재료 케이블 설치 장치
KR200454295Y1 (ko) * 2009-08-03 2011-06-27 김근효 나사 체결방식 리드선 플러그
KR20150118936A (ko) * 2015-09-30 2015-10-23 손제왕 케이블 선로 추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8949B2 (ja) * 1998-10-15 2009-08-05 株式会社東京エネシス 電動式敷設又は運搬装置
JP2001338534A (ja) * 2000-05-29 2001-12-07 Yazaki Corp レングスマーク付電線・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734A (ko) 201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6097B2 (ja) ケーブル又は導管の視覚的確認用装置
US9946037B2 (en) RFID-enabled optical adapter for use with a patch panel
US20180172925A1 (en) Traceable end point cable assembly having a tracing waveguide
EP3258301B1 (en) Optical module with status indicator
CN101356463B (zh) 用于检验合格接头端接的接头连接器
US20100148747A1 (en) Traceable fiber optic jumpers
JP2010510765A (ja) ケーブルまたは配管路の全長を視覚的に識別する装置
ATE446599T1 (de) Vorrichtung zur bereitstellung optischer strahlung
US20160313483A1 (en) Cable Identifier
CN102301545B (zh) 照明板安装连接器插座
ATE413618T1 (de) Schutzeinrichtung für lichtleitfasern
US7980739B2 (en) In-vehicle illuminating device
DE102008034261A1 (de) Steckverbinder, Steckbuchse und Stecksystem für Telekommunikations- oder Datenkabel
KR101895260B1 (ko) 케이블 선로 추적 장치
JP2006162654A (ja) 光学デバイス及び照明装置
US9946038B1 (en) Cable tracing type jumper cable
US20150316711A1 (en) Small footprint light pipe pcb mounting adaptor
JP5749977B2 (ja) ケーブル識別具、ケーブル識別方法
KR101621478B1 (ko) 케이블 선로 추적 시스템
WO2017221890A1 (ja) 光ファイバの配索方法、光ファイバの配索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の伝送特性測定システム
JP6224408B2 (ja) 給電装置
KR102078796B1 (ko) 케이블 식별장치
JP6462320B2 (ja) フレキシブルセンサおよび測定装置
JP5795097B2 (ja) 電子機器
JP6404699B2 (ja) コネクタ付きワイヤハーネス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