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5490A -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5490A
KR20100015490A KR1020097021209A KR20097021209A KR20100015490A KR 20100015490 A KR20100015490 A KR 20100015490A KR 1020097021209 A KR1020097021209 A KR 1020097021209A KR 20097021209 A KR20097021209 A KR 20097021209A KR 20100015490 A KR20100015490 A KR 20100015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output device
audiovisual output
voice coil
integrated audiovis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저 에이 프래티
Original Assignee
에이저 시스템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저 시스템즈 인크 filed Critical 에이저 시스템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00015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1Acoustic transducers using travelling bending waves to generate or detect s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5Aspects relating to the positioning and way or means of mounting of exciters to resonant bending wave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6Loudspeakers using the principle of inert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패널과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과,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 부근의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오디오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진동한다. 다른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패널과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과, 적어도 하나의 자석 부근의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을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오디오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진동한다. 다른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진동시키는 오디오 변환기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상기 오디오 변환기에 의한 표현을 위해 적어도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상의 드라이버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INTEGRATED AUDIOVISUAL OUTPUT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출력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시청각 성능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는 점차 더 작아지고 상용화되어져 왔다. 따라서, 시청각 구성요소의 소형화 또한 점차 중요해졌다. 그러나, 종래의 설계는 비디오(예로서, 전형적으로 유리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패널과 이들 사이의 액정 층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오디오(예로서, 보이스 코일에 부착된 스피커 콘)를 나타내기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를 필요로 해왔다.
최근의 발전된 기술은 이러한 오디오 및 비디오 구성요소를 집적화하도록 시도해왔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427,017호는 LCD 디스플레이 상의 투명 압전기 스피커 패널을 구성하는 것을 개시한다. 이러한 장치는 전면 패널의 두께가 증가되어 디바이스의 크기가 증가하고 디스플레이의 밝기 및 투명도의 감소가 발생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압전기 소자는 다른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예로서, 전자기 스피커)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주파수 응답을 갖는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번호 제2006/0227981호는 압전기 여기 소스를 LCD 기판의 한 단부에 부착하여, 기판이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리 신호와 관련하여 진동 플레이트로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개시한다. 이전의 종래 기술들보다는 발전된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압전기 여기 소스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리 신호의 사용을 모두 필요로 하며, 따라서 (외부 여기 소스 및 소리 신호의 외부 생성으로 인한) 디바이스 크기의 증가와 (전자기 기술이 아닌 압전기의 사용으로 인한) 주파수 응답의 감소 모두를 발생시킨다. 또한, 다수의 증폭기 회로는 주로 용량성 부하인 압전기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나타나는 하나 이상의 문제점들이 해결된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인접하는 보이스 코일 및/또는 자석을 구비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패널과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과,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 부근의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오디오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진동한다. 디바이스는 또한 최소한 적어도 하나의 패널과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을 수납(house)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내에 수납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내장될(embedded)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예를 들어 프레임 내에 수납될 수 있거나, 프레임에 내장될 수 있거나, 또는 프레임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패널과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과, 적어도 하나의 자석 부근의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을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오디오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진동한다. 디바이스는 또한 최소한 적어도 하나의 패널과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내에 수납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내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은 예를 들어 프레임 내에 수납될 수 있거나, 프레임에 내장될 수 있거나, 또는 프레임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진동시키는 오디오 변환기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상기 오디오 변환기에 의한 표현을 위해 적어도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상의 드라이버 회로를 포함한다. 드라이버 회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그 자신이 진동될 수 있으며 또는 디스플레이가 최소한 드라이버 회로를 포함하는 제 1 패널 및 진동되는 제 2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변환기는, 예를 들어 압전기 소자 및/또는 보이스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성 및 장점들과 다른 특성 및 장점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접하는 보이스 코일 및 디바이스의 프레임 외부의 자석을 구비하는 예시적인 집적 시청각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접하는 보이스 코일 및 디바이스의 프레임에 내장된 자석을 구비하는 예시적인 집적 시청각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접하는 보이스 코일 및 디바이스의 프레임 내에 수납된 자석을 구비하는 예시적인 집적 시청각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접하는 자석 및 디바이스의 프레임 외부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예시적인 집적 시청각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접하는 자석 및 디바 이스의 프레임에 내장된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예시적인 집적 시청각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접하는 자석 및 디바이스의 프레임 내에 수납된 보이스 코일을 구비하는 예시적인 집적 시청각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드라이버 회로를 구비하고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진동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포함된 예시적인 집적 시청각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드라이버 회로를 구비하는 제 1 디스플레이 패널 및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진동하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이 포함된 예시적인 집적 시청각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본 명세서는 단일 액정 디스플레이, 단일 나선형 유도 보이스 코일, 단일 영구 자석 및 단일 프레임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디바이스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기술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소정의 디바이스 구성요소를 기술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본 명세서의 이러한 임의의 특정 디바이스 구성요소 또는 장치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은 집적 시청각 출력에 대한 기술에 보다 일반적으로 응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스마 스크린, 터치-민감성 스크린, 전자 페이퍼 디 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박막 트랜지스터(TFT)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임의의 개수 및 유형의 디스플레이와 사용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유리, 플라스틱, 비결정질 실리콘, 폴리실리콘, 연속-그레인(continuous-grain) 실리콘 등 또는 임의의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개수 및 유형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러한 디바이스는 임의의 개수 및 유형의 보이스 코일(나선형 유도 코일을 포함하나,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음) 및 자석(영구 자석 및 전자석을 포함하나,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음)과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임의의 개수의 프레임을 가지고, 또는 프레임 없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은 표준 시청각 프레젠테이션 장치와 비교하여 감소된 크기와 향상된 주파수 응답을 갖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종래의 접근법과는 달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와 보이스 코일 및/또는 드라이버 회로의 집적화를 허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예시적인 집적 시청각 디바이스(100)의 적어도 일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시청각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110)는 두 개의 패널(111, 113)과 그 사이의 액정 층(112)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과 같이 실질적으로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30)에 부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단단한 프레임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130)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110)에 대해 고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진동을 생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110)가 고정된 프레임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와 프레임(130)의 내부(예로서, 프레임의 바닥과 측벽)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 공간(120)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은 디스플레이(110)를 조명하는 데에 사용되는 백라이팅 회로(160) 및/또는 시청각 디바이스(100) 상의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출력을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드라이버 회로(17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점유될 수 있다. 공간(120)은 오디오 출력을 위해 공명하는 공동(cavity)으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시청각 디바이스(100)는 또한 디스플레이(110)의 패널(113)과 인접하는 보이스 코일(140) 및 프레임(130) 외부의 자석(150)을 포함하는 오디오 변환기를 더 포함한다. 보이스 코일(140) 및 자석(150)이 서로 함께 사용될 때, 오디오 출력을 나타내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보이스 코일(140)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패널(113) 내의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보이스 코일(140)은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예로서 잠금 장치(예로서, 나사 등), 접착제 등과 같은 임의의 알려진 부착 수단을 이용하여 패널(113)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보이스 코일(140)은 예를 들어 패널(113) 상에 인쇄될 수도 있다(예로서,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잉크 등을 이용). 보이스 코일(140)은 예를 들어 나선형 인덕터, 와이어 세그먼트, 또는 전류가 보이스 코일을 통과할 때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보이스 코일(140)은 예로서 디스플레이(110)의 패널(113) 상에(예로서, 시스템-온-글라스), 공간(120) 내에, 또는 외부 프레임(130)에 위치될 수 있는 드라이버 회로(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로서 영구 자석 및/또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는 자석(150) 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3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지만, 여전히 보이스 코일(140)에 대한 자기적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할 정도로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오디오 변환기와 관련된 드라이버 회로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가 자석(150)의 자기장 내에 있는 보이스 코일(140)을 통과하였을 때, 보이스 코일은 자석에 대해 움직이고자 시도할 것이며(예로서, 보이스 코일을 통과하는 전류의 방향에 의존하여 자석을 향하거나 또는 자기로부터 멀어지도록), 따라서 적어도 인접하는 패널(113) 내에 진동을 유도할 것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집적 시청각 디바이스(100)의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2는 시청각 디바이스(100)에서와 같이(도 1 참조) 디스플레이(110)의 패널(113)에 인접하는 보이스 코일(140) 및 프레임(130)의 바닥 내에 내장된 자석(250)을 포함하는 오디오 변환기를 포함하는 시청각 디바이스(200)를 도시한다. 자석(250)이 도시된 특정 위치의 프레임(130)에 내장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오히려, 자석(250)은 기본적으로 보이스 코일(140)을 자석에 대해 움직이게 하여 그에 따라 적어도 패널(113) 내의 진동을 유도하도록 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보이스 코일(140)에 근접한 프레임(130) 내의 임의의 장소에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250)은 프레임(230)의 하나 이상의 측벽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프레임(130) 자체가 자기적 재료를 포함하여 자석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3은 시청각 디바이스(100)에서와 같이(도 1 참조) 디스플레이(110)의 패널(113)에 인접하는 보이스 코일(140) 및 프레임(130) 내부에 수납되 어 위치된 자석(350)을 포함하는 오디오 변환기를 포함하는 시청각 디바이스(300)를 도시한다. 자석(350)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처럼, 예를 들어 고정 장치(예로서, 나사 등), 접착제 등과 같은 임의의 알려진 부착 수단을 이용하여 프레임(130)에 부착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130) 내부의 자석(350)의 위치는 도시된 특정 위치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본적으로 보이스 코일이 자석에 대해 움직이게 하여 그에 따라 적어도 패널(113) 내의 진동을 유도하도록 보이스 코일(140)에 충분히 근접한 프레임(130) 내의 임의의 장소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350)은 프레임(130)의 하나 이상의 측벽의 내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자석(350)은 예를 들어 프레임(130) 상에 인쇄될 수도 있다(예로서, 자기적 잉크 등을 이용).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예시적인 집적 시청각 디바이스(400)의 적어도 일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시청각 디바이스(400)는 디스플레이(41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410)는 두 개의 패널(411, 413)과 그 사이의 액정 층(412)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410)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과 같이 실질적으로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레임(430)에 부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단단한 프레임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430)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410)에 대해 고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진동을 생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410)가 고정된 프레임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410)와 프레임(430)의 내부(예로서, 프레임의 바닥과 측벽)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 공간(420)이 존재할 수 있다. 이 러한 공간은 디스플레이(410)를 조명하는 데에 사용되는 백라이팅 회로(460) 및/또는 시청각 디바이스(400) 상의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출력을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드라이버 회로(47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점유될 수 있다. 공간(420)은 오디오 출력을 위해 공명하는 공동(cavity)으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시청각 디바이스(400)는 디스플레이(410)의 패널(413)과 인접하는 자석(440) 및 프레임(430) 외부의 보이스 코일(450)을 포함하는 오디오 변환기를 더 포함한다. 자석(440) 및 보이스 코일(450)은 서로 함께 사용될 때, 오디오 출력을 나타내도록 사용될 수 있다. 자석(440)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패널(413) 내의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자석(440)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처럼, 예로서 잠금 장치(예로서, 나사 등), 접착제 등과 같은 임의의 알려진 부착 수단을 이용하여 패널(413)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자석(440)은 예를 들어 패널(413) 상에 인쇄될 수도 있다(예로서,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잉크 등을 이용). 예를 들어 영구 자석 및/또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는 자석(440)은, 자석이 보이스 코일을 통과하여 흐르는 전류에 의해 보이스 코일(450)에 대해 움직이도록 보이스 코일(440)에 대해 충분히 근접하게 위치되어야 한다. 보이스 코일(450)은 예를 들어 나선형 인덕터, 와이어 세그먼트, 또는 전류가 보이스 코일을 통과할 때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보이스 코일(450)은 예로서 디스플레이(410)의 패널(413) 상에(예로서, 시스템-온-글라스), 공간(420) 내에, 또는 프레임(430) 외부에 위치될 수 있는 드라이버 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류가 자석(440)의 자기장 내에 있는 보이스 코일(450)을 통과할 때(예로서, 드라이버 회로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해당), 보이스 코일은 자석에 대해 움직이고자 할 것이다. 그러나, 예시적인 시청각 디바이스(400)에서, 보이스 코일(450)이 프레임(430)에 고정되고 그에 따라 기본적으로 임의의 큰 움직임을 나타내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자석(440)은 인접하는 패널(413)을 자석에 대해 움직이도록 하고(바람직하게는 패널(413)이 프레임(430)을 따라 움직이는 것이 자유로움) 그에 따라 적어도 패널에서의 진동을 유도할 것이다. 보이스 코일(450)에 대한 움직임의 방향(예로서, 보이스 코일을 향하거나 보이스 코일로부터 멀어짐)은 보이스 코일을 통과하는 전류의 방향에 의존할 것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집적 시청각 디바이스(400)의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5는 시청각 디바이스(400)에서와 같이(도 4 참조) 디스플레이(410)의 패널(413)에 인접하는 자석(440) 및 프레임(430)의 바닥 내에 내장된 보이스 코일(550)을 포함하는 오디오 변환기를 포함하는 시청각 디바이스(500)를 도시한다. 보이스 코일(550)이 도시된 특정 위치의 프레임(430)에 내장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오히려, 보이스 코일(550)은 기본적으로 보이스 코일을 통과하는 전류가 자석의 움직임을 발생시켜 적어도 인접한 패널(413) 내의 진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자석(440)에 근접한 프레임(430) 내의 임의의 장소에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550)은 프레임(430)의 하나 이상의 측벽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6은 시청각 디바이스(400)에서와 같이(도 4 참조) 디스플레이(410)의 패널(413)에 인접하는 자석(440) 및 프레임(430) 내부에 수납되어 위치된 보이스 코일(650)을 포함하는 오디오 변환기를 포함하는 시청각 디바이스(600)를 도시한다. 보이스 코일(650)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처럼, 예를 들어 고정 장치(예로서, 나사 등), 접착제 등과 같은 임의의 알려진 부착 수단을 이용하여 프레임(430)에 부착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430) 내부의 자석(650)의 위치는 도시된 특정 위치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본적으로 보이스 코일을 통과하는 전류가 자석의 움직임을 발생시켜 적어도 패널(413) 내의 진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430) 내의 임의의 장소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650)은 프레임(430)의 하나 이상의 측벽의 내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보이스 코일(650)은 예를 들어 프레임(430) 상에 인쇄될 수도 있다(예로서,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잉크 등을 이용).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예시적인 집적 시청각 디바이스(700)의 적어도 일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시청각 디바이스(700)는 디스플레이(71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710)는 두 개의 패널(711, 713)과 그 사이의 액정 층(712)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710)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과 같이 실질적으로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레임(730)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710)와 프레임(730)의 바닥 및 측벽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 공간(720)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710)를 조명하는 데에 사용되는 백라이팅 회로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점 유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710)의 적어도 하나의 패널(713)은 동일한 패널 상에 위치된(예로서, 시스템-온-글라스 방법을 이용) 드라이버 회로(74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되는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진동될 수 있다(예로서, 압전기 소자, 보이스 코일, 자석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오디오 변환기(750)에 의해서). 드라이버 회로(740) 및 오디오 변환기(750)가 반드시 디스플레이(710)의 동일한 패널(예로서, 패널(713)) 상에 위치될 필요가 없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예시적인 집적 시청각 디바이스(800)의 적어도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디바이스(700)와 같이, 시청각 디바이스(800)는 디스플레이(81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810)는 제 1 패널(811), 제 2 패널(813)과 그 사이의 액정 층(812)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810)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과 같은 실질적으로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레임(830)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810)와 프레임(830)의 바닥 및 측벽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 공간(820)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공간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810)를 조명하도록 사용되는 백라이팅 회로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점유될 수 있다. 적어도 제 1 패널(813)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제 2 채널(811) 상에 위치된(예로서, 시스템-온-글라스 방법을 이용) 드라이버 회로(84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되는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진동될 수 있다(예로서, 압전기 소자, 보이스 코일, 자석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오디오 변환기(850)에 의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명세서에서 기 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정확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다른 변화 및 변경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8)

  1.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과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 부근의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오디오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진동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제 1 패널, 제 2 패널 및 상기 제 1 패널과 상기 제 2 패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은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인덕터를 포함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영구 자석과 전자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청각적 데이터 및/또는 시각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드라이버 회로를 포함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최소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을 수납(house)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내장되 는(embedded)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내에 수납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내에 수납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내장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외부에 존재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12.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과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 부근의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오디오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진동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제 1 패널, 제 2 패널 및 상기 제 1 패널과 상기 제 2 패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은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인덕터를 포함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영구 자석과 전자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청각적 데이터 및/또는 시각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드라이버 회로를 포함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17. 제 12 항에 있어서,
    최소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내에 수납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내장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내에 수납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내장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외부에 존재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23.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진동시키는 오디오 변환기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상기 오디오 변환기에 의한 표현(presentation)을 위해 적어도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상의 드라이버 회로를 포함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제 1 기판,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회로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진동되도록 구성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드라이버 회로를 포함하는 제 1 패널과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도록 진동하는 제 2 패널을 포함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코일을 포함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변환기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기 소자를 포함하는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KR1020097021209A 2007-05-03 2007-05-03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KR201000154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7/068096 WO2008136822A2 (en) 2007-05-03 2007-05-03 Integrated audiovisual outpu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490A true KR20100015490A (ko) 2010-02-12

Family

ID=3994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209A KR20100015490A (ko) 2007-05-03 2007-05-03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119101A1 (ko)
EP (1) EP2095680A2 (ko)
JP (1) JP2010526478A (ko)
KR (1) KR20100015490A (ko)
WO (1) WO200813682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9406B2 (en) 2018-11-30 2021-08-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243738B2 (en) 2019-01-22 2022-02-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76196A1 (en) * 2010-01-15 2011-07-2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essure detection
CN104303520B (zh) * 2012-03-16 2018-09-14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音频换能器的装置
GB2513089B (en) 2013-01-07 2019-12-11 Nokia Technologies Oy A speaker apparatus for a mobile device
KR102356795B1 (ko) * 2017-10-31 2022-0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039235B2 (en) 2019-03-15 2021-06-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1862840B (zh) * 2020-07-31 2022-06-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屏幕组件及电子设备
CN117784469A (zh) * 2022-03-21 2024-03-2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3132A (ja) * 1986-03-03 1987-09-07 Seiko Epson Corp 強誘電性液晶表示装置
UA51671C2 (uk) * 1995-09-02 2002-12-16 Нью Транзд'Юсез Лімітед Акустичний пристрій
JP4614534B2 (ja) * 1998-07-03 2011-01-19 ニュー トランスデューサーズ リミテッド 共振パネル形状ラウドスピーカ
GB9818719D0 (en) * 1998-08-28 1998-10-21 New Transducers Ltd Vubration exciter
JP3597061B2 (ja) * 1998-11-13 2004-12-02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スピーカ
FI116874B (fi) * 1999-12-02 2006-03-15 Nokia Corp Äänenmuuntimet
JP2001191028A (ja) * 2000-01-13 2001-07-17 Tokin Corp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2003009283A (ja) * 2001-06-18 2003-01-10 Sony Corp 平面スピーカおよび平面スピーカを有する電子機器
DE60226098T2 (de) * 2001-06-28 2009-06-18 Panasonic Corp., Kadoma Lautsprechersystem, Mobilendgerät und elektronische Vorrichtung
JP2003211087A (ja) * 2002-01-22 2003-07-29 Nec Tokin Corp 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EP1385354A1 (en) * 2002-07-25 2004-01-28 Kam, Tai-Yan Transparent panel-form loudspeaker
DE10238325A1 (de) * 2002-08-16 2004-03-1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Lautsprecher
US7010143B2 (en) * 2002-08-22 2006-03-07 Tai-Yan Kam Rectangular panel-form loudspeaker and its radiating panel
EP2204688B1 (en) * 2002-09-03 2011-10-26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ound output function and the like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4180256A (ja) * 2002-10-01 2004-06-24 Alps Electric Co Ltd スピーカ
WO2004098231A1 (ja) * 2003-04-25 2004-11-11 Sanyo Electric Co., Ltd. 平面型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具えた電気機器
EP1507438B1 (en) * 2003-07-31 2018-03-28 Panasonic Corporation Sound reproduc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JP4075766B2 (ja) * 2003-10-27 2008-04-16 ヤマハ株式会社 アレイ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JP4073890B2 (ja) * 2004-04-22 2008-04-09 シャープ株式会社 薄膜回路基板、及びそれを備えた圧電式スピーカ装置及び表示装置並びに音源内蔵型表示装置
KR100698256B1 (ko) * 2004-07-16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이용한 스피커 장치
JP2006041771A (ja) * 2004-07-26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響再生装置
JP4072542B2 (ja) * 2005-03-14 2008-04-09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スピーカ一体型ディスプレイ
US20080232088A1 (en) * 2005-08-22 2008-09-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coustic Light-Emitting Device
JP2007110382A (ja) * 2005-10-13 2007-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一体型表示装置
JP2007300578A (ja) * 2006-05-08 2007-11-15 Goto Denshi Kk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199960B2 (en) * 2007-10-11 2012-06-12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Integrated speaker and displ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9406B2 (en) 2018-11-30 2021-08-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243738B2 (en) 2019-01-22 2022-02-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26478A (ja) 2010-07-29
WO2008136822A2 (en) 2008-11-13
EP2095680A2 (en) 2009-09-02
WO2008136822A3 (en) 2009-02-05
US20100119101A1 (en)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2018B2 (en) Display apparatus
KR20100015490A (ko) 집적 시청각 출력 디바이스
KR102520539B1 (ko) 표시장치
US20210235186A1 (en)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KR102535579B1 (ko) 표시장치
US10845632B2 (en) Display apparatus
US10469928B2 (en) Display apparatus
KR102082585B1 (ko) 사운드 재생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210076088A (ko) 모바일 단말기
US20100033412A1 (en) Integrated Audiovisual Output Device
KR20190081897A (ko)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