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608A -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608A
KR20100012608A KR1020080074097A KR20080074097A KR20100012608A KR 20100012608 A KR20100012608 A KR 20100012608A KR 1020080074097 A KR1020080074097 A KR 1020080074097A KR 20080074097 A KR20080074097 A KR 20080074097A KR 20100012608 A KR20100012608 A KR 20100012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ant
panel
applicator
display panel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창수
장승일
정병영
Original Assignee
현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창수 filed Critical 현창수
Priority to KR1020080074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608A/ko
Publication of KR20100012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패널을 식각하기 전에 내부로 식각액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런트를 도포하는 장치로서 실런트 도포와 경화를 동시에 수행하여 패널 제조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및 그 방법은 실런트의 도포와 경화를 동시에 진행함과 아울러, 패널의 요철을 실시간으로 포착하여 실런트의 도포위치를 조절하면서 도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실런트가 도포되지 않는 구간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실런트 도포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실런트의 도포와 동시에 경화를 진행하는 공정과 동시에 다른 측면부위를 도포하는 과정과 이미 도포된 실런트의 경화를 다시 한번 이중으로 경화시키는 공정을 병행시킴으로써, 보다 빠른 도포속도를 확보하면서도 경화과정을 완벽하게 진행할 수 있는 공정의 완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실런트 도포 및 경화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패널, 실런트, 실런트 도포기, 실런트 경화기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및 방법{Device For Sealing Of Display Pane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패널을 식각하기 전에 내부로 식각액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런트를 도포하는 장치로서 실런트 도포와 경화를 동시에 수행하여 패널 제조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LCD(Liquid C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이 2개의 투명 기판을 합착하여 제조되는 모든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도포 및 경화공정의 동시진행에 더하여 불규칙한 패널의 요철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에 따른 도포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하여 도포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2개의 기판이 합착되어 제조되고, 박형화 및 슬림화의 요구로 인해 패널 역시 최소한 얇게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종래에는 2개의 기판이 합착되어 제조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식각액에 접촉 및 침지하고, 패널을 식각하여 패널의 두께를 감소시켜 전체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바로 식각액에 접촉 및 침지할 경우 패널 사이를 통해 식각액이 내부로 유입되어 오작동 등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방된 일부분이나 일부 면 또는 4개의 전체가 개방된 측면을 실런트로 도포 및 경화하여 실링 처리를 수행한 후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식각액에 접촉 및 침지하여 패널을 식각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런트 도포 및 경화 방법은 카세트에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삽입한 후 상부에 위치한 패널 측면에 실런트를 도포하여 도포가 완료된 후에 UV 램프로 경화시켜 하나의 측면에 대한 실런트 도포 및 경화를 완료한 후에, 상기 카세트를 회전시키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을 회전시켜 카세트에 장착하고 다른 측면에 대해 상기와 같은 동일한 공정에 의해 실런트 도포 및 경화를 완료하는 방법으로 4개의 측면에 대해 실런트 도포 및 경화를 완료하였다.
따라서, 실런토 도포 -> 경화 과정을 4차례 수행하는 8단계의 공정에 의해 패널 측면에 실런트가 도포 및 경화되므로 공정이 매우 번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 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카세트 내부에 다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삽입한 후 도포기로 실런트를 도포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이 각 디스플레이 패널마다 견고히 고정되기 어려우므로 패널이 약간이라도 굴곡된 경우 실런트가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아서 식각효과 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실런트 도포기(1)가 패널 상의 굴곡(4)을 지나면서 실런트를 패널의 측면에 도포하는 경우, 굴곡부에는 실런트가 매끄럽게 도포되지 않거나, 도포되더라도 패널의 굴곡면까지 직접 도포되지 않아 실런트가 이격되거나 떨어지게 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런트의 도포와 경화를 동시에 진행함과 아울러, 패널의 요철을 실시간으로 포착하여 실런트의 도포위치를 조절하면서 도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실런트가 도포되지 않는 구간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실런트 도포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런트의 도포와 동시에 경화를 진행하는 공정과 동시에 다른 측면부위를 도포하는 과정과 이미 도포된 실런트의 경화를 다시 한번 이중으로 경화시키는 공정을 병행시킴으로써, 빠른 도포 속도를 확보하면서도 경화과정을 완벽하게 진행할 수 있는 공정의 완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구성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은 상/하,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실런트 도포기; 상기 실런트 도포기 전단에 나란하게 배치된 실런트 경화기;상기 실런트 도포기와 인접하여 형성되어, 패널의 상부면과 실런트 도포기 노즐의 위치를 보정하는 위치보정유닛;상기 실런트 도포기 및 실런트 경화기 하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직으로 고정하고 수직으로 회전이 가능한 패널 고정장치;상기 실런트 도포기, 실런트 경화기 및 패널 고정패널을 회전 또는 이동하는 구동유닛;상기 실런트 도포기, 실런트 경화기, 구동패널 및 패널 고정패널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실런트의 도포와 경화를 동시에 진행함과 아울러, 패널의 요철을 실시간으로 포착하여 실런트의 도포위치를 조절하면서 도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실런트가 도포되지 않는 구간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실런트 도포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위치보정유닛을 구비시킴에 있어, 위치보정유닛을 실런트도포기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실런트 도포기의 말단과 패널상의 실런트 도포지점간의 위치를 감지하여 실런트의 도포위치를 실시간으로 보정하는 변위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패널의 요철을 실시간으로 포착하여 실런트의 도포위치를 조절하면서 도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위치 보정유닛은, 상기 실런트 도포기의 일측면에 부착되되, 실런트가 출사되는 말단 노즐과 패널상의 실런트 도포지점간의 위치에 따라, 전체 도포기의 위치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롤러요철보정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위치보정유닛의 구성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패널의 요철을 실시간으로 포착하여 실런트의 도포위치를 조절하면서 도포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위치보정유닛을 구성하는 롤러요철보정기구는 상기 패널의 상면에 접촉하는 모션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실런트 도포기를 패널의 상면의 요철에 따 라 실시간으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런트 경화기는 실런트 도포기와 일체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런트 경화기는 UV스팟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런트 경화기에는 실런트의 도포상태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비젼유닛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는, 상기 패널고정패널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실런트 경화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런트의 도포와 동시에 경화를 진행하는 공정과 동시에 다른 측면부위를 도포하는 과정과 이미 도포된 실런트의 경화를 다시 한번 이중으로 경화시키는 공정을 병행시킴으로써, 보다 빠른 도포속도를 확보하면서도 경화과정을 완벽하게 진행할 수 있는 공정의 완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기 제2실런트 경화기는 UV램프로 구성되며, 상기 UV램프의 광원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셔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런트 도포기는 디스펜서로 구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패널고정장치는 수직으로 장착되는 패널의 배면에서 진공흡착시키는 진공흡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실런트 도포기 및 실런트 경화기를 상/하, 좌/우 이동시키는 제 1 구동유닛과;상기 패널 고정장치를 회전시키는 제 2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패널고정장치는, 패널을 흡착하여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패널을 좌우로 비스듬히 기울일 수 있도록 경사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패널실링장치를 이용하여, 1) 패널을 수직하게 패널 고정장치에 고정하는 단계; 2) 상기 패널의 제1측면 상을 실런트 도포기가 이동하며, 패널의 제1측면의 요철 또는 굴곡의 변화를 위치보정유닛을 통해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도포위치를 보정하며 실런트를 도포하는 단계;3) 상기 실런트 도포기와 일체로 이동하며 실런트 경화기에서 실런트를 경화하는 단계;4) 상기 패널을 고정하는 패널고정장치를 90도 회전하는 단계;5) 상기 패널의 모든 측면에 실런트 도포 및 경화 완료시까지 상기 1) 내지 4)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4)단계 이후에, 회전된 제1측면의 실런트 도포구간을 제2 실런트 경화기를 통하여 재차 경화하는 41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단계는 제1측면의 요철 또는 굴곡의 변화에 따른 실런트 도포기의 위치보정유닛은 변위센서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 단계는 제1측면의 요철 또는 굴곡의 변화에 따른 실런트 도포기의 위치보정유닛은 패널의 측면의 상면을 따라 움직이는 모션롤러가 구비된 요철보정기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41 단계의 수행시에 상기 패널의 제2측면의 실런트를 도포하는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41단계는 실런트 경화기에 형성된 셔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UV를 투사하여 실런트를 경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단계는 상기 패널 고정장치의 진공흡착패널에 의해 패널을 진공흡착고정시켜 굴곡을 가진 측면을 직선이 되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단계는 상기 패널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패널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고정하거나, 상기 패널 고정장치에 의해 상기 패널을 일정 경사를 가지도록 기울여서 고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및 그 방법은 실런트의 도포와 경화를 동시에 진행함과 아울러, 패널의 요철을 실시간으로 포착하여 실런트의 도포위치를 조절하면서 도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실런트가 도포되지 않는 구간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실런트 도포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실런트의 도포와 동시에 경화를 진행하는 공정과 동시에 다른 측면부위를 도포하는 과정과 이미 도포된 실런트의 경화를 다시 한번 이중으로 경화시키는 공정을 병행시킴으로써, 보다 빠른 도포속도를 확보하면서도 경화과정을 완벽하게 진행할 수 있는 공정의 완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실런트 도포 및 경화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패널 고정패널의 진공흡착에 의해 패널을 고정하기 때문에 상기 굴곡된 디스플레이 패널 측면에 의해 실런트가 불규칙하게 도포되어 실런트 도포가 필요한 측면 이외의 패널 내측으로 도포되거나 식각액이 패널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장치는 상/하,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실런트 도포기(110)와 상기 실런트 도포기 전단에 나란하게 배치된 실런트 경화기(120)와 상기 실런트 도포기와 인접하여 형성되어, 패널(20)의 상부면과 실런트 도포기 노즐의 위치를 보정하는 위치보정유닛(160), 그리고 상기 실런트 도포기 및 실런트 경화기 하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직으로 고정하고 수직으로 회전이 가능한 패널 고정장치(130)과 상기 실런트 도포기, 실런트 경화기 및 패널 고정장치을 회전 또는 이동하는 구동유 닛 및 상기 실런트 도포기, 실런트 경화기, 구동유닛 및 패널 고정장치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런트 도포기(110)는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패널의 측면 상에 실런트를 도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정량 및 정밀한 실런트 도포를 위해 디스펜서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실런트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식각액에 접촉 또는 침지 시 측면을 통해 패널 내부로 식각액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실런트 경화기(120)는 상기 실런트 도포기에 의해 도포된 실런트를 경화시키는 장치로 UV를 조사하여 도포된 실런트가 경화하도록 하고, 실런트가 도포된 부분에만 UV를 조사하기 위해 UV 스팟(SPO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UV 스팟은 통상 UV발생원과 UV를 전달해주는 광섬유 등의 전송부, UV가 마지막으로 방사 되는 노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런트 경화기(120)는 실런트 도포기(110) 전단에 형성되어, 수평으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상기 실런트 경화기와 실런트 도포기는 상기 구동유닛(제 1 구동유닛)에 의해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런트 경화기와 실런트 도포기는 일체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유닛은 가이드 로봇(R)으로 형성할 수 있다.이로써 전체적인 실런트 도포기의 상하,좌우로의 구동을 보다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런트의 도포와 동시에 실런트의 경화가 가능하여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위치보정유닛(160)은 상기 실런트 도포기(110)과 일체로 형성되어 패널의 요철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실런트 도포기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위치보정유닛(160)은 실런트 도포기의 진행방향의 앞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런트 도포기(110)의 측면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보정유닛(160)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변위센서 또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하단에 롤러(162)가 형성된 롤러요철보정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변위센서를 위치보정유닛으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실런트 도포기가 실런트를 도포하며 직선운동을 하는 중, 패널 면에 요철이나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를 변위센서를 통해 감지하게 되고, 이 경우 즉각적으로 제어유닛에 전달되어 실런트 도포기의 위치를 요철이나 굴곡이 형성된 면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실런트 도포기의 전체적인 상, 하구동은 일체로 형성된 실런트도포기와 실런트경화기(이하, '도포유닛(P)'이라 한다.)가 전체로 움직이며, 이 도포유닛(P)의 상하이동은 위치보정완충유닛(161)의 완충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위치보정완충유닛은 도시된 바처럼 제어유닛에 의해 자동제어되어 상하로 구동될 수 있으며, 이는 전체 도포유닛을 상하, 좌우로 움직이는 가이드로봇(R)에 의해 구동된다.
도 3은 상기 위치보정유닛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변위센서로 요철이나 굴곡을 감지하여 도포유닛(P)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요철면이나 굴곡면으로의 실런트(S) 도포위치를 조절하는 경우와는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보정유닛(160)을 하단에 모션롤러(162)를 구비시킨 롤러요철보정유 닛을 사용한다((a)참조).
이로써 도포유닛이 전체적으로 요철면이나 굴곡면으로 함께 이동시키는 구조를 취한다. 즉 패널의 상부면을 따라서 모션롤러(162)가 상부면과 접촉하며 이동을 하게되고, 상기 모션롤러(162)와 일체로 연결된 도포유닛(P)은 모션롤러가 굴곡부를 지나는 경우에는 그 굴곡면까지 함께 이동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굴곡면에 실런트(S)를 도포하게 된다((b)참조). 이 경우에도 전체적인 도포유닛(P)을 움직이는 가이드 로봇은 유동적으로 상기 도포유닛(P)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패널을 고정하는 패널고정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패널 고정장치(13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일 측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수직으로 세워서 고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패널 고정장치(13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고정되는 면 상에 다수의 진공 흡착 유닛(1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 고정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측면에 실런트(S)를 원활하게 도포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즈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패널 고정장치(130)는 구동유닛(제 2 구동 유닛(142))과 연결되어 회전축(131)을 따라 수직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제어유닛을 통해 전체적인 구성을 제어 하는 흐름도를 설명한다.
상기 제어유닛(150)은 상기 제 1 구동유닛(141)의 제어를 통해 실런트 도포기(110), 실런트 경화기(120)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구동유닛(142)의 제어를 통해 상기 패널 고정장치(130)의 회전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유닛(150)은 상기 제 1, 2 구동유닛(141,142)를 제어하는 구동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은 모터, 유압, 공압 등을 이용하여 직선 또는 회전 운동이 가능한 수단이면 무엇이나 가능하다. 특히 제 1구동유닛은 상술한 도포유닛(P)전체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가이드 로봇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의 작동 방법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일측면(제 1측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수직하게 패널 고정장치(130)에 고정한다.(S110) 물론 이 경우에는 상술한 상기 패널 고정장치의 진공 흡착부(132)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진공흡착하여 패널 고정장치(130)에 고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휘어지거나 굴곡을 구비하였다 하더라도 진공 흡착력에 의해 측면이 수평하게 패널 고정장치(1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패널 고정장치(130)는 상기 패널을 진공흡착하여 패널 자체를 수평하게 고정시킨 후, 전체적인 패널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실런트 경화기에 의해 경화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패널고정장치 자체를 좌우로 일정간격 기울일 수 있도록 구성해, 패널을 수직방향으로 세운 상태에서 실런트 도포를 할 수 있음은 물론, 비스듬히 일정 경사를 가지도록 기울인 상태에서 실런트 도포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패널 고정장치 자체를 좌우로 경사를 가지도록 움직여 패널에 경사를 줄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패널 고정장치 자체를 좌우로 일정부분 기울일 수 있는 경사조절 유닛(미도시)을 구비시켜 기울일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제 1 측면 상을 실런트 도포기(110)가 이동하면서 실런트를 도포한다.(S120) 이 경우, 상기 실런트 도포기(11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제 1측면 상을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측면 상에만 실런트를 도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런트 도포기(110)의 이동과 동시에 상기 실런트가 도포된 패널 측면 상을 실런트 경화기(120)가 UV에 의해 실런트를 경화한다.(S130)
특히 이러한 실런트 도포과정에서 특징적인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보정유닛에 의해 기판의 요철이나 굴곡을 판단하여 실시간으로 상술한 요철면에 대한 도포유닛(P)전체의 상하이동을 통해 실런트 도포를 효율적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이 나타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보정유닛(160)은 상기 실런트 도포기의 진행방향의 앞부분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런트 도포기와 일체로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런트 경화기(120)는 상기 실런트 도포기(110)의 전단에 위치하여 일체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나의 측면에 대해 실런트의 도포와 경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공정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측면에 대한 실런트의 도포와 경화가 끝나면 상기 실런트 도포기가 원위치로 이동하고, 패널의 제 2 측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제 2 구동유닛(142)을 작동시켜 패널 고정장치(130)를 수직으로 90도 회전한다. (S140)
이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한 제 1측면부(T1)의 실런트 부분을 다시 경화하는 2차 경화작업을 수행하는 제2실런트 경화기(120)를 더 구비시킬 수 있다. 1차적으로 실런트 도포기(110)를 통해 도포된 실런트는 실런트 경화기(120)를 통해 거의 동시적으로 경화가 이루어지는 경화작업(1차경화작업)을 거치게 되고, 다음 제2측면부(T2)의 실런트 도포를 위해 패널이 90도 회전하는 경우에 제2측면부에는 실런트의 도포와 1차 경화작업이 수행되며, 동시적으로 먼저 실런트가 도포된 제1측면부(T1) 부분에는 제 2실런트 경화기(120)에 의한 제2경화작업이 수행되게 된다. 이로써 각각의 측면부분에 대해 공정을 완료하는 경우에는 각각 2번의 경화작업이 수행되어 보다 완전한 경화를 이룰 수 있다.
이는 보다 엄밀하게는 제1 경화공정은 신속한 실런트의 도포와 동시에 이루어지는바, 실런트가 패널의 틈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제2 경화는 신속한 실런트 도포와 제1 경화공정을 통해 경화된 실런트를 재차 경화하여 보다 완전하게 경화상태를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2단계의 경화구조는 매우 신속하게 실런트의 도포와 경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S120 내지 S140 단계를 패널의 제 4측면까지 실런트가 도포 및 경화되도록 반복하여 모든 디스플레이 패널 측면(제 1 내지 4 측면)에 실런트를 도 포 및 경화를 완료한다. 즉, 이 경우 각 측면에 대하 2번씩의 경화공정이 수행되어 경화의 완전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실런트 경화기(120)는 제 1 측면 전체를 동시에 경화시킬 수 있는 UV 램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셔터(미도시)를 구비하여 선택저으로 UV를 투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 측면에 실런트 도포 및 경화가 완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식각액에 접촉 및 침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원하는 두께로 식각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실런트 도포기의 문제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런트 도포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고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Claims (21)

  1. 상/하,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실런트 도포기;
    상기 실런트 도포기 전단에 나란하게 배치된 실런트 경화기;
    상기 실런트 도포기와 인접하여 형성되어, 패널의 상부면과 실런트 도포기 노즐의 위치를 보정하는 위치보정유닛;
    상기 실런트 도포기 및 실런트 경화기 하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직으로
    고정하고 수직으로 회전이 가능한 패널 고정장치;
    상기 실런트 도포기, 실런트 경화기 및 패널 고정장치을 회전 또는 이동하는
    구동유닛;
    상기 실런트 도포기, 실런트 경화기, 구동유닛 및 패널 고정장치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정유닛은,
    실런트도포기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실런트 도포기의 말단과 패널상의 실런트 도포지점간의 위치를 감지하여 실런트의 도포위치를 실시간으로 보정하는 변위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정유닛은,
    상기 실런트 도포기의 일측면에 부착되되, 실런트가 출사되는 말단 노즐과 패널상의 실런트 도포지점 간의 위치에 따라, 전체 도포기의 위치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롤러요철보정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롤러요철보정기구는,
    상기 패널의 상면에 접촉하는 모션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실런트 도포기를 패널의 상면의 요철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5.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 경화기는 실런트 도포기와 일체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 경화기는 UV스팟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 경화기에는 실런트의 도포상태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비젼유닛을 더 포함하여 일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는,
    상기 패널고정패널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실런트 경화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실런트 경화기는 UV램프로 구성되며, 상기 UV램프의 광원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셔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 치.
  10. 청구항 1,2,3,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 도포기는 디스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11. 청구항 1,2,3,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고정장치는 수직으로 장착되는 패널의 배면에서 진공흡착시키는 진공흡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12. 청구항 1,2,3,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실런트 도포기 및 실런트 경화기를 상/하, 좌/우 이동시키는 제 1 구동유닛과;
    상기 패널 고정장치를 회전시키는 제 2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13. 청구항 1,2,3,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고정장치는,
    패널을 흡착하여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패널을 좌우로 비스듬히 기울일 수 있도록 경사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14. 1) 패널을 패널 고정장치에 고정하는 단계;
    2) 상기 패널의 제1측면 상을 실런트 도포기가 이동하며, 패널의 제1측면의 요철 또는 굴곡의 변화를 위치보정유닛을 통해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도포위치를 보정하며 실런트를 도포하는 단계;
    3) 상기 실런트 도포기와 일체로 이동하며 실런트 경화기에서 실런트를 경화하는 단계;
    4) 상기 패널을 고정하는 패널고정장치를 90도 회전하는 단계;
    5) 상기 패널의 모든 측면에 실런트 도포 및 경화 완료시까지 상기 1) 내지 4)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4)단계 이후에,
    회전된 제1측면의 실런트 도포구간을 제2 실런트 경화기를 통하여 재차 경화하는 41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제1측면의 요철 또는 굴곡의 변화에 따른 실런트 도포기의 위치보정유닛은 변위센서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제1측면의 요철 또는 굴곡의 변화에 따른 실런트 도포기의 위치보정유닛은 패널의 측면의 상면을 따라 움직이는 모션롤러가 구비된 요철보정기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41 단계의 수행시에 상기 패널의 제2측면의 실런트를 도포하는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41단계는 실런트 경화기에 형성된 셔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UV를 투사하여 실런트를 경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방법.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상기 패널 고정장치의 진공흡착패널에 의해 패널을 진공흡착고정시켜 굴곡을 가진 측면을 직선이 되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방법.
  21.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상기 패널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패널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고정하거나, 상기 패널 고정장치에 의해 상기 패널을 일정 경사를 가지도록 기울여서 고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방법.
KR1020080074097A 2008-07-29 2008-07-29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및 방법 KR20100012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097A KR20100012608A (ko) 2008-07-29 2008-07-29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097A KR20100012608A (ko) 2008-07-29 2008-07-29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608A true KR20100012608A (ko) 2010-02-08

Family

ID=42086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097A KR20100012608A (ko) 2008-07-29 2008-07-29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60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8759A (ko) * 2010-11-30 2012-06-0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 디스플레이 셀의 보강 실링 장치
KR101227844B1 (ko) * 2011-02-07 2013-01-31 주식회사 디엠케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댐 형성 장치
KR101336541B1 (ko) * 2013-01-02 2013-12-03 이구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드 실링장치 및 실링방법
KR101347080B1 (ko) * 2012-07-20 2014-01-06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기판 합착용 프리 디스펜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기판 합착 장치
KR101428557B1 (ko) * 2014-04-15 2014-08-12 (주)프랜즈시스템 Woled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드 실링 시스템
KR101897487B1 (ko) * 2017-09-05 2018-09-12 (주)엘이티 지문센서 부착 장치
KR20220048074A (ko) * 2020-10-12 2022-04-19 이재완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용 디스펜싱 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8759A (ko) * 2010-11-30 2012-06-0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 디스플레이 셀의 보강 실링 장치
KR101227844B1 (ko) * 2011-02-07 2013-01-31 주식회사 디엠케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댐 형성 장치
KR101347080B1 (ko) * 2012-07-20 2014-01-06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기판 합착용 프리 디스펜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기판 합착 장치
KR101336541B1 (ko) * 2013-01-02 2013-12-03 이구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드 실링장치 및 실링방법
KR101428557B1 (ko) * 2014-04-15 2014-08-12 (주)프랜즈시스템 Woled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드 실링 시스템
KR101897487B1 (ko) * 2017-09-05 2018-09-12 (주)엘이티 지문센서 부착 장치
KR20220048074A (ko) * 2020-10-12 2022-04-19 이재완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용 디스펜싱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2608A (ko)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및 방법
AU2014405639B2 (en) Curved display manufacturing device and curved display manufacturing method
US8459201B2 (en) Droplet applying device, droplet applying metho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KR101380978B1 (ko) 합착장치
US20070084362A1 (en) Printing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 flat panel display
JP2010027793A (ja) アライメント装置
JP2022541256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側面端子印刷システム
KR102158033B1 (ko) 슬릿노즐을 이용하는 도포층 형성방법 및 도포장치
KR100643405B1 (ko) 프린팅 장치, 이의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의제조방법
KR20190064081A (ko) 패널 합착 장치 및 방법
KR100808135B1 (ko) 엘씨디 패널용 사이드 실링장치
JP4364690B2 (ja) 接着剤塗布方法
KR101578859B1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접합 장치
KR20090119236A (ko)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 장치 및 방법
KR102127879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사이드 실링 장치
JP2007121639A (ja) 基板貼り合わせ装置
KR101279733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글라스기판 스크라이버
JP2013059751A (ja) 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
KR101404057B1 (ko) 기판 합착 장치용 라미네이팅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구비한 기판 합착 장치 및 방법
JP2003093945A (ja) シール剤塗布装置
TW201222109A (en)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nd substrate bond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582464B1 (ko) 패널 에지 접착재 경화 장치
TWI686242B (zh) 塗佈裝置
KR100698058B1 (ko) 액정 표시 패널의 시일재 경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화방법
KR101170423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링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실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