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575A - 원모터형 터렛공구대 - Google Patents

원모터형 터렛공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575A
KR20100012575A KR1020080074052A KR20080074052A KR20100012575A KR 20100012575 A KR20100012575 A KR 20100012575A KR 1020080074052 A KR1020080074052 A KR 1020080074052A KR 20080074052 A KR20080074052 A KR 20080074052A KR 20100012575 A KR20100012575 A KR 20100012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shaft
spline
pow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1892B1 (ko
Inventor
박중한
Original Assignee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4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89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2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26Storage devices; Drive mechanisms therefor
    • B23Q3/15534Magazines mounted on the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24Tool holders for a plurality of cutting tools, e.g. turrets
    • B23B29/32Turrets adjustable by power drive, i.e. turre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2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before or after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28Electr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렛공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터로서 회전공구 구동과 공구교환을 위한 디스크 인덱싱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전달받는 스플라인샤프트의 전후진 동작으로써 회전공구 구동 및 공구교환을 선택하고, 상기 회전공구가 디스크의 단면이 아닌 분할면(원주면)에 장착되는 레이디얼 타입의 원모터형 터렛공구대이다.

Description

원모터형 터렛공구대{One motor type tool turret}
본 발명은 터렛공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터로서 회전공구 구동과 공구교환을 위한 디스크 인덱싱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전달받는 스플라인샤프트의 전후진 동작으로써 회전공구 구동 및 공구교환을 선택하고, 상기 회전공구가 디스크의 단면이 아닌 분할면(원주면)에 장착되는 레이디얼 타입의 원모터형 터렛공구대이다.
종래의 터렛공구대로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 제0635256호에 개시되어 있는 투모터형이면서 디스크의 원주면에 공구홀더가 부착되는 레이디얼 타입의 터렛공구대가 있고, 특허 제0655919호에 개시되어 있는 투모터형이면서 디스크의 단면에 공구홀더가 부착되는 액슬타입의 터렛공구대가 있다.
투모터형 터렛공구대의 경우 공구교환을 위한 인덱싱과 회전공구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두 개의 모터로서 행하므로 동력전달계통이 단순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점차 소형화되어가는 공작기계의 추세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상기 두 개의 모터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원모터타입의 터렛공구대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 제0718060호에 제안되어 있다.
상기 특허 제0718060호에 개시되어 있는 터렛공구대는 디스크의 바로 후방에 모터가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모터로 인덱싱과 공구구동을 병행하지만 모터(6)가 구성된 위치로 인해 동력전달구조를 비교적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디스크의 끝부분(공구의 끝부분)과 모터의 끝부분 간의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어 NC선반 등에 수평으로 장착될 경우 터렛공구대의 전체길이로 인해 공작기계의 크기가 좌우로 길어져야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로서 인덱싱과 공구교환을 병행하되 상기 모터가 디스크의 후측방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크의 끝부분(공구의 끝부분)과 모터의 끝부분 까지의 길이를 단축시켜 보다 소형의 공작기계를 생산할 수 있는 원모터형 터렛공구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터렛공구대 내에 회전공구의 구동동력전달과 인덱싱의 동력전달구조 중 일부분을 벨트로 전달토록 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원모터형 터렛공구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원모터형 터렛공구대는 하나의 모터로서 인덱싱과 공구교환을 병행하되 상기 모터가 디스크의 후측방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크의 끝부분(공구의 끝부분)과 모터의 끝부분 까지의 길이를 단축시켜 보다 소형의 공작기계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터렛공구대 내에 회전공구의 구동동력전달과 인덱싱의 동력전달구조 중 일부분을 벨트로 전달토록 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터렛공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터로서 회전공구 구동과 공구교환을 위한 디스크 인덱싱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전달받는 스플라인샤프트의 전후진 동작으로써 회전공구 구동 및 공구교환을 선택하고, 상기 회전공구가 디스크의 단면이 아닌 분할면(원주면)에 장착되는 레이디얼 타입의 원모터형 터렛공구대이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하나의 모터로서 회전공구의 구동과 공구교환을 위한 디스크 인덱싱의 동력으로 사용하는 것이며, 또 다른 특징은 디스크의 분할면 즉, 디스크의 원주면상에 공구홀더가 장착되는 것인데, 모터의 동력은 스플라인샤프트로 항상 전달되고, 상기 스플라인샤프트의 주위에는 드라이브샤프트 쪽으로 동력전달을 위한 공구구동스핀들 및 디스크 쪽으로 동력전달을 위한 중공샤프트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스플라인샤프트의 전후진으로서 공구구동스핀들 및 중공샤프트 간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 및 차단함으로써 공구구동상태 및 공구교환상태를 선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인 터렛공구대가 선반, 머시닝센터 등의 공작기계에 장착될 때에는 장착되는 공작기계의 형태와 그 크기 및 성능을 고려하여 1모터형이나 2모터형를 선택하게 되고, 상기 모터의 부착위치에 따라 공작기계의 크기 및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이를 반대로 생각하면, 공작기계의 형태와 크기 및 성능에 따라 모터의 부착위치가 다양한 터렛공구대의 개발이 절실하고, 상기 모터의 부착위치에 따라 터렛공구대 내의 동력전달구조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작기계에서 비교적 여유로운 공간인 작업자의 반대편 즉, 공작기계의 뒤편에 모터가 형성되도록 하여 설치공간을 줄이고 보다 효율적으로 공작기계에 장착될 수 있는 원모터형 터렛공구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분 투시저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일부분확대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원모터형 터렛공구대는 회전공구(4a)의 구동 및 공구교환을 위한 디스크(3) 인덱싱을 하나의 모터로서 행하는 터렛공구대에 있어서, 모터(6)의 동력을 전달받는 스플라인샤프트(21)와, 상기 스플라인샤프트(21)와 스플라인 결합되어 회전공구(4a) 구동시 동력을 전달받는 공구구동스핀들(22)과, 상기 공구구동스핀들(22)과 벨트(9)로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는 드라이브샤프트(10)와, 상기 드라이브샤프트(10)의 일측에 형성된 키홈(10a)에 키(11a)로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공구구동샤프트(11)와, 상기 공구구동샤프트(11)가 내장되며 일측에 회전공구(4a)가 결합되는 공구홀더(5)를 포함하여 구성된 회전공구구동부와,
모터(6)의 동력을 전달받는 스플라인샤프트(21)와, 상기 스플라인샤프트(21)와 스플라인 결합되어 공구교환시 동력을 전달받는 중공샤프트(23)와, 상기 중공샤프트(23)와 기어 결합되어 있는 중간샤프트(24)와, 상기 중간샤프트(24)와 타이밍벨트(30)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샤프트(8)와, 상기 기어샤프트(8)의 일단에 형성된 스퍼기어(8b)와, 상기 스퍼기어(8b)와 기어 결합되어 회전되는 선회커빅커플링(13)과, 상기 선회커빅커플링(13)과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플랜지디스크(16)와, 상기 플랜지디스크(16)와 고정 결합되어 동회전되는 디스크(3)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구교환구동부;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공구교환을 위해 디스크(3)가 회전되는 인덱싱 동작을 위해 모터(6)에서 디스크(3)까지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모터(6)에서 발생된 동력은 커플링(7)과 스핀들(20)을 거쳐 스플라인샤프트(21)로 전달되는데, 상기 스핀들(20)에 형성된 스핀들홈(20a)에는 스플라인샤프트(21)에 형성된 스플라인의 일부가 항상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어 모터(6)의 회전력이 항상 전달된다.
상기 스플라인샤프트(21)는 중공샤프트(23)와 스플라인 결합(도 3에서 스플라인샤프트의 윗부분에 검게 해칭되어 있는 부분)된다. 즉, 중공샤프트(23)의 내경부 일측은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어 스플라인샤프트(21)의 이동으로 스플라인 결합 및 해제가 된다.
따라서, 스플라인샤프트(21)에 전달된 동력은 중공샤프트(23)로 전달되고, 상기 중공샤프트(23)에 전달된 동력은 기어 결합되어 있는 중간샤프트(24)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중공샤프트(23)와 중간샤프트(24) 사이에는 교차하는 형태의 동력절환구조가 필요한데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동력전달방식은 웜기어 또는 45° 헬리컬기어 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웜기어로 형성할 경우 중공샤프트(23)와 중간샤프트(24)에 형성된 기어의 감속비가 웜 및 웜휠로 형성하기에 적당치 않을 정도로 작기 때문에 그 적용이 원활치 않을 수 있으며, 45° 헬리컬기어로 형성할 경우 작은 감속비에도 어느 정도의 구성이 가능한 형태로 기어가 맞물리게 되므로 도시되어 있는 구조는 45° 헬리컬기어이다.
또한, 상기 웜 및 헬리컬기어 대신 베벨기어의 사용도 가능한데, 베벨기어를 사용할 경우 중공샤프트(23)가 중간샤프트(24)에 비해 어느 정도 이동하여 맞물리도록 구성할 수 있으면, 베벨기어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중간샤프트(24)와 기어샤프트(8)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간샤프트풀리(24a)와 타이밍풀리(8a) 및 그 사이에 형성된 타이밍벨트(30)에 의해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기어샤프트(8)에 전달된 동력은 기어샤프트(8)의 일측에 형성된 스퍼기어(8b)를 통해 선회커빅커플링(13)으로 전달되게 되고(도 1 참조), 상기 선회커빅커플링(13)과 스크류(18)로 결합되어 있는 플랜지디스크(16)로 전달되며 상기 플랜 지디스크(16)와 디스크(3)는 고정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디스크(3)로 전달되게 된다.
상술한 동력전달계통을 구성으로만 살펴보면,
'모터(6)→커플링(7)→스핀들(20)→스플라인샤프트(21)→중공샤프트(23)→중간샤프트(24)→중간샤프트풀리(24a)→타이밍벨트(30)→타이밍풀리(8a)→기어샤프트(8)→스퍼기어(8b)→선회커빅커플링(13)→플랜지디스크(16)→디스크(3)'의 순서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스플라인샤프트(21)는 도 2에서 모터(6) 쪽으로 이동한 상태로서 편의상 '후진'상태라 하고, 후진상태에서는 공구구동스핀들(22)과의 스플라인결합이 해제된 상태로서 동력전달이 차단되게 된다. 이 상태의 공구구동스핀들(22)은 스플라인샤프트(21)와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는데 이를 방지하는 구성이 실린더(25)와 상기 실린더(25) 내에 형성된 피스톤(26) 및 두 개의 유로(27, 28)이다.
먼저, 유로3(27)으로 유압이 인가되게 되면 피스톤(26)은 공구구동스핀들(22)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공구구동스핀들(22)의 회전에 대한 간섭을 해제하게 되며, 유로4(28)로 유압이 인가되게 되면 피스톤(26)은 공구구동스핀들(22)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회전을 간섭하게 된다.
따라서, 공구구동스핀들(22)과 스플라인샤프트(21)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공구구동스핀들(22)의 회전을 간섭해주기 위해서는 유로4(28)로 유압이 인가되 어 피스톤(26)이 공구구동스핀들(22)의 회전을 간섭하는 공구교환상태가 되며, 공구구동스핀들(22)과 스플라인샤프트(21)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회전공구(4a)의 구동을 위해 공구구동스핀들(22)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아야하므로 유로3(27)으로 유압이 인가되어 피스톤(26)이 공구구동스핀들(22)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는 공구구동상태가 된다.
이때 스플라인샤프트(21)와 공구구동스핀들(22)의 스플라인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공구구동스핀들(22)의 회전위치가 확보되어야 하는데 이는 센서(38)에 의하여 확인이 가능하다.
즉, 상기 센서(38)에서 공구구동스핀들(22)에 형성된 홈(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승인 신호가 떨어지면 피스톤(26)이 전진하여 공구구동스핀들(22)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클램프하게 되고, 이후 스플라인샤프트(21)가 모터 쪽으로 이동하여 스플라인 결합을 해제하게 된다.
다음으로, 회전공구(4a)의 구동을 위해 모터(6)에서 회전공구(4a)까지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모터(6)의 동력이 커플링(7)과 스핀들(20)을 통해 스플라인샤프트(21)로 전달되고, 상기 스플라인은 공구구동스핀들(22) 쪽으로 전진한 상태로서 중공샤프트(23)와의 스플라인 결합은 해제된 상태이다.
상기 공구구동스핀들(22)의 내경면에는 스플라인샤프트(21)와의 치합을 위해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어서 스플라인 결합(도 3에서 검게 해칭된 부분)으로 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공구구동스핀들(22)로 전달된 동력은 모터풀리(22a)와 벨트(9)를 거쳐 드라이브샤프트(10)로 전달되게 된다.
상기 드라이브샤프트(10)의 일측에는 키홈(1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키홈(10a)에는 공구홀더(5)에 형성된 공구구동샤프트(11)의 키(11a)가 결합되어 동력이 전달되게 되며 결국 공구구동샤프트(11)에 전달된 동력은 회전공구(4a)로 전달되게 된다.
만약, 도 1에서 우측에 형성된 회전공구(4b)와 같이 공구구동샤프트(11)와 회전공구(4b)의 축 방향이 일치하면 공구홀더(5) 내에 베벨기어와 같은 동력절환구조가 필요없지만, 좌측에 형성된 회전공구(4a) 같이 공구구동샤프트(11)와 회전공구(4a)의 축 방향이 서로 직교하게 되면 공구홀더(5) 내에 베벨기어와 같은 동력절환구조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런 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는 거리가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공구구동샤프트(11)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면 회전공구(4a)까지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다.
상술한 동력전달계통을 구성으로만 살펴보면,
'모터(6)→커플링(7)→스핀들(20)→스플라인샤프트(21)→공구구동스핀들(22)→모터풀리(22a)→벨트(9)→구동풀리(19)→드라이브샤프트(10)→공구구동샤프트(1 1)→회전공구(4a)'의 순서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스플라인샤프트(21)는 도 2에서 공구구동스핀들(22) 쪽으로 이동한 상태로서 편의상 '전진'상태가 되고, 전진상태에서는 중공샤프트(23)와의 스플라인 치합이 해제된 상태로서 공구교환을 위한 동력전달이 차단되게 된다.
공구구동시 디스크(3)는 몸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므로 피스톤커빅커플링(15)과 선회커빅커플링(13)이 맞물리게 되어 디스크(3)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잡아주게 되는데, 이런 구성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 등록한 특허 제0690427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국, 모터(6)의 동력은 스플라인샤프트(21)의 전후진 운동에 의해 공구구동스핀들(22) 쪽이나 기어샤프트(8), 중공샤프트(23), 중간샤프트(24) 쪽으로 전달되게 되는데, 스플라인샤프트(21)의 전후진 운동을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플라인샤프트(21)의 일측에는 레버(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버(31)는 스플라인샤프트(21)와 링(32) 및 베어링(33)에 의해 스플라인샤프트(21)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레버(31)는 스플라인샤프트(21)와 회전에 대해서는 간섭하지 않도 록 결합되어 있되 전후 이동에 대해서는 간섭하도록 결합되어 있어 레버(31)와 스플라인샤프트(21)는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같이 왕복하여 이동되게 된다.
상기 레버(31)의 일측은 피스톤(35)과 고정 결합되어 있어 피스톤(35)과 같이 이동되므로 결국 피스톤(35)과 스플라인샤프트(21)는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같이 이동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31)는 스플라인샤프트(21)와 링(32) 및 베어링(33)에 의해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32)과 베어링(33)을 없애고 상기 스플라인샤프트(21)의 원주면에 레버(31)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에 레버(31)의 링부가 결합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레버(31)의 링부는 스플라인샤프트(21)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스플라인샤프트(21)의 원주면과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되어야 하고 스플라인샤프트(21)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작동되어야 한다.
상기 피스톤(35)의 주위에는 실린더(34)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34)의 일측에는 두 개의 유로(36, 37)가 형성되어 있는데, 유로1(36)로 유압이 인가되게 되면 피스톤(35)은 모터(6) 쪽으로 후진하게 되고, 유로2(37)로 유압이 인가되게 되면 피스톤(35)은 모터(6)의 반대쪽 즉, 공구구동스핀들(22) 쪽으로 전진하게 된다.
결국, 피스톤(35)의 전진은 레버(31)와 상기 레버(31)와 결합되어 있는 스플라인샤프트(21)의 전진을 의미하며, 피스톤(35)이 전진하게 되면 상기 스플라인샤 프트(21)가 공구구동스핀들(22) 쪽으로 전진하게 되어 스플라인샤프트(21) 및 공구구동스핀들(22) 간에 스플라인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가 된다.
반대로, 피스톤의 후진(모터 쪽으로 이동)은 레버(31)와 상기 레버(31)와 결합되어 있는 스플라인샤프트(21)의 후진을 의미하며, 스플라인샤프트(21)가 후진하게 되면 공구구동스핀들(22)과 스플라인샤프트(21) 간의 결합이 해제됨과 동시에 스플라인샤프트(21)와 중공샤프트(23) 간의 스플라인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가 된다.
이후 기어 간의 물림율을 조절하는 방법이나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어샤프트(8)에 형성되어 있는 스퍼기어(8b)와 선회커빅커플링(13)에 형성된 기어 간의 물림율 조절은 편심량조절하우징(12)으로써 행하게 되는데, 상기 편심량조절하우징(12)의 작동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 등록한 특허 제0635256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기어샤프트(8)는 편심량조절하우징(12)에 의해 스퍼기어(8b)와 선회커빅커플링(13) 간의 간격이 조절되고,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더 이상 움직일 수 없도록 편심량하우징(12)에 마련된 스크류(39)를 조여서 몸체(1)에 견고히 고정한다.
그리고, 기어샤프트(8)의 후방에 형성된 타이밍풀리(8a)와 중간샤프트(24)에 형성된 중간샤프트풀리(24a) 사이에는 아이들러(17)가 형성되어 타이밍벨트(30)의 장력을 조절한다.
또한, 공구구동스핀들(22)에 형성된 모터풀리(22a)와 드라이브샤프트(10)에 형성된 구동풀리(19) 사이에 형성된 벨트(9)의 장력은 커플링(7), 스핀들(20), 중공샤프트(23), 공구구동스핀들(22) 등이 결합되어 있는 구동몸체(41)를 조절볼트(42)로서 움직여 장력을 조절한 뒤 스크류(40)로서 고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예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분 투시저면도
도 3은 도 2의 일부분확대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몸체 2. 네임플레이트 3. 디스크
4a, 4b. 회전공구 5. 공구홀더 6. 모터
7. 커플링 8. 기어샤프트 8a. 타이밍풀리
8b. 스퍼기어 9. 벨트 10. 드라이브샤프트
11. 공구구동샤프트 11a. 키
12. 편심량조절하우징 13. 선회커빅커플링 14. 고정커빅커플링
15. 피스톤커빅커플링 16. 플랜지디스크 17. 아이들러
18. 스크류 19. 구동풀리 20. 스핀들
20a. 스핀들홈 21. 스플라인샤프트 22. 공구구동스핀들
22a. 모터풀리 23. 중공샤프트 24. 중간샤프트
24a. 중간샤프트풀리 25. 실린더 26. 피스톤
27. 유로3 28. 유로4 30. 타이밍벨트
31. 레버 32. 링 33. 베어링
34. 실린더 35. 피스톤 36. 유로1
37. 유로2 38. 센서 39, 40. 스크류
41. 구동몸체

Claims (7)

  1. 회전공구(4a)의 구동 및 공구교환을 위한 디스크(3) 인덱싱을 하나의 모터로서 행하는 터렛공구대에 있어서,
    모터(6)의 동력을 전달받는 스플라인샤프트(21)와, 상기 스플라인샤프트(21)와 스플라인 결합되어 회전공구(4a) 구동시 동력을 전달받는 공구구동스핀들(22)과, 상기 공구구동스핀들(22)과 벨트(9)로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는 드라이브샤프트(10)와, 상기 드라이브샤프트(10)의 일측에 형성된 키홈(10a)에 키(11a)로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공구구동샤프트(11)와, 상기 공구구동샤프트(11)가 내장되며 일측에 회전공구(4a)가 결합되는 공구홀더(5)를 포함하여 구성된 회전공구구동부와;
    모터(6)의 동력을 전달받는 스플라인샤프트(21)와, 상기 스플라인샤프트(21)와 스플라인 결합되어 공구교환시 동력을 전달받는 중공샤프트(23)와, 상기 중공샤프트(23)와 기어 결합되어 있는 중간샤프트(24)와, 상기 중간샤프트(24)와 타이밍벨트(30)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샤프트(8)와, 상기 기어샤프트(8)의 일단에 형성된 스퍼기어(8b)와, 상기 스퍼기어(8b)와 기어 결합되어 회전되는 선회커빅커플링(13)과, 상기 선회커빅커플링(13)과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플랜지디스크(16)와, 상기 플랜지디스크(16)와 고정 결합되어 동회전되는 디스크(3)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구교환구동부;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원모터형 터렛공구대
  2. 회전공구(4a)의 구동 및 공구교환을 위한 디스크(3) 인덱싱을 하나의 모터로서 행하는 터렛공구대에 있어서,
    모터(6)의 동력은 스플라인샤프트(23)로 항상 전달되고, 상기 스플라인샤프트(23)의 주위에는 드라이브샤프트(10) 쪽으로 동력전달을 위한 공구구동스핀들(22) 및 디스크(2) 쪽으로 동력전달을 위한 중공샤프트(23)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스플라인샤프트(23)의 전후진으로서 공구구동스핀들(22) 및 중공샤프트(23) 간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 및 차단함으로써 공구구동상태 및 공구교환상태를 선택하는 것이 특징인 원모터형 터렛공구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인샤프트(21)는 공구구동스핀들(22) 쪽으로 전진 시에는 공구구동스핀들(22)과 스플라인 결합되어 동력이 전달되고 중공샤프트(23)와는 스플라인 결합이 해제되어 동력전달이 차단되며, 모터(6) 쪽으로 후진 시에는 공구구동스핀들(22)과의 스플라인 결합이 해제되어 동력전달이 차단되고 중공샤프트(23)와는 스플라인 결합되어 동력이 전달되는 것이 특징인 원모터형 터렛공구대
  4.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구동스핀들(22)의 일측에는 실린더(25) 및 피스톤(26)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26)의 전후진으로써 공구구동스핀들(22)의 회전을 간섭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원모터형 터렛공구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샤프트(8)에 형성된 타이밍풀리(8a)와 중간샤프트(24)에 형성된 중간샤프트풀리(24a) 사이에는 아이들러(17)가 형성되어 타이밍벨트(30)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특징인 원모터형 터렛공구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9)의 장력은 커플링(7), 스핀들(20), 중공샤프트(23), 공구구동스핀들(22) 등이 결합되어 있는 구동몸체(41)를 조절볼트(42)로서 움직여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특징인 원모터형 터렛공구대
  7.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인샤프트(21)의 일측에는 링(32) 및 베어링(33)에 의해 레버(31) 가 결합되되, 상기 레버(31)는 스플라인샤프트(21)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원모터형 터렛공구대
KR1020080074052A 2008-07-29 2008-07-29 원모터형 터렛공구대 KR100951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052A KR100951892B1 (ko) 2008-07-29 2008-07-29 원모터형 터렛공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052A KR100951892B1 (ko) 2008-07-29 2008-07-29 원모터형 터렛공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575A true KR20100012575A (ko) 2010-02-08
KR100951892B1 KR100951892B1 (ko) 2010-04-12

Family

ID=42086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052A KR100951892B1 (ko) 2008-07-29 2008-07-29 원모터형 터렛공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8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4638A (zh) * 2012-08-01 2012-10-24 辽宁西格马数控机床有限公司 一种液压刀塔
KR20140066862A (ko) * 2012-11-22 2014-06-0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채터링 방지장치를 포함한 공구대
CN109550987A (zh) * 2019-01-17 2019-04-02 陕西阿米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内置单电机伺服动力刀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775B1 (ko) 2019-06-19 2021-03-05 화천기공 주식회사 터렛 장치용 인덱싱 클램프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8701A (ja) * 1989-09-09 1991-04-24 Takizawa Tekkosho:Kk タレット刃物台とそれを用いたツイン旋盤
JP3202123B2 (ja) * 1994-02-07 2001-08-27 大阪機工株式会社 自動工具交換装置
KR100635256B1 (ko) 2005-10-28 2006-10-18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편심량을 조절하는 하우징이 형성된 터렛공구대
KR100718060B1 (ko) 2006-09-13 2007-05-14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벨트로 동력을 전달하는 터렛공구대 및 터렛공구대의동력전달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4638A (zh) * 2012-08-01 2012-10-24 辽宁西格马数控机床有限公司 一种液压刀塔
KR20140066862A (ko) * 2012-11-22 2014-06-0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채터링 방지장치를 포함한 공구대
CN109550987A (zh) * 2019-01-17 2019-04-02 陕西阿米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内置单电机伺服动力刀塔
CN109550987B (zh) * 2019-01-17 2024-03-26 陕西阿米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内置单电机伺服动力刀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892B1 (ko) 2010-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87931B1 (en) Turret type tool post
KR100951892B1 (ko) 원모터형 터렛공구대
KR100718060B1 (ko) 벨트로 동력을 전달하는 터렛공구대 및 터렛공구대의동력전달방법
EP1808267B1 (en) Tool turret
CN110548886A (zh) 双直驱伺服动力刀塔
US8561273B2 (en) Tool turret
KR100635256B1 (ko) 편심량을 조절하는 하우징이 형성된 터렛공구대
KR100938873B1 (ko) 원모터 액슬타입의 터렛공구대
US4656708A (en) Live tooling turret
KR100938872B1 (ko) 액슬 타입의 터렛공구대
US20150020654A1 (en) Boring and facing head
CN101569997A (zh) 带主轴卡盘调换机构的机床
US20020128136A1 (en) Rotary drive with a speed
KR100436249B1 (ko) 터렛헤드 장치
JP4771301B2 (ja) タレット刃物台
KR101014785B1 (ko) 터렛공구대
US5067363A (en) Clearance-free spindle drive
CN110340389A (zh) 内置电机的伺服刀塔
JPH08290310A (ja) 複合加工機能を備えたタレットの駆動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432299B1 (ko) Cnc 선반용 제어 공구대
JPH079208A (ja) Nc旋盤の割出し刃物台
JPH07214403A (ja) フェーシングヘッド
JPS6034202A (ja) 数値制御旋盤の複合刃物台
KR100326358B1 (ko) 시엔시공작기계용 터릿
SU1645057A1 (ru) Поводковый патрон к круглошлифовальному станк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