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181U - 자동차 계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계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181U
KR20100012181U KR2020090006946U KR20090006946U KR20100012181U KR 20100012181 U KR20100012181 U KR 20100012181U KR 2020090006946 U KR2020090006946 U KR 2020090006946U KR 20090006946 U KR20090006946 U KR 20090006946U KR 20100012181 U KR20100012181 U KR 201000121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door
vehicle
car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웅
Original Assignee
조성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웅 filed Critical 조성웅
Priority to KR2020090006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181U/ko
Publication of KR201000121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18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doors or doors locks, e.g. ope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관련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시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계기 장치는 다수의 자동차문의 개폐 여부를 실시간으로 점검함에 따라, 다수의 자동차문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픈될 경우 기구비된 다수의 발광소자를 구동시켜 오픈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 위치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발광 표시케 함으로써, 차량에 대한 품질을 더욱 향상시키고 운행 중인 차량의 안전성을 더욱 높여 차량 구매자 또는 차량 소유자의 만족도 및 구매욕을 불러 일으켜 매출 증대를 기대한다.
자동차문, 발광소자, 개문 위치 정보, 개문 표시부

Description

자동차 계기 장치{Instrument Device for using a Car}
본 고안은 자동차 관련 디스플레이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자동차문의 개폐 여부를 실시간으로 점검함에 따라, 다수의 자동차문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픈될 경우 기구비된 다수의 발광소자를 구동시켜 오픈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 위치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발광 표시케 하는 자동차 계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계기판은 대개 운전석의 정면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량에 관한 모든 정보를 인식하기 용이한 형태로 변환시켜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 운전자에 차량 상태를 한눈에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자동차 승하차시 문의 개폐가 완전하지 않을 경우, 운전자의 차량 계기판에 작은 램프로 빨간불이 켜져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여름철과 같은 무더위에서 운전자의 집중력 저하로 인한 부주의로 문이 열린 상태 및 옷이 문에 끼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주행하여 위험한 상황 및 사고 유발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즉, 자동차에 탑승하고 있는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차량에서 내리고자 할 때 자동차를 길 가장자리에 정차한 후 문을 열고 하차한다. 그러나, 하차 후 문을 완전히 닫지 못하고 출발할 경우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다수의 자동차문 중에 어는 문이 열렸는지 확인할 수 없어 일일이 열림문이 어디인지 파악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작동상에 문제점 역시 있다.
본 고안의 자동차 계기 장치는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다수의 자동차문의 개폐 여부를 실시간으로 점검함에 따라, 다수의 자동차문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픈될 경우 기구비된 다수의 발광소자를 구동시켜 오픈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 위치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발광 표시케 함으로써, 차량에 대한 품질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운행 중인 차량의 안전성을 더욱 높여 차량 구매자 또는 차량 소유자의 만족도 및 구매욕을 불러 일으켜 매출 증대를 기대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계기 장치는 다수의 자동차문의 개폐 여부를 실시간으로 점검함에 따라, 상기 다수의 자동차문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픈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 오픈 상태를 인식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감지 신호에 기록된 정보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기 오픈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을 대상으로 한 개문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개문위치 파악부; 및 상기 개문 위치 정보를 읽어들여 기구비된 다수의 발광소자를 구동시키고, 상기 오픈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 위치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발광 표시케 하는 개문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자동차 계기 장치는 다수의 자동차문의 개폐 여부를 실시간으로 점검함에 따라, 상기 다수의 자동차문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픈될 경우 기구비된 다수의 발광소자를 구동시켜 상기 오픈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 위치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발광 표시케 함으로써, 차량에 대한 품질을 더욱 향상시키는 제 1 효과를 준다.
또한, 본 고안은 운행 중인 차량의 안전성을 더욱 높여 차량 구매자 또는 차량 소유자의 만족도 및 구매욕을 불러 일으켜 매출 증대를 기대하는 제 2 효과를 준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계기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자동차 계기 장치(1000)는 다수의 자동차문의 개폐 여부를 실시간으로 점검함에 따라, 다수의 자동차문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픈될 경우 기구비 된 다수의 발광소자를 구동시켜 오픈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 위치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발광 표시케 하는 장치로, 센서부(100), 개문위치 파악부(200), 개문 표시부(300) 및 재생 표출부(400)를 포함한다.
즉, 센서부(100)는 다수의 자동차문의 개폐 여부를 실시간으로 점검함에 따라, 다수의 자동차문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픈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 오픈 상태를 인식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센서부(100)는 다수의 자동차문에 해당하는 운전자석 문, 보조석 문, 뒷좌석 우측문, 뒷좌석 좌측문, 트렁크 문 및 본네트 문의 개폐 여부를 실시간으로 점검한다.
만약, 센서부(100)가 다수의 자동차문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픈됨을 확인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에 대한 열림 상태를 인식하여 이에 따른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감지 신호는 다수의 자동차문 중 오픈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며, 오픈된 자동차문의 개문 위치 정보를 정보 데이터 내에 보유케 하는 신호이다.
개문위치 파악부(200)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 신호에 기록된 정보 데이터 분석을 통해 오픈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을 대상으로 개문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
다시 말해, 개문위치 파악부(200)는 센서부(100)에 의해 생성된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오픈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 위치를 파악함을 통해 운전자석 문, 보조 석 문, 뒷좌석 우측문, 뒷좌석 좌측문, 트렁크 문 및 본네트 문 중 개문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상태를 확인한다.
개문 표시부(300)는 개문 위치 정보를 읽어들여 기구비된 다수의 발광소자를 구동시키고, 오픈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 위치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발광 표시케 한다.
개문 표시부(300)는 액정표시소자(LCD),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및 플라즈마 표시소자(PDP) 중 하나의 발광소재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발광소재로 회로 구성된 다수의 발광소자에 구동전압을 인가시킴으로써 표시 동작을 실시한다.
개문 표시부(300)는 액정표시소자(LCD),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및 플라즈마 표시소자(PDP) 중 하나의 발광소재로 구성된 장치라 할 수 있음에 따라, 개문 표시부(300)는 선택된 발광소재로 회로 구축된 다수의 발광소자에 구동전압을 제공받아 작동되며, 개문위치 파악부(200)로부터 출력된 개문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압을 오픈된 자동차문 위치를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에 인가하여 발광 동작케 한다.
즉, 개문 표시부(300)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구동전압과 데이터 전압을 입력받음에 따라, 기구비된 다수의 발광소자를 통해 오픈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310)을 발광 표시한다.
여기서, 다수의 발광소자는 개문 위치 정보에 맞게끔 데이터 전압을 제공받음에 따라, 오픈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 위치(310)와 무관하게 동일 색깔로 발 광 표시되거나, 오픈된 자동차문의 위치(310)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로 구분되어 발광 표시된다.
재생 표출부(400)는 개문 위치 정보를 입력받음으로써 기마련된 경고음 또는 안내 메시지를 자동 재생시켜 외부 표출케 한다.
예를 들어, 재생 표출부(400)는 도 2를 참조로 적어도 하나의 오픈된 자동차문을 개문 위치 정보로부터 알 수 있음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오픈된 자동차문(310)과 그 해당 위치를 내부 메모리에 기저장된 경고음 또는 안내 메시지를 호출하여 스피커 또는 음성출력 장치(400)를 이용하여 외부 표출시킨다.
이때, 재생 표출부(400)가 경고음 또는 안내 메시지를 재생할 경우, 개문 표시부(300)에 기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는 오픈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310)이 닫혀지기 전까지 주기적으로 점등되거나, 기설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켜져 있게 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는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오픈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310)에 대하여 열린 문의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외부 표출을 실시한다.
도 3(a)는 개문 표시부(일명 : 자동차 계기판)이 자동차문 중에 운전자석 문이 열려 있음을 기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표시해주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3(b)는 자동차문(310) 중에 보조석 문이 오픈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c)는 뒷좌석 좌측문, 도 3(d)는 뒷좌석 우측문, 도 3(e)는 본네트 문, 도 3(f)는 트렁크 문, 도 3(g)는 운전자석과 뒷좌석 우측문이 한꺼번에 열려 있음을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외부 표출 동작을 통해 나타내고 있다.
도 3(h)는 운전자석과 트렁크 문이 한꺼번에 열려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3(i)는 다수의 자동차문(310)에 해당하는 전체 문(운전자석, 보조석, 뒷좌석 좌측석, 뒷좌석 우측석, 트렁크, 본네트) 모두가 열려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자동차문의 열림 상태(310)는 운전자가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자동차 계기판 즉, 개문 표시부에 기구비된 다수의 발광 소자의 발광 동작을 통해 즉각적으로 제공된다 하겠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계기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문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문 표시부로부터 인지되는 오픈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5)

  1. 다수의 자동차문의 개폐 여부를 실시간으로 점검함에 따라, 상기 다수의 자동차문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픈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 오픈 상태를 인식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감지 신호에 기록된 정보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기 오픈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을 대상으로 한 개문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개문위치 파악부; 및
    상기 개문 위치 정보를 읽어들여 기구비된 다수의 발광소자를 구동시키고, 상기 오픈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 위치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발광 표시케 하는 개문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계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문 표시부는,
    액정표시소자(LCD),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및 플라즈마 표시소자(PDP) 중 하나의 발광소재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발광소재로 회로 구성된 다수의 발광소자에 구동전압을 인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계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는,
    상기 오픈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 위치와 무관하게 동일 색깔로 발광 표시되거나, 상기 자동차문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로 구분되어 발광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계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문 위치 정보를 입력받음으로써 기마련된 경고음 또는 안내 메시지를 자동 재생시켜 외부 표출케 하는 재생 표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계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음 또는 안내 메시지 재생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는 상기 오픈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문이 닫혀지기 전까지 주기적으로 점등되거나, 기설정 시간 동안 계속 켜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계기 장치.
KR2020090006946U 2009-06-03 2009-06-03 자동차 계기 장치 KR2010001218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946U KR20100012181U (ko) 2009-06-03 2009-06-03 자동차 계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946U KR20100012181U (ko) 2009-06-03 2009-06-03 자동차 계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181U true KR20100012181U (ko) 2010-12-13

Family

ID=4420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946U KR20100012181U (ko) 2009-06-03 2009-06-03 자동차 계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18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33126A (zh) * 2023-11-30 2024-02-09 惠州市金隆源科技有限公司 基于多传感器采集的汽车高清液晶屏显示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33126A (zh) * 2023-11-30 2024-02-09 惠州市金隆源科技有限公司 基于多传感器采集的汽车高清液晶屏显示系统
CN117533126B (zh) * 2023-11-30 2024-05-14 惠州市金隆源科技有限公司 基于多传感器采集的汽车高清液晶屏显示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1523B (zh) 用于控制机动车的显示装置的方法以及具有显示装置的机动车
US20040004541A1 (en) System for monitoring a dead zone related to a front pillar of a vehicle
US20170326982A1 (en) Fuel door status indicating system for pressurized fuel system
JP2017177883A (ja) 車載報知装置
JP2006352391A (ja) 車載画像記録装置
US10882448B2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ith instructions for identifying an exit side of a motor vehicle
US10207584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2322854B1 (ko)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이동물체 검출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KR102616216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00012181U (ko) 자동차 계기 장치
US20100039248A1 (en) Vehicle window position indicator
CN103465827A (zh) 带至少一个用于汽车开口的电动闭锁元件的汽车警告装置
KR20210010702A (ko) 테일게이트 개방 시 물체를 감지해 경고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25109A (ko) 차량 도어의 접촉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521728A (ja) 車両用暗視装置のためのオン/オフ切り換えの構成
KR101636168B1 (ko) 자동차의 클러스터를 이용한 도어 열림 알림장치 및 그 방법
JP2012101743A (ja) 車両用表示装置
US20210284069A1 (en) Vehicle display device
KR100743259B1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알림장치
KR200380920Y1 (ko) 자동차 운행 기록 장치
KR20190027649A (ko) 차량을 보호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220764230U (zh) 一种车门预开空间辅助警示装置
KR20130055799A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차량 오픈 감지방법
JP7346153B2 (ja) 情報処理装置、車載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KR200344105Y1 (ko) 자동차 도어열림 경고표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