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348U -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348U
KR20100011348U KR2020090005758U KR20090005758U KR20100011348U KR 20100011348 U KR20100011348 U KR 20100011348U KR 2020090005758 U KR2020090005758 U KR 2020090005758U KR 20090005758 U KR20090005758 U KR 20090005758U KR 20100011348 U KR20100011348 U KR 201000113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eat belt
seat
locking
lock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5822Y1 (ko
Inventor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이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현 filed Critical 이지현
Priority to KR2020090005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822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3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3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8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8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60N2/282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part of the base being supported by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002/2815Adaptations for seat belts with additional belt accessories, e.g. a belt tension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의 좌석 상에 확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벨트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는 차량의 안전벨트가 두께방향으로 삽입되는 수용부와 수용부의 전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전면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안전벨트를 끼울 수 있도록 수용부의 내측 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둔 이격부가 전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본체; 본체 하부에 구비된 제1회전축 상에 고정되어 수용부에 수용되는 캠; 제1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되는 몸체와, 전면 플레이트와 소정 각도(α)를 이루는 경사면을 갖도록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록킹레버; 및 수용부에 수용되어 본체 상부에 구비된 제2회전축 상에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에는 캠과 접하는 안내면이 형성되어 일측면이 수용부의 내측 일면에 밀착하거나 밀착 해제됨으로써 안전벨트를 록킹하거나 록킹 해제하는 밀착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이격부에 끼워진 안전벨트가 록킹레버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록킹레버의 손잡이가 전면 플레이트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를 록킹레버의 배면에 두어 록킹레버의 회전반경을 짧게 함으로써 이격부에 끼워진 안전벨트에 의해 록킹레버의 회전이 방해받지 않는다. 또한, 밀착부재가 안전벨트를 균일하게 가압할 뿐만 아니라 안전벨트를 절곡시킴으로써 밀착부재와 안전벨트 사이의 마찰력이 현저하게 증가됨으로써 큰 충격 에 의한 안전벨트의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유아용, 안전의자, 카시트, 안전벨트, 록킹, 고정

Description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Belt locking device for a baby car seat}
본 고안은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의 좌석 상에 확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벨트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좌석과 안전벨트는 성인을 기준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유아를 차량에 탑승시킬 경우 유아의 안전을 위해 별도의 유아용 안전의자, 일명 카시트(이하, "유아용 카시트"라고 한다)를 차량의 좌석 상에 장착하게 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유아용 카시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를 수용하는 본체(2a)와 본체(2a)를 지지하는 받침대(2b)로 구성되고, 본체(2a)의 배면에는 벨트통로(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아용 카시트(2)는 배면을 좌석의 등받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안전벨트(6)의 어깨끈(6a)과 허리끈(6b)을 늘려 벨트통로(4)에 통과시키고, 반대편의 차량버클(미도시)에 체결함으로써 차량의 좌석 상에 장착되게 된다. 이때, 안전벨트(6)의 어깨끈(6a)과 허리끈(6b)은 각각 대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유아용 카시트(2)를 잡아주게 되고, 이로써 유아용 카시트(2)가 좌석 상에 고정된다. 그러나, 유아용 카시트(100)의 벨트통로(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안전벨트(6)가 벨트통로(4)에서 어느 정도 유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유아용 카시트(2)의 고정상태가 불완전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차량의 코너링, 급정거 또는 충돌에 의한 충격시 유아용 카시트(2)가 쉽게 흔들릴 수 있고, 심한 경우 유아용 카시트(2)가 차량의 좌석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는 유아의 안전에 큰 문제점이 되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출원인은 유아용 카시트(2)를 차량의 좌석 상에 확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97,361호에 기재된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를 제안하였다. 종래의 벨트 록킹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통로(4)의 상단에 장착되고, 안전벨트(6)의 어깨끈(6a)을 단단히 고정시켜 안전벨트(6)가 벨트통로(4) 상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벨트 록킹장치(1)의 구성 및 작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의 벨트 록킹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2)와 전면 플레이트(14)로 이루어진 본체(10)에 안전벨트(90)를 아래로부터 끼우기 위한 이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밀착부재(30)는 수용부(12)에 삽입되어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된 제1회전축(20)에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밀착부재(30)의 타단에는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안내면(22)과, 내측 안내면(24)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레버(60)는 일단에 밀착부재(30)의 외측안내면(22)을 따라 이동가능한 안내돌기(62)가 형성되고, 중간영역에 밀착부재(30)의 내측안내면(24)을 따라 이동가능한 내측돌기(64)가 형성되어 있다. 록킹레버(40)는 몸체(42)와 손잡이(44)로 구성되어 내측레버(60)와 함께 제2회전축(50) 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1스토퍼(82)와 제2스토퍼(8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레버(40)의 근처의 전면 플레이트(14)에 각각 돌출형성된다.
종래의 벨트 록킹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레버(40)가 록킹 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 밀착부재(3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 해제 상태에 있고, 안전벨트(90)를 이격부(16)에 끼울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록킹레버(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레버(60)의 내측돌기(64)가 밀착부재(30)의 내측안내면(24)을 밀착하게 되고, 내측돌기(64)가 내측안내면(24)을 수직으로 미는 힘에 의해 밀착부재(30)가 안전벨트(90)를 밀착하게 되어 안전벨트(90)가 록킹되는 것이다. 한편, 록킹레버(40)를 원상태로 회전시키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레버(60)의 일단에 형성된 안내돌기(62)가 외측안내면(22)을 밀착하게 되고, 안내돌기(62)가 외측안내면(22)을 미는 힘에 의하여 밀착부재(30)가 안전벨트(90)를 록킹 해제하게 된다.
한편, 록킹레버(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레버(40)의 몸체(42)가 제1스토퍼(82)와 제2스토퍼(84)의 일측면에 각각 접함으로써 록킹 해제위치 또는 록킹 위치가 결정된다. 따라서, 록킹 레버(40)는 도 4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은 회전반경을 갖게 된다. 통상적으로 안전벨트의 폭은 약 5cm ~ 6cm인데, 록킹레버(40)의 회전반경 안에 안전벨트(6)가 위치하게 되어 록킹레버(40)의 회전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유아용 카시트(2)를 장착하거나 탈거하기 위해 록킹레버(40)를 회전시킬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6)를 구부리거나 접어야하고, 록킹레버(40)를 회전시킨 후 안전벨트(6)를 다시 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유아용 카시트(2)의 올바른 장착을 위해 안전벨트(6)를 팽팽하게 잡아당긴 상태에서 벨트 록킹장치(1)를 록킹시켜야 하는데 안전벨트(6)를 구부리거나 펴는 과정에서 안전벨트(6)의 팽팽한 상태가 손상 받을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벨트 록킹장치(1)는 밀착부재(30)가 안전벨트(90)에 밀착하는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90)가 불균일하게 가압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는 안전벨트(90)가 균일하게 가압되는 구조에 비해 밀착부재(30)와 안전벨트(90) 사이의 마찰력이 작을 수밖에 없다. 이는 차량의 코너링, 급정거 또는 충돌시 발생되는 관성력이 아주 크기 때문에 안전벨트(90)가 미끄러져 벨트 록킹장치(1)의 록킹작용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밀착부재(30)는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안내면(22)과 내측안내면(24)이 형성되는 타단부가 전체적으로 가늘게 형성되어 강성이 작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내측레버(60)가 밀착부재(30)를 미는 힘이 제한되고, 이는 밀착부재(30)와 안전벨트(90) 사이의 마찰력이 작게 되는 요인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이격부에 끼워진 안전벨트에 의해 록킹레버의 회전이 방해받지 않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밀착부재와 안전벨트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하여 유아용 카시트를 더욱 확고하게 고정시키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는 차량의 안전벨트가 두께방향으로 삽입되는 수용부와 수용부의 전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전면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안전벨트를 끼울 수 있도록 수용부의 내측 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둔 이격부가 전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본체; 본체 하부에 구비된 제1회전축 상에 고정되어 수용부에 수용되는 캠; 제1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되는 몸체와, 전면 플레이트와 소정 각도(α)를 이루는 경사면을 갖도록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록킹레버; 및 수용부에 수용되어 본체 상부에 구비된 제2회전축 상에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에는 캠과 접하는 안내면이 형성되어 일측면이 수용부의 내측 일면에 밀착하거나 밀착 해제됨으로써 안전벨트를 록킹하거나 록킹 해제하는 밀착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이격부에 끼워진 안전벨트가 록킹레버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소정 각도(α)는 40°~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록킹장치는 록킹레버의 배면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 및 걸림돌기와 접하여 록킹레버의 록킹 위치 또는 록킹 해제 위치를 결정하도록 전면 플레이트에 돌출형성되는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를 더 구비한다. 이때, 록킹레버의 록킹 위치와 록킹 해제 위치가 80°~ 100°의 각도(β)를 이루도록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가 전면 플레이트에 돌출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록킹장치는 밀착부재의 일측면과 수용부의 내측 일면은 밀착부재가 수용부의 내측 일면에 밀착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그리고, 밀착부재의 일측면과 수용부의 내측 일면에는 각각 이격부에 끼워진 안전벨트를 절곡하는 안전벨트 절곡돌기가 엇갈리게 형성된다.
나아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록킹장치는 밀착부재를 밀착 해제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때, 탄성부재는 제2회전축 상에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밀착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수용부의 일측에 의해 지지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다.
이상과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는 록킹레버의 손잡이가 전면 플레이트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를 록킹레버의 배면에 두어 록킹레버의 회전반경을 짧게 함으로써 이격부에 끼워진 안전벨트에 의해 록킹레버의 회전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유아용 카시트의 장착이나 탈거가 간편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는 밀착부재가 안전벨 트를 균일하게 가압할 뿐만 아니라 안전벨트를 절곡시킴으로써 밀착부재와 안전벨트 사이의 마찰력이 현저하게 증가된다. 이로 인해 큰 충격에 의한 안전벨트의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유아용 카시트가 더욱 확고하게 고정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록킹 해제를 위해 탄성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밀착부재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시키고, 밀착부재에 보다 큰 힘을 가하여 안전벨트를 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록킹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조립사시도(해제상태)이고, 도 7a는 록킹레버의 측면도이고, 도 7b는 록킹레버의 배면도이고, 도 8a는 벨트 록킹장치(해제상태)의 배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b는 벨트 록킹장치(잠김상태)의 배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안전벨트 절곡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록킹장치(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10), 캠(120), 록킹레버(130), 제1회전축(140), 밀착부재(150), 제2회전축(160)으로 구성된다. 이때 본체(110), 캠(120), 록킹레버(130) 및 밀착부재(150) 각각은 강화 플라스틱 소재 또는 알루미늄합금 등을 사출하여 일 체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록킹장치(100)는 유아용 카시트의 배면에 형성된 벨트통로의 양측 상단에 한 쌍이 고정설치된다.
본체(110)는 캠(120)과 밀착부재(150)가 수용되는 "∩" 형상의 수용부(112)와, 수용부(112)의 전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전면 플레이트(116)로 이루어진다. 전면 플레이트(116)에는 도 8a 및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2)의 내측 일면(114)로부터 소정의 간격, 즉 차량의 안전벨트를 끼울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둔 이격부(11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격부(118)의 길이는 펴진 상태의 안전벨트가 완전하게 끼워지도록 안전벨트의 폭 보다 조금 더 길다.
캠(120)은 종동절인 밀착부재(150)를 운동시키는 원동절이다. 캠(120)은 본체(110) 하부에 구비되는 제1회전축(140) 상에 고정되어 제1회전축(140)과 함께 회전한다. 제1회전축(1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단면을 갖고, 캠(120)은 제1회전축(140)에 끼워질 수 있는 사각의 구멍을 갖는다.
록킹레버(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축(140)의 일단에 고정되는 몸체(132)와, 몸체(132)에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135)로 구성된다. 록킹레버(130)는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플레이트(116)에 형성된 관통홀(117)에 의해 지지되는 록킹레버 축(133)이 몸체(132)의 배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록킹레버 축(133)에는 제1회전축(140)의 일단이 삽입고정되는 사각형상의 제1회전축 삽입홈(13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록킹레버(130)와 캠(120)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록킹레버(130)가 회전함에 따라 제1스토퍼(172)와 제2스토퍼(174)와 접하게 되는 걸림돌기(136)가 몸체(132)의 배면에 돌출형성된다. 한 편, 손잡이(135)는 도 6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플레이트(116)와 소정 각도의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135a)을 갖도록 몸체(132)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소정의 각도(α)는 40°~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밀착부재(150)는 상술된 캠(60)의 종동절로서 이격부(118)에 끼워지는 안전벨트를 안전벨트를 밀착하거나 밀착 해제하게 된다. 밀착부재(150)의 일단은 본체(110) 상부에 구비되는 제2회전축(160)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캠(120)과 접하는 안내면(1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면(152)의 반대측은 도 8a 및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재(150)가 제2회전축(16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수용부(112)의 내측 일면(114)과 마주보게 되는 밀착면(154)을 갖는다. 이때, 밀착부재(150)의 밀착면(154)과 수용부(112)의 내측 일면(114)은 밀착부재(150)가 수용부(112)의 내측 일면(114)에 밀착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재(150)의 밀착면(154)에는 밀착부재(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안전벨트 절곡돌기(156)가 형성된다.
한편, 수용부(112)의 내측 일면(114)에는 도 8a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재(150)에 형성된 제1안전벨트 절곡돌기(156)와 엇갈리게 형성되는 제2안전벨트 절곡돌기(115)가 형성된다. 이때,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재(150)의 밀착면(154)에 소정 간격을 둔 한 쌍의 제1안전벨트 절곡돌기(156)가 형성되고, 한 쌍의 제1안전벨트 절곡돌기(156)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제2안전벨트 절곡돌기(1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재(150)의 밀착면(154)과 수용부(112)의 내측 일면(114)에 제1안전벨트 절곡돌기(156)와 제2안전벨트 절곡돌기(115)가 각각 1개씩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토퍼(172)와 제2스토퍼(174)는 록킹레버(130)의 록킹 위치 또는 록킹 해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록킹레버(130)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36)의 양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전면 플레이트(116)에 돌출형성된다. 제1스토퍼(172) 및 제2스토퍼(17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상의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달리 따로따로 구분되어 전면 플레이트(116)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레버(130)의 회전범위, 즉 록킹레버(130)의 록킹 위치 및 록킹 해제 위치가 80°~ 100°의 각(β)을 이루게 하는 위치에 제1스토퍼(172)와 제2스토퍼(174)가 형성된다.
탄성부재(180)는 밀착부재(150)의 밀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밀착부재(150)에 탄성력을 가하는 작용을 한다. 이때, 탄성부재(1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일단이 밀착부재(150)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수용부(112)의 일측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2회전축(160) 상에 설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8a는 벨트 록킹장치(100)의 록킹 해제 상태를 나타내고, 도 8b는 벨트 록킹장치(100)의 록킹 상태를 나타낸다.
벨트 록킹장치(100)의 록킹 해제 상태는 록킹레버(130)의 배면에 형성된 걸 림돌기(136)의 일측면이 도 5에 도시된 제1스토퍼(172)와 접하게 되어 록킹레버(130)는 도 6에 도시된 상태와 같고, 캠(120)은 도 8a에 도시된 상태와 같다. 이때, 밀착부재(150)는 탄성부재(180)의 탄성력에 의하여 캠(120)의 일측면을 미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벨트 록킹장치(100)의 록킹 해제 상태에서 안전벨트의 어깨끈을 이격부(118)에 끼우거나 빼게 된다. 그리고, 끼워진 안전벨트를 록킹시키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록킹레버(130)를 β각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록킹레버(130)의 몸체(132)는 직경이 작은 원판 형상를 갖고, 손잡이(135)의 경사면(135a)는 전면 플레이트(116)와 소정의 각도(α)를 이루어 몸체(132)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기 때문에 이격부(180)에 끼워진 안전벨트가 록킹레버(13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유를 자세히 설명하면, 안전벨트의 어깨끈은 보통 차량의 내부 상측에서 인출되어 이격부(180)에 기울어진 상태로 끼워지게 되는데 손잡이(135)가 40°~ 60°의 경사각(α)을 갖고 있어 기울어진 안전벨트에 걸리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록킹레버(130)의 몸체(132)는 직경이 작아서 종래에 비해 회전반경이 훨씬 짧기 때문이다. 또한, 이로 인해 록킹레버(130)의 회전시 안전벨트를 구부리거나 접을 필요가 없어 유아용 카시트의 장착이나 탈거가 간편하게 된다.
한편, 록킹레버(130)는 배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36)의 일측면이 제2스토퍼(174)과 접하게 됨으로써 록킹 위치에 오게 된다. 이때, 록킹레버(130)와 일체로 회전하는 캠(120)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재(150)의 안내면(152)을 수직으로 밀게 되고, 밀착부재(150)가 수용부(112)의 내측 일면(114) 방향으로 회 전하게 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190)를 밀착하게 된다. 이때, 밀착부재(150)는 타단부에 하나의 안내면(152)을 갖고 있어 타단부의 두께를 종래에 비해 두껍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캠(120)이 밀착부재(150)에 보다 큰 힘을 가할 수 있게 되어 안전벨트(190)가 더욱 확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밀착부재(150)의 밀착면(154)과 수용부(112)의 내측 일면(114)은 평행한 상태에서 안전벨트(190)를 균일하게 가압하게 되므로 종래에 비해 밀착부재(150)와 안전벨트(190)의 마찰력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도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재(150)의 밀착면(154)과 수용부(112)의 내측 일면(114)에 각각 형성된 안전벨트 절곡돌기(156,115)는 이격부(118)에 끼워진 안전벨트(190)를 절곡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밀착부재(150)와 안전벨트(190) 사이의 마찰력이 현저하게 증가하게 된다. 이는 차량의 코너링, 급정거 또는 충돌시에도 안전벨트(190)의 미끄러짐이 철저하게 방지됨으로써 어떠한 상황에서도 유아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벨트 록킹장치(100)는 록킹 해제과정은 다음과 같다. 록킹 위치에 있는 록킹레버(13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밀착부재(150)가 캠(120)의 일단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가 해제되고, 탄성부재(180)의 탄성력에 의하여 밀착부재(150)가 수용부(112)의 내측 일면(114)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록킹레버(130)는 록킹레버(130)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36)가 제2스토퍼(174)와 접하게 됨에 따라 록킹 해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가 장착된 유아용 카시트의 설치상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벨트 록킹장치(해제상태)의 사시도.
도 3a는 종래기술에 따른 벨트 록킹장치(해제상태)의 배면도.
도 3b는 종래기술에 따른 벨트 록킹장치(잠김상태)의 배면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벨트 록킹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립사시도(해제상태).
도 7a는 록킹레버의 측면도.
도 7b는 록킹레버의 배면도.
도 8a는 벨트 록킹장치(해제상태)의 배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b는 벨트 록킹장치(잠김상태)의 배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안전벨트 절곡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벨트 록킹장치 110 : 본체
112 : 수용부 114 : 수용부의 내측 일면
115 : 제2안전벨트 절곡돌기 116 : 전면 플레이트
118 : 이격부 119 : 볼트공
120 : 캠 130 : 록킹레버
132 : 몸체 133 : 록킹레버 축
134 : 제1회전축 삽입홈 135 : 손잡이
136 : 걸림돌기 140 : 제1회전축
150 : 밀착부재 152 : 안내면
154 : 밀착면 156 : 제1안전벨트 절곡돌기
160 : 제2회전축 172 : 제1스토퍼
174 : 제2스토퍼 180 : 탄성부재
190 : 안전벨트

Claims (8)

  1. 차량의 안전벨트가 두께방향으로 삽입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전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전면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전벨트를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측 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둔 이격부가 상기 전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 구비된 제1회전축 상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캠;
    상기 제1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소정 각도(α)를 이루는 경사면을 갖도록 상기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록킹레버;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본체 상부에 구비된 제2회전축 상에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캠과 접하는 안내면이 형성되어 일측면이 상기 수용부의 내측 일면에 밀착하거나 밀착 해제됨으로써 상기 안전벨트를 록킹하거나 록킹 해제하는 밀착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이격부에 끼워진 안전벨트가 상기 록킹레버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α)는 40°~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 트 록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레버의 배면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와 접하여 상기 록킹레버의 록킹 위치 또는 록킹 해제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전면 플레이트에 돌출형성되는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레버의 록킹 위치와 록킹 해제 위치가 80°~ 100°의 각도(β)를 이루도록 상기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가 상기 전면 플레이트에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의 일측면과 상기 수용부의 내측 일면은 상기 밀착부재가 상기 수용부의 내측 일면에 밀착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의 일측면과 상기 수용부의 내측 일면에는 각각 상기 이격부에 끼워진 안전벨트를 절곡하는 안전벨트 절곡돌기가 엇갈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를 밀착 해제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회전축 상에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밀착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의해 지지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
KR2020090005758U 2009-05-13 2009-05-13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 KR2004558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758U KR200455822Y1 (ko) 2009-05-13 2009-05-13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758U KR200455822Y1 (ko) 2009-05-13 2009-05-13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348U true KR20100011348U (ko) 2010-11-23
KR200455822Y1 KR200455822Y1 (ko) 2011-09-27

Family

ID=44204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758U KR200455822Y1 (ko) 2009-05-13 2009-05-13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8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5268A (zh) * 2012-11-20 2013-02-20 青岛亿和海丽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可收纳缓降器安全带
KR20130125725A (ko) * 2012-05-09 2013-11-19 브리택스 차일드케어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안전 의자용 안전 벨트 록-오프
KR101523833B1 (ko) * 2013-01-14 2015-06-01 이지영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락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720Y1 (ko) 2005-06-17 2005-09-13 이지홍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세트클립
KR200397361Y1 (ko) 2005-07-02 2005-10-04 이지홍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5725A (ko) * 2012-05-09 2013-11-19 브리택스 차일드케어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안전 의자용 안전 벨트 록-오프
CN102935268A (zh) * 2012-11-20 2013-02-20 青岛亿和海丽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可收纳缓降器安全带
KR101523833B1 (ko) * 2013-01-14 2015-06-01 이지영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822Y1 (ko) 201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542B1 (ko) 개선된 설치를 위한 벨트 텐셔닝기구를 구비한 차일드시트
ES2719500T3 (es) Silla para niños orientable hacia adelante y atrás con mecanismo de tensionamiento de cinturón para una instalación mejorada
JP5600809B2 (ja) 車両シート用ラッチ及び車両シート
JP2671970B2 (ja) 留金組立体
CN111845480B (zh) 侧撞保护机构及儿童安全座椅
JP2013538741A5 (ko)
KR200455822Y1 (ko)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
ES2306001T3 (es) Asiento infantil para vehiculo asi como chasis adecuado para dicho asiento infantil para vehiculo.
GB2488672A (en) Anchor attachment structure for child safety seat
JP2005016299A (ja) 第1の要素を第2の要素にロック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このロックシステムを備えたシート
KR200458152Y1 (ko)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
JPH04506619A (ja) 衝撃安全装置を持つ安全ベルトバツクル
JPS6488Y2 (ko)
JP2008265484A (ja) ロック装置
KR101459664B1 (ko) 쇼크프루프 장치가 구비된 시트벨트의 버클
US20240083309A1 (en) Safety belt clamping device and child seat for vehicle
GB2488671A (en) Child safety seat and anchor attachment structure
JP4439647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固定装置
KR20090044673A (ko)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
KR100893078B1 (ko) 차량용 더블 폴딩 시트의 폴딩장치
KR101653705B1 (ko) 차량 팔걸이 조립체용 클러치 장치
KR100550403B1 (ko) 차량용 콘솔의 잠금장치
KR20090044671A (ko)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
KR101210220B1 (ko) 드럼 타입 시트 백 리클라이너
JPH08207704A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