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178A -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178A
KR20100011178A KR1020080072290A KR20080072290A KR20100011178A KR 20100011178 A KR20100011178 A KR 20100011178A KR 1020080072290 A KR1020080072290 A KR 1020080072290A KR 20080072290 A KR20080072290 A KR 20080072290A KR 20100011178 A KR20100011178 A KR 20100011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electric railway
work vehicle
door
safet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2442B1 (ko
Inventor
박종국
Original Assignee
투아이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투아이시스(주) filed Critical 투아이시스(주)
Priority to KR1020080072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44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07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72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본체의 상부에 전차선 또는 조가선의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대가 구비되며, 상기 차량본체에서 상기 작업대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계단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계단에는 통행을 제한하는 출입문이 구비되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승강계단을 통해 작업대로 진입 또는 퇴장하고자 접근하는 작업자를 검지하는 출입검지수단과; 상기 전차선의 집전유무를 검지하는 급전검지수단과; 상기 출입문의 일측에 구비되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해정되는 디지털도어록과; 상기 출입검지수단으로 부터 작업자의 진입검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전검지수단을 통해 급전검지신호가 입력유무를 감시하고, 상기 급전검지수단을 통해 급전검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도어록의 해정을 차단하는 제어부과; 상기 제어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차선을 통해 특고압 전원이 집전중인 경우에는 작업자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무단으로 진입하려는 경우에도 작업대 진입을 원천 차단함으로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기철도, 작업차, 출입문, 급전

Description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 { safety system of electric railroad working car }
본 발명은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기철도의 전차선이 급전상태인 경우에는 전차선 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작업차의 작업대에 진입하기 위한 통로로 이용되는 승강계단을 통해 진입하는 것을 원천 차단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철도는 레일상에 일정높이로 전차선이 가선되어 전차선로상을 이동하는 전동차의 집진장치인 팬터그래프(Pantograph)를 통해 전동차로 전기를 공급하여 전동차를 운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차선은 레일의 궤도면상에서 조가선에 의해 그 높이가 수평방향으로 일정하게 지지된다.
한편, 계절적인 요인이나 온도 또는 습도 조건 변화에 따라 집전성능이 떨어 지거나 고장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에 의한 신속한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이때, 레일이 설치된 궤도면상에서 상당히 높은 위치에 전차선과 조가선 및 각종 지지물이 설치되어 있어 이들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이 쉽지 않아 이를 편리하게 작업하기 위해 작업차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 일반적인 작업차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1)의 상부에서 견인차(미도시됨)에 의해 이동되는 것으로, 차량본체(10)의 중앙 상부에 작업자가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대(20)가 구비되며, 상기 작업대(20)는 승강수단(30)에 의해 그 승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본체(10)의 상부에는 상기 작업대(20)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계단(40)이 연결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차량본체(10)에서 작업대(30)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승강계단(40)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작업차에는 승강계단(40)에 일반 자물쇠에 의해 잠금 또는 해제가 가능한 도어(미도시됨)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나, 작업자가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이동하는 경우 도어의 자물쇠를 열쇠로만 해제하게 되면 아무런 제약이 없이 작업대(20)로 진입이 가능하여 이 역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작업차가 작업대(20)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전차선(2)을 통 한 급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전차선(2)이나 조가선(3) 등의 유지보수를 하는 작업자의 감전사고의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작업자의 안전모에 집전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검전기 및 부저가 구비되고 있으나, 이는 전차선에 일정거리 이내로 작업자가 접근해야 전차선의 급전 유무를 검지할 수 있고 검지된 경우에 부저가 울리는 구성으로 인해 이 역시 감전사고의 위험으로 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차선을 통해 급전시에는 작업차의 작업대로 작업자가 진입하는 것을 원천 차단하여 작업자의 감전사고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별도의 열쇠 등이 필요 없고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도 작업대에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은, 작업대, 승강계단, 및 출입문이 구비되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승강계단을 통해 작업대로 진입 또는 퇴장하고자 접근하는 작업자를 검지하는 출입검지수단과; 상기 전차선의 집전유무를 검지하는 급전검지수단과; 상기 출입문의 차단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은, 상기 출입문의 일측에 구비되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해정되는 디지털도어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출입검지수단은 상기 승강계단의 발판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진입 또는 퇴장을 감지하는 발판 스위치이거나, 상기 출입검지수단은 상기 출입문의 전면에 설치되어 작업자나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계단은 그 양측에 작업자가 이동시에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용 펜스가 더 구비되고, 상기 펜스의 사이에 상기 출입문이 설치되며, 상기 출입문의 전면 일측에 디지털도어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출입검지수단으로부터 작업자의 진입검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전검지수단을 통해 급전검지신호가 입력유무를 감시하고, 상기 급전검지수단을 통해 급전검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도어록의 해정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은 상기 출입문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급전검지수단은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전차선과 비접촉되게 설치되는 2개 이상의 검전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전차선으로의 급전 또는 단전상태에 따라 진입하려고 하는 작업자에게 음성안내를 하기 위한 스피커,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전차선으로의 급전 또는 단전상태에 따라 진입 가능/불가능을 표시하도록 점멸되는 경광등,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전차선으로의 급전 또는 단전상태를 복수개의 LED를 이용해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출입문의 일측에는 검전기, 경광등, 스피커, 표시장치, 디지털 도어락을 동작시켜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진단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작업자의 출입을 상시(常時) 감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는 작업자를 감지하기 위한 작업자검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상기 작업대에 작업자가 감지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스피커를 통해 안내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계단의 후측 상단에는 작업대에서 유지보수 작업을 마친 작업자가 퇴장시에 출입문에 구비되는 디지털도어록을 해정시키기 위한 퇴장버튼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차선을 통해 특 고압 전원이 집전중인 경우에는 작업자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무단으로 진입하려는 경우에도 작업대 진입을 원천 차단함으로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작업자가 유지보수 작업시에 안전을 위해 별도의 검전기가 구비된 안전모나 열쇠 등을 보유할 필요가 없이 간단히 버튼 조작만으로도 작업대에 안전하게 진입 및 퇴장할 수 있어 효율적인 유지보수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작업차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승강계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에서 작업자가 진입 및 퇴장하는 상태가 간략히 도시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안전 시스템의 발판 스위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7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스템이 구비되는 전기철도용 작업차는 레일(1)의 상부를 따라 견인차에 의해 이동되는 것으로, 차량본 체(10)의 중앙 상부에 작업자가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승강 가능한 작업대(20)가 구비되며, 상기 작업대(20)의 하부에는 상기 작업대(20)를 전차선 또는 조가선 등의 작업을 위한 적정한 높이로 조정할 수 있는 승강수단(30)이 구비되며, 상기 차량본체(10)에서 상기 작업대(20)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계단(40)이 연결 구비된다.
한편, 상기 승강계단(40)은 그 양측에 작업자가 이동시에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용 펜스(4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펜스(42)의 사이에는 출입문(10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출입문(100)은 펜스(42)에 고정되는 문틀(102) 일측에 힌지 고정되어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전면에는 개방이 용이하도록 손잡이(104)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출입문(100)의 전면에는 승강계단(40)을 통해 작업대(20)로 진입하고자 접근하는 작업자를 감지하는 출입검지수단(140)이 근접센서(110)이고, 상기 출입문(100)의 일측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해정되어 출입문(100)을 개방할 수 있고 출입문(100)을 닫으면 자동으로 쇄정되어 출입문(100)이 폐쇄되도록 하는 디지털도어록(12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근접센서(110)는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공지(公知)의 적외선센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다양한 인체감지용 센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작업대(20)의 상부에는 전차선(2)과 비접촉되는 일정거리(예를 들어, 1m 이내의 거리) 이격된 곳에 설치되어 전차선(2)을 통해 특고압인 25kv가 급전되고 있는지 또는 단전되고 있는지를 감시하는 급전검지수단(13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급전검지수단(130)은 공지(公知)의 검전기(132,133)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검전기(132,133)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어느 하나 이상의 검전기(132,133)로 부터 급전상태가 검지되면 전차선을 통해 급전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검전기(132,133)는 적어도 2개 이상을 사용하여 어느 하나의 검전기(132 또는 133)가 오작동 또는 고장을 일으켜 급전상태임에도 단전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진입하는 상기 출입문(100)의 외부에는 출입검지수단(140)으로 제1 및 제2 발판스위치(141, 142)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승강계단(40)을 통해 상기 출입문(100)에 접근하는지에 대한 진입검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시하며, 상기 진입검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전검지수단(130)을 통해 급전검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시하게 되며, 상기 급전검지수단(130)을 통해 급전검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도어록(120)의 해정을 차단하는 제어부(15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출입문(100)의 내부에 위치한 승강계단(40)의 발판에는 제3 발판 스위치(143)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대에서 내려와 퇴장하는 것을 인지하여 퇴장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상기 출입검지수단(140)은 근접센서(110)를 이용한 방식, 제1 내지 제3 발판스위치(141, 142, 143)를 이용한 방식, 또는 상기 근접센서(110)와 발 판스위치(141, 142, 143)를 모두 이용한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출입을 검지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출입검지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발판 스위치(141,142, 14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계단(40)에 설치되는 몸체(201)와, 상기 몸체(201) 내부에 작업자의 접촉 또는 하중을 감지하여 진입검지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감지스위치(202)와, 상기 감지스위치(202)를 고정하는 고정밴드(203)와, 상기 몸체(201)의 상부에 감지스위치(202)와 고정밴드(203)를 커버하는 상판고무(204)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 스위치(202)는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여러 개를 설치하여 상기 승강계단(40)의 모든 영역을 감지 영역으로 확보함으로써 작업자가 승강계단(40)의 어떤 부분을 밟더라도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발판 스위치(141,142, 143)는 상기 제어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감지스위치(202)의 진입검지신호가 상기 제어부(150)에 전달되도록 내부 결선 및 배선 처리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및 제2 발판스위치(141, 142) 또는 근접센서(110)를 통해 작업자가 출입문(100)에 접근하였는지에 대한 진입검지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급전검지수단(130)을 통해 급전검지신호가 검지되지 않으면 단전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디지털도어록(120)의 비밀번호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150)가 일정한 메모리가 내장된 공지(公知)의 마이콤(미도 시됨)으로 구성하고 제어박스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에 내장된 제어박스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출입문(100)에 접근하여 인지된 상태에서, 전차선(2)이 급전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적색"으로 점멸되고, 단전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녹색"으로 점멸되는 경광등(172)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이 제어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이 내장된 제어박스의 일측에는 전차선(2)으로의 급전상태와 단전상태를 구별하여 진입하려고 하는 작업자에게 음성안내를 하기 위한 스피커(173)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피커(173)의 안내방송은 상기 제어부(150)의 메모리(미도시됨)에 저장된 것을 사용하며, 그 음량은 작업대(20)가 승강중인 경우 적어도 출입문(100)의 전방 1m 이내에서 명확하게 들을 수 있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피커(173)를 통해 음성출력되는 안내방송은 급전상태에서는 "급전상태입니다. 진입할 수 없습니다."를 방송하여 작업자가 작업대에 진입할 수 없도록 하며, 단전상태에서는 작업대에 진입이 가능하도록 "급전상태를 확인하고 작업하시기 바랍니다."를 방송하여 작업자가 작업대에 진입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출입문(100)이 개방된 상태로 일정시간(예를 들어, 10초 이상) 유지되는 경우 또는 작업대(20)에서 퇴장하는 경우에는 관계자외의 출입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을 위해 출입문을 필히 닫아주십시오"라고 방송한다.
또한, 상기 출입문(100)의 전면에는 복수 개의 LED를 이용하여 급전상태에서는 "급전중"이라고 표시하고, 단전 상태에서는 "단전"이라고 표시하는 표시장 치(171)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승강계단(40)의 펜스(42) 후측 상단에는 퇴장버튼(190)이 더 구비되어, 작업대(20)에서 유지보수 작업을 마친 작업자가 퇴장시에 출입문(100)에 구비되는 디지털도어록(120)을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간단히 퇴장버튼(190)을 눌러주는 단순 동작에 의해 출입문(100)의 디지털도어록(120)을 해정시켜 출입문(100)을 간편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퇴장버튼(190)을 누르지 않더라도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3 발판스위치(143)의 퇴장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출입문(100)의 디지털도어록(120)을 자동으로 해정시켜 출입문(100)이 개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출입문(100)의 일측에는 검전기(132, 133) 동작, 경광등(172)의 점멸, 스피커(173)의 1회 방송, 표시장치(171)의 LED 점멸, 디지털 도어락(120)을 동작시켜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진단 스위치(18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작업자가 제1 및 제2 발판스위치(141, 142)를 밟고, 상기 근접센서(110)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진단 스위치(180)를 누르게 되면, 상기 진단 스위치(180)가 동작되어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15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160)은 상시(常時) 작업자의 출입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터리(162)에 의한 전원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경우 상기 배터리(162)는 작업대(2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의 배터 리 전원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162)의 충전 전원은 태양전지(161)를 통해 생성되는 전원을 이용하거나,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며, 상기 배터리(162)의 전원은 적어도 3일 이상 지속이 가능한 용량을 가지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작업대(20)의 상부에는 별도의 작업자검지수단(195)이 더 구비된다.
이를 통해 갑작스런 급전상태로 인해 급전검지수단(130)으로 부터 급전검지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작업자검지수단(195)을 통해 작업대(20)에 작업자가 감지되는 경우 스피커(173)를 통해 작업대(20)에서 유지 보수작업을 하는 작업자에게 "현재 급전중입니다."라는 안내음성을 방송해서 작업자가 이에 대처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작업자검지수단(195)은 적외선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인체감지센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은 작업자의 출입 검지를 위한 출입검지수단(140)으로 근접센서(110) 또는 제1 내지 제3 발판스위치(141, 142, 143)가 설치된다.
따라서, 전기철도용 작업차를 이용하여 전차선(2)이나 조가선(3) 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자가 차량본체(10)의 작업대(20)로 이동하기 위해 승강계단(40)을 밟게되면 제1 및 제2 발판스위치(141, 142)가 동작되고, 상기 작업자가 출입문(100)에 접근하면 근접센서(110)에 의해 작업자의 접근이 감지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발판스위치(141, 142) 또는 상기 근접센서(110)의 진입검지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150)는 급전검지수단(130)인 검전기(132,133)로부터 급전 또는 단전상태를 검지하게 된다.
즉, 급전검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스피커(173)를 제어하여 "급전상태입니다. 진입할 수 없습니다."를 방송함과 동시에 경광등(172)을 구동하여 "적색"으로 점멸 구동하여 작업자가 작업대에 진입할 수 없도록 경고하고, 일정시간 후 안내방송 및 경광등의 구동을 정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출입문(100)의 전면에 위치한 표시장치(171)를 통해 현재 "급전중"임을 표시하여 작업자가 급전 상태를 확실히 인지하도록 한다.
이때, 이와 같은 경고에도 불구하고 작업자가 무단으로 디지털도어록(120)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더라도 제어부(150)에 의해 해정이 차단되어 출입문(100)은 개방되지 않게 된다.
한편, 급전검지수단(130)인 검전기(132,133)로 부터 급전검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50)는 단전상태로 판단하여 스피커(173)를 제어하여 작업대(20)에 진입 가능하도록 "급전상태를 확인하고 작업하시기 바랍니다."를 방송함과 동시에 경광등(172)을 구동하여 "녹색"으로 점멸 구동하고, 표시장치(171)도 단전 상태를 표시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안내방송 및 경광등(172)의 구동을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디지털도어록(120)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해정되어 출입문(100)은 개방이 가능해지며, 작업자는 손잡이(104)를 잡아당겨 출입문(100)을 개방하고 승강계단(40)을 통과하게 된다.
이 경우, 작업자가 출입문(100)을 통과한 후, 출입문(100)을 닫지 않아 개방된 상태로 일정시간(예를 들어, 10초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 출입문을 필히 닫아주십시오"라고 방송하여 작업자가 출입문(100)을 닫도록 유도한다.
한편,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작업대(20)에 진입한 작업자가 작업을 마친 경우, 작업자가 출입문(100)을 향해 내려오기 위해 제3 발판스위치(143)를 밟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3 발판스위치(143)는 작업자의 퇴장감지신호를 제어부(150)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150)는 퇴장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작업자의 퇴장을 위해 출입문(100)의 디지털도어록(120)을 해정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별도의 퇴장 동작을 하지 않더라도 출입문(100)의 손잡이(104)를 열고 퇴장할 수 있다.
상기 제3 발판스위치(143)가 제대로 동작되지 않거나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승강계단(40)의 상측에 구비되는 퇴장버튼(190)을 눌러주면 출입문(100)의 디지털도어록(120)을 간단히 해정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퇴장버튼(190)을 누르게 되면 디지털도어록(120)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해정시키게 된다.
상기 과정을 거쳐 작업대(20)로부터 퇴장한 후, 출입문(100)을 닫지 않아 개방된 상태로 일정시간(예를 들어, 10초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50) 은 "안전을 위해 출입문을 필히 닫아주십시오"라고 방송하여 작업자가 출입문(100)을 닫도록 유도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전기철도용 작업차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작업차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승강계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에서 작업자가 진입 및 퇴장하는 상태가 간략히 도시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안전 시스템의 발판 스위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레일 10: 차량본체
20: 작업대 30: 승강수단
40: 승강계단 42: 보호용 펜스
100: 출입문 110 : 근접센서
120 : 디지털도어록 130 : 급전검지수단
141, 142, 143 : 제1 내지 제3 발판스위치 150 : 제어부
160 : 전원공급수단 171 : 표시장치
172 : 경광등 173 : 스피커
180 : 진단 스위치 190 : 퇴장버튼

Claims (15)

  1. 작업대, 승강계단, 및 출입문이 구비되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승강계단을 통해 작업대로 진입 또는 퇴장하고자 접근하는 작업자를 검지하는 출입검지수단과;
    상기 전차선의 집전유무를 검지하는 급전검지수단과;
    상기 출입문의 차단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일측에 구비되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해정되는 디지털도어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검지수단은 상기 승강계단의 발판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진입 또는 퇴장을 감지하는 발판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검지수단은 상기 출입문의 전면에 설치되어 작업자나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계단은 그 양측에 작업자가 이동시에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용 펜스가 더 구비되고, 상기 펜스의 사이에 상기 출입문이 설치되며, 상기 출입문의 전면 일측에 디지털도어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출입검지수단으로부터 작업자의 진입검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전검지수단을 통해 급전검지신호가 입력유무를 감시하고, 상기 급전검지수단을 통해 급전검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도어록의 해정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은 상기 출입문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검지수단은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전차선과 비접촉되게 설치되는 2개 이상의 검전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전차선으로의 급전 또는 단전상태에 따라 진입하려고 하는 작업자에게 음성안내를 하기 위한 스피커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전차선으로의 급전 또는 단전상태에 따라 진입 가능/불가능을 표시하도록 점멸되는 경광등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전차선으로의 급전 또는 단전상태를 복수개의 LED를 이용해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
  12. 제 1항, 제9항, 제10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일측에는 검전기, 경광등, 스피커, 표시장치, 디지털 도어락을 동작시켜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진단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작업자의 출입을 상시(常時) 감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는 작업자를 감지하기 위한 작업자검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상기 작업대에 작업자가 감지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스피커를 통해 안내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계단의 후측 상단에는 작업대에서 유지보수 작업을 마친 작업자가 퇴장시에 출입문에 구비되는 디지털도어록을 해정시키기 위한 퇴장버튼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
KR1020080072290A 2008-07-24 2008-07-24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장치 KR100992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290A KR100992442B1 (ko) 2008-07-24 2008-07-24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290A KR100992442B1 (ko) 2008-07-24 2008-07-24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178A true KR20100011178A (ko) 2010-02-03
KR100992442B1 KR100992442B1 (ko) 2010-11-05

Family

ID=4208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290A KR100992442B1 (ko) 2008-07-24 2008-07-24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4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020U (ko) * 2014-12-03 2016-06-14 서울메트로 검수고의 옥상점검대 자동 잠금장치
KR20170092855A (ko) * 2016-02-04 2017-08-14 투아이시스(주) 활선 표시 장치
CN108621864A (zh) * 2018-06-19 2018-10-09 宝鸡中车时代工程机械有限公司 带检修平台的接触网检修作业车用室外机器间
WO2023017482A1 (en) * 2021-08-13 2023-02-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terlocking system for an access-controlled are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25Y1 (ko) 2013-09-30 2015-01-30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전차선 단로기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927Y1 (ko) 2003-02-14 2003-05-22 최재관 전차선 보조작업차
KR100826831B1 (ko) 2007-01-24 2008-05-06 (주)에스디시스템 출입자의 무게 감지를 이용한 자동문 개폐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020U (ko) * 2014-12-03 2016-06-14 서울메트로 검수고의 옥상점검대 자동 잠금장치
KR20170092855A (ko) * 2016-02-04 2017-08-14 투아이시스(주) 활선 표시 장치
CN108621864A (zh) * 2018-06-19 2018-10-09 宝鸡中车时代工程机械有限公司 带检修平台的接触网检修作业车用室外机器间
WO2023017482A1 (en) * 2021-08-13 2023-02-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terlocking system for an access-controlled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2442B1 (ko) 201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442B1 (ko)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장치
ES2394901T3 (es) Escalera mecánica o pasillo rodante
CN204173690U (zh) 电梯自救装置
CN102343854A (zh) 电力电缆交流耐压试验车
KR101940649B1 (ko) 구조가 간단한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US20230159064A1 (en) Cableway Station Having a Safety Barrier
CN205312835U (zh) 一种安装在楼梯扶手处的电动升降平台车
CN206155382U (zh) Aps汽车安全预警逃生系统
CN109052123A (zh) 一种迅速反应的防夹手乘客电梯
KR101715330B1 (ko) 엘리베이터의 피트 전용 수동 운전리모컨
CN110216618A (zh) 一种升降式跨座式单轨设备拆装小车及拆装方法
CN206522043U (zh) 一种非接触式自动门防夹控制系统
CN203173662U (zh) 电梯失控误开门保护装置
CN114263576A (zh) 升降平台及双叶轮风力发电机
JP6101411B1 (ja) 昇降装置付き乗物
KR100959337B1 (ko)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512255B1 (ko) 지하철 안전장치
JP6081559B1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点検運転用安全装置
CN216807711U (zh) 承载导向系统、升降平台及双叶轮风力发电机
CN213921038U (zh) 一种登顶作业安全保护装置及系统
JPH0728770U (ja) 車両の安全装置
CN219602986U (zh) 一种电梯故障状态下的自动应急处置装置
KR101670729B1 (ko) 바닥센서를 이용한 승강장안전시스템
CN217872428U (zh) 一种举升式安全门系统
CN203858729U (zh) 电气化铁道接触网作业车平台安全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