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855A - 활선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활선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855A
KR20170092855A KR1020160014057A KR20160014057A KR20170092855A KR 20170092855 A KR20170092855 A KR 20170092855A KR 1020160014057 A KR1020160014057 A KR 1020160014057A KR 20160014057 A KR20160014057 A KR 20160014057A KR 20170092855 A KR20170092855 A KR 20170092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ive
line
messenger wire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국
신정철
조춘상
Original Assignee
투아이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투아이시스(주) filed Critical 투아이시스(주)
Priority to KR1020160014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2855A/ko
Publication of KR20170092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02Details
    • B60M1/04Mechanical protection of line; Protection against contact by living be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8/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L8/003Converting light into electric energy, e.g. by using photo-volta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light-emitting devices, e.g. LED, optocoupl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차선의 급전 여부를 판단하여 조가선의 활선 상태를 표시하는 활선 표시 장치에 있어서, 조가선이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단면이 반구 형상인 제1 지지바를 구비하여 상기 조가선의 상측에서 지지되는 상부 브라켓; 조가선이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단면이 반구 형상인 제2 지지바를 구비하여 조가선의 하측에서 상부 브라켓과 결합되는 하부 브라켓; 조가선을 감지하여 조가선의 활선 여부를 판단하는 활선감지센서; 및 활선감지센서에서 활선 상태의 감지 신호를 전달 받아 발광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활선(전차선 또는 조가선)에서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현상을 비접촉식으로 검출하여 전차선 및 조가선의 급전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전차선 및 조가선의 급전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전차선 및 조가선의 활선 상태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전차선의 급전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이 전차선에 구비됨을 요하지 않아 전동차의 펜타그래프가 파손될 위험이 없으며, 전차선의 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급전 효율이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활선 표시 장치{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MESSENGER WIRE FOR CHECKING THE POWER SUPPLY OF THE CATENARY}
본 발명은 활선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차선 또는 조가선의 활선 여부를 표시하여 고전압의 위험을 시각적으로 인지시키는 활선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차선은 전철, 기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가공선이다. 전차선은 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전철, 기차 등의 전동차는 선로를 이동할 때 상부에 구비된 펜타그래프가 전차선과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면서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전동차가 전차선으로부터 급전시 전차선에는 고전압이 유도될 수 있다.
전동차의 급전 상태에 따라 전차선은 활선 또는 비활선 상태일 수 있다. 종래에는 전차선의 급전상태나 활선 여부를 감지하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전차선 근처에서 케이블을 작업하는 인부에게 위험을 인지시키지 못하여 감전에 따른 인명피해의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차선의 급전 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이 경우, 표시 장치는 전차선이 레일을 따라 장거리로 설치됨에 따라 넓은 구간을 커버하여 고전압의 위험여부를 인지시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전차선은 전동차의 펜타그래프와 일정거리가 유지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전차선 상에 별도로 급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조가선은 가공 전차선을 처지지 않게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조가선은 전차선과 평행하게 전차선의 위쪽에 설치된다. 이 때, 전차선과 조가선을 연결하는 드롭퍼가 일정 구간마다 설치되어 전차선이 처지지 않도록 견인한다. 조가선은 전차선과 드롭퍼를 통해 연결되며, 드롭퍼는 통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차선의 급전시 조가선에도 전류 및 전압이 유도된다.
본 출원인은 전술한 기술배경 하에 전차선이 아닌 조가선에 설치가 가능하여 전차선 및 조가선의 고전압 여부를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활선 표시 장치를 고안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2599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64391호
본 발명은 조가선에 설치되어 전차선의 급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활선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전차선 및 조가선의 활선상태를 감지하여 위험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활선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차선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가볍게 설계함으로써, 레일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장거리 설치가 가능하여 넓은 구간에 전차선 또는 조가선의 위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활선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설치된 조가선에 지지 고정되면서도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지면에서 활선상태의 위험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활선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차선의 급전 여부를 판단하여 조가선의 활선 상태를 표시하는 활선 표시 장치에 있어서, 조가선이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단면이 반구 형상인 제1 지지바를 구비하여 상기 조가선의 상측에서 지지되는 상부 브라켓; 조가선이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단면이 반구 형상인 제2 지지바를 구비하여 조가선의 하측에서 상부 브라켓과 결합되는 하부 브라켓; 조가선을 감지하여 조가선의 활선 여부를 판단하는 활선감지센서; 및 활선감지센서에서 활선 상태의 감지 신호를 전달 받아 발광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은 하부 브라켓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활선감지센서는, 활선(조가선 또는 전차선)에서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비접촉식으로 검출하여 활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브라켓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표면에 감전의 위험을 알리는 문구가 표시된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표시부는 투명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어 표면에 표시된 감전의 위험을 알리는 문구가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드러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활선 표시 장치는 상부 브라켓, 하부 브라켓, 제1 지지바, 및 제2 지지바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이고, 표시부는 아크릴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활선 표시 장치는 발광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부 브라켓의 상면에 배치되어 태양광의 집광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태양광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활선 표시 장치는 조가선과 접촉되도록 제1 지지바 및 제2 지지바의 내측에 마련되어, 조가선의 전류를 검출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보조하는 변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활선(전차선 또는 조가선)에서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현상을 비접촉식으로 검출하여 전차선 및 조가선의 급전 여부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전차선의 급전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이 전차선에 구비됨을 요하지 않아 전동차의 펜타그래프가 파손될 위험이 없으며, 전차선의 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급전 효율이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가선이 제1 지지바 및 제2 지지바를 통과하여 안착되는 구조로서 활선 표시 장치가 조가선 상에 고정되며, 전차선의 급전시 표시부의 감전의 위험을 알리는 문구가 발광되어 주변의 작업자에게 활선 여부를 쉽게 인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라켓 및 내부를 구성하는 소재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로서 무게 총량이 2kg 이하로 설계됨에 따라, 전차선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조가선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에 태양광 패널을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며, 변류기가 급전시 조가선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보조함에 따라, 일 회의 설치로 반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부가 아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되는 구조이므로 표시부의 표면에 표시된 감전의 위험을 알리는 문구의 시야각이 넓어 지상에서도 조가선의 활선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활선 표시 장치가 조가선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활선 표시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활선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활선표시장치의 표시부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활선표시장치의 표시부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활선표시장치의 태양광 패널이 별도의 가동브라켓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 표시 장치(1)가 조가선(3)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차선(5)은 전동차에 전력공급을 위해 철로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전주(9)는 철로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전차선(5)을 지지한다. 급전시 전차선(5)과 전동차의 펜타그래프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야 효율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전차선(5)을 보조하는 조가선(3)이 요구된다.
조가선(3)은 전차선(5)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다. 조가선(3)과 전차선(5)은 전주(9)의 가동 브라켓(7)으로 함께 지지될 수 있다. 조가선(3)은 일반적으로 철도 레일로부터 약 6m의 높이로 이격된다. 조가선(3)에는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드롭퍼(4)가 연결된다. 드롭퍼(4)는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조가선(3)과 전차선(5)을 연결한다. 드롭퍼(4)는 전차선(5)이 처지지 않도록 견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 표시 장치(1)는 조가선(3)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전차선(5)의 장력에 영향을 최소화하여 급전의 효율을 유지시킨다. 조가선(3)에 설치된 활선 표시 장치(1)는, 드롭퍼(4)가 통전됨에 따라 전차선(5)의 급전시 유도되는 고전압을 조가선(3)으로부터 감지할 수 있다. 이하 활선 표시 장치(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 표시 장치(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 표시 장치(1)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활선 표시 장치(1)는 상부 브라켓(10), 하부 브라켓(30), 배터리(20), 변류기(40), 발광 모듈(60), 활선감지센서(70), 태양광 패널(50), 아크릴 판(51), 및 확산 렌즈(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브라켓(10)은 조가선(3)이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단면이 반구 형상인 제1 지지바(13)를 구비하여 조가선(3)의 상측에서 지지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10)은 하부 브라켓(3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부 브라켓(10)은 하부 브라켓(30)의 일측을 기준으로, 하부 브라켓(30)의 타측을 향해 회동되면서 조가선(3)에 탈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부 브라켓(10)과 하부 브라켓(30)의 타측 간에 결합은 고정핀(P)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상부 브라켓(10)의 타측과 하부 브라켓(30)의 타측에는 서로 대응되는 핀공(11a,31a)이 형성된 고정편(11,3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공(11a,31a)을 대응시킨 후, 고정핀(P)을 핀공(11a,31a)에 통과하여 하부 브라켓(30)에 상부 브라켓(10)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부 브라켓(10)과 하부 브라켓(30)의 체결 구조는 상기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볼팅 결합을 위한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부 브라켓(10)은 무게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그의 내부는 중공(中空)으로 형성된다. 제1 지지바(13)는 상부 브라켓(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부 브라켓(10) 내부의 중공 면적을 최대로 하면서 제1 지지바(13)가 상부 브라켓(10)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브라켓(10)의 내측에 칸막이 형태의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하부 브라켓(30)은 제2 지지바(33) 및 표시부(32)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브라켓(30)의 일측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브라켓이 힌지 결합되며, 하부 브라켓(30)의 타측은 핀공(31a)을 갖는 고정편(31)을 형성한다.
하부 브라켓(30)은 조가선(3)이 제2지지바(33)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 브라켓(10)과 결합되고 고정핀(P)에 의해 조가선(3) 상에 고정 설치된다. 하부 브라켓(30) 역시 무게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그의 내부는 중공(中空)으로 형성된다. 제2 지지바(33)는 하부 브라켓(3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하부 브라켓(30) 내부의 중공 면적을 최대로 하면서 제2 지지바(33)가 상부 브라켓(30)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 브라켓(30)의 내측에 칸막이 형태의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지지바(33)는 조가선(3)이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단면이 반구 형상으로 제공된다. 제2 지지바(33)는 제1 지지바(13)와 상하 결합되어 조가선(3)이 통과하는 원통형인 관 형상의 구조를 이룬다. 결국, 결합시 조가선(3)은 삽입홀(101)을 통해 활선 표시 장치(1)를 관통하며, 활선 표시 장치(1)가 조가선(3) 상에 지지설치 된다. 이 경우, 제1 지지바(13)와 제2 지지바(33)의 내측으로 변류기(40)가 결합설치 될 수 있다.
한편, 하부 브라켓(30)의 하단부 양측에는 후술하는 표시부(32)와의 탈착을 위한 한 쌍의 슬라이딩홈부(35)가 형성된다.
한 쌍의 슬라이딩홈부(35)는 서로를 향해 슬라이딩홈(35a)을 형성하며, 하부 브라켓(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표시부(32)는 하부 브라켓(30)의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부 브라켓(30)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를 위해, 표시부(32)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슬라이더(32a)가 형성된다.
슬라이더(32a)는 슬라이딩홈부(35)의 슬라이딩홈(35a)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32a)의 길이는 슬라이딩홈부(35)의 길이에 대응되며, 슬라이더(32a)의 두께는 슬라이딩홈(35a)의 높이에 대응된다.
표시부(32)는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해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부(32)의 내부 공간에는 후술하게 될 발광 모듈(60)이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32)에는 표면에 감전의 위험을 알리는 문구가 표시된다. 일례로 감전의 위험을 알리는 문구는 전기위험이 될 수 있다. 표시부(32)는 발광 모듈(60)에서 생성된 광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투명 소재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32)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어 표면에 표시된 감전의 위험을 알리는 문구가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드러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32)의 종단면은 역사다리꼴 형상이 될 수 있다. 결국, 상부 브라켓(10), 하부 브라켓(30), 표시부(32)가 결합된 활선 표시 장치(1)의 전체 형상은 하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와 같이 윗면이 넓고, 아랫면이 좁은 구조는 상면에 부착된 태양광 패널(50)의 집광량을 최대로 하면서 고전압 위험의 표시를 넓은 시야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32)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활선 표시 장치(1)는 지상으로부터 6m 정도 이격되어 설치된다. 표시부(32)가 직육면체로 제공되어 하면에 전기위험이 표시될 경우, 활선 표시 장치(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작업자만이 경고문구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는, 표시부(32)가 직육면체이고 측면에 전기위험이 표시될 경우, 활선 표시 장치(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작업자는 경고문구를 인지할 수 없으며, 활선 표시 장치(1)와 멀리 떨어진 사용자만이 용이하게 이를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표시부(32)가 본 실시예와 같은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활선 표시 장치(1)의 주변 반경으로 넓은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활선 표시 장치(1)의 바로 아래나 인근의 작업자에게 경고문구를 쉽게 인지시킬 수 있다.
활선감지센서(70)는 전차선(5) 및 조가선(3)의 활선 상태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하여 활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활선감지센서(70)는 활선 시 전차선(5) 및 조가선(3)에서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비접촉식으로 검출하여 전차선(5) 및 조가선(3)의 활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조가선(3)은 전차선(5)의 급전시 전류, 전압이 유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차선(5) 및 조가선(3)의 전기적 특성은 AC 25kV 또는 DC 1500V의 전압이 인가되고, 무부하시 전류는 약 10A, 부하시 약 300A의 전류가 흐른다. 활선감지센서(70)는 전차선(5) 및 조가선(3)에서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비접촉식으로 검출하여 전차선(5) 및 조가선(3)의 급전 상태를 감지한다.
조가선(3)에 전압이 유도되면, 전압 변화량에 따라 제1 지지바(13), 제2 지지바(33)의 주위로 자기장이 형성된다. 활선감지센서(70)는 하부 브라켓(30)의 내측으로 제1, 2 지지바(13, 33)의 인근에 배치되어 상기 자기장을 센싱한다. 지상에서 6m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조가선(3) 상에 활선 표시 장치(1)를 결합 설치해야 하므로, 활섬감지센서(70)가 조가선(3)과 직접 접촉되어 활선상태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제공됨은 극히 불합리하기 때문에, 활선감지센서(70)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비접촉식으로 조가선(3)의 활선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활선감지센서(70)는 조가선(3)이 활선 상태인 경우, 발광 모듈(60)로 감지 신호를 전달한다.
발광 모듈(60)은 활선감지센서(70)에서 활선 상태의 감지 신호를 전달 받아 발광할 수 있다. 활선 상태의 감지 신호는 발광 모듈(6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와 같은 역할로 이해될 수 있다. 발광 모듈(60)은 표시부(32)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발광 모듈(60)은 컨트롤러(61), LED(63) 및 확산 렌즈(8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61)는 활선감지센서(70)의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LED(63)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61)는 LED(63)의 발광 정도, 발광 형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LED(63)는 급전 발광소자(63a)와, 단전 발광소자(63b)로 구성된다.
급전 발광소자(63a)는 조가선(3)이 활선 상태일 때, 컨트롤러(61)에 의해 발광되며, 표시부(32) 전체가 발광될 수 있도록 표시부(32)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급전 발광소자(63a)의 발광색은 적색임이 바람직하고, 컨트롤러(61)를 통해 수 회 점멸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단전 발광소자(63b)는 조가선(3)이 비활선 상태일 때, 발광되며, 표시부(32)의 일부만 발광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단전 발광소자(63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소자로 제공되되, 2개 정도의 소자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단전 발광소자(63b)의 발광색은 녹색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컨트롤러(61)에는 조도센서(62)가 더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조도센서(62)는 LED(63)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터리(20) 에너지 소모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즉, 조도센서(62)에 의해 주간임이 감지되면, 컨트롤러(61)는 LED(63) 밝기 출력을 100%로 제어하고, 조도센서(62)에 의해 야간임이 감지되면, 컨트롤러(61)는 LED(63) 밝기 출력을 50%로 제어하는 것이다.
야간에는 주변 조도가 낮으므로, LED(63) 밝기 출력을 낮추더라도, 표시부(32)에 대한 시인성에는 문제가 없다.
확산 렌즈(80)는 LED(63)에서 출사된 광을 하방향으로 확산 시킬 수 있다.
활선 표시 장치(1)는 조가선(3)에 설치되므로 지상에서 6m 이격된다. 이에 따라, 활선 표시 장치(1)는 지상의 작업자에게 용이하게 인지될 수 있어야 한다.
확산 렌즈(80)는 LED(63)의 광을 아래 방향으로 굴절시켜 상공으로 불필요한 광확산을 방지하며 감전의 위험을 알리는 문구를 보다 멀리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배터리(20)는 발광 모듈(6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20)는 변류기(40), 태양광 패널(50) 및 발광 모듈(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태양광 패널(50)은 상부 브라켓(10)의 상면에 배치되어 태양광의 집광으로 배터리(20)를 충전할 수 있다. 배터리(20)의 충전상태가 부족하거나 장치에 이상이 있는 경우, 컨트롤러(61)는 LED(63)를 빠르고 짧게 깜박임으로써 작업자가 이상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50)은 상부 브라켓(10)의 편평한 상면을 덮도록 마련되며, 아크릴판(51)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아크릴판(51)은 집광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투명 재질 이어야함은 당연하다.
한편, 태양광 패널(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브라켓(7)에 별도로 설치되어 태양광을 집광한 후,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여 활선표시장치(1)의 배터리(2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변류기(40)는 조가선(3)과 접촉되도록 제1 지지바(13) 및 제2 지지바(33)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변류기(40)는 조가선(3)의 전류를 검출하여 배터리(20)의 충전을 보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변류기(40)로는 계기용 변류기(CT)가 사용될 수 있다. CT는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하는 것으로,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220V는 보통 계기로 측정이 가능할지 모르나, 조가선(3)과 같이 고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직접적인 측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CT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T는 조가선(3)의 전압을 감지하는 활선감지센서(70)와 달리 조가선(3)의 전류를 감지한다. CT는 조가선(3)에 유도된 전류를 측정하여 배터리(20)로 인가하여 태양광 패널(50)의 배터리 충전을 보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활선 표시 장치(1)는 상부 브라켓(10), 하부 브라켓(30), 제1 지지바(13), 및 제2 지지바(33)가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부(32)는 아크릴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활선 표시 장치(1)는 2kg 이하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활선 표시 장치(1)가 1kg 이하로 설계될 수 있어야 한다. 활선 표시 장치(1)는 조가선(3)에 설치되지만, 2kg 이상으로 무게가 증가하면 집전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활선 표시 장치(1)는 무게가 가벼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소재만으로 구현이 가능하고, 상부 브라켓(10) 및 하부 브라켓(30)에 넓은 중공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무게가 1kg 이하로 설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활선 표시 장치
3: 조가선
4: 드롭퍼
5: 전차선
7: 가동 브라켓
9: 전주
10: 상부 브라켓
11,31 : 고정편
11a,31a : 핀공
13: 제1 지지바
101: 삽입홀
20 : 배터리
30: 하부 브라켓
32: 표시부
32a : 슬라이더
33 : 제2지지바
35 : 슬라이딩홈부
35a : 슬라이딩홈
40: 변류기
50 : 태양광패널
60: 발광 모듈
61: 컨트롤러
62 : 조도센서
63: LED
63a : 급전 발광소자
63b : 단전 발광소자
70: 활선감지센서
80: 확산 렌즈

Claims (8)

  1. 조가선이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단면이 반구 형상인 제1 지지바를 구비하여 상기 조가선의 상측에서 지지되는 상부 브라켓;
    상기 조가선이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단면이 반구 형상인 제2 지지바를 구비하여 상기 조가선의 하측에서 상기 상부 브라켓과 결합되는 하부 브라켓;
    상기 조가선을 감지하여 상기 조가선의 활선 여부를 판단하는 활선감지센서; 및
    상기 활선감지센서에서 활선 상태의 감지 신호를 전달 받아 발광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하부 브라켓의 내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선감지센서는,
    활선(조가선 또는 전차선)에서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비접촉식으로 검출하여 활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라켓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표면에 감전의 위험을 알리는 문구가 표시된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투명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어 표면에 표시된 상기 감전의 위험을 알리는 문구가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드러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 상기 하부 브라켓,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이고,
    상기 표시부는 아크릴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상부 브라켓의 상면에 배치되어 태양광의 집광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태양광 패널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과 접촉되도록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조가선의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보조하는 변류기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표시 장치.
KR1020160014057A 2016-02-04 2016-02-04 활선 표시 장치 KR20170092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057A KR20170092855A (ko) 2016-02-04 2016-02-04 활선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057A KR20170092855A (ko) 2016-02-04 2016-02-04 활선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855A true KR20170092855A (ko) 2017-08-14

Family

ID=6014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057A KR20170092855A (ko) 2016-02-04 2016-02-04 활선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28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36912A (ja) * 2019-06-13 2022-08-22 エロンロード、アクチボラグ 電気道路システムのトラックラインから電力を収集する車両の集電器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制御回路及び制御システム
KR20230008552A (ko) 2021-07-07 2023-01-16 한국전력공사 배전설비 고장 순시구간 축소를 위한 고장 구간 표시기
CN116799701A (zh) * 2023-07-25 2023-09-22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沧州供电分公司 一种电力调度自动化主动巡检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921U (ja) * 1991-07-30 1993-02-26 日本精機株式会社 回転検出装置
KR20100011178A (ko) * 2008-07-24 2010-02-03 투아이시스(주)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921U (ja) * 1991-07-30 1993-02-26 日本精機株式会社 回転検出装置
KR20100011178A (ko) * 2008-07-24 2010-02-03 투아이시스(주) 전기철도용 작업차의 안전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36912A (ja) * 2019-06-13 2022-08-22 エロンロード、アクチボラグ 電気道路システムのトラックラインから電力を収集する車両の集電器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制御回路及び制御システム
KR20230008552A (ko) 2021-07-07 2023-01-16 한국전력공사 배전설비 고장 순시구간 축소를 위한 고장 구간 표시기
CN116799701A (zh) * 2023-07-25 2023-09-22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沧州供电分公司 一种电力调度自动化主动巡检装置
CN116799701B (zh) * 2023-07-25 2023-12-08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沧州供电分公司 一种电力调度自动化主动巡检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569B1 (ko) 비상 피난 유도용 조명 장치
KR20170092855A (ko) 활선 표시 장치
US8217799B2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state of electrical power supply and mechanical tension in an overhead contact line
KR101060676B1 (ko) 비매설형 다기능 시선유도 장치
CN101466184A (zh) 车辆用灯具的点灯控制装置
KR20130041430A (ko) Led 조명부를 갖는 횡단보도용 신호등 장치 및 그의 횡단보도 조명 방법
KR20110037101A (ko) 횡단보도용 복합신호등
KR20060011563A (ko) 태양광을 이용한 버스승강장 조명장치
JP6419910B1 (ja) 表示装置
CN106793430A (zh) 自检式路灯
ES2552596T3 (es) Dispositivo de detección del desgaste de un hilo de contacto de una catenaria
KR100920761B1 (ko) 잔여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교통신호 제어기
CN107490468A (zh) 一种用于检测灯带的检测方法
CN108195531A (zh) 一种用于梁式桥倾覆危险监测和报警的设备
CN213659678U (zh) 一种道路备用指示路灯
JP2019095934A (ja) 警告灯
CN107797022A (zh) 杆体自动回缩式互感器极性检测装置
KR20120091778A (ko) 가로 시설물 감시 장치 및 가로 시설물 감시 방법
KR101030924B1 (ko) 터널 전원표시등
CN220231944U (zh) 一种灯具检测装置
KR102195479B1 (ko)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
KR200402262Y1 (ko) 주차위치 표시등
CN116388034B (zh) 一种随检显像的变电站远程巡检系统
CN212723257U (zh) 一种具有避电防护结构的照明灯具电压检测装置
KR200443602Y1 (ko) 거리 및 대피방향이 표시된 led시선유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