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479B1 -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 - Google Patents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479B1
KR102195479B1 KR1020190081931A KR20190081931A KR102195479B1 KR 102195479 B1 KR102195479 B1 KR 102195479B1 KR 1020190081931 A KR1020190081931 A KR 1020190081931A KR 20190081931 A KR20190081931 A KR 20190081931A KR 102195479 B1 KR102195479 B1 KR 102195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line wire
probe
body memb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왕삼
Original Assignee
제이앤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앤디전자(주) filed Critical 제이앤디전자(주)
Priority to KR1020190081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8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는, 일단에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의 이격된 양단 중 어느 한 단부에 파워 라인 전선에 접속되도록 탐침부가 구비되는 PT 몸체부재; 및 상기 PT 몸체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파워 라인 전선에 상기 탐침부가 정상적으로 접속하였는지 여부를 점등 상태를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워 라인 전선에 탐침부를 접속시킬 때 정상적 접속하여 설정 전류값이 입력되면 제1 표시부가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비정상적으로 접속하여 설정 전류값 이하가 입력되면 제2 표시부가 점등되도록 제어함으로써 PT 자체에서 파워 라인 전선의 정상 접속여부를 표시하여 접속 에러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 {POTENTIAL TRANSFORMER WITH FUNCTION OF WHETHER NORMAL CONNECTION HAVING DISPLAY FUNCTION}
본 발명은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압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탐침부의 정상 접속에 대한 표시 기능이 자체적으로 구현 가능한 PT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시스템에서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PT(potential transformar)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센서와 분압기 원리를 이용한 전압센서가 개발되어 PT를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다. 전압센서는 일반 PT보다 측정 정밀도가 높고 사고 위험성이 낮으며, 사이즈가 작다는 장점이 있다.
전압/전류 센서는 배전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데 배전반의 도입(incomming)용 패널과 피더(feeder)용 패널의 전류의 극성이 서로 반대이므로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센서의 극성 또한 도입부용 및 피더용 패널에 맞게 제작 설치되어야 한다.
이렇게, 전압을 측정하는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840011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파워 라인 전선에 탐침부가 정상적으로 접속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정확한 전압값 측정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840011호(2018.03.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파워 라인 전선에 탐침부가 정상적으로 접속하였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 PT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는, 일단에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의 이격된 양단 중 어느 한 단부에 파워 라인 전선에 접속되도록 탐침부가 구비되는 PT 몸체부재; 및 상기 PT 몸체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파워 라인 전선에 상기 탐침부가 정상적으로 접속하였는지 여부를 점등 상태를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탐침부가 상기 파워 라인 전선에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설정 전류값이 입력되면 점등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탐침부가 상기 파워 라인 전선에 비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설정 전류값 이하가 입력되면 점등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는 점등 빛의 색상을 달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재의 작동 기준이 되는 기준 전류값을 세팅 및 점멸을 제어하도록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에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의 이격된 양단 중 어느 한 단부에 파워 라인 전선에 접속되도록 탐침부가 구비되는 PT 몸체부재; 및 상기 PT 몸체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파워 라인 전선에 상기 탐침부가 정상적으로 접속하였는지 여부를 점등 상태를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부를 CT 몸체부재의 하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PT 몸체부재와 상기 CT 몸체부재를 연결한 결속부재의 결속 정도에 따라 상기 탐침부 위치가 조절되면서 상기 파워 라인 전선에 침투 깊이를 조절하고,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탐침부가 상기 파워 라인 전선에 깊게 파고 들어가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설정 전류값이 입력되면 점등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탐침부가 상기 파워 라인 전선에 얕게 파고 들어가 비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설정 전류값 이하가 입력되면 점등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워 라인 전선에 탐침부를 접속시킬 때 정상적 접속하여 설정 전류값이 입력되면 제1 표시부가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비정상적으로 접속하여 설정 전류값 이하가 입력되면 제2 표시부가 점등되도록 제어함으로써 PT 자체에서 파워 라인 전선의 정상 접속여부를 표시하여 접속 에러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에서 PT 몸체부재의 지지부가 승강조절부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에서 표시부재가 전류 체크부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의 제어로 구동되도록 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에서 PT 몸체부재의 지지부가 승강조절부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에서 표시부재가 전류 체크부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의 제어로 구동되도록 하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100)는 PT 몸체부재(110), 지지부(120), 표시부재(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PT 몸체부재(110)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T 몸체부재(도면에 미도시)에 삽입되도록 삽입홈부(112)가 형성되어 측면 형상이 "∪" 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대향면 양단에 설치홈(116)이 각각 함몰 형성되고, 설치홈(116) 중 어느 하나에 탐침부(122)를 지지하는 지지부(120)가 결합된다.
이때, 탐침부(122)는 파워 라인 전선(W)의 피복재를 침투하여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인출라인의 커넥터(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전압을 측정하게 되며, 인출라인의 도중에 휴즈(도면에 미도시)가 구비 가능하다.
그리고 PT 몸체부재(110)는 설치홈(116)의 양측 연결면(111)에 관통공(114)이 각각 종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관통공(114)은 CT 몸체부재에 PT 몸체부재(110)를 고정시킬 때 볼트 등과 같은 결속부재(도면에 미도시)의 단부가 나선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더욱이, PT 몸체부재(110)는 CT 몸체부재와 결속부재를 통해 결합 정도를 조절하여 파워 라인 전선(W)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탐침부(122)의 날카로운 끝 부분이 파워 라인 전선(W)의 피복재를 관통하여 전선에 접속되는 면적을 조절 가능하지만, PT 몸체부재(110)의 높낮이를 조절하지 않고 도 5와 같이 위치조절부(124)를 통해서도 구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위치조절부(124)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126a)이 설치홈(116)의 바닥을 관통한 상태로 PT 몸체부재(110)의 저면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면서 고정구(115)를 통해 높낮이 위치 변경 없이 자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지지부(120)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나선홀(120a)에 나선 체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지지부(120)를 승강시킨다.
따라서, 위치조절부(124)의 하부에 구비된 핸들(126a)을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선 체결된 지지부(12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더욱이, 핸들(126a)은 PT 몸체부재(110)의 저면에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예로, PT 몸체부재(110)의 저면 중 위치조절부(124)가 관통하는 중심을 기점으로 방사상의 반구홈이 형성되고, 반구홈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되도록 핸들(126a)의 저면에 구부재가 스프링에 의해 반구홈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구비되어 핸들(126a)을 회전시켜 구부재가 어느 하나의 반구홈에 결속되면 스프링에 의해 구부재가 반구홈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핸들(126a)의 위치가 고정 가능하다.
표시부재(130)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T 몸체부재(110)의 측벽에 복수 구비되어 정상적인 접속 여부를 점등 상태를 통해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표시부재(130)는 탐침부(122)가 파워 라인 전선(W)에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설정 전류값이 입력되면 점등되는 제1 표시부(132)와, 탐침부(122)가 파워 라인 전선(W)에 비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설정 전류값 이하가 입력되면 점등되는 제2 표시부(134)로 구성되며, 제1, 2 표시부(132, 134)는 일예로 LED 등이 이에 적용 가능하다.
이때, 제1 표시부(132)는 탐침부(122)가 파워 라인 전선(W)에 깊게 파고 들어가 정상적으로 접속된 경우 설정된 기준 전류값이 전류 체크부(410)에 의해 체크될 때 제어부(140)의 제어신호를 통해 점등된다(도 6 참조).
그리고 제2 표시부(134)는 탐침부(122)가 파워 라인 전선(W)에 얕게 파고 들어가 비정상적으로 접속된 경우 기준치 이하의 전류값이 전류 체크부(410)에 의해 체크될 때 제어부(140)의 제어신호를 통해 점등된다(도 6 참조). 이때, 제2 표시부(134)가 점등되는 경우 손실이 생겨 계측장치 등의 전원에 문제가 생기게 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표시부(132)와, 제2 표시부(134)는 점등 빛의 색상을 달리하도록 구비하여 빛 색상을 통해서 기준값의 전류가 흐르는지, 아니면 기준값 이하의 전류가 흐르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점멸 속도 등을 통해서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PT 몸체부재(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파워 라인 전선(W)에 따라서 전류가 크기가 달라짐을 감안하였을 때 정격규격이 정해지면 제1, 2 표시부(132, 134)의 작동 기준이 되는 기준 전류값을 세팅하도록 회로로 구성된다. 더욱이, 제어부(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체크부(142)에 의해 체크된 전류값에 따라 제1, 2 표시부(132, 134)의 점등 시간 및 점등 빛 색상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에서 정상 체결여부에 따른 표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CT 몸체부재의 안쪽에 파워 라인 전선(W)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PT 몸체부재(110)에 결합시킨 결속부재를 통해 CT 몸체부재와 PT 몸체부재(110)를 서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결속부재를 점점 더 회전시키면 체결 정도가 커지게 된다.
이때, 지지부(120)에 지지된 탐침부(122)가 파워 라인 전선(W)의 피복재를 침투하여 전선과 접속되면서 탐침부(122)가 파워 라인 전선(W)에 적당한 깊이로 침투하였는지 여부를 표시부재(130)의 점등 상태를 통해 알 수 있다.
즉, 탐침부(122)가 파워 라인 전선(W)에 깊게 파고 들어가 정상적으로 접속된 경우 설정된 기준 전류값이 전류 체크부(410)에 의해 체크될 때 제어부(140)의 제어신호를 통해 제1 표시부(132)가 점등된다.
그리고 탐침부(122)가 파워 라인 전선(W)에 얕게 파고 들어가 비정상적으로 접속된 경우 기준치 이하의 전류값이 전류 체크부(410)에 의해 체크될 때 제어부(140)의 제어신호를 통해 제2 표시부(134)가 점등된다.
탐침부(122)가 파워 라인 전선(W)에 깊게 파고 들어간 경우 전류가 많이 흘러서 동작전원으로 사용 가능하지만, 탐침부(122)가 파워 라인 전선(W)에 얕게 파고 들어간 경우 전류가 낮게 흘러서 동작전원으로 사용 불가하므로 탐침부(122)가 파워 라인 전선(W)에 정상적으로 파고 들어갔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PT 몸체부재 112: 삽입홈부
114: 관통공 116: 설치홈
120: 지지부 122: 탐침부
130: 표시부재 132: 제1 표시부
134: 제2 표시부 140: 제어부
142: 전류 체크부

Claims (4)

  1. 일단에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의 이격된 양단 중 어느 한 단부에 파워 라인 전선에 접속되도록 탐침부가 구비되는 PT 몸체부재; 및
    상기 PT 몸체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파워 라인 전선에 상기 탐침부가 정상적으로 접속하였는지 여부를 점등 상태를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부를 CT 몸체부재의 하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PT 몸체부재와 상기 CT 몸체부재를 연결한 결속부재의 결속 정도에 따라 상기 탐침부 위치가 조절되면서 상기 파워 라인 전선에 침투 깊이를 조절하고,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탐침부가 상기 파워 라인 전선에 깊게 파고 들어가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설정 전류값이 입력되면 점등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탐침부가 상기 파워 라인 전선에 얕게 파고 들어가 비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설정 전류값 이하가 입력되면 점등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는 점등 빛의 색상을 달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의 작동 기준이 되는 기준 전류값을 세팅 및 점멸을 제어하도록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
KR1020190081931A 2019-07-08 2019-07-08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 KR102195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931A KR102195479B1 (ko) 2019-07-08 2019-07-08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931A KR102195479B1 (ko) 2019-07-08 2019-07-08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479B1 true KR102195479B1 (ko) 2020-12-29

Family

ID=7409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931A KR102195479B1 (ko) 2019-07-08 2019-07-08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47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4791A (ja) * 1988-04-12 1989-10-23 Hitachi Electron Eng Co Ltd 電子部品チャック機構
KR20120086516A (ko) * 2011-01-26 2012-08-03 한국전력공사 접촉면에 전도성 금속이 도금된 클램프씨티 센서
US20140287602A1 (en) * 2011-10-28 2014-09-25 Smilics Technologies, S.L. Compact connection system for mains switchgear
JP2017015538A (ja) * 2015-06-30 2017-01-19 能美防災株式会社 電圧測定用機器
KR101840011B1 (ko) 2018-01-26 2018-03-19 장왕삼 파워 라인 전선의 전압 측정용 전압텝
KR101847456B1 (ko) * 2017-12-27 2018-04-10 서광전기통신공사(주) 주상변압기용 프로브 유닛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4791A (ja) * 1988-04-12 1989-10-23 Hitachi Electron Eng Co Ltd 電子部品チャック機構
KR20120086516A (ko) * 2011-01-26 2012-08-03 한국전력공사 접촉면에 전도성 금속이 도금된 클램프씨티 센서
US20140287602A1 (en) * 2011-10-28 2014-09-25 Smilics Technologies, S.L. Compact connection system for mains switchgear
JP2017015538A (ja) * 2015-06-30 2017-01-19 能美防災株式会社 電圧測定用機器
KR101847456B1 (ko) * 2017-12-27 2018-04-10 서광전기통신공사(주) 주상변압기용 프로브 유닛
KR101840011B1 (ko) 2018-01-26 2018-03-19 장왕삼 파워 라인 전선의 전압 측정용 전압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535B1 (ko) 저항-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20150253360A1 (en)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1760998B1 (ko) 조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2195479B1 (ko) 정상 접속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pt
US20090246978A1 (en) Headrest system for a vehicle seat
US6932638B1 (en) Tap handle with an integral electrical connection
KR20170123813A (ko) 조명 레일 시스템
CN206388949U (zh) 高压连接器、高压连接状态监测系统及车辆
KR100851247B1 (ko) 교량 중앙 분리대 공간을 이용한 안전진단 기구대
KR102195478B1 (ko) 정상 체결여부 표시기능을 갖는 ct
JP6522065B2 (ja) 鍋検出装置及びこれを含むガスレンジ
KR102298692B1 (ko)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KR101959955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
US6147620A (en) Remote monitoring of elevator cab lights
EP0739643B1 (en) Use of a conductor cord disconnnection checker for a low-voltage output low-frequency cosmetic device
CN208860872U (zh) 电缆保护器支撑装置
CN209342005U (zh) 一种线束端子安装状态检测治具
KR102155208B1 (ko) 체결형 ct 및 pt 구조
KR0137960Y1 (ko) 부하 개폐기의 변류기
KR102036453B1 (ko) 폴리머 현수애자 고장감지 장치 및 방법
CN111308135A (zh) 整体式支撑装置
KR20120091778A (ko) 가로 시설물 감시 장치 및 가로 시설물 감시 방법
KR100464178B1 (ko) 형광등 전원연결구조
JP7091062B2 (ja) 2つの導電素子の間の電気接続端子
JP7188624B2 (ja) 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