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023U - 개선된 착탈구조를 갖는 립스틱 화장품용 하부케이스 그립퍼 - Google Patents

개선된 착탈구조를 갖는 립스틱 화장품용 하부케이스 그립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023U
KR20100011023U KR2020090005295U KR20090005295U KR20100011023U KR 20100011023 U KR20100011023 U KR 20100011023U KR 2020090005295 U KR2020090005295 U KR 2020090005295U KR 20090005295 U KR20090005295 U KR 20090005295U KR 20100011023 U KR20100011023 U KR 201000110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lipstick
piece
pieces
gr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3535Y1 (ko
Inventor
구해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90005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535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0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0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5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6Refill sticks; Moulding devices for producing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45D2040/0062Stick holding cups with retaining means, e.g. clamping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립스틱 화장품을 제조 생산함에 있어 립스틱 화장품의 생산 라인 중 하부케이스를 립스틱 제형에 삽입하기 위한 그립퍼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립퍼에 고정 장착된 그립고정편으로부터 그립편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되, 그립고정편에는 자석체를 매립 형성하고 그립편에는 대응하는 자석체를 매립 형성하며, 그립고정편에는 가이드핀을 돌출 형성하고 그립편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함으로써,
립스틱 케이스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교체 사용되어야 하는 그립편이 항상 동일하면서도 정확한 위치로 장착될 수 있게 하여 립스틱 제형과의 삽입과정에서의 불량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어 우수한 생산성을 제공하는 것이고, 자석체를 이용하여 부착 및 탈착되는 구조이므로 그립편의 교체가 신속하면서도 간편한 것이며, 별도의 세팅 작업없이도 그립편이 항상 동일한 위치에 고정 장착되므로 세팅에 소요되는 시간의 단축은 물론 비전문가라 할지라도 누구나 정확한 위치로 그립편을 교체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립스틱, 화장품, 케이스, 그립퍼, 자석체, 가이드핀

Description

개선된 착탈구조를 갖는 립스틱 화장품용 하부케이스 그립퍼{Gripper for lower case for lipstick improved in fixing and separating}
본 고안은 립스틱 화장품을 제조 생산함에 있어 립스틱 화장품의 생산 라인 중 하부케이스를 립스틱 제형에 삽입하기 위한 그립퍼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엑츄에이터에 의해 접근 또는 이격 작동하는 그립편을 엑츄에이터에 고정된 그립고정편으로부터 자석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하부케이스의 크기에 따라 발생하는 그립편의 교체 과정에서의 고정 오차를 방지하여 립스틱 제형과의 정확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므로 생산성 향상은 물론 불량율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여성들의 색조화장에 필요한 다양한 화장품 중 립스틱은 입술화장을 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색감을 갖는 립스틱 제형이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어 그 립스틱 제형을 여성들의 입술에 직접 또는 별도의 솔대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된다.
상기한 립스틱 제형은 상기 립스틱 케이스를 회전시킴에 따라 그 립스틱 제형이 케이스 단부로부터 상,하로 출몰하여 보다 용이한 사용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서, 상기의 케이스 즉, 외부케이스의 내측에는 별도의 내부케이스가 삽입되어 있어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 간의 결합구조에 의해 상기의 립스틱 제형이 외부케이스로부터 출몰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의 외부케이스는 다양한 색감과 디자인으로의 제작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립스틱 화장품을 생산하기 위한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콘베이어 벨트를 따라 연속하여 운반되는 치구에는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 및 뚜껑이 각기 독립된 형태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하는 치구와는 별개로 별도의 성형몰드를 통해 립스틱 제형을 고형의 상태로 성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인데, 상기의 성형몰드로부터 일정한 형상으로 된 립스틱 제형이 완성되면 상기와 같이 케이스 운반 치구로부터 하부케이스를 제형과 결합시키고, 별도의 뚜껑은 하부케이스와 결합시켜 립스틱 화장품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성형몰드를 통해 립스틱 제형이 완성되면 콘베이어 벨트의 운반 경로 상에 위치하고 있는 도 1의 하부케이스 그립퍼(100)를 통해 다수의 하부케이스를 동시에 취부하여 상기의 립스틱 제형이 하부케이스 내측으로 삽입되게 구동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립스틱 제형이 삽입된 상태의 하부케이스는 그립퍼(100)에 의해 다시 치구로 운반되어 또다른 그립퍼를 통해 뚜껑과의 결합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의 하부케이스 그립퍼(100)는 양측으로 이격된 엑츄에이터(101)(101')의 구동에 의해 근접되거나 이격되는 두 개의 그립편(102)(102')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고, 상기의 그립편(102)(102')에는 서로 마주하고 있는 그립 부(103)(103')가 요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뚜껑은 별도의 그립퍼를 통해 치구 내에 정렬 삽입되는 것이고, 상기의 그립퍼는 유압식 엑츄에어터를 통해 양측으로부터 근접 또는 이격 작동하는 그립편에 형성된 그립홈으로 케이스가 유도 삽입되면서 정확한 취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립스틱 제형의 성형과정에서 필요한 러버몰드는 고무재 등으로 만들어져 성형틀 내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러버몰드 내에 립스틱 제형이 압출되면 저온의 냉기를 토출시켜 상기의 립스틱 제형이 빠르게 경화되게 하는 것이고 립스틱 제형이 충분히 경화되면 러버몰드의 하부로부터 진공흡착구가 작동하여 상기의 러버몰드를 외측으로 벌려 내부의 립스틱 제형이 용이하게 취출 및 분리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제형 압출수단과 제형 취출수단 및 케이스 운반수단과 그립퍼 등의 유기적인 작동을 통해 립스틱 화장품이 자동으로 대량 생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립스틱 케이스 중 하부케이스를 취부하여 운반 및 립스틱 제형과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그립퍼는 립스틱의 종류에 따른 케이스의 변경으로 인해 알맞는 그립부를 갖는 것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교체 과정 중에서 그립퍼의 장착 오차가 매번 발생하므로 이를 정확히 세팅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부정확한 장착에 의해 제품 불량이 대량으로 발 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의 케이스용 그립퍼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하부케이스의 유동없이 정확하고 안정적인 취부가 가능하도록 케이스의 직경을 반분한 형태의 반원홈으로 된 그립부(103)(103')를 갖고 있는 그립편(102)(102')이 서로 대향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와 같이 이격된 상태의 그립편(102)(102')이 서로 마주하여 근접하게 되면 반원홈의 그립편이 원형을 형성하면서 이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외부케이스를 정확하고 일정하게 취부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그립편(102)(102')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상기의 그립편(102)(102')은 별도의 그립고정편(103)(103')에 장착되는 것이므로, 그립고정편(104)(104')과 엑츄에이터(101)(101')와의 나사 체결과정 및 그립고정편(104)(104')과 그립편(102)(102')과의 나사 체결과정에서 많은 체결오차가 발생하면서 매번 상이한 체결 결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의 그립편에 형성된 그립부는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있어 사용 수명이 극히 짧은 것이고, 상기의 그립편에 형성된 그립부는 원형의 하부케이스와 립스틱 제형이 결합되기 위해 정확한 수직도와 균일한 수평위치를 유지하여야 할 당연성이 요구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이 그립고정편의 나사 체결과정 및 그립편의 나사 체결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나사공과 체결나사 간의 유격 및 체결나사와 관통의 체결공 간의 유격으로 인해 상기의 그립부에 대한 수직도와 수평위치의 균일한 세팅 및 조립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그립편에 대한 조립이 부정확하게 이루어질 경우에는 수 직 상태의 립스틱 제형으로부터 하부케이스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하부케이스가 립스틱 제형과 간섭하게 되어 립스틱 제형의 외면을 긁거나 훼손시키는 불량이 대량으로 발생하게 될 것이고, 이와 같은 불량은 라인을 가동해 보아야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정확한 세팅을 위해서는 많은 수의 확인 가동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세팅 시간의 과도 소요는 물론 그와 비례하여 발생하는 불량품으로 인해 극히 비경제적인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그립퍼에 고정 장착된 그립고정편으로부터 그립편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되, 그립고정편에는 자석체를 매립 형성하고 그립편에는 대응하는 자석체를 매립 형성하며, 그립고정편에는 가이드핀을 돌출 형성하고 그립편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핀과 가이드홈에 의해 그립편이 정확한 위치로 유도되게 하면서도 자석체의 인력에 의해 그립고정편과 그립편이 견고한 부착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종래의 그립편 교체 과정에서 발생하던 다양한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특징의 개선된 착탈구조를 갖는 립스틱 화장품용 하부케이스 그립퍼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그립고정편과 그립편의 밀착 대응면에는 각각 자석체를 매립 형성하여 상기 자석체 간의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그립고정편에는 그립편을 향하여 돌출된 가이드핀을 돌출 형성하고 그립편에는 가이드핀과 대응의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상기 엑츄에이터에 그립고정편이 고정된 상태에서 그립편만을 교체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핀과 가이드홈에 의한 정확한 위치로의 그립편 유도 밀착은 물론 상기 자석체의 인력에 의해 그립고정편과 그립편이 서로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립스틱 케이스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교체 사용되어야 하는 그립편이 항상 동일하면서도 정확한 위치로 장착될 수 있게 하여 립스틱 제형과의 삽입과정에서의 불량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어 우수한 생산성을 제공하는 것이고, 자석체를 이용하여 부착 및 탈착되는 구조이므로 그립편의 교체가 신속하면서도 간편한 것이며, 별도의 세팅 작업없이도 그립편이 항상 동일한 위치에 고정 장착되므로 세팅에 소요되는 시간의 단축은 물론 비전문가라 할지라도 누구나 정확한 위치로 그립편을 교체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하부케이스 그립퍼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먼저, 립스틱 화장품용 하부케이스 그립퍼는 러버몰드에 의해 성형된 상태의 립스틱 제형을 하부케이스에 끼워 삽입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높은 정밀도와 균일한 고정 상태를 요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그립퍼는 립스틱의 종류에 따라 또는 케이스의 종류에 따라 대응하는 형태의 그립부를 갖고 있는 그립편을 교체 장착하여야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하부케이스 그립퍼는, 도시와 같이 양측으로 이격된 엑츄에이터(10)(10')에 고정되어 서로 근접하거나 이격 방향으로 유동하는 그립고정편(20)(20')을 갖고 있고, 이들 그립고정편(20)(20')의 내측 대향면에는 별도의 그립편(30)(30')이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그립고정편(20)(20')은 상기의 엑츄에이터(10)(10')에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그립편(30)(30')에 대한 교체가 필요한 경우라도 상기의 그립고정편(20)(20')은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의 그립고정편(20)(20')은 그립편(30)(30')과의 밀착면에 가이드핀(21)(21')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핀(21)(21')이 돌출된 해당면에는 자석체(40)(40')가 매립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그립편(30)(30')은 일측면에 연속하여 이격 형성된 요홈 형태로 된 그립부(31)(31')가 형성되어 있어 타측면에는 그립고정편(20)(20')을 향하는 가이드홈(32)(32')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홈(32)(32')이 형성된 해당면에는 또 다른 자석체(40)(40')가 매립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그립고정편(20)(20')에 그립편(30)(30')을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의 도시와 같이 그립고정편(20)(20')의 가이드핀(21)(21')이 그립편(30)(30')의 가이드홈(32)(32') 내측으로 삽입되게 하면 긴밀한 결합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한 상호 간의 내경 및 외경의 동일한 수치에 따라 상기의 그립 편(30)(30')은 정확한 위치로 그리고 일정한 위치로 그립고정편(20)(20')이 밀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그립고정편(20)(20')에 형성된 자석체(40)(40')와 그립편(30)(30')에 형성된 자석체(40)(40')는 상호간의 인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자석체(40)(40')의 인력에 의해 도 5의 도시와 같이 그립편(30)(30')은 그립고정편(20)(20')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자석체(40)(40')에 의한 고정구조 및 가이드핀(21)(21')과 가이드홈(32)(32')에 의한 유도 결합구조를 통해 상기의 그립편(30)(30')은 항상 동일한 위치를 갖고 그립고정편(20)(20')에 부착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그립부(31)(31')를 갖고 있는 다수개의 그립편(30)(30')에 대하여 립스틱 하부케이스의 종류와 동일한 그립편(30)(30')을 선택한 상태에서 선택된 그립편(30)(30')을 그립고정편(20)(20')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부착 고정하면 되는 것이고, 부착된 그립편(30)(30')을 다른 수치의 그립부(31)(31')를 갖는 또 다른 그립편(30)(30')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그립편(30)(30')을 그립고정편(20)(20')으로부터 분리 제거한 후 다른 그립편을 부착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에, 종래와 같은 다단의 나사 체결방식을 회피하게 되어 나사 체결구조가 갖는 유격에 의한 부정확한 고정 상태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빠르고 정확한 고정과 세팅이 이루어져 작업 효율성은 물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그립고정편(20)(20')에는 관통의 분리공(22)(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립고정편(20)(20')으로부터 그립편(30)(30')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의 분리공(22)(22')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인데, 도 6의 도시와 같이 양단에 돌출 형태의 푸쉬핀(51)(51')을 갖는 푸쉬바(50)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의 푸쉬핀(51)(51')이 그립고정편(20)(20')의 분리공(22)(22')으로 삽입되게 한 후 상기의 푸쉬바(50)를 강하게 압박하면 서로 부착되어 있던 자석체(40)(40')가 분리되면서 상기의 그립편(30)(30')이 그립고정편(20)(20')으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푸쉬핀(51)(51')을 갖는 푸쉬바(50)로 된 분리수단을 통해 상기의 그립편(30)(30')을 빠르게 분리 제거함은 물론 교체하고자 하는 새로운 그립편 역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교체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분리수단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푸쉬바(50)와 푸쉬핀(51)(51')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분리공(22)(22')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외경을 갖는 막대기나 드라이버 또는 핀 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하부케이스 그립퍼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하부케이스 그립퍼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하부케이스 그립퍼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하부케이스 그립퍼에 대한 확대 분리도
도 5는 본 고안의 하부케이스 그립퍼에 대한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하부케이스 그립퍼에 대한 분리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 : 엑츄에이터
20,20' : 그립고정편 21,21' : 가이드핀
22,22' : 분리공
30,30' : 그립편 31,31' : 그립부
32,32' : 가이드홈
40,40' : 자석체
50 : 푸쉬바 51,51' : 푸쉬핀

Claims (3)

  1. 양측의 엑츄에이터(10)(10')에 의해 서로 근접하거나 이격되는 그립고정편(20)(20')이 형성되고, 상기 그립고정편(20)(20')에는 요홈의 그립부(31)(31')를 갖는 그립편(30)(30')이 고정되어 이루어진 립스틱 화장품용 하부케이스 그립퍼에 있어서,
    상기 그립고정편(20)(20')과 그립편(30)(30')의 밀착 대응면에는 각각 자석체(40)(40')를 매립 형성하여 상기 자석체(40)(40') 간의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그립고정편(20)(20')에는 그립편(30)(30')을 향하여 돌출된 가이드핀(21)(21')을 돌출 형성하고 그립편(30)(30')에는 가이드핀(21)(21')과 대응의 가이드홈(32)(32')을 형성하여,
    상기 엑츄에이터(10)(10')에 그립고정편(20)(20')이 고정된 상태에서 그립편(30)(30')만을 교체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핀(21)(21')과 가이드홈(32)(32')에 의한 정확한 위치로의 그립편(30)(30') 유도 밀착은 물론 상기 자석체(40)(40')의 인력에 의해 그립고정편(20)(20')과 그립편(30)(30')이 서로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착탈구조를 갖는 립스틱 화장품용 하부케이스 그립퍼.
  2. 제 1항에 있어서,
    그립고정편(20)(20')에는, 관통의 분리공(22)(22')을 형성하여 상기 분리 공(22)(22')으로 삽입되는 분리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그립고정편(20)(20')으로부터 그립편(30)(30')이 분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착탈구조를 갖는 립스틱 화장품용 하부케이스 그립퍼.
  3. 제 2항에 있어서,
    분리수단은, 푸쉬바(50)의 양측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푸쉬핀(51)(51')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착탈구조를 갖는 립스틱 화장품용 하부케이스 그립퍼.
KR2020090005295U 2009-04-30 2009-04-30 개선된 착탈구조를 갖는 립스틱 화장품용 하부케이스 그립퍼 KR200453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295U KR200453535Y1 (ko) 2009-04-30 2009-04-30 개선된 착탈구조를 갖는 립스틱 화장품용 하부케이스 그립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295U KR200453535Y1 (ko) 2009-04-30 2009-04-30 개선된 착탈구조를 갖는 립스틱 화장품용 하부케이스 그립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023U true KR20100011023U (ko) 2010-11-09
KR200453535Y1 KR200453535Y1 (ko) 2011-05-16

Family

ID=44203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295U KR200453535Y1 (ko) 2009-04-30 2009-04-30 개선된 착탈구조를 갖는 립스틱 화장품용 하부케이스 그립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53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67Y1 (ko) * 2013-01-24 2014-09-23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용 하부 케이스 그립퍼 장치
KR200474474Y1 (ko) * 2013-01-24 2014-09-23 (주)아모레퍼시픽 화장용기 나사형 마개 결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3818B2 (en) * 2000-08-09 2003-12-16 Conopco, Inc. Lipstick machine
WO2003026458A2 (en) * 2001-09-24 2003-04-03 Imx Lab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ustom cosmetic dispensing
JP4617052B2 (ja) * 2002-07-22 2011-01-19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491679B1 (ko) * 2002-11-11 2005-05-27 김성권 상대적인 동작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10110Y1 (ko) 2005-12-21 2006-03-06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품 용기의 원판시트 투입장치
KR200441748Y1 (ko) 2007-03-12 2008-09-05 주식회사 인터워크 코리아 푸쉬-풀 개폐기구를 갖춘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535Y1 (ko) 2011-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887B1 (ko) 화장용구용 심 성형장치
AR011797A1 (es) Procedimiento para fabricar un articulo moldeado por inyeccion; primera y segunda cavidad de moldeo, primer y segundo nucleo y primer y segundo molde deaplicacion en dicho procedimiento y articulos moldeados y cuerpos para cepillos dentales obtenidos con dicho procedimiento.
KR100728364B1 (ko) 금형조립체의 인서트물 고정장치
US20130224328A1 (en) Demolding mechanism for molded article having internal thread
KR200453535Y1 (ko) 개선된 착탈구조를 갖는 립스틱 화장품용 하부케이스 그립퍼
US8241028B2 (en) Mold with ejection mechanism
KR20170126609A (ko) 사출금형
EP1479501A3 (en) In-mold foam molding equipment and molding method
CN113853289A (zh) 带有对中装置的注塑模具
KR101699939B1 (ko) 곡선 튜브 사출 성형 금형
KR200453536Y1 (ko) 유동그립수단을 갖는 립스틱 화장품용 상부케이스 그립퍼
KR101280013B1 (ko) 엘보우 사출금형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코어조립체
SG152195A1 (en) Injection-molding tool
CN208324016U (zh) 一种塑料大型模具活动嵌件的自动摆放结构
CN108000818B (zh) 双色模脱模顶出装置及其脱模方法
KR20110067703A (ko) 샤프트 타입의 인서트 사출 성형을 위한 확장 코아 및 확장 코아를 갖는 사출 성형 장치
KR20160040964A (ko) 내, 외측으로 이동되는 언더컷성형링을 갖는 사출금형
CN210308620U (zh) 适用于橡胶复合产品的模具
RS20050402A (en) Device for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 moulded parts
JP6289129B2 (ja) 横型の射出成形型とそれを用いた製造方法
KR20020061996A (ko) 사출성형용 금형
KR100823340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62309A (ko) 코어 교환 가능한 사출금형
JP2003155020A (ja) 射出成形の合成樹脂容器及びその金型構造の製造装置
CN214294228U (zh) 一种耐磨耐用的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