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908U -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 - Google Patents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908U
KR20100010908U KR2020090005129U KR20090005129U KR20100010908U KR 20100010908 U KR20100010908 U KR 20100010908U KR 2020090005129 U KR2020090005129 U KR 2020090005129U KR 20090005129 U KR20090005129 U KR 20090005129U KR 20100010908 U KR20100010908 U KR 201000109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pipe
transport
d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1681Y1 (ko
Inventor
이광윤
송택근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주식회사 대우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주식회사 대우엔텍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2020090005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681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9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9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6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65G53/526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with means for special treatment to facilitate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이송관로에서 내부 점검은 물론, 관로 청소기능, 쓰레기 이송충격으로부터 관로보호기능 및 음식물 쓰레기 이송능력 향상기능과 같은 여러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송관로의 하부측에 T 자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블라인드 플랜지를 탈착가능하게 볼트 결합로 결합되되, 상기 이송관로의 관경 대비하여 10-100% 크기의 구경을 가지는 점검관; 상기 점검관의 내부에서 이송관로에 형성된 점검홀을 개폐시키도록 이송관로의 내측으로 열리거나 점검홀을 닫도록 개폐시키는 점검도어; 및 상기 점검관의 내부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고압의 공기를 점검도어의 하부측에 분사하여 점검도어가 이송관로의 내측으로 일정각도 열리고, 이송관로의 내부에 공기를 분사시키는 공기 공급관;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이송관로의 내부가 막힌 경우 점검홀을 통해서 관로내부를 점검할 수 있고, 점검도어를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상향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상향관로의 청소가 쉽게 가능하며, 쓰레기 이송충격으로부터 상향관로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이송관로, 점검구, 점검홀, 공기 분사

Description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MULTI-FUNCTIONAL INSPECTION HOLE FOR A GARBAGE DISPOSAL SYSTEM}
본 고안은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이송관로에 설치되는 점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관로 내부의 점검은 물론, 관로 청소기능, 쓰레기 이송충격으로부터 관로보호기능 및 음식물 쓰레기 이송능력 향상기능과 같이 여러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오피스텔, 상업단지, 주거 단지 또는 이들 복합단지와 같은 곳에 설치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은 각 세대별 투입구나 실내/외 공용 투입구들로부터 쓰레기 집하장(집하 설비)까지 이송관로를 매설하고, 상기 투입구(투입 설비)로부터 투입되는 쓰레기를 이송관로에 형성한 진공 흡입력에 의해 쓰레기 집하장까지 이송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는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는 거리가 배관경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5 ~ 2km가 시스템 한계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일정 구역을 섹션으로 구분하는데, 운전시 송풍기의 능력을 감안하여 섹션을 정한다.
이와 같은 섹션밸브 이후 관로를 통상 주관로라고 하며, 중앙집하장까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투입구의 저류용량은 일반쓰레기는 12시간 기준의 저장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주관로나 중앙집하장에서 12시간 이상이 필요한 전기단전, 시설의 파손 등에 의한 사고발생시에는 쓰레기의 정상적인 수거가 불가능하게 된다.
최근 아파트나 주상복합건물이 단지화 되고 규모가 커지면서, 이러한 보다 넓은 대형 시스템에 쓰레기 자동집하처리시설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가운데 지역에 중앙집하장을 건설하여 관로의 길이를 감소시키고, 1일 2회 이송에 적절한 투입구의 저류용량을 산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도 1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1)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각 세대별 또는 실내/외 공용 투입구(10)로부터 투입된 쓰레기는 지하에 매설된 이송관로(20)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며, 쓰레기 집하장의 일반 쓰레기 수집기(30)와 음식물 쓰레기 수집기(40)에서 수거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거된 일반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는 별도의 운반 차량(50) 등을 통하여 외부로 수거 처리되며, 쓰레기의 수송을 담당하였던 공기는 흡입 송풍기(60)로 흡인되어 환경오염방지 설비, 즉 탈취 설비(70)와 소독 설비(80)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쓰레기 자동집하시설(1)은 쓰레기를 집하장까지 일일이 들고 갈 필요없이 가까운 투입구(10)에 넣기만하면 되므로 입주자들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투입구(10)를 제외한 대부분의 시설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어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단지내의 쓰레기를 일괄하여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처리 효율과 자원 재활용의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쓰레기 자동집하시설(1)의 이송관로(20)는 종종 관로 내부에 각종 이물질이 퇴적되고 부착되어 주기적으로 이송관로(20)를 청소하고 점검하는 것이 요구된다.
가장 쓰레기 이송이 어려운 물체는 무거운 것, 예를 들면 볼링공과 같은 것으로서 이러한 쓰레기는 종종 이송관로(20)를 막게 되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어느 부분의 이송관로(20)가 막혔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점검구가 이송관로(20)에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음식물과 같은 점착성 물질은 이송 도중에 이송관로(20)의 내부에 부착되는데, 일반적인 쓰레기는 이송이 잘되지만 음식물 쓰레기는 그 특성상 점착성 물질이므로 이송관로(20)가 오르막인 경우, 상향관로(22) 주위에 누적되어 부착된다.
즉 음식물 쓰레기(W)가 상향관로(22)로 이송되다가 일부가 다 이송이 못한 상태에서 송풍기(60)가 멈추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관로(22)의 아래쪽으로 흘러 내려와서 누적되고 이송관로(20)의 내부에 부착 응고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송관로(20)는 관로설계시, 최대한 15도 이내로 상향각을 설계하고, 하향각은 20도 이내로 설계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상향관로(22)에 음식물 쓰레기가 부착 응고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W)는 이송관로(20)내에서 부패되어 악취가 심해지며, 일반쓰레기 이송시 함께 섞여 나오게 되는데, 법적으로 음식물과 일반쓰레기는 분리수거해야하기 때문에 최대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게 쓰레기 관리상 중요 하다.
이와 같이 일반쓰레기는 98% 이상 이송관로(20)를 통해 수거되지만, 음식물 쓰레기(W)는 상향관로(22)의 초입부분과 하향관로의 곡관부에 잔존되는 퇴적물, 또는 침적물로 인해 80% 정도만 수거된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상향관로(22)에서는 쓰레기의 이송도중에 쓰레기가 상향관로(22) 초입에 집중적으로 부딪치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많은 충격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향관로(22)는 쓰레기 이송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단이 필요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쓰레기 자동집하시설(1)은 음식물 쓰레기(W)의 원활한 수송을 위한 구조적인 개선책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송관로의 내부가 막힌 경우, 관로내부의 점검은 물론, 상향관로의 청소가 쉽게 가능하고, 쓰레기 이송충격으로부터 상향관로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점착성이 강한 음식물 쓰레기가 상향관로에서 부착 및 퇴적되지 않고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이송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는 이송관로의 하부측으로 연결되어 T 자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블라인드 플랜지를 탈착가능하게 볼트 결합되되, 상기 이송관로의 관경 대비하여 10-100% 크기의 구경을 가지는 점검관; 상기 점검관의 내부에서 이송관로에 형성된 점검홀을 개폐시키도록 일측이 힌지로서 점검홀에 연결되고, 타측은 받침턱을 형성하여 상기 이송관로의 내측으로 열리거나 점검홀을 닫도록 개폐시키는 점검도어; 및 상기 점검관의 내부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고압의 공기를 점검도어의 하부측에 분사하여 점검도어가 이송관로의 내측으로 일정각도 열리고, 이송관로의 내부에 공기를 분사시키는 공기 공급관;을 구비하여 쓰레기의 이송시, 상기 공기 공급관의 공기분사를 통해 점검도어가 이송관로 측으로 열리도록 하여 쓰레기 이송방향을 이송관로의 상부측으로 방향전환시켜 이송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고안은 이송관로의 내부가 막힌 경우, 점검홀을 통해서 관로내부를 점검할 수 있고, 점검도어를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쓰레기를 상향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상향관로의 청소가 쉽게 가능하며, 쓰레기 이송충격으로부터 상향관로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상기 점검도어는 힌지축에 비틀림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점검도어가 이송관로의 점검홀로부터 열리는 경우, 점검홀을 닫도록 하는 복원력을 가하고, 상기 공기 공급관의 공기 분사압력은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복원력보다 그 힘이 커서 공기분사시 점검도어를 이송관로의 내측으로 열어주는 구조이다. 이를 통하여 점검도어는 보통 닫친 상태로 유지되지만 쓰레기 이송시에는 이송관로의 내측으로 열려서 음식물 쓰레기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상기 점검도어는 힌지축을 해체하면 이송관로로부터 분리되고 점검홀을 통해서 이송관로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점검홀을 통해서 이송관로의 막힘등을 쉽게 점검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상기 공기 공급관은 중간에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공기분사를 조절할 수 있고, 그 끝단은 외부로부터 제공된 압축기의 토출관 또는 공압관에 연결되어 점검도어측으로 고압의 공기분사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압공기 분사압력을 이용하여 점검도어를 이송관로의 내측으로 열고 음식물 쓰레기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상기 이송관로는 상향관로의 도입부를 향해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이송관로에 누적되어 응고된 음식물 쓰레기를 공기분사압력으로 청소하여 분리시키는 공기분사노즐이 추가 장착되며, 상기 공기분사노즐에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압축기의 토출관 또는 공압관 또는 공기흡입구가 연결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공기분사노즐을 통해서 고압의 공기를 상향관로의 도입부분에 분사시킴으로써 점착성이 강한 음식물 쓰레기가 상향관로에서 부착 및 퇴적되지 않고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음식물 쓰레기 이송능력을 크게 향상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에 의하면 이송관로의 내부가 막힌 경우, 점검홀을 통해서 관로내부의 점검은 물론, 점검도어를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상향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상향관로의 청소가 쉽게 가능하고, 쓰레기 이송충격으로부터 상향관로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 다.
뿐만 아니라 공기분사노즐을 통해서 고압의 공기를 상향관로의 도입부분에 분사시킴으로써 점착성이 강한 음식물 쓰레기가 상향관로에서 부착 및 퇴적되지 않고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음식물 쓰레기 이송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에 공기분사노즐이 구비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에서 공기분사노즐과 공기 공급관을 통해서 고압 공기가 분사되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로(20)의 하부측으로 점검관(110)을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점검관(110)은 이송관로(20)에 연결되어 T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블라인드 플랜지(115)가 탈착가능하게 볼트(117) 결합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점검관(110)은 쓰레기 자동집하시설(1)의 통상적인 작업시에는 블 라인드 플랜지(115)를 고정하여 막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지만, 이송관로(20)의 내부 점검이 필요한 경우에는 블라인드 플랜지(115)를 점검관(1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검관(110)의 내부에는 점검도어(130)가 위치되는데, 이와 같은 점검도어(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로(20)에 형성된 점검홀(132)을 개폐시키도록 일측이 힌지(140)로서 점검홀(132)에 연결되고, 타측은 받침턱(142)을 형성하여 상기 이송관로(20)의 내측으로 열리거나 점검홀(132)을 닫도록 개폐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이와 같은 점검도어(130)는 힌지축(145)을 통해서 이송관로(20)에 연결된 것으로서, 힌지축(145)을 해체하면 이송관로(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어서 점검홀(132)을 통해서 이송관로(20)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점검도어(130)는 힌지축(145)에 비틀림 스프링(147)을 구비하여 상기 점검도어(130)가 이송관로(20)의 점검홀(132)로부터 열리는 경우, 점검홀(132)을 닫도록 하는 복원력을 가하게 되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받침턱(142)은 점검홀(132)의 일측 모서리(132a)에 걸리게 되어 점검도어(130)는 이송관로(20)의 내측으로 열리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점검도어(130)는 상기 힌지축(145)이 이송관로(20)의 외측에 형성되고, 브라켓(135)을 통해서 힌지축(145)에 연결되기 때문에, 점검도어(130)가 열리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5~10ㅀ 정도의 열림각도(θ)로 이송관로(20)의 내측으로 열린다.
이와 같은 점검도어(130)의 하부측에는 공기 공급관(160)이 위치되는데, 이와 같은 공기 공급관(160)은 상하방향으로 세워져서 상기 점검관(110)의 내부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고압의 공기를 점검도어(130)의 하부측에 분사하여 점검도어(130)가 이송관로(20)의 내측으로 일정각도(θ) 열리고 이송관로(20)의 내부에 공기를 분사시키게 된다.
즉 상기 공기 공급관(160)은 쓰레기의 이송시, 특히 점착성이 높은 음식물 쓰레기(W)를 이송하는 경우, 공기분사를 통해 점검도어(130)가 이송관로(20)측으로 대략 5~10ㅀ의 각도(θ)로 열리도록 하여 쓰레기 이송방향을 이송관로(20)의 상부측으로 방향전환시켜 이송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기 공급관(160)의 공기 분사압력은 상기 비틀림 스프링(147)의 복원력보다 그 힘이 커서 공기분사시 점검도어(130)를 이송관로(20)의 내측으로 자연스럽게 열어주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공기 공급관(160)은 중간에 개폐밸브(163)를 포함하여 공기분사를 조절할 수 있고, 그 끝단은 외부로부터 제공된 압축기(COMPRESSOR)(180)의 토출관(182)에 연결되거나, 공압관 또는 공기흡입구(190)에 연결되어 점검도어(130) 측으로 고압의 공기분사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개폐밸브(163)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그 개폐를 조절할 수도 있지만, 원격으로 자동개폐가 이루어지는 전동식 개폐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동식 개폐밸브(163)의 구조를 통하여 작업자는 원격으로 공기 공급관(160)을 열고, 점검도어(130)를 이송관로(20)의 내측으로 상승시켜서 쓰레기의 이송방향을 상향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쓰레기가 경사진 상태의 점검도어(130)에 의해서 상향으로 방향전환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관로(22)의 높은 부분까지 쓰레기를 밀어 올리는 효과가 얻어지게 되어 쓰레기의 이송이 손쉬워진다. 뿐만 아니라 점검도어(130)가 열린상태이므로 점검홀(132)을 통해서 공기 공급관(160)의 고압 공기가 이송관로(20)의 내측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고압 공기의 힘을 통해서도 상향관로(22) 부분에서 쓰레기(W)(특히, 음식물 쓰레기)는 적체되지 않고, 쉽게 이송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1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관로(20)에는 공기분사노즐(200)을 추가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공기분사노즐(200)은 상향관로(22)의 도입부를 향해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이송관로(20)에 누적되어 응고된 쓰레기(W)를 공기분사압력으로 분리시키게 된다.
즉 이와 같은 공기분사노즐(200)에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압축기(180)의 토출관(182)이 연결되거나, 공압관(190)이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가 제공되며, 중간에 개폐밸브(210)가 장착되어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개폐가 이루어지거나 원격으로 자동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는 점검도어(130)가 이송관로(20)의 점검홀(132)을 닫고 있는 상태로 있으며, 점성이 높은 음식물 쓰레기(W)의 작동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공급관(160)을 통해서 고압의 공기가 점검도 어(130) 측으로 분사되고, 점검도어(130)를 상향으로 1~10ㅀ로 상향 경사지게 한쪽면이 올라가도록 경사조절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향으로 경사진 점검도어(130)는 상향관로(22)의 초입 지점에서 쓰레기(W)를 자연스럽게 상향으로 밀어올려서 이송속도나 이송압력을 감소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쓰레기(W)를 수송하게 된다. 특히 상향으로 경사진 점검도어(130)는 상향관로(22)의 초입부분에 퇴적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도 상향관로(22)를 통해 이송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향흐름을 받도록 하여 상향관로(22)의 높은 지점으로 쓰레기를 밀어 올리게 되어 상향관로(22)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쓰레기 이송 압력손실 및 이송속도의 저하를 최대한 감소시키고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관로(20)의 상부측에 형성된 공기분사노즐(200)을 함께 동작시키면 공기분사노즐(200)에 의해서 상향관로(22)의 초입에 퇴적되어 있던 쓰레기(W)는 더욱 활발하게 이송관로(20)로부터 분리되고, 쓰레기 자동집하시설(1)의 송풍기(60) 압력으로 쉽게 원하는 이송지점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100)는 이송관로(20)의 내부가 막힌 경우, 관로내부의 점검은 물론, 상향관로(22)의 청소가 쉽게 가능하고, 쓰레기 이송충격으로부터 상향관로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쓰레기(W)중 점착성이 강한 음식물 쓰레기가 상향관로(22)에 부착 및 퇴적되지 않고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쓰레기(W)를 쉽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이송 관로를 도시한 계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상향관로에 쓰레기가 퇴적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에 공기분사노즐이 구비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에서 공기분사노즐과 공기 공급관을 통해서 고압 공기가 분사되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10 : 투입구
20 : 이송관로 22 : 상향관로
30 : 일반 쓰레기 수집기 40 : 음식물 쓰레기 수집기
50 : 운반 차량 60 : 흡입 송풍기
70 : 탈취 설비 80 : 소독 설비
100 :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
110 : 점검관 115 : 블라인드 플랜지
117 : 볼트 130 : 점검도어
132 : 점검홀 140 : 힌지
142... 받침턱 145 : 힌지축
147... 비틀림 스프링 160... 공기 공급관
163... 개폐밸브 180 : 압축기(COMPRESSOR)
182... 토출관 190 : 공압관
200... 공기분사노즐 θ : 열림각도
W : 쓰레기

Claims (5)

  1.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이송관로(20) 점검에 사용되는 점검구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로(20)의 하부측으로 연결되어 T자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블라인드 플랜지(115)를 탈착가능하게 볼트(117)로 결합되되, 상기 이송관로(20)의 관경 대비하여 10-100% 크기의 구경을 가지는 점검관(110);
    상기 점검관(110)의 내부에서 상기 이송관로(20)에 형성된 점검홀(132)을 개폐시키도록 일측이 힌지(140)로서 점검홀(132)에 연결되고, 타측이 받침턱(142)을 형성하여 상기 이송관로(20)의 내측으로 개폐시키는 점검도어(130); 및
    상기 점검관(110)의 내부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고압의 공기를 상기 점검도어(130)의 하부측에 분사하여 상기 점검도어(130)가 이송관로(20)의 내측으로 일정각도(θ)로 열리도록 상기 이송관로(20)의 내부에 공기를 분사시키는 공기 공급관(160);을 포함하며,
    쓰레기(W)의 이송시, 상기 공기 공급관(160)의 공기분사를 통해 상기 점검도어(130)가 이송관로(20)측으로 열리도록 하여 쓰레기(W) 이송방향을 이송관로(20)의 상부측으로 방향전환시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도어(130)는,
    힌지축(145)에 비틀림 스프링(147)을 구비하여 상기 점검도어(130)가 이송관로(20)의 점검홀(132)로부터 열리는 경우, 점검홀(132)을 닫도록 하는 복원력을 가하고, 상기 공기 공급관(160)의 공기 분사압력은 상기 비틀림 스프링(147)의 복원력보다 그 힘이 커서 공기분사시 상기 점검도어(130)를 이송관로(20)의 내측으로 열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도어(130)는,
    상기 힌지축(145)을 해체하면 상기 이송관로(2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점검홀(132)을 통해서 이송관로(20) 내부를 점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관(160)은,
    공기분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중간에 개폐밸브(163)를 더 구비하고, 그 끝단은 외부로부터 제공된 압축기(180)의 토출관(182) 또는 공압관 또는 공기흡입구(190)에 연결되어 상기 점검도어(130)측으로 고압의 공기분사를 이룰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로(20)는,
    상향관로(22)의 도입부를 향해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이송관로(20)에 누적되어 응고된 쓰레기(W)를 공기분사압력으로 분리시키는 공기분사노즐(200)이 추가 장착되며, 상기 공기분사노즐(200)에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압축기(180)의 토출관(182) 또는 공압관(19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
KR2020090005129U 2009-04-28 2009-04-28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 KR200451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129U KR200451681Y1 (ko) 2009-04-28 2009-04-28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129U KR200451681Y1 (ko) 2009-04-28 2009-04-28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908U true KR20100010908U (ko) 2010-11-05
KR200451681Y1 KR200451681Y1 (ko) 2011-01-04

Family

ID=4420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129U KR200451681Y1 (ko) 2009-04-28 2009-04-28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6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722B1 (ko) * 2010-12-08 2011-06-28 주식회사 건화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44727B1 (ko) * 2010-12-08 2011-06-28 주식회사 건화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4468Y2 (ko) 1974-10-29 1979-12-20
JPS532576U (ko) 1976-06-25 1978-01-11
JPS60130205U (ja) 1984-02-07 1985-08-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ごみ空気輸送装置
JPS63104308U (ko) 1986-12-24 1988-07-0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722B1 (ko) * 2010-12-08 2011-06-28 주식회사 건화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44727B1 (ko) * 2010-12-08 2011-06-28 주식회사 건화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681Y1 (ko) 201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408904U (zh) 一种建筑施工垃圾通道
CN201236070Y (zh) 用于垃圾气力输送系统的分离器
CN101903260A (zh) 在气动的物料输送系统中的方法和设备
CN211077591U (zh) 一种垃圾自动收集系统
KR200461576Y1 (ko)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
KR100916036B1 (ko) 진공이송 쓰레기 수거시스템의 공기흡입구
KR200451681Y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
CN101967809A (zh) 铁路隧道清洁车
CN201264803Y (zh) 用于垃圾气力输送系统的带有消音补气箱的投放站
CN103380067A (zh) 用于在垃圾滑道中实现空气流动的方法和设备
CN106013306B (zh) 一种垃圾开挖一体机
CN2931394Y (zh) 输送和储存垃圾的溜槽
KR100574442B1 (ko) 흡입공기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그 공법
CN205972590U (zh) 基于升降气固分离装置的固废物及生活垃圾管道运输中转站
KR101014276B1 (ko) 다용도 도로유지 청소차
CN208377958U (zh) 一种分类垃圾用高效运输的输送装置
KR20090023846A (ko) 쓰레기 자동처리시설에서 쓰레기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는장치
KR20090000523A (ko) 진공이송방식과 송풍기이송방식을 혼합한 쓰레기 수거시스템
KR101044727B1 (ko)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장치
KR101064876B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KR101091586B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CN208928376U (zh) 一种自动除杂装置及具有该装置的污泥处置系统
CN210386841U (zh) 一种干雾水气管道自动吹扫装置
KR100919846B1 (ko) 고층 건축물의 쓰레기 회수 설비의 쓰레기 수집기
KR200358098Y1 (ko) 흡입공기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그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