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442B1 - 흡입공기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그 공법 - Google Patents

흡입공기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그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442B1
KR100574442B1 KR1020040030038A KR20040030038A KR100574442B1 KR 100574442 B1 KR100574442 B1 KR 100574442B1 KR 1020040030038 A KR1020040030038 A KR 1020040030038A KR 20040030038 A KR20040030038 A KR 20040030038A KR 100574442 B1 KR100574442 B1 KR 100574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pipe
foreign matter
vacuum pump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4677A (ko
Inventor
최재현
Original Assignee
최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현 filed Critical 최재현
Priority to KR1020040030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442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by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파이프나 가스파이프 또는 기타 파이프의 내면에 생성된 녹, 또는 기타 스케일 등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파이프 세척장치 및 그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공기를 이용하여 파이프 내면에 생성된 이물질을 빠른시간에 세척하는 동시에 작업시간 단축, 소음발생억제,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흡입공기를 이용한 파이프 세척장치 및 그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파이프의 일측을 천공하여 안내공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공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외주연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 후방에 흡입호스의 일단이 커플링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어 흡입호스를 통해 파이프 내부의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결부재; 상기 흡입호스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복수의 연결구를 갖는 연결관의 일단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사이클론 일측에 연결되고, 이 사이클론 하부에 원통형상의 집진통을 갖는 제1집진부재; 상기 사이클론 상부 중앙에 이송관이 형성되고 타단은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집진통에서 1차적으로 분리된 공기와 이물질을 이송시키는 제1이송유로; 상기 제1이송유로를 통해 이송된 공기 및 이물질을 수직으로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분리시키는 사이클론과, 사이클론에서 분리된 비중이 큰 이물질을 집진시키는 집진통을 갖는 제2집진부재; 상기 제2집진부재 상부에 이송관이 형성되고 타단은 소정길이 연장되어 2차적으로 분리된 공기 및 이물질을 이송시키는 제2 이송유로; 상기 제2이송유로를 따라서 2차적으로 분리된 공기 및 이물질을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집진 및 분리시키는 집진통을 갖는 제3집진부재; 상기 제3집진부재와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파이프 내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와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진공펌프를 통해 유입된 미세 이물질이 이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3집진기의 일측에 형성된 소음기; 상기 소음기와 이송관으로 일단이 연결되어 소음기를 통해 유입된 미세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집진하도록 집진통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통의 상부 일측에 이송관으로 유입된 잔류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관이 형성되며 상기 집진통의 일측에 형성되어 집진통의 일측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각도조절장치를 갖는 제4집진부재;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진공펌프를 구동시키는 동력전달장치; 및 상기 집진장치를 탑재하는 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집진부재, 이송관, 각도조절장치, 진공펌프, 동력전달장치

Description

흡입공기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그 공법{Pipe cleaning device with inlet ai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2 는 도 1의 요부확대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 고정부재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도 5 는 도 4의 측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 각도조절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8 은 종래의 A/S공법을 적용한 상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부재 11 : 고정플레이트
12 : 브라켓트 13 : 체결볼트
14 : 단턱부 15 : 연결플레이트
20 : 연결부재 21 : 흡입호스
30 : 제1집진부재 31,41 : 사이클론
32, 42 : 본체 33,43,51,71 : 집진통
34 : 연결관 35 : 연결구
36,44,52,72 : 배출구 37 : 제1이송유로
40 : 제2집진부재 45 : 제2이송유로
50 : 제3집진부재 60 : 진공펌프
61 : 소음기 70 : 제4집진부재
73 : 배출관 74 : 각도조절장치
75 : 로드 76 : 실린더
80 : 동력전달장치 90 : 차량
91 : 바닥면 P : 이송관
100 : 제1집진부재 200 : 제2집진부재
본 발명은 수도파이프나 가스파이프 또는 기타 파이프의 내면에 생성된 녹, 또는 기타 스케일 등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파이프 세척장치 및 그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공기를 이용하여 파이프 내면에 생성된 이물질을 빠른시간에 세척하는 동시에 작업시간 단축, 소음발생억제,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흡입공기를 이용한 파이프 세척장치 및 그 공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대구경관이나 수도관 또는 가스관 등 파이프라인은 2~3년만 지나면 산화작용이 시작되고 그리고 10년 정도 지나면 부식되기 시작하며, 수도관 등은 파이프내부에 스케일 및 이물질이 축적되어, 배관의 효율적인 기능(원활한 급수)이 저하되고 적수(녹물)발생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파이프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보수방법으로는 배관 교체 및 A/S공법(Air Sand) 등이 있으나, 건축물의 파손, 소음, 단수기간이 많고, 공사비가 많이 소용되어 현재는 A/S공법으로 많이 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A/S공법은 건축물을 파괴하지 않고 밸브 및 후렌지 등을 해체하여 관내부를 고압공기로 건조시킨 후 고압공기와 연마석(규사)을 혼합하여 관내부를 크리닝(청소)하고 인체에 무해한 상수도용 에폭시 수지도료를 관내부에 코팅(라이닝)하여 반영구적으로 배관의 수명을 연장하는 방법으로 현재 주택공사 및 관공서에서도 A/S공법으로 노후배관을 보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A/S공법은 관연결관 마다 호스를 깔아 연결시켜야되는 번거로움과 호스에 작업자가 걸리는 등의 안전상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A/S공법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압의 공기를 파이프 내부에 불어넣기 때문에 압력에 의해 녹 스케일 등의 이물질이 분기구(가정으로 들어가는 배관)로 침투 배관이 막혀 땅을 파고 벽을 깬 다음 분기구마다 호스로 연결, 분진 과 녹을 회수해야 되는 결함이 있었다.
그리고, 고압의 공기를 파이프 내부로 공급하기 때문에 소음이 많이 발생함으로써, 민원이 발생하여 작업을 원활하게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고압의 공기를 불어넣기 때문에 파이프 내면에 미세한 이물질을 완벽하게 처리하지 못하여 코팅작업시 에폭시 수지가 파이프내면과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코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결함도 있었다.
또한, 고압공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한쪽에는 콤프레샤를 설치하고 다른 쪽 입구쪽에는 집진장치를 설치하기 때문에 파이프의 양쪽을 공사해야되는 번거로움과 공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파이프의 일측에 안내공을 천공하고 안내공 외주연에 고정부재를 기밀이 유지되게 설치한 다음 흡입공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집진기를 통해서 단계별 집진 및 여과 과정시 발생하는 소음 발생을 억제하고 빠른 시간에 공사가 이루어지도록 한 흡입 공기를 이용한 파이프 세척장치 및 그 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입 공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파이프에 연결된 분기구가 막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작업시간의 단축과 보수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흡입 공기를 이용한 파이프 세척장치 및 그 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집진부재를 형성하여 미세한 이물질까지 분리가 가능한 동시에 집진부재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흡입 공기를 이용한 파이프 세척장치 및 그 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시공 기간이 짧아 주거생활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차량에 세척장치 전체가 탑재가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 및 시공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흡입 공기를 이용한 파이프 세척장치 및 그 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파이프의 일측을 천공하여 안내공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공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외주연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 후방에 흡입호스의 일단이 커플링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어 흡입호스를 통해 파이프 내부의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결부재; 상기 흡입호스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복수의 연결구를 갖는 연결관의 일단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사이클론 일측에 연결되고, 이 사이클론 하부에 원통형상의 집진통을 갖는 제1집진부재; 상기 사이클론 상부 중앙에 이송관이 형성되고 타단은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집진통에서 1차적으로 분리된 공기와 이물질을 이송시키는 제1이송유로; 상기 제1이송유로를 통해 이송된 공기 및 이물질을 수직으로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분리시키는 사이클론과, 사이클론에서 분리된 비중이 큰 이물질을 집진시키는 집진통을 갖는 제2집진부재; 상기 제2집진부재 상부에 이송관이 형성되고 타단은 소정길이 연장되어 2차적으로 분리된 공기 및 이물질을 이송시키는 제2이송유로; 상기 제2이송유로를 따라서 2차적으로 분리된 공기 및 이물질을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집진 및 분리시키는 집진통을 갖는 제3집진부재; 상기 제3집진부재와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파이프 내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와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진공펌프를 통해 유입된 미세 이물질이 이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3집진기의 일측에 형성된 소음기; 상기 소음기와 이송관으로 일단이 연결되어 소음기를 통해 유입된 미세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집진하도록 집진통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통의 상부 일측에 이송관으로 유입된 잔류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관이 형성되며 상기 집진통의 일측에 형성되어 집진통의 일측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각도조절장치를 갖는 제4집진부재;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진공펌프를 구동시키는 동력전달장치; 및 상기 집진장치를 탑재하는 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와, 주요구성의 요부를 확대한 요부확대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로서, 본 발명 파이프 세척장치(1)는 파이프(2)의 일측을 천공하여 안내공(3)을 형성하고 안내공(3)의 일측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외주연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와, 고정부재(10)와 연결되어 파이프(2) 내면의 공기 및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로 이송된 공기 및 이물질을 분리 및 집진시키는 제1~4집진부재(30~70)와, 집진부재에 공기 및 이물질을 이송시키는 이송 관(P)을 갖는 제1~2이송유로(37)(45)와, 제3집진부재(40) 일측에 형성되어 파이프(2)의 공기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진공펌프(60)를 구동시키는 동력전달장치(80)와, 상기 세척장치(1)를 탑재하는 차량(90)으로 크게 구성된다.
고정부재(10)는 파이프(2)의 안내공(3) 외주연에 고정플레이트(11) 내측면이 삽입되고, 이 고정플레이트(11) 전방 내면을 따라서 복수의 브라켓트(12)가 형성되어 내측에는 체결볼트(13)가 결합되며 이 체결볼트(13)를 조절하여 고정플레이트(11)를 파이프(2)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1) 후방에는 계단식으로 형성된 단턱부(14)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14)와 밀착되도록 연결플레이트(15) 내측면이 삽입되어 밀착되는데, 이때 연결플레이트(15)는 안내공(3)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후방이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단부에 나사산을 갖는 체결부(16)를 형성하여 후술할 흡입호스(21)와 커플링으로 결합시켜 고정시킨다.
한편, 고정플레이트(11) 외주연 내측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플레이트(15)에도 구멍을 형성한 다음 볼트(17)를 결합하여 고정시키고, 고정플레이트(11) 단턱부(14)와 연결플레이트(15) 사이에는 패킹(18)을 설치하여 견고하게 고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도 4, 도 5참조)
연결부재(20)는 상기 연결플레이트(15) 체결부(16)에 흡입호스(21) 일단이 결합되어 커플링으로 견고하게 고정되고 흡입호스(21)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제1집진부재(30)의 연결구(35)에 커플링으로 고정되어 파이프(2) 내면에 축적된 녹 또는 스케일 등의 이물질과 흡입된 공기를 흡입호스(21)를 통해 제1집진부재(30)로 이송하게 된다.
제1집진부재(30)는 흡입호스(21)를 통해 흡입된 공기 및 이물질 등을 순차적으로 분리시키고 이물질을 단계별로 분리시켜 미세하게 정화하는 여과과정으로 1~4단계의 과정을 거쳐서 완전히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흡입호스(21) 단부가 결합되도록 복수의 연결구(35)가 저면에 형성된 연결관(34)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부 일단을 절곡시켜 사이클론(31) 상부 일측에 고정하고 연결관(34)으로 흡입된 공기 및 이물질은 사이클론(31) 내부를 통해서 일차적으로 분리된다.
상기 사이클론(31)은 상부면에 원통형 본체(32)가 형성되고 이 본체(32) 저면이 수직으로 연장되면서 하부 외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연결관(34)으로 유입된 공기 및 이물질이 본체(32) 내면을 따라 고속회전하는 외부 회류(swiri)를 형성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하향 유동하여 비중이 큰 이물질은 본체(32)의 하부로 배출되고, 비중이 작은 이물질 또는 액체는 본체(32)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내부 회류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후술할 제1이송유로(37)의 이송관(P)을 통과하여 제2집진부재(40)로 이송된다.
한편, 사이클론(31)의 본체(32) 하측으로 떨어지는 비중이 큰 이물질은 사이클론(31) 저면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집진통(33)에 집진되고, 이 집진통(33) 일측에는 배출구(36)가 형성되어 제1집진부재(30)에 집진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집진부재(40)는 상기 제1집진부재(30)와 동일한 구조를 갖으며 상기 제1집진부재(30)의 수직길이방향에 설치되는데, 상기 제1이송유로(37)의 이송관(P)을 따라서 1차적으로 분리된 공기 및 이물질이 사이클론(41) 상부 일측면에 연결된 이 송관(P)을 따라서 본체(42)의 내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이송된 이물질은 본체(42)의 내면을 따라 고속회전하는 외부 회류(swiri)를 형성하면서 수직으로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하향 유동하여 비중이 큰 이물질은 본체(42)의 하부에 형성된 집진통(43)에 집진되고, 비중이 작은 이물질은 본체(42)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내부 회류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후술할 제2이송유로(45)의 이송관(P)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집진부재(40)의 집진통(43)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44)를 통해서 집진통(43)에 집진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3집진부재(50)는 상기 제2이송유로(45)를 따라서 2차적으로 분리된 공기 및 이물질이 집진되도록 형성된 집진통(51)에 이물질이 집진되는데, 여기서 집진통(51)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제2이송유로(45)의 이송관(P) 단부가 집진통(51) 상부 일측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작용하는 원심력 회류에 의해서 미세 이물질이 집진통(51)에서 분리되어 배출구(5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고 집진통(51)에서 분리되지 않은 이물질은 집진통(51) 상부 일측에 형성된 이송관(P)을 따라서 후술할 진공펌프(60)로 이송된다.
진공펌프(60)는 제3집진부재(50)에서 3차적으로 분리된 미세 이물질이 이송관(P)을 따라서 진공펌프(60) 내에 흡입되어 진공펌프(60) 일측에 설치된 소음기(61)를 통해 미세 이물질이 이동하게되는데, 이때 소음기(61)는 진공펌프(60)를 통해 유입된 미세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후술할 제4집진부재(70)로 이송시키는 동시에 진공펌프(60)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와 이물질이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제4집진부재(70)는 소음기(61)와 연결된 이송관(P) 단부가 집진통(71)의 일측에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미세 이물질을 집진하게 되고, 상기 집진통(71)에 집진된 이물질은 집진통(71) 정면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7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집진통(71) 일측 상부에는 외부로 연결되는 배출관(73)이 형성되어 집진통(71)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집진통(71) 후방 일측에는 각도조절장치(74)가 설치되는데, 이 각도조절장치(74)는 집진통(71) 후방 일측에 브라켓트(71a)가 설치되고 이 브라켓트(71a) 일측에 로드(75)의 일단이 고정되며 로드(75)와 연결된 실린더(76)는 후술할 차량(90) 바닥면(91)에 고정되어 로드(75)가 상/하로 작동하면서 집진통(71)의 후방을 승하강시켜 배출구(72)를 통해 이물질이 쉽게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제4집진부재(70)의 집진통(71)은 차량(90) 바닥면(91)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받침대(77)를 형성하여 각도조절장치(74)를 이용하여 집진통(71)의 후방을 승하강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도 6참조)
동력전달장치(80)는 진공펌프(60)의 일측에 진공펌프(60)를 구동시키는 구동축(60a)과 동력전달장치(80)의 구동모터(미도시)와 벨트 또는 체인(81)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진공펌프(60)를 작동시켜 파이프(2) 내면의 녹, 스케일 등의 이물질을 고압으로 흡입하여 제1~4집진부재(30~70)를 통해 단계별로 여과 및 분리되어 각각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차량(90)은 세척장치(1)를 차량(90)의 바닥면(91)에 설치하여 이동 및 취급이 간편하도록 하는 동시에 빠른 시간에 파이프(2) 세척작업이 완료되도록 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파이프(2)의 일측을 천공하여 고정부재(10)와 연결부재(20)를 설치하는 작업은 동일하고, 제1집진부재(100)와 제2집진부재(200)그리고 진공펌프(300)와 동력전달장치(400)로 크게 구성된다.
제1집진부재(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집진통(110)을 기존의 집진통(110)보다 다소 크게 형성하여 내부에 많은 량의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집진통(110)의 상부에 대향되도록 형성된 이송관(P) 중 하나에 흡입호스(21)의 단부를 연결하여 커플링으로 고정시키고 흡입호스(21)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집진되도록 하고, 이 집진통(110)의 전방에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120)가 형성되는데, 이때 배출구(120)는 상부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전방 배출구(120)가 개폐되도록 한다.
한편. 집진통(110)의 후방 일측에는 브라켓트(130)를 형성하고 브라켓트(130) 일단에 각도조절장치(140)가 설치되는데, 이 각도조절장치(140)의 로드(150)는 일단이 브라켓트(130)에 고정되고 타단은 실린더(160)와 연결되어 실린더(160)는 차량(90)의 바닥면(91)에 고정되어 로드(150)의 상하작동에 의해 집진통(110)의 일측이 승하강되면서 배출구(120)를 통해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집진통(110)은 차량(90) 바닥면(91)에 설치하되, 각도조절장치(140) 가 작동시 집진통(110)의 일측이 원활하게 선회가 가능하도록 집진통(110)의 전방 하측에 받침대(170)를 형성하여 받침대(170)를 기준으로 집진통(110)이 선회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송유로(180)는 제1집진부재(100)와 후술할 제2집진부재(200)를 이송관(P)으로 연결하여 제1집진부재(100)에서 일차적으로 여과된 이물질 중 비중이 작은 이물질이 이송관(P)을 따라서 제2집진부재(200)로 이동하게 된다.
제2집진부재(200)는 이송유로(180)로 유입된 공기 및 이물질이 사이클론(310)으로 유입되어 수직으로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이물질을 분리시킨다.
상기 사이클론(210)은 상부면에 원통형 본체(220)가 형성되고 이 본체(230) 저면이 수직으로 연장되면서 하부 외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이송관(P)으로 유입된 공기 및 이물질이 본체(220) 내면을 따라 고속회전하는 외부 회류(swiri)를 형성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하향 유동하여 본체(220)의 하부에 형성된 집진통(230)으로 집진되어 상기 집진통(230)의 전방에 형성된 배출구(2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사이클론(210)의 본체(220) 상부 일측에는 이송관(P)이 연결되고 이의 타단은 진공펌프(300)와 연결되어 진공펌프(300)의 작동으로 파이프(2) 내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진공펌프(300)는 동력전달장치(400)와 연결되어 진공펌프(300)를 구동하며, 이와 같은 장치는 차량(90)에 탑재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세척 공법은, 파이프(2)의 일측을 천공하여 안내공(3)을 형성하고 안내공(3) 단부에 내부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고정플레이트(11)와 연결플레이트(15)로 이루어진 고정부재(10)를 형성하여 볼트(17)로 상호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부재(10) 일단에 흡입호스(21)의 일단을 커플링으로 고정하며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시키는 준비단계;
상기 흡읍호스(21) 단부가 연결관(34)의 저면에 형성된 연결구(35)에 커플링으로 고정되고 이 연결관(34) 단부가 사이클론(41)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작용하는 원심력 회류에 의해 파이프(2) 내면의 공기 및 이물질이 분리되고 분리되지 않은 비중이 큰 이물질은 하부에 형성된 집진통(33)에 집진되는 제1,2집진부재(30)(40)를 이송관(P)으로 상호 연결시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제1여과단계;
상기 제2집진부재(40)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원심력 회류로 공기 및 이물질을 분리 및 집진시키는 집진통(51)을 갖는 제3집진부재(50)를 진공펌프(60)와 이송관(P)으로 상호 연결시키고, 상기 진공펌프(60)의 작동으로 파이프(2) 내면의 공기 및 이물질을 흡입하여 재차 분리시키는 제2여과단계;
상기 진공펌프(60)의 일측에 소음기(61)를 형성하여 진공펌프(60)의 작동으로 흡입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기 위한 소음발생방지단계;
상기 소음기(61)와 이송관(P)이 연결되어 소음기(61)를 통해 유입된 미세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집진하도록 집진통(71)을 갖는 제4집진부재(70)를 형성하고 이의 일측에 제4집진부재(70)의 일측에 각도조절장치(74)가 설치하여 집진통(71)의링측을 상하로 승강시켜 상기 집진통(71)에 집진된 이물질을 배출구(7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단계;
상기 진공펌프(60)와 연결되어 진공펌프(60)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갖는 동력전달장치(80)를 구비하고, 파이프(2)의 세척이 완료되면 안내공(3)의 반대편에서 규사를 투입하여 크리닝작업을 수행한 다음 물을 투입하여 흡입공기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파이프(2)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및
상기 세척단계가 완료되면 상하수관의 파이프(2) 내면에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여 내측벽면을 코팅하는 코팅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흡입 공기를 이용한 파이프 세척장치 및 그 공법을 도면을 첨부하여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차량(90)의 바닥면(91)에 탑재된 세척장치(1)를 신속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취급 및 사용이 간편하도록 구성한다.
차량(90) 바닥면(91) 일측에 형성된 컨트롤박스(4)는 각각의 스위치를 작동시켜 세척장치(1)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동력전달장치(80)를 구동시키면 동력전달장치(80)의 구동모터가 구동하면서 진공펌프(60)를 작동시켜 고압의 흡입 공기가 파이프(2) 내면의 녹, 스케일 등의 이물질을 빨아들이게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파이프(2) 내면에서 이물질이 떨어지면서 흡입호스(21)를 따라서 제1집진부재(30)의 사이클론(31) 내부로 이동하면서 원통형 본체(32) 내측 벽면을 따라서 고속의 외부 회류가 형성되어 원추형으로 형성된 사이클론(31) 저면을 따라서 비중이 높은 이물질은 집진통(33)에 집진되고, 비중이 낮은 이물질은 제1이송유로(37)의 이송관(P)의 흡입력과 중심부에서 형성되는 내부 회류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이송관(P) 을 통과하여 제2집진부재(40)로 이동하여 배출된다.
한편, 이송관(P)을 따라서 이동하는 이물질은 제2집진부재(40)의 사이클론(41)을 거쳐서 비중이 높은 이물질은 집진통(43)에 집진되고, 비중이 낮은 이물질은 내부 회류를 따라서 제2이송유로(45)를 거쳐서 제3집진부재(50)로 이동하게 되는데, 여기서 제3집진부재(50)는 제1,2집진부재(30)(40)의 수직으로 작용하는 원심력 회류와는 다르게 수평으로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한 회류가 발생되도록 수평길이방향으로 집진통(51)을 형성하여 이물질이 점진적으로 빠르게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3집진부재(50) 일측에 형성된 진공펌프(60)는 동력전달장치(80)의 구동력으로 고속의 흡입 공기를 발생하여 파이프(2) 내면에 오랜 시간 형성된 녹, 스케일 등의 이물질이 떨어져서 각각의 이송관(P)과 집진통(33)(43)(51)에서 단계별로 분리 및 여과시켜 미세한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진공펌프(60)의 흡입 공기는 파이프(2)의 외주연과 연결된 분기구(5)(가정으로 들어가는 배관) 내측에 형성된 이물질까지 흡입하여 처리함으로써, 기존에 A/S공법의 분사공기로 인하여 분기구(5) 배관이 막혀 땅을 파고 벽을 깬 다음 분기구(5)마다 호스로 연결, 분진과 녹을 회수해야 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진공펌프(60)로 유입된 공기 및 미세 이물질은 다시 소음기(61)로 이동하는데, 이때 소음기(61)는 고압의 흡입 공기를 빨아들이는 과정에서 공기 및 이물질이 이송관(P)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소음을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기존에 고속 분사방식의 A/S공법의 경우 이송관(P)을 따라서 이동하는 공기가 충돌하면서 이송관(P)과 마찰이 심하게 발생하여 이송관(P)이 쉽게 파손되거나, 또는 상기와 같은 충돌로 인하여 심하게 소음이 발생하여 주민들의 신고로 인하여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보안한 것이다.
최종적으로 제4집진부재(70)로 집진된 미세 이물질은 각도조절장치(74)의 작동으로 로드(75) 일단이 집진통(71)의 브라켓트(71a)에 고정되어 로드(75)가 상승하면서 집진통(71)에 집진된 이물질이 배출구(72)를 통해서 간편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각도조절장치(74)는 집진통(71)을 상하부로 승하강시키기 간편하도록 집진통(71)을 바닥면(91)과 이격된 상태에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공정을 통해서 파이프(2) 내면의 녹, 스케일 등의 이물질이 단계별로 집진 및 분리되면서 최종적으로 집진되는 미세한 이물질까지 간편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단계별로 분리되는 집진부재를 통해서 이물질이 순차적으로 각각의 집진통(33)(43)(51)(71)에 집진되어 이송관(P)이 막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이물질의 집진 및 분리작업 완료 후에는 규사를 투입하는 크리닝작업을 수행하게되는데, 파이프(2) 안내공(3) 타측에서 규사를 공급하여 파이프(2) 내면에 최종적으로 붙어있는 이물질과 이송관(P)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청소하여 집진통(33)(43)(51)(71)의 배출구(36)(440(52)(7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흡입공기로 흡입되는 규사는 흡입 공기의 회류로 인하여 파이프(2) 내면과 충돌하면서 스파크를 발생하면서 파이프(2) 내벽에 잔류하고 있는 미세 이물질과 충돌하면서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규사의 투입은 물 세척 작업전에 수행하거나 물 세척작업을 시행하지 않을 수도 있는 선택사항이다.
또한, 코팅작업에 있어서, 규사를 투입하는 경우 이외에 에폭시 수지를 투입하여 흡입 공기를 이용하여 에폭시 수지를 흡입하면 에폭시 수지는 파이프(2)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빠르게 에폭시코팅처리를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파이프(2)의 안내공(3)에 고정부재(10)와 연결부재(20)의 흡입호스(21)를 연결시킨 다음 흡입호스(21)의 단부를 제1집진부재(100)의 집진통(110)에 형성된 이송관(P)과 연결시켜 집진통(110) 내부에 이물질이 집진되는데, 여기서 집진통(110)은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고 내부에 많은 량의 이물질이 수용되도록 용량이 큰 집진통(110)을 형성한다.
동력전달장치(400)의 구동으로 진공펌프(300)가 작동하면서 고압의 흡입공기가 파이프(2) 내면의 이물질을 흡입하게 되는데, 이때 흡입호스(21)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흡입호스(21)와 집진통(110) 내부에 쌓이지 않도록 흡입호스(21)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이물질이 물과 함께 집진통(110)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유입된 물과 이물질은 집진통(110)의 내부에 쌓이게되고 미세한 비중이 작은 이물질은 이송유로(180)를 따라서 제2집진부재(200)에 집진되게 된다.
여기서 제2집진부재(200)는 서두에서 설명한 제1,2집진부재(30)(40)와 동일한 구조를 갖으며 동일한 작용을 하게된다.
한편, 제1집진부재(100)로 유입된 물과 이물질이 어느 정도 쌓이게되면 외부에 형성된 투시창(190)을 통하여 내부를 확인 한 다음 각도조절장치(140)를 작동시켜 로드(150)가 수직으로 상승하면 집진통(110)는 받침대(170)를 기준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져서 배출구(120)가 오픈되면서 내부의 물과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세척장치(1)는 부피가 작은 상수도관의 세척이 필요할 경우나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서 대형차량이 출입하지 못하는 골목길이나 좁은 길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고압의 흡입 공기를 이용하여 파이프 내면의 녹, 스케일 등의 이물질을 단계별로 집진 및 분리시켜 빠른 시간에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인력과 시간의 절약으로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흡입 공기를 이용함으로써, 소음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단계별로 집진 및 분리되는 이물질이 이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대한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 외주연에 설치되는 분기구의 막힘현상을 방지하여 종래 분기구가 막힘으로 인하여 땅을 파고 파이프와 분기구의 막힘을 뚫어야 되는 번거로 움과 이로인하여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는 결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대형차량에 탑재되는 세척장치와 좁은 길이나 협소한 장소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제1,2집진부재만을 사용하여도 파이프 내면의 이물질의 세척 및 크리닝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Claims (9)

  1. 파이프의 일측을 천공하여 안내공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공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외주연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 후방에 흡입호스의 일단이 커플링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어 흡입호스를 통해 파이프 내부의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결부재;
    상기 흡입호스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복수의 연결구를 갖는 연결관의 일단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사이클론 일측에 연결되고, 이 사이클론 하부에 원통형상의 집진통을 갖는 제1집진부재;
    상기 사이클론 상부 중앙에 이송관이 형성되고 타단은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집진통에서 1차적으로 분리된 공기와 이물질을 이송시키는 제1이송유로;
    상기 제1이송유로를 통해 이송된 공기 및 이물질을 수직으로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분리시키는 사이클론과, 사이클론에서 분리된 비중이 큰 이물질을 집진시키는 집진통을 갖는 제2집진부재;
    상기 제2집진부재 상부에 이송관이 형성되고 타단은 소정길이 연장되어 2차적으로 분리된 공기 및 이물질을 이송시키는 제2이송유로;
    상기 제2이송유로를 따라서 2차적으로 분리된 공기 및 이물질을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집진 및 분리시키는 집진통을 갖는 제3집진부재;
    상기 제3집진부재와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파이프 내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와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진공펌프를 통해 유입된 미세 이물질이 이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3집진기의 일측에 형성된 소음기;
    상기 소음기와 이송관으로 일단이 연결되어 소음기를 통해 유입된 미세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집진하도록 집진통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통의 상부 일측에 이송관으로 유입된 잔류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관이 형성되며 상기 집진통의 일측에 형성되어 집진통의 일측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각도조절장치를 갖는 제4집진부재;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진공펌프를 구동시키는 동력전달장치; 및
    상기 집진장치를 탑재하는 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공기를 이용한 파이프 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파이프의 안내공 외주연에 고정플레이트가 삽입되고, 이 고정플레이트 전방 내면을 따라 복수의 브라켓트가 형성되며, 이 내측에 체결볼트가 결합되어 고정플레이트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 후방에 단턱부를 형성하여 단턱부와 밀착되도록 연결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연결플레이트의 후방이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단부에 나사산을 갖는 체결부를 형성하여 상기 흡입호스와 커플링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연결플레이트는 볼트로 외주연 내측을 고정시키며, 이들 사이에 패킹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공기를 이용한 파이프 세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은 원통형 본체의 저면이 수직으로 연장되면서 하부 외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공기를 이용한 파이프 세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4집진부재는 집진통의 일측에 내부에 집진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공기를 이용한 파이프 세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제4집진부재 집진통 일측에 형성된 브라켓트에 로드가 고정되고, 로드와 결합된 실린더의 일단이 차량 바닥면에 고정되어 로드가 작동하면 집진통 전방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기준으로 집진통이 기울어져서 내부의 이물질을 배출구를 통해서 간편하게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공기를 이용한 파이프 세척장치.
  6. 파이프의 일측을 천공하여 안내공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공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외주연에 고정부재가 설치되며 고정부재의 일단에 흡입호스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된 연결부재;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집진통 상부에 대향되도록 형성된 이송관 중 하나 에 흡입호스의 단부가 연결되어 흡입호스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집진되고, 이 집진통의 후방 일측에 브라켓트를 형성하며 브라켓트 일단에 고정되어 집진통의 일측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각도조절장치를 갖는 제1집진부재;
    상기 집진통의 타측 이송관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일측으로 연장되어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 중 비중이 작은 이물질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로;
    상기 이송유로의 단부와 연결되어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공기 및 이물질을 수직으로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분리시키는 사이클론과, 사이클론 하측에 사이클론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집진시키는 집진통을 갖는 제2집진부재;
    상기 제2집진부재 상부에 이송관이 형성되고 타단은 소정길이 연장되어 파이프 내부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진공펌프를 구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집진장치를 탑재하는 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공기를 이용한 파이프 세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2집진부재는 집진통의 일측에 내부에 집진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집진통의 일측에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공기를 이용한 파이프 세척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제1집진부재 집진통 일측에 형성된 브라켓트에 로드가 고정되고, 로드와 결합된 실린더의 일단이 차량 바닥면에 고정되어 로드가 작동하면 집진통 전방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기준으로 집진통이 기울어져서 전방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서 내부의 이물질을 간편하게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공기를 이용한 파이프 세척장치.
  9. 파이프의 일측을 천공하여 안내공을 형성하고 안내공 단부에 내부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고정플레이트와 연결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고정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재 일단에 흡입호스의 일단을 커플링으로 고정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시키는 준비단계;
    상기 흡읍호스 단부가 연결관의 저면에 형성된 연결구에 커플링으로 고정되고 이 연결관의 단부가 사이클론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작용하는 원심력 회류에 의해 파이프 내면의 공기 및 이물질이 분리되고, 분리되지 않은 비중이 큰 이물질은 하부에 형성된 집진통에 집진되는 제1,2집진부재를 이송관으로 상호 연결시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제1여과단계;
    상기 제2집진부재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원심력 회류에 의해 공기 및 이물질을 분리 및 집진시키는 집진통을 갖는 제3집진부재를 진공펌프와 이송관으로 상호 연결시키고,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상하수관의 공기 및 이물질을 흡입하여 재차 분리시키는 제2여과단계;
    상기 진공펌프의 일측에 소음기를 형성하여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흡입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기 위한 소음발생방지단계;
    상기 소음기와 이송관이 연결되어 소음기를 통해 유입된 미세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집진하도록 집진통을 갖는 제4집진부재를 형성하고, 이의 일측에 제4집진부재를 상하로 승하강시켜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단계;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진공펌프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갖는 동력전달장치를 구비하고, 파이프의 세척이 완료되면 안내공 반대편에서 규사를 투입하여 크리닝작업을 수행한 다음 내부에 물을 투입하여 흡입공기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파이프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및
    상기 세척단계가 완료되면 에폭시수지를 이용하여 파이프내면을 코팅하는 코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공기를 이용한 파이프 세척공법.
KR1020040030038A 2004-04-29 2004-04-29 흡입공기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그 공법 KR100574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038A KR100574442B1 (ko) 2004-04-29 2004-04-29 흡입공기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그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038A KR100574442B1 (ko) 2004-04-29 2004-04-29 흡입공기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그 공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365U Division KR200358098Y1 (ko) 2004-05-03 2004-05-03 흡입공기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그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677A KR20050104677A (ko) 2005-11-03
KR100574442B1 true KR100574442B1 (ko) 2006-04-27

Family

ID=37282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038A KR100574442B1 (ko) 2004-04-29 2004-04-29 흡입공기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그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4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488A (ko) * 2014-05-09 2015-11-18 신호산기(주) 슬러지 수집 장치
WO2017147680A1 (en) * 2016-03-02 2017-09-08 Envirologics Engineering Inc. Cleaning inside and adjacent service connections in preparation for pipe lining method
KR20190114569A (ko) 2018-03-30 2019-10-10 이승욱 배수관용 배관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738B1 (ko) 2018-12-06 2019-10-17 주식회사 파워킹 수도관 세척장치
KR102248297B1 (ko) 2019-10-02 2021-05-04 주식회사 파워킹 수도관 세척장치
KR102248298B1 (ko) 2020-05-26 2021-05-06 주식회사 파워킹 수도관 세척장치
KR102209733B1 (ko) 2020-06-11 2021-02-01 주식회사 파워킹 수도관 세척장치
KR102491682B1 (ko) 2020-10-05 2023-01-27 주식회사 수도이앤씨 수도관 세척장치
CN117900212A (zh) * 2024-03-19 2024-04-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莱芜供电公司 一种电力管道清洁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488A (ko) * 2014-05-09 2015-11-18 신호산기(주) 슬러지 수집 장치
KR101583248B1 (ko) 2014-05-09 2016-01-08 신호산기(주) 슬러지 수집 장치
WO2017147680A1 (en) * 2016-03-02 2017-09-08 Envirologics Engineering Inc. Cleaning inside and adjacent service connections in preparation for pipe lining method
GB2552637A (en) * 2016-03-02 2018-01-31 Envirologics Eng Inc Cleaning inside and adjacent service connections in preparation for pipe lining method
GB2552637B (en) * 2016-03-02 2018-10-10 Envirologics Eng Inc Cleaning inside and adjacent service connections in preparation for pipe lining method
KR20190114569A (ko) 2018-03-30 2019-10-10 이승욱 배수관용 배관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677A (ko) 200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267B1 (ko) 하수관작업용순환배수장치
WO2021120630A1 (zh) 清洁设备
KR100574442B1 (ko) 흡입공기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그 공법
US20050274094A1 (en) Vacuum loader
CN106638424A (zh) 一种高压射流清洗装置及道路污染清除车
US20070226950A1 (en) Vacuum loader with louvered tangential cyclone separator
CN106178713A (zh) 一种多层布袋交互安装‑抽吸型布袋除尘器
KR100928073B1 (ko) 복합식 준설차
US20070234906A1 (en) Composite Silencer Base for a Vacuum Loader
CN214862123U (zh) 一种闷渣池专用湿式除尘器
JP2017077503A (ja) 除塵装置
CN106337494A (zh) 一种市政管道清淤疏通车
CN108607684A (zh) 一种自动除杂装置及具有该装置的污泥处置系统
CN211815905U (zh) 一种多功能道路污染清除车
KR101833162B1 (ko) 연속 필터청소기능이 구비된 집진장치
KR200358098Y1 (ko) 흡입공기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그 공법
CN109806682B (zh) 一种烟尘颗粒过滤装置
CN208928376U (zh) 一种自动除杂装置及具有该装置的污泥处置系统
KR200451681Y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
CN208161288U (zh) 一种土木工程用清渣装置
KR200470844Y1 (ko) 분진처리시스템의 덕트라인 막힘방지장치
KR100919846B1 (ko) 고층 건축물의 쓰레기 회수 설비의 쓰레기 수집기
CN217746162U (zh) 一种污水粗颗粒杂物初步处理设备
CN219888101U (zh) 一种瓦斯抽采排水除尘设备
CN214319627U (zh) 一种双段式湿法除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