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893U - 홍삼액 제조기 - Google Patents

홍삼액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893U
KR20100009893U KR2020090003697U KR20090003697U KR20100009893U KR 20100009893 U KR20100009893 U KR 20100009893U KR 2020090003697 U KR2020090003697 U KR 2020090003697U KR 20090003697 U KR20090003697 U KR 20090003697U KR 20100009893 U KR20100009893 U KR 201000098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water
main body
ginseng liquid
ou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8500Y1 (ko
Inventor
김종부
채기탁
김준환
정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2020090003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50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8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8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5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6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삼을 증숙 및 숙성시키는 제조공정시에 필요한 물을 본체에 설치된 물통을 통하여 공급받음으로써 가정에서도 편리하게 홍삼액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홍삼액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조작부 및 가열부가 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수용된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에 수용되어 가공할 인삼을 보관하는 내부용기; 상기 외부용기 상부에 마련된 외부뚜껑; 상기 내부용기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내부뚜껑; 상기 외부뚜껑과 상기 외부용기 사이에 마련된 트레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용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내부용기에 보관된 인삼을 증숙 및 숙성시키도록 미리 설정된 온도 및 시간조건으로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상기 증숙 및 숙성에 필요한 물이 상기 물통에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인삼, 증숙, 숙성, 홍삼액, 물통, 체크 밸브, 받침대, 트레이, 밑판

Description

홍삼액 제조기{RED GINSENG LIQUID MAKING APPARATUS}
본 고안은 홍삼액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숙과 숙성과정에 필요한 물을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물통으로부터 물공급호스를 거쳐 외부용기로 전달받음에 따라 증숙과 숙성시에 물을 붓고 다음 공정을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 없이 편리하게 홍삼액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홍삼액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홍삼에는 인삼(건삼, 수삼, 백삼 등)에 갖고 있지 않은 다양한 사포닌(진세노이드)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사포닌 성분은 이미 그 약리효과의 탁월함이 입증되어 있다.
이러한 사포닌은 사람이 복용하여 장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됨으로써 체내에 흡수되어 실제 그 효과를 발휘한다.
이와 같이 홍삼은 인삼에 비해 더욱 약리효과가 뛰어나며, 이에 따라 가정에서도 인삼을 가공하여 홍삼액을 제조하기 위한 홍삼액 제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 홍삼액 제조기는 내부용기에 인삼을 넣은 후 내부용기 밑면보다 낮게 물을 넣은 후 증숙버튼을 선택하여 인삼을 찌게 되는 증숙과정을 수행한다. 증숙과 정이 완료되면 외부뚜껑 및 내부뚜껑을 열고 물을 내부용기 속 보관된 인삼이 충분히 잠기도록 보충한 후 숙성버튼을 선택하여 숙성과정이 진행되며, 홍삼으로 가공될 때 홍삼액기스가 빠져나와 홍삼액이 만들어진다.
그러나, 종래 홍삼액 제조기는 홍삼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증숙과정에 필요한 물을 붓고 증숙버튼이 선택되면 인삼을 찌는 증숙과정이 수행되고, 증숙과정이 완료되면 다음에 진행될 숙성과정에 필요한 물량만큼 보충한 후 숙성버튼을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물통에서 흘러나온 물이 물공급호스를 거쳐 외부용기로 이송됨에 따라 증숙과 숙성과정시에 필요한 물의 보충 및 증숙, 숙성버튼의 선택없이도 편리하게 홍삼액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홍삼액 제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홍삼액 제조기는 조작부 및 가열부가 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수용된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에 수용되어 가공할 인삼을 보관하는 내부용기; 상기 외부용기 상부에 마련된 외부뚜껑; 상기 내부용기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내부뚜껑; 상기 외부뚜껑과 상기 외부용기 사이에 마련된 트레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용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내부용기에 보관된 인삼을 증숙 및 숙성시키도록 미리 설정된 온도 및 시간조건으로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상기 증숙 및 숙성에 필요한 물이 상기 물통에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통은 물 저장조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돌출핀과 결합되어 상기 물 저장조의 물을 단속하는 체크 밸브와, 상기 체크 밸브와 일체로 이루어진 물통뚜껑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물통을 받치는 받침대와, 상기 물통에서 흘러나와 상기 받침대에 고인 물을 상기 외부용기로 전달하는 물공급호스와, 상기 받침대와 상기 물공급호스를 연결하는 연결튜브와, 상기 제어부의 물공급명령에 따라 상기 물공급호스를 거쳐 상기 외부용기로 물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수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용기는 유리재질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 하부에 설치되는 밑판과,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밑판을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브래킷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밑판은 알루미늄판에 PTFE(폴리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레)가 코팅되거나, 또는 스테인리스 판재일 수 있으며, 상기 밑판의 중앙부에는 배출관이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홍삼액이 배출된다. 나아가, 상기 밑판의 하부와 이격되게 설치된 금속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홍삼액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가지는 배출통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과 상기 밑판사이에 개재된 패킹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서 하부로 연장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금속판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외부뚜껑과 상기 외부용기 사이에 개재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용기가 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된 제 1 통공과, 상기 측벽부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물공급호스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와 상기 외부 용기 상단 사이에 설치된 제 1 보호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단과 상기 외부 용기 사이에 설치된 제 2 보호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용기의 저면에는 복수의 제 2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용기의 측면에 제 3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물통에는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에 설치되어 증숙 및 숙성시에 필요한 물이 물공급호스를 거쳐 외부용기에 이송됨으로써 증숙과 숙성시에 필요한 물을 자동으로 공급받아 물을 붓고 숙성버튼을 누르는 불편함 없이 편리하게 홍삼액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밑판의 중심부에 배출관이 설치됨으로써, 홍삼액을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시킬 수 있으며, 특히 배출관의 홍삼액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됨에 따라 적당량의 홍삼액을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알루미늄판에 PTFE(폴리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레)가 코팅되거나 스테인리스 판재인 밑판과 가열부가 밀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와 외부용기 상단에 제 1 보호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내부용기를 빼고 넣을 때 사용상의 부주의로 인한 외부용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밑판의 하부와 이격되게 금속판이 설치됨에 따라, 가열부의 열로 인해 본체 하단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홍삼액 제조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홍삼액 제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홍삼액 제조기(10)는 크게 본체(50), 외부용기(60), 그리고 내부용기(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50)에는 외부용기(6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미도시)가 형성된다. 그 수용부 내에는 외부용기(60)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52)가 마련된다.
본체(50)에는 착탈가능한 물통(80)을 받치는 받침대(58)가 설치된다. 그 물통(80)은 물이 저장된 물 저장조(81)와, 물 저장조(81)에 저장된 물의 유출입을 단속하는 체크 밸브(82)와, 체크 밸브(82)와 일체로 이루어진 물통뚜껑(83)을 포함한다. 물 저장조(81)는 기다란 사각형의 형상이며, 물통뚜껑(83)을 열어 물통에 손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넓은 주입구를 갖는다. 이에 따라, 물 저장조(81) 내부의 청소가 용이하다. 한편, 물 저장조(81)를 덮는 물통뚜껑(83) 내부면에는 수밀부재(85)가 설치되어, 물 저장조(81)에 저장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통(80)의 말단에는 물통(8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물통 손잡이(84)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물통 손잡이(84)를 물통(80)의 말단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통(80)이 본체(50)의 받침대(58)에 놓이면 체크 밸브(82)는 받침대(58)의 중심에서 상부로 일정높이만큼 돌출된 돌출핀(581)과 결합된다. 이러한 체크 밸브(82)는 물 저장조(81)에 물이 들어있는 상태로 이동시에 물이 흘러내리지 않고 본체(50)의 받침대(58)에 결합했을때 자동으로 물이 공급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80)이 본체(50)에 결합될때 돌출핀(581)이 체크 밸브(82)를 밀어 만들어진 열린공간으로 물 저장조(81)의 물이 체크 밸브(82)를 거쳐 받침대(58)에 전달된다. 이때, 체크 밸브(82)에는 돌출핀(581)과 결합 또는 분리시 탄성적으로 가압 또는 복원되도록 압축스프링(821)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체(50)는 물 저장조(81)에서 체크 밸브(82)를 거쳐 흘러나와 받침대(58)에 고인 물을 외부용기(60)에 전달하는 물공급호스(55)가 설치되며, 받침대(58)와 물공급호스(55)는 연결튜브(57)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본체(50)는 제어부에 의해 물공급명령이 입력되면 물공급호스(55)를 거쳐 외부 용기(60)로 물을 이송하는 이송수단(56)을 포함한다. 이송수단(56)은 물통(81)의 최하단보다 아래쪽인 본체(5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이러한 이송수단(56)은 모터(561)와, 그 모터(561)에 의해 구동되어 물공급호스(55)를 거쳐 외부용기(60)로 물을 이송하는 수차(56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물공급호스(55)는 일단이 연결뷰트(57)에 의해 물이 고여 있는 받침대(58)와 연결되고, 타단이 트레이(65)의 측벽부(651)에 연장된 끼움부(653)에 끼워진 채 고정된다.
트레이(65)는 외부뚜껑(62)과 외부용기(60) 사이에 개재되는 측벽부(651)와, 그 측벽부(651)와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용기(70)가 거치되는 지지부(652)를 포함한다. 지지부(652)는 외부용기(60)에서 안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652)에는 제 1 통공(6521)이 형성된다. 제 1 통공(6521)은 물공급호스(55)를 거쳐 이송된 물을 외부용기(60) 아래쪽으로 보낼 수 있다. 또한, 제 1 통공(6521)은 내부용기(70)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외부뚜껑(62)내에서 응결되어, 그 응결된 물방울을 제 1 통공(6521)을 통하여 외부용기(60) 아래쪽으로 보낼 수 있다.
외부용기(60)는 그 상부에 마련된 트레이(65)를 개폐하기 위한 외부뚜껑(62)이 설치된다. 그리고, 외부뚜껑(62)에는 사용자가 손쉽게 외부용기(60) 상부에 마련된 트레이(65)를 개폐할 수 있도록 외부뚜껑용 손잡이(64)가 설치될 수 있다. 외부용기(60) 및 외부뚜껑(62)은 사용자가 내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와 같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자세하게 외부용기(60)는 유리재질의 외주부(601)와, 그 외주부(601) 하부에 설치된 밑판(602)과, 그리고 외주부(601)와 밑판(602)을 고정하는 브래킷(603)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브래킷(603)은 체결수단(604), 예컨대 나사에 의해 외주부(601)와 밑판(602)을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외주부(601)와 밑판(602) 사이에 이물질이 끼게 되는 경우 외주부(601)와 밑판(602)을 분리시켜 간 편하게 외주부(601)와 밑판(602)에 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전술된 브래킷(603)은 외주부(601)에 결합된 제 1 브래킷(6031)과, 밑판(602)을 지지하는 제 2 브래킷(6032)을 포함하며, 제 1 브래킷(6031)과 제 2 브래킷(6032)를 체결수단(604)에 의해 외주부(601)와 밑판(602)이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제 1 브래킷(6031)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브래킷(6032)는 철판일 수 있으며, 밑판(602)과 제 1 브래킷(6032) 사이에는 밀봉부재(605)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외주부(601) 상단과 트레이(65) 사이에 제 1 보호부재(66a), 예컨대 실리콘이 설치되어, 내부용기(70)를 넣고 뺄때 유리재질의 외주부(601) 상단에 부딪쳐 외주부(601)가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 1 보호부재(66a)는 외주부(601) 상단 테두리에 고정되어 있으며, 트레이(65)의 하부를 받쳐준다.
또한, 본체(50)의 상단과 외주부(601) 사이에 제 2 보호부재(66b)가 설치될 수 있다. 제 2 보호부재(66b)는 본체(5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내부용기(70)는 외주부(601) 내에 수용되며, 인삼 또는 홍삼 등의 가공물이 보관된다. 그리고, 외부용기(60)에는 물이 채워지며, 가열부(52)에 의해 가열된 물 및 그 수증기가 내부용기(70)로 순환되며, 인삼 또는 홍삼 등의 가공물의 액을 추출한다.
이를 위해, 내부용기(70)의 저면에는 가열부(52)의 가열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수증기를 내부용기(70)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제 2 및 제 3 통공(701, 702)이 복수개 형성되며, 그 제 2 통공(701)은 내부용기(70)의 저면에 형성되고, 제 3 통 공(702)는 내부용기(70)의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내부용기(70)에는 내부를 개폐하기 위한 내부뚜껑(72)이 설치된다. 그리고, 내부뚜껑(72)에는 사용자가 손쉽게 내부용기(7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내부뚜껑용 손잡이(7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내부용기(70) 및 내부뚜껑(72)은 도자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리와 같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내부용기(70) 및 내부뚜껑(72)은 예를 들면 게르마늄 도자기로 이루어져, 제 2 및 제 3 통공(701, 702)에 의해 물이 대류(순환)하면서 인삼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내부용기(70)는 트레이(65)에 걸쳐서 설치되며, 트레이(65)를 외부용기(60)로부터 분리하여 내부용기(70)를 들어올릴 수 있다. 이를 위해, 트레이(65)에는 쉽게 잡기 위한 트레이 손잡이(6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밑판(602)은 가열부(52)와 밀착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밑판(602)은 예를들면 알루미늄판에 PTFE(폴리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레) 즉, 불소수지가 코팅된 판이 채택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스테인리스 판재도 고려될 수 있다.
전술된 가열부(52)는 예를 들면 파이프 형태의 히터로, 지지판(521)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판(521)은 본체(50) 내에 설치되고 가열부(52)가 안치되는 내부면을 갖으며, 지지판(521)은 밑판(602)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 지지판(521)에서 하부로 지지대(522)가 연장되며, 지지대(522)의 말단에 턱(524)이 형성된다. 턱(524)은 금속판(53) 내에서 출입가능한 지지대(522)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 판(521), 지지대(522), 그리고 턱(524)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대(522)의 외면에는 지지판(521)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스프링(523)이 설치된다. 스프링(523)은 가열부(52)를 밑판(602)에 밀착시킬때 가열부(52)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판(521)이 밑판(602)을 향해 가압되도록 한다.
전술된 밑판(602)의 하부에는 금속판(53)이 설치되고, 금속판(53)은 시즈히터(sheath heater)가 설치된다. 금속판(53)에는 지지대(522)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구멍(531)이 형성되며, 그 안내구멍(531)을 통하여 지지대(522)가 출입가능하다. 또한, 금속판(53)은 본체(50)의 내부면과 이격되도록 결합수단(532), 예를 들면 나사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금속판(52)은 가열부(52)를 고정하며, 가열부(52)의 열이 금속판(52) 아래로 전달되지 않아 가열부(52)의 열로 인하여 본체(50) 하단 부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체(50)는 전면부에 홍삼액 제조기(10)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51)가 설치된다. 조작부(51)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신호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 전달되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가열부(52) 및 이송수단(56)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체(50)에 설치된 제어부는 조작부(51)의 선택에 따라 내부용기(70)에 보관된 인삼을 증숙 및 숙성시킬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온도 및 시간조건으로 가열부(21)의 작동을 제어하며, 이에 따라 내부용기(70)에 보관된 인삼을 홍삼액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특히 제어부는 증숙과정 수행 전에 물통(80)의 물 저장조(81)에 저장된 물이 물공급호스(55)를 거쳐 외부용기(60)로 증숙에 필요한 물량만큼 이송 되도록 제어한 후 증숙과정이 수행되고, 증숙과정이 완료되면 숙성과정에 필요한 물량만큼 물통(80)의 물 저장조(81)에 저장된 물이 물공급호스(55)를 거쳐 외부용기(60)로 이송되도록 제어한 후 숙성과정이 수행된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는 조작부(51)를 1회 선택함에 따라 내부용기(70)에 보관된 인삼을 증숙모드와, 숙성모드로 전환되면서 각 모드별로 미리 설정된 온도 및 시간조건으로 가열되도록 가열부(52)의 작동을 제어하고, 각 모드에 필요로 하는 물량, 즉 증숙모드에 필요한 물량(일례로 1500ml)과 숙성모드에 필요한 물량(일례로 6000ml)이 외부용기(60)로 이송되도록 제어하여, 숙성모드시에 가열된 물과 여기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내부용기(70)로 순환되며 홍삼액으로 추출되고,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추출된 홍삼액이 외부용기(60)에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부(51)를 작동시켜 추출된 홍삼액의 공급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는 외부용기(60)에 저장된 홍삼액이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밑판(602)의 중심부에 설치된 배출관(67)이 본체(50)에 설치된 배출통로(54)에 끼워져, 외부용기(60)에서 배출관(67)을 거쳐 배출통로(54)로 홍삼액이 배출된다. 배출통로(54)는 외부용기(60)에 저장된 홍삼액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541)를 가진다. 이에 따라, 한번의 조작시 적정량의 홍삼액이 공급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541)의 작동시간을 조정한다.
상술된 배출관(67)은 고정수단(671), 예를들면 너트에 의해 고정되고, 고정수단(671)과 밑판(602)에 형성된 개구(미도시) 사이에 패킹(672)이 개재된다. 패킹(672)은 밑판(602)의 중심부로부터 배출관(67)으로 배출되는 홍삼액의 유출을 막 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작부(51)는 홍삼액을 제조하기 위한 홍삼액 제조버튼, 홍삼액의 제조외에도 다른 과일한방차를 제조하기 위한 과일한방차버튼, 보온/재가열버튼 및 전원의 공급 및 작동을 취소하기 위한 전원/취소버튼, 홍삼액 공급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51)에는 홍삼액 제조기(1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작동 표시등 및 남은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미도시)이 마련된다.
본체(50)의 바닥면에는 본체(50)를 지지하는 받침다리(59)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홍삼액 제조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홍삼액 제조기(10)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외부용기(60) 상부에 트레이(65)를 장착한다.
다음, 내부용기(70)에 인삼(건삼, 수삼 등)을 넣은 후 내부용기(70)가 트레이(65)에 걸리도록 장착한다.
다음, 내부뚜껑(72)과 외부뚜껑(62)을 차례대로 덮는다.
다음, 증숙과 숙성시에 필요한 물량이 저장된 물통(80)을 본체(50)의 받침대(58)에 설치한다. 이때, 받침대(58)의 돌출핀(581)은 물통(80)의 체크 밸브를 밀어, 물 저장조(81)의 물이 흘러나와 받침대(58)에 고이게 된다.
다음, 전원을 인가하여 조작부(51)의 홍삼액 제조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받침대(581)에 고인 물이 물공급호스(55)를 통하여 외부용 기(60)로 이송되어 증숙에 필요한 물량이 채워지면 가열부(52)의 동작으로 외부용기(60)의 물이 가열되도록 한다. 이때, 내부용기(70) 저면의 제 2 통공(701)과 내부용기(70) 측면의 제 3 통공(702)을 통하여 수증기가 들어가서 인삼(건삼, 수삼 등)을 찌게 되는 증숙과정이 수행된다.
다음, 증숙과정이 완료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숙성과정에 필요한 물량만큼 물공급호스(55)를 통하여 외부용기(60)로 이송되도록 하여 내부용기(70)에 보관된 인삼(건삼, 수삼 등)이 충분히 잠기도록 물이 보충된다.
다음,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온도 및 시간조건으로 가열부(52)의 작동을 제어하여 숙성과정이 수행되면, 홍삼으로 가공될때 홍삼액기스가 빠져나와 홍삼액이 만들어진다.
추가로, 숙성과정이 종료된 후 홍삼액의 공급명령이 입력되면 외부용기(60)에 저장된 홍삼액이 배출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종래 사용자가 숙성과정시에 물을 붓고 숙성버튼을 선택하는 번거로움없이 1회의 홍삼액 제조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증숙과 숙성이 차례대로 수행되고, 그 증숙과 숙성과정 수행시에 필요로 하는 물량도 자동으로 공급되어 간편하게 홍삼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홍삼액 제조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통을 더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홍삼액 제조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홍삼액 제조기 50 : 본체
51 : 조작부 52 : 가열부
53 : 금속판 54 : 배출통로
55 : 물공급호스 56 : 이송수단
57 : 연결튜브 58 : 받침대
59 : 받침다리 60 : 외부용기
62 : 외부뚜껑 64 : 외부뚜껑용 손잡이
65 : 트레이 66a, 66b : 제 1 및 제 2 보호부재
67 : 배출관 70 : 내부용기
72 : 내부뚜껑 74 : 내부뚜껑용 손잡이
80 : 물통 81 : 물 저장조
82 : 체크 밸브 83 : 물통뚜껑
84 : 물통 손잡이 85 : 수밀부재

Claims (15)

  1. 인삼을 증숙 및 숙성과정을 거쳐 홍삼액을 제조하는 홍삼액 제조기로서,
    조작부 및 가열부가 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수용된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에 수용되어 가공할 인삼을 보관하는 내부용기;
    상기 외부용기 상부에 마련된 외부뚜껑;
    상기 내부용기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내부뚜껑;
    상기 외부뚜껑과 상기 외부용기 사이에 마련된 트레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용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내부용기에 보관된 인삼을 증숙 및 숙성시키도록 미리 설정된 온도 및 시간조건으로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상기 증숙 및 숙성에 필요한 물이 상기 물통에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액 제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물 저장조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돌출핀과 결합되어 상기 물 저장조의 물을 단속하는 체크 밸브와, 상기 체크 밸브와 일체로 이루어진 물통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액 제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물통을 받치는 받침대와, 상기 물통에서 흘러나와 상기 받침대에 고인 물을 상기 외부용기로 전달하는 물공급호스와, 상기 받침대와 상기 물공급호스를 연결하는 연결튜브와, 상기 제어부의 물공급명령에 따라 상기 물공급호스를 거쳐 상기 외부용기로 물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액 제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수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액 제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유리재질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 하부에 설치되는 밑판과,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밑판을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액 제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밑판은 알루미늄판에 PTFE(폴리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레)가 코팅되거나, 또는 스테인리스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액 제조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밑판의 중앙부에는 배출관이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홍삼액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액 제조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밑판의 하부와 이격되게 설치된 금속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액 제조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홍삼액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가지는 배출통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액 제조기.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과 상기 밑판사이에 개재된 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액 제조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서 하부로 연장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금속판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액 제조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외부뚜껑과 상기 외부용기 사이에 개재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용기가 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된 제 1 통공과, 상기 측벽부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물공급호스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액 제조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와 상기 외부 용기 상단 사이에 설치된 제 1 보호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단과 상기 외부 용기 사이에 설치된 제 2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액 제조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저면에는 복수의 제 2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용기의 측면에 제 3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액 제조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통에는 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액 제조기.
KR2020090003697U 2009-03-31 2009-03-31 홍삼액 제조기 KR200458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697U KR200458500Y1 (ko) 2009-03-31 2009-03-31 홍삼액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697U KR200458500Y1 (ko) 2009-03-31 2009-03-31 홍삼액 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893U true KR20100009893U (ko) 2010-10-08
KR200458500Y1 KR200458500Y1 (ko) 2012-03-05

Family

ID=4420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697U KR200458500Y1 (ko) 2009-03-31 2009-03-31 홍삼액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5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882B1 (ko) * 2018-12-26 2019-10-04 한솔바이오한방 주식회사 수삼 및 새싹삼 분말과 과일·채소 마쇄물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343B1 (ko) 2018-09-28 2019-05-14 김금성 유효 성분 분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131Y1 (ko) 2000-02-14 2000-07-15 정진훈 홍삼 원액 제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882B1 (ko) * 2018-12-26 2019-10-04 한솔바이오한방 주식회사 수삼 및 새싹삼 분말과 과일·채소 마쇄물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500Y1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984B1 (ko) 용기 내에 수용된 음식을 스팀-가열 및/또는 스팀-조리하기 위한 모듈형 스티머 액세서리
EP0972477B1 (en) Food steamer
JP4334575B2 (ja) 蒸気処理装置
US11523701B2 (en) Accessory for steam-heating and/or steam-cooking food and steamer comprising a container and an accessory for steam-heating and/or steam-cooking food contained in the container
CN101522079A (zh) 自动煮饭装置
US4741261A (en) Cooking apparatus
WO2015019303A1 (en) Device for cooking and heating and/or reviving of portions of fresh and/or frozen pre-cooked pasta and other food preparations
WO2009065166A1 (en) A stove top device for making espresso coffee
KR200458500Y1 (ko) 홍삼액 제조기
CN107072423B (zh) 用于配制烧煮饮料的方法和装置
EP3506806B1 (en) Cooking appliance with steamer
US2824509A (en) Automatic electric drip coffee maker
CN107174134A (zh) 一种组合厨房电器
EP0273323A2 (en) Cooking apparatus
KR200460402Y1 (ko) 상부 급수형 홍삼액 제조기
CN107890285B (zh) 一种蒸汽设备的使用方法
JPH07243649A (ja) 蒸気調理装置
US20140044849A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WO2012113324A1 (zh) 用于可蒸汽加热的多功能食品处理机的食物容器机构
CN108784319A (zh) 一种自动淘米蒸饭锅
JPH07151362A (ja) 蒸気式加湿器
KR100762968B1 (ko) 청국장 제조장치
WO2012134261A1 (en) An apparatus for cooking food
TW201625168A (zh) 食材萃取設備
EP2240052A1 (en) Equipment for food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